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7198A - 휴대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7198A
KR20110117198A KR1020117019741A KR20117019741A KR20110117198A KR 20110117198 A KR20110117198 A KR 20110117198A KR 1020117019741 A KR1020117019741 A KR 1020117019741A KR 20117019741 A KR20117019741 A KR 20117019741A KR 20110117198 A KR20110117198 A KR 20110117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jector
projected
predetermin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9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2310B1 (ko
Inventor
마사시 오사카
야스히로 우에노
야스시 기타무라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7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7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4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project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휴대전자기기(10)는, 프로젝터(34)와, 카메라(36)와, 처리부(22)를 구비한다. 프로젝터(34)는 화상을 투영하고, 카메라(36)는 프로젝터(34)가 투영한 화상을 촬상한다. 처리부(22)는, 프로젝터(34)에 소정의 화상을 투영시키기 위한 제1 화상 정보, 및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프로젝터(34)가 투영한 화상을 카메라(36)가 촬상함으로써 얻어진 제2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프로젝터(34)가 상기 소정의 화상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처리부(22)는, 프로젝터(34)가 상기 소정의 화상을 투영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프로젝터(34)가 화상을 투영하는 출력을 억제한다.

Description

휴대전자기기{PORTABLE ELECTRONIC DEVICE}
본 발명은, 스크린이나 벽면에 화상을 투영하는 화상 투영부를 가지는 휴대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벽면이나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하는 장치로서는, 이른바 프로젝터가 있다. 이 프로젝터는, 상용전원으로부터 전력이 공급되고, 소정 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사용되는, 이른바 거치형 장치가 주류이다. 이 거치형 프로젝터는, 고정한 상태로, 일정 부분의 벽면이나 스크린에 화상을 투영시킨다.
이에 대하여, 최근, 프로젝터로서, 소형으로 운반이 용이한 휴대형 프로젝터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상부 캐비닛과, 하부 캐비닛과, 상부 캐비닛 및 하부 캐비닛을 서로 회전 운동 가능하게 접속하는 힌지부를 구비하고, 렌즈와 광원을 가지는 프로젝터가 탑재된 프로젝터 기능 부가 휴대 단말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96542호
그런데, 프로젝터가 투영해야 할 소정의 화상을 투영하지 않는 경우가 상정되나, 이러한 경우에도 프로젝터의 동작은 계속된다. 본 발명은, 상기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화상을 투영하는 화상 투영부를 구비하는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화상 투영부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지 않는 경우에, 화상의 투영을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는, 화상을 투영하는 화상 투영부와, 소정의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투영부에 소정의 화상을 투영시키는 투영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당해 처리부는, 상기 소정의 화상 정보에 의거하는 상기 투영 처리를 행하고 있을 때에, 상기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화상 투영부에 의한 투영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화상 투영부가 투영한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에 소정의 화상을 투영시키기 위한 상기 소정의 화상 정보인 제1 화상 정보, 및 상기 화상 투영부가 투영한 상기 소정의 화상을 상기 촬상부가 촬상함으로써 얻어진 제2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가 상기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화상을 투영하는 시간과, 상기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투영부가 투영한 화상을 상기 촬상부가 촬상할 때의 노광시간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의 기동에 따라 상기 촬상부를 기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제1 화상 정보는, 상기 화상 투영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시험용 화상 정보이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에 상기 시험용 화상 정보를 투영시킴과 함께, 상기 촬상부에 상기 시험용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투영된 화상을 촬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화상 투영부는, 가시(可視)화상 및 불가시(不可視)화상을 투영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소정의 화상으로서 당해 화상 투영부가 투영한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촬상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에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시키기 위한 제3 화상 정보, 및 당해 제3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투영부가 투영한 불가시화상을 상기 촬상부가 촬상함으로써 얻어진 제4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화상 투영부에 의한 상기 가시화상의 투영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가 상기 제3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는 시간과, 상기 제3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투영부가 투영한 상기 소정 불가시화상을 상기 촬상부가 촬상할 때의 노광시간을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화상 투영부가 투영하는 가시화상과 불가시화상은 겹쳐 투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가 상기 가시화상을 투영하기 전에, 상기 화상 투영부에 상기 불가시화상을 투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화상 투영부에 가시화상을 투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구비하는 통지부에,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행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구비하는 기억부에,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소정의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투영부가 투영한 화상의 반사광을 검지하는 광검지부를 가지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광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상기 반사광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박스체가 열린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경우, 상기 화상 투영부에 의한 투영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검출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를 구동하는 전원과는 다른 전원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검출부는, 광검출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경우,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구비하는 통지부에,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에 대한 정보를 통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경우,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구비하는 기억부에,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에 대한 정보를 기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화상을 투영하는 화상 투영부를 구비하는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화상 투영부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지 않는 경우에, 화상의 투영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휴대전자기기의 기능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휴대전자기기의 프로젝터로 화상을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스캔 방식의 프로젝터에 있어서의 묘화(描畵)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프로젝터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프로젝터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7-1은,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는 프로젝터가 투영하는,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2는,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는 프로젝터에 의해 투영된 소정의 화상을 카메라가 촬상하여 얻어지는 제2 화상 정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3은,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지 않는 프로젝터가 투영하는,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4는,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지 않는 프로젝터가 투영하는,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1은, 제1 화상 정보와 제2 화상 정보를 비교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8-2는, 제1 화상 정보와 제2 화상 정보를 비교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8-3은, 제1 화상 정보와 제2 화상 정보를 비교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프로젝터에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0은, 시험용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광검출 센서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2는, 박스체가 열린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3은, 실시형태 2와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의 기능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가시화상, 불가시화상, 및 촬상 영역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2와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프로젝터에 의해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6은, 실시형태 2와 관련되는 시험용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7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프로젝터에 의해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8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프로젝터에 의해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다른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9는, 카메라의 대신, 프로젝터가 투영한 불가시화상의 반사광을 검지하는 광검지부를 사용하여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20-1은,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검지된, 묘화 시간 중에 있어서의 불가시화상의 불가시 광점의 휘도 분포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2는,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검지된, 묘화 시간 중에 있어서의 불가시화상의 불가시 광점의 휘도 분포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구성요소에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이른바 균등한 범위의 것이 포함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휴대전자기기의 일례로서 휴대전화기를 채택하였으나, 본 발명의 적용 대상은 휴대전화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 포터블 내비게이션 장치, 노트북, 게임기 등에 대하여도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도 1은,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의 일 실시형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휴대전자기기의 외관의 구성을 설명한다. 휴대전자기기(10)는, 무선 통신 기능을 구비한 휴대전화기이다. 휴대전자기기(10)는, 1개의 상자형 형상의 박스체(11)를 가지고 있고, 그 내부에 각각의 구성 부품이 수납된 스트레이트 형상의 휴대전화기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박스체(11)를 1개의 상자형 형상으로 하였으나, 예를 들면, 힌지로 연결된 2개의 부재로 구성한 접을 수 있는 박스체나, 2개의 부재를 슬라이드시키는 박스체로 하여도 된다. 또, 3개 이상의 부재를 연결한 박스체를 사용해도 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박스체(11)에는, 표시부로서 디스플레이(12)가 설치된다. 디스플레이(12)는, 휴대전자기기(10)가 수신을 대기하고 있는 상태일 때에 대기 화상을 표시하거나, 휴대전자기기(10)의 조작을 보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메뉴 화상을 표시한다.
박스체(11)에는, 통화 상대의 전화번호나, 메일 작성시 등에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조작키(13)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조작키(13)는, 휴대전자기기(10)의 조작부를 구성한다. 또, 박스체(11)에는, 휴대전자기기(10)의 통화시에 음성을 받아들이는 마이크(15), 휴대전자기기(10)의 통화시에 음성을 발하는 리시버(16)가 설치된다. 또, 박스체(11)의 측면으로서, 리시버(16) 측의 면에는, 화상 투영부인 프로젝터(34)의 화상 투영면, 및 촬상수단인 카메라(36)의 수광면이 노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로젝터(34)의 화상 투영면과 직교하는 방향과, 카메라(36)의 수광면에 직교하는 방향이 대략 평행해지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프로젝터(34)에 의해 투영된 화상을 카메라(36)에 의해 촬상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휴대전자기기의 기능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자기기(10)는, 처리부(22)와, 기억부(24)와, 송수신부(26)와, 조작부(28)와, 음성 처리부(30)와, 표시부(32)와, 프로젝터(34)와, 카메라(36)와, 광검출 센서(38)를 가진다. 처리부(22)는, 휴대전자기기(10)의 전체적인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처리부(22)는, 휴대전자기기(10)의 각종 처리가, 조작부(28)의 조작이나 휴대전자기기(10)의 기억부(24)에 기억되는 소프트웨어에 따라 적절한 순서로 실행되도록, 송수신부(26)나, 음성 처리부(30)나, 표시부(32) 등의 동작을 제어한다. 휴대전자기기(10)의 각종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회선 교환망을 거쳐 행하여지는 음성 통화, 전자메일의 작성 및 송수신, 인터넷의 Web(World Wide Web) 사이트의 열람 등이 있다. 또, 송수신부(26), 음성 처리부(30), 표시부(32) 등의 동작으로서는, 예를 들면, 송수신부(26)에 의한 신호의 송수신, 음성 처리부(30)에 의한 음성의 입출력, 표시부(32)에 의한 화상의 표시 등이 있다. 또, 처리부(22)는, 투영 처리를 실행한다. 투영 처리란, 처리부(22)가, 소정의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프로젝터(34)에 소정의 화상을 투영시키는 처리이다.
처리부(22)는,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예를 들면,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에 의거하여 처리를 실행한다. 처리부(22)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세서 유닛(MPU : Micro Processing Unit)으로 구성되고, 상기 소프트웨어에서 지시된 순서에 따라 상기 서술한 휴대전자기기(10)의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즉, 처리부(22)는, 기억부(24)에 기억되는 오퍼레이팅 시스템 프로그램이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으로부터 명령 코드를 순차 판독하여 처리를 실행한다.
