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819B1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819B1
KR101411819B1 KR1020100103249A KR20100103249A KR101411819B1 KR 101411819 B1 KR101411819 B1 KR 101411819B1 KR 1020100103249 A KR1020100103249 A KR 1020100103249A KR 20100103249 A KR20100103249 A KR 20100103249A KR 101411819 B1 KR101411819 B1 KR 101411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eloping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image
rot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3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7977A (ko
Inventor
신지로 도바
다까히또 우에노
시게오 미야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47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7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15/0105Details of unit
    • G03G15/0121Details of unit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photosensitive ele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 G03G2215/0177Rotating set of developing un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화상 형성 장치는, 정전상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와;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용기, 담지된 현상제로 상기 정전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담지체 및 상기 상 담지체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와; 상기 현상 장치가 상기 상 담지체에 대향하는 위치를 향해 장착된 현상 장치를 회전 가능하게 이동시키는 가동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동 부재는 회전 샤프트 부재,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의 회전축 방향 일단부에 유극(play)을 갖고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와 결합된 제1 부재,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의 회전축 방향 타단부에 유극을 갖고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와 결합된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장치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1 피 가이드부가 유극을 갖고 결합 가능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장치의 타단부에 제공된 제2 피 가이드부가 유극을 갖고 결합 가능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상기 가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의 일단부에서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상기 가동 부재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요동 지지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의 타단부에서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가동 부재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요동 지지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상 담지체를 향해 압박하는 압박부와;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1 억제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2 억제부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수의 현상 장치를 포함하는 컬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현상 장치는, 상 담지체(감광체 드럼이라고도 함)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하여 토너 상으로서 가시화하며, 현상 카트리지는, 현상 장치를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다.
복사기, 프린터 또는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상 담지체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함으로써 토너 상으로서 가시화하고 있다.
종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현상 장치는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 수단에 의해 현상하여 토너 상으로서 가시화한다.
현상 카트리지는, 상 담지체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현상제 담지체, 현상제를 수납하는 토너 수납부 및, 현상제 층 두께를 규제하는 현상 블레이드를 일체로 조립하여 카트리지화하고, 이 카트리지를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복수의 현상 카트리지를 탑재 가능한 가동 부재(이후 로터리라고도 함)를 포함하고 로터리식의 현상 장치를 포함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가 제안되어, 상업화가 의도되어 있다(일본 특허 제3940919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3-302807호 공보, 일본 특허출원 공개 평 10-221919호 공보 및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0-231239호 공보).
이러한 로터리 구성은, 현상 카트리지를 지지하고, 현상 카트리지 중 하나의 현상 롤러를 감광체 드럼에 대하여 감광체 드럼의 회전축 방향으로 균일하게 접촉시킨다.
이때, 도 6의 (a) 및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 본체는 로터리에 압박력을 부여함으로써, 구멍(307a, 306a)을 요동 중심으로 하여, 감광체 드럼에 대하여 현상 롤러를 가압시킨다.
그로 인해, 현상 롤러를 전술한 바와 같이 감광체 드럼에 균일하게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로터리의 치수 정밀도와 지지 강성 및 현상 카트리지의 치수 정밀도와 강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설명하고 있는 로터리 구성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각 부품의 치수 정밀도에 있어서의 편차(variation), 예를 들어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1과 R2의 길이가 상이한 경우에, 구멍(307a)의 중심(요동 중심)을 현상 롤러 단부(2aL)의 중심에 연결하는 선 및 구멍(306a)의 중심(요동 중심)을 현상 롤러 단부(2aR)의 중심에 연결하는 선은 상대적인 각도차(β)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도 6의 (b) 및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 단부(2aR)는 감광체 드럼(3a)에 접촉하지만, 현상 롤러 단부(2aL)는 감광체 드럼(3a)으로부터 이격되어, 현상 롤러(2a)가 감광체 드럼(3a)과 완전히 접촉하지는 않게 된다.
또한, 이에 대한 대책으로서, 현상 롤러(2a)를 화살표 Y 방향으로 감광체 드럼(3a)과 강하게 접촉시킨 경우에는, 비록 간극(d)은 발생하지는 않지만, 현상 롤러(2a)의 접촉압이 감광체 드럼의 길이 방향에 대해 불균일해져 버린다. 따라서, 현상 롤러와 감광체 드럼 사이의 접촉 폭(현상 닙 폭)이 감광체 드럼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불균일해져, 화상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제조상의 치수 관리를 엄격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있어서, 현상 롤러를 감광체 드럼에 대하여 감광체 드럼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균일하게 접촉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는, 현상 롤러 및 감광체 드럼을 유지하는 각 부품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감광체 드럼에 대하여 현상 롤러를 고정밀도로 위치 결정시킬 필요가 있었다.
이를 위한 하나의 대책으로서, 현상 카트리지를 탑재하고 있는 로터리의 강성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즉, 로터리에 대해 고 강성의 재료를 선택하던지 또는 부재의 두께를 증가시켜 강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대책의 결과로서,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 특허 제3940919호 공보에는 이 공보의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가 감광체 드럼에 대하여 (감광체 드럼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접촉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구성은 현상 카트리지를 감광체 드럼 길이 방향으로 착탈시키는 구성에만 유효할 뿐, 현상 카트리지를 로터리의 반경 방향으로 착탈시키는 구성에는 부적합하다.
