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3932A - 계면활성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계면활성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3932A
KR20110103932A KR1020117009933A KR20117009933A KR20110103932A KR 20110103932 A KR20110103932 A KR 20110103932A KR 1020117009933 A KR1020117009933 A KR 1020117009933A KR 20117009933 A KR20117009933 A KR 20117009933A KR 20110103932 A KR20110103932 A KR 201101039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nent
surfactant
surfactant composition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6802B1 (ko
Inventor
마사키 이노우에
야스히로 도이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3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3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8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83Mixtures of non-ionic with a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94High foam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4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aliphatic hydrocarbons or mono-alcohols
    • C11D1/146Sulfur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29Sulfates of polyoxyalkylene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72Ethers of polyoxyalkylene glyco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osmetics (AREA)
  • Emulsifying, Dispersing, Foam-Producing Or Wetting Agents (AREA)

Abstract

저온 (5 ℃) 에서 장기 보존 후의 유동성이나 희석시의 기포성이 우수한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음 성분 (A), (B) 및 (C) 를 함유하고, 성분 (A) 의 함유량이 40 ∼ 75 중량% 인 계면활성제 조성물.
(A) :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황산염형 계면활성제
R1O-(PO)m(EO)nSO3M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8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PO 는 프로필렌옥시기를, EO 는 에틸렌옥시기를 나타내고, m, n 은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0<m<1, 0<n<5 범위의 수를 나타내고, M 은 양이온을 나타낸다.)
(B) : 하기 (B-1) 및 (B-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
(B-1)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코올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R2O-(AO)t-R3 (2)
(식 중, R2 는 탄소수 8 ∼ 10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t 는 AO 의 평균 부가 몰수로, 0.5 ∼ 4.0 의 수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B-2) 모노알킬 또는 모노알케닐 글리세릴에테르
(C) : 수용성 염류

Description

계면활성제 조성물{SURFACTANT COMPOSITION}
본 발명은 특정 황산염형 계면활성제를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어도, 폭넓은 온도에서 양호한 유동성을 가지며, 희석시에는 기포성이 우수한 세정제가 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황산염형 계면활성제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황산염 또는 알킬에테르 황산염은, 고농도에서는 매우 유동성이 나빠 취급이 곤란하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문헌 1 에서는, (a)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황산염 또는 알킬에테르 황산염에 (b) 탄소수 4 ∼ 24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갖는 1 종 이상의 글리세릴에테르 또는 디글리세릴에테르 및 (c) 수용성 염류를 조합하여, 성분 (a) 의 함유량이 40 중량% 이상인 계면활성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서는, (a)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황산염 또는 알킬 황산염에 (b') R2O-(AO)m-R3 으로 나타내는 알코올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과 (c) 수용성 염류를 조합하여, 성분 (a) 의 함유량이 40 중량% 이상인 계면활성제 조성물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저온 (5 ℃) 에서 장기 보존 후의 유동성이나 희석시의 기포성의 관점에서는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26554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7-55997호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성분 (A), (B) 및 (C) 를 함유하고, 성분 (A) 의 함유량이 40 ∼ 75 중량% 인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A) :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황산염형 계면활성제
R1O-(PO)m(EO)nSO3M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8 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PO 는 프로필렌옥시기를, EO 는 에틸렌옥시기를 나타내고, m, n 은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0<m<1, 0<n<5 범위의 수를 나타내고, M 은 양이온을 나타낸다.)
(B) : 하기 (B-1) 및 (B-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
(B-1)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코올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R2O-(AO)t-R3 (2)
(식 중, R2 는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t 는 AO 의 평균 부가 몰수로, 0.5 ∼ 4.0 의 수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B-2) 모노알킬 (탄소수 6 ∼ 18) 또는 모노알케닐 (탄소수 6 ∼ 18) 글리세릴에테르
(C) : 수용성 염류
본 발명은, 저온 (5 ℃) 에서 장기 보존 후의 유동성이나 희석시의 기포성이 우수한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특정 황산염형 계면활성제를 사용하고, 이것과 알코올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및 수용성 염류를 조합함으로써, 저온 (5 ℃) 에서 장기 보존 후의 유동성과 희석시의 기포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온 (5 ℃) 에서 장기 보존 후의 유동성과 희석시의 기포성이 우수한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저온 (5 ℃) 에서 장기 보존 후의 유동성과 기포성이 우수한 것은, 황산염형 계면활성제가 옥시프로필렌기를 특정량 가지고 있으므로, 결정 형성이 억제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 성분 (A), (B) 및 (C) 를 함유하고, 성분 (A) 의 함유량이 40 ∼ 75 중량% 인 계면활성제 조성물이다.
