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889B1 -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889B1
KR100997889B1 KR1020080137060A KR20080137060A KR100997889B1 KR 100997889 B1 KR100997889 B1 KR 100997889B1 KR 1020080137060 A KR1020080137060 A KR 1020080137060A KR 20080137060 A KR20080137060 A KR 20080137060A KR 100997889 B1 KR100997889 B1 KR 100997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ever
deadlock
link
sl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7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8718A (ko
Inventor
이명현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37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889B1/ko
Publication of KR20100078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8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8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for anti-theft purposes, e.g. double-locking or sup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락레버의 좌우 회전에 의해 락링크에 마련된 락핀의 위치가 좌우 변경되어 락과 언락이 택일하여 설정되도록 구성함에 있어, 상기 락레버에 슬롯을 형성하고 이 슬롯에 락링크를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축 설치하여, 락링크가 구속된 상태에서는 락레버가 공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락링크의 물리적인 구속여부에 따라 락레버에 의한 락과 언락의 전환 설정 여부가 제어되도록 구성한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중 잠금기능, 데드락, 센트롤 락, 락링크, 락핀, 데드락, 센트롤락

Description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double lock funtional having door lock divice}
본 발명은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락레버의 좌우 회전에 의해 락링크에 마련된 락핀의 위치가 좌우 변경되어 락과 언락이 택일하여 설정되도록 구성함에 있어, 상기 락레버에 슬롯을 형성하고 이 슬롯에 락링크를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축 설치하여, 락링크가 구속된 상태에서는 락레버가 공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락링크의 물리적인 구속여부에 따라 락레버에 의한 락과 언락의 전환 설정 여부가 제어되도록 구성한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시건을 주관하는 도어잠금장치는, 일반적으로 래치기어와 파울 및 파울오픈레버가 포함된 래치 어셈블리와, 내부 또는 외부 핸들레버와 연결되어 이들에 의해 전달되는 외력을 상기 래치 어셈블리에 제공하여 래치 어셈블리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키는 릴리즈 레버를 포함한 릴리즈 어셈블리, 및 상기 릴리즈 어셈블리를 통해 해제력이 래치 어셈블리에 인가 또는 비인가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락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
다.
그리고 이러한 도어잠금장치에서 락 어셈블리는, 모터나 락노브 및 키레버 등의 작동/조작에 의해 커넥션 레버가 회전됨으로써, 락 및 언락 설정이 이루어지게 된다(센트럴 락).
한편 최근 보다 신뢰성이 높은 도어 잠금장치 사양이 요구됨에 따라, 도어 잠금장치에 커버를 씌운, 소위 몰드형 도어 잠금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몰드형 도어 잠금장치는, 취구를 통한 도어 잠금장치 본체의 인위적인 조작이 어려워, 높은보안성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몰드형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가 구현되더라도, 도어의 내부에는 커넥션 레버를 회전하는 락노브가 표출되어 있어, 절도의 목적으로 타인이 외부에서 윈도우의 틈새로 취구를 삽입한 다음 이 취구로 락노브를 조작하게 되면, 커넥션 레버가 회전되어 도어잠금장치의 언락상태가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차량도난의 위험성은 여전히 잔존하고 있다.