또한, 일본 특허출원 공개 제2003-302807호 공보의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선택했을 경우에는, 로터리의 구성이 복잡화되고, 이에 따라 제조 비용이 상승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주 목적은 간소한 구성으로, 현상제 담지체를 상 담지체에 대하여 상 담지체의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정전상(electrostatic image)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와;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용기, 담지된 현상제로 상기 정전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담지체 및 상기 상 담지체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와;
회전 샤프트 부재,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의 회전축 방향 일단부에 유극(play)을 갖고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와 결합된 제1 부재,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의 회전축 방향 타단부에 유극을 갖고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와 결합된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장치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1 피 가이드부가 유극을 갖고 결합 가능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장치의 타단부에 제공된 제2 피 가이드부가 유극을 갖고 결합 가능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장착된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현상 장치가 상기 상 담지체에 대향하는 위치를 향해서 회전 이동시키는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의 일단부에서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상기 가동 부재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요동 지지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의 타단부에서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기 가동 부재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요동 지지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상 담지체를 향해 압박하는 압박부와;
상기 제1 부재의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1 억제부와;
상기 제2 부재의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2 억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화상 형성 시의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현상 카트리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의 (a) 및 도 5의 (b)는 본 발명에 관한 현상 카트리지의 착탈을 도시하는 도면.
도 6의 (a) 내지 도 6의 (c)는 종래의 현상 카트리지의 접촉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의 (a) 내지 도 7의 (c)는 본 발명에 관한 로터리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 8의 (a) 내지 도 8의 (c)는 본 발명에 관한 현상 롤러와 감광체 드럼 사이의 접촉을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로터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도.
도 10의 (a) 및 도 10의 (b)는 본 발명에 관한 로터리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로터리를 그 일 측면으로부터 본 상세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로터리의 상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관한 현상 카트리지의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관한 현상 카트리지의 현상 자세 시에 있어서의 상세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에 관한 현상 카트리지의 측면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의 (a) 및 도 16의 (b)는 본 발명에 관한 걸림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의 (a) 및 도 17의 (b)는 본 발명에 관한 로터리의 지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 구성)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동작에 대해서 도 1을 사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4색 풀 컬러 레이저 빔 프린터이며, 도 1은 그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1)는 감광체 드럼(상 담지체)(3a)을 포함한다. 감광체 드럼(3a)의 주위에는, 감광체 드럼(3a)을 균일하게 대전하기 위한 대전 수단(3b)과, 감광체 드럼(3a)의 표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감광체 드럼(3a) 상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수단(12)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감광체 드럼(3a) 상에 형성된 잠상을 현상하는데 사용되는 옐로우 현상 장치(5a), 마젠타 현상 장치(5b), 시안 현상 장치(5c) 및 블랙 현상 장치(5d)와, 감광체 드럼(3a) 상의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클리닝 수단(3c)이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광체 드럼(3a), 대전 수단(3b) 및 클리닝 수단(3c)이 일체로 구성되고, 또한, 화상 형성 장치(11)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드럼 카트리지(3)로 조립된다. 감광체 드럼(3a), 대전 수단(3b) 및 클리닝 수단(3c) 각각은 독립한 구성일 수도 있고, 또한 일체화된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감광체 드럼(3a)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에 고정될 수도 있다.
복수의 현상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가동 부재인 로터리(101)에 의해 유지된다. 각 현상 장치는, 로터리(101)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고, 또는 로터리(101)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방식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장치가 로터리(101)에 대하여 착탈가능한 현상 카트리지 방식의 현상 장치를 예시하였으나, 현상 장치는 옐로우 현상 카트리지(5a), 마젠타 현상 카트리지(5b), 시안 현상 카트리지(5c) 및 블랙 현상 카트리지(5d)로서 설명될 것이다.
로터리(101)는 옐로우 현상 카트리지(5a), 마젠타 현상 카트리지(5b), 시안 현상 카트리지(5c) 및 블랙 현상 카트리지(5d) 모두에 대해 동일한 현상 카트리지 유지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리(101)가 각각의 현상 카트리지를 유지하는 구성은 옐로우 현상 카트리지(5a)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101)는, 제1 지지 부재(제1 부재)인 제1 디스크(104)와, 제2 지지 부재(제2 부재)인 제2 디스크(103)를 포함한다. 제1 디스크(104)는, 현상 카트리지(현상 장치)(5a)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1 피 걸림부인 가이드부(제1 피 가이드부)(9a11)를 지지한다. 제2 디스크(103)는, 현상 카트리지(현상 장치)(5a)의 타단부에 제공된 제2 피 걸림부인 가이드부(제2 피 가이드부)(9e11)를 지지한다.
또한, 로터리(101)에는 현상 카트리지(5a)를 장착 위치로 안내하기 위해서, 현상 카트리지(5a)를 로터리(101)에 장착할 때의 가이드 홈[(제1 가이드부)(104a) 및 (제2 가이드부)(103a)]이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도어(22)(도 1)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현상 카트리지 걸림 부재(104a1, 103a1)가 도 5의 (a) 및 도 16의 (b) 내의 화살표 F2 방향으로 퇴피한다. 그 후, 로터리(101)는 가이드부(9a11, 9e11)가 각각 가이드 홈(104a, 103a)에 의해 수용 가능한 상태[즉, 현상 카트리지(5a)가 로터리(101)에 장착되는 것을 저해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 후, 유저는 유지부(H)를 잡고, 현상 카트리지(5a)를 도 5의 (a) 및 도 5의 (b)의 화살표 R 방향으로 장착한다. 가이드 홈(104a)에는 현상 카트리지(5a)의 가이드부(9a11)가 결합되고 또한, 가이드 홈(103a)에는 현상 카트리지(5a)의 가이드부(9e11)가 결합되어, 현상 카트리지(5a)를 장착 위치로 안내한다.
