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8271A -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8271A
KR20110118271A KR1020100037769A KR20100037769A KR20110118271A KR 20110118271 A KR20110118271 A KR 20110118271A KR 1020100037769 A KR1020100037769 A KR 1020100037769A KR 20100037769 A KR20100037769 A KR 20100037769A KR 20110118271 A KR20110118271 A KR 20110118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layer
weight
back sheet
fluorine
acry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60867B1 (ko
Inventor
최석원
백상현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00037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0867B1/ko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TW100114157A priority patent/TWI503229B/zh
Priority to EP11772264.5A priority patent/EP2561552B1/en
Priority to CN201180020583.9A priority patent/CN102870228B/zh
Priority to US13/642,684 priority patent/US20130130003A1/en
Priority to PCT/KR2011/002909 priority patent/WO2011132976A2/en
Priority to JP2013506086A priority patent/JP5722994B2/ja
Priority to ES11772264.5T priority patent/ES2665351T3/es
Publication of KR20110118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0867B1/ko
Priority to JP2014209043A priority patent/JP5735693B2/ja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3/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properties or particular surface features, e.g. particular surface coatings; Layered products design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covered by another single 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08J7/0423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with at least one layer of inorganic material and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9Protective back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4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427/1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idene flu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4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427/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tetrafluoroeth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427/1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08J2427/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exafluoroprop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942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components having same physical characteristic in differing degree
    • Y10T428/2495Thickness [relative or absolute]
    • Y10T428/24967Absolute thicknesses specified
    • Y10T428/24975No layer or component greater than 5 mils thi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5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including a second componen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particles
    • Y10T428/254Polymeric or resinou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4Of fluorinated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면 또는 양면에 인라인 코팅에 의해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상기 아크릴계 코팅층의 상부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에서 선택되는 불소수지와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불소코팅조성물을 도포한 불소코팅층; 을 포함하는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는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면서도, 봉지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Back sheet for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에 관한 것으로, 종래 PVF(Tedlar)필름/PET필름/PVF(Tedlar)필름으로 적층되며, 각 층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하던 것을 대체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코팅에 의해 불소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하고, 불소코팅층과의 접착력을 향상 시킨 백 시트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을 위한 태양전지는 실리콘이나 각종 화합물에서 출발, 솔라셀(Solar cell) 형태가 되면 전기를 낼 수 있게 된다. 그러나 하나의 셀로는 충분한 출력을 얻지 못하므로 각각의 셀을 직렬 혹은 병렬 상태로 연결해야 하는데 이렇게 연결된 상태를 '태양광 모듈'이라 부른다.
태양광 모듈은 백 시트(back sheet), 에바(EVA), 솔라셀, 에바(EVA), 유리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백 시트는 모듈 맨 아래 깔리는 소재로 TPT(Tedlar/PET/Tedlar) 타입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리본은 전류를 흘려보내는 통로로 사용되므로 구리에 은이나 주석납으로 코팅된 소재가 이용된다.
태양광모듈용 백시트는 태양전지 모듈의 가장 뒷면에 붙여 셀을 보호하는 핵심 소재다. 내구·내후·절연·투습방지성 등의 특성이 필요해 일반적으로 불소필름과 PET필름을 적층하여 제조한다.
불소필름은 내후성과 내구성이 우수한 불소필름이 사용된다. 현재 듀폰이 1961년 개발한 PVF수지로 제조된 테들러(Tedlar) 필름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나, 공급 부족 현상으로 일부 업체들은 PET 등 다른 필름으로 대체해 사용하기도 한다.
에바(EVA,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1970년 나사(NASA)와 듀폰이 인공위성에 사용되는 태양전지용 재료로 공동 개발했다. 현재 태양전지용 봉지재(封止材:Sealing)의 표준으로 사용된다. 일본 업체 (Mitsui 화학, Bridgestone)가 세계 시장의 70% 이상을 장악하고 있다. 태양전지 내부에서 셀(Cell)의 봉합 및 충진 역할을 한다. 강도, 투명성, 절연성이 우수하다.