(A) :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황산염형 계면활성제
R1O-(PO)m(EO)nSO3M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8 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PO 는 프로필렌옥시기를, EO 는 에틸렌옥시기를 나타내고, m, n 은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0<m<1, 0<n<5 범위의 수를 나타내고, M 은 양이온을 나타낸다.)
(B) : 하기 (B-1) 및 (B-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
(B-1)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코올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R2O-(AO)t-R3 (2)
(식 중, R2 는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t 는 AO 의 평균 부가 몰수로, 0.5 ∼ 4.0 의 수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B-2) 모노알킬 (탄소수 6 ∼ 18) 또는 모노알케닐 (탄소수 6 ∼ 18) 글리세릴에테르
(C) : 수용성 염류
이하, 각 성분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재한다.
성분 (A) :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황산염형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일반식 (1) 중의 R1 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의 평균 탄소수는 8 ∼ 18 이지만, 8 ∼ 16 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4 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2 ∼ 14 이다. 또한, 기포력, 거품의 매끄러움과 같은 성능 면에서, R1 은 유지 원료 유래의 직사슬 알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옥틸기, 데실기, 라우릴기, 미리스틸기, 세틸기, 스테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 (1) 중, PO 의 평균 부가 몰수 m 은 0<m<1 이지만, 기포성 및 저온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1 ∼ 0.9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 0.9 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2 ∼ 0.8 이며, 더욱 특히 바람직하게는 0.3 ∼ 0.8 이다.
또, 일반식 (1) 중, EO 의 평균 부가 몰수 n 은 0<n<5 이지만, 기포성 및 저온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5 ∼ 4.0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3.0 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 ∼ 2.0 이다.
제조시에 있어서 반응성, 기포성 및 저온 안정성의 종합적 관점에서, PO 및 EO 의 평균 부가 몰수는, PO 가 0.1 ∼ 0.9 이며 또한 EO 가 0.5 ∼ 4.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PO 가 0.2 ∼ 0.9 이며 또한 EO 가 1.0 ∼ 3.0 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PO 가 0.3 ∼ 0.8 이며 또한 EO 가 1.0 ∼ 2.0 이다.
또, 일반식 (1) 중의 M 은 염을 형성하는 양이온이고, 예를 들어 알칼리 금속 이온, 알칼리 토금속 이온, 염기성 아미노산, 암모늄 이온, 알칸올 암모늄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알칼리 금속 이온으로는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 리튬 이온 등을, 그리고 알칼리 토금속 이온으로는 칼슘 이온 등을, 알칸올 암모늄 이온으로는 트리에탄올 암모늄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암모늄 이온, 나트륨 이온, 칼륨 이온이 더욱 바람직하고, 암모늄 이온, 나트륨 이온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황산염형 계면활성제에 있어서, PO 및 EO 의 부가 순서는, 각각의 평균 부가 몰수가 상기의 범위인 조건에서 랜덤해도 되지만, 일반식 (1) 에 나타낸 순서, 즉, 먼저 PO 가 부가된 후에 EO 가 부가되는 순서인 것이,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함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이러한 알킬에테르 황산염은 예를 들어, 이하에 나타낸 공정 (I) ∼ (III) 을 포함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공정 (I) : 평균 탄소수 8 ∼ 18 의 알코올 1 몰에 대해, 프로필렌옥사이드를 평균적으로 0 몰 초과 1 몰 미만의 범위로 부가시키는 공정
공정 (II) : 공정 (I) 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1 몰에 대해, 에틸렌옥사이드를 평균적으로 0 몰 초과 5 몰 미만의 범위로 부가시키는 공정
공정 (III) : 공정 (II) 에서 얻어진 알콕실레이트를 황산화시키고, 이어서 중화시키는 공정
공정 (I) 에서 사용하는 알코올의 평균 탄소수는 8 ∼ 18 이지만, 원료의 범용성, 취급성 면에서 8 ∼ 16 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14 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2 ∼ 14 이다. 또한, 기포력, 거품질과 같은 성능 면에서, 직사슬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상기 알코올에 반응시키는 프로필렌옥사이드의 사용량은, 소정의 PO 부가 몰수가 얻어지는 양이면 된다. 또, 공정 (II) 에 있어서, 공정 (I) 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에 반응시키는 에틸렌옥사이드의 사용량도, 소정의 EO 부가 몰수가 얻어지는 양이면 된다.
