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2201A - 기어 구조 - Google Patents

기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2201A
KR20110102201A KR1020110020146A KR20110020146A KR20110102201A KR 20110102201 A KR20110102201 A KR 20110102201A KR 1020110020146 A KR1020110020146 A KR 1020110020146A KR 20110020146 A KR20110020146 A KR 20110020146A KR 20110102201 A KR20110102201 A KR 20110102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ooth
engagement
teeth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0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0818B1 (ko
Inventor
요시따까 미우라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2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004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the gears being positioned relative to one another by rolling members or by specially adapted surfaces on the gears, e.g. by a rolling surface with the diameter of the pitch cir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0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 F16H1/0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parallel axes the members having helical, herringbone, or like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5/00Elements with teeth or friction surfaces for conveying motion; Worms, pulleys or sheave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5/02Toothed members; Worms
    • F16H55/17Toothed whe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3Alloys
    • H01L2924/014Solder alloy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87Rotary bodies
    • Y10T74/19884Irregular teeth and bod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949Tee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949Teeth
    • Y10T74/19953Worm and hel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 Cam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보강 부재에 의한 보강 효과가 얻어지는 기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어의 측면에 보강 부재가 고착되는 기어 구조에 있어서, 기어의 맞물림 작용선 상에 보강 부재와 고착하는 고착부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Description

기어 구조{GEAR STRUCTURE}
본 발명은 맞물림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어 측면에 보강 부재를 고정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일본특허출원공개평8-312755호공보
그러나, 상기 특허 문헌 1의 기술에서는, 기어 측면에 어떻게 하여 보강 부재를 고정하는지가 개시되어 있지 않고, 본 출원인에 의해 예의 검토한 결과, 기어 측면과 보강 부재를 고정하는 개소에 따라서는, 보강 부재에 의한 보강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지 않는다고 하는 과제를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보강 부재에 의한 보강 효과가 얻어지는 기어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기어의 측면에 보강 부재가 고착되는 기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기어의 맞물림 작용선 상에 상기 보강 부재와 고착하는 고착부를 갖는 것으로 하였다.
맞물림에 의해 동력을 전달하고 있는 치(齒)에 작용하는 힘을 고착부 및 보강 부재를 통해 다른 치의 고착부로 전달할 수 있어, 그만큼 맞물림 동력을 전달하고 있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고 있는 치에 작용하는 힘은 맞물림 작용선의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기어의 맞물림 작용선 상에 보강 부재와 고착되는 고착부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함을 분산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기어와 보강 부재의 고착 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고 있는 치의 치원(齒元) 응력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응력이 저감됨으로써 기어의 소형 경량화 또는 기어의 강도 향상이 가능해지고, 기어의 변형이 작아짐으로써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기어 구조를 채용한 기어의 맞물림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는 제1 실시예의 기어 구조에 있어서의 기어 맞물림 부분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 개략도.
도 3은 맞물림 개시로부터 맞물림 종료까지의 맞물림 위치에 있어서의 응력 및 맞물림 잇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1 실시예의 고착부의 설정 논리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
도 5는 치폭 방향의 응력 분포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1 실시예]
도 1은 제1 실시예의 기어 구조를 채용한 기어의 맞물림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의 (a)는 사시도를, 도 1의 (b)는 정면도를 도시한다. 동력원과 접속된 구동 기어(1) 및 이것과 맞물리는 피동 기어(2)는 헬리컬 기어로, 회전축에 대해 비스듬히 교차하는 치면을 갖는 표준 인벌류트 기어이다. 도 1의 (b)의 맞물림부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어(1)의 치원 부분과 피동 기어(2)의 이끝 부분이 동시 접촉선에 있어서 맞물리면(맞물림 개시), 이 동시 접촉선이 서서히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구동 기어(1)의 이끝 부분과 피동 기어(2)의 치원 부분이 동시 접촉선에 있어서 맞물려, 어느 치의 맞물림이 종료된다(맞물림 종료).
