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2547A - 유리 필름 적층체, 상기 적층체의 유리 롤, 유리 필름의 끝면 보호방법, 및 유리 롤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리 필름 적층체, 상기 적층체의 유리 롤, 유리 필름의 끝면 보호방법, 및 유리 롤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32547A
KR20110132547A KR1020117010517A KR20117010517A KR20110132547A KR 20110132547 A KR20110132547 A KR 20110132547A KR 1020117010517 A KR1020117010517 A KR 1020117010517A KR 20117010517 A KR20117010517 A KR 20117010517A KR 20110132547 A KR20110132547 A KR 20110132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film
glass
sheet
support sheet
protectiv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0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8647B1 (ko
Inventor
타카히데 나카무라
코이치 모리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32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2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17/00Forming molten glass by flowing-out, pushing-out, extruding or drawing downwardly or laterally from forming slits or by overflowing over lips
    • C03B17/06Forming glass sheets
    • C03B17/064Forming glass sheets by the overflow downdraw fusion process; Isopipe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Sheet including cover or casing
    • Y10T428/239Complete cover or cas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752Laterally noncoextensive compon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urface Treatment Of Glass (AREA)

Abstract

유리 필름(2)과, 상기 유리 필름의 한쪽 면에 상기 유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적층된 지지 시트(3)와, 상기 유리 필름의 다른쪽 면에 상기 유리 필름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보호 시트(4)를 갖는 유리 필름 적층체(1), 및 상기 적층체를 권취한 유리 롤(5)로 한다.

Description

유리 필름 적층체, 상기 적층체의 유리 롤, 유리 필름의 끝면 보호방법, 및 유리 롤의 제조방법{GLASS FILM LAMINATE, GLASS ROLL OF THE LAMINATE, METHOD FOR PROTECTING EDGE FACE OF GLASS FILM, AND METHOD FOR PRODUCING GLASS ROLL}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이나 태양 전지의 유리 기판 등의 디바이스의 유리 기판, 및 유기 EL 조명의 커버 유리 등에 사용되는 유리 필름을 지지 시트에 의해 지지한 유리 필름 적층체, 상기 적층체의 유리 롤, 유리 필름의 끝면 보호방법, 및 유리 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간 절약화의 관점으로부터 종래 보급되고 있었던 CRT형 디스플레이 대신에 최근은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필드에미션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가 보급되고 있다. 이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더나은 박형화가 요구된다. 특히, 유기 EL 디스플레이에는 폴딩이나 권취하는 것에 의해 운반을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평면 뿐만 아니라 곡면에도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평면 뿐만 아니라 곡면에도 사용 가능하게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는 것은 디스플레이에는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자동차의 차체 표면이나 건축물의 지붕, 기둥이나 외벽 등, 곡면을 갖는 물체의 표면에 태양 전지를 형성하거나, 유기 EL 조명을 형성하거나 할 수 있으면 그 용도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들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기판이나 커버 유리에는 더나은 박판화와 높은 가요성이 요구된다.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발광체는 산소 등의 기체가 접촉함으로써 열화된다. 따라서 유기 EL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기판에는 높은 가스 배리어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유리 기판을 사용하는 것이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기판에 사용되는 유리는 수지 필름과 달리 인장 응력에 약하기 때문에 가요성이 낮아 유리 기판을 구부림으로써 유리 기판 표면에 인장 응력이 가해지면 파손에 이른다. 유리 기판에 가요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초박판화를 행할 필요가 있고,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두께 200㎛ 이하의 유리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나 태양 전지 등의 전자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에는 투명도전막 등의 막형성 처리나, 세정 처리 등, 여러 가지 전자 디바이스 제조 관련의 처리가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들 전자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의 필름화를 행하면 유리는 취성 재료이기 때문에 다소의 응력 변화에 의해 파손에 이르고, 상술한 각종 전자 디바이스 제조 관련 처리를 행할 때에 취급이 매우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유리 필름의 취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유리 시트와 수지층의 적층체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수지층이 접착제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형성한 후, 유리 필름을 적층한 적층체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적층체에 있어서는 유리 필름이 인성 재료인 수지 필름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상술한 여러 가지 제조 관련 처리를 행할 때에 유리 필름 적층체의 취급이 유리 필름 단독의 경우와 비교해서 용이하게 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적층체를 핸들링할 때에 유리 필름 가장자리부로부터 크랙이 들어가서 균열이나 깎임 등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유리 필름 성형시의 불필요 부분을 절단 제거하기 위해서 유리 필름 가장자리부에는 불필요 부분의 절단, 제거시의 미세한 상처가 잔존하게 된다. 유리 필름의 핸들링시에 유리 필름의 가장자리부에 응력이 작용하면 상기 미세한 상처를 원인으로 해서 균열이나 깎임 등이 생기게 된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리 필름의 편면에 수지층을 적층한 것만으로는 상기 균열이나 깎임 등을 방지할 수는 없다.