공정 (I) 및 (II) 를 실시하는 방법으로는, 종래 공지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오토클레이브에 알코올과 알코올에 대해 0.5 ∼ 1 몰% 의 수산화 칼륨 등의 알칼리를 촉매로서 주입하고, 승온ㆍ탈수시키고, 130 ∼ 160 ℃ 의 온도에서, 각각 소정량의 프로필렌옥사이드 및 에틸렌옥사이드를 부가 반응시키면 된다. 이 때, 부가 형태는 블록 부가이며, 또한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 [공정 (I)],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공정 (II)] 의 순서로 실시한다. 사용하는 오토클레이브는, 교반장치, 온도제어장치, 자동도입장치를 구비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공정 (III) 에 있어서, 알콕실레이트의 황산화의 방법으로는, 3 산화황 (액체 또는 기체), 3 산화황 함유 가스, 발연 황산, 클로르술폰산 등을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는데, 특히, 폐황산, 폐염산 등의 발생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알콕실레이트와 동시에 가스상 또는 액상의 3 산화황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얻어진 황산화물의 중화 방법으로서는, 소정량의 중화제에 황산화물을 첨가ㆍ교반하면서 중화를 실시하는 배치식과, 황산화물과 중화제를 배관 내에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교반 혼합기에서 중화를 실시하는 연속식을 들 수 있고, 어느 것이어도 된다. 중화제로서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 암모니아,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들 수 있는데,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이 바람직하고, 특히 수산화나트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황산염형 계면활성제의 함유량은,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 수송 비용 및 유동성의 관점에서, 40 ∼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40 ∼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 65 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를 초과하고 65 중량% 이하이다.
성분 (B) 는 하기 (B-1) 및 (B-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이다.
(B-1)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코올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R2O-(AO)t-R3 (2)
(식 중, R2 는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t 는 AO 의 평균 부가 몰수로, 0.5 ∼ 4.0 의 수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B-2) 모노알킬 (탄소수 6 ∼ 18) 또는 모노알케닐 (탄소수 6 ∼ 18) 글리세릴에테르
일반식 (2) 에 있어서, R2 는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이지만, 저브롬화의 관점에서 직사슬 알킬기가 바람직하다. 기포성 관점에서 R2 는 탄소수 8 의 것이 바람직하고, 혼합 알킬인 경우, 탄소수 8 의 것이 50 % 이상, 나아가 80 % 이상, 특히 98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2) 에 있어서,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이며, 프로필렌옥시기 (이하 PO 라고 한다) 및/또는 에틸렌옥시기 (이하 EO 라고 한다) 가 바람직하고, PO 와 EO 는 블록이어도 되고 랜덤이어도 되는데, 블록이 바람직하고, 저온 유동성 및 저브롬화의 관점에서 PO, EO 의 순서로 블록형으로 배열하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PO 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2) 의 화합물에 있어서, 기포성의 관점에서, 평균 부가 몰수 t 는 0.5 ∼ 4.0 의 수를 나타내는데, 바람직하게는 1.0 ∼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3.0 이다.
일반식 (2) 중의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는데 수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성분 (B-2) 의 모노알킬 (탄소수 6 ∼ 18) 또는 모노알케닐 (탄소수 6 ∼ 18) 글리세릴에테르는, 하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 11,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6 ∼ 10,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 10 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8 이다.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4 는 탄소수 6 ∼ 18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n-헥실기, 이소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2-에틸헥실기, n-노닐기, n-데실기, 이소데실기, n-라우릴기, n-이소스테아릴 등을 들 수 있다. 거품질의 개선 면에서, 분기사슬이 바람직하고, 모노2-에틸헥실 글리세릴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성분 (B) 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 장기 보존 후 저온에서의 유동성과 기포성의 관점에서, 성분 (B) 의 함유량 [(B-1) 과 (B-2) 의 합계 함유량] 은, 바람직하게는 0.5 ∼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2 ∼ 8 중량% 이다. 또한, 성분 (B) 의 함유량은, B-1 과 B-2 의 합계 함유량이다 (이하, 동일함).
성분 (A) 와 (B) 의 중량비는, 장기 보존 후의 저온에서의 유동성과 기포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A)/(B)=99/1 ∼ 75/25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8/2 ∼ 80/20,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96/4 ∼ 85/15 이다.
성분 (C) 의 수용성 염류로서는, 수용성 무기염 및 수용성 유기염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유기염은 계면활성제 이외가 바람직하다. 수용성 염류는, 20 ℃ 에서의 물 100 g 에 대한 용해량이, 15 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5 g 이상인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용성 염류로서는, 예를 들어 시트르산, 말산, 숙신산, 락트산과 같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8,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3 ∼ 6 의 유기산 (바람직하게는 지방족의 유기산), 또는 염산, 황산, 질산, 탄산, 인산 등의 무기산의 염을 들 수 있고, 또한 당해 염을 형성하는 카티온으로는, 나트륨,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칼슘,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 토금속, 혹은 암모늄, 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성분 (C) 의 수용성 염류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염화나트륨, 황산나트륨 등의 무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염화암모늄, 황산암모늄, 질산암모늄 등의 무기산의 암모늄염; 시트르산 3 나트륨 등의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및 유기산의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무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무기산의 암모늄염이 바람직하다. 성분 (C) 의 수용성 염류는, 1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 저온에서 장기 보존 후의 유동성의 관점에서, 성분 (C) 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3 ∼ 1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4 ∼ 8 중량%,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5 ∼ 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 ∼ 4 중량% 이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중, 성분 (A) 및 (C) 의 중량비는, 유동성 향상 효과의 관점에서, 중량비로 (A)/(C)=99/1 ∼ 85/15 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99/1 ∼ 90/10, 특히 바람직하게는 98/2 ∼ 95/5 이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유동성이 향상되고, 핸들링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5 ℃ 에서 1 주일 보존 후 5 ℃ 에서의 점도가, 바람직하게는 9 만 mPaㆍs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만 mPaㆍs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5 만 mPaㆍs 이하이다.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핸들링성 면에서 1000 mPaㆍs 이상이면 된다.