처리부(22)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기능을 가진다. 처리부(22)가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으로서는, 예를 들면, 프로젝터(34)나 카메라(36)의 구동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각종 화상 파일(화상 정보)을 기억부(24)로부터 독출하여 디코드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 디코드하여 얻어지는 화상을 표시부(32)에 표시시키거나 프로젝터(34)에 투영시키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의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처리부(22)는, 비교 판정부(22a), 카메라 제어부(22b), 프로젝터 제어부(22c), 통지 제어부(22d), 정보 기록부(22e), 화상 처리부(22f), 조건 판정부(22g), 분해 판정부(22h)를 가진다. 비교 판정부(22a), 카메라 제어부(22b), 프로젝터 제어부(22c), 통지 제어부(22d), 정보 기록부(22e), 화상 처리부(22f), 조건 판정부(22g), 분해 판정부(22h)가 각각 가지는 기능은, 처리부(22) 및 기억부(24)로 구성되는 하드웨어 자원이, 처리부(22)의 제어부가 할당하는 태스크를 실행함으로써 실현된다. 여기서, 태스크란,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행하고 있는 처리 전체, 또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행하고 있는 처리 중, 동시에 실행할 수 없는 처리 단위이다.
기억부(24)에는, 처리부(22)에서의 처리에 이용되는 소프트웨어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또, 기억부(24)에는, 상기 서술한, 프로젝터(34)나 카메라(36)의 구동을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태스크나, 화상 처리용 프로그램을 작동시키는 태스크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24)에는, 이러한 태스크 이외에도, 예를 들면, 통신, 다운로드된 음성 데이터, 혹은 기억부(24)에 대한 제어에 처리부(22)가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통신 상대의 전화번호나 메일 어드레스 등이 기술되어 관리하는 주소록, 발신음이나 착신음 등의 음성 파일, 소프트웨어의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일시적인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의 처리 과정에서 사용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일시적인 데이터는, 처리부(22)에 의해 기억부(24)에 할당된 작업 영역에 일시적으로 기억된다. 기억부(24)는, 예를 들면, 불휘발성의 기억 디바이스(ROM : Read Only Memory 등의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하드디스크 장치 등)나, 읽고 쓰기 가능한 기억 디바이스(예를 들면, SRAM : Static Random Access Memory, DRAM :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된다.
송수신부(26)는, 안테나(26a)를 가지고, 기지국에 의해 할당되는 채널을 통해,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 등에 의한 무선 신호 회선을 확립하고, 기지국과의 사이에서 전화 통신 및 정보 통신을 행한다.
조작부(28)는, 예를 들면, 전원 키, 통화 키, 숫자 키, 문자 키, 방향 키, 결정 키, 발신 키 등, 각종 기능이 할당된 조작키(13)와, 특별한 조작이 할당된 전용 키(14)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키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입력되면, 그 조작 내용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킨다. 발생한 신호는, 사용자의 지시로서 처리부(22)에 입력된다.
음성 처리부(30)는, 마이크(15)에 입력되는 음성 신호나 리시버(16)나 스피커(17)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신호의 처리를 실행한다. 즉, 음성 처리부(30)는, 마이크(15)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을 증폭하고, AD 변환(Analog Digital 변환)을 실행한 후, 부호화 등의 신호 처리를 더 실시하고, 디지털의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여 처리부(22)로 출력한다. 또, 처리부(22)로부터 보내지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복호화, DA 변환(Digital Analog 변환), 증폭 등의 처리를 실시하여 아날로그의 음성 신호로 변환하고 나서, 리시버(16)나 스피커(17)로 출력한다. 여기서, 스피커(17)는, 휴대전자기기(10)의 박스체(11) 내에 배치되어 있고, 착신음이나 메일의 송신음 등을 출력한다.
표시부(32)는, 상기 서술한 디스플레이(12)를 가지고 있고, 처리부(22)로부터 공급되는 영상 데이터에 따른 영상,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표시 패널에 표시시킨다. 디스플레이(12)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Monitor)나, 유기 EL(Organic Electro-Luminescence) 패널 등으로 구성된 표시 패널로 구성된다. 또한, 표시부(32)는, 디스플레이(12)에 더해, 서브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휴대전자기기의 프로젝터로 화상을 표시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프로젝터(34)는, 화상을 투영하는 화상 투영부이고, 화상 투영면이 박스체(1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휴대전자기기(10)는, 프로젝터(34)로부터 화상을 투영함으로써,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34)의 화상 투영면과 대향하는 위치의 화상 투영 대상(예를 들면, 벽면이나 스크린 등) 중, 영역(투영 영역) P에 화상을 투영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34)는, 처리부(22)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고, 처리부(22)로부터 보내지는 다양한 영상, 예를 들면, 동영상이나 프리젠테이션 자료 등을 투영하여, 투영 영역에 표시시킨다.
프로젝터(34)는, 광원과, 화상 데이터에 따라,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투영할지의 여부를 전환하는 광학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로젝터(34)의 광원을 레이저광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34)는, 광원과,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투과시킬지의 여부를 전환하는 전환 소자와, 당해 전환 소자를 통과한 광을 래스터 주사시키는 미러로 구성되는 광학계로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미러에 의해 레이저광으로부터 사출된 광의 각도를 바꾸어, 화상 투영 대상의 전면에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주사시킴으로써, 화상 투영 대상에 화상을 투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젝터(34)는, 스캔 방식의 프로젝터이다.
또한, 프로젝터(34)의 구성은, 상기 서술한 레이저를 광원으로 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프로젝터(34)에는, 할로겐 라이트나, LED 광원, LD 광원을 광원으로 하고, LCD(Liquid Crystal Monitor)나,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를 광학계로 한 구성의 프로젝터를 사용해도 된다.
카메라(36)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와 같은 촬상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카메라(36)는, 프로젝터(34)에 의해 투영된 화상을 촬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프로젝터(34)에 의해 화상 투영 대상에 투영된 화상을 촬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메라(36)의 촬상 화각(畵角)이, 프로젝터(34)의 투영 화각보다 커지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프로젝터(34)의 투영 영역(P)보다 카메라(36)의 촬상 영역(C) 쪽이 커지기 때문에, 프로젝터(34)에 의해 투영된 화상을 모두 카메라(36)로 촬상할 수 있다. 또, 카메라(36)는, 휴대전자기기(10)의 사용자가 풍경 등을 촬영하는 카메라와는 별개로 준비되어, 프로젝터(34)에 의해 투영되는 화상을 촬상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광검출 센서(38)는, 박스체(11)가 열린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이다. 휴대전자기기(10)를 개조하는 등의 목적으로 박스체(11)가 열린 경우, 광검출 센서(38)는, 박스체(11)의 외부의 광을 수광하고, 그 취지를 출력한다. 상기 서술한 분해 판정부(22h)는, 광검출 센서(38)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박스체(11)가 열렸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로젝터(34)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 것을 판정할 때에는, 분해 판정부(22h) 및 광검출 센서(38)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4는, 스캔 방식의 프로젝터에 있어서의 묘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화상(A)은, 프로젝터(34)로부터 조사된 레이저광의 점(광점)(D)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주사시킴으로써 묘화된다. 이때, 광점(D)은, X방향으로 왕복하여 주사되고, Y방향에 대해서는 일 방향으로 주사된다. 프로젝터(34)에 의한 묘화에 있어서는, 화상(A)이 장방형인 경우, 1개의 모서리부로부터 광점(D)의 주사가 개시되고, X방향 및 Y방향을 향하여 화상(A)의 전체 영역을 광점(D)이 주사한다. 이것에 의해 1회의 묘화가 종료되고, 1개의 화상(A)이 묘화된다.
프로젝터(34)로 화상을 투영하는 경우, 표시되는 화상은 갱신된다. 단위시간당 몇 번 화상이 갱신되는지, 즉, 단위시간당 갱신 횟수를 나타내는 지표를 프레임 레이트라고 하고, 1초당 갱신 횟수로 나타낸다. 프레임 레이트를 주파수로 나타낸 것이 프레임 주파수이다. 프레임 주파수가 fHz인 경우, 1초당 f회 화상이 갱신된다. 즉, 1초당 f회의 묘화가 실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프로젝터(34)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 것을 검출하기 위하여, 처리부(22)는, 프로젝터(34)가,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을 투영한 경우에, 소정의 화상을 프로젝터(34)가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소정의 화상을 프로젝터(34)가 투영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프로젝터(34)의 상태가 통상의 상태로부터 변화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처리부(22)는, 소정의 화상을 프로젝터(34)가 투영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프로젝터(34)가 화상을 투영하는 출력(프로젝터 출력)을 현시점보다 억제, 즉, 저하 또는 정지시킨다. 소정의 화상을 프로젝터(34)가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에 있어서, 처리부(22)는, 프로젝터(34)에 소정의 화상을 투영시키기 위한 제1 화상 정보, 및 프로젝터(34)가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투영한 화상을 카메라(36)가 촬상함으로써 얻어진 제2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판정한다.
도 5는,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프로젝터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프로젝터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의 타이밍 차트이다. 도 6은, 가로축이 시간이다. 도 7-1은,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는 프로젝터가 투영하는,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2는,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는 프로젝터에 의해 투영된 소정의 화상을 카메라가 촬상하여 얻어지는 제2 화상 정보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3, 도 7-4는,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지 않는 프로젝터가 투영하는,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는 화상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프로젝터(34)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은 것을 판정하는 방법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에 나타내는 처리부(22)의 화상 처리부(22f)는, 프로젝터(34)에 소정의 화상을 투영시키기 위한 제1 화상 정보(A_D)를 생성하여, 프로젝터(34)에 보낸다. 프로젝터(34)는, 제1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을 묘화하여, 소정의 화상(A_P)을 투영한다. 즉, 제1 화상 정보(A_D)는, 소정의 화상(A_P)의 기초가 되는 정보이다. 카메라(36)는,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프로젝터(34)에 의해 투영된 화상을 촬상한다. 카메라(36)가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투영된 화상을 촬상함으로써 얻어진 화상 정보, 더 구체적으로는, 카메라(36)에 의해 촬상된 후, 화상 처리부(22f)에서 제1 화상 정보(A_D)와 비교할 수 있게 처리된 화상 정보가, 제2 화상 정보(A_C)이다.
