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3097B1 -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3097B1
KR102483097B1 KR1020177012583A KR20177012583A KR102483097B1 KR 102483097 B1 KR102483097 B1 KR 102483097B1 KR 1020177012583 A KR1020177012583 A KR 1020177012583A KR 20177012583 A KR20177012583 A KR 20177012583A KR 102483097 B1 KR102483097 B1 KR 1024830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sheet
resin plate
adhesive layer
protrusion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8768A (ko
Inventor
켄지 하마노
히로시 타키모토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3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3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being photo-polymeriz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8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ethylene 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89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shaping the sheets, e.g. by using a mould

Abstract

적층체(1)는 접착층(5,6)을 통해 수지판(2)의 양면(2a,2b)에 유리 시트(3,4)를 적층해서 일체화한 것이다. 이 적층체(1)는 수지판(2)의 끝면(2c) 및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으로부터 접착층(5,6)이 돌출함으로써 형성되는 돌출부(7~9)를 구비한다. 돌출부(7~9)는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한다.

Description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LAMINATE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접착층을 통해 수지판과 유리 시트를 적층 일체화한 적층체의 개량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용 장소가 한정되지 않고 휴행성도 양호한 점에서 휴대전화(스마트폰 등)·태블릿형 PC·휴대형 게임기기 등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가 보급되고 있다. 이들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서는 휴행성을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해 소형화 및 경량화가 필요 불가결하게 된다. 그러나, 소형화에 따라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도 작게 하면, 화면에 표시되는 정보의 시인성이 저하되고,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로서의 편리성이 극단적으로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를 소형화했다 해도 그 화면 사이즈는 크게 확보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그래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있어서는 화면밖에 설치되어 있던 조작부를 생략하고, 그 조작 기능을 화면중에 장착하여 화면 사이즈를 가능한 한 크게 확보한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 종류의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화면에는 터치패널이 채용되는 것이 통례이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터치패널의 보호 커버에는 고경도(내찰상성)나 높은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고, 외관의 고급감이나 감촉이 양호하다는 이유에서 유리 시트가 사용되는 일이 많다. 그러나, 유리는 비중이 높고 중량이 큰 물질이기 때문에, 보호 커버에 요구되는 여러 특성을 유리 시트만으로 실현하고자 하면,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의 경량화가 곤란해진다.
이 문제에 대처하는 것으로서 수지판(유기 유리판)의 양면에 접착층을 통해 유리 시트를 적층 일체화한 적층체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렇게 하면, 최외층이 유리 시트로 구성되는 점에서 유리에 유래하는 내찰상성 등의 여러 특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중심층이 유리 시트보다 경량인 수지판으로 구성되는 점에서 적층체 전체의 경량화도 실현 가능해진다.
일본 특허공개 2002-201049호 공보
상기한 바와 같은 적층체를 채용함에 있어서, 유리 시트의 두께가, 예를 들면 300㎛이하까지 박판화되면, 유리 시트의 끝면이 매우 취약하게 되어 파손되기 쉬워져 버린다. 또한 파손에 이르지 않아도 유리 시트의 끝면에 타부재가 직접 접촉하면, 유리 시트가 수지판으로부터 박리될 우려가 있다. 이렇게 유리 시트가 박리되어 버리면, 나중에 파손의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외관형상이 나빠져서 상품가치의 저하를 초래한다는 문제도 생길 수 있다.
이것을 위한 대책으로서, 상기 특허문헌 1에서는 적층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별체의 수지(폴리이소부틸렌 테이프)를 사후적으로 접착함으로써 유리 시트의 끝면을 보호한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동 문헌의 단락 0015 참조).
