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9833B1 - 전선 커플링장치 - Google Patents

전선 커플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9833B1
KR100889833B1 KR1020080106206A KR20080106206A KR100889833B1 KR 100889833 B1 KR100889833 B1 KR 100889833B1 KR 1020080106206 A KR1020080106206 A KR 1020080106206A KR 20080106206 A KR20080106206 A KR 20080106206A KR 100889833 B1 KR100889833 B1 KR 100889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wire
coupling
mounting groov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희수
Original Assignee
(주)다산에이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산에이디 filed Critical (주)다산에이디
Priority to KR1020080106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98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9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9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0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teeth, prongs, pins or needles penetrating the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01R11/20End pieces terminating in a needle point or analogous contact for penetra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커플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락된 두개의 전선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연결부위를 방수처리하여 수분침투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장치에 의하면; 전선(1)의 단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에는 내측 중앙부위까지 연장된 전선 삽입홀(11L)(11R)이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면에는 덮개-안착홈(13)이 오목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안착홈(13)의 바닥 양측으로는 상기 전선 삽입홀(11L)(11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통되게 피어싱-홀(14L)(14R)이 각각 천공된 블록형태의 커플링본체(10)와; 상기 커플링본체(10)의 덮개-안착홈(13)에 안착 결합되며 벽면 양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21a)(21b)이 마련된 덮개(20)와; 상기 덮개(20)의 걸림턱(21a)(21b)과 대응되는 상기 덮개-안착홈(13)의 벽면에는 상기 덮개(20)의 결합 시 변형되어 결합을 허용하며 결합 후 상기 걸림턱(21a)(21b)이 걸리도록 복원되어 상기 덮개(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홈(13a)(13b)과; 상기 덮개(20)의 내부에 중앙부위가 고정 배치되며, 송곳형태로 이루어진 양측 단부(31a)(31b)가 상기 덮개(20)의 바닥 아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피어싱-홀(14L)(14R)들을 통해 상기 전선 삽입홀(11L)(11R)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전선(1)들의 단부를 피어싱 연결하기 위한 도전체 연결핀(30)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선, 커플링, 커넥터, 방수, 연결핀, 도전체, 피어싱

Description

전선 커플링장치{A CODE COUPLING DEVICE}
본 발명은 전선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락된 두개의 전선을 끼운 후 도통 핀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연결부위를 방수처리할 수 있는 방수기능을 갖춘 전선 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선은 많은 가느다란 금속심이 절연튜브를 통해 피복된 것으로, 대부분 전기제품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필요한 곳까지 연장되는 도체로 사용된다. 또한, 전선이 일정 길이만큼 절단되어 사용된 경우, 전선의 단락된 부분을 상호 연결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전선 끝단의 고무튜브를 일부 벗긴 후 금속심들을 꼬아 서로 연결한 다음, 수분에 의한 쇼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부위를 절연 테이프 등을 통해 감싸주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전선 연결구조에서는 작업자는 먼저 전선 끝단의 피복제(튜브) 일부를 공구를 통해 벗겨야 하는 것은 물론이며 절연테이프 등을 통해 연결부위를 마감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이며 절연테이프 등을 견실하게 감싸지 않는 경우 절연이 파괴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별도의 연결부재(전선 컨넥터)를 통 해 전선의 단락부위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전선 연결용 커넥터가 등록실용 제20-0335172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등록실용 제20-0335172호에 개시된 전선 연결용 커넥터를 통해 전선을 연결하는 경우에도 금속심 일부가 노출되도록 전선 끝단의 피복제 일부를 벗겨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전선 연결용 커넥터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져 조립 작업에 상당한 시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 단부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서도 전선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연결부위를 방수처리하여 절연파괴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전선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선 커플링을 가조립 상태로 유지한 상태로 유통시킬 수 있어 작업자가 전선 연결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전선 커플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장치는; 