그 후, 현상 카트리지(5a)가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도시된 화살표 R 방향 소정의 위치까지 도달하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도어(22)(도 1)를 폐쇄하면, 현상 카트리지 걸림 부재(104a1, 103a1)는 도 5의 (a) 및 도 16의 (a) 내의 화살표 F1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현상 카트리지 걸림 부재(103a1)의 걸림면과 가이드부(9e11)의 걸림면(9e11a)이 서로 접촉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 걸림 부재(104a1)도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도 5의 (a) 및 도 16의 (a)에 도시된 화살표 F1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 부재(104a1)의 걸림면과 가이드부(9a11)의 걸림면(9a11a)이 서로 접촉하여, 옐로우 현상 카트리지(5a)가 도 1의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억제된다.
즉, 현상 카트리지는 로터리(101)[도 1, 도 5의 (a) 및 도 5의 (b)]에 의해 유지되어 로터리(101)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도어(22)를 개방한 상태에서는, 도어(22)를 개방하는 동작과 연동해서 현상 카트리지 걸림 부재(103a1)가 도 5의 (b)의 화살표 F2 방향으로 퇴피하여, 걸림 부재(131a1)와 가이드부(9e11)의 걸림면(9e11a)의 결합이 해제된다. 또한, 반대 측도 마찬가지로 도어(22)를 개방하는 동작과 연동해서 현상 카트리지 걸림 부재(104a1)가 도 5의 (a)의 화살표 F2 방향으로 퇴피하여, 걸림 부재(104a1)의 걸림면과 걸림면(9a11a)의 결합이 해제되어, 현상 카트리지가 로터리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마젠타 현상 카트리지(5b), 시안 현상 카트리지(5c) 및 블랙 현상 카트리지(5d)에는, 각각 가이드부(9b11, 9c11, 9d11)가 제공된다. 이들 가이드부(9b11, 9c11, 9d11)가, 각각 로터리(101)에 제공된 카트리지 걸림 부재(104b1, 104c1, 104d1)와 결합함으로써, 현상 카트리지(5b, 5c, 5d)는 로터리(101)에 의해 유지되어서 로터리(101)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타단부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의 구성에 의해, 마젠타 현상 카트리지(5b), 시안 현상 카트리지(5c) 및 블랙 현상 카트리지(5d)에는, 각각 피 걸림부(9f11, 9g11, 9h11)가 제공되어 있다. 이들 피 걸림부(9f11, 9g11, 9h11)가 각각 로터리(101)에 제공된 현상 카트리지 걸림 부재(103b1, 103c1, 103d1)와 결합함으로써, 현상 카트리지(5b, 5c, 5d)는 로터리(101)에 의해 유지되어 로터리(101)의 회전 반경 방향으로 탈락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화상 형성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먼저, 감광체 드럼(3a)을 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감광체 드럼(3a)의 회전과 동기하여, 중간 전사 벨트(13)는 도 1의 화살표 C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이 감광체 드럼(3a)의 표면을 대전 수단(3b)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하는 동시에, 노광 수단(12)에 의해 옐로우 화상을 위한 광 조사를 행하여, 감광체 드럼(3a) 상에 옐로우용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로터리(101)는, 옐로우 현상 카트리지(5a), 마젠타 현상 카트리지(5b), 시안 현상 카트리지(5c) 및 블랙 현상 카트리지(5d)를 유지한다. 로터리(101)는, 로터리 회전 샤프트(101a)를 중심으로 화상 형성 장치(11)에 제공된 구동 전달 기구에 의해 도 1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한다. 로터리(101)의 회전에 의해, 옐로우 현상 카트리지(5a)는 이 옐로우 현상 카트리지(5a)가 감광체 드럼(3a)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 즉 도 2에 도시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리고, 감광체 드럼(3a)에 형성된 잠상에 옐로우 현상제가 부착되도록, 감광체 드럼(3a)과 현상제 담지체인 현상 롤러(2a) 사이에 전위차가 제공된다. 이에 의해, 감광체 드럼(3a)에 형성된 잠상에 옐로우 현상제를 부착시켜 현상한다. 즉, 감광체 드럼(3a)에 옐로우 현상제 상이 형성된다.
그 후, 중간 전사 벨트(13) 내측에 배치된 1차 전사 롤러(14)에 토너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압을 인가하여, 옐로우 토너 상을 감광체 드럼(3a)으로부터 중간 전사 벨트(13) 상으로 1차 전사한다.
상술한 방식으로, 옐로우 토너 상의 1차 전사가 종료하면, 로터리(101)가 화상 형성 장치(11)의 구동 전달 기구(도시하지 않음)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도 1의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그리고, 마젠타 현상 카트리지(5b), 시안 현상 카트리지(5c) 및 블랙 현상 카트리지(5d)가 순차적으로, 위치 결정된 현상 카트리지가 감광체 드럼(3a)에 대향하는 현상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옐로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마젠타, 시안 및 블랙의 각 색에 대해서, 정전 잠상의 형성, 정전 잠상의 현상 및 1차 전사가 순차적으로 실행되어, 중간 전사 벨트(13) 상에 4색의 토너 상이 중첩된다.
이러한 화상 형성 동작 동안,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전사 롤러(15)는 중간 전사 벨트(13)와는 비접촉 상태에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13)용 클리닝 유닛(16)도 중간 전사 벨트(13)와는 비접촉 상태에 있다.
