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24153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24153A
KR20110124153A KR1020110043415A KR20110043415A KR20110124153A KR 20110124153 A KR20110124153 A KR 20110124153A KR 1020110043415 A KR1020110043415 A KR 1020110043415A KR 20110043415 A KR20110043415 A KR 20110043415A KR 20110124153 A KR20110124153 A KR 201101241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image carrier
image
developing unit
image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2251B1 (ko
Inventor
슈스께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41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41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 G03G15/081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on a donor element, e.g. belt, roller characterised by means in the developing zone having an interaction with the image carrying member, e.g. distance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34Developing device
    • G03G2215/0636Specific type of dry developer device
    • G03G2215/0648Two or more donor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 담지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제1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및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제2 현상제 담지체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과, 상기 상 담지체와 상기 제1 현상제 담지체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제1 간극 조절 부재와, 상기 상 담지체와 상기 제2 현상제 담지체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제2 간극 조절 부재와, 상기 제1 간극 조절 부재 및 상기 제2 간극 조절 부재가 상기 상 담지체에 제공되는 맞닿음부에 대해 압박되도록 상기 현상 유닛을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부재와, 상기 화상 형성 유닛에 대해 상기 현상 유닛을 위치설정용 위치설정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설정 부재는 상기 현상 유닛의 종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상 담지체의 원주 방향으로의 상기 현상 유닛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현상 유닛의 종방향 타단부에서 상기 상 담지체의 원주 방향으로의 상기 현상 유닛의 이동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수의 현상제 담지체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가 제공되고, 상담지체 상에 형성되는 잠상이 상기 현상 장치에 의해 현상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복사기와 같은 종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감광체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현상 장치에 의해 토너상으로서 현상되며, 상기 토너상이 시트와 같은 기록재(기록 매체) 상으로 전사되고, 그 후 정착 수단에 의해 정착되어 기록 화상을 얻는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여기서, 현상 장치는 현상제 담지체(이하, 현상 슬리브라 함)를 포함하고, 현상 슬리브와 감광체 사이의 소정의 간극(이하, SD 간극이라 함)을 두고 배치된다. SD 간극의 공칭값으로부터의 편차(SD 간극 오차)가 큰 경우, 감광체 상에서의 현상을 위한 토너량이 변동되며, 이로써 농도 비-균질성과 같은 화상 문제가 발생한다. SD 간극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맞대기 롤러(abutting roller)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 방법에서, SD 간극은, 현상 슬리브와 동축으로 제공되는 위치설정 부재(맞대기 롤러)의 외경과 현상 슬리브의 외경 사이의 차이에 의해 결정되고, 현상 슬리브를 감광체를 향해 압박함으로써 보장된다. 맞대기 롤러의 접촉이 감광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방법도 있다.
최근에, 복사기 또는 프린터의 화질 개선 및 생산성의 향상(고속화)에 따라, 2개의 현상 슬리브를 제공함으로써 화질 개선 및 고속화에 적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현상 장치가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현상 장치에서는,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상류측에 위치되는 제1 현상 슬리브 및 상기 제1 현상 슬리브의 하류측에 위치되는 제2 현상 슬리브가 장착된다. 현상 장치 내의 2개의 현상 슬리브 각각의 양 단부에는, SD 간극을 보장하기 위한 맞대기 롤러가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출원공보 (JP-A) 2002-351211호(청구항 제13항 및 도 3)에서는, 제1 현상 슬리브가 현상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 및 지지되며, 제2 현상 슬리브가 제1 현상 슬리브의 회전 샤프트(회전축)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다. 따라서, 각각의 슬리브 상에 제공된 맞대기 롤러는 드럼(감광체)을 향해 독립적으로 압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JP-A 2008-191233호(청구항 제11항 및 도 7)에서의 현상 슬리브 각각은 현상 용기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제2 현상 슬리브의 양 단부에 제공된 맞대기 롤러가 감광체에 맞대어져, 제2 현상 슬리브와 감광체 사이의 상관 관계가 결정된다. 따라서, 현상 용기는 제2 현상 슬리브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제1 현상 슬리브의 양 단부에 제공되는 맞대기 롤러를 감광체에 맞대게 함으로써 제1 현상 슬리브와 감광체 사이의 상대적 위치가 결정된다.
