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2272B1 -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 Google Patents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2272B1
KR102242272B1 KR1020170132584A KR20170132584A KR102242272B1 KR 102242272 B1 KR102242272 B1 KR 102242272B1 KR 1020170132584 A KR1020170132584 A KR 1020170132584A KR 20170132584 A KR20170132584 A KR 20170132584A KR 102242272 B1 KR102242272 B1 KR 102242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nsing unit
sensing
rotation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244A (ko
Inventor
유성종
맹철호
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2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2272B1/ko
Priority to US16/124,894 priority patent/US20190112835A1/en
Priority to CN201811100393.8A priority patent/CN109653602B/zh
Publication of KR20190041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2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2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5/00Other details of locks; Parts for engagement by bolts of fastening devices
    • E05B15/10Bolts of locks or night la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3/00Tim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08Mortise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3/1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 E05C3/167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latch the latch pivo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05B2047/0018Details of actuator transmissions
    • E05B2047/002Geared transmissions
    • E05B2047/0022Planetary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증신호를 수신하여 인증을 행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이 행해지면 기 결정된 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작 가능한 래치 조작부; 및 상기 래치 조작부가 동작됨에 따라 회전하며, 래치볼트를 조작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조작부는 상기 인증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샤프트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래치볼트를 해제하는,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DIGITAL DOORLOCK INCLUDING LATCHBOLT AUTO LOOSENING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락의 핸들과 래치 조작부와의 연결부재 없이 전동모터의 회전력만으로 래치볼트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는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디지털 도어락은 도어 내측에 설치되어 실내외 출입을 통제할 수 있도록 잠금기능을 수행하는 모티스와 모티스 동작을 위해 도어의 실내외에 각각 설치되어 모티스의 동작을 조작하는 레버를 포함한다.
종래의 경우 외부에서 비밀번호나 기 등록되어 있는 카드 등으로 인증하여 데드볼트가 해제되면 이후 사용자의 핸들 동작에 따라 핸들과 래치 조작부의 샤프트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통해 샤프트를 회전시켜 모티스의 래치 잠금을 해제하여 문이 열리는 구조였다.
다만, 위와 같은 구조의 경우 사용에 의해 핸들과 샤프트의 연결부재에 마모 혹은 변형이 발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핸들의 유동이 커지게 되고 도어락 동작에 이상이 생기는 등의 문제가 존재하였고, 데드볼트 해제 후 래치볼트 해제를 위해 사용자의 핸들 회전 또는 푸쉬/풀(push/pull) 등의 조작이 필수적이라는 점에서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뿐만 아니라, 핸들 회전 또는 푸쉬/풀 과정에서 래치가 완전히 해제될 정도의 충분한 회전 또는 당기기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문의 개폐를 시도하여 래치볼트가 손상 및 마모되는 등의 문제가 존재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8032호(2011. 06. 01)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어락 핸들과 래치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제거함으로써 내부 구성의 마모가 거의 없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핸들과 래치 조작부의 연결부재를 제거함으로써 회전형, 푸쉬/풀 타입 등 도어락 핸들 형상에 제한되지 않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외부 입력에 의해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 해제가 가능한 바, 사용자의 핸들 회전 또는 푸쉬/풀 등의 동작의 행위 없이 전동으로 래치볼트를 해제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중 센싱을 통해 모터를 조작함으로써 위치 센싱부에 의한 오차를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핸들 회전 또는 푸쉬/풀 등의 동작의 행위 없이 전동으로 래치볼트를 해제할 수 있는 바, 불충분한 핸들 회전 또는 당김 상태에서 문 개폐를 시도함으로 인해 래치볼트가 손상 및 마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도어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신호를 수신하여 인증을 행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이 행해지면 기 결정된 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작 가능한 래치 조작부; 및 상기 래치 조작부가 동작됨에 따라 회전하며, 래치볼트를 조작하는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조작부는 