구동 기어(1) 및 피동 기어(2)의 측면에는 보강 부재(10, 20)가 각각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착되어 있다. 이 보강 부재(10, 20)는 원반 형상의 금속판으로, 외주가 기어 최외주와 대략 일치하는 크기로 형성되고, 내주는 기어의 치저(齒底)보다도 내경측까지 연장되어 있다. 중심부는 샤프트 등이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고착부(10a, 20a)는 각각의 치에 있어서 직경 방향으로 2개소 갖고 있고, 전체 둘레의 치에 걸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고착부(10a, 20a)의 상세한 위치 관계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의 (b)의 부분 확대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어(1)에는 맞물림 종료측의 측면에 보강 부재(10)가 고착되고, 피동 기어(2)에는 맞물림 개시측의 측면에 보강 부재(20)가 고착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서는 고착을 용접에 의해 행하였지만, 요철부에 의한 결합이나 접착제 등에 의한 고착이라도 상관없다.
도 2는 제1 실시예의 기어 구조에 있어서의 기어 맞물림 부분에 있어서의 부분 확대 개략도이다. 표준 인벌류트 기어는 구동 기어(1) 및 피동 기어(2)의 기초원을 바탕으로 맞물린다. 즉, 구동측 기초원과 피동측 기초원의 공통 접선(A-B) 상에 있어서 맞물림 위치가 이동한다. 이 공통 접선(A-B)을, 이하, 작용선(맞물림 작용선)이라고 한다. 구동 기어(1)의 어느 임의의 치가 작용선 상의 맞물림 개시 포인트에 있어서 피동 기어(2)의 치와 접촉한다(도 2 중 점선 치영(齒影) 참조). 그 후, 구동 기어(1)가 회전하면, 접촉 위치는 작용선 상을 이동하면서 P1→P2→P3으로 이동하여, 맞물림 종료 포인트에 있어서 구동 기어(1)와 피동 기어(2)의 맞물림이 종료된다. 즉, 기어 맞물림 부분에 있어서, 구동 기어(1)가 피동 기어(2)를 압박하는 방향의 힘은, 항상 작용선을 따른 방향으로 작용한다.
도 3은 맞물림 개시로부터 맞물림 종료까지의 맞물림 위치에 있어서의 응력 및 맞물림 잇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중 굵은 일점 쇄선은 보강 부재가 없는 기어 구조(비교예)에 있어서의 최대 응력의 궤적을 나타내고, 굵은 실선은 제1 실시예의 기어 구조에 있어서의 최대 응력의 궤적을 나타낸다.
어느 임의의 치가 맞물리기 시작할 때에는, 반드시 인접하는 치가 맞물림 상태이므로, 맞물림 개시는 2치가 맞물린다(영역 a). 이때, 2개의 치로 전달하는 토크를 분담하기 때문에, 응력은 낮다고 생각되지만, 보강 부재가 없는 기어 구조에 있어서, 실제로는 극히 큰 응력이 발생한다. 이는, 맞물림 개시는 피동 기어의 이끝부와 구동 기어의 치원부가 맞물리는 것 및 기어 측면부로부터 맞물림 개시가 발생하기 때문이고, 피동 기어의 이끝부 또한 측면부 근방에 큰 변형이 발생하여, 큰 응력이 발생하는 것에 의한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의 축방향의 단부에 있어서는 응력 분포 곡선이 치폭보다도 외측으로 나와 버리지만(도 5의 A영역 참조), 이 외측으로 나와 버린 만큼의 응력은 치의 단부가 집중적으로 부담하게 되므로(도 5의 B영역 참조), 치의 축방향의 단부에 응력 집중이 발생하여 응력이 커지는 것이다. 덧붙여서 말하면, 구동 기어에서는 측면부 근방이라도 치원부가 맞물리므로, 그다지 큰 응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맞물림이 서서히 진행되면, 맞물림 위치는 치원부 또한 기어의 축방향 중심측으로 이행하게 되므로, 변형이 작아져, 응력의 최대치는 한번에 저하되어 간다(도 2의 P1점, P3점 참조). 다음에, 맞물림 잇수가 2치로부터 1치로 되면, 1치로 토크를 분담하기 때문에 응력은 증대되지만, 맞물림 위치가 치원부에 가깝고, 기어의 축방향 중심 근방이므로, 그다지 문제는 없다(도 2의 P2점 참조 : 영역 b).