이러한 점도를 갖는 조성물로 하기 위해서는, 성분 (A) 에 대해 성분 (B) 및 성분 (A) 에 대해 성분 (C) 를, 상기의 범위 내로 하면 된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예를 들어, 성분 (A), (B) 및 (C) 를 15 ∼ 60 ℃ 의 온도에서 교반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그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액체상, 페이스트상, 크림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조시에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매로서는 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그대로 세정제 조성물로서 사용해도 되고, 필요에 따라, 성분 (A) 및 성분 (B) 이외의 다른 계면활성제 및/또는 물을 혼합함으로써 세정제 조성물로서 사용해도 된다.
여기서 사용하는 다른 계면활성제로서는, 아니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쪽성 계면활성제 및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를 들 수 있다.
아니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성분 (A) 이외의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황산염, 알킬 황산염 지방산염, 지방산염, 인산 에스테르염, 술포숙신산계 활성제, 술포숙시나메이트계 활성제,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아미드에테르 황산염, 모노글리세라이드 황산염, 올레핀 술폰산염, 알칸술폰산염, 아실화 이세티온산염, 아실화 아미노산염,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인산염,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아세트산염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알킬폴리글루코시드,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성분 (B) 이외의 폴리옥시알킬렌 알킬에테르, 지방산 알칸올 아미드, 알킬아민옥사이드, 지방산 다가 알코올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아미드베타인계 계면활성제, 아미드아미노산계 계면활성제, 카르보베타인계 계면활성제, 술포베타인계 계면활성제, 아미드술포베타인계 계면활성제, 이미다졸리늄베타인계 계면활성제, 포스포베타인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카티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하기 일반식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중, R4, R5, R6 및 R7 중에서, 적어도 1 개는 총 탄소수 8 ∼ 28 의 알콕시기, 알케닐옥시기, 알카노일아미노기 또는 알케노일아미노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잔여는 벤질기, 탄소수 1 ∼ 5 의 알킬기, 하이드록시알킬기 또는 합계 부가 몰수 10 이하의 폴리옥시에틸렌기를 나타내고, Z- 는 할로겐 이온 또는 유기 아니온을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제4급 암모늄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로서는, 예를 들어 세안제, 보디 샴푸 등의 피부 세정제용, 샴푸 등의 모발 세정제, 식기용 등의 경질용 세정제 등을 들 수 있고, 그 목적에 따라 임의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임의 성분으로서는, 컨디셔닝 성분으로서 라우릴알코올, 미리스틸알코올,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 실리콘 및 실리콘 유도체, 라놀린, 스쿠알렌, 탄화수소, 단백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의 오일제,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카티온화 구아검이나 마코트 550 (Nalco 사 제조) 등의 카티온 폴리머, 소프케아 KG-301W [카오 (주) 제조] 등의 카티온성기 함유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세정제 조성물 중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그 밖의 성분, 예를 들어,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잔탄검 등의 다당류 등의 수용성 고분자; 폴리옥시알킬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에탄올 등의 점도 조정제; 에틸렌디아민 4 아세트산 (EDTA), 포스폰산염류 등의 킬레이트제; 메틸파라벤, 부틸파라벤 등의 방부제; 비타민이나 그 전구체 등의 유효 성분; 레시틴, 젤라틴 등의 동식물 추출물 또는 그 유도체; 나일론이나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머 미분체; 글리틸리틴산 디칼륨 등의 소염제; 트리크로산, 트리클로로카르반, 옥토피록스, 징크피리티온 등의 살균제나 항비듬제; 디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 등의 산화 방지제; 펄화제, 자외선 흡수제, pH 조정제, 색소, 향료, 물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성분 (A) 가 5 ∼ 25 중량% 가 되는 농도가 바람직하고, 나아가 8 ∼ 20 중량% 가 되는 농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의 pH (20 ℃) 는 4 ∼ 7 이 바람직하고, 5 ∼ 7 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정제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또, 그 제형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액체상, 페이스트상, 크림상, 고형상, 분말상 등 임의의 제형이 형성되고, 액체상, 페이스트상, 크림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액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상으로 하는 경우에는, 액체 매체로서는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부는 특별히 언급되지 않으면 중량%, 중량부이다. 또, 표 4 ∼ 6 의 수치는 순분의 수치이다.