일본 특허공개 2008-133174호 공보 일본 특허공개 2001-97733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유리 필름 가장자리부로부터 균열이나 깎임 등이 생기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유리 필름에 대하여 제조 관련 처리를 행할 때의 취급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상기 적층체의 유리 롤, 유리 필름의 끝면 보호방법, 및 유리 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은 유리 필름과, 상기 유리 필름의 한쪽 면에 상기 유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적층된 지지 시트와, 상기 유리 필름의 다른쪽 면에 상기 유리 필름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보호 시트를 갖는 유리 필름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은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는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은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시트의 점착력은 0.002∼2.00N/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시트의 두께는 3∼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의 두께는 3∼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지지 시트의 점착 부분을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7에 의한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지지 시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8에 의한 발명은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유리 필름 적층체를 권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9에 의한 발명은 유리 필름의 한쪽 면에 유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고 점착성인 지지 시트를 적층하고, 상기 유리 필름의 다른쪽 면에 상기 유리 필름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지지 시트를 덮도록 박리 가능하게 보호 시트를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끝면 보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청구항 10에 의한 발명은 유리 필름의 한쪽 면에 상기 유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고 점착성인 지지 시트를 적층하고, 상기 유리 필름의 다른쪽 면에 상기 유리 필름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지지 시트의 점착 부분을 덮도록 박리 가능하게 보호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제작된 유리 필름 적층체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유리 필름과, 유리 필름의 한쪽 면에 유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적층된 지지 시트와, 유리 필름의 다른쪽 면에 유리 필름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보호 시트를 갖는 유리 필름 적층체로 하기 때문에 유리 필름 가장자리부를 지지 시트와 보호 시트에 의하여 협착함으로써 보호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리 필름 가장자리부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리 필름 끝면에 잔존하는 미세한 상처 등을 원인으로 해서 유리 필름에 균열이나 깎임 등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유리 필름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유리 필름의 두께가 300㎛ 이하이기 때문에 보다 핸들링이 곤란하고, 또한 균열이나 깎임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쉬운 초박육의 유리 필름에 있어서도 제조 관련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지지 시트의 접착력은 0.002∼2.00N/25㎜이기 때문에 지지 시트가 약점착성이기 때문에 보호 시트를 박리한 후에 용이하게 지지 시트를 유리 필름으로부터 박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제조 관련 처리 후에 유리 필름 적층체로부터 지지 시트를 용이하게 박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리 필름만을 각종 디바이스 등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지지 시트의 두께는 3∼250㎛이므로 유리 필름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보호 시트의 두께는 3∼250㎛이므로 유리 필름과 지지 시트를 적절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6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보호 시트는 지지 시트의 점착 부분을 덮고 있기 때문에 지지 시트의 점착 부분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이나, 유리 필름의 핸들링시에 지지 시트가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보호 시트는 지지 시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이므로 유리 필름과 지지 시트 점착면의 양쪽을 보호 시트로 완전하게 덮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에 의해, 지지 시트의 점착 부분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이나, 유리 필름의 핸들링시에 지지 시트가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리 필름의 핸들링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리 필름을 보호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6 또는 7에 기재된 유리 필름 적층체를 권취한 유리 롤로 하기 때문에, 유리 필름 가장자리부에 특히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유리 롤을 제작했다고 해도 유리 필름에 대한 균열이나 깎임 등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권취할 수 있다. 