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9888A - 겔 시트 및 겔 시트를 이용한 외용제 - Google Patents

겔 시트 및 겔 시트를 이용한 외용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9888A
KR20110109888A KR1020110025352A KR20110025352A KR20110109888A KR 20110109888 A KR20110109888 A KR 20110109888A KR 1020110025352 A KR1020110025352 A KR 1020110025352A KR 20110025352 A KR20110025352 A KR 20110025352A KR 20110109888 A KR20110109888 A KR 201101098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sheet
gel
powder
colored
porou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코 후지타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세이힝코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9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98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08Tissues; Wipes;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9Porous; Hol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07Drug-containing films, membranes or she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rd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분체 착색재를 겔 시트 중에 균일하게 분산할 수 없었던 경우에도 생산성이 현격히 우수하고, 착색도나 고급감을 발현할 수 있으며, 의도적인 디자인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겔 시트를 제공한다.
착색된 다공성 기재 (3)가 중간 기재로서 매설되고, 또한 분체 착색재 (4)가 겔 시트 (1) 중에 병용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성 기재 (3)가 착색한 실을 짠 직포를 이용하고 있고, 상기 다공성 기재 (3)를 상하 2층으로 분단시키는 일 없이 상기 다공성 기재 (3)의 개구 중에 상기 분체 착색재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겔 시트 및 겔 시트를 이용한 외용제{GEL SHEET AND EXTERNAL PREPARATIO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품, 의약부외품, 잡품 등의 외용제로 사용되는 겔 시트팩제에 있어서, 특히 화장용 팩제 또는 화장제로서 유용한 겔 시트에 관한 것이다.
화장용 팩제로서 투명 혹은 반투명한 겔 시트가 이용되고 있다. 이들에 미적인 장식을 가해 아름다운 외관으로서 의장성 (意匠性)을 높이거나, 고급감을 창출하기 위해서 겔 시트 중에 금가루나 착색분체를 가하는 일이 실행되고 있다.
종래, 특허문헌 1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시트상 제제에 진주 재료를 배합해, 아름다운 외관을 나타내는 시트상 화장료를 제공한다. 펄 (pearl) 재료로서 광휘성 분체 및 금속 증착 필름이 기재되어 있다. 또 강도를 유지하고, 신축성을 갖게 하기 위해서 개구율이 큰 직포, 부직포를 내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기재가 있다.
일본 특개 2002-2991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은 함수 (含水) 겔층의 표면에 금속색을 출현시키는 성분이, 상기 함수 겔층에 함유되어 있는 겔 시트이다. 여기서 금속색을 출현시키는 성분이란 마이카에 산화티탄, 산화철을 피복시킨 산화철 피복 티탄 마이카 등의 분체이다. 이 분체를 겔 시트 중에 분산시키는 것이 어렵다.
겔 형성 조성물은 비교적 고점도이며, 분체 분산을 위해 강하게 교반하면 겔 시트 중에 기포가 들어가 탈포에는 장시간을 필요로 한다.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천천히 교반하면 분체의 분산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여 생산성이 나빠진다. 이와 같이 분체상으로 가하면 착색분체가 겔 시트 중에 균일하게 분산할 수 없거나, 역으로 부분적인 착색을 할 수 없거나 했다. 또 분산이 불충분하면 착색에 다량의 분체를 필요로 한다. 또 착색분체의 첨가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는 기대할만한 착색도나 고급감이 발현하지 않았다. 분산 상태는 조절하기 어렵기 때문에 의도적인 디자인이 곤란하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생산성이 현격히 우수하고, 착색도나 고급감을 발현할 수 있으며, 의도적인 디자인으로 조절할 수 있는 겔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래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은 착색한 다공성의 기재를 겔 시트의 중간 기재로서 겔 시트 중에 매설함으로써 의도적, 효과적인 장식을 가능하게 한 겔 시트를 제공한다.
본 청구항 1의 발명은 착색된 다공성 기재가 중간 기재로서 매설된 겔 시트이다.
본 청구항 2의 발명은 착색된 다공성 기재가 착색한 섬유로부터 작성된 기재인 청구항 1에 기재된 겔 시트이다.
본 청구항 3의 발명은 착색된 다공성 기재가 무착색 섬유로부터 작성된 기재에 염색 및/또는 인쇄한 기재인 청구항 1에 기재된 겔 시트이다.