황산염형 계면활성제 1 의 제조
탄소수 12 의 알코올 (카오 (주), 제품명 : 카르콜 2098) 3447 g, 탄소수 14 의 알코올 (카오 (주), 제품명 : 카르콜 4098) 1341 g, 및 KOH 6.8 g 을 교반장치, 온도제어장치, 자동도입장치를 구비한 오토클레이브에 주입하고, 110 ℃, 1.3 kPa로 30 분간 탈수를 실시하였다. 탈수 후 질소 치환을 실시하고, 120 ℃ 까지 승온시킨 후, 프로필렌옥사이드를 575 g 주입하였다. 120 ℃ 에서 부가 반응ㆍ숙성을 실시한 후, 145 ℃ 로 승온시키고 에틸렌옥사이드를 1625 g 주입하였다. 145 ℃ 에서 부가 반응ㆍ숙성을 실시한 후, 80 ℃ 까지 냉각시키고 4.0 kPa 로 미반응 EO 를 제거하였다. 미반응 EO 제거 후, 7.3 g 의 아세트산을 오토클레이브 내에 첨가하고 80 ℃ 에서 30 분간 교반한 후, 발출을 실시하여, PO 의 평균 부가 몰수가 0.4 몰, EO 의 평균 부가 몰수가 1.5 몰인 알콕실레이트를 얻었다.
얻어진 알콕실레이트를, SO3 가스를 사용하여 하강 박막식 반응기 (이하 FFR) 로 황산화시켰다. 얻어진 황산화물을 NaOH 수용액으로 중화시켜 황산염형 계면활성제 1 을 얻었다.
동일하게 하여 황산염형 계면활성제 2 ∼ 6 을 얻었다.
실시예 1 ∼ 26, 비교예 1 ∼ 11
표 1, 표 2 에 나타낸 황산염형 계면활성제 1 ∼ 6 (순분 70 중량%) 을 사용하여, 표 4 ∼ 6 에 나타낸 계면활성제 조성물을 하기와 같은 방법에 따라 조제하고, 하기 평가방법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 ∼ 6 에 나타낸다.
조제 방법 : 성분 (A), 성분 (B) 를, 적당량의 물에 용해시킨 성분 (C) 를 혼합하고, 합계가 100 중량부가 되도록 물로 조정하였다. 또한, pH 는 6.0 (20 ℃) 로 수산화나트륨 또는 시트르산으로 조제하였다.
한편, 표 4 ∼ 6 에 나타낸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 ∼ 3 은, 표 3 에 나타낸 것이다.
(1) 점도 측정
점도의 측정 조건은 다음과 같다.
사용 점도계 B 형 점도계 ((주) 도쿄 계기 제조)
로터 No./회전수 No.4/6 rpm 측정 시간 1 분간
온도 30 ℃ : 30 ℃±1 의 항온조에 샘플이 들어간 유리병을 1 시간 부착한 후 측정하였다.
온도 5 ℃ : 5 ℃±1 의 항온기에 1 주일 넣은 후, 꺼내어 바로 측정하였다.
(2) 유동성
온도 30 ℃ : 30 ℃±1 의 항온조에 샘플이 들어간 유리병을 1 시간 부착한 후 평가하였다.
온도 5 ℃ : 5 ℃±1 의 항온기에 1 주일 넣은 후, 꺼내어 바로 평가하였다.
(평가방법)
계면활성제 조성물이 들어간 유리병을 90 도로 기울여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A : 즉시 계면활성제 조성물이 흘려 나온다.
B : 천천히 계면활성제 조성물이 흘려 나온다.
C : 계면활성제 조성물이 흘려 나오지 않는다.
(3) 기포성 시험
성분 (A) 와 성분 (B) 의 합계량이 15 중량% 가 되도록, 이온 교환수로 희석하여 조제한 계면활성제 조성물 (20 ℃) 을, 손바닥에 1 ㎖ 취하고, 10 ㎖ 의 수돗물 (35 ∼ 40 ℃) 로 희석하고, 손, 팔을 세정했을 때의 기포성을 전문 패널리스트 10 명에 의해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황산염형 계면활성제 1 만의 15 중량% 로 조정한 계면활성제 조성물 (20 ℃) 을 표준품으로서 비교 평가하였다.
(기포성)
A : 표준품과 비교하여 거품량이 매우 많다.
B : 표준품과 비교하여 거품량이 많다.
C : 표준품과 동등한 거품량.
D : 표준품과 비교하여 거품량이 적다.