상기 인증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샤프트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래치볼트를 해제하는,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래치 조작부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샤프트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반경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반경에 따라 정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동축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회전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부의 일 측면의 일측 적어도 일부에 상기 감지부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는 제1 피감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부의 일 측면의 타측 적어도 일부에 상기 감지부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는 제2 피감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피감지부 및 상기 제2 피감지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센싱부는 상기 샤프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센싱부 각각의 일측에 상기 제1 피감지부 및 상기 제2 피감지부가 통과 가능한 센싱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피감지부 및 상기 제2 피감지부의 통과여부에 의해 상기 회전부의 회전반경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센싱부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1 센싱부, 제2 센싱부 및 제3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피감지부가 상기 제1 센싱부 또는 상기 제2 센싱부를 통과하고, 상기 제1 피감지부가 상기 제3 센싱부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가 정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의 일 측면 적어도 일부에 상기 감지부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는 피감지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피감지부재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회전부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상기 인증신호 인증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도과 후, 상기 래치 조작부 동작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도어락 핸들과 래치 조작부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제거함으로써 내부 구성의 마모가 거의 없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핸들과 래치 조작부의 연결부재를 제거함으로써 회전형, 푸쉬/풀 타입 등 도어락 핸들 형상에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외부 입력에 의해 데드볼트 및 래치볼트 해제가 가능한 바, 사용자의 핸들 회전 또는 푸쉬/풀 등의 동작의 행위 없이 전동으로 래치볼트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이중 센싱을 통해 모터를 조작함으로써 위치 센싱부에 의한 오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사용자의 핸들 회전 또는 푸쉬/풀 등의 동작의 행위 없이 전동으로 래치볼트를 해제할 수 있는 바, 불충분한 핸들 회전 또는 당김 상태에서 문 개폐를 시도함으로 인해 래치볼트가 손상 및 마모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에 연결되는 도어락 모티스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 및 도어락 모티스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조작부, 감지부 및 샤프트의 분해사시도
도 4 (a) 및 (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및 래치 조작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증부에 인증이 행해지는 경우 래치볼트 해제를 위한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의 구동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래치볼트 잠금을 위한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의 구동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먼저, 본 명세서에서 인증부에 행해지는 인증이란, 데드볼트(30) 및 래치볼트(10) 구동을 위한 인증으로서, 종래 기술에서 래치볼트(10) 해제를 위한 사용자의 회전형 핸들의 회전 또는 푸쉬/풀 타입 핸들의 푸쉬/풀 등의 행위가 아닌 키패드 비밀번호 입력, 카드키 입력, NFC, 블루투스, 지그비, Wifi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및 LTE, 4G, 5G 등의 원거리 무선통신을 포함하는 데드 구동부 및 모터(200) 작동을 위한 인증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에 연결되는 도어락 모티스(4)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 및 도어락 모티스(4)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조작부(100), 감지부(300) 및 샤프트(400)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 (a) 및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200) 및 래치 조작부(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2)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은(1) 인증신호를 수신하여 인증을 행하는 인증부(500),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이 행해지면 기 결정된 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200), 상기 모터(200)의 구동에 의해 동작 가능한 래치 조작부(100) 및 상기 래치 조작부가 동작됨에 따라 회전하며, 래치볼트를 조작하는 샤프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래치 조작부(100)는 상기 인증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샤프트(4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상기 래치볼트(10)를 해제할 수 있다.