한편, 토너 상에 대한 기록 물질(매체)인 시트(110)는, 화상 형성 장치 하부에 제공된 급지 카세트(17)에 적재 수납되고, 급지 롤러(18)에 의해 급지 카세트(17)로부터 1매씩 분리 급송되어 반송 롤러(19)에 급지된다. 반송 롤러(19)는, 급지된 시트(110)를 중간 전사 벨트(13)와 2차 전사 롤러(15) 사이로 송출한다. 여기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 전사 롤러(15)는 중간 전사 벨트(13)에 압접된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2차 전사 롤러(15)에는 토너 대전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어, 중간 전사 벨트(13) 상에 중첩된 전술한 4색의 토너 상은, 반송된 시트(110)의 표면에 2차 전사된다.
토너 상이 전사된 시트(110)는 정착 장치(20)에 보내진다. 정착 장치(20)에 있어서는, 시트(110)가 가열과 동시에 가압되어, 토너 상이 시트(110) 상에 정착된다. 이에 의해, 시트(110) 상에 화상이 형성된다. 그 후, 시트(110)는, 정착 장치(20)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1) 외부의 배지부(21)로 배출된다.
(현상 카트리지)
옐로우 현상 카트리지(5a), 마젠타 현상 카트리지(5b), 시안 현상 카트리지(5c) 및 블랙 현상 카트리지(5d)의 구성은 모두 동일하다. 따라서, 현상 카트리지 구성에 대한 설명은 옐로우 현상 카트리지(5a)에 대해서 행할 것이다. 옐로우 현상 카트리지(5a)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되고, 그 단면도가 도 14에 도시된다.
현상 롤러(2a)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 롤러부(2a3)와 강체 샤프트(2a1)로 구성되어 있다. 강체 샤프트(2a1)는, 현상 롤러(2a)의 회전축 방향으로 고무 롤러부(2a3)를 관통하여, 그 일단부에서 고무 롤러부(2a3)로부터 돌출된 돌출부[도 3에 도시된 강체 샤프트(2a1)의 단부면(2a2)을 갖는 단부]를 형성한다.
또한, 현상 롤러(2a)의 강체 샤프트(2a1)는 마찬가지로 타단부에도 돌출부를 갖는다.
또한, 현상 롤러(2a)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현상 롤러 베어링(9a)의 베어링부(9a10)와 강체 샤프트(2a1)의 단부 사이의 결합 및 현상 롤러 베어링(9e)의 베어링부(도시하지 않음)와 강체 샤프트(2a1)의 타단부(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결합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즉, 현상 롤러 베어링(9a)은, 도 4에 도시된 보스(9a7)가 구멍(10a)과 결합되고, 베어링(9a)에 제공된 도시되지 않은 보스가 구멍(10c)과 결합하여 베어링(9a)이 현상 용기(7a)에 위치 결정된다. 그 후, 나사(21)를 구멍(9a9)에 통과시켜서 나사 구멍(10b)에 체결하여, 현상 롤러 베어링(9a) 및 현상 용기(7a)가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대향하는 현상 롤러 베어링(9e)도 유사한 구성으로 현상 용기(7a)에 고정된다.
다음으로, 현상 카트리지 내의 현상 동작에 대해서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현상 동작중에 있어서의 현상 카트리지(5a)의 주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용기(7a) 내의 토너(10)는 토너 공급 롤러(8a)에 공급되고, 토너 공급 롤러(8a)는 도 14의 화살표 E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현상 롤러(2a)에 토너(10)를 공급한다.
현상 롤러(2a)는,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현상 롤러(2a) 상의 토너(10)가 현상 블레이드(1a)에 의해 규제되고, 감광체 드럼(3a)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대하여 현상된다.
현상 후에 현상 롤러(2a) 상에 남겨진 토너(10)는 토너 공급 롤러(8a)에 의해 제거된다. 그 후, 다시 토너 공급 롤러(8a)에 의해 현상 롤러(2a)에 토너가 공급된다. 현상 롤러(2a)는 도 14의 화살표 F 방향으로 회전하고, 감광체 드럼(3a)에 접촉해서 토너로 정전 잠상을 현상한다.
또한, 현상 롤러(2a)에는, 헬리컬 기어(6a)가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기어(4a) 및 헬리컬 기어(6a)는 서로 맞물려 있어서, 입력 기어(4a)가 도시하지 않은 본체 구동원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아서 회전함으로써 현상 롤러(2a)가 회전한다.
또한, 현상 롤러(2a)에는, 현상 롤러(2a)와 감광체 드럼(3a) 사이의 전위차를 제공하기 위해서, 강체 샤프트(2a1)의 단부면(2a2)(도 3)에 도 5의 (b)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1)의 전기 접점(105a)이 접촉하여 현상 롤러(2a)에 전압이 공급된다.
토너 공급 롤러(8a)(도 14)도 스펀지부(8a1)와 강체 샤프트(8a2)로 구성되어, 현상 롤러(2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강체 샤프트(8a2)에 화상 형성 장치(11)의 전기 접점(도시하지 않음)이 접촉하여 토너 공급 롤러(8a)에 전압이 공급된다.
또한, 현상 위치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현상 롤러(2a)를 감광체 드럼(3a)에 접촉시키기 위해서, 옐로우 현상 카트리지(5a)는 옐로우 현상 카트리지(5a)를 유지하는 로터리(101)와 함께 감광체 드럼(3a) 방향으로 압박된다.