처리부(22)의 비교 판정부(22a)는, 화상 처리부(22f)가 출력한 제1 화상 정보(A_D)와, 카메라(36)가 촬상하고, 화상 처리부(22f)에서 처리된 제2 화상 정보(A_C)를 취득하여 양자를 비교하고, 양자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가 일치하면, 비교 판정부(22a)는, 소정의 화상을 프로젝터(34)가 투영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한편, 비교의 결과,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가 일치하지 않으면, 비교 판정부(22a)는, 소정의 화상을 프로젝터(34)가 투영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34)가 제1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화상을 묘화하는 시간이 묘화 시간(Tp)이고, 카메라(36)가,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프로젝터(34)에 의해 투영된 화상을 촬상할 때의 시간이 노광시간(Ts)이다. 여기서, 도 6의 시간(Tf)은, 프로젝터(34)로 화상을 투영할 때의 화상의 갱신 주기로서, 프레임 주파수의 역수이다. 또, 카메라(36)의 노광시간(Ts)의 역수는, 카메라(36)의 셔터 속도가 된다. 묘화 시간(Tp)은, 화상의 갱신 주기(화상 갱신 기간)(Tf) 중에 프로젝터(34)가 화상을 출력(즉, 묘화)하는 시간이다. 묘화 시간(Tp)은, 묘화의 갱신시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전환 등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전환 등에 필요한 시간을 고려하여,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의 갱신 주기(Tf) 보다 약간 짧아진다.
여기서, 통상, 프레임 레이트는 일정, 즉, 화상의 갱신 주기(Tf)는 일정하고, 프로젝터(34)가 통상의 상태인 한, 묘화 시간(Tp)도 일정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로젝터(34)가 소정의 화상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때에 있어서의 노광시간(Ts)은, 프로젝터(34)가 통상의 상태로 동작하고 있다는 전제에서, 화상의 갱신 주기(Tf)에 대하여 설정된 묘화 시간(Tp)과 동일하게 한다. 또한, 프로젝터(34)가 소정의 화상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때에 있어서, 카메라(36)에 의한 촬상은, 화상의 갱신 타이밍과 동기시킨다. 즉, 화상의 갱신이 개시되는 타이밍에서 카메라(36)의 노광이 개시되고, 노광시간(Ts)에 노광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제1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프로젝터(34)가 화상을 투영할 때의 묘화 시간(Tp)과, 투영된 화상을 촬상할 때에 있어서의 카메라(36)의 노광시간(Ts)을 동일하게 함으로써, 카메라(36)는, 프로젝터(34)가 투영하고, 묘화한 소정의 화상(A_P)을 그대로 노광할 수 있어, 프로젝터(34)가 투영한 것과 동일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34)가 투영한 화상을 갱신하기 전까지의 기간이면, 카메라(36)의 노광시간(Ts)을, 갱신 주기(Tf) 이하의 범위에서, 프로젝터(34)의 묘화 시간(Tp)보다 길게 해도 된다(예를 들면, 10% 정도). 이렇게 하면, 카메라(36)는, 더 확실하게 프로젝터(34)에 의해 투영된 화상을 촬상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화상(A_P)을 프로젝터(34)가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도 7-1은, 프로젝터(34)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었을 때, 즉, 프로젝터(34)의 화상 출력이 도 6의 (1)에 나타나도록 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소정의 화상(A_P)이다. 이 경우, 프로젝터(34)는, 묘화 시간(Tp)에 소정의 화상(A_P)을 묘화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묘화 시간(Tp)과 노광시간(Ts)은 동일하고, 카메라(36)는, 프로젝터(34)가 투영한 것과 동일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프로젝터(34)가 통상의 상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 화상 정보(A_D)가 모두 출력되기 때문에, 카메라(36)가 촬상한 소정의 화상(A_P)으로부터 얻어지는 화상 정보[제2 화상 정보(A_C)]는, 도 7-2에 나타나게 된다. 이 경우, 통상의 상태의 프로젝터(34)가 투영한 소정의 화상(A_P)으로부터 얻어지는 제2 화상 정보(A_C)는, 제1 화상 정보(A_D)와 동일하게 된다.
프로젝터(34)의 상태가 통상의 상태로부터 변화되면, 묘화에 있어서의 주사 속도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프로젝터(34)의 주사 속도가 저하되면, 갱신 주기(Tf) 중에 1개의 화상을 구성하는 모든 정보를 출력할 수 없게 된다. 그러면, 예를 들면, 프로젝터(34)의 주사 속도가 정상일 때의 75%가 된 경우[도 6의 (2)], 제1 화상 정보(A_D)는 갱신 주기(Tf) 중에 모두 출력할 수 없기 때문에, 제1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프로젝터(34)가 출력하는 화상은, 도 7-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상(A_P1)과 같이 된다.
또, 예를 들면, 프로젝터(34)의 주사 속도가 정상일 때의 50%가 된 경우[도 6의 (3)], 제1 화상 정보(A_D)는 갱신 주기(Tf) 중에 모두 출력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제1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프로젝터(34)가 출력하는 화상은, 도 7-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상(A_P2)과 같이 된다. 여기서, 도 6의 F1, F2는, 프로젝터(34)가 통상의 상태인 경우에 있어서, 갱신 주기(Tf) 중에 프로젝터(34)로부터 출력되는 제1 화상 정보(A_D)에 대한 데이터(정보)의 부족분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상태의 프로젝터(34)가 제1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투영한 소정의 화상(A_P)은, 통상의 상태로부터 변화된 프로젝터(34)가 제1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투영한 화상(A_P1, A_P2)과는 다르다. 카메라(36)는, 프로젝터(34)가 투영한 것과 동일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기 때문에, 도 7-3에 나타내는 화상(A_P1)이나 도 7-4에 나타내는 화상(A_P2)을 카메라(36)가 촬상한 경우, 이것들과 동일한 화상이 촬상된다.
따라서, 통상의 상태로부터 변화된 프로젝터(34)가,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투영한 화상(A_P1, A_P2)을 카메라(36)가 촬상함으로써 얻어지는 제2 화상 정보(A_C1, A_C2)는, 제1 화상 정보(A_D)와는 다른 것이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상태로부터 변화된 프로젝터(34)가 투영한 화상(A_P1, A_P2)으로부터 얻어지는 제2 화상 정보(A_C1, A_C2)는, 제1 화상 정보(A_D)에 대하여 데이터가 부족하다(도 6의 F1, F2에 상당하는 분의 데이터).
따라서,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가 다른 경우, 즉,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로젝터(34)가 소정의 화상을 투영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 판정부(22a)는,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를 비교하여, 일치하고 있지 않은 비율이 소정의 문턱값(예를 들면, 10%) 이상이 된 경우에는,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가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도 8-1 내지 도 8-3은, 제1 화상 정보와 제2 화상 정보를 비교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를 비교하는 경우, 예를 들면,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 중의 특징 부분(화상 특징 부분)을 추출하여 비교한다. 화상 특징 부분은, 화상 중의 에지, 문자, 형상 등이고, 예를 들면, 도 8-1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화상 특징 부분(Ob1, Ob2, Ob3)의 형상을 화상 특징 부분으로서 추출하여 비교한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1 화상 정보(A_D)의 화상 특징 부분과 제2 화상 정보(A_C)의 화상 특징 부분의 일치율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이면,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는 일치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또, 제1 화상 정보(A_D)의 소정 위치에 있어서의 화상 특징 부분과, 상기 소정 위치에 대응하는 제2 화상 정보(A_C)의 화상 특징 부분이 동일하면,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는 일치한다고 판정해도 된다. 화상 특징 부분은,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처리부(22)의 비교 판정부(22a)에 화상 특징 부분의 추출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추출되고, 추출된 화상 특징 부분끼리를 비교 판정부(22a)가 비교한다.
또,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를 비교하는 경우, 예를 들면, 도 8-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교 대상의 제1 화상 정보(A_D)의 4 모서리(CD1∼CD4)와, 제2 화상 정보(A_C)의 4 모서리(CC1∼CC4)를 추출하여 비교해도 된다. 그리고,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 사이에서 추출된 4 모서리끼리를 비교하여, 모두 일치하면,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는 일치한다고 판정한다. 또, 추출된 4 모서리 중 하나라도 다르면,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는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화상 정보의 4 모서리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처리부(22)의 비교 판정부(22a)에 화상 정보의 4 모서리를 추출하는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추출되고, 추출된 4 모서리끼리를 비교 판정부(22a)가 비교한다.
또,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를 비교하는 경우, 예를 들면, 비교 대상의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의 일부분을 추출하여 비교해도 된다. 도 8-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1 화상 정보(A_D)의 일부분(A1)과 제2 화상 정보(A_C)의 일부분(A1)을 추출하여, 동일한지의 여부가 비교된다. 그 결과, 추출된 일부분끼리 동일하면,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는 일치하고, 추출된 일부분끼리 다르면,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는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일부분의 추출은,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처리부(22)의 비교 판정부(22a)에 화상 정보의 일부분을 추출하는 기능을 추가함으로써 추출되고, 추출된 일부분끼리를 비교 판정부(22a)가 비교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로젝터(34)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표시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 프로젝터에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단계 S101에 있어서, 도 2에 나타내는 처리부(22)의 조건 판정부(22g)는, 프로젝터(34)가 기동하였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1에서 No라고 판정된 경우, 즉, 처리부(22)가 프로젝터(34)는 기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판정은 종료된다. 단계 S101에서 Yes라고 판정된 경우, 즉, 조건 판정부(22g)가 프로젝터(34)는 기동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102로 진행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처리부(22)의 카메라 제어부(22b)는, 카메라(36)를 기동시킨다. 이 경우, 카메라 제어부(22b)는, 프로젝터(34)의 기동에 동기시켜 카메라(36)를 기동해도 된다. 또, 카메라(36)의 기동에 동기시켜 프로젝터(34)를 기동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신속하게 프로젝터(34)가 소정의 화상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제어부(22b)는, 프로젝터(34)의 기동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고 나서 카메라(36)를 기동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프로젝터(34)의 프로젝터 출력이 안정되고 나서 카메라(36)로 프로젝터(34)가 투영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또, 프로젝터 제어부(22c)는, 카메라(36)의 기동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고 나서, 프로젝터(34)를 기동해도 된다.
카메라(36)가 기동하면 단계 S103으로 진행하여, 처리부(22)의 프로젝터 제어부(22c)는, 제1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화상 처리부(22f)가 생성한 소정의 화상(A_P)을, 프로젝터(34)에 투영시킨다. 또, 카메라 제어부(22b)는, 프로젝터(34)에 의해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투영된 화상을 카메라(36)에 촬상시킨다.
