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1812B1 -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 Google Patents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1812B1
KR101311812B1 KR1020070046523A KR20070046523A KR101311812B1 KR 101311812 B1 KR101311812 B1 KR 101311812B1 KR 1020070046523 A KR1020070046523 A KR 1020070046523A KR 20070046523 A KR20070046523 A KR 20070046523A KR 101311812 B1 KR101311812 B1 KR 101311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ad
latch bolt
signal
tubula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5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614A (ko
Inventor
김용진
김승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10200700465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1812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6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6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1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6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rectilinear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9/00Locks with latches separate from the lock-bolts or with a plurality of latches or lock-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9Monitoring bolt posi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작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부;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버 샤프트; 데드 볼트부, 상기 데드 볼트부의 일측에 형성된 래치 볼트부, 상기 데드 볼트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외주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 상기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작동 모터를 작동시켜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계식 튜블러형 도어록의 데드 볼트 끝단에 래치 볼트를 추가로 형성하고 메인 바디 내부에 록킹 감지 센서와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를 마련하여 메인 컨트롤 보드가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의 신호에 의해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구동부를 작동시켜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에서 메인 컨트롤 보드로 보내지는 신호가 도어의 열림에 의한 신호인지 닫힘에 의한 신호인지 구분하기 위하여 데드-래치 볼트 언록킹 상태를 기준으로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 에서 메인 컨트롤 보드로 보내지는 신호가 홀수번째 신호인 경우에는 도어의 열림에 의한 신호로 간주하고, 짝수번째 신호인 경우에는 도어의 닫힘에 의한 신호로 간주하여 짝수번째 신호인 경우에만 메인 컨트롤 보드가 자동 잠금 기능 수행을 위해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튜블러형, 도어록, 데드-래치 볼트, 메인 컨트롤 보드, 록킹 감지 센서,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

Description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Digital Door Lock Having Tubler Type Dead-Latch Bolt}
도 1a는 일반적인 기계식 튜블러형 도어록이 록킹되었을 때의 단면도 및 측면도;
도 1b는 일반적인 기계식 튜블러형 도어록이 언록킹되었을 때의 단면도 및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이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이 록킹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이 록킹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이 언록킹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의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가 ON 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및
도 5는 메인 컨트롤 보드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데드 볼트 130: 데드 볼트 바디
140: 메인 바디 141: 도어 경계부
145: 고정 볼트 155: 레버 샤프트
200: 실외 장착부 205: 실내 장착부
210: 도어 230: 메인 컨트롤 보드
275: 구동부 310: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
320: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 350: 록킹 감지 센서
본 발명은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 기계식 튜블러형 도어록의 데드 볼트 끝단에 래치 볼트를 추가로 형성하고 메인 바디 내부에 록킹 감지 센서와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를 마련하여 메인 컨트롤 보드가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의 신호에 의해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구동부를 작동시켜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에서 메인 컨트롤 보드로 보내지는 신호가 도어의 열림에 의한 신호인지 닫힘에 의한 신호인지 구분하기 위하여 데드-래치 볼트 언록킹 상태를 기준으로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에서 메인 컨트롤 보드로 보내지는 신호가 홀수번째 신호인 경우에는 도어의 열림에 의한 신호로 간주하고, 짝수번째 신호인 경우에는 도어의 닫힘에 의한 신호로 간주하여 짝수번째 신호인 경우에만 메인 컨트롤 보드가 자동 잠금 기능 수행을 위해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에는 외부인의 무단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도어록이 설치되는데 일반적인 기계식 튜블러형 도어록의 경우 구미 지역에서 도어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로 이용된다.
도 1a는 일반적인 기계식 튜블러형 도어록이 록킹되었을 때의 단면도 및 평면도, 도 1b는 일반적인 기계식 튜블러형 도어록이 언록킹되었을 때의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기계식 튜블러형 도어록은 크게 데드 볼트(120), 레버 샤프트(155), 메인 바디(140)로 구성된다.
데드 볼트(120)는 외측 돌출 위치(A)와 내측 삽입 위치(B)를 오가며 도어의 록킹과 언록킹을 수행한다.