지지 시트의 점착면은 보호 시트에 의해 덮여져 있기 때문에 유리 필름 적층체를 권취하여 유리 롤로 했다고 해도 내층과 외층의 지지 시트끼리가 겹쳐서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권취시의 휨의 원인을 해소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리 필름 적층체를 권취하여 유리 롤로 할 때에 휨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권취하기 쉬워지고, 어긋남이 생겼다고 해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유리 필름의 한쪽 면에 유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고 점착성인 지지 시트를 적층하고, 유리 필름의 다른쪽 면에 유리 필름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박리 가능하게 보호 시트를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끝면 보호방법으로 하기 때문에, 특히 균열이나 크랙 등이 생기기 쉬운 유리 필름의 끝면을 적절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10에 의한 발명에 의하면, 유리 필름의 한쪽 면에 유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고 점착성인 지지 시트를 적층하고, 유리 필름의 다른쪽 면에 상기 유리 필름의 가장자리부와 지지 시트의 점착 부분을 덮도록 박리 가능하게 보호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제작된 유리 필름 적층체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제조방법으로 하기 때문에, 유리 필름에 균열이나 깎임이 없고, 권취시의 어긋남도 생기지 않는 깨끗하게 권취된 유리 롤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a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제 1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는 유리 필름 제조장치의 설명도이다.
도 3은 지지 시트와 보호 시트에 박리 개시부를 설치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제 2 실시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롤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 및 상기 유리 필름 적층체의 유리 롤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필름(2)과 지지 유리(3)와 보호 필름(4)을 갖고 있다.
유리 필름(2)은 규산염 유리가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실리카 유리, 붕규산 유리가 사용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무알칼리 붕규산 유리가 사용된다. 유리 필름(2)에 알칼리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면 표면에 있어서 양이온의 치환이 발생하고, 소위 소다 분출의 현상이 생겨서 구조적으로 거칠어진다. 이 경우, 유리 필름(2)을 만곡시켜서 사용하고 있으면 경년 열화에 의해 거칠어진 부분으로부터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무알칼리 붕규산 유리란 알칼리 성분이 실질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은 유리이며,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성분이 1000ppm 이하인 유리이다. 본 발명에서의 알칼리 성분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성분이 500ppm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성분이 300ppm 이하이다.
유리 필름(2)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3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200㎛, 가장 바람직하게는 5㎛∼100㎛이다. 이것에 의해, 유리 필름(2)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하고, 적절한 가요성을 부여할 수 있음과 아울러 균열이나 깎임 등의 문제가 생기기 쉬운 초박육의 유리 필름에 있어서도 제조 관련 처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5㎛ 미만이면 유리 필름(2)의 강도가 부족해지는 경향으로 되어 유리 필름 적층체(1)부터 유리 필름(2)을 박리하여 디바이스에 장착할 때에 파손을 초래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리 필름(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은 성형시에 유리판의 양면이 성형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성형법이며, 얻어진 유리판의 양면(투광면)에는 상처가 생기기 어렵고, 연마하지 않아도 높은 표면 품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단면이 쐐기형인 성형체(6)의 하단부(61)부터 유하한 직후의 유리 리본(G)은 냉각 롤러(7)에 의해 폭방향의 수축이 규제되면서 아랫쪽으로 잡아 늘려져서 소정의 두께까지 얇아진다. 이어서, 상기 소정 두께에 도달한 유리 리본(G)을 서냉로(어닐러)에서 서서히 냉각하여 유리 리본(G)의 열왜곡을 없애고, 유리 리본(G)을 소정 치수로 절단해서 유리 필름(2)이 성형된다.