다음으로, 단계 S104로 진행하여, 비교 판정부(22a)는, 화상 처리부(22f)로부터 제1 화상 정보(A_D)를 취득함과 함께, 카메라(36)가 촬상한 화상으로부터 얻어진 제2 화상 정보(A_C)를 취득한다. 또한, 제2 화상 정보(A_C)는, 카메라(36)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부(22f)가 AD 변환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생성된다. 그리고, 비교 판정부(22a)는,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를 비교하여,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104에서 Yes라고 판정된 경우, 즉, 비교 판정부(22a)가,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는 일치하다고 판정한 경우, 프로젝터(34)는, 제1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는 소정의 화상(A_P)을 바르게 투영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105로 진행하여, 프로젝터 제어부(22c)는,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는 일치한다는 판정 결과를 비교 판정부(22a)로부터 취득한다. 그리고, 프로젝터(34)의 프로젝터 출력을 변경하지 않고, 프로젝터(34)에 의한 투영을 계속한다.
단계 S104에서 No라고 판정된 경우, 즉, 비교 판정부(22a)가,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는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프로젝터(34)는, 제1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는 소정의 화상(A_P)을 투영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105로 진행하여, 프로젝터 제어부(22c)는,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는 일치하지 않는다는 판정 결과를 비교 판정부(22a)로부터 취득하고, 프로젝터(34)의 프로젝터 출력을 억제시킨다. 이것에 의해, 프로젝터(34)가 소정의 화상(A_P)을 투영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젝터(34)가 소비하는 전력이 저감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프로젝터(34)의 광원에 레이저광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로젝터(34)에 의해 투영되는 레이저광이 집중하여 조사되는 사태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34)의 기동 중에는, 상시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를 비교하여, 프로젝터(34)가 소정의 화상(A_P)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그러나, 상시 프로젝터(34)가 소정의 화상(A_P)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면, 처리부(22)의 부하가 커지기 때문에, 본 실시형태와 같이, 프로젝터(34)의 기동시에 프로젝터(34)가 소정의 화상(A_P)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또, 프로젝터(34)의 기동 중에 프로젝터(34)가 소정의 화상(A_P)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 소정의 타이밍마다(예를 들면, 30초마다) 상기 판정을 실행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처리부(22)의 부하를 저감하면서, 프로젝터(34)의 기동 중에 프로젝터(34)가 소정의 화상(A_P)을 투영하고 있지 않은 상태가 발생한 경우에도 그것을 검출하여, 프로젝터 출력을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젝터(34)가 제1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는 소정의 화상(A_P)을 투영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6에서 프로젝터 출력이 억제됨과 함께, 처리부(22)의 통지 제어부(22d)는, 프로젝터(34)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도 1, 도 2에 나타내는 휴대전자기기(10)의 통지부에 통지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통지부를 디스플레이(12)로 하고, 통지 제어부(22d)는, 디스플레이(12)의 배경색을 적색으로 변경하거나, 프로젝터(34)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2)에 표시시킨다. 또, 통지부를 스피커(17)로 하고, 통지 제어부(22d)는, 스피커(17)로부터 경고음을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프로젝터(34)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시킴으로써, 휴대전자기기(10)의 사용자는, 프로젝터(34)의 상태가 통상의 상태로부터 변화될 우려가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또, 프로젝터(34)가 제1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는 소정의 화상(A_P)을 투영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단계 S106에서 프로젝터 출력이 억제됨과 함께, 처리부(22)의 정보 기록부(22e)는,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도 2에 나타내는 휴대전자기기(10)의 기억부(24)에 기억시켜도 된다. 이것에 의해, 이후 프로젝터(34)를 기동하는 지령이 있었을 경우에는, 프로젝터 제어부(22c)가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정보를 판독하고, 이것에 의거하여 프로젝터(34)를 기동시키지 않도록, 혹은 프로젝터 출력을 제한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34)가 소정의 화상을 투영할 수 있게 되면, 정보 기록부(22e)는, 기억부(24)로부터 상기 정보를 소거시킨다. 이렇게 하면, 프로젝터(34)가 소정의 화상을 투영하고 있지 않은 것이 한번 판정되면, 프로젝터(34)가 소정의 화상을 투영할 수 있게 되어 상기 정보가 기억부(24)로부터 소거될 때까지 프로젝터(34)는 기동되지 않거나, 혹은 프로젝터 출력이 제한된다.
도 10은, 시험용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프로젝터(34)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시험용의 화상 정보(시험용 화상 정보)를 미리 준비해 두고, 이것을 제1 화상 정보로서 사용하여 프로젝터(34)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도 10에 나타내는 시험용 화상은, 프로젝터(34)가 시험용 화상(A_U)을 투영한 상태이다.
시험용 화상(A_U)은,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고, 프로젝터(34)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때에는, 처리부(22)의 프로젝터 제어부(22c)는, 프로젝터(34)의 기동시에, 프로젝터(34)가 시험용 화상(A_U)을 투영하도록 처리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프로젝터 제어부(22c)는, 프로젝터(34)의 기동시에, 화상 처리부(22f)에 대하여, 기억부(24)에 기억된 시험용 화상 정보(A_T)를 독출시키고, 프로젝터(34)가 투영할 수 있는 형태로 가공시켜, 프로젝터(34)로 출력시킨다. 이것에 의해, 프로젝터(34)는, 시험용 화상(A_U)을 소정의 화상으로서 묘화하고, 투영한다. 카메라 제어부(22b)는, 카메라(36)가, 시험용 화상 정보(A_T)에 의거하여 투영된 화상을 촬상하도록 처리한다.
시험용 화상(A_U)은, 예를 들면, 상기 서술한 화상 특징 부분이 다른 부분에 대하여 명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형상이나 문자 등을 포함하게 하거나, 화상의 4 모서리에는 반드시 광점이 나타나도록 구성하여, 제1 화상 정보(A_D)와 제2 화상 정보(A_C)를 비교에 적합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험용 화상(A_U)을 이용하면, 프로젝터(34)가 소정의 화상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기가 더 쉬워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는, 프로젝터(34)에 의해 정확한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은 것의 원인으로서, 프로젝터(34)가 통상의 상태와는 다른 상태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기재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프로젝터(34)에 의해 정확한 화상이 투영되지 않는 것의 원인으로서는, 화상이 투영되는 방향에 사람이 있는 경우가 상정된다. 이러한 경우에도, 프로젝터(34)가 화상을 투영하는 출력을 억제시킬 수 있다. 특히, 프로젝터(34)의 광원에 레이저광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출력을 억제시킴으로써 레이저광이 집중하여 사람에게 조사되도록 사태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형태 1과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광검출 센서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휴대전자기기(10)는, 예를 들면, 프로젝터(34)의 광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박스체(11)가 열려 광원이나 그 주위의 회로가 개조되는 것이 상정된다. 이러한 경우, 휴대전자기기(10)의 사양과는 달라지게 되어, 당초의 사양으로부터는 상정할 수 없는 사항이 일어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휴대전자기기(10)의 사양이 당초의 사양과는 달랐을 경우에, 불측의 사태가 발생할 우려를 저감하기 위한 기능(개조 등 추정·보호 기능)을 추가해도 된다. 다음으로, 이 개조 등 추정·보호 기능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자기기(10)의 박스체(11)의 내부에 있어서, 프로젝터(34)의 근방에, 박스체(11)가 열린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로서 광검출 센서(38)를 설치한다. 광검출 센서(38)는, 수광한 경우에 그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광검출 센서(38)는, 박스체(11)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박스체(11)가 열리지 않는 한 수광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박스체(11)가 열리면, 처음 광검출 센서(38)는 수광하여 그 취지의 신호를 출력하기 때문에, 광검출 센서(38)가 수광한 것에 의해, 박스체(11)가 열린 것을 검출할 수 있다. 즉, 광검출 센서(38)는, 박스체(11)가 열린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가 된다. 광검출 센서(38)를 사용함으로써, 박스체(11)가 열린 것을 비교적 간단히 검출할 수 있다. 처리부(22)의 분해 판정부(22h)는, 광검출 센서(38)가 수광하였다는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 경우, 즉, 광검출 센서(38)에 의해 박스체(11)가 열린 것이 검출된 경우에는, 프로젝터 출력을 억제시킨다. 광검출 센서(38)는, 박스체(11)의 내부에 배치된 통상의 상태에서는 수광하지 않도록, 예를 들면, 박스체(11)의 내부에 설치한 리브로 둘러싸인 공간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해, 박스체(11)가 열렸을 때만, 확실하게 광검출 센서(38)에 수광하게 할 수 있다.
휴대전자기기(10)는, 전원인 전지(8)가 탑재되어 있고, 전지(8)로부터 프로젝터(34)나 카메라(36), 처리부(22)로 전력이 공급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또한, 전지(8)와는 다른 전원(보조 전원)으로서 보조 전지(9)를 설치하고, 전지(8)가 분리된 경우에는, 보조 전지(9)로부터 광검출 센서(38) 및 처리부(22)로 전력을 공급한다. 이와 같이, 보조 전지(9)를 사용함으로써, 전지(8)가 분리된 경우에도, 박스체(11)가 열린 것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프로젝터(34)의 개조 등을 더 확실하게 추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박스체(11)가 열린 것을 검출한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부(22)의 처리 순서를 설명한다.
도 12는, 박스체가 열린 경우에 있어서의 처리 순서 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박스체(11)가 열리면, 박스체(11)의 내부에 광이 들어가, 광검출 센서(38)가 수광한다. 이것에 의해, 광검출 센서(38)는, 박스체(11)가 열린 것을 검출하고, 수광하였다는 취지의 신호를 출력한다. 단계 S301에 있어서, 분해 판정부(22h)가 광검출 센서(38)로부터 수광하였다는 취지의 신호를 취득한 경우(단계 S301 : Yes), 단계 S302로 진행한다. 광검출 센서(38)가 수광한 것에서 박스체(11)가 열렸다고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통상 박스체(11)는 열리지 않는다는 점에서, 박스체(11)가 열린 경우에는, 휴대전자기기(10)에 어떠한 개조, 예를 들면, 프로젝터(34)의 개조 등이 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S302에 있어서, 수광하였다는 취지의 신호를 취득한 분해 판정부(22h)는, 프로젝터(34)의 출력의 억제를 설정한다. 프로젝터 제어부(22c)는, 분해 판정부(22h)에 의한 상기 설정에 의해, 현재 프로젝터(34)가 화상을 투영하고 있는 경우에는, 프로젝터 출력을 억제시킨다. 이와 같이, 프로젝터(34)의 개조가 추정되는 경우에는, 프로젝터(34)의 출력을 억제시킨다.
