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58035A -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 Google Patents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58035A
KR20210058035A KR1020190144971A KR20190144971A KR20210058035A KR 20210058035 A KR20210058035 A KR 20210058035A KR 1020190144971 A KR1020190144971 A KR 1020190144971A KR 20190144971 A KR20190144971 A KR 20190144971A KR 20210058035 A KR20210058035 A KR 202100580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open
handle
link pin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4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3356B1 (ko
Inventor
한성희
김민수
Original Assignee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동도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동도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4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33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80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80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3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3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05B85/24Bolts rotating about an axis
    • E05B85/243Bolts rotating about an axis with a bifurcated bolt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폴을 오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오픈레버; 일단이 오픈레버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링크핀삽입홈을 구비하는 핸들오픈레버; 이너핸들케이블과 연결되어 이너 핸들 조작에 따라 오픈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접촉단과, 오픈방향 회전시 핸들오픈레버에 접촉되어 핸들오픈레버를 오픈방향 회전시키는 제2접촉단을 구비하는 이너핸들레버;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이너핸들레버의 오픈방향 회전 시제1접촉단에 접촉되어 해제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이너링크레버가 구비된 휠 기어; 이너핸들레버와 휠 기어 간에 체결되어 해제방향으로 회전된 휠 기어가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 스프링; 및 휠 기어의 해제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링크핀삽입홈에 체결되는 링크핀을 구비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지지 스피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Door latch with support spring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도어의 개폐를 단속하는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도어에는 개폐 동작을 단속하기 위한 도어래치(door latch)가 설치되고 있다. 도어래치는 도어 닫힘 상태에서 차체에 마련된 스트라이커(Striker)와 결합되어 도어 닫힘 상태를 유지 고정시키는 한편, 사용자의 핸들 조작에 따라 스트라이커로부터 탈거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래치는 위와 같은 도어의 개폐 단속을 기본 기능으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되어 있다. 일 예로, 대부분의 도어래치에는 핸들 조작에 의한 도어 개방을 제한하는 도어 잠금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도어 잠금 기능이 활성화되면, 이로 인해 도어가 열리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도어 잠금을 비활성시키고, 핸들을 당겨 도어를 개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도어 잠금 기능 외에도 도어래치에는 안전, 사용 편의 등을 위해 여러가지의 기능들이 부가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영유아의 안전을 위해 이너(inner) 핸들을 통한 도어 개방을 제한하는 차일드 락(child lock) 기능, 사용자 편의를 위해 도어 잠금상태에서 이너 핸들의 조작만으로 잠금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오버라이드(override) 기능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오버라이드 기능은 사용자 편의를 중시하는 근래의 경향에 따라 많은 차량에서 채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오버라이드 기능은 기존 도어래치에 다수의 레버 부품이나 복잡한 링크구조의 추가가 요구되어, 제조단가를 높이거나 조립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버라이드 기능이 추가된 경우, 이너 핸들 조작에 따른 레버 동작과, 다른 조작 버튼에 의한 레버 동작이 서로 충돌하여, 레버 부품의 손상이나 오작동을 발생시키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사용자(탑승자)가 이너 핸들을 조작하고 이에 도어래치의 각 레버 부품들이 연동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이와 동시에 다른 사용자(운전자)가 도어 잠금 버튼을 통해 잠금 상태를 해제하게 되면, 2개의 조작에 의한 레버 부품들의 동작이 서로 맞물려 일종의 잼(jam)이 발생하게 되며, 이로 인해 도어래치가 적절히 작동되지 못하거나 레버 부품 등에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 제 10-1935921호 "차량용 도어래치"와 가은 차량용 도어래치가 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도어래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폴(120)을 오픈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오픈레버(130); 