또한, 맞물림이 진행되어, 맞물림 잇수가 다시 1치로부터 2치로 되면, 토크를 분담하므로 응력은 감소한다. 그러나, 구동 기어에 있어서는 맞물림 위치가 치원부로부터 이끝부로 이행하고, 또한 기어의 축방향 측면부측로 이행해 가므로, 구동 기어의 이끝 부분의 응력은 한번에 증대되어, 큰 응력이 발생한다(영역 c). 또한, 이 영역 c에 있어서 큰 응력이 발생하는 것도, 전술한 응력 집중에 의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보강 부재가 없는 기어 구조에서는, 맞물림 개시 및 맞물림 종료의 근방에 있어서, 매우 큰 응력이 발생하여, 기어의 내구성의 저하를 초래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의 측면에 보강 부재(10, 20)를 고착시키는 것으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기어(1)의 정회전 방향의 맞물림 종료측 측면에 보강 부재(10)를 고착하였다. 구동 기어(1)의 치에 있어서, 피동 기어(2)와의 접촉 영역은, 기어의 맞물림이 진행되는 것에 따라서, 기어의 맞물림 개시측으로부터 맞물림 종료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치원측으로부터 이끝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접촉 영역이 이끝측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치원에 가해지는 응력이 커진다. 따라서, 구동 기어(1)의 정회전 방향의 맞물림 종료측 측면에 보강 부재(10)를 고착함으로써, 이끝측의 입력에 의해 치원에 가해지는 응력이 커지는 맞물림 종료측의 치원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보다 효과적으로 기어의 소형 경량화 또는 기어의 강도 향상이 가능해지고, 또한 응력이 저감됨으로써 기어의 변형이 작아짐으로써 소음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마찬가지로, 피동 기어(2)의 정회전 방향의 맞물림 개시측 측면에 보강 부재(20)를 고착하였다. 피동 기어(2)의 치에 있어서, 구동 기어(1)와의 접촉 영역은 기어의 맞물림이 진행되는 것에 따라서, 기어의 맞물림 개시측으로부터 맞물림 종료측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이끝측으로부터 치원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접촉 영역이 이끝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서 치원에 가해지는 응력이 작아진다. 따라서, 피동 기어(2)의 정회전 방향의 맞물림 개시측 측면에 보강 부재(20)를 고착함으로써, 이끝측의 입력에 의해 치원에 가해지는 응력이 커지는 맞물림 개시측의 치원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기어의 소형 경량화 또는 기어의 강도 향상이 가능해지고, 또한 응력이 저감됨으로써 기어의 변형이 작아짐으로써 소음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기어의 측면에 보강 부재를 고착시키는 데 있어서, 어떻게 고착시킬 것인지 여부가 문제로 된다. 보강 부재의 역할이라 함은, 치에 전달되는 힘을, 보강 부재를 통해 다른 치로 전달하여, 힘을 분산시켜 응력을 저감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치의 중심이며, 임의의 치의 고착부와, 그 이외의 치의 고착부가 작용선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고착부의 설정 논리를 나타내는 개략 설명도이다. 피동 기어(2)의 임의의 치를 X1, 그 인접하는 치를 X2로 한다. 치(X1)는, 도 4 중 좌측에 있어서, 맞물림 개시 포인트로부터 맞물림 종료 포인트에 걸쳐서 구동 기어(1)로부터 힘이 전달된다. 이 힘은 작용선 방향으로 작용한다. 우선, 치(X1)의 회전 방향에 있어서 대략 중심에 고착부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예를 들어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고착했을 때의 입열에 의한 치면 강도의 저하를 회피하면서, 회전 방향이 바뀌었다고 해도 안정된 힘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2치 맞물림 영역 a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맞물림 잇수가 2치이며, 또한 이끝측일 때에 가장 응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맞물림 개시로부터 그은 작용선(S1)과 2치 맞물림 영역 a의 경계를 나타내는 작용선(S2) 사이에 포함되고, 또한 치(X1)의 중심이 되는 영역 Z에 고착부를 1개 설치한다.