프로젝터(34)의 출력의 억제가 설정되면 단계 S303으로 진행하여, 정보 기록부(22e)는, 박스체(11)가 열린 것에 대한 정보를 기억부(24)에 기억시킨다. 이것에 의해, 박스체(11)가 닫힌 후, 프로젝터(34)를 기동하는 지령이 있었을 경우에는, 프로젝터 제어부(22c)가 기억부(24)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정보를 판독하고, 이것에 의거하여 프로젝터(34)를 기동시키지 않도록, 혹은 프로젝터 출력을 제한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젝터(34)의 개조 등이 해소되면, 정보 기록부(22e)는, 기억부(24)로부터 상기 정보를 소거시킨다. 이렇게 하면, 한번 박스체(11)가 열려 프로젝터(34)의 개조 등이 추정되면, 프로젝터(34)의 개조 등이 해소되어 상기 정보가 기억부(24)로부터 소거될 때까지 프로젝터(34)는 기동되지 않거나, 혹은 프로젝터 출력이 제한된다. 또, 박스체(11)가 열린 것에 대한 정보를 기억부(24)에 기억시킴으로써, 휴대전자기기(10)의 설계·제조자 등이 의도하지 않은 개조 등이 행하여진 것을 설계·제조자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 광검출 센서(38)가 수광한 것이 검출되어, 박스체(11)가 열렸다고 판정된 경우, 박스체(11)가 열린 것에 대한 정보를 기억부(24)에 기억시킴과 함께, 통지 제어부(22d)는, 박스체(11)가 열린 것에 대한 정보를 도 1, 도 2에 나타내는 휴대전자기기(10)의 통지부에 통지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통지부를 디스플레이(12)로 하고, 통지 제어부(22d)는, 디스플레이(12)의 배경색을 적색으로 변경하거나, 박스체(11)가 열렸기 때문에, 프로젝터(34)를 사용할 수 없는 취지의 메시지를 디스플레이(12)에 표시시킨다. 또, 통지부를 스피커(17)로 하고, 통지 제어부(22d)는, 스피커(17)로부터 경고음을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박스체(11)가 열린 것에 대한 정보를 통지시킴으로써, 휴대전자기기(10)의 사용자에 대한 주의를 재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출부로서 광검출 센서(38)를 사용하였으나, 검출부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프로젝터(34)의 박스체(11) 내에 배치되는 부분, 혹은 프로젝터(34)를 분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에, 촉각센서를 설치하여, 프로젝터(34)에 접촉한 것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프로젝터(34)는, 통상은 박스체(11)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프로젝터(34)에 대한 접촉이나 분리가 검출된 경우에는, 프로젝터(34)의 개조를 추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휴대전자기기(10)는, 상기 서술한 프로젝터(34)에 의해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을 구비하지 않고, 개조 등 추정·보호 기능만을 실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휴대전자기기(10)는, 적어도 검출부인 광검출 센서(38)와, 처리부(22)의 분해 판정부(22h) 및 프로젝터 제어부(22c)를 가지는 것이 필요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처리부(22)의 정보 기록부(22e), 통지 제어부(22d), 통지부인 디스플레이(12)나 스피커(17)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조 등 추정·보호 기능만을 실현할 수 있도록 휴대전자기기(10)를 구성하는 경우, 본 실시형태로부터는 다음 발명이 파악된다.
제1 발명은,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화상을 투영하는 화상 투영부와, 당해 화상 투영부가 투영한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와,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박스체의 내부에 있어서, 상기 화상 투영부의 근방에 설치되어,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경우, 상기 화상 투영부가 화상을 투영하는 출력을 억제시키는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자기기이다. 이 제1 발명에 의해, 박스체가 열린 것에 의해, 화상 투영부의 개조 등을 추정하여, 화상 투영부의 출력을 억제시킨다.
제2 발명은, 상기 제1 발명과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를 구동하는 전원는 다른 전원으로 구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발명은, 상기 제1 또는 제2 발명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광검출 센서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4 발명은, 상기 제1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경우,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구비하는 통지부에,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에 대한 정보를 통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 발명은, 상기 제1 내지 제3 발명 중 어느 하나와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경우,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구비하는 기억부에,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에 대한 정보를 기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 2)
실시형태 2는, 실시형태 1과 대략 동일하나, 불가시광으로 투영되는 불가시화상을 이용하여, 휴대전자기기에 탑재된 프로젝터가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에 의거하여, 프로젝터가 소정의 가시화상을 투영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다. 또한, 실시형태 2와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광검출 센서를 검출부로서 사용함으로써 실현되는 개조 등 추정·보호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13은, 실시형태 2와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의 기능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4는, 가시화상, 불가시화상, 및 촬상 영역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 2와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에 있어서, 프로젝터에 의해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제어 블록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전자기기(10a)가 구비하는 화상 투영부인 프로젝터(34a)는, 가시광 조사장치(가시광 조사수단)(31)와, 불가시광 조사장치(불가시광 조사수단)(33)와, 묘화장치(37)를 포함한다. 또, 휴대전자기기(10a)는, 프로젝터(34a)로부터 투영된 화상의 초점을 조정하기 위한 초점 조정장치(초점 조정장치)(39)를 구비한다. 또한, 가시광 조사장치(31), 묘화장치(37), 초점 조정장치(39)는, 실시형태 1의 휴대전자기기(10)에도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가시광 조사장치(31)는, 프로젝터(34a)의 광원으로서, 가시광 영역의 광(단파장 측이 360㎚ 내지 400㎚ 이상, 장파장 측이 760㎚ 내지 830㎚ 이하의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시광 조사장치(31)는, R(Red), G(Green), B(Blue)의 3색의 광을 조사한다. 불가시광 조사장치(33)는, 프로젝터(34a)의 광원으로서, 불가시광 영역의 광(단파장 측이 360㎚ 내지 400㎚보다 작고, 장파장 측이 760㎚ 내지 830㎚보다 큰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불가시광 조사장치(33)는, 예를 들면, 자외 영역이나 적외 영역의 광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불가시광 조사장치(33)는, 적외 영역의 광을 조사하나, 자외 영역의 광을 조사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시광 조사장치(31) 및 불가시광 조사장치(33)의 광원을 레이저광으로 하고 있으나, 이러한 광원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할로겐 라이트나 LED 광원 등을 사용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프로젝터(34a)는, 가시화상(가시광으로 투영되는 화상) 및 불가시화상의 양방을 투영할 수 있다.
묘화장치(37)는, 가시광 조사장치(31)로부터 조사되는 3색의 광을 합성함과 함께, 화상 투영 대상에 조사한다. 또, 묘화장치(37)는, 불가시광 조사장치(33)로부터 조사되는 불가시광을 화상 투영 대상에 조사한다. 또한, 묘화장치(37)는, 가시광 조사장치(31)로부터 조사되는 3색의 광 및 불가시광 조사장치(33)로부터 조사되는 불가시광을 합성하여, 화상 투영 대상에 조사한다. 이것에 의해, 묘화장치(37)는, 가시광만으로 구성되는 가시화상이나 불가시광만으로 구성되는 불가시화상, 혹은 가시화상과 불가시화상이 합성된 화상을 화상 투영 대상에 투영할 수 있다.
묘화장치(37)는, 광원인 가시광 조사장치(31)나 불가시광 조사장치(33)로부터 조사된 가시광이나 불가시광을 투영하는지의 여부를, 화상 데이터에 따라 전환하는 광학계로 구성되어 있다. 묘화장치(37)는, 예를 들면, 광원으로부터 사출된 광을 투과시킬지의 여부를 전환하는 전환 소자와, 당해 전환 소자를 통과한 광을 래스터 주사시키는 미러로 구성된다. 상기 미러로서는, 예를 들면, MEMS(Micro Electro Mechanical System) 미러가 사용된다. MEMS 미러는,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미러를 구동하고, 가시광 조사장치(31)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이나 불가시광 조사장치(33)로부터 조사되는 불가시광을 주사하여, 가시화상이나 불가시화상을 생성한다. 이 경우에는, 미러에 의해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의 각도를 바꾸어, 화상 투영 대상의 전체 면에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광을 주사시킴으로써, 화상 투영 대상에 가시화상이나 불가시화상을 투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프로젝터(34a)는, 실시형태 1의 프로젝터(34)와 마찬가지로, 스캔 방식의 프로젝터이다.
초점 조정장치(39)는, 프로젝터 제어부(22c)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묘화장치(37)로부터 투영되는 가시화상이나 불가시화상이 화상 투영 대상 상에서 결상시키는 기능(초점 조정 기능)을 가진다. 초점 조정장치(39)는, 예를 들면, 가동렌즈 등으로 구성되는 초점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있어, 렌즈를 움직임으로써 상기 초점 조정 기능을 실현한다. 또, 초점 조정장치(39)는, 프로젝터(34a)가 투영하는 화상의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처리부(22f)에 의해 소정의 화상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상기 초점 조정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어도 된다. 또한, 초점 조정장치(39)는, 초점 조정 기능 및 화상 처리에 의해 상기 초점 조정 기능을 실현하는 것이어도 된다.
카메라(36)는 촬상부이고,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 이미지 센서와 같은 촬상 소자를 사용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카메라(36)의 촬상 화각이, 프로젝터(34a)의 투영 화각보다 커지도록 구성된다. 이것에 의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34a)에 의한 가시화상의 투영 영역(PA) 및 불가시화상의 투영 영역(PI)보다 카메라(36)의 촬상 영역(C) 쪽이 커지기 때문에, 프로젝터(34a)에 의해 투영된 가시화상 및 불가시화상은, 모두 카메라(36)로 촬상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카메라(36)는, 가시화상과 불가시화상의 양방을 촬상한다. 이 때문에, 카메라(36)는, 촬상 가능한 광의 대역폭이, 가시광 조사장치(31)로부터 조사되는 가시광의 대역 및 불가시광 조사장치(33)로부터 조사되는 불가시광의 대역의 양방을 포함한다. 불가시화상은, 가시화상의 파장 범위 외의 파장이기 때문에, 카메라(36)가 가시화상만을 촬상하는 경우에는, 가시광의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카메라(36)의 촬상소자 앞에 배치한다. 또, 카메라(36)가 촬상한 화상의 정보로부터, 화상 처리부(22f)에 의한 화상 처리에 의해 가시광의 대역만을 추출한다.