그러나, JP-A 2002-351211호 및 JP-A 2008-191233호의 구성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즉, 2개 이상의 현상 슬리브의 양 단부에 제공되는 롤러가 드럼에 접촉하는 경우에, 맞대기 롤러가 4곳 이상의 지점에서 접촉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맞대기 롤러는 현상 슬리브의 회전 축 방향 및 드럼의 회전 축이 서로 평행하였으며, 이에 따라 쌍을 이룬 슬리브 사이의 정렬 오차의 영향으로 인해, 4개의 맞대기 롤러의 접촉 압력이 서로 동일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는 상태로 압박되었다. 여기서, 쌍을 이룬 슬리브 사이의 정렬 오차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 현상 슬리브(14-1-1)의 회전축과 제2 현상 슬리브(14-2-1)의 회전축 사이의 축선 방향 평행성에 있어서의 오차이다. SD 간극을 측정하는 경우, 현상 장치가 감광체에 접촉한 상태에서, 이하의 6곳의 지점에서 SD 간극이 측정된다. 즉, 후방측, 중앙부 및 전방측에서의 제1 현상 슬리브와 감광체 사이의 SD 간극과, 후방측, 중앙부 및 전방측에서의 제2 현상 슬리브와 감광체 사이의 SD 간극이 측정된다. 예를 들어, 전방측 제1 롤러와 후방측 제2 롤러의 접촉 압력이 증가되고, 전방측 제2 롤러와 후방측 제1 롤러의 접촉 압력이 증가되는 경우, 및 그 반대의 경우가 있다. 또한, 4개의 맞대기 롤러의 접촉 압력 중 하나가 작아지거나, 또는 4개의 맞대기 롤러 중 하나가 맞닿지 않은 채 드럼으로부터 분리되어, 결국 접촉 압력이 영이 되는 경우가 있다. 접촉 압력이 서로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맞대기 롤러의 변형량이 변동하며, 이로써 큰 변형량을 갖는 이웃하는 맞대기 롤러에 있어서의 SD 간극이 작아지게 되고 작은 변형량을 갖는 이웃하는 맞대기 롤러에 있어서의 SD 간극은 커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SD 간극 오차는 더욱 악화된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쌍을 이룬 슬리브 사이의 정렬 오차로부터 야기되는 SD 간극 오차로 인한 화상 결점의 정도를 줄이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상 담지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제1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및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제2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과,
상기 상 담지체와 상기 제1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의 양측에 제공되는 제1 간극 조절 수단과,
상기 상 담지체와 상기 제2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2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의 양측에 제공되는 제2 간극 조절 수단과,
상기 제1 간극 조절 수단 및 상기 제2 간극 조절 수단이 상기 상 담지체에 제공되는 맞닿음부에 대해 압박되도록 상기 현상 유닛을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유닛에 대해 상기 현상 유닛을 위치설정하고, 상기 현상 유닛의 종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상 담지체의 원주 방향으로의 상기 현상 유닛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현상 유닛의 종방향 타단부에서 상기 상 담지체의 원주 방향으로의 상기 현상 유닛의 이동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포함하는 위치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특징 및 이점과, 그 외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과 연계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참조하여 보다 명료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부의 전방 단면도.
도 2는 드럼 유닛의 사시도.
도 3은 전방측 위치설정 블럭의 사시도.
도 4는 후방측 위치설정 블럭의 사시도.
도 5는 현상 장치의 사시도.
도 6은 현상 장치의 정면도.
도 7은 현상 장치의 배면도.
도 8은 압박 유닛의 사시도.
도 9는 드럼 유닛, 압박 유닛 및 현상 장치의 사시도.
도 10, 도 11 및 도 12는 후방측 위치설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3, 도 14 및 도 15는 전방측 위치설정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드럼과, 상부 및 하부 슬리브의 사시도.
도 17은 후방측 위치설정부의 전방 단면도.
도 18은 전방측 위치설정부의 좌측 단면도.
도 19는 SD 간극 오차가 발생한 경우의 평면도.
도 20은 구동 기어로의 구동 전달을 나타내는 개략도.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가 설명된다.
먼저, 본 실시예의 구성이 설명될 것이며, 그 후에 본 실시예에서의 위치설정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의 효과를 개시한다.
우선, 본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형성부(1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화상 담지체로서의 감광 드럼(11-1)은 중앙부에 배치되고, 화상 형성 동안 화살표(A) 방향으로 회전된다. 대전기(12), 레이저 광학로(13), 현상 장치(14), 전사 벨트(15), 전사 롤러(16), 배출 장치(17) 및 클리닝 장치(18)가 A 방향을 따라 감광 드럼(11) 주위에 연속적으로 배치된다. 대전기(12)에 대해, 드럼 유닛(11)[감광 드럼(11-1)] 맞은 편에, 급기 덕트(19)가 배치된다.