위와 같이, 상기 인증에 의해 데드볼트(30) 뿐만 아니라, 래치볼트(10)까지 자동으로 해제되는 바, 사용자는 래치볼트(10) 해제를 위한 핸들의 회전 또는 푸쉬/풀(push/pull) 등의 추가 조작 없이 도어를 개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래치 조작부(100)는 상기 모터(20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110) 및 상기 구동기어(110)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샤프트(4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모터(200)는 상기 인증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구동기어(1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회전부(1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회전부(120)의 회전반경에 따라 정지될 수 있다. 모터(200) 및 래치 조작부(100)의 구동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2)는 도어 외측의 하우징(600)에 내장되어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120)는 상기 모터(200)의 구동기어(110)와 치합되는 기어 이가 형성된 제1 회전부(130), 상기 제1 회전부(130)와 동축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회전부(13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회전부(130) 및 제2 회전부(140)는 동반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고, 후술할 제2 회전부(140)의 관통홈(143)에 의해 샤프트(400) 역시 동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제2 회전부(140)의 중앙에는 샤프트(400)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홈(14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샤프트(400)의 단면은 사각형 등의 각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회전부(140)의 관통홈(143) 단면은 상기 샤프트(400)가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샤프트(400)를 구속하여 동반 회전할 수 있도록 각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샤프트(400)는 제1 회전부(130) 및 제2 회전부(140)의 회전에 의해 동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면상 도 3의 샤프트(400) 및 관통홈(143)의 단면 및 형상은 예시적인 것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2 회전부(140)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400)가 동시에 회전될 수 있는 단면 및 형상이면 충분하다.
나아가, 본 명세서에서는 제1 회전부(130), 제2 회전부(140) 및 샤프트(400) 각각이 별개 구성으로 구비되어 동반 회전되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회전부(130) 및 샤프트(400)가 일체로 형성되어 제2 회전부(140)와 동반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1 회전부(130), 제2 회전부(140) 및 샤프트(400)가 일체로 형성되어 모터(200)의 구동에 의해 회전 될 수도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기 제1 회전부(130), 제2 회전부(140) 및 샤프트(400)는 동반 회전되는 것으로 서술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회전부(130) 및 제2 회전부(140)에 기어비 차이가 존재하여 회전속도가 달라지는 등의 방식을 통해 제1 회전부(130) 및 샤프트(400)의 회전 속도가 달라질 수도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은 회전부(120)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부(120)의 회전반경을 감지하는 감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모터(200)는 상기 감지부(300)에 의해 감지된 회전부(120)의 회전반경에 따라 정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부(130)는 일 측면의 일측 적어도 일부에 돌출형성되어 감지부(300)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는 제1 피감지부(131)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회전부(140)는 일 측면의 타측 적어도 일부에 돌출형성되어 감지부(300)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는 제2 피감지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구체적인 정지 방식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감지부(300)는 상기한 제1 피감지부(131) 및 제2 피감지부(141)의 위치를 감지하는 세 개의 위치 센싱부(310)를 포함할 수 있고, 세 개의 위치 센싱부(310)는 관통구(312)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 개의 위치 센싱부(310)는 관통구(312)가 형성된 센싱플레이트(313)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센싱플레이트(313)가 하우징(600)에 고정됨에 따라 제1 회전부(130) 및 제2 회전부(14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회전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5 내지 도 6에서 설명을 위해 센싱플레이트(313)는 도시되지 않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센싱부(300)는 센싱플레이트(31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세 개의 위치 센싱부(310)는 상호 약 120°의 등각을 이루며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세 개의 위치 센싱부(310) 각각은 일측에 제1 피감지부(131) 및 제2 피감지부(141)가 통과 가능한 센싱홈(311)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피감지부(131) 및 제2 피감지부(141)의 센싱홈(311) 통과여부에 의해 상기 회전부(120)의 회전반경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센싱부(310)에 의한 제1 피감지부(131) 및 제2 피감지부(141)의 위치 감지 방법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감지부(300)는 중앙에 중공되어 형성된 원형의 관통구(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부(140)는 중앙에 상술한 관통홈(143)이 형성되고, 돌출되어 감지부(300)의 관통구(312)에 삽탈 가능한 돌출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돌출부(142) 외주면의 단면은 상기 관통구(312)의 단면에 대응하여 원형으로 형성됨으로써 제1 회전부(130)에 의해 제2 회전부(140)가 회전되는 경우에도 감지부(300)는 회전되지 않도록 제2 회전부(140)와 상호 독립적으로 