또한, 표 4, 5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은 15 중량% 로 희석할 때에, 겔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용이하게 희석을 할 수 있었다.
R1O-(PO)m(EO)nSO3M R1 m n M
1 황산염형 계면활성제 1 C12/C14
(몰비:75/25)
0.4 1.5 Na
2 황산염형 계면활성제 2 C12/C14
(몰비:75/25)
0.6 1.5 Na
3 황산염형 계면활성제 3 C12 0.2 1.5 Na
4 황산염형 계면활성제 4 C12/C14
(몰비:75/25)
0.5 3.5 NH4
R1 : C12/C14, C12 는 직사슬 알킬기이다.
R1O-(PO)m(EO)nSO3M R1 m n M
5 황산염형 계면활성제 5 C12/C14
(몰비:75/25)
0 2 Na
6 황산염형 계면활성제 6 C12/C14
(몰비:75/25)
2 2 Na
R1 : C12/C14 는 직사슬 알킬기이다.
R2O-(AO)t-R3 R2 R3 (AO)t
1 알킬렌글리콜에테르 1 C8 H (PO)2.8
2 알킬렌글리콜에테르 2 C8 H (PO)1.5
3 알킬렌글리콜에테르 3 2-에틸헥실 H (EO)2.5
R2 : C8 은 직사슬 알킬기이다.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본 발명품은 1 주일 보존 후에도, 저온 (5 ℃) 의 점도도 낮아 유동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동계에도 핸들링성이 우수하고, 또한 기포성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1 의 EO 만이 부가된 황산염형 계면활성제는, 저온 (5 ℃) 의 점도가 높아 유동성이 열등하고, 기포성도 약간 열등함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2 의 PO 의 평균 부가 몰수가 큰 황산염형 계면활성제는, 기포성이 열등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7
하기 조성의 보디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5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5.0
라우르산나트륨 6.0
미리스트산나트륨 3.0
팔미트산나트륨 1.0
2-에틸헥실 글리세릴에테르 1.0
글리세린 3.0
메틸파라벤 적당량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
이 보디 샴푸는 실시예 5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희석시에 점도 상승이 없어 용이하게 배합할 수 있고, 기포성이 양호하여 사용감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28
하기 조성의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2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15.0
아미드프로필베타인* 2.0
미리스틸알코올 1.0
카티온화 구아검** 0.5
에탄올 3.0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
* : 암피톨 20AB (카오 (주) 제조)
** : JAGUAR C-13S (로디아사 제조)
이 샴푸는, 실시예 2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희석시에 점도 상승이 없어 용이하게 배합할 수 있고, 기포성이 양호하여 사용감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29
하기 조성의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17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16.0
야자유지방산 N-메틸에탄올아미드* 1.0
미리스틸알코올 1.0
카티온화 구아검** 0.5
에탄올 3.0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
* : 아미논 C-11S (카오 (주) 제조)
** : JAGUAR C-13S (로디아사 제조)
이 샴푸는 실시예 17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희석시에 점도 상승이 없어 용이하게 배합할 수 있고, 기포성이 양호하여 사용감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30
하기 조성의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22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17.0
실리콘에멀션* 2.0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0.5
라우릴하이드록시 술포베타인*** 5.0
글리세린 3.0
향료, 메틸파라벤 적당량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
* : BY22-050A [토레ㆍ다우코닝 (주) 제조]
** : 포이즈 C-150L [카오 (주) 제조]
*** : 암피톨 20HD [카오 (주) 제조]
이 샴푸는, 실시예 22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희석시에 점도 상승이 없어 용이하게 배합할 수 있고, 기포성이 양호하여 사용감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31
하기 조성의 식기용 세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17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27.0
아민옥사이드 9.0
라우릴하이드록시 술포베타인** 10.0
염화마그네슘ㆍ6 수염 3.0
p-톨루엔 술폰산나트륨 10.0
에탄올 2.5
프로필렌글리콜 5.0
pH 조정제*** 적당량
향료, 메틸파라벤 적당량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
* : 암피톨 20N [카오 (주) 제조]
** : 암피톨 20HD [카오 (주) 제조]
*** : 시트르산 또는 수산화나트륨
이 식기용 세제는, 실시예 17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희석시에 점도 상승이 없어 용이하게 배합할 수 있고, 기포성이 양호하여 사용감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32
하기 조성의 컨디셔닝 샴푸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13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24.0
코코일모노에탄올아미드 0.8
미리스틸알코올 1.0
카티온성기 함유 공중합체* 5.0
카티온화 셀룰로오스** 0.4
실리콘에멀션*** 2.5
향료 적당량
정제수 밸런스
합계 100.0
* : 소프케아 KG301W (카오 제조)
** : 포이즈 C-150L (카오 제조)
*** : BY22-060 [토레ㆍ다우코닝 (주) 제조]
이 샴푸는, 실시예 13 의 계면활성제 조성물 희석시에 점도 상승이 없어 용이하게 배합할 수 있고, 기포성이 양호하여 사용감이 우수하였다.