화살표(A) 방향에 대해 대전기(12)의 하류측 상에는, 배기 덕트(20)가 드럼 유닛(11)에 대향하여 배치된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대전기(12)는 회전하는 감광 드럼(11-1)의 표면을 전기적으로 대전한다. 그 후, 레이저 스캐너(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레이저 광이 레이저 광학로(13)를 통과하여, 대전된 감광 드럼 표면 상에 정전 잠상을 기록(형성)한다. 다음으로, 현상 장치(14)가 감광 드럼 표면 상의 정전 잠상을 토너상으로 현상한다. 그 후, 감광 드럼(11-1)과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된 전사 롤러(16) 사이에 개재되는 전사 벨트(15) 상으로, 토너상이 전사된다. 다음으로, 배출 장치(17)가 감광 드럼(11-1)의 표면으로부터 전하를 제거한다. 그 후, 클리닝 장치(18)가 전사되지 않은 채 감광 드럼(11-1)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를 모은다. 화상 형성 프로세스 동안, 공기는, 급기 덕트(19)로부터 대전기(12)로 공급되고, 배기 덕트(20)로 배출된다.
[드럼 유닛 구성]
도 2는 화상 형성 유닛으로서의 드럼 유닛(11)의 사시도이다. 드럼 유닛(11)은 감광 드럼(11-1), 위치설정 블럭(전방측)(11-2) 및 위치설정 블럭(후방측)(11-3)을 포함한다. 위치설정 블럭(전방측)(11-2) 및 위치설정 블럭(후방측)(11-3)은 감광 드럼(11-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 3은 위치설정 블럭(전방측)(11-2)의 사시도이다. 위치설정 블럭(전방측)(11-2)은 제1 액추에이터부(전방측)(11-2-1), 제2 액추에이터부(전방측)(11-2-2) 및 위치설정 구멍(전방측)(11-2-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액추에이터부(전방측)(11-2-1) 및 제2 액추에이터부(전방측)(11-2-2)는 감광 드럼(11-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를 이룬다. 또한, 위치설정 구멍(전방측)(11-2-3)은 감광 드럼(11-1)의 원주 방향에 대해 기다란 형태의 원형 구멍이다.
도 4는 위치설정 블럭(후방측)(11-3)의 사시도이다. 위치설정 블럭(후방측)(11-3)은 제1 액추에이터부(후방측)(11-3-1), 제2 액추에이터부(후방측)(11-3-2) 및 위치설정 구멍(후방측)(11-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액추에이터부(후방측)(11-3-1) 및 제2 액추에이터부(후방측)(11-3-2)는 감광 드럼(11-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를 이룬다. 또한, 위치설정 구멍(후방측)(11-3-3)은 감광 드럼(11-1)의 회전축에 대해 기다란 형태의 원형 구멍이다.
[현상 유닛 구성]
도 5, 도 6 및 도 7은 각각 현상 장치(14)의 사시도,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현상 장치(14)는 제1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상부 슬리브(14-1-1)를 포함하고, 제1 위치설정 부재로서 사용되는 상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전방측)(14-1-2) 및 상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후방측)(14-1-3)를 포함한다. 또한, 현상 장치(14)는 제2 현상제 담지체로서의 하부 슬리브(14-2-1)를 포함하고, 제2 위치설정 부재로서 사용되는 하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전방측)(14-2-2) 및 하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후방측)(14-2-3)를 포함한다.
또한, 현상 장치(14)는 위치설정 핀(전방측)(14-3-1) 및 위치설정 핀(후방측)(14-3-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전방측)(14-1-2)의 회전축 및 상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후방측)(14-1-3)의 회전축은 상부 슬리브(14-1-1)의 양측에서 회전축(14-1-1)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하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전방측)(14-2-2)의 회전축 및 하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후방측)(14-2-3)의 회전축은 하부 슬리브(14-2-1)의 회전축 상에 배치된다. 여기서, 위치설정 핀(전방측)(14-3-1) 및 위치설정 핀(후방측)(14-3-2)은 구형상의 단부를 갖는다.
