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362A - 도어락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도어락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00362A KR20110100362A KR1020100019279A KR20100019279A KR20110100362A KR 20110100362 A KR20110100362 A KR 20110100362A KR 1020100019279 A KR1020100019279 A KR 1020100019279A KR 20100019279 A KR20100019279 A KR 20100019279A KR 20110100362 A KR20110100362 A KR 20110100362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lock
- lock assembly
- interleaver
- key
- wheel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편의성과 원가경쟁력을 확보가능한 도어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엑추에이터와, 상기 엑추에이터와 체결되는 휠기어와, 상기 휠기어의 회전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인터레버와, 일측이 인터레버와 체결되어 연동하는 링크레버를 포함하는 도어락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엑추에이터와, 상기 엑추에이터와 체결되는 휠기어와, 상기 휠기어의 회전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인터레버와, 일측이 인터레버와 체결되어 연동하는 링크레버를 포함하는 도어락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어락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는 엑츄에이터를 구비하는 도어락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락 어셈블리는 도어를 락킹 또는 언락킹상태로 변환하기 위하여 도어의 일측에 배치된다. 이때, 도어락 어셈블리는 여러 가지 장치가 배치되어 서로 연결된다.
특히 근래에는 적외선통신을 이용하여 외부의 사용자가 리모트컨트롤러를 통하여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도어락 어셈블리를 작동시킨다. 이때, 일반적으로 리모트컨트롤러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에 의하여 모터가 회전하여 도어락 어셈블리를 작동시켰다.
사용자가 상기 신호를 입력하면, 도어락 어셈블리는 락킹 또는 언락킹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도어락 어셈블리의 구조는 모터의 위치 및 모터의 작용력을 전달하는 구조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한편, 도어락 어셈블리는 자동차의 도어에 반드시 배치된다. 따라서 자동차를 생산함에 있어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도어락 어셈블리의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자동차업계에서 큰 관심거리이었다.
본 발명은 작동편의성과 원가경쟁력을 확보가능한 도어락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엑추에이터와, 상기 엑추에이터와 체결되는 휠기어와, 상기 휠기어의 회전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인터레버와, 일측이 인터레버와 체결되어 연동하는 링크레버를 포함하는 도어락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엑츄에이터가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엑추에이터의 작동에 의한 도어락 어셈블리의 작동을 간소화하고 제작비용이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어셈블리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어락 어셈블리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키삽입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어락 어셈블리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도어락 어셈블리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어락 어셈블리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키삽입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어락 어셈블리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도어락 어셈블리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락 어셈블리(100)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어락 어셈블리(100)의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1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는 장치들이 배치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자동차 내측에 배치되는 노브(미도시)와 체결되는 락레버(140)를 포함한다. 락레버(140)는 사용자의 상기 노브 조작에 따라 도어(미도시)의 열림을 방지한다.
또한, 도어락 어셈블리(100)캐치폴(150)는 스트라이커(미도시)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캐치폴(150)을 포함한다. 캐치폴(150)의 일측에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도록 개구부가 형성된다. 캐치폴(150)은 회전가능하도록 하우징(110)의 일측에 체결된다.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캐치폴(150)과 체결되어 캐치폴(150)을 회전시키는 릴리즈레버(160)를 포함한다. 릴리즈레버(160)는 아웃사이드핸들(미도시)의 조작에 의하여 회전한다. 릴리즈레버(160)는 캐치폴(15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하우징(110) 내측에 배치되는 엑추에이터(110)를 포함한다. 엑추에이터(110)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111)를 포함한다. 엑추에이터(110)는 모터(111)에 체결되는 웜기어(112)를 포함한다.
모터(111)는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안착된다. 모터(111)의 일측에는 모터(111)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하는 웜기어(112)가 체결된다.
한편,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엑추에이터(110)와 체결디는 휠기어(180)를 포함한다. 휠기어(180)는 웜기어(112)와 체결된다. 따라서 모터(111)의 구동에 따라 웜기어(112)가 회전하면, 휠기어(180)가 회전한다.
휠기어(180)는 내측에 형성되며, 휠기어(180)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리브(180a)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작동리브(180a)는 복수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작동리브들(180a)은 서로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복수개의 작동리브들(180a)은 서로 소정각도를 형성한다. 따라서 휠기어(180)가 회전하는 경우 복수개의 작동리브들(180a)에 의하여 외부로 힘을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휠기어(180)의 회전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인터레버(120)를 포함한다.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일측이 인터레버(120)와 체결되어 연동하는 링크레버(130)를 포함한다.