폴리에스터(Polyethylene Telephthalate:PET) 필름은 일정한 두께와 물성을 가진 면상의 플리스틱 필름을 사용하며, 강도가 우수하여 백시트의 기본 골격을 이룬다. 물리적, 화학적, 기계적, 광학적으로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어 식품포장재 및 사무용품에서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첨단 전기 전자 제품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된다. 최근에는 내구성과 내후성이 뛰어나 태양전지용 백시트에 사용이 늘고 있다.
유리는 빛의 반사를 방지하는 역할을 하도록 철분이 적게 들어간 것을 활용한다.
종래, TPT(Tedlar/PET/Tedlar) 타입의 백시트는 Tedlar필름과 PET필름을 적층하기 위하여 각각 접착제를 통하여 적층하는 공정이 필요하며, 또한 백시트와 봉지재인 에바(EVA) 필름을 접착을 하기 위해서 폴리우레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접착시키는 단계가 추가로 필요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Tedlar필름은 가격이 고가이므로 현재 백시트의 제조공정 비용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백시트의 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 여러 단계의 접착제 도포공정에 따른 공정상의 문제점 및 Tedlar필름 사용에 따른 가격상승을 해소하기 위하여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필름에 기존의 Tedlar필름층을 대체하는 불소코팅조성물을 오프라인으로 도포하여 불소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공정 및 비용을 감소할 수 있음을 발견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불소코팅층과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이접착용 아크릴계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불소코팅층과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접착성을 향상됨을 발견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상기 이접착용 아크릴계 코팅층을 폴리에스테르필름 제조 시 인라인 코팅을 통하여 형성함으로써 폴리에스테르필름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은 기존에 태양광모듈용 백시트에 사용되던 Tedlar필름/PET필름/Tedlar필름 적층구조에서 Tedlar필름층을 대체할 수 있도록 불소코팅조성물을 개발하여 제품 가격을 낮출 수 있으며, 상기 불소코팅조성물과 폴리에스테르필름 간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접착성이 우수한 백시트용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래 Tedlar필름/PET필름/Tedlar필름으로 적층되던 구조에서 Tedlar필름을 불소코팅층으로 대체하기 위한 발명으로, 물성이 우수한 불소코팅조성물을 이용하여 오프라인 코팅에 의해 불소코팅층을 형성하는데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불소코팅조성물은 PET필름 상에 오프라인으로 도포를 하는 경우, 역시 접착력이 약하여 디라미네이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발명자들은 인라인코팅방법에 의해 PET필름의 제조공정 중 연신공정상에서 수분산조성물(에멀젼)을 도포하여, 도포두께가 얇고, PET필름과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불소코팅층의 접착력이 향상됨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일면 또는 양면에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상기 아크릴계 코팅층의 상부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에서 선택되는 불소수지와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불소코팅조성물을 도포한 불소코팅층;
을 포함하는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폴리에스테르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기계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c) 상기 기계방향으로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바인더수지 2 ~ 10 중량%, 멜라민계 가교제 0.2 ~ 4 중량%, 경화촉매 0.02 ~ 0.5 중량% 및 100 중량%가 되도록 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에멀젼을 도포하여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을 형성한 후,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d) 상기 이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열고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의 상부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에서 선택되는 불소수지와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불소코팅조성물을 오프라인으로 도포하여 불소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이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일면 또는 양면에 인라인 코팅에 의해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상기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에 의해 폴리에스에르 필름 상에 불소코팅층을 도포할 수 있다.
상기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은 건조도포두께가 50 ~ 300nm인 것이 접착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은 아크릴계바인더수지 2 ~ 10 중량%, 멜라민계 가교제 0.2 ~ 4 중량%, 경화촉매 0.02 ~ 0.5 중량% 및 100 중량%가 되도록 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에멀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바인더수지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이소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말부틸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의 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와 같은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아크릴계 바인더로 시판되는 것의 예를 들면, 2액형인 Primal 1018, 1액형인 Primal-3208(다우사) 제품 등이 있다. 상기 함량범위는 고형분으로 사용되는 함량을 의미한다.