지지 시트(3)는, 도 1에 나타내지는 바와 같이, 유리 필름(2)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적층된다. 돌출량은 유리 필름(2)의 가장자리부(21)로부터 0.1㎝∼50㎝인 것이 바람직하고, 0.5∼1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돌출량이 0.1㎝ 미만이면 가장자리부(21)의 보호가 부족해지는 경향의 가능성이 있고, 한편, 50㎝를 초과하면 핸들링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지지 시트(3)는 핸들링성의 향상을 위해서 가요성을 갖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일론, 셀로판, 실리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독립 기포형 발포 수지를 사용해도 좋다. 즉 지지 시트(3)를 발포 수지로 함으로써 지지 시트(3)에 높은 가요성이 부여된다. 또한 독립 기포형 발포 수지로 함으로써 지지 시트(3)를 통과해서 분위기의 진애가 유리 필름(2)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유리 필름 적층체(1)로부터 지지 시트(3)를 박리한 유리 필름(2)을 전자 디바이스 등에 사용할 경우, 적층하는 지지 시트(3)의 색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착색을 행하지 않고 무색이어도 좋고, 또한 유리 필름 적층체(1)로부터 지지 시트(3)가 박리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지지 시트(3)를 백색, 흑색, 청색, 녹색, 황색 등 착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지지 시트(3)의 투광성에 대해서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투명, 반투명, 불투명 등 어느 것이어도 좋다.
지지 시트(3)의 두께로서는 3∼2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유리 필름(2)을 확실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지 시트(3)의 두께가 3㎛ 미만이면 지지 시트(3)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음으로써, 또한 지지 시트(3)가 250㎛를 초과하면 유리 필름 적층체(1) 전체가 지나치게 두꺼움으로써 유리 필름 적층체(1)를 핸들링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디바이스에 장착할 때에 지지 시트(3)를 최종적으로 박리할 경우에는, 지지 시트(3)에 도전성 물질을 함유시키거나, 표면에 도전막이 성막되거나 해서 도전성이 부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리 필름 적층체(1)로부터 지지 시트(3)를 박리시킬 때에 유리 필름(2)과 지지 시트(3) 사이에서 보이는 박리 대전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박리 후의 유리 필름(2)에 분위기의 진애 등이 쿨롱력 등에 의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시트(3)에는 점착성을 부여해도 좋고, 그 경우의 지지 시트(3)의 접착력은 바람직하게는 0.002∼2.00N/2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2∼1.00N/25㎜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0.005∼0.9N/25㎜이다. 지지 시트(3)가 약점착성이기 때문에 보호 시트(4)를 박리한 후에 용이하게 지지 시트(3)를 유리 필름(2)으로부터 박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이것에 의해, 제조 관련 처리 후에 유리 필름 적층체(1)로부터 지지 시트(3)를 용이하게 박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리 필름(2)만을 각종 디바이스 등에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0.002N/25㎜ 미만이면 지지 시트(3)의 점착력이 부족해지는 경향으로 될 가능성이 있고, 2.00N/25㎜를 초과하면 보호 시트(4)를 박리시키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이 경우 통상은 점착성을 지지 시트(3)의 전면에 부여시키지만, 반드시 지지 시트(3)의 전면에 부여시킬 필요는 없고, 유리 필름(2)과의 부착면에만 부여시켜도 좋다. 또한, 보호 시트(4)와의 맞붙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유리 필름(2)과의 부착면보다 한층 크게 부여시켜도 좋다.