또한, 감광체 드럼(3a) 상의 잠상을 균일하게 현상시키기 위해, 감광체 드럼(3a)에 대하여 현상 롤러(2a)가 길이 방향(현상 롤러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 전역에 걸쳐서 균일하게 접촉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의해, 옐로우 현상 카트리지(5a)의 현상 롤러(2a)는 현상 롤러(2a)가 감광체 드럼(3a)에 소정의 압력으로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본 발명의 로터리 구성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크(104)는 제1 디스크 지지 부재(106)(제1 요동 지지 부재)의 구멍(106b)에 제1 디스크(104)의 중심에 제공된 축(104f)을 결합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1 디스크 지지 부재(106)는 구멍(106a)에 샤프트(101b)의 단부(101b1)를 결합함으로써, 본체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디스크(104)도 본체에 대하여 요동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제2 디스크(103)는 제2 디스크 지지 부재(107)(제2 요동 지지 부재)의 구멍(107b)에 제2 디스크(103)의 중심에 제공된 축(103f)을 결합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제2 디스크 지지 부재(107)는 구멍(107a)에 샤프트(101b)의 단부(101b2)를 결합함으로써, 본체에 대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2 디스크(103)도 본체에 대하여 요동 가능해진다.
제1 디스크(104) 및 제2 디스크(103)는 현상 카트리지를 지지하고, 현상 롤러(2a)를 감광체 드럼(3a)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접촉시키기 위해서, 현상 롤러(2a)의 회전 중심축과 감광체 드럼(3a)의 회전 중심축이 서로 평행해지도록 현상 롤러(2a)를 감광체 드럼(3a)과 위치 맞춤하고 있다.
또한, 제1 디스크(104)에 제공된 디스크 기어(104e)와 제2 디스크(103)에 제공된 디스크 기어(103e) 각각은 샤프트(101b)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관련 기어(109)와 결합된다. 샤프트(101b)에 일체로 부착되어 있는 기어(109)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으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샤프트(101b)를 회전시킨다.
디스크 기어(103e)와 디스크 기어(104e)는 톱니의 개수가 동일하여, 기어(109)의 회전 각도에 따라 양쪽 디스크는 위상이 어긋나지 않고, 또한 기어(109)의 회전 각도와 동일하게 대응하는 각도만큼 회전된다. 또한, 양쪽 디스크 사이에는 로터리 회전 샤프트(회전 샤프트 부재)(101a)가 제공되어 있다. 또한, 로터리 회전 샤프트(101a)는 제1 디스크(104)와 제2 디스크(103)가 회전 샤프트 내측(도 9의 화살표 T 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억제한다. 또한, 로터리 회전 샤프트(101a)는 길이 방향[샤프트(101a)의 축 방향]에 대해 양 디스크의 위치[도 7의 (a)의 폭 간격 Z]를 규제하고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스크(104)의 구멍(104g)에는 로터리 회전 샤프트(101a)의 단부(101aL)가 삽입된다.
또한, 이 구멍(104g)과 샤프트 단부(101aL)는 반경 방향에 대해 유격을 생성하도록 서로 결합되어, 샤프트 단부(101aL)가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다. 여기서, 결합 상태가 도 17의 (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회전 샤프트 부재(101a)의 직경을 φA라 하고, 결합 구멍(104g)의 직경을 φB이라고 하면, 이들 직경은 φA <φB의 관계가 성립된다. 본 실시예에서 φB-φA의 값은 0.1mm로 설정된다. 또한, 이러한 (유극의) 값은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값으로 적합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로 인해,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디스크(103)는 감광체 드럼(3a) 측에 배치되고, 디스크(104)는 상기 디스크(104)가 디스크(103)에 대하여 감광체 드럼(3a)으로부터 이격(화살표 W2의 방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로터리 회전 샤프트(101a)가 기울었을 경우에도, 구멍(104g) 내에서 단부(101aL)가 이동하고, 또한, 구멍(103g) 내에서 단부(101aR)가 이동하여, 도 7의 (c)의 디스크(104)의 W2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반대 측도 마찬가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디스크(103)의 구멍(103g)에는 로터리 회전 샤프트(101a)의 단부(101aR)가 유극을 갖고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디스크(104)가 감광체 드럼(3a) 측에 배치되고, 디스크(103)는 상기 디스크(103)가 디스크(104)에 대하여 감광체 드럼(3a)으로부터 이격(화살표 V1의 방향)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로터리 회전 샤프트(101a)가 기울었을 경우에도, 구멍(104g) 내로 단부(101aL)가 이동하고, 구멍(103g) 내로 단부(101aR)가 이동하여, 도 7의 (b)의 디스크(103)의 V1 방향으로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제1 디스크(104) 및 제2 디스크(103)는 각각 독립하여 서로 간섭하지 않음으로써, 제1 디스크(104)는 도 10의 (a)의 화살표 L1 및 L2 방향으로 요동 가능해지고, 제2 디스크(103)는 도 10의 (b)의 화살표 R1 및 R2 방향으로 요동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로터리에 현상 롤러(5a)를 설치한 상태를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나타낸다. 또한, 이들 각 도면에 있어서, 각 부품의 상태를 이해하기 쉽도록, 1개의 현상 카트리지만이 설치되어, 현상 위치로 이동된다. 현상 카트리지의 위치 결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로터리(101)는 샤프트 단부(101b1, 101b2)에 의해 본체에 요동 가능하게 위치 결정되고, 또한, 제1 디스크(104) 및 제2 디스크(103)는 전술된 유극을 갖고서 로터리 회전 샤프트(101a)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제1 디스크(104)는 현상 롤러(2a)가 감광체 드럼(3a)과 접촉하는 화살표 L2 방향 및 현상 롤러(2a)가 감광체 드럼(3a)으로부터 이격되는 화살표 L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제2 디스크(103)는 현상 롤러(2a)가 감광체 드럼(3a)과 접촉하는 화살표 R1 방향 및 현상 롤러(2a)가 감광체 드럼(3a)으로부터 이격되는 화살표 R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1 디스크(104)의 움직임 및 제2 디스크(103)의 움직임은 서로 영향을 주지 않고, 디스크(104, 103)는 회전 중심으로서의 샤프트(101b)를 중심으로 독립적으로 요동가능하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디스크(104) 및 제2 디스크(103)는, 유극을 갖고 회전 샤프트 부재(101a)에 결합된다. 이 때문에, 제1 디스크(104) 및 제2 디스크(103)는, 디스크 각각이 회전축 방향에 있어서 회전 샤프트 부재(101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에 대하여는, 회전 샤프트 부재(101a)에 의한 구속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디스크(104) 및 제2 디스크(103)가 회전 샤프트 부재(101a)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7의 (a)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제1 디스크(104)를 지지하는 제1 요동 지지 부재(106)에 근접 또는 접촉해서 본체 좌측 프레임(제1 억제부)(111)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요동 지지 부재(106)와 제1 디스크(104)는, 회전 샤프트 부재(101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제2 디스크(103)를 지지하는 제2 요동 지지 부재(107)에 근접 또는 접촉해서 본체 우측 프레임(제2 억제부)(110)이 제공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2 요동 지지 부재(107)와 제2 디스크(103)는, 회전 샤프트 부재(101a)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또한, 디스크(104, 103)에는, 현상 롤러(2a)를 감광체 드럼(3a)에 확실하게 접촉시키기 위해서, 압박 스프링(제1 압박 부재)(108) 및 압박 스프링(제2 압박 부재)(109)이 각각 제공된다. 이들 스프링은 압박부로 칭하기로 한다.