그렇다고 차내에서 수동조작으로 간편하게 락 및 언락을 설정할 수 있는 락노브 자체를 제거하는 것은, 안전이나 편의성을 고려할 때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다지 바람직한 방안이 될 수 없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락레버의 좌우 회전에 의해 락링크에 마련된 락핀의 위치가 좌우 변경되어 락과 언락이 택일하여 설정되도록 구성함에 있어, 상기 락레버에 슬롯을 형성하고 이 슬롯에 락링크를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축 설치하여 락링크가 구속된 상태에서는 락레버가 공회전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락링크의 물리적인 구속여부에 따라 락레버에 의한 락과 언락의 전환 설정 여부가 제어되도록 구성한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는,
센트롤락 모터, 락노브, 또는 키실린더의 조작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락레버와; 타단은 락레버와 연결되며 일단에 형성된 락핀은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파울레버의 작용단과 릴리즈 레버에 형성된 장공형 슬롯에 설치되는 락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락링크가 우방향으로 이동되어 락핀이 우편에 위치되면 릴리즈 레버와 파울레버는 비연동하는 락이 설정되고, 락링크가 좌방향으로 이동되어 락핀이 좌편에 위치되면 릴리즈 레버와 파울레버가 연동하는 언락이 설정되도록 구성한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락레버에는 원호형 슬롯이 형성되고 이 원호형 슬롯에 락링크의 타단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락링크의 타단과 락레버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락링크의 타단은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원호형 슬롯의 좌편에 탄력 고정되어, 락레버의 정역회전에 의해 탄력 고정된 락링크의 좌우 이동이 구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락레버의 슬롯 좌편에 탄력 고정된 락링크의 타단에는, 데드락 모터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좌방향 이동이 구속되는 데드락부의 데드락 링크가 연결되어서,
상기 데드락 모터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락링크와 연결된 데드락 링크가 비 구속되면, 락레버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슬롯의 좌편에 탄력 고정된 락링크의 좌방향 이동이 구현되므로 언락의 전환 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데드락 모터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락링크와 연결된 데드락 링크가 구속되면, 상기 락레버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스프링을 통해 슬롯에 탄력 고정된 락링크는 좌방향으로 이송되지 아니하고 위치 고정되므로, 언락의 전환 설정이 구현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드락부는, 키실린더와 동심구조로 설치되는 데드락 레버와, 상기 락링크의 타단과 데드락 레버를 상호 연결하는 데드락 링크, 및 데드락 모터와 치합되어 데드락 모터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되어 데드락 레버를 구속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정방향 이동에 의한 데드락 레버의 구속을 통해 락링크와 연결된 데드락 링크의 좌방향 이동이 구속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데드락 레버의 가장자리에는 연동단이 돌출하여 형 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저면에 캠형의 안내레일이 마련된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저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 부재의 정방향 이동에 의해서는 캠형의 안내 레일을 따라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슬라이더 부재의 역방향 이동에 의해서는 캠형의 안내 레일을 따라 슬라이더 부재의 저면에 수용되는 돌출형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더는, 정방향 이동에 의해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형 스토퍼를 통해 데드락 레버의 연동단을 견착하여 구속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데드락 레버와 동심구조를 설치된 키실린더에는 슬라이더 부재를 견착하는 해제단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키실린더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더는 선회되는 해제단과의 간섭에 의해 역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슬라이더에 의한 데드락 레버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파울레버에는 좌편에 간섭부를 우편에 공회전부를 갖는 작용단이 형성되고, 이와 적층하여 설치되는 릴리즈 레버에는 장공형 슬롯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릴리즈 레버에 형성된 장공형 슬롯에는 락링크의 락핀이 삽입되어서,
상기 락레버의 정역 회전에 따른 릴리즈 레버의 장공형 슬롯에 삽입된 락핀의 위치 변경에 따라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가 연동하여 회전되어 파울레버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이 해제되는 언락 상태와,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가 비연동하여 파울레버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이 유지되는 락 상태가 택일하여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락레버의 좌우 회전에 의해 락 링크에 마련 된 락핀의 위치가 변경되어 락과 언락이 택일하여 설정되도록 구성함에 있어, 상기 락레버에 원호형 슬롯을 형성하고 이 원호형 슬롯에 락링크의 일단을 스프링을 통해 탄력적으로 축 설치하여, 락링크가 고정된 상태에서 락레버의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 락링크의 타단에는 데드락부의 데드락 링크를 연결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데드락부에 의해 락링크가 고정된 상태에서는 락레버의 독립회전이 이루어져 락링크의 좌방향 이동이 구현되지 아니하므로, 락에서 언락으로의 전환 설정이 이루어지지 아니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는 락레버의 정역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센트롤 락 기능의 구현 여부를 제어하는 이중 잠금기능이 부가되어. 보다 향상된 시건 안정성을 갖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데드락부는 정역 이동에 의해 돌출여부가 제어되는 돌출형 스토퍼가 마련된 슬라이더에 의해 데드락 링크 및 락링크의 좌방향 이동이 안정되게 구속되므로, 구현이 용이하고 안정된 내구성을 겸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락링크에 마련된 락핀의 좌우 위치 변경을 통한 락과 언락의 전환 설정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데드락부에 의한 락링크의 구속 또는 비구속에 따른 이중 잠금 상태와 이중 잠금 해제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데드락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데드락부에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도어 잠금장치(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P)에, 마운팅홀이 형성된 래치기어(10)와 상기 래치기어(10)를 구속하는 파울레버(20)가 각각 축(11, 21)을 통해 설치되고, 상기 파울레버(20)가 설치된 축(21)에는 핸들로부터 제공되는 개방력에 인가받아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릴리즈 레버(30)가 적층하여 설치된 형태로, 이들 각 구성요소들은 케이스(90)에 수용하여 설치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케이스(90)에는 정역회전을 통해 상기 파울레버(20)와 릴리즈 레버(30)의 연동 또는 비연동 상태를 설정하는 락레버(40)가 축(41) 설치되며, 이 락레버(40)는 센트롤락 모터(CM) 락노브(미도시) 및 케이스(90)에 축 설치된 키실린더(80)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키레버(60)와 연결되어, 상기 센트롤락 모터(44), 락노브, 또는 키레버(60)로부터 회전력을 인가받아 정역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키실린더(80)와 키레버(60) 사이에는 상호 간의 회전각을 보정하 기 위한 소정의 공회전 구간이 형성되어, 상기 키 실린더(80)가 소정각 이상 정역 회전되면 키레버(60)도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는데, 이는 주지관용의 기술이다.
