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749Y1 -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749Y1
KR200233749Y1 KR2020010004504U KR20010004504U KR200233749Y1 KR 200233749 Y1 KR200233749 Y1 KR 200233749Y1 KR 2020010004504 U KR2020010004504 U KR 2020010004504U KR 20010004504 U KR20010004504 U KR 20010004504U KR 200233749 Y1 KR200233749 Y1 KR 200233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lever
unit
shaf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45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의성
Original Assignee
화인정밀공업주식회사
황의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인정밀공업주식회사, 황의성 filed Critical 화인정밀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045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749Y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로서의 래치 유닛과, 이 래치 유닛의 잠금레버를 잠금상태와 해제상태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 유닛과의 연동구조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래치 유닛(10)과 액추에이터 유닛(20)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구조를, 일측에 톱니(27a)가 형성된 구동기어(27)와, 상기 구동기어(27)에 맞물려 연동되는 종동 기어부(17a)가 형성된 잠금레버(17)로 구성하고 있다는 점과, 전환레버(26)의 몸체(26a)와 축(26b)이 합성수지 소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전환레버를 합성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정을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액추에이터 유닛과 래치 유닛과의 연동성이 향상됨에 따라 보다 확실한 동작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Door locking device for vehicle}
본 고안은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잠금장치로서의 래치(latch) 유닛과, 이 래치 유닛의 잠금레버를 잠금상태와 해제상태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 유닛과의 연동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차량의 도어에는,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춤되도록 회전하면서 잠금 및 해제되는 래치 조립체가 도어의 잠금장치로서 설치되어 있어 차량의 도어를 안전하고 손쉽게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래치 조립체는 각종 차량에 구비된 각각의 도어마다 설치되며, 도어 내측에는 도어 외부 손잡이, 내부 손잡이, 키 실린더 및 잠금버튼 등을 상기 래치 조립체와 연동시키기 위한 링크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래치 조립체는 통상적으로,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춤되어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래치 유닛(110)과, 이 래치 유닛(110)의 잠금레버(111)를 잠금상태와 해제상태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 유닛(12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래치 유닛(110)의 잠금레버(111)가 잠금위치에 있을 때 도어는 잠금상태로 유지되므로, 외부 손잡이나 내부 손잡이를 작동시켜도 도어는 열리지 않는다. 상기 잠금레버(111)는 키 실린더 혹은 잠금버튼의 작동에 의해 해제위치로 전환되며, 이 때 도어는 외부 손잡이나 내부 손잡이의 작동에 의해 개방된다.
상기 액추에이터 유닛(120)은 상기된 바와 같이 키 실린더 혹은 잠금버튼의 작동에 의해 상기 래치 유닛(110)을 잠금상태와 해제상태 사이에서 변위시킬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 유닛(120)에 의해서, 운전석측 도어에 장착된 키 실린더 혹은 잠금버튼을 작동시켰을 때 차량 도어 전체가 잠금 및 해제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리모콘 등을 사용하여 도어의 잠금 및 해제를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 유닛(120)이 도어의 잠금상태를 검출하여, 차량이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할 때 래치유닛이 자동으로 잠금상태로 전환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래치 유닛(110)과 액추에이터 유닛(120)을 연동시키기 위한 종래의 연동구조가 도 5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연동구조는, 액추에이터 유닛의 전환레버(121)와, 대략 영문 대문자 A와 같은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환레버의 축(123)에 결합되는 구동자(125)와, 상기 구동자(125)에 연동되며 래치유닛의 래치 축(113)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레버(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환레버(121)의 선회운동에 의해 축(123)의 일단에 고정된 구동자(125)가 일방향으로 선회되면서, 구동자의 연결홈(125a)에 삽입된 연결핀(111a)을 강제로 선회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잠금레버(111)는 래치 축(113)을 중심으로 선회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연동구조의 전환레버(121)는 합성수지 소재의 몸체에 금속 소재의 축을 삽입시킨 것으로, 몸체와 축을 별개로 제조하여 조립함으로써 