스프링(108)은 그 일단부에서 본체 프레임에 고정된 수용면(111a)[도 10의 (a)]에 고정되고, 타단부에서 제1 디스크 지지 부재(106)에 제공된 압력수용면(106c)에 접촉하여, 감광체 드럼(3a) 방향으로의 힘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스프링(109)은 그 일단부에서 본체 프레임에 고정된 수용면(110a)[도 10의 (b)]에 고정되고, 타단부에서 제2 디스크 지지 부재(107)에 제공된 압력수용면(107c)에 접촉하여, 감광체 드럼(3a) 방향으로의 힘을 부여하고 있다.
이에 의해, 제1 디스크(104) 및 제2 디스크(103)는 감광체 드럼(3a) 방향으로의 힘을 받고, 이 힘이 디스크(104, 103) 사이에 위치된 현상 카트리지에 인가되어 현상 롤러(2a)는 감광체 드럼(3a)과 접촉한다.
또한,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2a)의 양단부 각각에는 현상 롤러(2a)의 고무 롤러부(2a3)보다도 외경이 작은 롤러(접촉부)(30a)가 부착되어 있다. 그로 인해, 감광체 드럼(3a) 방향으로 압박된 현상 롤러(2a)는 롤러(30a)가 감광체 드럼(3a)에 접촉할 때까지 변형된다. 즉, 롤러(30a)의 존재에 의해, 고무 롤러부(2a3)의 변형량이 일정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부가 롤러(30a)이지만, 롤러(30a)가 없을 경우에는 현상 롤러(2a)의 표면이 된다.
(현상 카트리지의 위치 결정)
본 실시예의 구성에 사용하는 현상 카트리지의 위치 결정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현상 카트리지(5a)에는 제1 가이드 홈(제1 가이드부)(104a)과 결합 가능한 제1 가이드부(제1 피 가이드부)(9a11)가 제공되고, 제2 가이드 홈(제2 가이드부)(103a)에 결합 가능한 제2 가이드부(제2 피 가이드부)(9e11)가 제공되어 있다.
도 11은 현상 카트리지를 로터리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현상 카트리지(5a)가 현상 위치에 배치되고, 전술한 압박 스프링(108)의 가압력에 의해, 현상 롤러(2a)는 감광체 드럼(3a)으로부터 반력을 받는다. 그 결과, 제1 피 지지부인 보스(9a10)의 외주부는 도 12에 도시된 감광체 드럼(3a)의 중심(3a1)과 현상 롤러(2a)의 중심(2a1)을 연결한 선(α)에 평행한 제1 면(104a3) 상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화살표 U의 방향으로 현상 카트리지(5a)가 이동해 현상 롤러 베어링(9a)에 제공된 제2 피 지지부인 인접부(도 13)(9a13) 및 제1 디스크(104)에 제공된 제2 면인 힘수용부(104a5)가 서로 접촉한다.
또한, 보스(제3 피 지지부)(9a12)가 도 11에 도시된 가이드 홈(104a)에 제공되어 있다. 그리고, 보스(9a12)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보스 자체와 제1 면(104a3) 사이에 예각을 형성하는 제3 면(104a2)과 접촉하여, 현상 카트리지 일단부의 자세가 결정된다.
한편, 현상 카트리지의 타단부측도 전술한 일단부측과 같은 지지 구성, 즉 양 단부측에서의 좌우 대칭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4에 있어서의 현상 카트리지의 타단부에서는, 제4 피 지지부인 보스(9e10)의 외주부는, 현상 롤러(2a)의 중심과 감광체 드럼(3a)의 중심을 연결한 선(α)에 평행한 면인 제4 면(103a3)(도 10)에 접촉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에 제공된 제5 피 지지부(9e13)(도 4)는 디스크(103)에 제공된 제5 면(103a5)(도 10)에 접촉한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에 제공된 제6 피 지지부(9e12)(도 4)는 디스크(103)에 제공된 제6 면(103a2)[현상 장치 장착 시에 피 가이드부(9e11)가 안내되는 가이드 홈(103a) 내에 존재하는 면]에 접촉한다.