상부 슬리브(14-1-1) 및 하부 슬리브(14-2-1) 각각은 위치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제공되어, 상부 슬리브와 하부 슬리브 사이의 간격이 보장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현상 장치(14)의 후방측 단부에는, 현상 장치(1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어(14-4)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 기어(14-4)는 상부 슬리브(14-1-1) 및 하부 슬리브(14-2-1)를 구동시키고, 현상제를 교반하고 공급하기 위해 현상 장치(14)에 제공되는 스크루를 구동시킨다.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구동 기어(14-4)는 주 조립체 측에 제공되는 구동원(14-5)으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또한, 구동 기어(14-4)는 구동원(14-5)을 구동시켜 구동되는, 주 조립체 측에 제공되는 구동 기어(14-5-1)와 결합되어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압박 유닛(21)의 사시도이다. 압박 유닛(21)은 압박 핀(상부 전방측)(21-1), 압박 핀(하부 전방측)(21-2), 압박 핀(상부 후방측)(21-3) 및 압박 핀(하부 후방측)(21-4)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위치설정을 설명한다.
도 9는 드럼 유닛(11), 현상 장치(14) 및 압박 유닛(21)이 조립된 상태인 사시도이다.
드럼 유닛(11)과 현상 장치(14) 사이의 상대적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드럼 유닛(11) 및 현상 장치(14)는 초기에 서로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현상 장치(14)는 압박 유닛(21)에 의해 드럼 유닛(11)을 향해 압박되어, 현상 장치(14)가 드럼 유닛(11)을 향해 이동된다.
위치설정 수단으로서의 위치설정 구멍(전방측)(11-2-3)의 형상은 감광 드럼(11-1)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형태의 원주 구멍 형상이다. 이러한 이유로, 제1 구멍으로서의 위치설정 구멍(전방측)(11-2-3) 및 제1 핀으로서의 위치설정 핀(전방측)(14-3-1)은 서로 결합되며, 이로써 드럼 유닛(11)과 현상 장치(14) 사이의 전후 방향(드럼의 축선 방향)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결정된다. 이때, 위치설정 핀(전방측)(14-3-1)은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위치설정 핀(전방측)(11-2-3)에 의해 조절된다. 여기서, 위치설정 구멍(전방측)(11-2-3) 및 위치설정 핀(전방측)(14-3-1) 각각은 위치설정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위치설정 수단으로서의 위치설정 구멍(후방측)(11-3-3)의 형상은 감광 드럼(11-1)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하는 기다란 형태의 원형 구멍 형상이다. 이러한 이유로, 제2 구멍으로서의 위치설정 구멍(후방측)(11-3-3) 및 제2 핀으로서의 위치설정 핀(후방측)(14-3-2)은 서로 결합되며, 이로써 드럼 유닛(11)과 현상 장치(14) 사이의 원주 방향에 대한 상대적 위치가 결정된다. 즉, 위치설정 구멍(후방측)(11-3-3) 및 위치설정 핀(후방측)(14-3-2)은 감광 드럼(11-1)의 원주 방향으로의 현상 장치(14)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원주 방향 이동 방지부로서 작용한다. 이때, 위치설정 핀(후방측)(14-3-2)은 드럼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설정 구멍(후방측)(11-3-3)에 의해 조절된다.
위치설정 구멍(후방측)(11-3-3) 및 위치설정 구멍(전방측)(11-2-3)은 위치설정 핀(후방측)(14-3-2) 및 위치설정 핀(전방측)(14-3-1)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부이다. 이들 조절부는 현상 장치(14)가 드럼 유닛(11)에 대해 위치설정될 때, 현상 장치(14)를 조절하여, 현상 장치(14)의 일단측이 회전 중심을 구성하고, 현상 장치(14)의 타단측이 현상 장치(14)의 상기 일단측에 대해 회전할 수 있다.
제2 액추에이터부(후방측)(11-3-2) 및 하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후방측)(14-2-3)는 서로 접촉되고(하부 후방측 접촉부), 제2 액추에이터부(전방측)(11-2-2) 및 하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전방측)(14-2-2)는 서로 접촉되어(하부 전방측 접촉부), 하부 슬리브(14-2-1)와 감광 드럼(11-1) 사이의 간격(간극)이 결정된다.
도 10 내지 도 15는 압박력(압력)이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경우, 화살표(B) 방향 또는 화살표(C) 방향에 대한 현상 장치(14)의 자세 변화를 도시한다. 부수적으로, 이들 도면에 있어서의 롤러 형상은 롤러 변형량을 과장되게 나타냄으로써 이해를 돕도록 도시되어 있다.
압박력이 증가되면, 접촉 압력 아치부(후방측)(11-3-2) 및 하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후방측)(14-2-3)가 커지게 된다(도 10).