상기 멜라민계 가교제는 아크릴계바인더의 가교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 폴리에스테르필름과와의 밀착력을 향상 시키고, 이후 후 가공 공정의 불소계 코팅층과의 접착력도 우수하게 한다. 구체적으로는 메톡시메틸 메틸올 멜라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은 0.2 ~ 4 중량%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3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화촉매는 암모늄티오시아네이트(Ammoniumthiocyanate) 등이 사용 가능하다. 그 함량은 0.02 ~ 0.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아크릴계 바인더의 경화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불소코팅층은 PVF(poly vinyl fluoride)로 이루어진 불소필름을 대체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의 상부에 오프라인 방법으로 불소코팅조성물을 도포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불소코팅조성물은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에서 선택되는 불소수지와 이산화티탄을 포함한다.
상기 불소수지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등이 사용 가능하며, 오프라인 코팅이 가능하도록 용제에 용해가 가능한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불소수지는 불소코팅조성물 전체 함량 중 10 ~ 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건조도포두께가 적절하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이산화티탄은 입경이 150 ~ 300nm인 루타일형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UV 차단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그 함량은 불소수지의 함량에 대하여 30 ~ 40 중량%로 포함되는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불소코팅조성물 전체 함량 중 3 ~ 12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소코팅조성물은 오프라인으로 도포하기 위해서는 용제 등을 이용하여 수지를 용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용제로는 하이드로카본계, 케톤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디메틸 아세트아마이드, 디메틸포름아마이드, N-메틸-2-피롤리돈 등이 사용가능하다.
상기 오프라인으로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롤코팅, 다이코팅, 콤마코팅 등의 코팅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조도포두께가 10 ~ 30㎛가 되도록 코팅을 하는 것이 UV 차단성이 우수하므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백시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용융압출하여 시트를 만들고, 이를 일축연신한 후 아크릴계 에멀젼을 도포하고 횡방향으로 이축연신하여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폴리에스테르필름에 불소코팅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폴리에스테르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기계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c) 상기 기계방향으로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바인더수지 2 ~ 10 중량%, 멜라민계 가교제 0.2 ~ 4 중량%, 경화촉매 0.02 ~ 0.5 중량% 및 100 중량%가 되도록 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에멀젼을 도포하여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을 형성한 후,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d) 상기 이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열고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의 상부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에서 선택되는 불소수지와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불소코팅조성물을 오프라인으로 도포하여 불소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상기 아크릴계 에멀젼을 도포하기 전에 코로나 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불소코팅조성물의 도포전에 코로나 처리를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a)단계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수지를 실린더에서 용융압출하여 티다이를 통해서 시트로 제조하는 과정이다.
상기 b)단계는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이축연신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과정으로, 기계방향 연신은 1개 이상의 롤러를 이용하여 연신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c)단계에서 인라인코팅방법에 의해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을 형성하며, 이때 인라인코팅에 사용될 수 있도록 수분산된 에멀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을 이루기 위한 에멀젼의 조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며, 도포 시 연신 후 건조도포두께가 50 ~ 300nm가 되도록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계 에멀젼을 도포하여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을 형성한 후, 횡방향으로 연신한다. 이때 횡방향 연신은 텐터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에 사용된 수분을 제거하고, 경화시키고, 필름이 수축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하여 건조 및 열고정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후에 불소코팅조성물을 오프라인으로 도포하여 불소코팅층을 형성하며, 이때 불소코팅층은 건조도포두께 10 ~ 30㎛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는 제조공정이 단순하여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면서도, 봉지재와의 접착성이 우수하다.
이하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일 예를 들어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성측정방법은 하기와 같다.
1. 접착성
ASTM D 3359-97 Standard Test Methods For Measuring Adhesion By Tape Test을 사용하였다.
평가 지표는 하기와 같음.
A : Coating 층 벗겨짐 현상 없음
B : Coating 층 벗겨짐 현상 10%
C : Coating 벗겨짐 현상 14%
D : Coating 벗겨짐 현상 31%
- 합격 : A
- 불합격 : B,C,D
2. UV차단성
측정 장비 : 베리안, Cary 5000 UV-visible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UV 투과도(%): 백시트 제조 후 불소 Coating층이 UV 광원쪽으로 향하게 한 후 전 UV파장영역(200~400nm)에서 UV투과도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범위에서 400nm 에서의 UV투과도를 나타내는 값을 사용하였다.