여기서, 일단부측과 타단부측 상의 이들 구성 요소 사이의 대응 관계를 정리한다. 제1 피 지지부(9a10)는 제4 피 지지부(9e10)에 대응한다. 제1 면(104a3)은 제4 면(103a3)에 대응한다. 제2 피 지지부(9a13)는 제5 피 지지부(9e13)에 대응한다. 제2 면(104a5)은 제5 면(103a5)에 대응한다. 제3 피 지지부(9a12)는 제6 피 지지부(9e12)에 대응한다. 제3 면(104a2)은 제6 면(103a2)에 대응한다. 이들 대응 구성 요소는 양단부 측에서 같은 기능을 갖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면(104a3)과 제3 면(104a2)이 교차하는 선은 현상 롤러(2a)의 회전축과 평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는 현상 카트리지의 양 측면에 관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디스크(103)에 대한 타측면 상의 현상 카트리지의 자세는 유사한 구성(도시되지 않음)으로 결정된다.
또한, 제2 피 지지부(9a13)(도 13) 및 제2 면(104a5)은 전술한 선(α) 상에 배치되고, 제2 면(104a5)은 선(α)과 직교한다. 이것은, 제2 면(104a5)은 현상 롤러(2a)가 감광체 드럼(3a)으로부터의 반력을 효과적으로 수용하도록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 사이에 현상 카트리지를 고정하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현상 위치로 현상 카트리지(5a)가 위치 결정된 상태에서는, 제1 디스크(104)에 제공된 가이드 홈(104a)과 현상 카트리지(5a)에 제공된 가이드부(9a11)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간극(유극)(C1 내지 C4)이 생성된다. 이것은 현상 카트리지(5a)의 디스크(104)에 대한 위치 결정이 방해받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현상 카트리지(5a)의 각 부품의 치수 편차에 의해, 일부 경우에 있어서는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단부 측의 가이드부(9a11)와 타단부 측의 가이드부(9e11)의 위치가 서로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현상 카트리지(5a)가 현상 위치가 아닌 위치에 설정되어 있어도, 현상 카트리지(5b 내지 5d)의 가이드부(9b11 내지 9d11)는 가이드 홈(104b 내지 104d) 내에서 간섭하지 않도록 설정될 필요가 있다. 즉, 현상 위치에 배치되지 않은 현상 카트리지의 가이드부(9b11 내지 9d11)와 가이드 홈(104b 내지 104d) 사이에는, 현상 카트리지(5a)의 간극(C1 내지 C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간극(유극)이 생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C2+C3의 값은 0.4mm로 설정된다. 또한, C1+C4의 값은 0.6mm로 설정된다. 또한, 유극에 대한 이들 값은 화상 형성 장치의 상태에 따라 적합한 값으로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홈(104b 내지 104d) 내에서, 가이드부(9b11 내지 9d11)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그로 인해, 제1 디스크(104)가 현상 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현상 카트리지(5b 내지 5d)에 의해 강제적으로 비틀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타단부 측에서도 같은 상태가 발생된다.
즉, 현상 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현상 카트리지에 대하여, 제1 디스크(104) 및 제2 디스크(103)는 감광체 드럼(3a) 방향으로의 현상 카트리지 각각의 압박 동작을 독립적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현상 위치에 배치된 전술한 현상 카트리지만을 정확하게 위치 결정하고, 현상 롤러(2a)를 감광체 드럼(3a)에 대하여, 감광체 드럼(3a)의 길이 방향으로 균일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현상 위치에 배치된 현상 카트리지만이 올바른 현상 자세로 배치된다. 그리고, 스프링(108)의 힘은 현상 카트리지(5a)의 현상 롤러(2a)를 감광체 드럼(3a)에 접촉시키는 힘으로서 효율적으로 전해진다.
간극(C1 내지 C4)이 극단적으로 좁게 설정되어 있을 경우, 현상 위치에 위치되지 않은 현상 카트리지는 제1 디스크(104)와 제2 디스크(103)를 자유도 없이 연결한다. 결과적으로, 디스크(104, 103)는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없게 되어, 현상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현상 카트리지를 디스크(104, 103)가 강제적으로 비틀게 된다.
