KR200142801Y1 -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2801Y1
KR200142801Y1 KR2019960002634U KR19960002634U KR200142801Y1 KR 200142801 Y1 KR200142801 Y1 KR 200142801Y1 KR 2019960002634 U KR2019960002634 U KR 2019960002634U KR 19960002634 U KR19960002634 U KR 19960002634U KR 200142801 Y1 KR200142801 Y1 KR 2001428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ase
connector
cap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2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2909U (ko
Inventor
이의근
박분희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이의근
이성근
박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의근, 이성근, 박분희 filed Critical 이의근
Priority to KR2019960002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2801Y1/ko
Publication of KR9700529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29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28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28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Landscapes

  • Connections By Means Of Piercing Elements, Nuts, Or Screw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한 기술분야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2. 고안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케이블을 개략(T)형으로 접속시에 발생하는 작업의 난이성 및 번거로움 등을 일소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서 간편하고 능률적인 케이블 접속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
3.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개폐수단(4)에 의해 개폐작동 가능한 캡(3)과 연결된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내에 결합되는 케이블 접속단자(5,6)를 가지며, 접속단자(5,6)의 양단부는 상방으로 밴딩되어 각각의 접속단자(5,6) 대응면부와 하향경사지게 구성된 상면부에는 블레이드(9, 9')를 형성하며, 케이스(1)와 캡(3)의 케이블 배선부에는 반구형의 케이블 배선공(10, 10')을 대응되게 형성한 것이다.
4. 고안의 중요한 용도.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Description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캡을 개방한 상태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캡개방 상태에서의 사용상태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A-A선 확대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B-B선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커넥터 1 : 케이스
2 : 힌지편 3 : 캡
4 : 개폐수단 4a : 걸림홈
4b : 걸림편 5,6 : 접속단자
7,8 : 결합요홈 9,9' : 블레이드
10,10' : 배선공
본 고안은 각종 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connect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케이블을 (T)형으로 상호 접속할 시에 사용되는 커넥터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케이블을 (T)형으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케이블 중간의 접속부상의 피복을 공구를 사용하여 제거한 후 상기 피복이 제거된 케이블에 (T)형으로 대응 접속되는 케이블의 연결단부 피복을 제거한 후 상호 연결하고, 접속연결부상에는 절연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절연 마감작업을 하여야 한다.
즉 종래에는 케이블의 (T)형 접속을 위해서는 피복의 제거 및 결선, 절연처리와 같은 번거롭고 까다로운 공정을 행하여야 하므로 작업의 난이도가 높음은 물론 작업시간이 상당히 소모되어 작업의 능률이 극히 저조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케이블간의 (T)형 접속시에 보다 간편하고 능률적으로 접속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구성, 작용 및 효과 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제2도는 캡을 개방한 상태의 커넥터(A)를 보인 사시도로서, 개략 사각형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케이스(1)상에는 일측 힌지편(2)을 기점으로 각운동 개폐될 수 있는 캡(3)을 일체로 형성하며, 힌지편(2)의 대응부에는 당연히 캡(3)의 개폐작동을 단속할 수 있는 걸림홈(4a)과 걸림편(4b) 등으로 이루어지는 개폐수단(4)을 형성토록 한다.
케이스(1)의 내부에는 평면상에서 볼 때 개략 (L)형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속단자(5,6)가 끼움조립될 수 있도록 접속단자(5,6)에 부합하는 형상의 결합요홈(7,8)을 형성하여 접속단자(5,6)를 결합토록 한다.