Claims (6)

  1. 다음 성분 (A), (B) 및 (C) 를 함유하고, 성분 (A) 의 함유량이 40 ∼ 75 중량% 인 계면활성제 조성물.
    (A) : 하기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황산염형 계면활성제
    R1O-(PO)m(EO)nSO3M (1)
    (식 중, R1 은 탄소수 8 ∼ 18 의 포화 또는 불포화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PO 는 프로필렌옥시기를, EO 는 에틸렌옥시기를 나타내고, m, n 은 평균 부가 몰수를 나타내고,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0<m<1, 0<n<5 범위의 수를 나타내고, M 은 양이온을 나타낸다.)
    (B) : 하기 (B-1) 및 (B-2)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화합물
    (B-1) 하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알코올의 알킬렌옥사이드 부가물
    R2O-(AO)t-R3 (2)
    (식 중, R2 는 탄소수 8 ∼ 10 의 직사슬 또는 분기사슬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 4 의 알킬렌옥시기를 나타내고, t 는 AO 의 평균 부가 몰수로, 0.5 ∼ 4.0 의 수를 나타내고, R3 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B-2) 모노알킬 (탄소수 6 ∼ 18) 또는 모노알케닐 (탄소수 6 ∼ 18) 글리세릴에테르
    (C) : 수용성 염류
  2. 제 1 항에 있어서,
    성분 (A) 와 성분 (B) 의 중량비가 (A)/(B)=99/1 ∼ 75/25 인 계면활성제 조성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성분 (A) 와 성분 (C) 의 중량비가 (A)/(C)=99/1 ∼ 85/15 인 계면활성제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 ℃ 에 1 주일 보존한 후의 5 ℃ 의 점도는 9 만 mPaㆍs 이하인 계면활성제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수용성 염류의 함유량이 0.3 ∼ 10 중량% 인 계면활성제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에 기재된 계면활성제 조성물에, 성분 (A) 및 성분 (B) 이외의 계면활성제 및/또는 물을 혼합하여 얻어지는 세정제 조성물.
KR1020117009933A 2008-12-24 2009-12-24 계면활성제 조성물 KR1016468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27293 2008-12-24
JP2008327293A JP5346574B2 (ja) 2008-12-24 2008-12-24 界面活性剤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3932A true KR20110103932A (ko) 2011-09-21
KR101646802B1 KR101646802B1 (ko) 2016-08-08

Family

ID=42287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933A KR101646802B1 (ko) 2008-12-24 2009-12-24 계면활성제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188024B2 (ko)
EP (1) EP2368970B1 (ko)
JP (1) JP5346574B2 (ko)
KR (1) KR101646802B1 (ko)
CN (1) CN102264884B (ko)
ES (1) ES2546289T3 (ko)
WO (1) WO20100736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974A (ko) * 2016-10-12 2019-06-04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토목 건설 재료용 기포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81278B2 (ja) * 2007-12-11 2013-09-04 花王株式会社 乳化重合用界面活性剤組成物
JP5571367B2 (ja) * 2008-12-25 2014-08-13 花王株式会社 界面活性剤組成物
JP5575603B2 (ja) * 2010-10-25 2014-08-20 花王株式会社 陰イオン界面活性剤組成物
JP5568447B2 (ja) * 2010-11-16 2014-08-06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DE102011015046A1 (de) * 2011-03-24 2012-09-27 Sasol Germany Gmbh Hochkonzentrierte fließfähige Salze von Alkylpolyalkoxysulfaten
JP5856754B2 (ja) * 2011-05-02 2016-02-10 花王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MY161758A (en) 2011-05-02 2017-05-15 Kao Corp Cleaning agent composition
JP5729871B2 (ja) * 2011-07-15 2015-06-03 花王株式会社 洗剤組成物の製造方法
WO2016172481A1 (en) 2015-04-23 2016-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centrate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EP3285889B1 (en) 2015-04-23 2020-07-22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centrate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and uses
WO2016172482A1 (en) 2015-04-23 2016-10-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ncentrate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EP3285725B1 (en) 2015-04-23 2019-12-0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Concentrated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JP6450353B2 (ja) * 2015-09-30 2019-01-09 日本乳化剤株式会社 濡れ性向上剤およびこれを含む樹脂組成物、ならびに親水化コーティング剤
US9840684B2 (en) 2016-03-02 2017-12-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alkyl sulfates and/or alkoxylated alkyl sulfates and a solvent comprising a diol
US9896648B2 (en) 2016-03-02 2018-02-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Ethoxylated diol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ethoxylated diols