전선의 단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에는 내측 중앙부위까지 연장된 전선 삽입홀이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면에는 덮개-안착홈이 오목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안착홈의 바닥 양측으로는 상기 전선 삽입홀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통되게 피어싱-홀이 각각 천공된 블록형태의 커플링본체와; 상기 커플링본체의 덮개-안착홈에 안 착 결합되며 벽면 양측으로 돌출되게 걸림턱이 마련된 덮개와; 상기 덮개의 걸림턱과 대응되는 상기 덮개-안착홈의 벽면에는 상기 덮개의 결합 시 변형되어 결합을 허용하며 결합 후 상기 걸림턱이 걸리도록 복원되어 상기 덮개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홈과; 상기 덮개의 내부에 중앙부위가 고정 배치되며, 송곳형태로 이루어진 양측 단부가 상기 덮개의 바닥 아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피어싱홀들을 통해 상기 전선 삽입홀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전선들의 단부를 피어싱 연결하기 위한 도전체 연결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장치는; 상기 피어싱-홀의 상단부가 내경이 확장된 시일링-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덮개의 바닥에는 상기 연결핀의 양단부 상측을 감싸면서 상기 피어싱-홀의 시일링-홀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시일링비드가 돌출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장치는; 상기 전선 삽입홀이 천공된 상기 커플링본체의 양측 벽면에는 패킹홈이 오목하게 마련되고; 상기 패킹홈에는 상기 전선 삽입홀과 일치되게 전선 관통홀이 천공되며 상기 전선 삽입홀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패킹플레이트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장치는; 상기 덮개-안착홈의 바닥 중앙부위에는 가이드-홀이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의 바닥 중앙부에는 상기 가이드-홀에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덮개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핀이 일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장치는; 상기 가이드-홀의 저부에는 상기 가이드핀의 하단을 지지하여 상기 커플링본체의 상부에서 상기 덮개를 가조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는 상기 덮개를 가압하여 내리 누르면 상기 가이드핀에 의해 떨어져 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장치에 의하면; 전선들의 단부를 커플링본체 양측의 전선 삽입홈에 각각 직접 밀어 넣은 후 덮개를 내리누르는 것만으로 전선 단부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선들의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장치에 의하면; 전선 단부의 피복을 벗기지 않고서도 이들의 양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이들을 보다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장치에 의하면; 커플링본체의 상부에 덮개를 내리누르면 연결핀 양측 단부를 감싸는 시일링비드가 시일링-홀에 끼워져 결합되어 전선 연결부위로의 수분 침투가 견실하게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장치에 의하면; 커플링본체의 상부에 덮개를 가조립 상태로 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전선들의 단부를 전선 삽입홀에 끼운 후 가조립된 덮개를 내리누르는 동작만으로 전선들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어 그 사용 편리성이 극대화되는 작용효과가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의 조립 구조를 구체적으로 보인 것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의 가조립 상태 및 이를 통한 전선 연결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다.)
<구성 설명>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장치는 가느다란 도선들이 피복제를 통해 감싸여져 이루어진 전선(1)들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선(1)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에 전선 삽입홀(11L)(11R)이 대향되게 형성된 커플링본체(10)와, 이 커플링본체(10)의 상부에 끼워져 결합되는 덮개(20)와, 이 덮개(20)의 내부에 중앙부위가 고정 배치되며 양측 단부가 커플링본체(10)의 상부를 관통하여 전선 삽입홀(11L)(11R)을 직교하는 방향으로 삽입되는 도전체 연결핀(30)와, 이 덮개(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홈(13a)(13b) 및 걸림턱(21a)(21b)을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커플링본체(1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선 커플링장치의 외형을 이루도록 합성수지를 원료로 대략 직육면체 블록 형태로 성형되며, 이의 양측 단부에는 전선(1)의 단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내측 중앙부위를 향해 연장된 한쌍의 전선 삽입홀(11L)(11R)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다. 이 전선 삽입홀(11L)(11R)들은 대략 커플링본체(10)의 내측 중앙부위까지 이웃하도록 연장되어 있는데, 이는 전선(1)의 단부가 커플링본체(10) 내측으로 삽입되는 정도를 동일하 게 맞추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전선 삽입홀(11L)(11R)들이 천공된 커플링본체(10)의 양측 벽면에는 사각형태로 오목하게 함몰된 패킹홈(12)이 각각 마련되며, 이 패킹홈(12)에는 전선 삽입홀(11L)(11R)로의 수분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연질(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실리콘 재질로 구성함)의 패킹플레이트(40)가 배치되어 있다. 이 패킹플레이트(40)에는 전선 삽입홀(11L)(11R)과 일치되게 전선 관통홀(41)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전선(1)은 패킹플레이트(40)의 전선 관통홀(41)을 관통하여 밀착되면서 전선 삽입홀(11L)(11R)에 삽입됨으로써, 전선(1) 삽입이 완료되게 되면 전선 삽입홀(11L)(11R)로의 수분침투가 방지되게 된다.