또, 카메라(36)가 가시화상 및 불가시화상을 촬상하는 경우에는, 카메라(36)는 촬상 소자에 모든 대역의 광을 입광시킨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22f)는, 가시광의 대역 및 불가시광의 대역이 포함되도록, 카메라(36)가 촬상한 화상의 정보를 처리한다. 또, 카메라(36)가 불가시화상만을 촬상하는 경우에는, 불가시광의 대역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를 카메라(36)의 촬상소자 앞에 배치한다. 그리고, 카메라(36)가 촬상한 화상의 정보로부터, 화상 처리부(22f)의 화상 처리에 의해 불가시광의 대역만을 추출한다.
또한, 카메라(36)는 불가시화상의 촬상에만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카메라(36)는, 불가시광 조사장치(33)가 조사하는 불가시광의 대역을 촬상할 수 있으면 된다. 또, 불가시화상만을 촬상하는 경우, 불가시광 조사장치(33)가 조사하는 불가시광을 적외선으로 하여, 휴대전자기기(10a)가 구비하는 적외선 통신용 수광부를 사용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불가시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새롭게 설치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휴대전자기기(10a)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카메라(36)는, 휴대전자기기(10)의 사용자가 풍경 등을 촬영하는 카메라와는 별개로 준비되어, 프로젝터(34)에 의해 투영되는 가시화상 및 불가시화상을 촬상하기 위해서만 사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실시형태 1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휴대전자기기(10)에 탑재된 프로젝터(34)가 투영한 소정의 화상을 카메라(36)로 촬상함으로써, 프로젝터(34)가 소정의 화상(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휴대전자기기(10a)에 탑재된 프로젝터(34a)의 불가시광 조사장치(33)로부터 조사되는 불가시광에 의해 투영되는 불가시화상을 카메라(36)로 촬상함으로써, 프로젝터(34a)가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 처리부(22f)는, 프로젝터(34a)에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시키기 위한 제3 화상 정보(A_D)를 생성하고, 프로젝터(34a)로 보낸다. 프로젝터(34a)는, 제3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화상을 묘화하고,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한다. 즉, 제3 화상 정보(A_D)는, 소정의 불가시화상의 기초가 되는 정보이다. 카메라(36)는,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프로젝터(34a)에 의해 투영된 불가시화상(A_PI)을 촬상한다. 카메라(36)가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투영된 불가시화상(A_PI)을 촬상함으로써 얻어진 화상 정보, 더 구체적으로는, 카메라(36)에 의해 촬상된 후, 화상 처리부(22f)에서 제3 화상 정보(A_D)와 비교할 수 있도록 처리된 화상 정보가, 제4 화상 정보(A_C)이다.
처리부(22)의 비교 판정부(22a)는, 화상 처리부(22f)가 출력한 제3 화상 정보(A_D)와, 카메라(36)가 촬상하고, 화상 처리부(22f)에서 처리된 제4 화상 정보(A_C)를 취득하고 양자를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경우, 제3 화상 정보(A_D)와, 제4 화상 정보(A_C)가 일치하면, 비교 판정부(22a)는,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프로젝터(34)가 투영하고 있어, 프로젝터(34a)는 통상의 상태로 동작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한편, 비교의 결과, 제3 화상 정보(A_D)와, 제4 화상 정보(A_C)가 일치하지 않으면, 비교 판정부(22a)는,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프로젝터(34a)가 투영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제3 화상 정보(A_D)와 제4 화상 정보(A_C)가 일치하는지의 여부, 즉, 제3 화상 정보(A_D)와 제4 화상 정보(A_C)가 동일한지의 여부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판정된다. 즉, 제3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프로젝터(34a)가 불가시화상을 투영할 때의 묘화 시간(Tp)과, 투영된 불가시화상을 촬상할 때에 있어서의 카메라(36)의 노광시간(Ts)을 동일하게 한다. 비교 판정부(22a)는, 이러한 조건으로 카메라(36)가 촬상한 불가시화상으로부터 얻어진 제4 화상 정보(A_C)와 제3 화상 정보(A_D)를 비교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불가시광으로 투영되는 불가시화상을 이용하여, 프로젝터(34a)가 정확한 화상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불가시화상은 인간의 눈에는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불가시화상을 본 인간은 눈부심을 느끼지 않는다. 또, 불가시광은 인간의 눈에는 인식되지 않기 때문에, 불가시광 조사장치(33)는, 카메라(36)가 촬상할 수 있는 최저한의 출력으로 불가시광을 조사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불가시광 조사장치(33)를 저출력으로 할 수 있다.
프로젝터(34a)가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에 있어서는, 도 13에 나타내는 가시광 조사장치(31)가 투영하는 가시화상과 동일한 화상을 불가시광 조사장치(33)에 의해 투영시켜도 된다. 또,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프로젝터(34a)가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용의 시험용 화상을 사용해도 된다.
도 16은, 실시형태 2와 관련되는 시험용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시험용의 화상(시험용 화상)(A_Ua)은, 불가시광에 의해 투영되는 화상이다. 시험용 화상(A_Ua)은, 서로 평행한 관계에 있는 한 쌍의 편(제1 변)(L1, L1)과, 각각의 제1 변(L1, L1)과 직교함과 함께, 서로 평행한 관계에 있는 한 쌍의 변(제2 변)(L2, L2)으로 구성되는 장방형 화상이다. 또한, 시험용 화상(A_Ua)은 정방형이어도 된다. 시험용 화상(A_Ua)은, 프로젝터(34a)가 묘화 가능한 전체 묘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사이즈이다.
시험용 화상(A_Ua)을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한 경우, 시험용 화상(A_Ua)의 형상, 즉, 제1 변(L1)과 제2 변(L2)의 비율이 시험용 화상(A_Ua)과 동일한 비율로, 프로젝터(34a)의 전체 묘화 영역에 골고루 불가시광이 조사되어 있으면, 프로젝터(34a)가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다고 판정한다. 그리고, 시험용 화상(A_Ua)과는 다른 형상, 예를 들면, 제1 변(L1)과 제2 변(L2)의 비율이 시험용 화상(A_Ua)과는 다른 비율로, 프로젝터(34a)의 전체 묘화 영역의 일부에 불가시광이 조사되어 있는 경우에는, 프로젝터(34a)가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
시험용 화상(A_Ua)을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함으로써, 화상 투영 대상에 투영된 시험용 화상(A_Ua)의 초점이 다소 어긋나 있어도, 시험용 화상(A_Ua)과 동일 형상의 불가시화상을 검출할 수 있으면, 프로젝터(34a)가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1, 즉, 가시화상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시험용 화상의 형상을 장방형 또는 정방형으로 함으로써, 본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시험용 화상(A_Ua)은, 장방형 또는 정방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상이어도 되고, 문자나 도형 등이나, 그것들을 조합한 것이어도 된다.
도 17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프로젝터에 의해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방법은, 도 13에 나타내는 프로젝터(34a)의 기동 중, 즉, 프로젝터(34a)가 가시화상을 한창 투영하고 있는 동안에,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단계 S401에 있어서, 도 13에 나타내는 처리부(22)의 조건 판정부(22g)는, 프로젝터(34a)가 기동 중인지의 여부, 즉, 프로젝터(34a)가 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단계 S401에서 No라고 판정된 경우, 즉, 처리부(22)가 프로젝터(34a)는 기동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 START로 되돌아가고, 처리부(22)는, 프로젝터(34a)의 동작 상태의 감시를 계속한다. 단계 S401에서 Yes라고 판정된 경우, 즉, 조건 판정부(22g)가 프로젝터(34a)는 기동 중이라고 판정한 경우, 단계 S402로 진행한다. 프로젝터(34a)가 기동 중인 경우, 프로젝터(34a)는, 가시화상을 화상 투영 대상에 투영하고 있다.
단계 S402에 있어서, 처리부(22)의 프로젝터 제어부(22c)는, 제3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화상 처리부(22f)가 생성한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프로젝터(34a)에 투영시킨다. 다음으로, 단계 S403으로 진행하여, 카메라 제어부(22b)는, 카메라(36)를 기동시킴과 함께, 프로젝터(34a)에 의해 제3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투영된 불가시화상을 카메라(36)에 촬상시킨다. 여기서, 카메라(36)를 기동시키고나서 제3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는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프로젝터(34a)에 투영시켜도 된다.
다음으로, 단계 S404로 진행하여, 비교 판정부(22a)는, 화상 처리부(22f)로부터 제3 화상 정보(A_D)를 취득함과 함께, 카메라(36)가 촬상한 불가시화상으로부터 얻어진 제4 화상 정보(A_C)를 취득한다. 또한, 제4 화상 정보(A_C)는, 카메라(36)에 의해 촬상된 불가시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부(22f)가 AD 변환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생성된다. 그리고, 비교 판정부(22a)는, 제3 화상 정보(A_D)와 제4 화상 정보(A_C)를 비교한다.
단계 S404에서 Yes라고 판정된 경우, 즉, 비교 판정부(22a)가, 제3 화상 정보(A_D)와 제4 화상 정보(A_C)는 일치한다고 판정한 경우, 프로젝터(34a)는, 제3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는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405로 진행하여, 프로젝터 제어부(22c)는, 제3 화상 정보(A_D)와 제4 화상 정보(A_C)는 일치한다는 판정 결과를 비교 판정부(22a)로부터 취득하여, 프로젝터(34a)의 프로젝터 출력을 변경하지 않고, 프로젝터(34)에 의한 가시화상의 투영을 계속한다.