링크핀삽입홈(142)을 구비하는 핸들오픈레버(140); 이너 핸들케이블(C1)과 연결되어 이너 핸들 조작에 따라 오픈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접촉단(151)과, 오픈방향 회전시 상기 핸들오픈레버(140)에 접촉되어 상기 핸들오픈레버(140)를 오픈방향 회전시키는 제2촉단(152)을 구비하는 이너핸들레버(150); 상기 이너핸들레버(150)의 오픈방향 회전시 상기 제1접촉단(151)에 접촉되어 해제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이너링크레버(160); 상기 이너링크레버(160)와 제5회전축(R5)을 공유하는 이너락레버(170); 상기 이너링크레버(160)와 상기 이너락레버(170) 간에 체결되어 상기 이너링크레버(160)의 해제방향 회전력을 상기 이너락레버(170)로 전달하는 탄성부재(180); 및 상기 이너락(170)의 해제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링크핀삽입홈(142)에 체결되는 링크핀(211)을 구비하는 링크(210);를 포함하는, 도어래치가 개시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용 도어래치의 경우, 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작동시 레버 부품들의 손상이나 오작동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35921호(등록일; 2018.12.31)
본 발명은, 부품 수를 줄여 구조가 간소화하고, 레버 부품들의 손상이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폴을 오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오픈레버; 일단이 상기 오픈레버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링크핀삽입홈을 구비하는 핸들오픈레버; 이너핸들케이블과 연결되어 이너 핸들 조작에 따라 오픈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접촉단과, 오픈방향 회전시 상기 핸들오픈레버에 접촉되어 상기 핸들오픈레버를 오픈방향 회전시키는 제2접촉단을 구비하는 이너핸들레버; 구동모터와 연동되는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이너핸들레버의 오픈방향 회전 시 상기 제1접촉단에 접촉되어 해제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이너링크레버가 구비된 휠 기어; 상기 이너핸들레버와 상기 휠 기어 간에 체결되어 해제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휠 기어가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 스프링 및; 상기 휠 기어의 해제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링크핀삽입홈에 체결되는 링크핀을 구비하는 링크;를 포함하는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휠 기어는, 상기 휠 기어의 해제방향 회전에 연동하여 해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된 중계레버와 연결되며, 상기 링크는 제6회전축을 매개로 상기 중계레버에 체결되어, 상기 이너락레버의 해제방향 회전시 상기 링크핀이 상기 링크핀삽입홈으로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제6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접촉단은, 상기 이너핸들레버의 오픈방향 회전시, 상기 제1접촉단이 상기 이너링크레버에 접촉되면, 순차적으로 상기 핸들오픈레버에 접촉되어 상기 핸들오픈레버를 오픈방향 회전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핀은, 상기 링크핀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핸들오픈레버의 오픈방향에 상기 오픈레버가 연동되지 않는 잠금위치; 및 상기 링크핀삽입홈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핸들오픈레버의 오픈방향 회전시 상기 링크핀연동부에 접촉 가능한 잠금해제위치에 배치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는 이너핸들레버에 제1접촉단 및 제2접촉단을 형성하여, 제1접촉단에 의한 연동으로 도어 잠금 상태가 비활성화(unlock)되고, 제2접촉단에 의한 연동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너핸들레버는 상기와 같은 2가지의 연동 동작을 하나의 레버 부품으로 구현하도록 하고, 휠 기어가 구동모터, 이너핸들레버 및 중계레버에 연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오버라이드 기능 구현을 위한 레버 부품을 줄이고 구조적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는 제1접촉단이 먼저 이너링크레버에 접촉되고, 순차적으로 제2접촉단이 핸들오픈레버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도어 잠금 상태의 비활성화(unlock) 및 도어 개방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 간소화에도 불구하고, 오버라이드 기능 발현시 레버 부품들의 간섭이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는 이너핸들레버와 휠 기어 간에 지지 스프링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부가 구성 없이 휠 기어의 해제방향 회전을 제한할 수 있고 이너핸들케이블의 복원이 수월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도어래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 실시예에 따른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가 도어 닫힘 상태에서 잠금 기능이 비활성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가 도어 닫힘 상태에서 잠금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중, 이너핸들레버가 복원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각 구성들은 다소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음을 알려 둔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 실시예에 따른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가 도어 닫힘 상태에서 잠금 기능이 비활성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가 도어 닫힘 상태에서 잠금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중, 이너핸들레버가 복원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이하, '도어래치(300)'로 지칭)는 캐치(310)를 포함할 수 있다.