체결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회전부(130) 및 제2 회전부(140)가 동반 회전됨과 달리, 감지부(300)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후술할 제1 회전부(130) 및 제2 회전부(140)의 회전에 따라 제1 피감지부(131) 및 제2 피감지부(141)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300)에 형성된 관통구(312)의 중심, 제2 회전부(140)의 돌출부(142) 중심, 제1 회전부(130)의 중심 및 샤프트(400) 중심은 상기 감지부(300), 제1 회전부(130) 및 제2 회전부(140)가 체결됨으로써 일직선 상에 놓일 수 있고, 가상의 중심축을 공유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외부 입력 시 데드볼트(30)는, 데드 구동부에 의해 데드 조작부(40)가 구동되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인증부에 비밀번호 입력 등의 인증이 행해진 경우, 데드 구동부가 구동되고, 데드 구동부에 연결된 데드 조작부(40)가 회전됨으로써 데드볼트(30)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래치볼트(10)는 모터(200)의 구동에 따라 샤프트(400)에 연결된 래치 잠금부(20)에 의해 도어락 모티스(4)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잠금 상태가 되거나, 고정이 해제되어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락 모티스(4) 내의 래치 잠금부(20)는 제1 래치 연결부재(21), 제2 래치 연결부재(22) 및 회전부재(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한 샤프트(400)는 회전부재(23)에 삽입될 수 있고, 상기 회전부재(23)는 샤프트(400)의 회전에 따라 동반 회전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모터(200)에 의해 제1 회전부(130) 및 제2 회전부(140)가 회전되는 경우 샤프트(400)를 통해 도어락 모티스(4) 내의 회전부재(23)는 동반 회전하게 되고, 회전부재(23)에 연결된 제1 래치 연결부재(21) 및 제2 래치 연결부재(22)의 회전에 의해 래치볼트(1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다만, 도 1에 도시된 도어락 모티스(4)는 본 발명의 실시예 설명을 위한 예시도로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도 4(a)에는 모터(200)가 2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모터(200)는 도 4(b)에 도시된 것과 같이 1개일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3개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구동기어(110)는 모터(200)에 의해 회전부(120)를 구동시키기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도면의 구동기어(110)에 한정되지 않고, 웜기어, 스퍼기어, 렉-피니언 기어 등이 사용되어 모터(200)의 구동에 의해 회전부(120)를 회전시킬 수 있는 방식이면 충분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인증부의 인증 시 래치볼트 해제를 위한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2)의 구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평소 도어락 잠금 상태인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2)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1)의 각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회전부(140)의 제2 피감지부(141)는 감지부(300) 상측의 제1 센싱부(310a) 우측에서 제2 센싱부(310b)의 센싱홈(311b)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 될 수 있고, 제1 회전부(130)의 제1 피감지부(131)는 제3 센싱부(310c)의 센싱홈(311c)에 삽입된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인증에 의해 도어락 잠금이 해제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 조작부(100)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래치볼트(10)의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증부에 비밀번호 혹은 카드키 등 도어락 해제를 위한 인증이 행해지는 경우 도면상 모터(200)의 구동기어(1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구동기어(110)에 치합된 제1 회전부(130)는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샤프트(400)는 제1 회전부(130)를 통해 제2 회전부(140)와 동반 회전되어 래치볼트(10)의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래치볼트(10) 해제와 관련된 래치 잠금부(20) 및 샤프트(400) 등 구체적인 구성 및 예시는 앞서 서술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래치볼트(10)의 잠금이 해제됨과 동시에, 제2 피감지부(141)는 감지부(300) 상측의 제2 센싱부(310b)의 센싱홈(311b)에서 이탈하며 제1 센싱부(310a)의 센싱홈(311a)을 통과하게 되고, 제1 피감지부(131)는 감지부(300) 하측의 제3 센싱부(310c)의 센싱홈(311c)에서 이탈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센싱부(310a) 및 제3 센싱부(310c) 각각이 제2 피감지부(141) 및 제1 피감지부(131) 각각의 통과여부를 인식한 경우, 모터(200)는 정지될 수 있다. 모터(200)가 제1 회전부(130) 및 제2 회전부(140)의 기 결정된 회전반경만큼 회전 후 정지됨으로써 과도한 회전으로 인한 모터(200)의 과부하 및 래치볼트(10) 잠금을 위한 내부구성 간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제1 센싱부(310a) 및 제3 센싱부(310c)의 이중 인식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의 작동 간 위치 센싱부(310)에 의한 오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래치볼트 잠금을 위한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2)의 구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의 모터(200)는 상술한 인증부의 인증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도과 후, 상기 래치 조작부(1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샤프트(400)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시간이 5초인 경우, 도어락 해제를 위한 인증으로부터 5초 도과 후 구동기어(110)는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제1 회전부(130), 제2 회전부(140) 및 샤프트(4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샤프트(400)에 연결된 래치 잠금부(20)에 의해 래치볼트(10)는 다시 도어락 모티스(4)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어 잠금 상태로 될 수 있다.