그 결과, 위치가 어긋난 채 현상 롤러(2a)가 감광체 드럼(3a)에 접촉하게 되어, 현상 롤러(2a)가 감광체 드럼(3a)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이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카트리지의 양단부에 간극(C1 내지 C4)이 생성된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상기 간극의 설정 방법에 따라서는 단부 중 하나에 간극(C1 내지 C4)이 생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함으로써, 제1 디스크(104)와 제2 디스크(103)는 상기 전자 사진 감광체 드럼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101b)의 중심축과 감광체 드럼의 중심축 사이의 평행도를 고정밀도로 설정하는 경우라도, 현상 롤러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조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상세한 설명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또는 개선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변형 또는 변경을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17)

  1. 화상 형성 장치이며,
    정전상(electrostatic image)이 형성되는 상 담지체와;
    현상제를 수용하는 현상제 용기, 담지된 현상제로 상기 정전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담지체 및 상기 상 담지체에 접촉 가능한 접촉부를 포함하는 현상 장치와;
    회전 샤프트 부재,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의 회전축 방향 일단부에 유극(play)을 갖고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와 결합된 제1 부재,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의 회전축 방향 타단부에 유극을 갖고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와 결합된 제2 부재, 상기 제1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장치의 일단부에 제공된 제1 피 가이드부가 유극을 갖고 결합 가능한 제1 가이드부, 및 상기 제2 부재에 제공되고 상기 현상 장치의 타단부에 제공된 제2 피 가이드부가 유극을 갖고 결합 가능한 제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장착된 상기 현상 장치를 상기 현상 장치가 상기 상 담지체에 대향하는 위치를 향해서 회전 이동시키는 가동 부재와;
    상기 가동 부재를 상기 상 담지체를 향해 압박하는 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현상 장치의 위치는, 현상 위치에서 상기 제1 부재의 제1 면과 상기 제2 부재의 제4 면이 각각 상기 현상 장치에 제공된 제1 피 지지부와 제4 피 지지부를 지지함으로써 결정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는 상기 현상 장치에 제공된 제2 피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2 면 및 상기 현상 장치에 제공된 제3 피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3 면을 가지며,
    상기 제2 부재는 상기 현상 장치에 제공된 제5 피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5 면 및 상기 현상 장치에 제공된 제6 피 지지부를 지지하는 제6 면을 갖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3 면은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4 면과 상기 제5 면은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4 면과 상기 제6 면은 예각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 및 상기 제4 면은 상기 상 담지체의 회전 중심 및 상기 현상제 담지체의 회전 중심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에 장착된 상기 현상 장치가 상기 가동 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의 일단부에서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상기 가동 부재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 요동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에 있어서의 상기 회전 샤프트 부재의 타단부에서 상기 가동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대하여 상기 가동 부재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요동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재의 회전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1 억제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재의 회전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는 제2 억제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동 지지 부재는 상기 제1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요동 지지 부재는 상기 제2 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상기 제1 요동 지지 부재를 압박하는 제1 압박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부는 상기 제2 요동 지지 부재를 압박하는 제2 압박 부재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억제부는 상기 제1 요동 지지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1 부재의 회전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억제부는 상기 제2 요동 지지 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제2 부재의 회전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상기 현상 장치의 현상 위치에서의 위치 결정에 관련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면은 상기 현상 장치의 현상 위치에서의 위치 결정에 관련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00103249A 2009-10-30 2010-10-22 화상 형성 장치 KR101411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50821 2009-10-30
JP2009250821 2009-10-30
JPJP-P-2010-192392 2010-08-30
JP2010192392A JP5574886B2 (ja) 2009-10-30 2010-08-30 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7977A KR20110047977A (ko) 2011-05-09
KR101411819B1 true KR101411819B1 (ko) 2014-06-24

Family

ID=4351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3249A KR101411819B1 (ko) 2009-10-30 2010-10-22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26031B2 (ko)
EP (1) EP2317404B1 (ko)
JP (1) JP5574886B2 (ko)
KR (1) KR101411819B1 (ko)
CN (1) CN10205352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77170T3 (es) 2019-03-18 2024-08-20 Canon Kk Dispositivo y cartucho de formación de imágenes electrofotográficas
JP2022050266A (ja) 2020-09-17 2022-03-30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547A (ko) * 2002-09-30 2004-04-0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
JP2004126017A (ja) * 2002-09-30 2004-04-22 Canon Inc コネクター、通信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310304A (ja) * 2007-05-15 2008-12-25 Canon Inc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3673A (en) * 1985-04-08 1987-12-15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multiple developing units are supported and moved relative to an image carrier
JP3222913B2 (ja) * 1992-02-27 2001-10-29 株式会社リコー 回転型現像装置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3450419B2 (ja) * 1994-03-24 2003-09-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回転型現像装置
JP3337859B2 (ja) * 1994-04-26 2002-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H09230694A (ja) * 1996-02-27 1997-09-05 Canon Inc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483415B2 (ja) 1997-02-06 2004-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0231239A (ja) 1999-02-09 2000-08-22 Fuji Xerox Co Ltd ロータリ式現像装置
JP4721573B2 (ja) * 2001-08-23 2011-07-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3302807A (ja) 2002-04-09 2003-10-24 Seiko Epson Corp ロータリー現像装置
JP3940919B2 (ja) 2002-12-10 2007-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現像カートリッジの変形防止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5043537A (ja) * 2003-07-25 2005-02-17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0553907B1 (ko) * 2003-12-15 2006-02-2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페이서가 구비된 감광드럼 및 이를 구비한 전자사진방식화상형성장치
JP5311854B2 (ja) * 2007-03-23 2013-10-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現像装置、及び、カップリング部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8547A (ko) * 2002-09-30 2004-04-0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전자사진 화상 형성 장치, 프로세스 카트리지 및 현상카트리지
JP2004126017A (ja) * 2002-09-30 2004-04-22 Canon Inc コネクター、通信機構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8310304A (ja) * 2007-05-15 2008-12-25 Canon Inc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103839A1 (en) 2011-05-05
US8626031B2 (en) 2014-01-07
CN102053524A (zh) 2011-05-11
KR20110047977A (ko) 2011-05-09
EP2317404A2 (en) 2011-05-04
JP5574886B2 (ja) 2014-08-20
EP2317404B1 (en) 2016-01-13
CN102053524B (zh) 2013-10-23
JP2011118356A (ja) 2011-06-16
EP2317404A3 (en)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3306B2 (en)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583007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073787B2 (en) Process cartridge with a coupling member having a movable force receiving portion
JP4667106B2 (ja) 画像形成装置
JP5868079B2 (ja) 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664436B2 (en) Color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1048133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478161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locking member for spacing components of the apparatus and preventing movement of components of the apparatus
KR101411819B1 (ko) 화상 형성 장치
JP465870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039247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US8472838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spacing member for spacing components of the apparatus
US944245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movable process units
JP7517102B2 (ja) 像担持体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9139518A (ja) 画像形成装置
JP4628727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016058A (ja) 像担持体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6519731B2 (ja) クリーニング装置、画像形成装置
JP7459574B2 (ja) 画像形成装置
US867069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15222315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947078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5108786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装置の組み立て方法
JP200128199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43488A (ja) 帯電装置又は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