보호 시트(4)는 유리 필름(2)의 다른쪽 면[지지 시트(3)가 접촉되어 있지 않은 면]에 유리 필름(2)의 가장자리부(21)를 덮도록 박리 가능하게 적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유리 필름 가장자리부(21)를 지지 시트(3)와 보호 시트(4)로 협착함으로써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유리 필름 가장자리부(21)에 응력이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유리 필름 끝면에 잔존하는 미세한 상처 등을 원인으로 해서 유리 필름(2)에 균열이나 깎임 등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유리 필름(2)의 취급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호 시트(4)는 핸들링성의 향상을 위해서 가요성을 갖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스티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나일론, 셀로판, 실리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독립 기포형 발포 수지를 사용해도 좋다. 즉, 보호 시트(4)를 발포 수지로 함으로써 보호 시트(4)에 높은 가요성이 부여된다. 또한 독립 기포형 발포 수지로 함으로써 보호 시트(4)를 통과해서 분위기의 진애가 유리 필름(2)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 시트(4)는 최종적으로 박리 제거되기 때문에 색은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착색을 행하지 않고 무색이어도 좋고, 또한 유리 필름 적층체(1)로부터 보호 시트(4)가 박리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보호 시트(4)를 백색, 흑색, 청색, 녹색, 황색 등, 착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보호 시트(4)의 투광성에 대해서도 특별하게 한정되지 않고, 투명, 반투명, 불투명 등, 어느 것이어도 좋다.
보호 시트(4)의 두께로서는 3∼2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유리 필름(2)과 지지 시트(3)를 적절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호 시트(4)의 두께가 3㎛ 미만이면 보호 시트(4)의 두께가 지나치게 얇음으로써, 또한 보호 시트(4)가 250㎛를 초과하면 유리 필름 적층체(1) 전체가 지나치게 두꺼움으로써 유리 필름 적층체(1)를 적절하게 보호하기 어려워질 가능성이 있다.
보호 시트(4)는 지지 시트(3)의 점착 부분을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지지 시트(3)의 점착 부분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이나, 유리 필름(2)의 핸들링시에 지지 시트(3)가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지지 시트(3)의 전면에 점착성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호 시트(4)는 유리 필름(2)으로부터 돌출된 지지 시트(3)의 전면을 덮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지지 시트(3)의 일부에 점착성이 부여되어 있는 경우에는 보호 시트(4)는 적어도 해당 점착성이 부여되어 있는 부분을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 시트(4)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시트(3)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유리 필름(2)과 지지 시트(3)의 표면을 보호 시트(4)로 완전하게 덮는 것이 가능해진다. 지지 시트(3)의 점착 부분이 노출되어 있는 것에 기인하는 지지 시트(3)의 점착 부분에 먼지 등이 부착되는 것이나, 유리 필름(2)의 핸들링시에 지지 시트(3)가 다른 부재에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유리 필름(2)의 핸들링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유리 필름(2)을 보호할 수 있다.
도 3은 지지 시트와 보호 시트에 박리 개시부를 설치한 도면이다.
지지 시트(3)와 보호 시트(4)에는 각각 근방에 박리 개시부(31)(41)를 유리 필름 적층체(1)로부터 최대부로 1㎝정도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지지 시트(3)에 설치된 박리 개시부(31)와 보호 시트(4)에 설치된 박리 개시부(41)를 각각 단독으로 파지하고, 이반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지지 시트(3)와 보호 시트(4)를 박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의 제 2 실시형태의 도면으로서, 도 4a는 평면도, 도 4b는 B-B선 단면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유리 필름 적층체(1)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 시트(4)는 지지 시트(3)의 점착면과 유리 필름 가장자리부(21)의 근방만을 덮고, 유리 필름(2)의 유효면은 보호 시트(4)에 덮여져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보호 시트(4)에 의해 유리 필름의 가장자리부(21)를 보호하고, 유리 필름(2)에 균열이나 깎임 등이 발생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유리 필름(2)의 취급성을 향상시키면서 유리 필름(2)의 유효면에 대하여 막형성이나 패터닝 등의 제조 관련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롤의 도면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리 롤(5)은 상술한 유리 필름 적층체(1)를 권취함으로써 형성된다. 이것에 의해, 유리 필름 가장자리부(21)에 특히 응력이 집중하기 쉬운 유리 롤(5)을 제작했다고 해도, 유리 필름(2)에 대한 균열이나 깎임 등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권취할 수 있다.