즉, 데드 볼트(120)가 외측 돌출 위치(A)에 있는 경우(도어의 스트라이커 안에 데드 볼트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어가 록킹된 경우이고 데드 볼트(120)가 내측 삽입 위치(B)에 있는 경우(도어의 스트라이커 밖에 데드 볼트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도어가 언록킹된 경우이다.
레버 샤프트(155)는 키 홀(미도시)과 연결되는 축(미도시)이 삽입되는 축 고정홈(157)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회전체(151)와 회전체(151)에 연장되어 길게 형성되어 있는 암(153)으로 구성된다.
메인 바디(140)는 도어(110)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마련되는데 일측에는 고정 볼트(145)에 의해 도어의 경계면에 고정되는 도어 경계부(141)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레버 샤프트(155) 및 데드 볼트(120)와 레버 샤프트(155)를 매개해 주는 데드 볼트 바디(130)가 구비되어 있다.
데드 볼트 바디(130)의 일측에는 데드 볼트(12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암(153)의 일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수용홈(160)이 형성되어 있다.
도 1a와 도 1b를 기준으로 기계식 튜블러형 도어록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키 홀(미도시)에 키를 삽입하여 록킹 상태가 되도록 축 고정홈(157)에 연결되는 축(미도시)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체(15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체(151)에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암(153) 역시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데드 볼트 바디(130)를 메인 바디(140)의 외측으로 밀어줌으로써 데드 볼트(120)가 외측 돌출 위치(A)까지 전진 이동하게 되어 도어를 록킹하게 된다.
이 때, 전진 이동한 데드 볼트(120)는 스트라이커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다시 사용자가 키 홀(미도시)에 키를 삽입하여 언록킹 상태가 되도록 축 고정홈(157)에 연결되는 축(미도시)을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체(151)가 타방향 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회전체(151)에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암(153) 역시 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서 데드 볼트 바디(130)를 메인 바디(140)의 내측으로 밀어줌으로써 데드 볼트(120)가 내측 삽입 위치(B)까지 후퇴 이동하게 되어 도어를 언록킹하게 된다.
데드 볼트 바디(130)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용홈(160)의 양 측면은 록킹 또는 언록킹시 암(153)의 회전반경을 조절하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기계식 튜블러형 도어록에 레버 샤프트(155)를 자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구동부(이러한 구동부는 모터, 수평 베벨기어, 수직 베벨기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등을 추가로 장착하여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자동 잠금 기능이란 도어(210)가 닫힌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레버 샤프트(155)를 회전시킴으로써 데드 볼트(120)를 메인 바디(140) 외부로 전진 이동시켜 도어(210)를 록킹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계식 튜블러형 도어록의 경우 록킹 기능 구현시 사용자가 직접 키를 삽입하여 수동으로 레버 샤프트를 회전시켜서 도어를 록킹 또는 언록킹시켰으므로 사용자가 키를 분실하는 등의 경우에는 도어의 록킹 또는 언록킹을 수행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기계식 튜블러형 도어록을 디지털식으로 구현하여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자동 잠금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되던 방식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도어의 열림 혹은 닫힘 여부에 관계없이 구동부가 데드 볼트를 록킹 위치로 이동시켜 도어를 록킹하도록 하였기에 도어가 열려져 있을 경우 자동 잠금 기능이 구현되면 사용자가 다시 데드 볼트를 언록킹 위치로 바꾼 후 도어를 닫아야만 함으로써, 사용자의 불편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래 기계식 튜블러형 도어록의 데드 볼트 끝단에 래치 볼트를 추가로 형성하고 메인 바디 내부에 록킹 감지 센서와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를 마련하여 메인 컨트롤 보드가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의 신호에 의해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구동부를 작동시켜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에서 메인 컨트롤 보드로 보내지는 신호가 도어의 열림에 의한 신호인지 닫힘에 의한 신호인지 구분하기 위하여 데드-래치 볼트 언록킹 상태를 기준으로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에서 메인 컨트롤 보드로 보내지는 신호가 홀수번째 신호인 경우에는 도어의 열림에 의한 신호로 간주하고, 짝수번째 신호인 경우에는 도어의 닫힘에 의한 신호로 간주하여 짝수번째 신호인 경우에만 메인 컨트롤 보드가 자동 잠금 기능 수행을 위해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는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부;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버 샤프트; 데드 볼트부, 상기 데드 볼트부의 일측에 형성된 래치 볼트부, 상기 데드 볼트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외주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 상기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작동 모터를 작동시켜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컨트롤 보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이 도어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의 내부 구성도로서,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은 작동 모터(27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부(275), 레버 샤프트(155),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310),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 메인 컨트롤 보드(230), 바디 슬라이더(315), 메인 바디(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310)의 일측에는 접촉부(305)를 관통하여 연장부(307)의 일정부분까지 길게 형성되고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310)가 메인 바디(140) 내부로 후퇴한 경우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의 일부분이 인입되는 센서 인입홈(30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외 장착부(200)에는 숫자 키패드(미도시), 오버라이드 키(255) 및 인증부(26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부(275)의 작동을 결정하는 프런트 컨트롤 보드(245)가 구비된다.