바꾸어 말하면, 고착부가 설치되는 위치를 지나는 작용선은 기어의 동시 맞물림 잇수가 최대(2치)인 상태에 있어서의 작용선이다. 헬리컬 기어에 있어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치의 접촉 영역은 기어의 회전에 수반하여 축방향 및 직경 방향으로 변화된다. 이때, 맞물림 개시 및 맞물림 종료 시점에 있어서는, 치의 축방향의 단부가 접촉 영역으로 되지만, 이 영역에 있어서는, 응력 집중이 발생하므로, 응력이 커진다. 따라서, 기어의 동시 맞물림 잇수가 최대(제1 실시예에서는 2치)이며, 또한 이끝측일 때가, 치에 발생하는 응력이 최대로 되므로, 제1 고착부인 α1과 제2 고착부인 β1을, 기어의 동시 맞물림 잇수가 최대로 되는 영역 중 이끝측에서 동시 맞물림 잇수가 최대로 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작용선 상에 설치함으로써, 맞물림 동력을 전달하고 있는 치에 가해지는 힘이 최대로 될 때의 치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는 데 유리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β1은 치원부이므로, α1로부터 보강 부재(20)를 통해 힘이 작용해도 응력의 증대를 초래하는 경우는 없다.
여기서, 구체적으로 상기 요건을 만족시키는 포인트(α1)에 고착부(20a)의 하나를 형성한다. 치면에 힘이 작용하면, 그 힘은 포인트(α1)로부터 보강 부재(20)를 통해 전달되므로, 포인트(α1)로부터 작용선을 그엇을 때에, 인접하는 치(X2)의 중심과 교차하는 포인트(β1)에 2번째의 고착부(20a)를 형성한다. 임의의 치(X1)의 치의 중심에 있어서도, 포인트(α1)를 통과하는 기어 동심원(O1)과 치의 중심선의 교점, 포인트(β1)를 통과하는 기어 동심원(O2)과 치의 중심선의 교점의 2개소에 고착부(20a)가 형성된다.
바꾸어 말하면, 고착부(20a)의 위치 관계는, 치(X1)의 치저원보다도 직경 방향 이끝측의 이끝부에 설치되는 제1 고착부가 되는 포인트(α1)에 하나, 제1 고착부가 되는 포인트(α1)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고, 이 대응하는 제1 고착부인 포인트(α1)보다도 직경 방향 치저 방향측의 치원부에 설치되는 제2 고착부가 되는 포인트(β1)에 각각 형성된다. 즉, 맞물림 동력을 전달하고 있는 치에 작용하는 힘을 제1 고착부인 α1로부터 보강 부재(20)를 통해 제2 고착부인 β1로 전달시킬 수 있어, 그만큼, 맞물림 동력을 전달하고 있는 치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는 동시에, 이끝부인 α1에 입력되는 힘을 치원부인 β1로 전달할 수 있어, 기어와 보강 부재의 고착 면적이 증대된 것을 억제하면서, 치에 작용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설정 논리는 구동 기어(1)도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기에 열거하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기어의 측면에 보강 부재가 고착되는 기어 구조에 있어서, 기어는 상기 기어의 맞물림 작용선 상에 보강 부재와 고착하는 고착부를 갖는다.