도면을 보면 상기 락레버(40)와 키레버(60) 사이에는 커넥션 로드(70)가 설치되어, 락레버(40)와 키레버(60)는 커넥션 로드(70)를 통해 상호 연동하여 정역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도어 잠금장치(1)는 락레버(40)의 정역 회전상태에 따라 파울레버(20)와 릴리즈 레버(30)가 연동하는 언락과, 파울레버(20)와 릴리즈 레버(30)가 비연동하는 락이 택일하여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상술하자면, 상기 파울레버(20)에는 좌편에 간섭부(22a)를 우편에 공회전부(22b)를 갖는 작용단(22)이 형성되고, 이와 적층하여 설치되는 릴리즈 레버(30)에는 장공형 슬롯(3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릴리즈 레버(30)의 장공형 슬롯(31)과 락레버(40) 사이에는 일단에 락핀(51)이 형성된 락링크(50)가 배설된다.
도면을 보면 상기 릴리즈 레버(30)에 형성된 장공형 슬롯(31)에는 락링크(50)의 락핀(51)이 삽입되고 락링크(50)의 타단은 락레버(40)에 편심구조로 축(52) 설치되는데, 상기 릴리즈 레버(30)의 장공형 슬롯(31)에 삽입된 락핀(51)의 일측에는 파울레버(20)의 작용단(22)이 위치된다.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1)는, 기본적으로 상기 락레버(40)의 정역 회전에 따른 락링크(50)의 좌우 이동에 의해 릴리즈 레버(30)의 장 공형 슬롯(31)에 삽입된 락핀(51)의 위치가 좌우 변경된다.
그리고, 상기 락핀(51)의 위치 변경에 따라 핸들을 조작하여 릴리즈 레버(30)를 회전시키면 파울레버(20)가 연동하여 회전되어 파울레버(20)에 의한 래치기어(10)의 구속이 해제되는 언락과, 파울레버(20)와 릴리즈 레버(30)가 비연동하여 파울레버(20)에 의한 핸들을 조작하여 릴리즈 레버(30)를 회전시키더라도 래치기어(10)의 구속이 유지되는 락이 택일하여 설정된다.