또한, 평상시 숫자 키패드(미도시) 등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숫자 키패드(미도시), 인증부(260) 등을 덮을 수 있는 프런트 커버(250)가 구비된다.
실내 장착부(205)에는 작동 모터(273)에 전기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35)와 레버 샤프트(155)의 회전체(151)에 샤프트(225)를 매개로 연결되는 소위 썸 턴(Thumb Turn)이라 불리우는 수동 핸들(220) 및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 모터(273)를 작동시키는 메인 컨트롤 보드(230)가 구비된다.
도어 경계부(14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판 형상으로서 고정 볼트(145)에 의해 도어(210)에 고정된다.
구동부(275)는 작동 모터(273), 작동 모터(273)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수평 베벨기어(271), 수평 베벨기어(271)에 치합하는 수직 베벨기어(2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동부(275)를 구성하는 수평 베벨기어(271)와 수직 베벨기 어(270)는 웜 기어, 체인 등 다양한 종류의 동력 전달 수단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레버 샤프트(155)는 회전체(151)와 암(15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암(153)은 회전체(151)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회전체(151)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회전체(151)의 중앙에는 수동 핸들(220)의 샤프트(225)가 끼워지고, 구동부(275)를 구성하는 수직 베벨기어(270)가 샤프트(225)와 일체로 결합되어 있어서 회전체(151)는 수동 핸들(220)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고, 구동부(275)로부터 회전력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310)는 데드 볼트부(309), 데드 볼트부(309)의 일측에 형성된 래치 볼트부(308), 데드 볼트부(309)의 타측에 연장되어 형성되고 외주면에 탄성부재(380)가 구비되는 연장부(307), 연장부(307)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접촉부(30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데드 볼트부(309)는 도어(210)의 록킹 또는 언록킹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여기서 록킹이란 데드 볼트부(309)가 메인 바디(140)로부터 전진하여 스트라이커 안으로 인입되어 도어(210)가 열리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며 언록킹이란 데드 볼트부(309)가 스트라이커 밖으로 빠져나와 메인 바디(140) 안쪽으로 후퇴하여 도어(210)가 열릴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래치 볼트부(308)는 데드 볼트부(309)의 일측에 돌출 연장되어 형성되고 양 측면이 라운딩 처리되어 있다.(도 4b 참조)
연장부(307)는 데드 볼트부(309)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연장 부(307)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380)가 구비되며 연장부(307)의 일측 끝단에는 접촉부(305)가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307)의 폭은 상부 경계턱(331)과 하부 경계턱(332)을 관통하여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상부 경계턱(331)과 하부 경계턱(332) 사이의 간격 및 데드 볼트부(309)의 폭보다 적절히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접촉부(305)는 상부 경계턱(331)과 하부 경계턱(332)을 지나쳐 갈 수 없도록 상부 경계턱(331)과 하부 경계턱(332) 사이의 간격보다 적절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부재(380)는 연장부(307)의 외주면에 구비되는데, 연장부(307)의 폭은 상부 경계턱(331)과 하부 경계턱(332) 사이의 간격 및 데드 볼트부(309)의 폭보다 적절히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래치 볼트부(308)가 메인 바디(140) 내부로 후퇴 이동함에 따라 데드 볼트부(309) 일측 끝단과 상부 경계턱(331) 및 하부 경계턱(332) 사이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더라도 탄성부재(380)가 제 2 홈(333)을 빠져 나갈 수는 없게 된다.