그러나, 이렇게 적층체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수지를 사후적으로 접착할 경우에는 그 접착력이 약하여 타부재가 접촉함으로써 수지 자체가 박리되어 버려, 유리 시트의 보호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수지를 사후적으로 접착하는 것에 의한 제조 공수가 증가해 버려, 적층체의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접착층을 통해 수지판의 양면에 유리 시트를 적층 일체화시킨 적층체에 있어서 그 제조 공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유리 시트의 끝면을 강고하게 보호함으로써, 유리 시트의 끝면에 있어서의 파손이나 박리를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은 접착층을 통해 수지판의 양면에 유리 시트를 적층해서 일체화한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유리 시트는 상기 수지판의 한쪽의 면에 접착되는 제 1 유리 시트와, 상기 수지판의 다른쪽의 면에 접착되는 제 2 유리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수지판의 상기 한쪽의 면에 상기 제 1 유리 시트를 접착하는 제 1 접착층과, 상기 수지판의 상기 다른쪽의 면에 상기 제 2 유리 시트를 접착하는 제 2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판의 끝면 및 상기 제 1 유리 시트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접착층이 돌출됨으로써 형성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수지판의 끝면 및 상기 제 2 유리 시트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접착층이 돌출됨으로써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유리 시트의 상기 끝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유리 시트의 상기 끝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는 것에 특징지어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접착층에 의한 제 1 돌출부가 제 1 유리 시트의 끝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고, 제 2 접착층에 의한 제 2 돌출부가 제 2 유리 시트의 끝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는 점에서, 예를 들면 적층체의 측방으로부터 타부재가 접촉하는 경우이어도 이 타부재는 각 유리 시트의 끝면보다 각 돌출부에 우선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그 때문에 각 유리 시트의 끝면에 타부재가 직접 접촉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유리 시트의 끝면의 파손이나 박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돌출부는 각 접착층이 돌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점에서 각 접착층과 일체로 구성되고, 타부재가 접촉했다고 해도 탈락되기 어려운 구조가 된다. 이 구조에 의해, 각 돌출부는 대응하는 각 유리 시트의 끝면을 강고하게 보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는 수지판의 양면에 각 유리 시트를 접착할 때에,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이 수지판의 끝면 및 각 유리 시트의 끝면으로부터 돌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점에서 수지판에 각 유리 시트를 접착하는 공정에 있어서 동시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이 사후적으로 수지를 적층체의 끝면에 접착한다는 공정을 거칠 필요는 없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제조 공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적층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유리 시트의 두께의 절반 이상의 범위에 걸쳐 상기 제 1 유리 시트의 상기 끝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유리 시트의 두께의 절반 이상의 범위에 걸쳐 상기 제 2 유리 시트의 상기 끝면에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 1 유리 시트의 끝면 및 제 2 유리 시트의 끝면은 그 절반 이상의 범위가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에 의해 덮여지게 되고, 적층체에 타부재가 접촉하는 경우이어도, 이 끝면보다 각 돌출부에 대해서 우선적으로 접촉하기 쉬워진다. 이것에 의해, 각 유리 시트의 끝면에 타부재가 직접 접촉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고, 각 유리 시트의 끝면의 파손이나 박리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리 시트는 상기 제 1 접착층을 통해 상기 수지판의 상기 한쪽의 면에 접착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면을 갖고, 상기 제 2 유리 시트는 상기 제 2 접착층을 통해 상기 수지판의 상기 다른쪽의 면에 접착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면을 갖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유리 시트의 상기 끝면의 전체면과 상기 제 1 유리 시트의 상기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유리 시트의 상기 끝면의 전체면과 상기 제 2 유리 시트의 상기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제 1 유리 시트의 끝면의 전체면, 및 제 2 유리 시트의 끝면의 전체면이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에 의해 덮여지게 되고, 타부재가 각 유리 시트의 끝면에 직접 접촉하는 일이 없어진다. 즉, 각 돌출부는 각 유리 시트의 제 1 면으로부터 끝면을 거쳐 제 2 면의 일부에까지 둘러지도록 접촉하는 점에서 각 유리 시트의 제 1 면측과 제 2 면측의 양측으로부터 끼워넣는 상태에서 그 끝면의 전체면을 덮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유리 시트의 끝면의 전체면을 보다 강고하게 보호할 수 있어 유리 시트의 끝면을 기점으로 하는 손상이나 박리의 발생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수지판의 상기 끝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는 제 1 유리 시트의 끝면 및 제 2 유리 시트의 끝면에 접촉할 뿐만 아니라, 수지판의 끝면에도 접촉하게 되어 각 유리 시트의 끝면과 수지판의 끝면을 강고하게 연결하는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특히 각 유리 시트의 끝면의 수지판으로부터의 박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가 연결되어서 일체로 구성되어도 좋다.
이와 같이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가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각 돌출부는 타부재가 접촉했다고 해도 보다 한층 탈락되기 어려워지고, 이들에 의한 각 유리 시트의 끝면의 보호가 더욱 강화되게 된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본 발명은 접착층을 통해 수지판의 양면에 유리 시트를 적층 일체화해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지판의 끝면 및 상기 유리 시트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접착층을 돌출시킴으로써 상기 접착층에 의한 돌출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돌출부를 상기 유리 시트의 상기 끝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시키는 것에 특징지어진다.