또한, 제1 회전부(130) 및 제2 회전부(14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 피감지부(141)는 제1 센싱부(310a)의 센싱홈(311a)에서 이탈하여 제2 센싱부(310b)의 센싱홈(311b)에 삽입하게 되고, 동시에 제1 피감지부(131)는 제3 센싱부(310c)의 센싱홈(311c)에 삽입하게 된다. 위와 같이, 제2 센싱부(310b) 및 제3 센싱부(310c) 각각이 제2 피감지부(141) 및 제1 피감지부(131) 각각의 통과여부를 인식한 경우, 모터(200)는 정지하게 되고, 모터(200)가 제1 회전부(130) 및 제2 회전부(140)의 기 결정된 회전반경만큼 회전 후 정지됨으로써 과도한 회전으로 인한 모터의 과부하 및 래치볼트(10) 잠금을 위한 내부구성 간의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제2 센싱부(310b) 및 제3 센싱부(310c)의 이중 인식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의 작동 간 위치 센싱부(310)에 의한 오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지부(300)는 세 개의 위치 센싱부(310)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제1 피감지부(131) 및 제2 피감지부(141)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것으로 서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개의 위치 센싱부(310)가 형성되어 적어도 두 개소 이상의 센싱을 통해 위치 센싱에 의한 오차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라면 위치 센싱부(310)가 네 개 또는 다섯 개가 형성되어 래치 조작부(100)의 회전반경을 감지할 수도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3)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2)은 인증신호를 수신하여 인증을 행하는 인증부(500),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이 행해지면 구동되는 모터(200), 상기 모터(200)의 구동에 의해 동작 가능한 래치 조작부(100'), 상기 래치 조작부(100')가 동작됨에 따라 회전하며, 래치볼트(10)를 조작하는 샤프트(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래치 조작부(100')는 모터(20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110') 및 상기 구동기어(110')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샤프트(400')를 회전시키는 회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120')의 측부에 위치되어 회전부(120')의 회전반경을 감지하는 감지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래치 조작부(100'), 모터(200) 및 감지부(300')는 하우징(600)에 내장되어 외부 이물질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200)는 인증부(500)의 인증에 의해 상기 회전부(120')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래치 조작부(100')의 회전반경에 따라 정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1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회전부(130) 및 제2 회전부(140)와 달리,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회전부(120') 일 측면의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감지부(300')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는 피감지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300')는 상기 피감지부재(15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센싱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120')는 모터(200)의 구동에 대응하여 회전될 수 있는데, 이 때 감지부(300')는 앞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 조작부(100) 및 감지부(300)와 같이 래치 조작부(100')의 회전에 구속되지 않도록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피감지부재(150)는 래치 조작부(10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위치 센싱부(310')의 하단을 통과하게 되고 상기 감지부(300')는 회전부(120')의 회전반경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모터(200)의 동작 및 정지에 관한 내용 및 샤프트(400)의 회전에 의한 래치볼트(10) 잠금 해제 방식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락(1)과 동일한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2, 3)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1, 2)은 사용자의 외부 입력에 의해 데드볼트가 해제되며, 모터(200)가 작동되어 도어락 잠금이 자동으로 해제된다. 