- 합격 : 1% 이하
- 불합격 : 1% 이상
[실시예 1]
이접착성 아크릴계 에멀젼(1)의 제조
아크릴계바인더수지(Primal-3208(다우사)의 고형분함량 기준) 4중량%, 멜라민계 가교제로 메톡시메틸 메틸올 멜라민 1.5중량%, 경화촉매로 암모늄티오시아네이트 0.15중량% 및 물 94.35중량%를 혼합하여 아크릴계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백시트용 폴리에스테르필름의 제조
수분이 100ppm 이하로 제거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칩을 용융압출기에 주입하여 용융한 후, 티다이를 통하여 압출하면서, 표면온도 20℃인 캐스팅드럼으로 급냉, 고화시켜 두께 200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트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시트를 110℃에서 기계방향(MD)으로 3.5배 연신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였다. 이후, 상기 이접착성 아크릴계 에멀젼(1)을 바코팅(bar coating)방법으로 일면에 코팅한 후, 140 ℃에서 예열, 건조를 거쳐 횡방향(TD)으로 3.5배 연신하였다. 이후, 5단 텐터에서 235℃로 열처리를 행하고, 200℃에서 기계방향 및 횡방향으로 10%이완시켜 열고정하여 일면에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이 형성된 250㎛의 2축연신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의 연신 후 건조도포두께는 80 nm 이었다.
태양광 모듈용 백시트의 제조
상기 아크릴계 코팅층이 형성된 2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아크릴계 코팅층 상부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20 중량%와 이산화티탄(루타일형, 입경 220nm) 5 중량% 및 용제(디메틸 아세트아미드) 75 중량%를 샌드밀링 방식으로 분산시킨 불소코팅조성물을 건조도포두께 15㎛로 도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백시트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백 시트 제조 시 이산화티탄의 함량을 6 중량%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백시트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백 시트 제조 시 이산화티탄의 함량을 7 중량%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백시트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백 시트 제조 시 이산화티탄의 함량을 8 중량%로 조절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백시트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백 시트 제조 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를 대체하여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THV)를 사용하고, 이산화티탄의 입경이 150nm인 것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백시트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백 시트 제조 시 이산화티탄이 포함되지 않은 불소코팅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즉,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20 중량%와 용제(디메틸아세트아미드) 80 중량%를 혼합한 불소코팅조성물을 건조도포두께 15㎛로 도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백시트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백 시트 제조 시 불소코팅조성물로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20 중량%와 이산화티탄(루타일형, 입경 220nm) 4중량% 및 용제(디메틸아세트아미드) 80 중량%를 샌드밀링 방식으로 분산시킨 불소코팅조성물을 건조도포두께 15㎛로 도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백시트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아크릴계 코팅층의 건조도포두께를 40nm로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백시트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코로나로 표면 처리 된 이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상부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20 중량%와 이산화티탄(루타일형, 입경 220nm) 5 중량% 및 용제(디메틸 아세트아미드) 75 중량%를 샌드밀링 방식으로 분산시킨 불소코팅조성물을 건조도포두께 15㎛로 도포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백시트의 물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pat00001

Claims (10)

  1. 일면 또는 양면에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이 형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층;
    상기 아크릴계 코팅층의 상부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에서 선택되는 불소수지와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불소코팅조성물을 도포한 불소코팅층;
    을 포함하는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은 입경이 150 ~ 300nm인 루타일형인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은 아크릴계바인더수지 2 ~ 10 중량%, 멜라민계 가교제 0.2 ~ 4 중량%, 경화촉매 0.02 ~ 0.5 중량% 및 100 중량%가 되도록 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에멀젼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연신공정에서 인라인 코팅되는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계 가교제는 메톡시메틸 메틸올 멜라민인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은 건조도포두께가 50 ~ 300nm이며, 불소코팅층은 건조도포두께가 10 ~ 30 ㎛인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공정은 이축연신공정이며, 기계방향으로 연신 후 아크릴계 에멀젼을 도포하고, 이어서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7. a)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용융 압출하여 폴리에스테르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기계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c) 상기 기계방향으로 연신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아크릴계바인더수지 2 ~ 10 중량%, 멜라민계 가교제 0.2 ~ 4 중량%, 경화촉매 0.02 ~ 0.5 중량% 및 100 중량%가 되도록 물을 포함하는 아크릴계 에멀젼을 도포하여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을 형성한 후,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단계;
    d) 상기 이축 연신된 폴리에스테르필름을 열고정하는 단계; 및
    e) 상기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의 상부에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 또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에서 선택되는 불소수지와 이산화티탄을 포함하는 불소코팅조성물을 오프라인으로 도포하여 불소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의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티탄은 입경이 150 ~ 300nm인 루타일형이며, 함량이 30 ~ 40 중량%로 포함되는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의 제조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멜라민계 가교제는 메톡시메틸 메틸올 멜라민인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의 제조방법.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접착성 아크릴계 코팅층은 건조도포두께가 50 ~ 300nm이며, 불소코팅층은 건조도포두께가 10 ~ 30 ㎛인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의 제조방법.