지지 시트(3)는 보호 시트(4)에 의해 점착면이 덮여져 있기 때문에, 유리 필름 적층체(1)를 권취해서 유리 롤(5)로 했다고 해도 권취함으로써 2중 3중으로 된 지지 시트(3)끼리가 서로 겹쳐서 점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권취시의 휨의 원인을 해소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유리 필름 적층체(1)를 권취할 때에 휨을 흡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권취하기 쉬워지고, 어긋남이 생겼다고 해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으며,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면서 권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핸들링이나 권취가 용이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 관련 처리를 행할 때에 롤 투 롤 공정에 용이하게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나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나 태양 전지 등의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유리 기판, 및 유기 EL 조명의 커버 유리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1 : 유리 필름 적층체 2 : 유리 필름
21 : 가장자리부 3 : 지지 시트
4 : 보호 시트 5 : 유리 롤

Claims (10)

  1. 유리 필름과,
    상기 유리 필름의 한쪽 면에 상기 유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어서 적층된 지지 시트와,
    상기 유리 필름의 다른쪽 면에 상기 유리 필름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박리 가능하게 적층된 보호 시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필름의 두께는 30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시트의 점착력은 0.002∼2.00N/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시트의 두께는 3∼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의 두께는 3∼2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지지 시트의 점착 부분을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시트는 상기 지지 시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 적층체.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기재된 유리 필름 적층체를 권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
  9. 유리 필름의 한쪽 면에 유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고 점착성인 지지 시트를 적층하고, 상기 유리 필름의 다른쪽 면에 상기 유리 필름의 가장자리부를 덮도록 박리 가능하게 보호 시트를 적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필름의 끝면 보호방법.
  10. 유리 필름의 한쪽 면에 상기 유리 필름으로부터 돌출되고 점착성인 지지 시트를 적층하고, 상기 유리 필름의 다른쪽 면에 상기 유리 필름의 가장자리부와 상기 지지 시트의 점착 부분을 덮도록 박리 가능하게 보호 시트를 적층함으로써 제작된 유리 필름 적층체를 권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롤의 제조방법.
KR1020117010517A 2009-03-26 2010-02-23 유리 필름 적층체, 상기 적층체의 유리 롤, 유리 필름의 끝면 보호방법, 및 유리 롤의 제조방법 KR101618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075986 2009-03-26
JP2009075986A JP5510880B2 (ja) 2009-03-26 2009-03-26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該積層体の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2547A true KR20110132547A (ko) 2011-12-08
KR101618647B1 KR101618647B1 (ko) 2016-05-09

Family

ID=42780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0517A KR101618647B1 (ko) 2009-03-26 2010-02-23 유리 필름 적층체, 상기 적층체의 유리 롤, 유리 필름의 끝면 보호방법, 및 유리 롤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304058B2 (ko)
JP (1) JP5510880B2 (ko)
KR (1) KR101618647B1 (ko)
CN (1) CN102271909B (ko)
DE (1) DE112010001334B4 (ko)
TW (1) TWI465335B (ko)
WO (1) WO2010110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23548A1 (en) * 2009-07-29 2011-02-03 Garner Sean M Glass substrate comprising an edge web portion
JP2011121320A (ja) * 2009-12-11 2011-06-2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該積層体の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TWI565646B (zh) * 2010-11-30 2017-01-11 康寧公司 藉由張緊交插材料捲繞玻璃帶
KR101069642B1 (ko) * 2011-02-16 2011-10-04 이학철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보호필름
US20120255672A1 (en) * 2011-04-11 2012-10-11 Marshall Dale 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pplying a handling tab to continuous glass ribbons
JP5704450B2 (ja) * 2011-04-13 2015-04-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JP5704453B2 (ja) * 2011-04-22 2015-04-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カラーフィルタ用の画素付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5849492B2 (ja) * 2011-07-25 2016-01-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JP5737625B2 (ja) * 2011-08-04 2015-06-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ロール、カラーフィルタ用画素付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US9428359B2 (en) * 2011-11-30 2016-08-30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veying flexible glass substrates