이것에 의하면, 수지판의 끝면 및 유리 시트의 끝면으로부터 접착층을 돌출시킴으로써 유리 시트의 수지판에의 접착과 동시에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이 돌출부를 유리 시트의 끝면의 일부에 접촉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적층체의 측방으로부터 타부재가 접촉하는 경우이어도 이 타부재를 돌출부에 우선적으로 접촉시켜서 유리 시트의 끝면에의 접촉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를 접착층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타부재가 접촉했다고 해도 탈락되기 어려운 구조로 할 수 있고, 유리 시트의 끝면을 강고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유리 시트의 끝면의 파손이나 박리를 방지가능한 적층체를 제조 공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지판의 양면에 접착층을 통해 유리 시트를 적층 일체화시킨 적층체에 있어서, 그 제조 공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유리 시트의 끝면을 강고하게 보호함으로써, 유리 시트의 끝면의 파손이나 박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적층체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적층체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적층체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적층체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적층체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적층체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적층체의 제 7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터치패널의 보호 커버에 사용되는 적층체(1)를 예시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층체(1)는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 태양 전지 등의 각종 전기·전자기기용 패널에 사용되는 것 외에, 건축구조물이나 각종 차량의 창용 패널, 전시물의 보호 커버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도 1에 나타내듯이, 적층체(1)는 수지판(2)과, 수지판(2)의 한쪽의 면(이하 「제 1 면」이라고 한다)(2a)에 접착되는 제 1 유리 시트(3)와, 수지판(2)의 다른쪽의 면(이하 「제 2 면」이라고 한다)(2b)에 접착되는 제 2 유리 시트(4)와, 제 1 유리 시트(3)를 수지판(2)의 제 1 면(2a)에 접착하는 제 1 접착층(5)과, 제 2 유리 시트(4)를 수지판(2)의 제 2 면(2b)에 접착하는 제 2 접착층(6)을 구비하고, 이들에 의한 5층 구조를 갖는다. 적층체(1)를 구성하는 수지판(2), 각 유리 시트(3,4) 및 각 접착층(5,6)에는 투명한 재질의 것이 사용된다.
이 적층체(1)의 총두께는 각 유리 시트(3,4)의 두께의 합계(제 1 유리 시트(3)와 제 2 유리 시트(4)의 두께의 합)의 3배이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5배이상으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배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적층체(1)에 차지하는 수지판(2)의 비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적층체(1)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수지판(2)의 두께는 0.01mm이상 20mm이하로 되지만,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터치패널의 보호 커버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0.1mm이상 3mm이하, 특히 0.1mm이상 2mm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판(2)의 재질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메타아크릴산 메틸 수지(PMMA)가 바람직하고, 그 밖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폴리아미드,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나프타레이트 등의 각종 수지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수지판(2)에는 수지 필름도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각 유리 시트(3,4)로서는 수지판(2)보다 박판의 것이 바람직하고, 그 두께는 500㎛이하로 되고, 바람직하게는 10㎛이상 300㎛이하로 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이상 200㎛이하로 된다. 제 1 유리 시트(3)의 두께와 제 2 유리 시트(4)의 두께는 동일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들의 두께를 다르게 해서 적층체(1)를 구성해도 좋다.
유리 시트(3,4)의 재질로서는 규산염 유리, 실리카 유리가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붕규산 유리, 소다라임 유리, 알루미노 규산염 유리, 화학 강화 유리가 사용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무알칼리 유리가 사용된다. 유리 시트(3,4)로서 무알칼리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적층체(1)의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무알칼리 유리란 알칼리 성분(알칼리 금속 산화물)이 실질적으로 포함되어 있지 않은 유리인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성분의 중량비가 3000ppm이하의 유리인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알칼리 성분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1000ppm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ppm이하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0ppm이하이다.