본 청구항 4의 발명은 분체 착색재가 병용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겔 시트이다.
본 청구항 5의 발명은 착색된 다공성 기재가 중간 기재로서 매설되고, 또한 분체 착색재가 겔 시트 중에 병용되어 있으며, 상기 다공성 기재를 상하 2층으로 분단시키는 일 없이 상기 다공성 기재의 개구 중에 상기 분체 착색재를 가지고 있는 청구항 4 기재의 겔 시트이다.
본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겔 시트를 이용하는 화장용 겔 팩이다.
본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 기재의 겔 시트를 이용하는 외용제이다.
본 발명의 겔 시트는 착색된 다공성 기재가 중간 기재로서 겔 시트중에 매설되어 있으므로, 겔 시트 중에 분산시키는 것이 어려운 분체 착색재를 첨가한 겔 시트에 비해서 착색도가 우수하고, 고급감을 발현할 수 있으며, 디자인을 의도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또, 분체 착색재의 분산성을 신경 쓰지 않아도 되어 생산성이 현격히 우수하기 때문에 염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1은 겔 시트, 2는 함수 겔 조성물, 3은 겔 시트 (1) 중에 중간 기재로서 매설된 착색된 다공성 기재, 4는 분체 착색재이다.
 
다공성 기재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는 다공성 기재로는 직포 (편포 (遍布) 포함), 부직포가 예시된다. 그 중에서도 직포가 바람직하다. 또 비착색 부분은 겔 시트 중에서 투명 또는 반투명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투명이 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다공성 기재는 겔 조성물로 이루어진 겔 시트를 상하 2층으로 분단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 경우 개구율이 큰 다공성 기재로는 다음 식 (수 1)으로 표시되는 1 ㎡ 당의 섬유에 의한 가정상 (假定上)의 차폐 면적 N(㎡/㎡)이
0.2≤N≤2.0
의 범위내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 1)
N=0.107W √(1/dρ)
여기서, (수 1) 식 중 W는 포상 (布狀) 기재의 단위면적당 중량 (g/㎡), d는 구성하는 섬유의 데니어 (denier) 섬량 (纖量), ρ은 섬유 구성 성분의 밀도 (g/㎤)이다.
(수 1)에서의 N이 0.2 보다 작은 경우는 착색도가 불충분하게 되거나, 착색에 다량의 재료가 필요하게 되어 디자인성이 제한된다. 또, 다공성 기재의 강도가 충분하지 않고, 겔 시트의 강도 향상 효과도 적다. 한편, N이 2.0 보다 큰 경우에는 강성이 너무 강하기 때문에 유연성이 부족하여, 팩재로서 이용했을 경우에는 피부에 부착성이 나빠서 바람직하지 않다.
개구 비율이 큰 직포 또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 사용 가능하지만, 투명성이나 위생 관리면으로부터 천연 섬유보다는 합성 섬유가 바람직하다.
그 중에서도 바람직한 소재로는 나일론, 레이온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들 수 있다. 또한, 겔에 매입된 경우에 기포가 발생하기 어려운 등의 점으로부터 멀티필라멘트 타입의 섬유의 경우는 한 개의 실을 구성하는 섬유의 수는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모노필라멘트 타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인 다공성 기재로는 빛의 반사를 변화시켜 빛나도록 보이는 특수한 단면의 실 (브라이트사 또는 광택사)을 이용하여 엮은 편포가 바람직하다.
(착색된 다공성 기재)
다공성 기재의 착색 방법으로는 다공성 기재를 구성하는 섬유에 착색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섬유의 착색에는 섬유를 착색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일반적인 염료·안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 무착색 다공성 기재를 염색하거나 인쇄하여 착색할 수도 있다. 염색과 인쇄를 병용해도 된다. 이에 의해 의도적인 착색이 가능하며,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섬유로서 착색한 필름이나 금속 증착을 실시한 필름을 잘게 쪼개서 (slit) 실 형상으로 한 것을 이용해도 된다.
또, 화장품에서 종래 병용되고 있는 광휘성 분체 (분체 착색재)를 섬유에 접착제 등을 이용해 부착시킨 섬유를 이용해 다공성 기재를 작성해도 된다. 직접, 광휘성 분체를 다공성 기재에 접착제 등을 이용해 부착시켜도 된다.