접촉부(305)는 연장부(307)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데,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접촉부(305)의 폭은 연장부(307)의 폭보다 적절히 크게 형성되어 바디 슬라이더(315)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홈(330)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접촉부(305)가 제 1 홈(3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래치 볼트부(308)의 길이보다 적절히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도어(210)가 언록킹인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210)를 열거나 닫는 경우 래치 볼트부(308)가 스트라이커를 빠져 나와 도어 경계부(141) 안쪽으로 완전히 후퇴해야 되므로 래치 볼트부(308)가 도어 경계부(141) 안쪽으로 완전히 후퇴할 수 있을 정도의 이동 거리를 제 1 홈(330)이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센서 인입홈(306)은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310)의 일측에 접촉부(305)를 관통하여 연장부(307)의 일정부분까지 길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센서 인입홈(306)을 형성하는 이유는 도 4d에서와 같이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의 센서 암(325)이 센서 인입홈(306)에 삽입되면서 센서 암(325)이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의 몸체에 맞닿아 센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센서 인입홈(306)은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사항이다.
즉, 센서 인입홈(306)을 형성하지 않고 접촉부(305)가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의 센서 암(325)에 맞닿을 때 센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도 있고, 접촉부(305)로부터 돌기부분을 형성하여 돌기부분이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의 센서 암(325)에 맞닿을 때 센서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할 수도 있는 등 그 방법은 매우 다양할 것이다.
메인 컨트롤 보드(230)는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 모터(273)를 작동시켜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며 또한, 록킹 감지 센서(350)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도어(210)의 록킹 또는 언록킹 동작을 위해 작동 모터(273)를 작동시킨다.
바디 슬라이더(315)의 일측에는 접촉부(305)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 홈(330)과 탄성부재(380)가 내주하는 제 2 홈(333)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레버 샤프트(155) 암(153)의 일단이 수용되는 바디 슬라이더 홀(317)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홈(330)은 접촉부(305)의 이동을 안내하며 그 길이는 래치 볼트부(308)의 길이보다 적절히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함은 앞서 살펴본 바이다.
제 2 홈(333)은 상부 경계턱(331)과 하부 경계턱(332)을 일측으로 하고 타측은 데드 볼트부(309)가 인입될 수 있도록 박스 형상으로 개방되어 있는 부분의 내측에 마련된다.
제 2 홈(333)은 탄성부재(380)의 수축 및 신장을 가이드하는데, 탄성부재(380)의 일측은 데드 볼트부(309)의 일측 끝단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부 경계턱(331) 및 하부 경계턱(332)에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므로 탄성부재(380)가 제 2 홈(333)과 데드 볼트부(309) 일측 끝단 사이의 간격에 따라 수축 또는 신장하면서 복원력을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310)에 제공하게 된다.
바디 슬라이더 홀(317)은 회전체(151)의 회전에 의해 암(153)이 회전할 때 암(153)의 위치가 점점 수직으로 놓임에 따라 암(153) 끝단 부분이 자유롭게 바디 슬라이더(315)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메인 바디(140)에 형성되어 있는 메인 바디 홀(143)을 따라 암(153)의 끝단 부분이 메인 바디(140)의 밖으로 노출되므로 암(153)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만약, 암(153)의 끝단이 수직 위치에서 메인 바디(140)의 상부와 일치하도록 구성되면 록킹시 암(153)의 끝단과 바디 슬라이더 홀(317) 양 측면 사이에 공간이 생기게 되므로 바디 슬라이더 홀(317)과 메인 바디 홀(371)이 필요한 것이다.