제 1 유리 시트(3) 및 제 2 유리 시트(4)에는 같은 종류의 유리 재질의 것을 사용해도 좋고, 또한 다른 종류의 유리 재질의 것을 사용해도 좋다. 적층체(1)를 터치패널의 보호 커버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저에 의한 터치 조작이 행해지는 측의 유리 시트(예를 들면 제 1 유리 시트(3))에 내후성이나 내약품성이 보다 우수한 무알칼리 유리에 의한 것을 사용하고, 반대측의 유리 시트(예를 들면 제 2 유리 시트(4))에 소다라임 유리 등에 의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리 시트(3,4)는 그 두께를 300㎛이하로까지 박육화해도 크게 휘는 일이 없는 적정한 강성을 갖도록 그 영율을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으로부터, 유리 시트(3,4)의 영율은 50㎬이상으로 되고, 바람직하게는 60㎬이상으로 되고, 70㎬이상으로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유리 시트(3,4)는 공지의 플로트법, 롤아웃법, 슬롯 다운드로우법, 리드로우법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은 단면이 대략 쐐기형의 성형체의 상부에 형성된 오버플로우홈에 용융 유리를 흘려넣고, 이 오버플로우홈으로부터 양측으로 넘쳐 나온 용융 유리를 성형체의 양측의 측벽부를 따라 유하시키면서, 성형체의 하단부에서 융합 일체화하여 1매의 판유리를 연속 성형한다고 하는 것이다.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에 의해 두께 300㎛이하의 유리 시트(3,4)를 대량으로 또한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작된 유리 시트(3,4)는 연마나 연삭, 케미컬 에칭 등에 의해 유리 시트(3,4)의 두께의 조정을 할 필요가 없다. 또한 오버플로우 다운드로우법은 성형시에 유리판의 양면이 성형 부재와 접촉하지 않는 성형법이며, 얻어진 유리판의 양면(투광면)은 단조면으로 되어 연마하지 않아도 높은 표면품위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 시트(3,4)에 대한 접착층(5,6)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어 보다 정확하고 또한 정밀하게 유리 시트(3,4)와 수지판(2)을 적층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각 유리 시트(3,4)는 수지판(2)에 접착되는 면(이하 「제 1 면」이라고 한다)(3a,4a)과, 이 제 1 면(3a,4a)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면(이하 「제 2 면」이라고 한다)(3b,4b)과, 제 1 면(3a,4a)과 제 2 면(3b,4b) 사이에 형성되는 끝면(3c,4c)을 갖는다. 제 1 유리 시트(3)의 제 1 면(3a)은 제 1 접착층(5)에 의해 수지판(2)의 제 1 면(2a)에 접착된다. 또한 제 2 유리 시트(4)의 제 1 면(4a)은 제 2 접착층(6)에 의해 수지판(2)의 제 2 면(2b)에 접착된다. 각 유리 시트(3,4)의 제 2 면(3b,4b)은 적층체(1)의 외면을 구성하는 것이다.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은 수지판(2)의 끝면(2c)과 면일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각 접착층(5,6)의 두께는 1㎛이상 500㎛이하로 된다. 각 접착층(5,6)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EVA), 폴리비닐부티랄 수지(PVB), 및 UV 경화 수지가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지만, 그 밖에, 아크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자외선 경화성 아크릴계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에폭시계 접착제, 열경화성 에폭시계 접착제, 열경화성 멜라민계 접착제, 열경화성 페놀계 접착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적층체(1)는 제 1 접착층(5) 및 제 2 접착층(6)이 수지판(2)의 끝면(2c) 및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으로부터 돌출함으로써 형성되는 돌출부(7)를 갖는다.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으로부터의 돌출부(7)의 돌출 치수(D)는 0.01mm이상 5mm이하, 바람직하게는 0.1mm이상 3mm이하로 된다(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돌출부(7)는 제 1 접착층(5) 및 제 2 접착층(6)과 일체로 구성됨과 아울러,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의 전체면, 및 수지판(2)의 끝면(2c)의 전체면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돌출부(7)는 각 유리 시트(3,4)의 제 2 면(3b,4b)의 일부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돌출부(7)가 각 유리 시트(3,4)의 제 2 면(3b,4b)에 접촉하는 범위(L)는 1mm이상 3mm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이하, 상기 구성의 적층체(1)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수지판(2)과, 수지판(2)과 같은 크기(면적)의 유리 시트(3,4)를 준비한다. 다음에 유리 시트(3,4)의 한쪽(예를 들면 제 1 유리 시트(3))에 접착층(예를 들면 제 1 접착층(5))을 적층하고, 그 위에 수지판(2)을 적층하고, 이 수지판(2) 상에 접착층(예를 들면 제 2 접착층(6))을 적층하고, 그 위에 다른쪽의 유리 시트(예를 들면 제 2 유리 시트(4))를 적층한다. 이 때, 나중의 공정에 있어서, 각 접착층(5,6)이 수지판(2)의 끝면(2c) 및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소정 사이즈의 각 접착층(5,6)을 적층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후에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지판(2), 유리 시트(3,4) 및 접착층(5,6)을 적층한 상태에서 이들을 오토클레이브 장치에 의해 열압착해서 접합시킨다.
이 열압착에 의해, 제 1 접착층(5) 및 제 2 접착층(6)이 수지판(2)의 끝면(2c) 및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으로부터 돌출해서 수지판(2)의 끝면(2c)과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에 접촉하고, 또한 각 유리 시트(3,4)의 제 2 면(3b,4b)에까지 이른다. 이렇게 해서 형성되는 돌출부(7)는 각 접착층(5,6)과 일체로 된 상태에서 경화하여 수지판(2)의 끝면(2c), 및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에 강고하게 고착한다. 이상에 의해, 그 단부가 돌출부(7)에 의해 덮여진 적층체(1)가 완성된다.
또, 자외선 경화성의 접착제(UV 경화 수지)를 이용하여 적층체(1)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오토클레이브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이 접착제를 수지판(2)과 유리 시트(3,4) 사이에 개재시킨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한다.