또한, 커플링본체(10)의 상면에는 덮개-안착홈(13)이 오목하게 함몰 성형되어 있으며, 이 덮개-안착홈(13)의 바닥으로는 전선 삽입홀(11L)(11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통되게 피어싱-홀(14L)(14R)(piercing hole)이 양측에 천공되어 있다. 또한, 피어싱-홀(14L)(14R) 역시 덮개-안착홈(13)의 바닥 양측에 한 쌍으로 천공되는데, 이 피어싱-홀(14L)(14R)들의 상부는 내경(內徑)이 확장된 시일링-홀(15a)로 이루어져 있다. 이 시일링-홀(15a)은 후술하는 시일링비드(23)가 끼워져 수분침투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덮개-안착홈(13)의 벽면에는 덮개(20)의 결합 시 결합을 허용하며 결합 후에는 덮개(20)의 걸림턱(21a)(21b)이 각각 걸리도록 복원되어 덮개(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한 쌍의 걸림홈(13a)(13b)이 형성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덮개(20)는 커플링본체(10)의 안착홈(13)에 안 착 결합되는 것으로; 이의 벽면 양측으로는 한 쌍의 걸림턱(21a)(21b)이 상호 대향되게 돌출 성형되어 있다. 이 걸림턱(21a)(21b)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덮개(20)의 안착 결합 시 덮개-안착홈(13)의 벽면에 형성된 걸림홈(13a)(13b)들에 각각 걸려 덮개(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덮개(20)의 양측으로 상호 대향되게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도전체 연결핀(30)은 덮개(20)에 고정 배치되는 것으로, 이것은 "ㄷ" 형태로 밴딩된 도전체 핀으로 양측 단부는 송곳과 같이 날카롭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도전체 연결핀(30)은 중앙부위가 덮개(20)의 내부에 고정 배치되며, 송곳형태로 이루어진 양측 단부(31a)(31b)는 덮개(20)의 바닥 아래측으로 돌출되어 피어싱-홀(14L)(14R)들을 통해 전선 삽입홀(11L)(11R)에 각각 삽입되어 전선(1)들의 단부를 피어싱 연결하게 된다. 이러한 도전체 연결핀(30)은 덮개(20)의 사출 성형 시 금형에 인서트(insert) 배치됨으로써, 덮개(20)와 일체로 구성되게 된다. 또한, 덮개(20)의 바닥에는 도전체 연결핀(30)의 양단부(31a)(31b) 상측을 감싸면서 피어싱-홀(14L)(14R)의 시일링-홀(15a)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시일링비드(23)가 돌출되게 마련되어 있다.
한편, 덮개-안착홈(13)의 바닥 중앙부위에는 가이드-홀(16)이 천공되어 있으며, 덮개(20)의 바닥 중앙부위에는 가이드-홀(16)에 끼워져 결합되어 덮개(20)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핀(22)이 일체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가이드-홀(16)의 저부에는 덮개(20)의 가조립 시 가이드핀(22)의 하단을 지지하여 커플링본체(10)의 상부에 덮개(20)를 가조립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지지부(17)가 형성되 어 있다. 이러한 지지부(17)는 덮개(20)를 가압하여 내리 누르면, 가이드핀(22)에 의해 밀려서 떨어져 나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부(17)에 의해 덮개(20)는 커플링본체(10) 상부에 가조립 상태로 유지되게 되며, 이러한 덮개(20)의 가조립 상태에서는 연결핀(30)의 양측 단부(31a)(31b)가 피어싱홀(14L)(14R)에만 삽입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전선 삽입홀(11L)(11R)로의 전선(1) 삽입은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전선연결 작업과정 및 효과 설명>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장치를 통한 전선 연결과정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20)의 가이드핀(22)이 가이드-홀(16) 저부의 지지부(17)에 걸린 상태에서는 덮개(20)가 커플링본체(10)의 덮개-안착홈(13) 상부에 가조립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도전체 연결핀(30)의 양측 끝단은 피어싱-홀(14L)(14R) 내부에 위치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1)을 패킹플레이트(40)의 전선 관통홀(41)을 통해 전선 삽입홀(11L)(11R)에 각각 완전하게 삽입한다(도 5의 화살표 방향 참조). 이때, 전선 삽입홀(11L)(11R)들은 커플링본체(10)의 양측에서 중앙부위를 향해 대향되게 천공되어 있기 때문에, 연결하고자 하는 전선(1)들의 삽입 정도는 동일하다.