압박력이 증가되면, 제2 아치부(전방측)(11-2-2)와 하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전방측)(14-2-2) 사이의 접촉 압력이 커지게 된다(도 13).
여기서, F1 및 F4는 각각 압박 유닛(21)에 의한 압박력과 현상 장치(14)에 의해 수용되는 중력의 합성력을 나타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F2는 제2 아치부(후방측)(11-3-2)와 하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후방측)(14-2-3)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현상 장치(14)에 의해 수용되는 반력을 나타낸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5는 제2 아치부(전방측)(11-2-2)와 하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전방측)(14-2-2)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현상 장치(14)에 의해 수용되는 반력을 나타낸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 및 F2의 합성력에 의해, 현상 장치(14)는 하부 슬리브(14-2-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B 방향으로), 제1 아치부(후방측)(11-3-1) 및 상부 슬리브 아치부(후방측)(14-1-3)가 접촉된다(상부 후방측 접촉부).
여기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설정 핀(후방측)(13-3-2)의 단부는 구형이며, 이에 따라, 현상 장치의 회전에 대한, 위치설정 구멍(후방측)(11-3-3)과 위치설정 핀(후방측)(14-3-2) 사이의 결합의 영향은 미미하다.
F4 및 F5의 합성력에 의해, 현상 장치(14)가 위치설정 핀(후방측)(14-3-2)을 중심으로 회전되어(C 방향으로), 제1 아치부(전방측)(11-2-1) 및 상부 슬리브 아치부(전방측)(14-1-2)가 접촉된다(상부 전방 접촉부)(도 14).
여기서, 위치설정 구멍(전방측)(11-2-3)은 감광 드럼(11-1)의 원주 방향에 대해 기다란 형태의 원형 구멍이며, 따라서 B 방향으로의 현상 장치의 회전에 대한, 위치설정 구멍(전방측)(11-2-3)과 위치설정 핀(전방측)(14-3-1) 사이의 결합의 영향은 미미하다(도 18). 유사하게, 위치설정 구멍(후방측)(11-3-3)은 감광 드럼(11-1)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 기다란 형태의 원형 구멍이며, 이에 따라 C 방향으로의 현상 장치의 회전에 대한 영향은 미미하다.
F3는 제1 아치부(후방측)(11-3-1)과 상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후방측)(14-1-3)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현상 장치(14)에 의해 수용되는 반력을 나타낸다.
F6은 제1 아치부(전방측)(11-2-1)과 상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전방측)(14-1-2) 사이의 접촉으로 인해 현상 장치(14)에 의해 수용되는 반력을 나타낸다.
압박력이 추가적으로 증가되고, 이에 따라 압박 유닛(21)의 공칭 압박력인 4.7kgf에 이르는 경우에, 압박 유닛(21)의 4개의 압박 핀은 감광 드럼의 중심이 F1과 F4의 작용선 상에 위치되도록 설정된다.
F2와 F3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이 차이는 B 방향으로 현상 장치(14)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멘트이며, 이에 따라 현상 장치(14)는 F2 및 F3의 크기가 서로 동일해지는 결과가 되어, B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도 12).
F5와 F6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이 차이는 C 방향으로 현상 장치(14)를 회전시키기 위한 모멘트이며, 이에 따라 현상 장치(14)는 F5 및 F6의 크기가 서로 동일해지는 결과가 되어, C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도 15). 전술한 구성에 기초하여, 드럼 유닛(11)에 대해 현상 장치(14)를 위치설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한 SD 간극 오차에 대한, 쌍을 이룬 슬리브 사이의 정렬 오차의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의, 현상 장치(14)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기어의 위치 및 현상 장치(14)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설정 구멍(후방측)(11-3-3)의 위치는 현상 슬리브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 동일한 측에 제공된다. 결과적으로, 현상 장치(14)를 회전시킴으로써, 쌍을 이루는 슬리브 사이의 정렬 오차가 감소되는 구성에 있어서, 현상 장치(14)의 구동 기어와 주 조립체 측 구동 기어 사이의 결합의 편차(각각의 회전축 사이의 오정렬)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실시예의 효과를 설명한다.