즉, 맞물림 동력을 전달하고 있는 치에 작용하는 힘을 고착부, 보강 부재를 통해 다른 치의 고착부로 전달할 수 있어, 그만큼, 맞물림 치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할 수 있다. 또한, 맞물림 치에 작용하는 힘은 작용선 방향이므로, 기어의 작용선 상에 보강 부재와 고착부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맞물림 치에 작용하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어와 보강 부재의 고착 면적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맞물림 치의 치원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기어의 소형 경량화 혹은 기어의 강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응력의 저감에 의해 기어의 변형을 작게 할 수 있어, 소음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2) 고착부는 기어의 각 치의 치저원보다도 직경 방향 이끝측의 이끝부에 설치되는 제1 고착부가 되는 포인트(α1)와, 상기 포인트(α1)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어 포인트(α1)보다도 직경 방향 치저 방향측의 치원부에 설치되는 제2 고착부인 포인트(β1)로 이루어진다.
맞물림 치에 작용하는 힘을 제1 고착부인 포인트(α1)로부터, 보강 부재를 통해 맞물림 치 이외에 형성된 제2 고착부인 포인트(β1)로 전달할 수 있어, 효과적으로 응력을 분산할 수 있다. 또한, 이끝부인 포인트(α1)로부터 치원부인 포인트(β1)로 전달함으로써, 기어와 보강 부재의 고착 면적의 증대를 초래하지 않고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3) 기어는 헬리컬 기어이며, 작용선(맞물림 작용선)은 기어의 동시 맞물림 잇수가 2치(최대)로 되는 영역 중 이끝측에서 동시 맞물림 잇수가 최대로 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작용선이다.
헬리컬 기어에 있어서는, 기어의 동시 맞물림 잇수가 최대(제1 실시예에서는 2치)일 때이며, 또한 이끝측일 때에, 치에 발생하는 응력이 최대로 되므로, 제1 고착부인 α1과 제2 고착부인 β1을 기어의 동시 맞물림 잇수가 최대로 되는 영역 중 이끝측에서 동시 맞물림 잇수가 최대로 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작용선 상에 설치함으로써, 맞물려 동력을 전달하고 있는 치에 가해지는 힘이 최대일 때의 치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키는 데 유리한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β1은 치원부이므로, α1로부터 보강 부재(20)를 통해 힘이 작용해도 응력의 증대를 초래하는 경우는 없다.
(4) 기어는 헬리컬 기어이며, 보강 부재(20)를, 피동 기어(2)의 정회전 방향의 맞물림 개시측 측면에 고착하였다. 따라서, 이끝측의 입력에 의해 치원에 가해지는 응력이 커지는 맞물림 개시측의 치원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기어의 소형 경량화 또는 기어의 강도 향상이 가능해지고, 또한 응력이 저감됨으로써 기어의 변형이 작아짐으로써 소음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5) 기어는 헬리컬 기어이며, 보강 부재(10)를, 구동 기어(1)의 정회전 방향의 맞물림 종료측 측면에 고착하였다. 따라서, 이끝측의 입력에 의해 치원에 가해지는 응력이 커지는 맞물림 개시측의 치원 응력을 저감시킬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기어의 소형 경량화 또는 기어의 강도 향상이 가능해지고, 또한 응력이 저감됨으로써 기어의 변형이 작아짐으로써 소음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이상, 제1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제1 실시예의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실시예에서는, 고착부가 대략 원형의 용접에 의해 형성되었지만, 직경 방향으로 길이를 가진 용접 영역을 갖도록 구성해도 좋다.
제1 실시예에서는, 외기어에 보강 부재를 고착하는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내기어에 보강 부재를 고착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외기어의 동시 맞물림 잇수는, 내기어의 동시 맞물림 잇수보다도 적으므로, 보강 부재의 고착에 의한 응력 저감 효과는 외기어의 쪽이 크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는 헬리컬 기어를 도시하였지만, 평기어나 다른 기어라도 상관없다.