KR1020100037769A 2010-04-23 2010-04-23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6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769A KR101360867B1 (ko) 2010-04-23 2010-04-23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EP11772264.5A EP2561552B1 (en) 2010-04-23 2011-04-22 Back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201180020583.9A CN102870228B (zh) 2010-04-23 2011-04-22 太阳能电池组件的背板及其制造方法
US13/642,684 US20130130003A1 (en) 2010-04-23 2011-04-22 Back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W100114157A TWI503229B (zh) 2010-04-23 2011-04-22 太陽能電池單元模組用的背板及其製造方法
PCT/KR2011/002909 WO2011132976A2 (en) 2010-04-23 2011-04-22 Back sheet for solar 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3506086A JP5722994B2 (ja) 2010-04-23 2011-04-22 太陽光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ES11772264.5T ES2665351T3 (es) 2010-04-23 2011-04-22 Lámina posterior para módulo de células solares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la misma
JP2014209043A JP5735693B2 (ja) 2010-04-23 2014-10-10 太陽光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769A KR101360867B1 (ko) 2010-04-23 2010-04-23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271A true KR20110118271A (ko) 2011-10-31
KR101360867B1 KR101360867B1 (ko) 2014-02-13

Family

ID=44834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769A KR101360867B1 (ko) 2010-04-23 2010-04-23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30130003A1 (ko)
EP (1) EP2561552B1 (ko)
JP (2) JP5722994B2 (ko)
KR (1) KR101360867B1 (ko)
CN (1) CN102870228B (ko)
ES (1) ES2665351T3 (ko)
TW (1) TWI503229B (ko)
WO (1) WO201113297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837A1 (ko) 2012-02-23 2013-08-2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태양광모듈용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180552A1 (ko) * 2012-06-01 2013-1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친환경 광전지 모듈용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921519A (zh) * 2014-03-19 2014-07-16 浙江歌瑞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背板膜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51407B (zh) * 2013-01-30 2015-06-17 宁波长阳科技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背板及其制备方法
CN103579391B (zh) * 2013-11-07 2017-02-15 英利集团有限公司 太阳能电池背板及具有其的太阳能电池组件
WO2015099059A1 (ja) * 2013-12-27 2015-07-02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多層シート、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5185687A (ja) * 2014-03-24 2015-10-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TWI544652B (zh) * 2015-01-19 2016-08-01 台虹科技股份有限公司 太陽能電池背板
CN106159039A (zh) * 2016-07-27 2016-11-23 无锡中洁能源技术有限公司 一种带有透明涂层太阳能背板的生产工艺
CN107254060A (zh) * 2017-05-12 2017-10-17 江苏东昇光伏科技有限公司 一种含氟太阳能电池背板的制备方法
EP3868557B1 (en) * 2018-10-18 2023-06-28 Denka Company Limited Laminate, method for producing laminate, structure provided with laminate, and method for protecting or repairing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49607A (en) * 1972-08-18 1977-09-20 Isis Chemicals, Inc. Heat convertible coating compositions
JPH09226079A (ja) * 1995-12-22 1997-09-02 Toray Ind Inc 表面硬化フィルム
US6020412A (en) * 1997-12-04 2000-02-01 Mitsubishi Polyester Film, Llc Controlled release coating comprising blend of silicone polymer and adhesion promoter
GB0108199D0 (en) * 2001-04-02 2001-05-23 Dupont Teijin Films Us Ltd Multilayer film
JP2006270025A (ja) * 2005-02-22 2006-10-05 Toray Ind Inc 太陽電池用熱可塑性樹脂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
US7553540B2 (en) * 2005-12-30 2009-06-3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Fluoropolymer coated films useful for photovoltaic modules