인터레버(120)는 일측이 휠기어(180)와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인터레버(120)의 일측은 캐치폴(150)과 접촉하도록 형성된다. 인터레버(120)의 일측은 링크레버(130)와 체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인터레버(120)는 휠기어(180)와 접촉하도록 휠기어(180)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작동부(122)를 포함한다. 인터레버(120)는 락레버(140)와 체결되도록 락레버(140)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 작동부(123)를 포함한다. 또한, 인터레버(120)는 링크레버(130)의 일측에 삽입되어 체결되는 제 3 작동부(124)를 포함한다.
한편, 링크레버(130)는 제 3 작동부(124)가 체결되도록 제 1 장공(131)이 형성된다. 이때, 제 1 장공(131)은 링크레버(13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제 1 장공(131)은 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링크레버(130)는 캐치폴(150)에 삽입되도록 캐치폴(150)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캐치폴작동부(132)를 포함한다. 이때, 캐치폴(150)에는 캐치폴작동부(132)가 삽입되도록 제 2 장공(150a)이 형성된다. 제 2 장공(150a)은 제 1 장공(131)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타원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외부의 사용자가 키(미도시)를 삽입하여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키삽입부(170)를 포함한다. 키삽입부(170)의 일측은 인터레버(120)와 체결된다.
또한, 키삽입부(170)는 삽입부(172)에 삽입된 상기 키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171)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키삽입부(170)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키삽입부(17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키삽입부(170)는 사용자가 상기 키를 삽입하는 삽입부(172)를 포함한다. 키삽입부(170)는 삽입부(172)의 일측에 형성되어 인터레버(120)와 체결되는 체결부(174)를 포함한다. 삽입부(172)와 체결부(17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172)의 일측에는 상기 키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인입된 삽입홀(173)이 형성된다. 또한, 삽입홀(173)의 내측면에는 상기 키가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키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체결부(174)는 인터레버(120)에 작용력을 가하도록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되는 부분은 인터레버(120)와 접촉하여 키삽입부(170)가 회전할 때, 인터레버(120)에 상기 작용력을 가한다.
한편, 키삽입부(170)는 삽입부(172)의 일측에 배치되는 위치감지부(171)를 포함한다. 위치감지부(171)는 상기 키의 동작에 따라 상기 키의 위치를 감지한다.
위치감지부(171)는 상기 키의 위치를 감지하여 자동차제어부(미도시)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자동차제어부는 엑추에이터(110)를 작동시키거나 엑추에이터(110)가 작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엑추에이터(110)가 고장나는 경우에도 수동으로 도어락 어셈블리(100)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락 어셈블리(100)의 작동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도어락 어셈블리(100)의 제 1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상기 도어를 락킹시키거나 언락킹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외부에서 리모트컨트롤러(미도시)을 통하여 상기 도어를 락킹시키거나 언락킹시키도록 입력신호를 입력한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자동차제어부는 상기 입력신호를 근거로 엑추에이터(110)를 작동시킨다.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도어를 언락킹시키도록 엑추에이터(110)를 제어하는 제 1 입력신호를 포함한다. 상기 입력신호는 상기 도어를 락킹시키도록 엑추에이터(110)를 제어하는 제 2 입력신호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제 1 입력신호를 입력한 경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사용자가 상기 제 1 입력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자동차제어부에 상기 제 1 입력신호가 전송된다. 상기 자동차제어부는 상기 제 1 입력신호를 근거로 엑추에이터(110)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엑추에이터(110)는 작동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엑추에이터(110)의 작동은 모터(111)가 정회전하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이때, 상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원에 의하여 모터(111)는 정회전한다. 모터(111)의 정회전에 의하여 모터(111)에 체결되는 웜기어(112)가 회전한다. 웜기어(112)는 모터(111)의 샤프트(미도시)에 체결되어 모터(111)의 회전에 의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웜기어(112)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휠기어(180)가 회전한다. 즉, 웜기어(11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휠기어(18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휠기어(180)의 회전방향은 웜기어(112)의 회전방향과 수직을 형성한다.