만들어지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전환레버의 축(123)과 구동자(125)는 금속 소재로 제조되기 때문에, 도어 내부로 스며든 습기에 의해서 부식될 우려가 있었고, 구동자의 연결홈(125a)과 잠금레버의 연결핀(111a) 사이의 연동성이 미흡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제조 공정수를 감소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부식의 우려가 없고, 구동자와 잠금레버가 서로 확실하게 연동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의 평면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의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의 요부 분해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해서, 래치 수납실 및 액추에이터 수납실을 가지는 하우징과, 스트라이커에 걸어맞춤되어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래치 유닛과, 이 래치 유닛의 잠금레버를 잠금상태와 해제상태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이 래치 유닛 및 액추에이터 유닛을 연동시키는 연동구조를 갖추고 있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구조는, 상기 액추에이터 수납실에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전환레버와; 상기 전환레버의 축에 결합되어 함께 선회되며 일측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기어와; 상기 톱니와 마주하는 쪽에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연동되도록 형성된 기어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래치 유닛의 래치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레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전환레버는 합성수지재에 의해 몸체와 축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는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 잠금장치는, 스트라이커와 걸어맞춤되어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래치 유닛(10)과, 이 래치 유닛(10)의 잠금레버(17)를 잠금상태와 해제상태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 유닛(20)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 있어서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다만,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래치 유닛(10)과 액추에이터 유닛(20)을 연동시키기 위한 연동구조를, 일측에 톱니(27a)가 형성된 구동기어(27)와, 상기 구동기어(27)에 맞물려 연동되는 종동 기어부(17a)가 형성된 잠금레버(17)로 구성하고 있다는 점과, 전환레버(26)의 몸체(26a)와 축(26b)이 합성수지 소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는 점을 특징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잠금장치의 합성수지제 하우징(1)의 내부는 구획벽(2)에 의해 래치 수납실(3) 및 액추에이터 수납실(4)로 구획되어 각각 래치 유닛(10)과 액추에이터 유닛(20)이 설치된다.
상기 래치 유닛(10)은, 도어를 닫으면 차체측의 스트라이커(11)와 걸어맞춤되어 개방위치로부터 래치위치로 회전하는 래치(13)와, 상기 래치(13)와 걸어맞춤되어 이 래치를 래치위치에 유지시키는 래치트(15; ratchet)와, 상기 래치트(15)를 상기 래치(13)로부터 이탈시키는 오픈레버(도시생략)와, 상기 오픈레버에 의해 래치트(15)를 래치로부터 이탈 불가능한 잠금위치와 이탈 가능한 해제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환시킬 수 있는 잠금레버(17; 도 3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13) 및 래치트(15)는 래치 수납실(3) 내에서 래치축(14) 및 래치트축(16)에 의해 각각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 유닛(20)은, 구동원으로서의 모터(21)와, 상기 모터(21)의 회전축에 결합된 출력기어(22)와, 상기 출력기어(22)에 맞물려 회전되며 동축상의 소경기어(24)를 포함하고 있는 원형기어(23)와, 상기 소경기어(24)에 의해 좌우로 선회되는 부채꼴 기어(25)와, 상기 부채꼴 기어(25)에 의해 축(26b)을 중심으로 선회되는 전환레버(26)와, 상기 전환레버(26)의 축(26b)에 고정되는 구동기어(27; 도 3 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래치(13)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가압되어 있고, 도어를 닫으면 차체측에 고정된 스트라이커(11)와 걸어맞춤 되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스트라이커(11)는 하우징의 스트라이커 진입홈(5)을 통하여 진입되어 래치(13)와 맞닿아 이 래치를 회전시키며, 그에 따라 래치(13)는 단차부(13a)에 래치트(15)가 걸어맞춤되는 래치상태까지 회전한다.
상기 잠금레버(17)를 잠금위치와 해제위치와의 사이에서 전환시키는 액추에이터 유닛(20)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모터(21)가 회전구동되면 모터축에 결합된 출력기어(22)가 회전됨에 따라 원형기어(23)가 회전된다. 상기 원형기어(23)에 동축상으로 고정되어 함께 회전되는 소경기어(24)에 의해 부채꼴 기어(25)가 좌우로 선회된다. 이 부채꼴 기어(25)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중앙의 중립 위치에서 유지되고, 상기 모터(21)의 정역회전에 의해 좌우로 회전한다. 축(26b)에 고정된 전환레버(26)의 선단에 형성된 볼록부(26c)는, 부채꼴 기어(25)의 오목부(25a)에 로스트 모션(lost motion)을 행하면서 걸리게 된다. 상기 축(26b)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1)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부에는 구동기어(27)가 끼워져 고정된다.