상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전방측)(14-1-2)가 제1 아치부(전방측)(11-2-1)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상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전방측)(14-1-2)의 위치가 100㎛만큼 공칭 위치로부터 편위되는 경우를 개시한다. 이 경우에, SD 간극 오차에 대한 종래 구성과 본 실시예의 구성의 영향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종래의 구성의 경우에, 압박 유닛(21)에 의한 압박 이전의, 제1 아치부(전방측)(11-2-1)와 상부 슬리브 맞대기 롤러(전방측) 사이의 간격은 100㎛이다. 이러한 이유로, 상부 슬리브(14-1-1)와 감광 드럼(11-1) 사이의 SD 간극은 압박 이전의 공칭값을 기초로 하여, 전방측에서 +75㎛(상부 전방측 SD 간극), 중앙부에서 +50㎛(상부 중앙 SD 간극) 및 후방측에서 +25㎛(상부 후방측 SD 간극)이다(도 19). 하부 슬리브(14-2-1)와 감광 드럼(11-1) 사이의 SD 간극은 전방측(하부 전방측 SD 간극), 중앙부(하부 중앙 SD 간극) 및 후방측(하부 후방측 SD 간극) 각각의 공칭값이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압박 유닛(21)의 공칭 압박이 행해진다. 압박에 의해, 현상 장치(14)는 4개의 접촉부를 감광 드럼에 접촉시키도록 비틀려진다. 그러나, 4개의 접촉부에 있어서의 접촉 압력은 서로 상이하며, 롤러 변형량도 4개의 접촉부에서 서로 상이하다. 롤러 각각은 1kgf의 압력하에서, 100㎛의 양으로 변형된다. 이 경우에, 상부 전방측 접촉부 및 하부 후방측 접촉부에서의 접촉 압력은 0.5kgf이며, 상부 후방측 접촉부 및 하부 전방측 접촉부에서의 접촉 압력은 1.5kgf이다. 4개의 접촉부에서의 접촉 압력이 서로 동일하고, 변형량이 100㎛이며, 이로써 압박 동안의 공칭 SD 간극이 압박 이전의 공칭 SD 간극보다 100㎛만큼 작다. 결국, SD 간극은, 압박 동안의 공칭값을 기초로 할 때, 상부 전방측에서 +50㎛, 상부 중앙부에서 ±0㎛, 상부 후방측에서 -50㎛, 하부 전방측에서 -50㎛, 하부 중앙부에서 ±0㎛ 및 하부 후방측에서 +50㎛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의 경우에, 압박 유닛(21)에 의한 압박 이전에, 현상 장치(14)의 위치는 결정되지 않는다. 압박에 의해, 현상 장치(14)는 상부 후방측 접촉부와 하부 후방측 접촉부에서의 접촉 압력이 1kgf가 될 때까지 B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다. 이때, 현상 장치(14)가 C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경우, 상부 전방측 접촉부에서는, 100㎛의 간극이 생성된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현상 장치(14)는 상부 전방측 접촉부와 하부 전방측 접촉부에서의 접촉 압력이 서로 동일할 때까지 C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들 접촉 압력이 서로 동일한 경우, 상부 및 하부 전방측 접촉부에서의 롤러 변형량은 서로 동일하게 되고, 이에 따라 롤러와 위치설정 블럭 사이의 관련 간격이 서로 동일하게 된다. C 방향으로 238.4㎛만큼의 현상 장치(14)의 회전에 의해, 롤러와 위치설정 블럭 사이의 이러한 간격은 서로 동일하게 되고, 따라서 상부 및 하부 전방측 접촉부에서의 접촉 압력이 서로 동일하게 된다. 이때, 상부 슬리브(14-1-1) 및 하부 슬리브(14-2-1)는 감광 드럼(11-1)과 오정렬하게 되며, 이로써 상부 중앙 SD 간극 및 하부 중앙 SD 간극이 작아진다. 그러나, 오정렬의 영향은 0.13㎛로서 매우 작다. 결국, SD 간극은, 압박 동안의 공칭값을 기준으로, 상부 전방측에서 -0.065㎛, 상부 중앙부에서 -0.13㎛, 상부 후방측에서 -0.065㎛, 하부 전방측에서 -0.065㎛, 하부 중앙부에서 -0.13㎛ 및 하부 후방측에서 -0.065㎛이다.
또한, 쌍을 이룬 슬리브 사이의 매우 큰 정렬 오차를 제공하는 결함부가 사용되는 경우라도, 감광 드럼(11-1)은 상부 슬리브(14-1-1) 및 하부 슬리브(14-2-1)에 접촉되지 않아 손상을 야기하지 않는다. 이하에 있어서, 쌍을 이룬 슬리브 사이의 정렬 오차가 10mm인 경우가 일례로서 설명된다.