휠기어(180)가 회전하면서 휠기어(180) 내측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작동리브들(180a)이 회전한다. 복수개의 작동리브들(180a)은 휠기어(180)와 일체로 형성되어 휠기어(180)와 동일한 속도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복수개의 작동리브들(180a) 중 하나가 제 1 작동부(122)와 접촉한다. 접촉하는 제 1 작동부(122)에 힘을 가한다. 제 1 작동부(122)는 상기 힘에 의하여 일방향으로 운동한다. 즉, 제 1 작동부(122)는 상기 도 4의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작동부(122)가 움직이면서 인터레버(120)도 동시에 움직인다. 인터레버(120)는 제 1 작동부(122)의 이동방향과 동일하게 움직인다.
한편, 인터레버(120)가 이동하면, 제 2 작동부(123) 및 제 3 작동부(124)도 이동한다. 제 2 작동부(123)는 이동하면서 락레버(140)에 힘을 가한다.
락레버(140)는 상기 힘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락레버(140)가 회전하면, 락레버(140)에 체결되는 상기 노브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노브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인사이드핸들(미도시)의 구속을 해제시킨다.
한편, 제 3 작동부(124)는 제 1 장공(131)을 움직인다. 이때, 제 3 작동부(124)는 제 1 장공(131)의 내측면 일측에 접촉한다. 제 3 작동부(124)는 제 1 장공(131)의 일측면에 힘을 가한다. 제 3 작동부(124)의 이동에 따라 링크레버(130)가 이동한다. 따라서 모터(111)에서 발생한 구동력이 링크레버(130)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전달된다.
링크레버(130)가 제 3 작동부(124)에 의하여 이동하면, 링크레버작동부(132)는 제 2 장공(150a)을 이동한다. 이때, 제 2 장공(150a)의 형태에 따라 링크레버작동부(132)는 회전할 수 있다.
한편, 링크레버작동부(132)가 제 2 장공(150a)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한다. 링크레버작동부(132)는 릴리즈레버(160)와 캐치폴(150)이 서로 연동하도록 배치된다. 즉, 링크레버작동부(132)가 제 2 장공(150a)을 이동하면서 릴리즈레버(160)의 일측과 인접하게 된다.
릴리즈레버(160)는 상기 아웃사이드핸들과 연동한다. 사용자가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을 잡아당기면, 릴리즈레버(160)가 회전한다. 이때, 릴리즈레버(160)의 일측은 링크레버작동부(132)와 접촉한다.
릴리즈레버(160)는 링크레버작동부(132)에 힘을 가한다. 링크레버작동부(132)는 상기 힘에 의하여 회전한다. 링크레버작동부(132)는 제 2 장공(150a)의 일측면을 밀게된다. 따라서 링크레버작동부(132)의 회전에 의하여 캐치폴(150)이 회전한다.
캐치폴(150)은 회전하면서 상기 스트라이커와 분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을 통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제 2 입력신호를 입력하는 경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도어락 어셈블리(100)의 제 2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상기 리모트컨트롤러을 통하여 상기 제 2 입력신호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제 2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자동차제어부는 엑추에이터(110)를 제어한다.
상기 제 2 입력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자동차제어부는 모터(111)를 회전시킨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방향을 기준을 설명한다.
즉, 상기 제 2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자동차제어부는 모터(111)를 역회전시킨다. 웜기어(112)는 모터(111)의 역회전에 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웜기어(11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휠기어(18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웜기어(112)의 회전방향과 휠기어(180)의 회전방향은 서로 직교한다.
한편, 휠기어(180)가 회전에 따라 복수개의 작동리브들(180a)이 회전한다. 복수개의 작동리브들(180a)의 하나는 회전하면서 제 1 작동부(122)와 접촉한다.
하나의 작동리브(180a)는 제 1 작동부(122)에 힘을 가한다. 상기 힘에 의하여 제 1 작동부(122)는 상기 도 5의 왼쪽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제 1 작동부(122)는 하나의 작동리브(180a)의 회전에 의하여 왼쪽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 1 작동부(122)가 연결되는 인터레버(120)도 왼쪽방향으로 이동한다.
인터레버(120)의 이동에 의하여 제 2 작동부(123) 및 제 3 작동부(124)도 이동한다. 제 2 작동부(123)는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락레버(140)를 회전시킨다.
락레버(140)는 회전하면서 상기 노브를 작동시킨다. 상기 노브는 상기 도 5의 하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인사이드핸들을 잡아당기더라도 상기 도어를 개방하지 못한다.