상기한 접속단자(5,6)의 양단은 상방으로 약 90°정도 밴딩되고 이웃하는 접속단자(5,6)와 상호 대응하는 대응면부와 하향 경사지게 구성한 상면부에 각각 블레이드(9,9')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케이스(1)와 캡(3)에는 케이블이 접속배선되는 배선공(10,10')을 평면상에서 볼 때 (T)방향으로 각각 원형으로 형성하되, 상기 배선공(10,10')의 단부는 제5도와 같이 개략 산형 등으로 구성하여 케이블을 조임상태로 클램핑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도면 중의 미설명부호 (11,11')는 케이블
(11a)는 케이블의 피복
(11b)는 케이블의 본선
(12)는 결합돌기
(13,13')은 접속단자(5,6)가 형성하는 케이블 접속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시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케이블 접속 커넥터(A)는 각종 케이블(11,11')을 (T)형 등으로 접속시에 사용할 수 있는 커넥터(A)로서, 필요에 따라서는 일자형으로 케이블(11,11')을 접속시에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케이블(11,11')의 본선(11b) 가닥수가 하나 또는 2가닥 등인 경우에 호환성있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의 접속방법과 작용, 효과 등을 이하에 보다 상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접속코자 하는 케이블(11)중 (T)형으로 접속되는 중간부분은 피복(11a)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커넥터(A)의 캡(3)을 케이스(1)로부터 힌지편(2)을 기점으로 개방한 후 케이블(11)의 (T)형 접속부가 케이스(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하여 압지내장한다.
이때 케이스(1) 내부 결합요홈(7,8)에 결합된 접속단자(5,6)가 형성하는 일측의 케이블 접속부(13) 상간으로 케이블(11)을 압지할 때 접속부(13)의 양측으로 형성된 접속단자(5,6)의 상면 경사부 및 대응면부에 형성된 블레이드(9,9') 부분에 케이블(11) 피복(11a)이 압지경유되면서 케이블(11)의 길이방향과 직각이 되는 방향으로 피복(11a)이 커팅되면서 접속부(13) 내하측으로 압지되어 케이블(11) 피복(11a)내에 있는 본선(11b)이 제3,4도와 같이 접속단자(5,6)의 블레이드(9,9')부에 각각 접속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케이블(11)의 일측 접속부(13) 결합이 완료되면 (T)형으로 접속되는 대응 케이블(11')의 단부를 기히 결합된 케이블(11)과 직각방향으로 케이스(1)에 제3도와 같이 결합한다.
이때 대응 접속되는 케이블(11')의 단부 역시 접속단자(5,6)가 형성하는 나머지 하나의 접속부(13')상에 압지될 때 접속부(13')의 양측으로 형성된 접속단자(5,6)의 블레이드(9,9') 부분에 케이블(11') 피복(11a)이 압지경유되면서 케이블(11')의 길이방향과 직각방향으로 피복(11a)이 커팅되면서 접속부(13') 내하측으로 압지되어 케이블(11') 피복(11a)내에 있는 본선(11b)이 제3,4도와 같이 접속단자(5,6)의 블레이드(9,9')부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2개의 케이블(11,11')을 케이스(1) 내부 접속단자(5,6)가 형성하는 접속부(13,13')상에 개략 (T)형으로 단순히 압지하면서 결합하면 케이블(11,11')간의 전기적인 접속은 완료되는 것이며, 결합된 케이블(11,11')과 케이스(1)의 외단부는 배선공(10,10')을 통하여 케이스(1) 외부로 배선이 되며, 이때 케이블(11,11')의 임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3)을 힌지편(2)을 기점으로 하여 각운동시켜 개폐수단(4)으로 케이스(1)와 폐쇄시키면 캡(3)에 형성된 배선공(10,10') 역시 케이스(1)에 형성된 배선공(10,10') 상부에서 케이블(11,11')을 제5도와 같이 견고히 압지클램핑하게 된다.
이때 배선공(10,10')의 단부는 개략 산형 등과 같이 케이블(11,11') 클램핑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 압지클램핑되는 케이블(11,11')은 일정한도 내에서의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커넥터(A)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이며, 상기 케이스(1)와 캡(3)이 형성하는 상하 배선공(10,10')의 수직방향 내경(φ1)은 케이블(11,11')의 피복(11a) 외경(φ2)보다 작게 치수를 관리함으로서 클램핑력은 극대화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한 커넥터(A)를 사용하여 접속한 케이블(11,11')을 필요에 따라 접속해제코자 할 시는 캡(3)을 개폐수단(4)을 사용하여 케이스(1)로부터 개방한 후 압지클램핑된 각각의 케이블(11,11')만 상방으로 분리하면 간단히 케이블(11,11')은 분리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통상의 각종 케이블(11,11')을 개략(T)형으로 접속시에 피복(11a)의 분리없이 케이블(11,11')을 케이스(1)에 단순히 압지클램핑하여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의 편익과 능률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다대한 고안이다.
후술하는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서 본 고안에서 개시한 신규한 기술중에서 특히 보호받고자 하는 기술이 개시될 것이지만, 일부 구성물을 등가물로 치환하거나 구성부재의 형상 등을 일부 변경하는 등 당해업계에 숙달된 자에 의하여 극히 용이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는 유사한 실시예 역시 본 고안과 동일한 기술이라 하겠다.