단계 S404에서 No라고 판정된 경우, 즉, 비교 판정부(22a)가, 제3 화상 정보(A_D)와 제4 화상 정보(A_C)는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프로젝터(34a)는, 제3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는 소정의 불가시화상(A_P)을 투영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406으로 진행하여, 프로젝터 제어부(22c)는, 제3 화상 정보(A_D)와 제4 화상 정보(A_C)는 일치하지 않는다는 판정 결과를 비교 판정부(22a)로부터 취득하고, 프로젝터(34a)의 프로젝터 출력을 억제시킨다. 이것에 의해, 프로젝터(34a)가 소정의 불가시화상(A_P)을 투영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젝터(34a)가 소비하는 전력이 저감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프로젝터(34a)의 광원에 레이저광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로젝터(34a)에 의해 투영되는 레이저광이 집중하여 조사되는 사태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은, 프로젝터(34a)의 기동 중에 상시 실행해도 되고, 소정의 타이밍마다 실행해도 된다. 후자와 같이 하면, 처리부(22)의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프로젝터(34a)가 제3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는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도 13에 나타내는 휴대전자기기(10a)의 통지부[예를 들면, 표시부(32)]에 통지시켜도 된다. 또, 프로젝터(34a)가 제3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는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도 13에 나타내는 휴대전자기기(10a)의 기억부(24)에 기억시켜도 된다.
도 18은, 실시형태 2에 있어서, 프로젝터에 의해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다른 방법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방법은, 도 13에 나타내는 프로젝터(34a)가 가시화상을 투영하기 전에,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것이다. 단계 S501에 있어서, 도 13에 나타내는 처리부(22)의 조건 판정부(22g)는, 프로젝터(34a)가 가시화상의 투영을 개시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휴대전자기기(10a)의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프로젝터(34a)의 기동 명령을 조건 판정부(22g)가 취득하여, 프로젝터(34a)가 이제부터 가시화상의 투영을 개시한다고 판정한다.
단계 S501에서 No라고 판정된 경우, 즉, 프로젝터(34a)는 가시화상의 투영을 개시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START로 되돌아가고, 처리부(22)는, 프로젝터(34a)의 동작 상태의 감시를 계속한다. 단계 S501에서 Yes라고 판정된 경우, 즉, 조건 판정부(22g)가 프로젝터(34a)는 이제부터 가시화상의 투영을 개시한다고 판정한 경우, 단계 S502로 진행한다.
단계 S502에 있어서, 처리부(22)의 프로젝터 제어부(22c)는, 제3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화상 처리부(22f)가 생성한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프로젝터(34a)에 투영시킴과 함께, 카메라 제어부(22b)는, 카메라(36)를 기동시킨다. 또한, 카메라(36)를 기동시키고나서 프로젝터(34a)가 불가시화상을 투영하도록 해도 된다.
다음으로, 단계 S503으로 진행하여, 카메라 제어부(22b)는, 프로젝터(34a)에 의해 제3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투영된 불가시화상을 카메라(36)에 촬상시킨다. 여기서, 프로젝터(34a)가 불가시화상의 투영을 개시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카메라(36)를 기동시켜도 된다. 이렇게 하면, 프로젝터(34a)의 프로젝터 출력이 안정되고 나서 카메라(36)로 프로젝터(34a)가 투영한 불가시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504로 진행하여, 비교 판정부(22a)는, 화상 처리부(22f)로부터 제3 화상 정보(A_D)를 취득함과 함께, 카메라(36)가 촬상한 불가시화상으로부터 얻어진 제4 화상 정보(A_C)를 취득한다. 또한, 제4 화상 정보(A_C)는, 카메라(36)에 의해 촬상된 불가시화상에 대하여, 화상 처리부(22f)가 AD 변환 등의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여 생성된다. 그리고, 비교 판정부(22a)는, 제3 화상 정보(A_D)와 제4 화상 정보(A_C)를 비교한다.
단계 S504에서 Yes라고 판정된 경우, 즉, 비교 판정부(22a)가, 제3 화상 정보(A_D)와 제4 화상 정보(A_C)는 일치한다고 판정한 경우, 프로젝터(34a)는, 제3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는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505로 진행하여, 프로젝터 제어부(22c)는, 제3 화상 정보(A_D)와 제4 화상 정보(A_C)는 일치한다는 판정 결과를 비교 판정부(22a)로부터 취득하고, 프로젝터(34a)에 가시화상을 투영시킨다. 이 경우, 프로젝터(34a)의 프로젝터 출력은, 초기 설정값으로부터 저하시키지 않는다.
단계 S504에서 No라고 판정된 경우, 즉, 비교 판정부(22a)가, 제3 화상 정보(A_D)와 제4 화상 정보(A_C)는 일치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 프로젝터(34a)는, 제3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는 소정의 불가시화상(A_P)을 투영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단계 S506으로 진행하여, 프로젝터 제어부(22c)는, 제3 화상 정보(A_D)와 제4 화상 정보(A_C)는 일치하지 않는다는 판정 결과를 비교 판정부(22a)로부터 취득하고, 프로젝터(34a)가 가시화상을 투영하는 출력(프로젝터 출력)을 억제시킨다.
이것에 의해, 예를 들면, 프로젝터(34a)의 광원에 레이저광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로젝터(34a)가 레이저광을 집중하여 조사하는 사태를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또, 프로젝터(34a)가 소정의 불가시화상(A_P)을 투영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젝터(34a)가 소비하는 전력이 저감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504에서 No라고 판정된 경우, 단계 S506에서, 프로젝터 제어부(22c)는, 프로젝터(34a)에 의한 가시화상의 투영을 중지, 즉, 프로젝터 출력을 0으로 해도 된다. 이것에 의해, 불필요한 전력 소비를 더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설명한,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은, 프로젝터(34a)가 가시화상을 투영하기 전에,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것에 의해, 프로젝터(34a)가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지 않은 경우, 가시화상의 투영을 중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지 않는 프로젝터(34a)로 가시화상이 투영되는 것을 미연에 회피할 수 있다.
도 19는, 카메라 대신, 프로젝터가 투영한 불가시화상의 반사광을 검지하는 광검지부를 사용하여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방법의 설명도이다. 휴대전자기기(10b)는, 프로젝터(34a)와, 광검지부인 포토 다이오드(36b)를 구비한다. 또한, 광검지부는, 포토 다이오드(36b)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광전관, 광전자 배증관, PSD(Position Sensitive Detector : 광위치센서)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휴대전자기기(10b)는, 도 13에 나타내는 휴대전자기기(10a)가 구비하는 카메라(36)를, 포토 다이오드(36b)로 치환한 구성이고, 다른 구성은, 휴대전자기기(10a)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휴대전자기기(10a)의 구성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34a)에 의해 투영되는 불가시화상(A_PI)은, 불가시광의 광점(불가시 광점)(S1, S2 …Sn)의 집합이 된다. 이 방법으로는, 불가시 광점(S1) 등을, 각각 포토 다이오드(36b)에 의해 검지하여, 프로젝터(34a)에 의해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포토 다이오드(36b)에 의해 검지되는 것은, 불가시 광점(S1) 등의 반사광이다. 이하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불가시 광점의 반사광을 포토 다이오드(36b)가 검지하는 것을, 불가시 광점을 포토 다이오드(36b)가 검지한다고 표현한다.
이 방법에서는, 제3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프로젝터(34a)가 묘화 시간(Tp) 중에 투영한 불가시화상(A_PI)의 불가시 광점(S1) 등을, 각각 포토 다이오드(36b)가 검지한다. 제3 화상 정보(A_D)는 미리 준비되어 있기 때문에, 프로젝터(34a)가 묘화 시간(Tp) 중에 투영한 불가시화상(A_PI)을 구성하는 불가시 광점(S1) 등의 휘도 분포도 미리 알 수 있다.
도 20-1, 도 20-2는, 포토 다이오드에 의해 검지된, 묘화 시간 중에 있어서의 불가시화상의 불가시 광점의 휘도 분포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제3 화상 정보(A_D)가, 프로젝터(34a)가 묘화 가능한 전체 묘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사이즈의 장방형 화상으로서, 모든 영역이 동일한 출력의 불가시광으로 묘화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프로젝터(34a)가 통상의 상태로 동작하고 있으면, 도 20-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가시 광점의 휘도(B)는, 프로젝터(34a)에 의한 묘화의 개시부터 종료까지, 즉, 묘화 시간(Tp) 중에는 일정하게 된다. 한편, 프로젝터(34a)의 상태가 통상의 상태로부터 변화되면, 예를 들면, 도 20-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불가시 광점의 휘도(B)는, 프로젝터(34a)에 의한 묘화의 개시부터 종료까지의 사이에서 변화된다.
본 방법에서는, 제3 화상 정보(A_D)에 의거하여 프로젝터(34a)가 투영한 불가시화상(A_PI)의 불가시 광점(S1) 등을, 묘화 시간(Tp)[갱신 주기(Tf)이어도 된다] 중에 포토 다이오드(36b)에 의해 검지한다. 그리고, 처리부(22)의 비교 판정부(22a)는, 검지된 불가시 광점(S1) 등의 휘도 분포를, 프로젝터(34a)가 통상의 상태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제3 화상 정보(A_D)에 대응하는 불가시 광점(S1) 등의 휘도 분포와 비교함으로써, 프로젝터(34a)가,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포토 다이오드(36b)를 사용하면, 휴대전자기기(10b)에 카메라를 구비할 필요는 없다.