캐치(310)는 제1회전축(R1`)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캐치(310)는 자체 일측에 설치된 스트라이커(Striker, 미도시)와 걸림 결합되어 도어를 닫힘 상태로 구속시킬 수 있다. 캐치(310) 일측에는 스트라이커가 걸림 결합되는 걸림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를 닫으면, 상기 스트라이커에 캐치(310)가 충돌되면서 그 충격으로 인해 캐치(310)가 제1회전축(R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걸림홈(311)에 스트라이커가 걸림 결합되면서 도어가 닫힘 상태로 구속되게 된다. 도 2 및 3은 이와 같이 걸림홈(311)에 스트라이커가 걸림 결합되어 도어가 닫힘 상태로 구속 유지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캐치(310)는 도시된 상태에서 제1회전축(R1`)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회전되어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캐치(310)의 회전방향(도면상 시계방향)을 오픈방향으로 지칭키로 한다. 이에 의하면, 캐치(310)는 오픈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 가능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는 개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래치(300)는 폴(320)을 포함할 수 있다.
폴(320)은 제2회전축(R2`)을 가지고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폴(320)은 도어 닫힘 상태에서 캐치(310) 일측에 걸림 결합되어 캐치(310)의 오픈방향(도면상 시계방향) 회전을 구속할 수 있다. 즉, 도어 닫힘 상태에서 캐치(310)는 폴(320)에 의해 회전 구속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도어가 닫힘 상태로 구속 유지될 수 있다.
폴(320)은 도시된 상태에서 제2회전축(R2)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회전되어 캐치(31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캐치(310)의 구속이 해제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폴(320)은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캐치(310)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캐치(310)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면, 캐치(310)는 탄성수단에 의해 오픈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 복귀하고, 스트라이커로 이탈 가능한 상태가 되어,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래치(300)는 오픈레버(330)를 포함할 수 있다.
오픈레버(330)는 폴(320)과 제2회전축(R2`)을 공유하며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오픈레버(330)는 폴(320)에 체결되어 도어 닫힘 상태에서 폴(320)을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연동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도시된 상태에서 오픈레버(330)가 반시계방향 회전되면, 이에 연동하여 폴(320)이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오픈레버(330)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폴(320)의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에 대응되므로, 이를 오픈방향 회전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오픈레버(330)는 후술할 핸들오픈레버(340)의 회전에 연동하여 도어 닫힘 상태에서 폴(320)을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링크핀(211)을 통해 핸들오픈레버(340)의 회전 조작력을 전달받는 링크핀연동부(331)를 구비할 수 있다. 링크핀연동부(331)는 제2회전축(R2)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도어 닫힘 상태에서 핸들오픈레버(340)의 링크핀삽입홈(34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래치(300)는 핸들오픈레버(340)를 포함할 수 있다.
핸들오픈레버(340)는 제3회전축(R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핸들오픈레버(340)는 이너 핸들(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도시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회전되어 오픈레버(330)를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연동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핸들오픈레버(340)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오픈레버(330)의 오픈방향(도면상 시계방향) 회전에 대응되므로, 이를 오픈방향 회전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잠금이 활성화(lock)된 상태에서는, 핸들오픈레버(340)는 오픈레버(330)와 연동되지 않게 된다. 오픈레버(330)는 핸들오픈레버(340) 하측에 배치되어 핸들오픈레버(340)가 회전되더라도 오픈레버(330)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핸들오픈레버(340)가 단독 회전되더라도 도어는 개방되지 않게 되며, 도어는 잠금 상태(lock)에 있게 된다. 예컨대, 아웃 핸들(미도시)이 소정의 링크나 케이블을 통해 핸들오픈레버(340)에 연결되어, 아웃 핸들의 조작에 의해 핸들오픈레버(340)가 회전되더라도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 핸들오픈레버(340)와 오픈레버(330) 간의 회전 연동은 후술할 링크핀(391)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즉, 링크핀(391)의 위치에 따라 핸들오픈레버(340)와 오픈레버(330) 간의 연동이 활성화(잠금 상태가 비활성화, unlock)되거나, 비활성화(잠금 상태가 활성화, lock)되는 것이다. 이러한 링크핀(391)과의 연동을 위해 핸들오픈레버(340)에는 링크핀(391)이 삽입 체결될 수 있는 링크핀삽입홈(342)이 마련될 수 있다. 링크핀삽입홈(342)은 링크핀(391)에 대응되는 위치의 핸들오픈레버(340) 일측이 오목하게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핸들오픈레버(340)는 후술할 이너핸들레버(350)에 의해 이너 핸들의 조작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핸들오픈레버(340) 일측에는 핸들오픈레버접촉단(341)이 마련될 수 있다. 