제1 실시예에서는, 원반 형상의 보강 부재를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고착부와 제2 고착부를 연결할 수 있는 것이면, 형상ㆍ개수 등은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막대 형상의 부재에 의해 각각을 연결해도 좋다.
제1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치에 있어서의 제1 고착부에 대응하는 제2 고착부를, 임의의 치에 인접하는 치에 설치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임의의 치에 있어서의 제1 고착부에 대응하는 제2 고착부를, 임의의 치로부터 1치 또는 복수 치를 사이에 두고 인접하는 치에 설치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임의의 치에 있어서의 제1 고착부에 대응하는 제2 고착부를, 임의의 치의 이웃에 설치하면, 제1 고착부와 제2 고착부의 거리가 짧아져, 보강 부재의 스프링 계수에 의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고착부와 제2 고착부 사이의 보강 부재의 스프링 계수를 높게 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1 : 구동 기어
2 : 피동 기어
10, 20 : 보강 부재
10a, 20a : 고착부

Claims (5)

  1. 기어의 측면에 보강 부재가 고착되는 기어 구조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상기 기어의 맞물림 작용선 상에 상기 보강 부재와 고착되는 고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의 각 치의 치저원보다도 직경 방향 이끝측의 이끝부에 설치되는 제1 고착부와,
    상기 제1 고착부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되어, 상기 대응하는 제1 고착부보다도 직경 방향 치저 방향측의 치원부에 설치되는 제2 고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헬리컬 기어이며,
    상기 맞물림 작용선은 상기 기어의 동시 맞물림 잇수가 최대로 되는 영역 중 이끝측의 동시 맞물림 잇수가 최대로 되는 영역에 있어서의 맞물림 작용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헬리컬 기어이며,
    상기 보강 부재를, 피구동측의 상기 기어의 정회전 방향의 맞물림 개시측 측면에 고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는 헬리컬 기어이며,
    상기 보강 부재를, 구동측의 상기 기어의 정회전 방향의 맞물림 종료측 측면에 고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 구조.
KR1020110020146A 2010-03-09 2011-03-08 기어 구조 KR1017808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51357 2010-03-09
JP2010051357 2010-03-09
JP2010247308A JP5430538B2 (ja) 2010-03-09 2010-11-04 ギア構造
JPJP-P-2010-247308 2010-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2201A true KR20110102201A (ko) 2011-09-16
KR101780818B1 KR101780818B1 (ko) 2017-09-21

Family

ID=44260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0146A KR101780818B1 (ko) 2010-03-09 2011-03-08 기어 구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13599B2 (ko)
EP (1) EP2369201B1 (ko)
JP (1) JP5430538B2 (ko)
KR (1) KR101780818B1 (ko)
CN (1) CN1021923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01426B2 (ja) * 2012-03-13 2017-03-22 株式会社浅野歯車工作所 ハイポイド歯車装置
CN103671820B (zh) * 2012-09-21 2017-12-12 恩普乐股份有限公司 齿轮及其制造方法
JP6188131B2 (ja) * 2013-06-14 2017-08-30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歯車
CN104279298A (zh) * 2014-09-19 2015-01-14 常州市武进金城齿轮有限公司 电动葫芦保护齿轮
EP3279514B1 (en) * 2015-03-30 2020-07-22 Nippon Steel Corporation High-strength gear
CN104976318B (zh) * 2015-05-28 2017-08-01 南京航空航天大学 具有降噪结构的齿轮及其齿轮传动装置
GB2547035B (en) * 2016-02-05 2019-03-13 Ford Global Tech Llc Gear assembly
JP6815936B2 (ja) * 2017-06-06 2021-01-20 株式会社Soken はすば歯車装置
DE102017223018A1 (de) * 2017-12-18 2019-06-19 Zf Friedrichshafen Ag Zahnradgetrieb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4615A (en) * 1973-09-04 1975-07-15 Lew Hyok S Torque distributor