예컨대, 도 2a와 같이 상기 락레버(4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어 릴리즈 레버(30)의 장공형 슬롯(31)에 삽입된 락링크(50)의 락핀(51)이 좌편으로 이동되면, 도 2b와 같이 상기 락핀(51)의 선회궤적 상에는 파울레버(20)에 형성된 작용단(22)의 간섭부(22a)가 위치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들을 통해 개방력을 제공하여 도 2c와 같이 릴리즈 레버(30)를 회전시키면, 장공형 슬롯(31)에 삽입된 락핀(51)은 선회하면서 파울레버(20)에 형성된 작용단(22)의 간섭부(22a)를 간섭하여 파울레버(20)를 연동하여 회전시키게 되므로, 파울레버(20)에 의한 래치기어(10)의 구속이 해제되어서 결과적으로 도어는 개방된다.(언락)
그러나, 도 3a와 같이 락레버(40)가 역방향으로 회전되어 릴리즈 레버(30)의 장공형 슬롯(31)에 삽입된 락링크(50)의 락핀(51)이 우편으로 이동되면, 도 3b와 같이 락핀(51)의 선회궤적 상에는 파울레버(20)에 형성된 작용단(22)의 공회전부(22b)가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는 도 3c와 같이 사용자가 핸들을 조작하여 릴리즈 레버(30)를 회전시키더라도, 락핀(51)은 파울레버(20)의 작용단(22)을 간섭하지 아니하고 요입된 공회전부(22b)를 통해 공회전하므로, 파울레버(20)에 의한 래치기어(10)의 구속이 유지되어 결과적으로 도어는 잠김상태를 유지한다.(락)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잠금장치를 구현함에 있어, 상기 락레버(20)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이루어지는 락링크(50)의 좌방향 이동이 필요에 따라 임의로 구속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락링크(50)가 임의 구속된 상태에서는 센트롤락 모터(44) 또는 락노브(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락레버(40)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락링크(50)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락상태가 유지되는 이중 잠금 기능을 갖도록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락레버(40)에 길이가 긴 원호형 슬롯(42)을 형성하고, 이 원호형 슬롯(42)에 락링크(50)의 타단을 축(52) 설치하는 한편, 상기 락링크(50)의 축(52)과 락레버(40) 사이에는 스프링(43)을 설치하여 상기 슬롯(42)에 축(52) 설치된 락링크(50)의 타단이 스프링(43)의 탄력에 의해 슬롯(42)의 좌편에 탄력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락레버(30)의 원호형 슬롯(31)에 축(52) 설치된 락링크(50)의 타단이 스프링(43)에 의해 탄력 고정되면, 락링크(50)에 별도의 구속이 발생되지 아니한 상태에서는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락레버(30)의 회전에 의해 락링크(50)의 좌우 이동이 구현되지만,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락링크(50)가 스프링(43)의 탄력 보다 큰 작용력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속되면 락링크(50)는 구속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락레버(30)만 공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락링크(50)가 구속된 상태에서는 락레버(4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더라도 언락의 설정을 위한 락링크(50)의 좌방향 이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관계로, 락레버(40)의 정방향 회전에 의한 락에서 언락 상태로 전환 설정이 불가능하게 된다.(이중 잠금)
상기 락링크(50)의 좌방향 이동작용의 구속은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편에 설치된 데드락부(100)에 의해 이룩되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드락부(100)는 케이스(90)에 설치된 키실린더(80)와 동심구조로 설치되는 데드락 레버(120)와, 락레버(40)의 슬롯(42)에 삽입하여 설치된 락링크(50)의 타단과 데드락 레버(120)를 연결하는 데드락 링크(110), 및 데드락 모터(140)와 치합되어 데드락 모터(140)의 정역구동에 의해 정역 이송되어 데드락 레버(120)를 구속하는 슬라이더(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슬라이더(130)에 의한 데드락 레버(120)의 구속을 통해 데드락 링크(110) 및 락링크(150)의 좌방향 이동이 구속되도록 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면 상기 데드락 링크(110)가 연결된 데드락 레버(120)의 가장자리에는 연동단(121)이 돌출하여 형성되며, 상기 데드락 레버(120)를 구속하는 슬라이더(130)는 데드락 모터(140)와 랙(131a)과 피니언(141) 구조로 치합되어 정역 이송되며, 저면에 캠형의 안내레일(131b)이 마련된 슬라이더 부재(131)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131)의 저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 부재(131)의 정방향 이동에 의해서는 캠형의 안내 레일(131b)을 따라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슬라이더 부재(131)의 역방향 이동에 의해서는 캠형의 안내 레일(131b)을 따라 슬라이더 부재(131)의 저면에 수용되는 돌출형 스토퍼(132)를 포함하여 구성 된다.
따라서, 도 6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30)가 데드락 모터(140)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정방향으로 이동되면 돌출형 스토퍼(132)는 데드락 레버(120)에 돌출하여 형성된 연동단(121)을 직교되게 간섭하여 데드락 레버(120)를 구속하며, 이러한 데드락 레버(120)의 구속에 의해 이와 연결된 데드락 링크(110) 및 락링크(50)의 좌방향 이동이 구속된다.