핸들오픈레버접촉단(341)은 제3회전축(R3`)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되어, 도시된 바와 같은 도어 닫힘 상태에서 후술할 이너핸들레버(350)의 제2접촉단(352)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래치(300)는 이너핸들레버(3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너핸들레버(350)는 제4회전축(R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너핸들레버(350)에는 이너핸들케이블(C1`)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이너핸들케이블(C`)은 이너 핸들의 조작력을 이너핸들레버(35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이너핸들레버(350)는 제4회전축(R4`)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 이너 핸들의 조작에 의해 이너핸들케이블(C1`)이 당겨지면, 이너핸들레버(350)는 제4회전축(R4`)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너핸들레버(350)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후술할 바와 같이 도어의 개방 동작을 일으키게 되므로, 이를 오픈방향 회전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이에 의하면, 이너핸들레버(350)는 이너핸들케이블(C1`)이 당겨짐에 따라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너핸들레버(350)는 이너 핸들의 조작력을 전술한 핸들오픈레버(340) 및 후술할 휠 기어(360)로 전달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너핸들레버(350)는 도어 닫힘 상태에서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핸들오픈레버(340) 및 휠 기어(360)를 연동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회전 연동을 위해, 이너핸들레버(350) 일측에는 제2접촉단(352)이 구비될 수 있다. 제2접촉단(352)은 핸들오픈레버(340)에 형성된 핸들오픈레버접촉단(341)에 대응되며, 이너핸들레버(350)가 제4회전축(R4`)을 중심으로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 회전되면, 핸들오픈레버접촉단(341)에 접촉되어, 핸들오픈레버(340)를 회전시키게 된다. 핸들오픈레버(340)는 이에 의해 제3회전축(R3`)을 중심으로 오픈방향(도면상 시계방향) 회전될 수 있다.
이너핸들레버(350) 타측에는 제1접촉단(351)이 구비될 수 있다. 제1접촉단(351)은 제4회전축(R4`)을 중심으로 제2접촉단(352)으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1접촉단(351)은 후술할 휠 기어(360)를 회전 연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어 닫힘 상태에서 이너핸들레버(350)가 제4회전축(R4`)을 중심으로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 회전되면, 휠 기어(360)의 이너링크레버(362)에 접촉되어, 휠 기어(360)에 회전 조작력을 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래치(300)는 휠 기어(360)을 포함할 수 있다.
휠 기어(360)는 제5회전축(R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휠 기어(360)는 구동모터(M)에 연동되기 위해 일측에 기어부(361)가 형성되며, 타측에는 이너핸들레버(350)의 제1접촉단(351)에 접촉되는 이너링크레버(360)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도어 닫힘 상태에서 이너핸들레버(350)가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제1접촉단(351)이 이너링크레버(362)에 접촉되어, 이너링크레버(362)는 제5회전축(R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회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이너핸들레버(350)의 오픈방향 회전에 따라 휠 기어(360)이 제 5회전축(R5`)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휠 기어(360)의 반시계방향 회전은 결국 잠금 상태를 비활성화(unlock)시키게 되므로, 이를 해제방향 회전으로 지칭하도록 한다. 이에 의하면, 휠 기어(360)는 이너핸들레버(350)의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 회전에 연동하여 해제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휠 기어(350)는 구동모터(M)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예를들면 구동모터(M)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해제방향과 반대되는 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도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래치(300)는 중계레버(37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계레버(370)는 일단(371)이 휠 기어(360)에 체결되어, 휠 기어(360)의 회전에 따라 길이방향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상태에서 휠 기어(360)가 해제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일단(371)이 휠 기어(360)에 체결된 중계레버(370)는 후진(도면상 우측)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중계레버(370)의 후진(도면상 우측) 이동을 해제방향 이동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이에 의하면, 휠 기어(360)가 해제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 회전되면, 중계레버(370)는 해제방향(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계레버(370)는 소정의 지지 구조(미표기)를 통해 상기와 같은 전후진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래치(300)는 지지 스프링(38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스프링(380)은 이너핸들레버(350)와 휠 기어(360) 간에 체결되어 회전된 휠 기어(360)가 복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휠 기어(360)가 복원되는 것'은 이미 해제방향으로 회전된 휠 기어(360)가 다시 해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하며, 지지 스프링(380)은 이너핸들레버(350)가 해제반대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힘을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지지 스프링(380)은 단부가 휠 기어(350)에 형성된 걸림수단(미표기)에 걸리도록 소정 정도 절곡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너핸들레버(350)의 해제방향 회전에 의해 휠 기어(350)가 해제방향으로 회전될 시, 지지 스프링이 상기 걸림수단에 걸리게 되어 휠 기어(350)를 지지함과 동시에 이너핸들레버(350)를 다시 해제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도 5 참고).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래치(300)는 링크(39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390)는 일단이 제6회전축(R6`)을 매개로 중계레버(370)에 체결되어 중계레버(370)의 이동에 연동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링크핀(391)과 관련하여 부연하기로 한다.