이상과 같이, 적층체(1)는 수지판(2), 각 유리 시트(3,4) 및 각 접착층(5,6)에 의한 5층 구조를 기본으로 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제 1 유리 시트(3)에 추가의 접착층을 통해 별도의 유리 시트를 더 적층함으로써, 7층이상의 다층구조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적층체(1)의 외면, 즉, 각 유리 시트(3,4)의 제 2 면(3b,4b)에 반사 방지막층이나 오염 방지막층을 형성해도 좋다. 이들 층은 각 유리 시트(3,4)가 수지판(2)에 접착되기 전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사 방지막층은 무기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저굴절률층과 고굴절률층의 교대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저굴절률층으로서는 산화규소, 산화알류미늄 및 불화마그네슘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편면에 있어서의 저굴절막의 총물리막 두께는 100nm∼70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굴절률막으로서는 질화규소, 질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산화니오브, 산화탄탈, 산화하프늄, 산화티탄, 산화주석 및 산화아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편면에 있어서의 고굴절률막의 총물리막 두께는 50nm∼250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리 시트(3,4)에 반사 방지막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스퍼터법, 진공증착법, 디핑법, 스핀코트법, 이온 플레이팅법, CVD법 등의 방법이 이용가능하지만, 막두께가 균일하게 되고, 유리 시트(3,4)와의 접착이 강고해지고, 또한 막경도가 높아진다는 점에서 스퍼터법이 특히 유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1)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각 접착층(5,6)에 기인하는 돌출부(7)가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에 접촉하고 있는 점에서 적층체(1)의 측방으로부터 타부재가 접촉했다고 해도 이 타부재는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에 접촉하지 않고, 이들을 덮는 돌출부(7)에 접촉하게 된다. 돌출부(7)는 각 접착층(5,6)과 일체로 구성됨과 아울러,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에 고착하고 있기 때문에, 타부재가 접촉했다고 해도 탈락되기 어려워지고 있고, 각 끝면(3c,4c)을 장기에 걸쳐 강고하게 보호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의 파손이나 박리의 발생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7)는 수지판(2)의 끝면(2c)의 전체면과 각 유리 시트(3,4)의 제 2 면(3b,4b)의 일부에도 접촉하고 있는 점에서 적층체(1)의 단부 전체를 덮게 된다. 이에 따라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에 대한 타부재의 접촉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끝면(3c,4c)에 있어서의 손상이나 박리의 발생을 한층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7)는 수지판(2)에 유리 시트(3,4)를 접착할 때에, 각 접착층(5,6)이 수지판(2)의 끝면(2c) 및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으로부터 돌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점에서 수지판(2)에 유리 시트(3,4)를 접착하는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사후적으로 수지를 적층체(1)의 끝면에 접착한다는 공정을 거칠 필요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조 공수를 증가시키지 않고 적층체를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7)가 각 유리 시트(3,4)의 제 2 면(3b,4b)의 일부에까지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7)는 이 제 2 면(3b,4b)에 접촉하고 있지 않고,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의 전체면과, 수지판(2)의 끝면(2c)의 전체면에 접촉하여 이들을 덮어서 보호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7)는 수지판(2)의 끝면(2c)의 전체면에 접촉하고 있지만, 각 유리 시트(3,4)에 관해서는 끝면(3c,4c)의 전체면이 아닌 그 일부에 접촉하고 있다. 돌출부(7)가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에 접촉하는 범위(W)는 유리 시트(3,4)의 두께의 절반(1/2)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동일). 본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7)는 유리 시트(3,4)의 두께의 약 절반의 범위에 걸쳐 그 끝면(3c,4c)에 접촉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7)는 제 1 실시형태 및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의 전체면에 접촉할 뿐만 아니라,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의 일부에 접촉함으로써도 적층체(1)의 단부를 보호할 수 있다. 즉, 돌출부(7)는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함으로써, 각 유리 시트(3,4)의 손상이나 박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1)는 수지판(2)의 끝면(2c) 및 제 1 유리 시트(3)의 끝면(3c)으로부터 제 1 접착층(5)이 돌출됨으로써 형성되는 제 1 돌출부(8)와, 수지판(2)의 끝면(2c) 및 제 2 유리 시트(4)의 끝면(4c)으로부터 제 2 접착층(6)이 돌출함으로써 형성되는 제 2 돌출부(9)를 구비한다.
제 1 돌출부(8)는 제 1 유리 시트(3)의 끝면(3c)의 일부에 접촉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돌출부(8)는 제 1 유리 시트(3)의 두께의 약 절반까지의 범위에 걸쳐 그 끝면(3c)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제 1 돌출부(8)는 수지판(2)의 끝면(2c)의 일부에도 접촉하고 있다.