또한, 전선 삽입홀(11L)(11R)로 삽입되는 전선(1)은 패킹플레이트(40)를 밀착되면서 관통하기 때문에, 전선(1) 삽입이 완료되면 전선 삽입홀(11L)(11R)로의 수분침투가 방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덮개(20)를 하측으로 강하게 내리누르면(도 6의 화살표 방향 참조), 피어싱-홀(14L)(14R)내에 위치된 도전체 연결핀(30)의 양측 단부(31a)(31b)가 각각 전선(1)들을 피어싱(piercing)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즉, 도전체 연결핀(30)의 단부(31a)(31b)가 전선(1)들의 단부를 각각 피어싱하면서 관통하면, 단락된 양측의 전선(1)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아울러, 덮개(20)가 아래측으로 내려옴에 따라 덮개-안착홈(13)의 양측 벽면은 바깥측으로 변형되어 이의 결합을 허용하며, 결합 후에는 복원되어 덮개(20) 양측의 걸림턱(21a)(21b)이 덮개-안착홈(13) 벽면의 걸림홈(13a)(13b)에 각각 걸림으로써 덮개(20)의 이탈을 방지한다.
또한, 걸림턱(21a)(21b)과 걸림홈(13a)(13b)을 통해 덮개(20)가 덮개-안착홈(13)에 완전하게 수용 결합되면, 연결핀(30)의 양단부 상측을 감싸는 시일링비드(23)는 피어싱-홀(14L)(14R)들의 시일링-홀(15a)에 각각 견실하게 끼우져 결합된다. 이에 따라 덮개(20) 내측으로의 수분침투를 완전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덮개(20)가 덮개-안착홈(13)에 완전하게 결합되며, 가이드핀(22) 역시 보다 하측으로 내려와 가이드-홀(16) 저부에 마련된 지지부(17)를 떨어뜨리면서 관통하는데, 이와 같이 구성함에 따라 덮개(20)를 커플링본체(10) 상부에 가조립한 상태로 이동 및 유통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선(1) 연결작업의 역순으로 커플링본체(10) 저부에서 가이드핀(22) 끝단을 상측을 향해 강제로 밀어 올리면 덮개(20)가 덮개-안착홈(13)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됨으로써, 전선(1)을 커플링본체(10)로부터 빼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전선 커플링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 - Ⅲ선에 따른 단면도로,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장치의 분해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플링본체와 덮개의 가조립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 커플링장치를 통한 전선 연결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커플링본체 11L,11R..전선 삽입홀
13..덮개-안착홈 14L,14R..피어싱홀
16..가이드홀 17.지지부
20..덮개 21a,21b..걸림턱
22..가이드핀 23..시일링비드
30..도전체 연결핀 40..패킹플레이트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전선(1)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기 위한 전선 커플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선 커플링장치는;
    전선(1)의 단부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 단부에는 내측 중앙부위까지 연장된 전선 삽입홀(11L)(11R)이 대향되게 형성되며, 상면에는 덮개-안착홈(13)이 오목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덮개-안착홈(13)의 바닥 양측으로는 상기 전선 삽입홀(11L)(11R)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통되게 피어싱-홀(14L)(14R)이 각각 천공되고, 상기 덮개-안착홈(13)의 바닥 중앙부위에는 가이드-홀(16)이 천공된 블록 형태의 커플링본체(10)와;
    상기 커플링본체(10)의 덮개-안착홈(13)에 안착 결합되며, 벽면 양측으로는 돌출되게 걸림턱(21a)(21b)이 마련되며, 상기 덮개-안착홈(13)으로의 결합을 가이드하도록 바닥 중앙에는 상기 커플링본체(10)의 가이드-홀(16)에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핀(22)이 일체로 마련된 덮개(20)와;
    상기 덮개(20)의 걸림턱(21a)(21b)과 대응되는 상기 덮개-안착홈(13)의 벽면에 마련되며, 상기 덮개(20)의 결합 시 변형되어 결합을 허용하며 결합 후 상기 걸림턱(21a)(21b)이 걸리도록 복원되어 상기 덮개(20)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홈(13a)(13b)과;
    상기 덮개(20)의 내부에 중앙부위가 고정 배치되며, 송곳형태로 이루어진 양측 단부(31a)(31b)가 상기 덮개(20)의 바닥 아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덮개(20)의 안착 결합 시 상기 피어싱-홀(14L)(14R)들을 통해 상기 전선 삽입홈(11L)(11R)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전선(1)들의 단부를 피어싱 연결하는 도전체 연결핀(30)과;
    상기 커플링본체(10)의 가이드-홀(16) 저부에 형성되어 상기 커플링본체(10)의 상부에서 상기 덮개(20)가 가조립 상태로 유지되도록 상기 가이드핀(22)의 하단을 지지하며, 상기 덮개(20)를 가압하여 내리 누르면 상기 가이드핀(22)에 의해 떨어져 나가는 지지부(1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커플링장치.