링크(390)는 타단이 링크핀(391)을 구비할 수 있다. 링크핀(391)은 핸들오픈레버(340)에 형성된 링크핀삽입홈(342)에 대응되며, 중계레버(370)의 이동에 따라 링크핀삽입홈(342)으로 삽입 체결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도어 잠금 상태에서 중계레버(370)가 해제방향(도면상 우측)으로 이동되면, 일단이 중계레버(370)에 체결된 링크(390)는 이에 연동하여 위치 변경되면서 링크핀(391)이 링크핀삽입홈(342)으로 삽입 체결되는 것이다.
또한, 링크핀(391)은 상하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링크핀삽입홈(342) 하측의 링크핀연동부(331)에 접촉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링크핀(391)은 도어 잠금 상태를 활성화(lock) 또는 비활성화(unlock)시킬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은 링크핀(391)이 링크핀삽입홈(412)으로부터 이탈된 경우, 오픈레버(330)는 핸들오픈레버(340)에 연동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핸들오픈레버(340)가 오픈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폴(320)에 의한 캐치(310)의 구속이 해제되지 않으며, 도어는 열리지 않는다. 즉, 도어 잠금 상태가 활성화(lock)된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핀삽입홈(342)으로부터 이탈된 링크핀(391)의 위치를 잠금위치(P1`)로 지칭하도록 한다.
링크(390)가 중계레버(370)의 해제방향(도면상 우측) 이동에 연동하여 링크핀(391)이 링크핀삽입홈(342)으로 삽입 체결된 경우, 오픈레버(330)는 핸들오픈레버(340)에 연동될 수 있다. 즉, 핸들오픈레버(340)가 오픈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링크핀삽입홈(342)에 체결된 링크핀(391)이 제6회전축(R6`)을 중심으로 회전(도면상 반시계방향)되면서, 링크핀연동부(331)를 밀게 되며, 이로 인해 오픈레버(330)가 제2회전축(R2`)을 중심으로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핸들오픈레버(340)가 오픈방향(도면상 시계방향) 회전되면, 이에 연동하여 오픈레버(330)까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 회전되고, 폴(320)이 캐치(310)로부터 이탈되면서 도어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즉, 도어 잠금 상태가 비활성화(unlock)된 것이다. 따라서 링크핀삽입홈(342)에 삽입 체결된 링크핀(391)의 위치를 잠금해제위치(P2`)로 지칭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도어래치(300)에 있어 제1 내지 3회전축(R1`,R2`, R3`)과, 제 4 내지 5회전축(R4`, R5`)은 대략 직교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캐치(310), 폴(320), 오픈레버(330) 및 핸들오픈레버(340)는 제1평면상에 배치되고, 이너핸들레버(350), 휠 기어(360) 및 중계레버(370)는 상기 제 1 평면과 대략 직교하는 제2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어래치(300) 내부에 각 구성요소들이 보다 컴팩트 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도어래치(300)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어 닫힘 상태에서 잠금 기능이 비활성화된 경우를, 도 4는 도어 닫힘상태에서 잠금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너 핸들을 조적하면, 이너핸들케이블(C1`)이 당겨지고 이너핸들레버(350)가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너핸들레버(350)가 회전되면, 제1접촉단(351)이 먼저 이너링크레버(362)에 접촉되며, 이에 의해 휠 기어(360)가 해제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휠 기어(360)가 회전되면, 휠 기어(360)에 체결되어 있던 중계레버(370)가 해제방향(도면상 우측)으로 후진 이동된다. 중계레버(370)가 이동되면, 링크핀(391)이 링크핀삽입홈(342)으로 삽입되면서 잠금해제위치(P2)로 이동되며, 도어 잠금 상태가 비활성(unlock)된다(도 4참고). 즉, 도어 잠금이 해제된다.