위치설정 구멍(전방측)(11-2-3)은 4.6mm×5.6mm의 기다란 원형 구멍이며, 따라서 현상 장치(14)는 ±0.5mm의 간격으로 C 방향으로 회전만될 수 있다. 즉, 현상 장치(14)의 회전량이 조절된다. 10mm의 정렬 오차를 제공하는 결함부가 사용되는 경우, 위치설정 핀(전방측)(14-3-1)은 위치설정 구멍(전방측)(11-2-3)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에 맞닿는다. 이때, SD 간극은 0.572㎛이다. SD 간극의 공칭값은 270㎛이며, 따라서 위치설정 핀과 구멍이 서로 접촉하게 될 가능성은 없다.
부수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위치설정 핀과 결합되는 위치설정 구멍의 위치설정은 드럼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구멍으로 하나의 위치설정 구멍을 형상화하고, 드럼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구멍으로 다른 위치설정 구멍을 형상화함으로써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하나의 위치설정 구멍은 드럼의 원주 방향 및 축선 방향에 대해 위치설정 핀을 위치설정하기 위해 위치설정 핀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원주 구멍으로 형상화된다. 한편, 다른 (단부측) 위치설정 구멍은 유극을 갖는 위치설정 핀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상화된다. 따라서, 다른 (단부측) 위치설정 핀은 회전 중심에서 하나의 (단부측) 위치설정 핀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핀이 현상 유닛 측에 제공되고, 구멍이 드럼 유닛 측에 제공되는 예가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핀이 드럼 유닛 측에 제공되고, 구멍이 현상 유닛 측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핀과 구멍의 구성이, 핀이 구멍에 삽입되는 구성이 아닌 경우라도, 상기 구성이 현상 유닛 및 드럼 유닛을 조절할 수 있는 한 어떠한 구성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슬리브 맞대기 롤러가 그 위치에 접촉되도록 본 발명의 기술을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롤러가 드럼의 단부에 드럼과 동축으로 제공되고, 슬리브의 단부 자체 또는 현상 유닛에 제공되는 맞닿음 표면이 접촉되는 구성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성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의 범주 또는 개선의 목적 범위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변형 또는 변경을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7)

  1. 상 담지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화상 형성 유닛과,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제1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및 상기 상 담지체에 형성되는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제2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를 포함하는 현상 유닛과,
    상기 상 담지체와 상기 제1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의 양측에 제공되는 제1 간극 조절 수단과,
    상기 상 담지체와 상기 제2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2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의 양측에 제공되는 제2 간극 조절 수단과,
    상기 제1 간극 조절 수단 및 상기 제2 간극 조절 수단이 상기 상 담지체에 제공되는 맞닿음부에 대해 압박되도록 상기 현상 유닛을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을 향해 압박하는 압박 수단과,
    상기 화상 형성 유닛에 대해 상기 현상 유닛을 위치설정하고, 상기 현상 유닛의 종방향 일단부에서 상기 상 담지체의 원주 방향으로의 상기 현상 유닛의 이동을 허용하면서, 상기 현상 유닛의 종방향 타단부에서 상기 상 담지체의 원주 방향으로의 상기 현상 유닛의 이동을 방지하는 방지부를 포함하는 위치설정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 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구동 기어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주 조립체 측에 제공되는 구동원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1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축 방향에 대해 상기 방지부가 제공되는 측과 동일한 측에 제공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은 상기 현상 유닛의 종방향 일단부에 제공되는 제1 핀, 및 상기 화상 형성 유닛에 제공되어 상기 제1 핀과 결합되는 제1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멍은 상기 상 담지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구멍으로서, 상기 제1 구멍은 상기 상 담지체의 축선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핀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핀은 상기 상 담지체의 현상 유닛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은 상기 현상 유닛의 종방향 타단부에 제공되는 제2 핀, 및 상기 화상 형성 유닛에 제공되어 제2 핀에 결합되는 제2 구멍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상 담지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구멍으로서,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상 담지체의 원주 방향으로의 상기 제2 핀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 핀은 상기 상 담지체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 유닛의 종방향 일단부가 상기 현상 유닛의 종방향 타단부에 대해 회전되는 경우에, 상기 위치설정 수단은 상기 현상 유닛의 회전량을 조절하여, 상기 제1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 및 상기 제2 회전 가능한 현상제 담지체가 상기 상 담지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은 상기 화상 유닛의 종방향 일단부에 제공되는 제1 핀, 및 상기 현상 유닛에 제공되어 상기 제1 핀에 결합되는 제1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멍은 상기 상 담지체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구멍으로서, 상기 제1 구멍은 상기 상 담지체의 축선 방향으로의 상기 제1 핀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핀은 상기 상 담지체의 현상 유닛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설정 수단은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의 종방향 타단부에 제공되는 제2 핀, 및 상기 현상 유닛에 제공되어 상기 제2 핀과 결합되는 제2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상 담지체의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다란 구멍으로서, 상기 제2 구멍은 상기 상 담지체의 원주 방향으로의 상기 제2 핀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 핀은 상기 상 담지체의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0110043415A 2010-05-10 2011-05-09 화상 형성 장치 KR1013522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08792 2010-05-10