FR2896445B1 (fr) * 2006-01-25 2010-08-20 Arkema Film flexible a base de polymere fluore
JP2008012834A (ja) * 2006-07-07 2008-01-24 Toray Ind Inc 光学フィルム
US20080264484A1 (en) * 2007-02-16 2008-10-30 Marina Temchenko Backing sheet for photovoltaic modules and method for repairing same
CN101683022B (zh) * 2007-05-09 2012-07-04 东丽株式会社 导电性基板、等离子显示器用电磁波屏蔽基板以及导电性基板的制造方法
KR101690974B1 (ko) * 2007-06-15 2016-12-29 알케마 인코포레이티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배면시트를 구비한 태양광 모듈
JP2009071236A (ja) * 2007-09-18 2009-04-02 Tomoegawa Paper Co Ltd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
JP5266517B2 (ja) * 2008-02-29 2013-08-21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金属超微粒子含有成形体
KR20100125470A (ko) * 2008-04-28 2010-11-30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백시트용 적층체 및 그것을 갖는 백시트
CN102046375A (zh) * 2008-05-29 2011-05-04 可隆股份有限公司 保护膜
CN102105304A (zh) * 2008-05-29 2011-06-22 可隆工业株式会社 保护膜
WO2010005029A1 (ja) * 2008-07-11 2010-01-14 三菱樹脂株式会社 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25837A1 (ko) 2012-02-23 2013-08-29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태양광모듈용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180552A1 (ko) * 2012-06-01 2013-12-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친환경 광전지 모듈용 백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921519A (zh) * 2014-03-19 2014-07-16 浙江歌瑞新材料有限公司 一种太阳能电池背板膜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561552A2 (en) 2013-02-27
JP5735693B2 (ja) 2015-06-17
TWI503229B (zh) 2015-10-11
US20130130003A1 (en) 2013-05-23
JP2013526033A (ja) 2013-06-20
CN102870228B (zh) 2015-11-25
JP2015046614A (ja) 2015-03-12
CN102870228A (zh) 2013-01-09
WO2011132976A2 (en) 2011-10-27
ES2665351T3 (es) 2018-04-25
JP5722994B2 (ja) 2015-05-27
KR101360867B1 (ko) 2014-02-13
WO2011132976A3 (en) 2012-02-02
EP2561552B1 (en) 2018-01-24
TW201204553A (en) 2012-02-01
EP2561552A4 (en) 2016-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867B1 (ko)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1715B1 (ko) 열접착성이 우수한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626645B (zh) 一种太阳能电池背板及其制备方法
JP5384980B2 (ja) 積層フィルム
CN109994566B (zh) 太阳能背板膜及其制备方法
ES2663432T3 (es) Lámina posterior para módulo solar y procedimiento de fabricación de la misma
KR101382155B1 (ko) 열접착성이 우수한 태양광모듈용 백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CN115352165B (zh) 具有持久粘接性的三层共挤聚酯合金膜及其制备方法
KR101076787B1 (ko)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KR20120119295A (ko) 태양광모듈 백시트용 올레핀계 필름
JP2015154067A (ja) 太陽電池保護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3430320A (zh) 光伏背板层压板、包括光伏背板层压板的光伏模块以及制造光伏背板层压板的方法
JP2015191944A (ja) 裏面保護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5995769B2 (ja) 積層フィルム、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KR101125184B1 (ko) 태양전지모듈용 이면 보호시트의 제조방법
TW201404591A (zh) 積層片及其製造方法
JP2018116993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裏面保護シート
CN114474929A (zh) 一种改性官能化环烯烃共聚物透明光伏背板及其制备方法
KR101554382B1 (ko) 다층 필름의 제조방법
JP2016004978A (ja) 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用白色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太陽電池バックシート、並びに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3214778A (ja) 太陽電池裏面保護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N114516969A (zh) 一种高耐候性、综合性能优异的太阳能电池背板
JP2013182929A (ja) 2軸延伸飽和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バックシートおよ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1222154A (ja) 色素増感型太陽電池用積層フィルム
JP2012244067A (ja) 太陽電池用保護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