이를 통해, 도어락 잠금 해제를 위한 사용자의 핸들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도어락 이용에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핸들 회전 또는 푸쉬/풀 등의 동작의 행위 없이 전동으로 래치볼트(10)를 해제할 수 있는 바, 불충분한 핸들 회전 또는 당김 상태에서 문 개폐를 시도함으로 인해 래치볼트(10)가 손상 및 마모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래치볼트(10) 교체 또는 수리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나아가, 핸들과 래치볼트(10) 잠금을 위한 구성과의 연결부재(미도시 됨)가 존재하지 않은 바, 종래에 도어락 핸들과 래치 조작부(100, 1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의 마모 문제가 존재하지 않고, 회전형 또는 푸쉬/풀(push/pull) 타입 핸들 등 도어락에 사용되는 모든 종류의 핸들을 사용 가능한 바, 도어락 제품 양산의 효율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 : 디지털 도어락
2, 3 :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
4 : 도어락 모티스
10 : 래치볼트
20 : 래치 잠금부
21 : 제1 래치 연결부재
22 : 제2 래치 연결부재
23 : 회전부재
30 : 데드볼트
40 : 데드 조작부
100, 100' : 래치 조작부
110, 110' : 구동기어
120, 120' : 회전부
130 : 제1 회전부
131 : 제1 피감지부
140 : 제2 회전부
141 : 제2 피감지부
142 : 돌출부
143 : 관통홈
150, : 피감지부재
200 : 모터
300, 300' : 감지부
310, 310' : 위치 센싱부
310a : 제1 센싱부
310b : 제2 센싱부
310c : 제3 센싱부
311, 311a, 311b, 311c : 센싱홈
312 : 관통구
313 : 센싱플레이트
400 : 샤프트
500 : 인증부
600 : 하우징

Claims (14)

  1. 인증신호를 수신하여 인증을 행하는 인증부;
    상기 인증부에 의해 인증이 행해지면 기 결정된 방향으로 구동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작 가능하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기어 및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부를 포함하는 래치 조작부;
    상기 래치 조작부가 동작됨에 따라 상기 회전부에 의해 회전되며, 래치볼트를 조작하는 샤프트; 및
    상기 회전부의 측부에 위치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반경을 감지하는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조작부는 상기 인증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샤프트를 일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래치볼트를 해제하는,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반경에 따라 정지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구동기어와 치합되는 제1 회전부; 및
    상기 제1 회전부와 동축에 위치되고,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의 일 측면의 일측 적어도 일부에 상기 감지부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는 제1 피감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회전부의 일 측면의 타측 적어도 일부에 상기 감지부에 의해 위치가 감지되는 제2 피감지부가 형성된, 디지털 도어락.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회전부와 일체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락.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 피감지부 및 상기 제2 피감지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센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센싱부는 상기 샤프트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락.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센싱부 각각의 일측에 상기 제1 피감지부 및 상기 제2 피감지부가 통과 가능한 센싱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피감지부 및 상기 제2 피감지부의 통과여부에 의해 상기 회전부의 회전반경이 감지되는, 디지털 도어락.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센싱부는,
    등간격으로 형성된 제1 센싱부, 제2 센싱부 및 제3 센싱부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피감지부가 상기 제1 센싱부 또는 상기 제2 센싱부를 통과하고, 상기 제1 피감지부가 상기 제3 센싱부를 통과하는 경우, 상기 모터가 정지되는, 디지털 도어락.
  11. 삭제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제1 회전부 및 제2 회전부와 일체로 형성된, 디지털 도어락.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인증신호 인증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도과 후, 상기 래치 조작부 동작에 의해 상기 샤프트를 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디지털 도어락.