한편, 제 3 작동부(124)는 인터레버(120)의 이동에 의하여 제 1 장공(131)의 타측면과 접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제 3 작동부(124)는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제 1 장공(131)의 반대면에 접촉하게 된다.
제 3 작동부(124)가 제 1 장공(131)의 내측면에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힘에 의하여 링크레버(130)가 상기 도 5의 왼쪽으로 이동한다.
링크레버(130)가 왼쪽으로 이동하면, 링크레버작동부(132)도 제 2 장공(150a)의 왼쪽으로 이동한다. 링크레버작동부(132)가 제 2 장공(150a)의 왼쪽으로 이동하여 릴리즈레버(160)와 캐치폴(150)을 분리시킨다.
즉, 사용자가 상기 아웃사이드핸들에 힘을 가하는 경우 릴리즈레버(160)가 회전한다. 이때, 릴리즈레버(160)는 회전하면서 링크레버작동부(132)와 접촉하지 않는다.
링크레버작동부(132)는 릴리즈레버(160)와 분리되어 캐치폴(150)은 회전하지 않는다. 캐치폴(150)은 상기 스트라이커를 계속해서 구속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리모트컨트롤러를 통하여 캐치폴(150)이 상기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도록 유지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키를 사용하여 수동을 캐치폴(150)의 상태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어셈블리(100)의 제 3 작동을 보여주는 작동상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모터(111)가 고장나거나 파손된 경우는 엑추에이터(110)가 작동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키를 삽입하여 수동을 상기 도어를 개방하거나 폐쇄한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키를 삽입부(172)에 체결하여 상기 키를 회전시킨다. 삽입부(172)는 사용자의 상기 키의 위치에 따라 상기 도어를 락킹(locking) 또는 언락킹(unlocking)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키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언락킹되고,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락킹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사용자가 상기 키를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언락킹상태로 간다. 상기의 과정을 살펴보면, 사용자는 상기 키를 삽입부(172)에 삽입한다.
사용자는 상기 키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삽입부(172)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삽입부(172)에 체결된 체결부(174)는 삽입부(172)와 동일하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체결부(17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인터레버(120)를 상기 도 6의 오른쪽으로 힘을 가한다. 인터레버(120)의 일측은 체결부(174)의 일부가 접촉가능하도록 체결부(174)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체결부(174)는 회전하면서 상기 돌출된 부분에 힘을 가한다. 인터레버(120)는 상기 힘에 의하여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이때, 인터레버(120)는 상기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하여 상기 도어를 언락킹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위치감지부(171)는 삽입부(172)의 위치를 감지한다. 삽입부(172)가 상기와 같이 언락킹 상태인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자동차제어부로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자동차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근거로 모터(111)가 작동하지 않도록 제어한다. 모터(111)가 고정나거나 파손된 경우에는 상기 신호에 의하여 모터(111)가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키의 조작에 의하여 용이하게 수동으로 상기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반면, 사용자는 락킹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키를 삽입부(172)에 삽입하여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키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체결부(174)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체결부(174)는 회전하면서 인터레버(120)를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인터레버(120)가 왼쪽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도 5와 동일하게 도어락 어셈블리(100)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락킹 상태를 유지한다.