제 2 돌출부(9)는 제 2 유리 시트(4)의 끝면(4c)의 일부에 접촉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돌출부(9)는 제 2 유리 시트(4)의 두께의 약 절반까지의 범위에 걸쳐 그 끝면(4c)에 접촉하고 있다. 또한 제 2 돌출부(9)는 수지판(2)의 끝면(2c)의 일부에도 접촉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와 제 1 실시형태를 비교했을 경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 1 돌출부(8) 및 제 2 돌출부(9)는 제 1 실시형태보다 각 접착층(5,6)의 돌출량(체적)을 적게 함으로써, 제 1 접착층(5)에 대응하는 위치와 제 2 접착층(6)에 대응하는 위치의 2개소로 나뉘어서 형성되게 된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각 접착층(5,6)의 돌출량(체적)을 본 실시형태의 경우보다 많게 함으로써, 제 1 돌출부(8)와 제 2 돌출부(9)가 연결되어서 일체로 되고, 1개의 돌출부(7)를 구성하고 있다고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1)에서는 제 1 돌출부(8) 및 제 2 돌출부(9)의 구성이 제 4 실시형태와 다르다.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돌출부(8)는 제 1 유리 시트(3)의 끝면(3c)의 일부에 접촉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유리 시트(3)의 끝면(3c)의 전체면에 접촉함과 아울러, 이 제 1 유리 시트(3)의 제 2 면(3b)의 일부에도 접촉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돌출부(9)는 제 2 유리 시트(4)의 끝면(4c)의 전체면에 접촉함과 아울러, 이 제 2 유리 시트(4)의 제 2 면(4b)의 일부에도 접촉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제 6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지판(2)의 크기(면적)가 각 유리 시트(3,4)보다 크게 되어 있어 수지판(2)의 끝면(2c)이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보다 돌출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으로부터의 각 돌출부(8,9)의 돌출 치수(이하 「제 1 돌출 치수」라고 한다)(D1)와, 수지판(2)의 끝면(2c)으로부터의 각 돌출부(8,9)의 돌출 치수(이하 「제 2 돌출 치수」라고 한다)(D2)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돌출 치수(D2)가 제 1 돌출 치수(D1)보다 작게 되어 있다(D2<D1). 또한 각 돌출부(8,9)는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의 일부에 접촉하고 있지만, 수지판(2)의 끝면(2c)에는 접촉하고 있지 않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의 제 7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적층체(1)는 제 1 돌출부(8) 및 제 2 돌출부(9)의 구성이 제 6 실시형태와 다르다. 제 6 실시형태에서는 각 돌출부(8,9)는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의 일부에 접촉하고 있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돌출부(8,9)는 각 유리 시트(3,4)의 끝면(3c,4c)의 전체면에 접촉함과 아울러, 각 유리 시트(3,4)의 제 2 면(3b,4b)의 일부에도 접촉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 6 실시형태 와 마찬가지로, 제 2 돌출 치수(D2)가 제 1 돌출 치수(D1)보다 작게 되어 있다(D2<D1).
또,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는 상기한 작용 효과에 한정되는 것도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체는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상기 제 1 실시형태 내지 제 7 실시형태에서는 돌출부(7,8,9)가 수지판(2)의 끝면(2c)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되어 있는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7,8,9)는 적어도 수지판(2)의 일부의 끝면(2c)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좋다.
실시예
상기 제 2 실시형태(도 2 참조)에 따른 적층체의 시험체(실시예)를 제조하고, 그 효과를 확인했다. 이 시험체에서는 수지판으로서 151mm×201mm, 두께 3.0mm의 폴리카보네이트판을 사용하고, 각 유리 시트로서 148mm×198mm, 두께 200㎛의 것을 사용했다. 또, 각 유리 시트에는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제의 무알칼리 유리(제품명:OA-10G)를 사용했다. 또한 각 접착층으로서 150mm×200mm, 두께 400㎛의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EVA)에 의한 것을 사용했다.