이와 같이 락링크(50)의 좌방향 이동이 데드락부(100)에 의해 구속되면, 락노브 또는 센트롤락 모터(44)의 구동에 의해 락레버(4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락핀(51)이 마련된 락링크(50)는 구속되어 우방향에 이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락레버(40)는 락링크(50)를 좌방향으로 이송시키지 아니하고 공회전하여 락링크(50)를 좌방향으로 이송시키지 아니하므로, 이 상태에서는 언락 상태로 전환 설정되지 않는다.(이중 잠금)
그러나, 도 6a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30)가 데드락 모터(140)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역방향으로 이동되면, 데드락 레버(120)의 연동단(121)을 구속한 돌출형 스토퍼(132)는 슬라이더 부재(131)의 저면에 수용되어 데드락 레버(120)의 구속을 통한 데드락 링크(110) 및 락링크(50)의 구속이 해제된다.(이중 잠금 해제)
이 상태에서는, 센트롤락 모터(44) 또는 락노브를 조작하여 락레버(4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락레버(40)의 슬롯(42)에 스프링(43)을 통해 탄력 고정된 락링크(50)는 연동하여 좌방향으로 이송되므로, 락핀(51)의 위치 변경을 통한 언락으로의 전환 설정이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데드락 레버(120)를 동심구조로 설치한 키실린더(80)에 해제단(81)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도 6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키조작을 통해 키실린더(8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더 부재(131)는 정방향으로 선회하는 해제단(81)과의 간섭에 의해 역방향 이동이 이루어져 이중 잠금이 해제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1)는 데드락 모터(140)의 역방향 구동 뿐 아니라, 키실린더(80)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서는 이중 잠금이 간편하게 해제될 수 있다.
이후, 키실린더(80)를 정방향을 더 회전시키면 키레버(60), 및 상기 키레버(60)와 커넥션 로드(70)를 통해 연결된 락레버(40)의 정방향 절환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락링크(50)의 좌방향 이송에 따른 언락 상태로 전환 설정이 이룩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락링크에 마련된 락핀의 좌우 위치 변경을 통한 락과 언락의 전환 설정과정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데드락부에 의한 락링크의 구속 또는 비구속에 따른 이중 잠금 상태와 이중 잠금 해제 상태를 각각 보여주는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 데드락부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상기 도 5에 도시된 데드락부에 작용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10. 래치기어 11. 축
20. 파울레버 21. 축
22. 작용단 22a. 간섭부
22b. 공회전부
30. 릴리즈 레버 31. 장공형 슬롯
40. 락레버 41. 축
42. 원호형 슬롯 43. 스프링
44. 센트롤락 모터
50. 락링크 51. 락핀
52. 축
60. 키레버 70. 커넥션 로드
80. 키실린더 81. 해제단
90. 케이스
100. 데드락부 110. 데드락 링크
120. 데드락 레버 121. 연동단
130. 슬라이더 131. 슬라이더 부재 131a. 랙 131b. 캠형 안내레일
132. 돌출형 스토퍼
140. 데드락 모터 141. 피니언
P. 베이스 플레이트

Claims (5)

  1. 센트롤락 모터의 회전, 락노브 또는 키실린더의 조작에 의해 정역 회전되는 락레버와; 타단은 락레버와 연결되며 일단에 형성된 락핀은 래치기어를 구속하는 파울레버의 작용단과 릴리즈 레버에 형성된 장공형 슬롯에 설치되는 락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락링크가 우방향으로 이동되어 락핀이 우편에 위치되면 릴리즈 레버와 파울레버는 비연동하는 락이 설정되고, 락링크가 좌방향으로 이동되어 락핀이 좌편에 위치되면 릴리즈 레버와 파울레버가 연동하는 언락이 설정되도록 구성한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락레버에는 길이가 긴 원호형 슬롯이 형성되고 이 원호형 슬롯에 락링크의 타단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락링크의 타단과 락레버 사이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락링크의 타단은 스프링의 탄력에 의해 원호형 슬롯의 좌편에 탄력 고정되어, 락레버의 정역회전에 의해 탄력 고정된 락링크의 좌우 이동이 구현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락레버의 슬롯 좌편에 탄력 고정된 락링크의 타단에는, 데드락 모터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좌방향 이동이 구속되는 데드락부의 데드락 링크가 연결되어서,
    상기 데드락 모터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 락링크와 연결된 데드락 링크가 비 구속되면, 락레버가 정방향으로 회전되면 슬롯의 좌편에 탄력 고정된 락링크의 좌방향 이동이 구현되므로 언락의 전환 설정이 가능하고, 상기 데드락 모터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락링크와 연결된 데드락 링크가 구속되면, 상기 락레버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더라도 상기 스프링을 통해 슬롯에 탄력 고정된 락링크는 좌방향으로 이송되지 아니하고 위치 고정되므로, 언락의 전환 설정이 구현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락부는, 키실린더와 동심구조로 설치되는 데드락 레버와, 상기 락링크의 타단과 데드락 레버를 상호 연결하는 데드락 링크, 및 데드락 모터와 치합되어 데드락 모터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 케이스의 내벽을 따라 정방향으로 이동되어 데드락 레버를 구속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서, 상기 슬라이더의 정방향 이동에 의한 데드락 레버의 구속을 통해 락링크와 연결된 데드락 링크의 좌방향 이동이 구속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락 레버의 가장자리에는 연동단이 돌출하여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저면에 캠형의 안내레일이 마련된 슬라이더 부재와, 상기 슬라이더 부재의 저면에 설치되어 슬라이더 부재의 정방향 이동에 의해서는 캠형의 안내 레일을 따라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슬라이더 부재의 역방향 이동에 의해서는 캠형의 안내 레일을 따라 슬라이더 부재의 