한편, 이너핸들레버(350)가 회전되면, 제2접촉단(352)는 핸들오픈레버(340)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2접촉단(352)의 접촉은 제1접촉단(351)의 접촉에 이어 순차적으로 발생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너핸들레버(350)가 회전됨에 따라, 제1접촉단(351)이 먼저 이너링크레버(362)에 접촉되고, 이에 이어서 제2접촉단(352)이 핸들오픈레버(340)에 접촉되는 것이다. 이는 도어 잠금 상태를 먼저 비활성화(unlock)시키고, 제2접촉단(352)에 연동되는 도어 개방 동작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순차적 접촉은 제1, 2접촉단(351, 352)의 위치를 조절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2접촉단(352)이 핸들오픈레버(340)에 접촉되면, 핸들오픈레버(340)는 오픈방향(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링크핀(391)은 전술한 제1접촉단(351)에 연동한 작동에 의해 잠금해제위치(P2)에 배치되게 되므로, 핸들오픈레버(340)의 회전은 링크핀(391)을 통해 오픈레버(430)로 전달될 수 있다. 즉, 핸들오픈레버(340)에 연동되어 오픈레버(330)가 오픈방향도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오픈레버(330)가 회전되면, 폴(320)이 함께 회전되면서 캐치(310)로부터 이탈되며, 캐치(310)는 회전 구속이 해제되어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작동과정을 통해 본 실시예의 도어래치(300)는 이너 핸들의 조작만으로 잠금 상태의 비활성화(unlock) 및 도어 개방이 이뤄지도록 하는 오버라이드(override)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실시예의 도어래치(300)는 이너핸들레버(350)에 제1접촉단(351) 및 제2접촉단(352)을 형성하여, 제1접촉단(351)에 의한 연동으로 도어 잠금 상태가 비활성화(unlock)되고, 제2접촉단(352)에 의한 연동으로 도어가 개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너핸들레버(350)는 상기와 같은 2가지의 연동 동작을 하나의 레버 부품으로 구현하도록 하고, 휠 기어(360)가 구동모터(M), 이너핸들레버(350) 및 중계레버(370)에 연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오버라이드 기능 구현을 위한 레버 부품을 줄이고 구조적 간소화를 실현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래치(300)는 제1접촉단(351)이 먼저 이너링크레버(363)에 접촉되고, 순차적으로 제2접촉단(352)이 핸들오픈레버(340)에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도어 잠금 상태의 비활성화(unlock) 및 도어 개방 동작이 순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 간소화에도 불구하고, 오버라이드 기능 발현시 레버 부품들의 간섭이나 오작동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도어래치(300)는 이너핸들레버(350)와 휠 기어(360)간에 지지 스프링(380)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부가 구성 없이 휠 기어(360)의 해제방향 회전을 제한할 수 있고 이너핸들케이블(C1`)의 복원이 수월하게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300: 차량용 도어래치 310: 캐치
311: 걸림홈 320: 폴
330: 오픈레버 340: 핸들오픈레버
341: 핸들오픈레버접촉단 350: 이너핸들레버
351: 제1접촉단 352: 제2접촉단
360: 휠 기어 361: 기어부
362: 이너링크레버 370: 중계레버
380: 지지 스프링 390: 링크

Claims (4)

  1. 폴(320)을 오픈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오픈레버(330);
    일단이 상기 오픈레버(330)에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링크핀삽입홈(340a)을 구비하는 핸들오픈레버(340);
    이너핸들케이블(C1`)과 연결되어 이너 핸들 조작에 따라 오픈방향으로 회전되며, 제1접촉단(351)과, 오픈방향 회전시 상기 핸들오픈레버(340)에 접촉되어 상기 핸들오픈레버(340)를 오픈방향 회전시키는 제2접촉단(352)을 구비하는 이너핸들레버(350);
    구동모터(M)와 연동되는 기어부(361)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 가능하며, 상기 이너핸들레버(350)의 오픈방향 회전시 상기 제1접촉단(351)에 접촉되어 해제방향으로 연동 회전되는 이너링크레버(362)가 구비된 휠 기어(360);
    상기 이너핸들레버(350)와 상기 휠 기어(360) 간에 체결되어 해제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휠 기어(360)가 복원되는 것을 방지하는 지지 스프링(380); 및
    상기 휠 기어(360)의 해제방향 회전에 연동되어 상기 링크핀삽입홈(340a)에 체결되는 링크핀(391)을 구비하는 링크(390);를 포함하는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휠 기어(360)는,
    상기 휠 기어(360)의 해제방향 회전에 연동하여 해제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형성된 중계레버(370)와 연결되며,
    상기 링크(390)는,
    제6회전축(R6`)을 매개로 상기 중계레버(370)에 체결되어, 상기 이너락레버(362)의 해제방향 회전시 상기 링크핀(391)이 상기 링크핀삽입홈(340a)으로 삽입 체결되도록 상기 제6회전축(R6`)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되는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접촉단(352)은,