메인 바디(140)는 레버 샤프트(155),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 및 바디 슬라이더(315)를 수용한다.
따라서, 메인 바디(140)의 형상은 속이 빈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추가로 구비될 수 있는 록킹 감지 센서(350)는 언록킹 센서(345)와 록킹 센서(340)로 구성되는데, 메인 바디(140)의 내에 구비되어 암(153)의 일면과 접촉하여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310)의 록킹여부를 판단한다.
즉, 암(153)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암(153)의 일면이 록킹 센서(340)에 접촉하게 되면 이 때 발생한 신호가 메인 컨트롤 보드(230)에 보내지게 되고, 메인 컨트롤 보드(230)는 현재 도어(210)가 록킹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반대로 암(153)이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암(153)의 타면이 언록킹 센서(345)에 접촉하게 되면 이 때 발생한 신호가 메인 컨트롤 보드(230)에 보내지게 되고, 메인 컨트롤 보드(230)는 현재 도어(210)가 언록킹 상태에 있다고 판단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이 록킹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이 록킹된 상태에서의 평면도, 도 4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이 언록킹된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의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가 ON 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로서,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에서와 같이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310)가 도어 경계부(141) 외부로 완전히 노출되어 있는 상태는 도어(210)가 록킹 상태에 있을 때에 해당할 것이다.
이 때, 사용자가 수동 핸들(220, 도 2 참조)을 돌리거나 구동부(275, 도 2 참조)를 작동시키면 회전체(15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암(153)이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바디 슬라이더(315)를 메인 바디(140)의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도 4c와 같은 내부 배치가 이뤄진다.
이 때, 암(153)은 언록킹 센서(345)에 접촉할 때까지 회전하게 되고 암(153)이 언록킹 센서(345)에 접촉하게 되면 록킹 감지 센서(350)가 언록킹 상태를 최초로 감지하여 작동 모터(273)를 정지시킴으로써 암(153)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언록킹 상태에서 데드 볼트부(309)는 메인 바디(140) 내부로 완전히 인입되어 있지만 래치 볼트부(308)는 도어 경계부(141)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 경우 아직 접촉부(305)가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의 센서 암(325)에 접촉하지는 않는다.
그 후, 사용자가 도어(210)를 열게 되면 래치 볼트부(308)가 스트라이커를 빠져나오면서 눌리게 되므로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310)가 메인 바디(140) 내부로 더 인입되게 되고, 센서 암(325)이 센서 인입홈(306)에 삽입되면서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를 첫번째로 동작시키게 된다(도 4d 상태).
이 때, 제 2 홈(333)에 내주하는 탄성부재(380)는 수축한 상태가 된다.
래치 볼트부(308)가 스트라이커를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어 도어(210)가 열려져 있는 상태가 되면 래치 볼트부(308)는 탄성부재(380)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도 어 경계부(141)의 바깥으로 돌출되게 되고, 이에 따라 센서 암(325)이 센서 인입홈(306)을 빠져 나오게 되어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의 센싱 동작이 해제된다(도 4c).
다시 사용자가 도어(210)를 닫게 되면 래치 볼트부(308)가 스트라이커에 들어가면서 눌리게 되므로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310)가 메인 바디(140) 내부로 더 인입되게 되고, 센서 암(325)이 센서 인입홈(306)에 다시 삽입되면서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를 두번째로 동작시키게 된다(도 4d).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가 홀수번째 동작한 직후에는 도어(210)가 열려 있는 상태가 되고, 짝수번째 동작한 직후에는 도어(210)가 닫혀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이용하여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가 홀수번째 신호를 전송해 오는 경우에는 도어(210)가 열려 있는 상태이므로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지 않고,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가 짝수번째 신호를 전송해 오는 경우에는 도어(210)가 닫혀 있는 상태이므로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메인 컨트롤 보드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도어록의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럭도이다.
메인 컨트롤 보드(230)는 '마이컴 제어부'라고도 불리며 전원 공급부(520)로부터 필요한 동력을 공급받아 사용자 입력부(510), 록킹 감지 센서(350) 및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로부터 받은 신호를 판단하여 구동부(275)를 작동시 킨다.