광휘성 분체로는, 예를 들면 산화티탄 피복 운모, 산화티탄 피복 판상 실리카, 산화티탄 피복 판상 알루미나, 산화철 피복 티탄 마이카, 산화철 피복 운모, 판상 산화철, 마이카, 어린박 (魚鱗箔), 진주껍질, 옥시염화비스무트, 금속 증착 수지 필름, 금속 산화물 증착 수지 필름, 금,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산화티탄 피복 운모, 산화티탄 피복 판상 실리카, 산화티탄 피복 판상 알루미나, 산화철 피복 운모, 판상 산화철, 마이카, 옥시염화비스무트, 금속 증착 수지 필름이나 금속 산화물 증착 수지 필름의 분쇄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착색 재료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해 사용할 수 있다. 또, 산화티탄 피복 운모의 일종으로서 색소나 산화철 등을 병용한 것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산화티탄 피복 운모 등의 피복 분체에서는 피복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강한 광택을 발하는 것으로부터 조금밖에 광택을 발하지 않는 것까지 임의로 사용 가능하다.
섬유에 광휘성 물질을 부착시키는 경우는, 섬유의 중량에 대해서 1∼50 중량%의 광휘성 물질을 부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 미만이면 의장성의 창출이 어려워지고, 50 중량% 이상이면 강도적으로 약해져 떨어져 나가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부착시키는 경우의 광휘성 물질의 크기는 0.5 μm∼2 ㎜가 바람직하다. 0.5 μm 미만이면 의장성의 창출이 어려워지고, 2 ㎜를 초과하면 겔로부터 광휘성 물질이 돌출되어 자극의 원인이 되기 쉽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착색된 다공성 기재로는 상기 빛의 반사를 변화시켜 빛나도록 보이는 특수한 단면의 실 (브라이트사 또는 광택사)을 엮은 편포에 염료로 착색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나일론제의 브라이트사를 트리코트하프 (tricot half) 짜임한 것에 베이지 산성염료로 염색한 금색 스파크 하프 (spark half)로 일컬어지는 편포가 바람직하다.
(분체 착색재의 병용)
또, 화장품에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분체 착색재 (착색분체)를 소량 첨가하면 더욱 효과적이다. 그 중에서도 상기 광휘성 분체가 바람직하다. 그 첨가량은 시트상 제재에 대해서 0.001∼3 중량%가 바람직하다. 너무 적어도 의장성을 실감하기 어려우며, 너무 많으면 비용이 높아진다.
소량의 분체 착색재를 병용함으로써, 착색 기재를 포함하는 전체로서 의장성이나 고급감이 높아지는 것 이외에 불규칙성에 의해 흥미가 느껴진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해당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표 1의 배합량은 중량부를 나타내고 있다.
(실시예 1)
하기 표 1에 나타낸 각 성분을 충분히 혼합해 얻은 겔 형성용 배합액 (겔 기재로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가교제로서 메타규산알루민산마그네슘, 방부제로서 메틸파라벤, 가소제로서 DPG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PEG1000 (폴리에틸렌 글리콜, 분자량 1000)의 50% 수용액, 용매로서 물을 교반 혼합해 작성)을 빠르게 100 μm 두께의 PET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전연 (展延)했다. 그 주위에 두께 1 mm의 스페이서를 두고, 중간 기재 (착색된 다공성 기재)로서 금색 스파크 하프 나일론 6제 편포 (나일론 6의 밀도는 1.14 g/㎤, 15 데니어인 모노필라멘트 브라이트사를 트리코트하프 짜임한 것에 베이지 산성염료로 염색한 것, 편포 단위면적당 중량 17 g/㎡, N=0.44)를 전연한 배합액 상에 올려, 추가로 배합액을 중간 기재상에 전연하고, 최상부에 38 μm 두께의 PET 필름을 씌우고, 그 위에서 평탄한 금속판으로 프레스했다. 그 상태에서 24시간 실온 정치해 고화시켜, 두께 1 ㎜의 겔 시트를 얻었다. 중간 기재의 양측에 겔이 있기 (중간 기재가 겔 중에 매설되어 있음) 때문에, 어느 쪽 면으로부터도 착색을 확인할 수 있는 상태이었다.