사용자는 도어락 어셈블리(100)를 통하여 상기 도어를 수동 또는 원격을 락킹 또는 언락킹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모터(111)가 하우징(110) 내측에 배치되어 작동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어락 어셈블리(100)는 모터(111)를 하우징(110)의 내측에 배치되어 구조의 단순화를 통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100 : 도어락 어셈블리 130 : 링크레버
110 : 엑추에이터 140 : 락레버
111 : 모터 150 : 캐치폴
112 : 웜기어 160 : 릴리즈레버
120 : 인터레버 170 : 키삽입부
110 : 엑추에이터 140 : 락레버
111 : 모터 150 : 캐치폴
112 : 웜기어 160 : 릴리즈레버
120 : 인터레버 170 : 키삽입부
Claims (13)
-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엑추에이터와,
상기 엑추에이터와 체결되는 휠기어와,
상기 휠기어의 회전에 따라 왕복운동하는 인터레버와,
일측이 인터레버와 체결되어 연동하는 링크레버를 포함하는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엑추에이터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일측에 체결되어 회전하는 웜기어를 포함하는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기어의 내측은 상기 휠기어의 중심으로부터 외측으로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작동리브가 형성되는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레버는 상기 휠기어에 접촉하도록 상기 휠기어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 1 작동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자동차내측에 배치되는 노브와 체결되는 락레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인터레버는 상기 락레버와 체결되도록 상기 락레버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2 작동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터레버는 상기 링크레버에 삽입되도록 상기 링크레버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3 작동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레버는 상기 인터레버의 일단이 삽입되도록 제 1 장공이 형성되는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배치되는 캐치폴을 더 포함하는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링크레버는 상기 캐치폴에 삽입되도록 상기 캐치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캐치폴작동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링크레버의 운동에 따라 상기 캐치폴과 연동하여 상기 캐치폴을 회전시키는 릴리즈레버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1에 있어서,
사용자가 키를 삽입하여 회전가능하고, 상기 인터레버와 체결되는 키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락 어셈블리.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키삽입부는 상기 키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포함하는 도어락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9279A KR101097064B1 (ko) | 2010-03-04 | 2010-03-04 | 도어락 어셈블리 |
US13/039,575 US8757680B2 (en) | 2010-03-04 | 2011-03-03 | Door lock assembly |
CN2011100532758A CN102268944A (zh) | 2010-03-04 | 2011-03-04 | 门锁组件 |
CN201410003429.6A CN103742013B (zh) | 2010-03-04 | 2011-03-04 | 门锁组件 |
CN201410003361.1A CN103938954A (zh) | 2010-03-04 | 2011-03-04 | 门锁组件 |
US14/283,676 US20140252778A1 (en) | 2010-03-04 | 2014-05-21 | Door lock assembly |
US14/283,696 US20140250958A1 (en) | 2010-03-04 | 2014-05-21 | Door lock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9279A KR101097064B1 (ko) | 2010-03-04 | 2010-03-04 | 도어락 어셈블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00362A true KR20110100362A (ko) | 2011-09-14 |
KR101097064B1 KR101097064B1 (ko) | 2011-12-22 |
Family
ID=44952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9279A KR101097064B1 (ko) | 2010-03-04 | 2010-03-04 | 도어락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9706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8035A (ko) * | 2019-11-13 | 2021-05-24 | 대동도어 주식회사 |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36907B1 (ko) * | 2006-08-17 | 2007-07-06 | 기아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용 파워 도어록 엑츄에이터 |
KR100851144B1 (ko) * | 2007-09-21 | 2008-08-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중앙집중식 도어 잠금장치 |
-
2010
- 2010-03-04 KR KR1020100019279A patent/KR101097064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8035A (ko) * | 2019-11-13 | 2021-05-24 | 대동도어 주식회사 |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97064B1 (ko) | 2011-1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57680B2 (en) | Door lock assembly | |
WO2009128309A1 (ja)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
US8950791B2 (en) | Door lock device | |
JP3921043B2 (ja) |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 |
KR101097064B1 (ko) | 도어락 어셈블리 | |
JP2011111827A (ja) | ドアロック装置 | |
KR100939187B1 (ko) | 도난 방지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차량용 도어래치 | |
KR101962437B1 (ko) |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 |
KR100604611B1 (ko) | 프리휠형 락레버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 |
KR100604612B1 (ko) | 구속형 락 레버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 |
KR101089823B1 (ko) | 도어락 어셈블리 | |
KR102242272B1 (ko) |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 |
KR100841555B1 (ko) | 데드락 기능을 갖는 차량용 사이드 래치 | |
KR101172294B1 (ko) | 이중 도어락 해제장치 | |
KR101683346B1 (ko) | 차량용 도어래치 | |
KR200483321Y1 (ko) | 차량용 트렁크 래치 | |
KR100610928B1 (ko) | 자동차 도어 로커 장치 | |
KR100997889B1 (ko) |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 |
KR101089821B1 (ko) | 도어 래치 어셈블리 | |
KR100600427B1 (ko) | 데드락 기능을 갖는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 |
KR100600431B1 (ko) | 피니언기어에 의한 직선이송의 센트럴락 구조를 갖는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 |
KR102172529B1 (ko) |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 |
KR100600433B1 (ko) | 키 회전각의 보정이 가능한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 | |
KR200233749Y1 (ko) |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 |
KR101818169B1 (ko) | 차량용 도어래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207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