상기 설명에서는,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프로젝터(34a)에 의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함에 있어서 사용하는 정보로서 불가시 광점(S1) 등의 휘도(B)를 사용하였으나, 상기 정보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면, 불가시 광점(S1) 등의 광량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포토 다이오드(36b)를 단수(單數)로 하고 있으나, 포토 다이오드(36b)를 복수(예를 들면, 2개) 준비하고, 양방의 포토 다이오드(36b)에 의해 검출된 불가시 광점(S1) 등의 출력의 차분을 이용하여 상기 판정을 실행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불가시 광점(S1) 등의 장소를 알 수 있기 때문에, 포토 다이오드(36b)와 불가시 광점(S1)의 기울어짐에 따른 휘도 변화나 광량 변화를 보정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판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불가시화상을 예로 하였으나, 가시화상에 대해서도 본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젝터(34a)에 의해 조사되는 가시광의 광점(가시광점)을 포토 다이오드(36b)에 의해 검지하여, 불가시화상의 경우와 동일한 방법으로, 프로젝터(34a)가,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불가시광에 의해 투영되는 불가시화상을 이용하여,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프로젝터에 의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와 같이, 불가시화상을 이용함으로써, 프로젝터가 가시화상을 한창 투영하고 있는 동안에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프로젝터에 의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경우에는, 가시화상과 다른 불가시화상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판정을 하기 쉬운 불가시화상[예를 들면, 프로젝터(34a)가 묘화 가능한 전체 묘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 사이즈의 장방형의 화상]을 가시화상과 함께 투영하여, 상기 판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자기기(10a, 10b)가 구비하는 프로젝터(34a)는, 불가시광을 조사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프로젝터에 의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뿐만 아니라, 다른 용도에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젝터(34a)에 의해 가시화상을 투영하기 전에, 불가시광에 의해 소정의 패턴을 가지는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이것을 사용하여 도 13에 나타내는 초점 조정장치(39)에 의한 오토 포커스를 실행한다. 그리고, 상기 불가시화상의 초점이 맞고 나서 프로젝터(34a)에 가시화상을 투영시킨다. 이렇게 하면, 초점이 맞지 않는 가시화상이 투영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불가시광으로 문자를 투영하고, 디지털 워터마킹으로서 대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형태의 휴대전자기기(10a, 10b)가 구비하는 프로젝터(34a)는, 불가시화상 및 가시화상의 양방을 투영할 수 있다. 따라서, 통상은 불가시화상을 이용하여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프로젝터에 의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프로젝터(34a)가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할 수 없게 된 경우에, 가시화상을 사용하여 상기 판정을 실행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휴대전자기기는, 프로젝터와 같은, 화상을 투영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하는 것에 유용하다.
8 : 전지 9 : 보조 전지
10, 10a, 10b : 휴대전자기기 11 : 박스체
12 : 디스플레이 17 : 스피커
22 : 처리부 22a : 비교 판정부
22b : 카메라 제어부 22c : 프로젝터 제어부
22d : 통지 제어부 22e : 정보 기록부
22f : 화상 처리부 22g : 조건 판정부
22h : 분해 판정부 24 :기억부
26 : 송수신부 28 : 조작부
30 : 음성 처리부 31 : 가시광 조사장치
32 : 표시부 33 : 불가시광 조사장치
34, 34a : 프로젝터 36 : 카메라
36b : 포토 다이오드 37 : 묘화장치
38 : 광검출 센서 39 : 초점 조정장치

Claims (18)

  1. 화상을 투영하는 화상 투영부와,
    소정의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투영부에 소정의 화상을 투영시키는 투영 처리를 실행하는 처리부를 구비하고,
    당해 처리부는, 상기 소정의 화상 정보에 의거하는 상기 투영 처리를 행하고 있을 때에, 상기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화상 투영부에 의한 투영을 억제하는 휴대전자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투영부가 투영한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부를 구비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에 소정의 화상을 투영시키기 위한 상기 소정의 화상 정보인 제1 화상 정보, 및 상기 화상 투영부가 투영한 상기 소정의 화상을 상기 촬상부가 촬상함으로써 얻어진 제2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휴대전자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가 상기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화상을 투영하는 시간과, 상기 제1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 투영부가 투영한 화상을 상기 촬상부가 촬상할 때의 노광시간을 동일하게 하는 휴대전자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의 기동에 따라 상기 촬상부를 기동시키는 휴대전자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화상 정보는, 상기 화상 투영부에 의해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시험용 화상 정보이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에 상기 시험용 화상 정보를 투영시킴과 함께, 상기 촬상부에 상기 시험용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투영된 화상을 촬상시키는 휴대전자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투영부는,
    가시화상 및 불가시화상을 투영하고,
    상기 촬상부는, 상기 소정의 화상으로서 당해 화상 투영부가 투영한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촬상하며,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에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시키기 위한 제3 화상 정보, 및 당해 제3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투영부가 투영한 불가시화상을 상기 촬상부가 촬상함으로써 얻어진 제4 화상 정보로부터, 상기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화상 투영부에 의한 상기 가시화상의 투영을 억제하는 휴대전자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가 상기 제3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투영하는 시간과, 상기 제3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투영부가 투영한 상기 소정의 불가시화상을 상기 촬상부가 촬상할 때의 노광시간을 동일하게 하는 휴대전자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투영부가 투영하는 가시화상과 불가시화상은 겹쳐 투영되는 휴대전자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가 상기 가시화상을 투영하기 전에, 상기 화상 투영부에 상기 불가시화상을 투영시키는 휴대전자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소정의 불가시화상이 투영되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 상기 화상 투영부에 가시화상을 투영시키는 휴대전자기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구비하는 통지부에,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통지를 행하게 하는 휴대전자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구비하는 기억부에,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시키는 휴대전자기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투영부가 투영한 화상의 반사광을 검지하는 광검지부를 가지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광검지부에 의해 검지된 상기 반사광에 의거하여, 상기 소정의 화상이 투영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휴대전자기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전자기기의 박스체가 열린 것을 검출하는 검출부가 설치되고,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경우, 상기 화상 투영부에 의한 투영을 억제하는 휴대전자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화상 투영부를 구동하는 전원과는 다른 전원으로 구동되는 휴대전자기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광검출 센서인 휴대전자기기.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경우,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구비하는 통지부에,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에 대한 정보를 통지시키는 휴대전자기기.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부는,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을 상기 검출부가 검출한 경우, 상기 휴대전자기기가 구비하는 기억부에, 상기 박스체가 열린 것에 대한 정보를 기억시키는 휴대전자기기.

KR1020117019741A 2009-02-25 2010-02-25 휴대전자기기 KR1013923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043197 2009-02-25
JPJP-P-2009-043197 2009-02-25
JP2009106548A JP5520517B2 (ja) 2009-02-25 2009-04-24 携帯電子機器
JPJP-P-2009-106548 2009-04-24
PCT/JP2010/053005 WO2010098406A1 (ja) 2009-02-25 2010-02-25 携帯電子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7198A true KR20110117198A (ko) 2011-10-26
KR101392310B1 KR101392310B1 (ko) 2014-05-07

Family

ID=4266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9741A KR101392310B1 (ko) 2009-02-25 2010-02-25 휴대전자기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90992B2 (ko)
JP (1) JP5520517B2 (ko)
KR (1) KR101392310B1 (ko)
WO (1) WO201009840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861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옵트론텍 이미지 영사 부품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40096A1 (en) * 2010-12-01 2012-06-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iming Solution for Projector Camera Devices and Systems
JP5074616B1 (ja) * 2011-10-19 2012-11-14 哲也 秋葉 コンテンツ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US9093007B2 (en) * 2012-09-21 2015-07-2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a presentation
JP6022898B2 (ja) * 2012-10-31 2016-11-09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5056687A (ja) * 2013-09-10 2015-03-23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4516699A (zh) * 2013-09-27 2015-04-1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图像显示方法及电子设备
JP6200791B2 (ja) * 2013-12-04 2017-09-20 株式会社日立エルジーデータストレージ 光学ユニット、投射型表示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6070599B2 (ja) * 2014-02-18 2017-02-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
JP6429470B2 (ja) * 2014-03-14 2018-11-2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70094238A1 (en) * 2015-09-30 2017-03-30 Hand Held Products, Inc. Self-calibrating projection apparatus and process
DE102015219538A1 (de) * 2015-10-08 2017-04-13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Aufnahme eines Bildes mit einem Mobilgerät
JP2020064255A (ja) * 2018-10-19 2020-04-2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画像出力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JP7322844B2 (ja) * 2020-09-24 2023-08-0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点灯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9102A (ja) * 1994-08-30 1996-03-22 Toshiba Corp 電子機器
JPH11225346A (ja) * 1998-02-05 1999-08-17 Hitachi Ltd ディスプレイモニタ画像検査方法とその装置
JP2002007027A (ja) * 2000-06-27 2002-01-11 Masanori Idesawa 画像情報表示装置
CN1671938A (zh) * 2002-07-31 2005-09-21 索尼株式会社 通信装置
JP2005091665A (ja) * 2003-09-17 2005-04-07 Nec Viewtechnology Ltd プロジェクタ及び障害物検出方法
JP4590985B2 (ja) * 2004-08-31 2010-12-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6146046A (ja) * 2004-11-24 2006-06-08 Canon Inc 投射型表示装置
JP4437777B2 (ja) 2005-09-27 2010-03-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機能付携帯端末
US8898128B2 (en) * 2007-05-07 2014-11-25 Nokia Corporation Content storing device query
JP2008293276A (ja) * 2007-05-24 2008-12-04 Sony Corp デジタルシネマ再生装置、上映中断対応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217268B2 (ja) * 2007-06-22 2013-06-19 株式会社リコー 携帯型電子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3861A (ko) * 2018-11-28 2020-06-05 주식회사 옵트론텍 이미지 영사 부품을 테스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057061A1 (en) 2012-03-08
JP5520517B2 (ja) 2014-06-11
KR101392310B1 (ko) 2014-05-07
JP2010224509A (ja) 2010-10-07
US8890992B2 (en) 2014-11-18
WO2010098406A1 (ja) 2010-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310B1 (ko) 휴대전자기기
US20220201222A1 (en) Photographing Using Night Shot Mode Processing and User Interface
JP5259010B2 (ja) 携帯電子機器および投影システム
US9170472B2 (en) Portable photographing device
US20120069308A1 (en) Mobile electronic device
JP4533641B2 (ja) 携帯型プロジェクタ
US9097966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for projecting an image
JP5420365B2 (ja) 投影装置
JP2009284438A (ja) 携帯端末装置
US20120182531A1 (en) Image projecting apparatus
JP2009135622A (ja) 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CN107071277B (zh) 一种光绘拍摄装置、方法和移动终端
JP4631370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携帯電話、カメラ
JP5615651B2 (ja) 電子機器および投影システム
JP4961662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携帯電話、カメラ
JP4834973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携帯電話、カメラ
JP5665570B2 (ja) 電子機器
JP2014187663A (ja) 携帯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4655563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携帯電話、カメラ
JP4655565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携帯電話、カメラ
JP4655564B2 (ja) プロジェクタ装置、携帯電話、カメラ
JP2006060535A (ja) 携帯電話装置
JP6331380B2 (ja) 通信装置、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835960A (zh) 图像生成方法及装置、电子设备、可读存储介质
JP2005333296A (ja) 撮像機能付き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