(실시예 2∼4)
겔 형성용 배합액을 실시예 1의 겔 형성용 배합액에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착색분체 A∼C (광휘성 분체 A: 엔겔 하드 (Engelhard)사제 「티미카 브릴리언트 골드」, 광휘성 분체 B: 치바재팬사제 「아트데코 골드펄」, 광휘성 분체 C: 일본광연공업사제 「프로미네스 RYH」)를 추가로 배합해 교반 혼합한 겔 형성용 배합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 ㎜의 겔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5)(광휘성 분체 없음)
중간 기재 (착색한 다공성 기재)로서 표백하지 않은 나일론 6제 편포 (나일론 6의 밀도는 1.14 g/㎤, 15 데니어의 모노필라멘트사를 트리코트하프 짜임한 것에 베이지 산성염료로 염색한 것, 편포 단위면적당 중량 17 g/㎡, N=0.44)를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 ㎜의 겔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6)(겔 종류 상이 1)
겔 형성용 배합액을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착색분체를 포함하는 각 성분을 배합해 교반하면서 80℃까지 가열, 용해하여 얻은 겔 형성용 배합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1 mm의 겔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7)(겔 종류 상이 2)
겔 형성용 배합 액을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각 성분을 배합해 교반하면서 80℃까지 가열, 용해하여 얻은 겔 형성용 배합액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두께 1 ㎜의 겔 시트를 얻었다.
(실시예 8)(광휘성 분체를 섞어서 짜넣은 중간 기재)
중간 기재 (착색된 다공성 기재)로서 나일론 6제 편포 (나일론 6의 밀도는 1.14 g/㎤, 15 데니어인 모노필라멘트에 광휘성 분체로서 1 ㎜ 지름의 산화철 피복 티탄 마이카를 필라멘트의 중량비 25%로 접착시킨 실을 트리코트하프 짜임한 것, 편포 단위면적당 중량 17 g/㎡, N=0.44)를 중간 기재로서 이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 ㎜의 겔 시트를 얻었다.
(비교예 1)
비교예 1은 착색을 실시하지 않은 나일론 6제의 15 데니어 굵기의 실을 트리코트 짜임한 것을 중간 기재로 하고, 광휘성 분체를 첨가한 것 이외에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 ㎜의 겔 시트를 얻었다. 상기 중간 기재는 겔 중에서는 시각적으로 거의 투명하게 되는 것에 더하여, 광휘성 분체를 0.3% 첨가하고 있어도 시각상은 드문드문 있어 인식되기 어려운 것이었다.
Figure pat00001
이들 실시예·비교예에서 얻어지는 겔 시트는 두께 1 ㎜로, 중간 기재를 내재하고 있으며, 그 양면은 박리 가능한 PET제의 세퍼레이터로 커버된 상태이다. 이를 얼굴 전체를 덮는 마스크 형상으로 재단기로 타발한 후, 차광성과 수증기 배리어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필름제의 파우치 봉지 중에 밀봉하여 마스크 형상 겔 시트 팩제를 얻었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이용한 관능 특성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전문 패널리스트 10명을 이용해 시제품의 관능 특성을 첩부 시험으로 관능 평가했다. 마스크 형상 겔 시트 팩제의 양측 세퍼레이터를 박리하고, 얼굴 위에 15분 붙인 후에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했다. 평가 항목으로는 시각적으로 흥미있다고 느끼는지 아닌지를 앙케이트 형식으로 평가했다. 효과가 인정되지 못한 경우를 0점으로 하고, 효과가 인정되었을 경우를 5점으로 하며, 그 사이를 합계 4 단계로 평가하여 전원의 점수의 합계를 사용해서 평가 결과 (만점 50점)로 했다 (표 2).
따라서, 점수가 높을수록 평가가 높은 것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실시예 1∼8은 비교예 1에 비하여 시각적인 흥미가 향상하고, 그 시각적인 심리상의 기대감이 발생하여, 여러 가지 의장성의 연출을 할 수 있었다. 또 소량의 착색재로도 의장성이 높기 때문에, 저비용에서의 작성이 가능했다.