    상기 이너핸들레버(350)의 오픈방향 회전시, 상기 제1접촉단(351)이 상기 이너링크레버(350)에 접촉되면, 순차적으로 상기 핸들오픈레버(340)에 접촉되어 상기 핸들오픈레버(340)를 오픈방향 회전시키도록 형성된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핀(391)은,
    상기 링크핀삽입홈(340a)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핸들오픈레버(340)의 오픈방향 회전에 상기 오픈레버(330)가 연동되지 않는 잠금위치(P1`); 및
    상기 링크핀삽입홈(340a)으로 삽입 체결되어 상기 핸들오픈레버(340)의 오픈방향 회전시 상기 링크핀연동부(331)에 접촉 가능한 잠금해제위치(P2`);에 배치 가능하도록 형성된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KR1020190144971A 2019-11-13 2019-11-13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KR102273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71A KR102273356B1 (ko) 2019-11-13 2019-11-13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4971A KR102273356B1 (ko) 2019-11-13 2019-11-13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8035A true KR20210058035A (ko) 2021-05-24
KR102273356B1 KR102273356B1 (ko) 2021-07-07

Family

ID=76152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4971A KR102273356B1 (ko) 2019-11-13 2019-11-13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33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0362A (ko) * 2010-03-04 2011-09-14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도어락 어셈블리
KR101587816B1 (ko) * 2014-09-02 2016-01-22 대동도어 주식회사 안티-잼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KR101935921B1 (ko) 2017-11-06 2019-01-07 대동도어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0362A (ko) * 2010-03-04 2011-09-14 대기오토모티브 주식회사 도어락 어셈블리
KR101587816B1 (ko) * 2014-09-02 2016-01-22 대동도어 주식회사 안티-잼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KR101935921B1 (ko) 2017-11-06 2019-01-07 대동도어 주식회사 차량용 도어래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3356B1 (ko) 202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5921B1 (ko) 차량용 도어래치
JP4659602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の操作装置
JP4755528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装置
US8029028B2 (en) Door lock device
WO2011118356A1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5884766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7302818B2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JP6497046B2 (ja) 車両ドア作動装置
EP1600583A2 (en) Apparatus for locking and unlocking vehicle door
JP4826853B2 (ja) 自動車用ドア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装置
JP2009235845A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US9376843B2 (en) Position holding device for rotating lever and vehicle door lock device provided with said position holding device for rotating lever
JP4951797B2 (ja) インサイド操作装置
JP5421083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2273356B1 (ko) 지지 스프링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US11293205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KR20210058033A (ko) 차량용 도어래치
KR101587816B1 (ko) 안티-잼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도어래치
JP6459276B2 (ja) 車両用ドアクローザ装置
JPH0996131A (ja) 自動車用ドアのインサイドハンドルユニット構造
JP4304094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
KR20200116627A (ko) 데드록 기능이 구비된 도어래치
JP4962600B2 (ja)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KR102172529B1 (ko) 전동식 차일드락 도어래치
KR100561770B1 (ko) 슬라이딩 도어의 록킹 컨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