JP2010108792 2010-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4153A true KR20110124153A (ko) 2011-11-16
KR101352251B1 KR101352251B1 (ko) 2014-01-16

Family

ID=44117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415A KR101352251B1 (ko) 2010-05-10 2011-05-09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68215B2 (ko)
EP (1) EP2386912B1 (ko)
JP (1) JP4854815B2 (ko)
KR (1) KR101352251B1 (ko)
CN (1) CN102243460B (ko)
BR (1) BRPI1102513B1 (ko)
RU (1) RU2479865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58843A (ja) * 2010-02-03 2011-08-18 Brother Industries Ltd プロセスユニット
US9122235B2 (en) * 2012-09-11 2015-09-01 Canon Kabushiki Kaisha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eans to regulate movement of developing unit with respect to drum unit in axial direction of developing roller
JP5669794B2 (ja) * 2012-09-11 2015-02-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39330B2 (ja) * 2012-09-14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98728B2 (ja) 1993-11-12 2002-07-0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3289498B2 (ja) 1994-07-14 2002-06-04 日立工機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の現像装置
JPH09230694A (ja) * 1996-02-27 1997-09-05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H10211748A (ja) 1997-01-30 1998-08-11 Seiko Epson Corp プラテンギャップ調整装置
US7199898B2 (en) 2000-06-09 2007-04-03 Canon Kabushiki Kaisha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385417B1 (en) 2000-07-07 2002-05-07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Holding structure of image holding member in image forming system
JP2002351211A (ja) 2001-05-30 2002-12-06 Canon Inc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2357951A (ja) 2001-05-30 2002-12-13 Canon Inc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3149943A (ja) 2001-11-14 2003-05-21 Canon Inc 現像装置
JP4566688B2 (ja) 2004-10-15 2010-10-20 シャープ株式会社 現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628932B2 (ja) 2005-11-04 2011-02-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8191233A (ja) 2007-02-01 2008-08-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328139B2 (ja) 2007-11-09 2013-10-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90678B2 (ja) 2008-04-30 2013-04-24 株式会社リコー ローラ間距離調節方法、現像ギャップ調節方法、ローラ装置、作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4553161B2 (ja) 2008-05-15 2010-09-29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489828B2 (ja) 2010-04-07 2014-05-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74470A1 (en) 2011-11-10
CN102243460B (zh) 2013-10-30
BRPI1102513A2 (pt) 2014-02-25
EP2386912B1 (en) 2016-01-06
US8768215B2 (en) 2014-07-01
RU2479865C2 (ru) 2013-04-20
JP2011257745A (ja) 2011-12-22
CN102243460A (zh) 2011-11-16
KR101352251B1 (ko) 2014-01-16
EP2386912A3 (en) 2014-03-05
JP4854815B2 (ja) 2012-01-18
EP2386912A2 (en) 2011-11-16
RU2011118418A (ru) 2012-11-20
BRPI1102513B1 (pt) 202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277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1352251B1 (ko) 화상 형성 장치
US11106175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securing device to secure a photoconductor unit and a developing unit
JP465870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4780163B2 (ja) イメージング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US11507016B2 (en) Developing apparatus
JP2009139518A (ja) 画像形成装置
JP6061190B2 (ja) ベルトの片寄り補正機構、ベルト装置、転写ベルト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1044470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5293317B2 (ja) 画像形成装置
JP5007698B2 (ja) 画像形成装置
KR101411819B1 (ko) 화상 형성 장치
US20100119259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77784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84698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US10802436B2 (en) Image heating apparatus having moveable coupling gear to couple and decouple a photosensitive drum
US11467529B2 (en) Cleaning device including cleaning blade pressed by a plurality of springs
JP7433780B2 (ja) 画像形成装置
US717757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developing gap adjusting method i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314047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522231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24039446A (ja) 画像形成装置
JP202017342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008678A (ja)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ベルト搬送装置
JP2009080408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