메인 컨트롤 보드(230)는 록킹 감지 센서(350)가 언록킹 신호를 보내기 전까지 구동부(275)를 작동시키고 언록킹 신호가 들어오면 구동부(275)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 후, 첫번째로 들어오는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의 신호를 도어(210)의 열림에 의한 신호로 판단하고 두번째로 들어오는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320)의 신호를 도어(210)의 닫힘에 의한 신호로 판단하여 두번째 신호가 들어오면 구동부(275)를 재작동시켜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메인 컨트롤 보드(230)는 두번째 신호를 카운트한 후 초기화 과정을 거쳐 다시 들어오는 신호를 첫번째 신호로 판단할 수도 있고, 위와 같은 초기화 과정 없이 카운트를 계속하면서 홀수번째 신호인 경우에는 구동부(275)를 작동시키지 않고 짝수번째 신호인 경우에만 구동부(275)를 작동시켜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컨트롤 보드(230)는 록킹 감지 센서(350)로부터 록킹 신호를 수신한 경우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어 카운트된 신호 회수를 초기화한 후, 다시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첫번째 신호로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기계식 튜블러형 도어록의 데드 볼트 끝단에 래치 볼트를 추가로 형성하고 메인 바디 내부에 록킹 감지 센서와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를 마련하여 메인 컨트롤 보드가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의 신호에 의해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 동작을 감지함으로써 구동부를 작동시켜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에서 메인 컨트롤 보드로 보내지는 신호가 도어의 열림에 의한 신호인지 닫힘에 의한 신호인지 구분하기 위하여 데드-래치 볼트 언록킹 상태를 기준으로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에서 메인 컨트롤 보드로 보내지는 신호가 홀수번째 신호인 경우에는 도어의 열림에 의한 신호로 간주하고, 짝수번째 신호인 경우에는 도어의 닫힘에 의한 신호로 간주하여 짝수번째 신호인 경우에만 메인 컨트롤 보드가 자동 잠금 기능 수행을 위해 구동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Claims (8)

  1. 작동 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구동부;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로부터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레버 샤프트;
    데드 볼트부, 상기 데드 볼트부의 일측에 형성된 래치 볼트부, 상기 데드 볼트부의 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외주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
    상기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의 위치를 감지하는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작동 모터를 작동시켜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메인 컨트롤 보드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일측에는 상기 접촉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 홈과 상기 탄성부재가 내주하는 제 2 홈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상기 암의 일단이 수용되는 바디 슬라이더 홀이 형성된 바디 슬라이더; 및
    상기 레버 샤프트, 상기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 및 상기 바디 슬라이더를 수용하고, 상기 암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의 록킹 여부를 판단하는 록킹 감지 센서가 구비되는 메인 바디
    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의 일측에 상기 접촉부를 관통하여 상기 연장부의 일정부분까지 길게 형성되고 상기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의 일부분이 인입되는 센서 인입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는 상기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발생한 신호가 홀수번째 신호인 경우에는 구동부를 작동시키지 않고 짝수번째 신호인 경우 에만 구동부를 작동시켜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는, 상기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발생한 신호가 첫번째 신호인 경우에는 구동부를 작동시키지 않고 두번째 신호인 경우에만 구동부를 작동시켜 자동 잠금 기능을 수행하며, 두번째 신호를 카운트한 후에는 초기화 과정을 거쳐 이후 상기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발생한 신호를 첫번째 신호로 판단하고,
    상기 디지털 도어록은,
    상기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의 록킹 여부를 판단하는 록킹 감지 센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메인 컨트롤 보드는 상기 록킹 감지 센서로부터 록킹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데드-래치 볼트 위치 감지 센서로부터 수신되어 카운트된 신호 회수를 초기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8. 삭제