접착층을 통해 폴리카보네이트판의 양면에 유리 시트를 겹치고, 이에 대해서 오토클레이브 장치에 의한 가열 압착을 행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가열온도 120℃, 압력 1㎫, 가열 압착 시간 1시간의 조건에 의해 가열 압착을 실시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20개의 시험체를 제작하고, 각 시험체에 대해서 박리·손상의 발생의 유무에 관한 시험을 실시했다. 그 결과, 모든 시험체에 대해서 박리·손상에 대한 충분한 방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1: 적층체
2: 수지판
2a: 수지판의 한쪽의 면
2b: 수지판의 다른쪽의 면
2c: 수지판의 끝면
3: 제 1 유리 시트
3a: 제 1 유리 시트의 제 1 면
3b: 제 1 유리 시트의 제 2 면
3c: 제 1 유리 시트의 끝면
4: 제 2 유리 시트
4a: 제 2 유리 시트의 제 1 면
4b: 제 2 유리 시트의 제 2 면
4c: 제 2 유리 시트의 끝면
5: 제 1 접착층
6: 제 2 접착층
7: 돌출부
8: 제 1 돌출부
9: 제 2 돌출부

Claims (6)

  1. 접착층을 통해 수지판의 양면에 유리 시트를 적층해서 일체화한 적층체에 있어서,
    상기 유리 시트는 상기 수지판의 한쪽의 면에 접착되는 제 1 유리 시트와, 상기 수지판의 다른쪽의 면에 접착되는 제 2 유리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수지판의 상기 한쪽의 면에 상기 제 1 유리 시트를 접착하는 제 1 접착층과, 상기 수지판의 상기 다른쪽의 면에 상기 제 2 유리 시트를 접착하는 제 2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수지판의 끝면 및 상기 제 1 유리 시트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제 1 접착층이 돌출됨으로써 형성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수지판의 끝면 및 상기 제 2 유리 시트의 끝면으로부터 상기 제 2 접착층이 돌출됨으로써 형성되는 제 2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수지판에 상기 제 1 유리 시트를 상기 제 1 접착층에 의해 접착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 1 접착층과 동시에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수지판에 상기 제 2 유리 시트를 상기 제 2 접착층에 의해 접착하는 공정에서 상기 제 2 접착층과 동시에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유리 시트의 상기 끝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유리 시트의 상기 끝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유리 시트의 두께의 절반 이상의 범위에 걸쳐 상기 제 1 유리 시트의 상기 끝면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유리 시트의 두께의 절반 이상의 범위에 걸쳐 상기 제 2 유리 시트의 상기 끝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리 시트는 상기 제 1 접착층을 통해 상기 수지판의 상기 한쪽의 면에 접착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면을 갖고,
    상기 제 2 유리 시트는 상기 제 2 접착층을 통해 상기 수지판의 상기 다른쪽의 면에 접착되는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제 2 면을 갖고,
    상기 제 1 돌출부는 상기 제 1 유리 시트의 상기 끝면의 전체면과 상기 제 1 유리 시트의 상기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고,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제 2 유리 시트의 상기 끝면의 전체면과 상기 제 2 유리 시트의 상기 제 2 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 및 상기 제 2 돌출부는 상기 수지판의 상기 끝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돌출부가 연결되어서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
  6. 접착층을 통해 수지판의 양면에 유리 시트를 적층 일체화해서 이루어지는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유리 시트는 상기 수지판의 한쪽의 면에 접착되는 제 1 유리 시트와, 상기 수지판의 다른쪽의 면에 접착되는 제 2 유리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은 상기 수지판의 상기 한쪽의 면에 상기 제 1 유리 시트를 접착하는 제 1 접착층과, 상기 수지판의 상기 다른쪽의 면에 상기 제 2 유리 시트를 접착하는 제 2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접착층에 의해 상기 수지판의 상기 한쪽의 면에 제 1 유리 시트를 접착하는 제 1 접착 공정과, 상기 제 2 접착층에 의해 상기 수지판의 상기 다른쪽의 면에 상기 제 2 유리 시트를 접착하는 제 2 접착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접착 공정에서는, 상기 수지판의 상기 한쪽의 면에 상기 제 1 유리 시트를 상기 제 1 접착층에 의해 접착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접착층을 상기 수지판의 끝면 및 상기 제 1 유리 시트의 끝면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제 1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접착 공정에서는, 상기 제 1 돌출부를 상기 제 1 유리 시트의 상기 끝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시키고,
    상기 제 2 접착 공정에서는, 상기 수지판의 상기 다른쪽의 면에 상기 제 2 유리 시트를 상기 제 2 접착층에 의해 접착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접착층을 상기 수지판의 끝면 및 상기 제 2 유리 시트의 끝면으로부터 돌출시킴으로써 제 2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접착 공정에서는, 상기 제 2 돌출부를 상기 제 2 유리 시트의 상기 끝면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체의 제조 방법.