도 2에 도시된 래치 유닛과 액추에이터 유닛은 본 고안을 확정짓는 것이 아니며,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래치 유닛과 액추에이터 유닛의 연동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동구조는, 몸체(26a)와 축(26b)이 일체로 형성된 전환레버(26)와, 상기 전환레버(26)의 축(26b)에 결합되는구동기어(27)와, 상기 구동기어(27)에 연동되며 래치유닛의 래치 축(14)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레버(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환레버(26)는 합성수지재에 의해 축과 몸체가 일체로 성형되므로, 종래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26b)의 단부에 세로로 일정한 패턴의 요철이 형성되도록 제조하였기 때문에, 전환레버(26)의 선회운동을 이 축(26b)에 결합된 구동기어(27)에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축(26b)의 단부에 형성된 요철의 형상은 도시된 모양으로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상기 구동기어(27)는 중앙에 상기 전환레버(26)의 축(26b)에 결합되기 위한 축구멍(2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축구멍(27b)은 상기 축 단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가진다. 또한, 상기 구동기어(27)의 일측에는 복수개의 톱니(27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톱니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상기 잠금레버(17)는 상기 구동기어(27)와 마주하는 측에 상기 구동기어(27)와 맞물림 가능한 기어부(17a)를 가지고 있어, 상기 구동기어(27)는 상기 잠금레버(17)에 형성된 기어부(17a)에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액추에이터 유닛의 움직임은 구동기어(27) 및 잠금레버(17)의 기어결합에 의하여 래치 유닛으로 정확하고 신뢰성 좋게 전달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전환레버를 합성수지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하여 제조공정을 보다 간단하고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어, 시간과 노력을 감축시키는 동시에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구동기어 및 이 구동기어에 기어결합되는 기어부를 갖춘 잠금레버에 의하여, 액추에이터 유닛과 래치 유닛과의 연동성이 향상됨에 따라 보다 확실한 동작이 가능해져, 보다 신뢰성이 높은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래치 수납실 및 액추에이터 수납실을 가지는 하우징과, 스트라이커에 걸어맞춤되어 도어를 잠금 및 해제시키는 래치 유닛과, 이 래치 유닛의 잠금레버를 잠금상태와 해제상태 사이에서 변위시키는 액추에이터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이 래치 유닛 및 액추에이터 유닛을 연동시키는 연동구조를 갖추고 있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구조는,
    상기 액추에이터 수납실에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전환레버와;
    상기 전환레버의 축에 결합되어 함께 선회되며 일측에 톱니가 형성되어 있는 구동기어와,
    상기 톱니와 마주하는 쪽에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연동되도록 형성된 기어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래치 유닛의 래치 축을 중심으로 선회 가능하게 설치된 잠금레버;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레버는 합성수지재에 의해 몸체와 축이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는 합성수지재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2020010004504U 2001-02-21 2001-02-21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200233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504U KR200233749Y1 (ko) 2001-02-21 2001-02-21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4504U KR200233749Y1 (ko) 2001-02-21 2001-02-21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3749Y1 true KR200233749Y1 (ko) 2001-09-28

Family

ID=73096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4504U KR200233749Y1 (ko) 2001-02-21 2001-02-21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7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4403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5667260A (en) Motor vehicle door lock with a rotary central interlock
US7232161B2 (en) Latch device for vehicle tailgate
WO2009128309A1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8172283B2 (en) Door latch device in a motor vehicle
JPH09511290A (ja) 車両のドア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
RU2007104355A (ru) Замок
JP2847461B2 (ja) ドアロック装置におけるスイッチ機構
JP4019043B2 (ja) ドアロック装置
CN211524444U (zh) 安装在车门的内面板中的电动儿童锁系统及其车辆
KR200233749Y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CN107250474B (zh) 门锁装置
US6497162B2 (en) Power actuator arrangement
GB2452373A (en) Door lock with double action mechanism and child lock mechanism
JP4282525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20210021658A (ko) 파워 차일드 록 장치
KR100901607B1 (ko) 도어래치 어셈블리의 세이프티 노브레버
KR100600427B1 (ko) 데드락 기능을 갖는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JPS6393980A (ja) ドアロツク装置
JP3789112B2 (ja) 動力伝達装置およびドアロック装置
KR100448080B1 (ko) 이중로킹장치를 구비한 도어로킹장치
JP4458957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1097064B1 (ko) 도어락 어셈블리
KR100600431B1 (ko) 피니언기어에 의한 직선이송의 센트럴락 구조를 갖는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JP4810685B2 (ja) 車両用ドア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