저면에 수용되는 돌출형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슬라이더는, 정방향 이동에 의해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형 스토퍼를 통해 데드락 레버의 연동단을 견착하여 구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락 레버와 동심구조를 설치된 키실린더에는 슬라이더 부재를 견착하는 해제단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키실린더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슬라이더는 선회되는 해제단과의 간섭에 의해 역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슬라이더에 의한 데드락 레버의 구속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울레버에는 좌편에 간섭부를 우편에 공회전부를 갖는 작용단이 형성되고, 이와 적층하여 설치되는 릴리즈 레버에는 장공형 슬롯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릴리즈 레버에 형성된 장공형 슬롯에는 락링크의 락핀이 삽입되어서,
    상기 락레버의 정역 회전에 따른 릴리즈 레버의 장공형 슬롯에 삽입된 락핀의 위치 변경에 따라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가 연동하여 회전되어 파울레버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이 해제되는 언락 상태와, 파울레버와 릴리즈 레버가 비연동하여 파울레버에 의한 래치기어의 구속이 유지되는 락 상태가 택일하여 설정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KR1020080137060A 2008-12-30 2008-12-30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KR100997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060A KR100997889B1 (ko) 2008-12-30 2008-12-30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7060A KR100997889B1 (ko) 2008-12-30 2008-12-30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718A KR20100078718A (ko) 2010-07-08
KR100997889B1 true KR100997889B1 (ko) 2010-12-02

Family

ID=42639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7060A KR100997889B1 (ko) 2008-12-30 2008-12-30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8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22702B (zh) * 2016-12-21 2019-02-15 皓月汽车安全系统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中控一体式平台化自吸合左前门锁
CN112572757A (zh) * 2020-12-04 2021-03-30 中国航空工业集团公司成都飞机设计研究所 一种电驱动的主动舱门上位锁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802A (ja) 1999-02-25 2000-09-1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
KR100336468B1 (ko) 2000-06-08 2002-05-15 김상태 자동차용 도어의 이중 잠금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48802A (ja) 1999-02-25 2000-09-1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ドア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
KR100336468B1 (ko) 2000-06-08 2002-05-15 김상태 자동차용 도어의 이중 잠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8718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76040C (en) Vehicle door latch assembly
US8919827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US20090241617A1 (en) Door latch device in a motor vehicle
US20100212374A1 (en) Door latch device for a motor vehicle
CN102108813A (zh) 用于车辆的门开闭设备
WO2008104089A1 (en) Double lock override mechanism for vehicular passive entry door latch
EP2369103A2 (en) Double-locking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
EP3412852A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JP392104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5421083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997889B1 (ko)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KR101806612B1 (ko) 차량용 잠금 방지 도어래치
US9789852B2 (en) Anti-theft device for a steering column and associated steering column
EP1899560B1 (en) Lock for internal door
US20220145675A1 (en) Automobile door latch device
GB2453017A (en) Vehicle door latch with double locking
KR100786541B1 (ko) 휠 레버형 차량용 테일 게이트 래치
KR20030021836A (ko) 자동차용 도어래치의 데드록킹 작동 구조
KR100939187B1 (ko) 도난 방지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차량용 도어래치
KR100997890B1 (ko)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래치
KR100600431B1 (ko) 피니언기어에 의한 직선이송의 센트럴락 구조를 갖는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KR100841555B1 (ko) 데드락 기능을 갖는 차량용 사이드 래치
KR100600427B1 (ko) 데드락 기능을 갖는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JP4304094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
JP4304098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アクチュエ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