KR1020177012583A 2015-03-09 2016-03-02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2483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46113 2015-03-09
JP2015046113 2015-03-09
PCT/JP2016/056451 WO2016143636A1 (ja) 2015-03-09 2016-03-02 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768A KR20170128768A (ko) 2017-11-23
KR102483097B1 true KR102483097B1 (ko) 2022-12-30

Family

ID=5687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583A KR102483097B1 (ko) 2015-03-09 2016-03-02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269691B1 (ko)
JP (1) JP6700618B2 (ko)
KR (1) KR102483097B1 (ko)
CN (1) CN107001136B (ko)
TW (1) TWI678281B (ko)
WO (1) WO20161436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4029B2 (ja) * 2017-04-13 2020-10-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樹脂積層体
DE202018107197U1 (de) * 2018-12-17 2019-03-07 Ferdi Inci Panzerglas für Automatendisplays
JP2021018524A (ja) * 2019-07-18 2021-02-15 住友化学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2166863A (ja) * 2019-10-03 2022-11-0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積層体および積層体の製造方法
WO2023074250A1 (ja) * 2021-10-28 2023-05-0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及びガラス樹脂積層体
KR20230164812A (ko) 2022-05-26 2023-12-05 오상민 태양광의 미세 빛에너지 충전방식을 이용한 엘이디 야간조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049A (ja) * 2000-12-27 2002-07-16 Asahi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JP2012254626A (ja) * 2011-05-13 2012-12-2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積層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7953A (en) * 1979-07-19 1981-02-20 Tamotsu Nishi Manufacture of laminated glass
JPH08281873A (ja) * 1995-04-12 1996-10-29 Nitto Denzai Kk 板状複合材
DE10001795A1 (de) * 2000-01-18 2001-07-19 Bayer Ag Verbundscheibe zur Verwendung als Schutz von Displays
KR101060352B1 (ko) * 2004-05-29 2011-08-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DE102008052066B4 (de) * 2008-10-17 2012-08-30 Saint-Gobain Sekurit Deutschland Gmbh & Co. Kg Ein Scheibenverbund mit einer transluzenten oder opaken Steinschicht,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seine Verwendung
JP5510880B2 (ja) * 2009-03-26 2014-06-04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該積層体のガラスロール、及びガラスロールの製造方法
DE202010008362U1 (de) * 2010-08-25 2010-12-16 Schott Ag Transparentes Verbundmaterial für Sicherheitsverglasung
CN103534089B (zh) * 2011-05-13 2016-08-17 日本电气硝子株式会社 层叠体、层叠体的切断方法和层叠体的加工方法、以及脆性板状物的切断装置和切断方法
DE102012009788A1 (de) * 2012-05-18 2013-11-21 Schott Ag Verbundmaterial und dessen Verwendung
DE102012215742A1 (de) * 2012-09-05 2014-03-06 Bundesdruckerei Gmbh Sicherheits- und/oder Wertprodukt
EP3154784A2 (en) * 2014-06-12 2017-04-19 Corning Incorporated Laminating thin glass structur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01049A (ja) * 2000-12-27 2002-07-16 Asahi Glass Co Ltd 合わせガラス
JP2012254626A (ja) * 2011-05-13 2012-12-27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積層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001136A (zh) 2017-08-01
EP3269691A1 (en) 2018-01-17
CN107001136B (zh) 2020-12-01
TWI678281B (zh) 2019-12-01
KR20170128768A (ko) 2017-11-23
WO2016143636A1 (ja) 2016-09-15
TW201704018A (zh) 2017-02-01
EP3269691B1 (en) 2021-06-09
JPWO2016143636A1 (ja) 2018-01-11
JP6700618B2 (ja) 2020-05-27
EP3269691A4 (en)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3097B1 (ko) 적층체 및 그 제조 방법
US20130114219A1 (en) Opto-electronic frontplane substrate
JP6092416B2 (ja) タッチ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5999340B2 (ja) タッチパネル用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及びタッチパネル、並びにタッチパネル用ガラスフィルム積層体の製造方法
US20190346591A1 (en) Replaceable cover lens for flexible display
CN111063258A (zh) 盖板、盖板的制备方法和显示装置
US20120280368A1 (en) Laminated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s
US20090049773A1 (en) Laminated display window and device incorporating same
US20140354591A1 (en) Touch panel
EP3144782B1 (en) Cover window for touch screen panel formed with printing layer and method for forming printing layer on cover window for touch screen panel
KR20130054152A (ko) 표시 장치 및 전자 기기
EP3328638B1 (en) Laminate including panels and a fill material between the panels and a process of forming the laminate
CN110707229A (zh) 柔性显示装置
CN104608445A (zh) 一种具有弯曲保型及抗冲击功能的多层弹性复合薄膜及制备方法
CN107980155B (zh) 触控屏及柔性显示器
TWI734906B (zh) 玻璃樹脂積層體
KR101699305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강도가 강화된 복층 강화글라스
KR20090086380A (ko) 터치 패널용 실리콘 패드
US20120262852A1 (en)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moudle
CN220795823U (zh) 能够提高防爆效果的触摸屏
EP3677933B1 (en) Optical members,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s comprising the same
US8974907B2 (en) Method for reinforcing a glass of touch panel and reinforcement structure thereof
WO2020133443A1 (zh) 一种柔性触控传感器及其制作方法、触控装置
TW201502895A (zh) 觸控面板、觸控顯示面板及製作觸控面板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