1 겔 시트
2 함수 겔 조성물
3 다공성 기재
4 분체 착색재

Claims (7)

  1. 착색된 다공성 기재가 중간 기재로서 매설된 겔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착색된 다공성 기재가 착색한 섬유로부터 작성된 기재인 겔 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착색된 다공성 기재가 무착색 섬유로부터 작성된 기재에 염색 및/또는 인쇄한 기재인 겔 시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체 착색재가 병용된 겔 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착색된 다공성 기재가 중간 기재로서 매설되고, 또한 분체 착색재가 겔 시트 중에 병용되고 있으며, 상기 다공성 기재를 상하 2층으로 분단시키는 일 없이 상기 다공성 기재의 개구 중에 상기 분체 착색재를 가지고 있는 겔 시트.
  6.  청구항 1 기재의 겔 시트를 이용하는 화장용 겔 팩.
  7. 청구항 1 기재의 겔 시트를 이용하는 외용제.
KR1020110025352A 2010-03-29 2011-03-22 겔 시트 및 겔 시트를 이용한 외용제 KR201101098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75258A JP2011207787A (ja) 2010-03-29 2010-03-29 ゲルシート
JPJP-P-2010-075258 2010-03-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9888A true KR20110109888A (ko) 2011-10-06

Family

ID=44939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5352A KR20110109888A (ko) 2010-03-29 2011-03-22 겔 시트 및 겔 시트를 이용한 외용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11207787A (ko)
KR (1) KR20110109888A (ko)
CN (1) CN202236424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52039A (zh) * 2014-12-16 2015-05-27 广州纳保科技有限公司 一种产生负离子、远红外线的湿敷式无纺布面膜
JP2018203663A (ja) * 2017-06-05 2018-12-27 ロレアル 金属閉塞層付きゲルシートマスク
JP2019119733A (ja) * 2017-12-27 2019-07-22 日本製紙パピリア株式会社 スキンケア用ゲルシート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77106B2 (ja) * 1998-10-13 2007-02-07 日東電工株式会社 化粧用ゲルシート
JP2001261527A (ja) * 2000-03-17 2001-09-26 Asahi Kasei Corp 湿潤用基材
JP3910346B2 (ja) * 2000-07-12 2007-04-25 株式会社カネボウ化粧品 シート状化粧料
JP4662369B2 (ja) * 2006-06-23 2011-03-30 明広商事株式会社 泥フェイスパック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07787A (ja) 2011-10-20
CN202236424U (zh)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3436650C2 (de) Applikationsgegenstand, der insbesondere als Körpertätowierungs-Imitat verwendbar ist
JP4632333B2 (ja) 化粧用隠蔽シールおよび肌の凹凸及び濃色部分の化粧方法
CA2551104A1 (en) Multiple layer nonwoven products and methods for creating color schemes and for producing such products
BRPI1015153B1 (pt) aplicação para fornecer um desing sobre um tecido.
KR20170024708A (ko) 열변색성 마스크 팩용 안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열변색성 마스크 팩
CN102665654A (zh) 包含纤维状颜料的化妆品组合物
DE212020000518U1 (de) Lichtretroreflektierendes grafisches Textil
CA2791341A1 (en) Magnetically-oriented cosmetic fibers
CN106379014A (zh) 一种感温变色布及其制备方法
JP4132388B2 (ja) 再帰反射性印刷用インキ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再帰反射性物品
KR20110109888A (ko) 겔 시트 및 겔 시트를 이용한 외용제
EP1439805A1 (en) Color individual packing sheet for disposable sanitary napkin
TWI379930B (en) Artificial leath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20055949A (ko) 하이드로겔 패치
US20130337225A1 (en) Body art/eyebrow application device
JP3735657B2 (ja) 編織組織が透視可能な光輝性複合膜材
EP1254985B1 (en) Water-discoloring printed matter and water-discoloring toy employing the same
KR20130136216A (ko) 나노 분말 하이드로겔 패치
KR102619756B1 (ko) 착색 부직포의 제조 방법
US11225063B2 (en) Decorative material
CN108248141A (zh) 珍珠银装饰墙纸
JP3201632U (ja) パール調黒色皮革様シート
KR101803862B1 (ko) 금속판 도트를 이용한 냉감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냉감 원단
WO2021200420A1 (ja) 表皮材
KR102621024B1 (ko) 심미감 및 피부 흡수력이 개선된 하이드로겔 패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