US9856440B2 (en) 2016-03-02 2018-0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anionic surfactant and a solvent comprising butanediol
US9790454B2 (en) 2016-03-02 2017-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mpositions containing alkyl sulfates and/or alkoxylated alkyl sulfates and a solvent comprising a diol
US11185486B2 (en) 2016-10-21 2021-11-3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ersonal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EP3528777B1 (en) 2016-10-21 2021-09-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leansing compositions and methods
US10675231B2 (en) 2017-02-17 2020-06-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ckaged personal cleansing product
US10806686B2 (en) 2017-02-17 2020-10-20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Packaged personal cleansing product
WO2020241771A1 (ja) * 2019-05-28 2020-12-03 花王株式会社 化合物、及び組成物
CN111715137A (zh) * 2020-06-15 2020-09-29 沈阳新意精细助剂有限公司 一种复配型非离子表面活性剂
CN112206175A (zh) * 2020-09-30 2021-01-12 广州洁宜日化用品有限公司 一种沐浴露及其制备方法和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5547A (ja) 2005-02-28 2006-10-05 Kao Corp 界面活性剤組成物
JP2007055997A (ja) 2005-07-28 2007-03-08 Kao Corp 界面活性剤組成物
JP2015067768A (ja) * 2013-09-30 2015-04-13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硬質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2016006172A (ja) * 2014-05-27 2016-01-14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洗浄剤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554B2 (ja) * 1978-12-21 1985-03-11 ライオン株式会社 洗浄剤組成物
JPS5672092A (en) * 1979-11-16 1981-06-16 Kao Corp Detergent composition
JP4198530B2 (ja) * 2003-05-30 2008-12-17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TWI337200B (en) 2003-01-28 2011-02-11 Kao Corp Liquid detergent composition
JP4083715B2 (ja) * 2004-07-28 2008-04-30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KR101222646B1 (ko) 2005-02-28 2013-01-16 가오 가부시키가이샤 계면활성제 조성물
DE102005031193A1 (de) * 2005-07-01 2007-01-04 Henkel Kgaa Viskositätseinstellung bei Handgeschirrspülmittel
ES2384738T3 (es) 2006-07-04 2012-07-11 Kao Corporation Composición de limpieza
JP5319111B2 (ja) * 2007-12-28 2013-10-16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JP5133083B2 (ja) * 2008-02-08 2013-01-30 花王株式会社 液体洗浄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5547A (ja) 2005-02-28 2006-10-05 Kao Corp 界面活性剤組成物
JP2007055997A (ja) 2005-07-28 2007-03-08 Kao Corp 界面活性剤組成物
JP2015067768A (ja) * 2013-09-30 2015-04-13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硬質表面用液体洗浄剤組成物
JP2016006172A (ja) * 2014-05-27 2016-01-14 ライオン株式会社 液体洗浄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0974A (ko) * 2016-10-12 2019-06-04 카오카부시키가이샤 토목 건설 재료용 기포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264884A (zh) 2011-11-30
EP2368970A4 (en) 2014-08-27
US20110212880A1 (en) 2011-09-01
JP5346574B2 (ja) 2013-11-20
CN102264884B (zh) 2013-05-22
US8188024B2 (en) 2012-05-29
WO2010073644A1 (ja) 2010-07-01
JP2010150315A (ja) 2010-07-08
EP2368970A1 (en) 2011-09-28
EP2368970B1 (en) 2015-06-24
ES2546289T3 (es) 2015-09-22
KR101646802B1 (ko) 2016-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3932A (ko) 계면활성제 조성물
KR101222646B1 (ko) 계면활성제 조성물
ES2424871T3 (es) Composición de tensioactivo
JP3634988B2 (ja) アニオン性界面活性剤及び洗浄剤組成物
JP4965869B2 (ja) 界面活性剤組成物
JP4915720B2 (ja) 界面活性剤組成物
JP7051685B2 (ja) 界面活性剤組成物
JP2009062546A (ja) 洗浄剤組成物
JP2001131578A (ja) アニオン性界面活性剤及び洗浄剤組成物
JP2009275009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4806527B2 (ja) 洗浄剤組成物
JP2018035269A (ja) 台所用洗浄剤組成物
JP3525848B2 (ja) アニオン性界面活性剤及び洗浄剤組成物
JP4448373B2 (ja) 洗浄剤組成物
JP5307446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2006022116A (ja) 洗浄剤組成物
JPH0211699A (ja) 硫酸アルキルエーテルハーフエステル組成物
JP4345144B2 (ja) 洗浄剤組成物
KR101241791B1 (ko) 계면활성제 조성물
WO2007122802A1 (ja) 洗浄剤組成物
JP2013082802A (ja) 洗浄剤組成物
JP5123499B2 (ja) 界面活性剤混合物及び洗浄剤組成物
JP2001316692A (ja) 洗浄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