JP5987312B2 (ja) * 2011-12-16 2016-09-07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成膜装置及び膜付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US20130196163A1 (en) * 2012-01-31 2013-08-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mposite glass laminate and web processing apparatus
CN104428134B (zh) * 2012-07-02 2017-09-01 康宁股份有限公司 对玻璃基材进行加工的方法和玻璃设备
US9216924B2 (en) * 2012-11-09 2015-12-22 Corning Incorporated Methods of processing a glass ribbon
JP6086773B2 (ja) 2013-03-21 2017-03-01 日東電工株式会社 薄ガラス長尺体
JP6119511B2 (ja) * 2013-08-27 2017-04-26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梱包体
EP3180188A4 (en) * 2014-08-15 2018-08-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Glass and polymer film assemblies and methods of making
DE102014221245A1 (de) 2014-10-20 2016-04-21 Tesa Se Dünnglasfolienverbundbahn mit Versteifungsstreifen
KR102483097B1 (ko) * 2015-03-09 2022-12-30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DE102015106050A1 (de) 2015-04-21 2016-10-27 Schott Ag Glasrolle, Erzeugnis mit einer Glasroll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JP6806075B2 (ja) 2015-10-20 2021-01-06 Agc株式会社 ガラス−樹脂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EP3527521B1 (en) * 2016-10-17 2021-03-03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Glass roll
JP6839419B2 (ja) * 2017-07-31 2021-03-1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製造方法
CN111670393A (zh) * 2018-01-31 2020-09-15 日东电工株式会社 光学层叠体辊
JP7192753B2 (ja) * 2019-12-09 2022-12-2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ロール
CN112937012A (zh) * 2021-01-18 2021-06-11 江苏新澄瑞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柔性盖板及其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47A (ja) * 1988-02-15 1990-01-05 Tomoegawa Paper Co Ltd 半導体デバイス用ガラスキャップの包装体
JP3395538B2 (ja) * 1996-09-17 2003-04-14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耐衝撃ガラス
JP4326635B2 (ja) 1999-09-29 2009-09-09 三菱樹脂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の取扱い方法及びガラス積層体
JP4250276B2 (ja) * 1999-10-20 2009-04-08 三菱樹脂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971139B2 (ja) * 2001-08-02 2007-09-05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体
JP4982976B2 (ja) * 2005-06-29 2012-07-25 住友化学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基板の製造方法及びディスプレイ素子
JP4882535B2 (ja) * 2006-06-16 2012-02-22 旭硝子株式会社 機能性ガラス体
JP5177790B2 (ja) 2006-10-24 2013-04-10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リボンの製造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343862B2 (ja) 2008-01-25 2013-11-13 旭硝子株式会社 ガラス樹脂複合体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260964A1 (en) 2010-10-14
CN102271909B (zh) 2014-06-11
US8304058B2 (en) 2012-11-06
JP5510880B2 (ja) 2014-06-04
WO2010110002A1 (ja) 2010-09-30
JP2010228166A (ja) 2010-10-14
TWI465335B (zh) 2014-12-21
KR101618647B1 (ko) 2016-05-09
TW201038398A (en) 2010-11-01
DE112010001334B4 (de) 2024-03-07
CN102271909A (zh) 2011-12-07
DE112010001334T5 (de)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0880B2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該積層体の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WO2011071067A1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該積層体の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EP2548730B1 (en) Glass resin laminate, glass roll for taking up same and glass roll manufacturing method
US8697241B2 (en) Glass film laminate
US9333724B2 (en) Glass film laminate
JP5692513B2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KR20120125453A (ko) 유리 필름 적층체와 그 제조 방법 및 유리 필름의 제조 방법
KR101846637B1 (ko) 박유리 장척체
JP2011207721A (ja) ガラスフィルムの切断方法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KR20160086855A (ko) 유리 필름 적층체 및 액정 패널의 제조 방법
JP2010194874A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及び該積層体のガラスロール
JP5585937B2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
WO2014178405A1 (ja)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および電子デバイス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