KR1020170132584A 2017-10-12 2017-10-12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2242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584A KR102242272B1 (ko) 2017-10-12 2017-10-12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US16/124,894 US20190112835A1 (en) 2017-10-12 2018-09-07 Digital door lock including latch bolt self-loosening structure
CN201811100393.8A CN109653602B (zh) 2017-10-12 2018-09-20 包括弹键闩自动松开结构的数字门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584A KR102242272B1 (ko) 2017-10-12 2017-10-12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244A KR20190041244A (ko) 2019-04-22
KR102242272B1 true KR102242272B1 (ko) 2021-04-19

Family

ID=66095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584A KR102242272B1 (ko) 2017-10-12 2017-10-12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112835A1 (ko)
KR (1) KR102242272B1 (ko)
CN (1) CN1096536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0424A (en) * 2021-09-06 2023-03-08 Drewnicki Richard Fire door release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0206B1 (ko) * 2001-11-15 2004-07-14 주식회사 뉴웰 디지탈 도어록의 비접촉 감지장치
CN2532194Y (zh) * 2002-03-19 2003-01-22 重京株式会社 带有减速齿轮组的数码电子门锁
KR101311812B1 (ko) * 2007-05-14 2013-09-26 주식회사 아이레보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US20090193859A1 (en) * 2008-02-04 2009-08-06 Sunnect, Inc. Automatic locking system and deadbolt having the same
KR20110058032A (ko) 2009-11-25 2011-06-01 우창정기 주식회사 전자 도어락 어셈블리
CN201865446U (zh) * 2010-09-29 2011-06-15 黄金富 内置双手机模组的电门锁
US20150191948A1 (en) * 2012-08-02 2015-07-09 Segos Co., Ltd. Digital door lock device
US9470018B1 (en) * 2013-03-15 2016-10-18 August Home, Inc. Intelligent door lock system with friction detection and deformed door mode operation
US9500005B2 (en) * 2014-01-28 2016-11-22 Jie-Fu Chen Gear structure for electronic lock
CN205206517U (zh) * 2015-11-11 2016-05-04 李继伟 消防防盗门锁
CN107060528A (zh) * 2017-03-01 2017-08-18 中山市智联安防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自响应上锁机构的门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53602A (zh) 2019-04-19
US20190112835A1 (en) 2019-04-18
CN109653602B (zh) 2021-06-08
KR20190041244A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0508B1 (ko) 도어락 모티스
US6517127B1 (en) Electric door lock
CN1922377B (zh) 三模式锁
RU2633253C2 (ru) Дверной замок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6591643B1 (en) Keyless locking system
KR100543831B1 (ko) 패닉기능을 갖는 도어락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KR102055902B1 (ko) 차량 도어
CN205297069U (zh) 一种箱包扣锁
US7437903B2 (en) Lock assembly
KR102242272B1 (ko)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US20160194903A1 (en) Sliding door locking device
US20140175810A1 (en) Lock assembly
KR100516150B1 (ko) 도어락장치의 레버 어셈블리
KR20180106707A (ko) 디지털 도어락
KR100543829B1 (ko) 도어락 장치의 자동 및 수동제어 겸용구조
KR101962437B1 (ko) 양방향 해정이 가능한 도어락의 회전 조립체
KR200472173Y1 (ko) 도어락의 손잡이 작동 감지장치
KR200442949Y1 (ko) 패닉 릴리스 감지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락
KR101242164B1 (ko) 도어 잠금장치
KR200483321Y1 (ko) 차량용 트렁크 래치
KR101097064B1 (ko) 도어락 어셈블리
CN106574468B (zh) 电子和机械密码锁
KR102453941B1 (ko) 래치 볼트 자동 해정 장치
KR101642438B1 (ko) 내부 강제 잠금 설정 구조체
KR102580801B1 (ko) 디지털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