KR1020080106206A 2008-10-29 2008-10-29 전선 커플링장치 KR100889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206A KR100889833B1 (ko) 2008-10-29 2008-10-29 전선 커플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206A KR100889833B1 (ko) 2008-10-29 2008-10-29 전선 커플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9833B1 true KR100889833B1 (ko) 2009-03-23

Family

ID=4069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206A KR100889833B1 (ko) 2008-10-29 2008-10-29 전선 커플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98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682B1 (ko) * 2011-02-14 2012-05-09 주식회사 케피코 커넥터 구조
CN111755853A (zh) * 2020-07-03 2020-10-09 昆明富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大数据模块化网络的多功能布线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4699A (ko) * 1987-05-28 1988-12-24 최창묵 전선 연결장치(캡)
KR200142801Y1 (ko) 1996-02-16 1999-06-01 이의근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020003739A (ko) * 2000-07-01 2002-01-15 임형택 테이프식 전선 및 이의 연결기
JP2004235095A (ja) * 2003-01-31 2004-08-19 Riso Kagaku Corp 線材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14699A (ko) * 1987-05-28 1988-12-24 최창묵 전선 연결장치(캡)
KR200142801Y1 (ko) 1996-02-16 1999-06-01 이의근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KR20020003739A (ko) * 2000-07-01 2002-01-15 임형택 테이프식 전선 및 이의 연결기
JP2004235095A (ja) * 2003-01-31 2004-08-19 Riso Kagaku Corp 線材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3682B1 (ko) * 2011-02-14 2012-05-09 주식회사 케피코 커넥터 구조
CN111755853A (zh) * 2020-07-03 2020-10-09 昆明富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大数据模块化网络的多功能布线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6318B1 (ko) 전기 도전체를 접촉시키기 위한 터미널
EP1992048B1 (en) Connector cover with fastener
US4148540A (en) Electrical coupling devices
US11509105B2 (en) Connector with separable lacing fixture
JP2013182889A (ja) キャップ本体絶縁圧接コネクタ
JPH04500743A (ja) 一体的に張力を解放する電気的接続装置
JP2012015114A (ja) 圧接コネクタ
JP2011060770A (ja) 蓋付き絶縁圧接端子コネクタ
JPS643032B2 (ko)
US20070232124A1 (en) Pressure Coupling Connector
EP1769566B1 (en) Device for electrical connection of discontinuous conductors
US9231314B2 (en)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using
KR100889833B1 (ko) 전선 커플링장치
US20020031937A1 (en) Cable connector
US4725247A (en) Cable splicing assembly
KR100787483B1 (ko) 압접 결선용 커넥터
JP2017508256A (ja) 少なくとも1つのサージ保護ユニットを備えたサージ保護装置
KR20100030934A (ko) 전선 커플링장치
KR20090001582U (ko) 스플라이스 조인트 터미널의 구조
US930005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pair of cable arranging bases
KR20210089844A (ko) 2극 전선 연결 커넥터
KR100549788B1 (ko) 차량용 커넥터 조립체
KR100911084B1 (ko) 방수 커넥터
JP2008166136A (ja) 接続部材及び該部材を用いたハーネス接続体
KR200164243Y1 (ko) 형광등용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