Claims (3)

  1. (정정) 케이스(1)에는 힌지편(2)으로 각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개폐수단(4)에 의해 개폐단속되는 캡(3)을 형성하며, 상기 케이스(1) 내부에는 케이블 접속단자(5,6)가 결합되며, 상기 접속단자(5,6)의 양단부는 상측으로 밴딩되어 이웃 대응하는 접속단자(5,6) 대응면부 및 하향경사지게 구성된 상면부에는 블레이드(9,9')가 형성되고; 상기 접속단자(5,6)에 접속되는 케이블이 케이스(1) 내부로 경유할 수 있는 반구형의 케이블 배선공(10,10')을 케이스(1)와 캡(3) 대응면부에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공(10,10')의 단부는 클램핑력 향상을 위하여 단면형상이 산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3.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공(10,10')은 케이스(1)에 캡(3)을 밀폐시 내경(φ1)이 케이블의 외경(φ2)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19960002634U 1996-02-16 1996-02-16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01428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634U KR200142801Y1 (ko) 1996-02-16 1996-02-16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634U KR200142801Y1 (ko) 1996-02-16 1996-02-16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909U KR970052909U (ko) 1997-09-08
KR200142801Y1 true KR200142801Y1 (ko) 1999-06-01

Family

ID=19450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2634U KR200142801Y1 (ko) 1996-02-16 1996-02-16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2801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833B1 (ko) 2008-10-29 2009-03-23 (주)다산에이디 전선 커플링장치
KR100943203B1 (ko) 2008-03-21 2010-02-25 이영환 전선 이음 커넥터
KR100952434B1 (ko) * 2007-12-31 2010-04-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다방향 조인트장치
KR101072505B1 (ko) 2009-07-28 2011-10-11 (주) 하정인더스트리 조인트 커버
KR20220006202A (ko) * 2020-07-08 2022-01-17 에이에스티주식회사 전선커플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6049B1 (ko) * 2020-12-23 2023-03-06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케이블 커넥터 및 케이블 커넥팅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434B1 (ko) * 2007-12-31 2010-04-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다방향 조인트장치
KR100943203B1 (ko) 2008-03-21 2010-02-25 이영환 전선 이음 커넥터
KR100889833B1 (ko) 2008-10-29 2009-03-23 (주)다산에이디 전선 커플링장치
KR101072505B1 (ko) 2009-07-28 2011-10-11 (주) 하정인더스트리 조인트 커버
KR20220006202A (ko) * 2020-07-08 2022-01-17 에이에스티주식회사 전선커플러
KR102378378B1 (ko) 2020-07-08 2022-03-24 에이에스티주식회사 전선커플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909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6503B1 (ko) 전선 이음 커넥터
US5890924A (en) Insulation-displacement-contact connector
US4493523A (en) Adaptive strain relief for wiring devices
RU2137271C1 (ru) При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CA1116713A (en) Dead front plug with cord strain relief
JPH0377282A (ja) シールド線用コネクタ
US6638090B2 (en) Waterproof connector used for a flexible flat cable
KR200142801Y1 (ko)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US7044772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able assembly
US10164382B1 (en) Electrical plug having a connection block and methods of assembling the same
GB2026784A (en) Electrical plugs
KR200209229Y1 (ko) 저압선로형 분기접속장치
JPH0136305Y2 (ko)
KR200363546Y1 (ko) 전선연결용 접속블록
KR20210089844A (ko) 2극 전선 연결 커넥터
AU200624131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ower socket
JP2003092101A (ja) バッテリターミナル
KR200314818Y1 (ko) 방수기능을 가지는 멀티탭과 플러그 어셈블리
IE44960B1 (en) Battery connector cover
KR200164243Y1 (ko) 형광등용 소켓
KR19990007634U (ko) 접속단자의 구조
KR200346538Y1 (ko) 전선 연결구
JP2542416Y2 (ja) 防水圧接端子コネクタ
CN2383216Y (zh) 刺破型连接器
JPS624542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