KR1020070046523A 2007-05-14 2007-05-14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KR101311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523A KR101311812B1 (ko) 2007-05-14 2007-05-14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523A KR101311812B1 (ko) 2007-05-14 2007-05-14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614A KR20080100614A (ko) 2008-11-19
KR101311812B1 true KR101311812B1 (ko) 2013-09-26

Family

ID=40287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523A KR101311812B1 (ko) 2007-05-14 2007-05-14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18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9413B1 (ko) * 2011-07-27 2012-01-31 (주)락시스 데드 볼트를 구비한 래치 어셈블리
KR101372590B1 (ko) * 2012-08-01 2014-03-11 정화수 도어 레버의 회전 방지장치
KR102242272B1 (ko) * 2017-10-12 2021-04-19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1983498B1 (ko) * 2018-04-26 2019-05-29 주식회사 라맥스 튜블러 래치형 도어락의 이중 록킹 장치
CN108824988B (zh) * 2018-06-21 2020-07-07 南京科蓝德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光敏控制安全锁
KR102113574B1 (ko) * 2019-01-22 2020-05-21 유시연 도어 잠금 모듈
KR102183295B1 (ko) * 2019-03-26 2020-11-26 주식회사 진성피엘티 항온항습장치
CN110005264A (zh) * 2019-05-10 2019-07-12 广州光沅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多层锁舌的智能电子锁及其控制方法
CN110273588B (zh) * 2019-05-16 2020-11-13 江苏巨数智能科技有限公司 电子锁的防盗用方法
CN111088910B (zh) * 2020-01-08 2023-06-27 王力安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开关锁及其控制方法
CN117321279A (zh) * 2021-04-08 2023-12-29 亚萨合莱美国住宅股份有限公司 电子锁具的不充分锁定行为的检测和校正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641A (ko) * 2001-02-21 2002-08-28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자동 시정형 모티스 잠금 시스템
KR200364392Y1 (ko) * 2004-07-07 2004-10-08 김창수 모티스의 데드볼트 위치감지구조
US20060179900A1 (en) * 2004-03-05 2006-08-17 Triteq Lock And Security, L.L.C. Vending machine lock with motor controlled slide-bar and hook mechanism and electronic acces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8641A (ko) * 2001-02-21 2002-08-28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자동 시정형 모티스 잠금 시스템
US20060179900A1 (en) * 2004-03-05 2006-08-17 Triteq Lock And Security, L.L.C. Vending machine lock with motor controlled slide-bar and hook mechanism and electronic access
KR200364392Y1 (ko) * 2004-07-07 2004-10-08 김창수 모티스의 데드볼트 위치감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614A (ko) 200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1812B1 (ko) 튜블러형 데드-래치 볼트가 구비된 디지털 도어록
KR200456982Y1 (ko) 일체형 구동부 데드 볼트를 구비한 튜블러형 디지털 도어록
KR20140006806A (ko) 잠금 식별을 포함하는 충전 플러그
US20150368940A1 (en) Door-lock apparatus
JP3570492B2 (ja) ドアハンドル装置
JPH0726496B2 (ja) 安全装置の内設されたドア・ロック
EP3969695B1 (en) Locking device with a catch mechanism
KR102633868B1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CN211342163U (zh) 防撬锁具
CN210316854U (zh) 锁舌驱动机构及具有它的锁具
JP2009504942A (ja) 彫り込みロックアセンブリーのハブ鍵装置
KR200378846Y1 (ko) 도어록의 모티스
KR200393226Y1 (ko) 모티스 록 장치
CN109944500B (zh) 一种用密码的钥匙及其配套的锁
KR101826692B1 (ko) 디지털 도어 록 장치
KR200458319Y1 (ko) 소형 금고용 서랍 개폐장치
CN110670951A (zh) 防撬锁具
EP4019719B1 (en) Locking device
CN110670957B (zh) 车锁、开锁方法及闭锁方法
US11976495B2 (en) Tubular-type deadbolt door lock with edge bolt for detecting door lock status
KR102575824B1 (ko) 도어락 모티스
JP3903414B2 (ja) 施解錠装置及びその操作方法
KR20190041244A (ko) 래치볼트 자동 풀림 구조를 포함하는 디지털 도어락
KR101962435B1 (ko) 래치볼트의 양방향 고정해제장치
JP6902597B2 (ja) 扉のポップアウト型ロックハンド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