US3861231A (en) * 1973-11-27 1975-01-21 Us Army Gear teeth reinforcement
US4843919A (en) * 1988-04-12 1989-07-04 Tachi-S Co., Ltd. Reduction gear unit
JP3188312B2 (ja) * 1992-06-22 2001-07-16 キヤノン株式会社 歯車及び歯車駆動装置
JPH08312755A (ja) * 1995-05-16 1996-11-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平行軸歯車対
US6354395B1 (en) * 1997-08-04 2002-03-12 Delphi Technologies, Inc. Delashed worm gear assembly and electric power assist apparatus
JP4254153B2 (ja) 2002-08-02 2009-04-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ギア機構
JP4516431B2 (ja) * 2004-04-26 2010-08-0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ウォームギヤ機構及びウォームギヤ機構を搭載した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640777B2 (ja) * 2005-01-31 2011-03-02 株式会社エンプラス 樹脂製歯車装置
JP2007040399A (ja) 2005-08-03 2007-02-15 Ricoh Co Ltd 駆動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67435B2 (ja) 2006-05-17 2009-11-18 村田機械株式会社 樹脂製歯車、及びそれを備えた現像器、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画像形成装置又は画像読取装置
JP4946205B2 (ja) * 2006-06-27 2012-06-06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ウォームホイール及びウォームギア
US7832070B2 (en) * 2006-08-03 2010-11-1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strengthening gear teeth
JP5224375B2 (ja) * 2008-02-07 2013-07-03 株式会社エンプラス ウォームホイール、ウォームホイール用射出成形金型の製造方法、及びウォームホイールの製造方法
CN201236938Y (zh) * 2008-07-11 2009-05-13 玉环普天单向器有限公司 一种改良结构的齿轮
JP2010051357A (ja) 2008-08-26 2010-03-11 Toshiba Corp 電気掃除機
JP2010247308A (ja) 2009-04-20 2010-11-04 Olympus Corp ワーク保持装置
US8051738B2 (en) * 2009-05-06 2011-11-08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Rotor gear for a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0818B1 (ko) 2017-09-21
JP5430538B2 (ja) 2014-03-05
CN102192305A (zh) 2011-09-21
CN102192305B (zh) 2015-06-10
EP2369201A3 (en) 2012-08-08
US20110219898A1 (en) 2011-09-15
EP2369201A2 (en) 2011-09-28
JP2011208800A (ja) 2011-10-20
EP2369201B1 (en) 2014-12-17
US8813599B2 (en) 2014-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02201A (ko) 기어 구조
US8201471B2 (en) Gears and gearing apparatus
KR20110135921A (ko) 테이퍼된 플렉스 핀을 구비한 기어 조립체
JPH1159593A (ja) ヘリコプタの動力伝達装置
JP2009236144A (ja) まがりばかさ歯車及び歯車装置
JP6322229B2 (ja) 平歯車
CN101644319B (zh) 一种换挡系统
JP5870906B2 (ja) リングギヤの取付構造
TWI619894B (zh) 諧波齒輪裝置
US7827693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owertrain member
RU2668016C1 (ru) Зубчатая передач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TWI738892B (zh) 諧波齒輪裝置
US20080092684A1 (en) Resin double helical gear pair
JP2008101699A (ja) 一対の樹脂製やまば歯車
JP5222176B2 (ja) 歯車変速機
JP4697887B2 (ja) 一対の樹脂製やまば歯車
KR101872432B1 (ko) 헬릭스 기어의 추력에 의한 베어링의 마모를 방지하기 위한 감속기
CN211117397U (zh) 一种行星齿轮减速器
JP2009162369A (ja) ローラチェーン軸継手
CN110848339A (zh) 一种行星齿轮减速器
JP4780780B2 (ja) 一対の樹脂製やまば歯車
JP2018100713A (ja) 歯車装置
JP2019082184A (ja) スプライン構造
JP2019094966A (ja) 車両用駆動装置
JPS61274169A (ja) 歯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