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433B1 - 키 회전각의 보정이 가능한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 - Google Patents

키 회전각의 보정이 가능한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433B1
KR100600433B1 KR1020040090219A KR20040090219A KR100600433B1 KR 100600433 B1 KR100600433 B1 KR 100600433B1 KR 1020040090219 A KR1020040090219 A KR 1020040090219A KR 20040090219 A KR20040090219 A KR 20040090219A KR 100600433 B1 KR100600433 B1 KR 100600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ock
backup
deadlock
central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0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0934A (ko
Inventor
이명현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화정공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0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433B1/ko
Publication of KR20060040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0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 레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센트럴락 및 데드락 구조가 마련된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에 설치되어, 데드락의 메카니컬 백업에 따른 회전각과 센트럴락의 백업에 따른 회전각 간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키의 조작에 의해 데드락과 센트럴락의 순차적인 백업이 구현되도록 한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키 회전각의 보정이 가능한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MECHANICAL BACK-UP LEVER}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키회전각 보정기능을 갖는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메카니컬백업용 키직결레버가 적용된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를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10. 메카니컬백업용 키직결 레버
10A. 센트럴락 백업레버 10A-a. 축
10A-b. 걸림단 10A-c. 힌지연결단
10B. 데드락 백업레버 10B-a. 키직결홈
10B-b. 간극부 10B-c. 캠레버
20. 래치앗세이 21. 파울
21a. 걸림단
30. 해제부(릴리즈 레버) 31. 중앙단
31a. 장공
40. 센트럴락 구조 41. 커넥션 레버
41A. 센트럴락 레버 41A-a. 중첩단
41A-aa. 일자형 슬롯공 41B. 데드락 레버
41A-a. 중첩단 41A-aa. L자형 슬롯공
42. 센트럴락 링크 42a. 락핀
43. 센트럴락 구동부 44. 락레버
45. 센트럴락 백업링크
50. 데드락 구조 51. 데드락 링크
51A-a. 락핀 52. 데드락 구동부
52A. 데드락 백업링크 52B. 데드락 모터
본 발명은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 레버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센트럴락 및 데드락 구조가 마련된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에 설치되어, 데드락의 메카니컬 백업에 따른 회전각과 센트럴락의 백업에 따른 회전각 간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키의 조작에 의해 데드락과 센트럴락의 순차적인 백업이 구현되도록 한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차량의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의 잠금상태를 주관하는 도어잠금장치는, 일반적으로 래치와 파울 및 파울오픈레버를 포함하여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를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는 래치앗세이와, 인사이드 또는 아웃사이드핸들레버와 연결되어 이들에 의해 전달되는 외력을 상기 래치앗세이에 제공하여 래치앗세이의 구속상태를 해제시키는 릴리즈 레버를 포함한 해제부와, 상기 릴리즈 레버를 통해 외력이 래치앗세이에 인가 또는 비인가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도어핸들에 의한 래치앗세이의 스트라이커 구속해제를 가능 또는 불가능하게 하여 도어의 락/언락 상태를 설정하는 센트럴락 구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센트럴락 구조는, 잠금장치의 형태에 따라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커넥션 레버 등의 절환에 의해 락 및 언락의 설정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 커넥션 레버는 센트럴락 구동부의 구동 또는 락레버와 연결된 락노브 등의 조작에 의해 소정각 회동하면서 절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상기 커넥션 레버의 절환에 의해 센트럴 락/언락을 설정하는 락노브는 도어의 내측(즉 차량의 실내)에 표출되어 있어, 절도의 목적으로 타인이 외부에서 윈도우의 틈새로 취구를 삽입한 다음, 취구로 락노브를 조작하여 언락을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도난의 소지가 있다.
따라서, 당분야에서는 필요에 따라 락레버를 통한 센트럴락의 설정이 불가능하도록 하는 데드락 구조를 부가하여 도난 방지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있는데, 오늘날에는 대부분 이러한 데드락 기능을 갖는 도어잠금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데드락 구조 및 센트럴락 구조는 기본적으로 배터리의 전류를 통해 구동되는 데드락 구동부 및 센트럴락 구동부에 의해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배터리의 전류가 소진되면, 이러한 데드락 구동부 및 센트럴락 구동부를 통한 센트럴락 및 데드락의 해제가 불가능하다. 특히나 전류가 소진되어 교체나 보충을 요하는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후드내에 설치되며, 이 후드를 개방하는 당김레버는 차량내부에 설치되어 있어 데드락 설정상태에서 방전이 되면 배터리의 충전도 불가능한 형편이다.
따라서, 당분야에서는 상기 락상태로 설정된 센트럴락 구조 및 데드락 구조를 수조작을 통해 언락상태로 전환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메카니컬 백업구조를 반드시 마련하도록 하고 있는데, 이러한 메카니컬 백업은 일반적으로 키조작에 의해 이루지게 된다.
그런데, 데드락기능을 갖는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의 경우에는, 키셋과 잠금장치 본체가 별도로 형성되어 키로드를 통해 연결된 방식 대신에, 잠금장치의 상기 커넥션 레버와 락레버에 키레버가 직결되도록 하여 도난방지성을 향상시킨 완전한 몰드형 도어잠금장치를 구현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렇게 풀커버구조를 갖는 몰드형 도어잠금장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으로 단순화된 형상을 갖도록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풀거버구조를 갖는 몰드형 도어잠금장치에 있어서 키조작을 통해 데드락과 센트럴락의 해제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는 간편한 키직결레버 구조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키와 잠금장치의 본체가 직결되는 형태의 완전한 몰드형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에 사용되는 메카니컬 백업용 레버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데드락과 센트럴락에 대한 메카니컬 백업기능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데드락의 백업에 따른 회전각과 센트럴락의 백업에 따른 회전각 간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키의 조작에 의해 순차적으로 데드락 및 센트럴락의 백업이 구현되어 원활한 작동성이 보장되도록 한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키회전각 보정이 가능한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는,
락노브에 의한 센트럴락의 락/언락 설정을 선택적으로 가능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데드락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의 데드락 상태의 메카니컬 백업용으로 사용되는 키직결식 레버의 구조에 있어서;
키직결레버의 몸체가 센트럴락 구조와 연동되는 센트럴락 백업레버 및 데드락 구조와 연동되며 후미에 키직결홈이 마련된 데드락 백업레버로 이원화되어, 이들이 회동자재한 구조로 축연결되고;
상기 센트럴락 백업레버와 데드락 백업레버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소정폭 절입되어 형성된 간극부와 상기 간극부에 수용되어 상기 간극부내를 이동하는 걸림단이 각각 선택적으로 대응되게 마련되어, 키의 회전에 의한 이들 백업레버의 회동이 상기 간극부의 절입구간만큼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이루어져, 데드락 백업과 센트럴락 백업간에 키회전각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센트럴락 백업레버에는 힌지연결단이 마련되어 센트럴락 구조와 양방향 이송이 가능한 힌지구조로 결속되고, 상기 데드락 레버에는 캠레버가 마련되어 데드락 구조와 일방향 이송이 가능한 결착구조로 결속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는, 예컨대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를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는 래치와 상기 래치의 구속상태를 유지시키는 파울을 포함한 래치앗세이와; 상기 래치앗세이에 외부의 작용력을 전달하는 릴리즈 레버를 포함하여 외부의 작동력에 의해 파울을 회동시켜 래치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 기계적 또는 전기적 작용력에 의한 커넥션 레버의 락/언락 절환에 의해 상기 릴리즈 레버와 래치앗세이간을 선택적으로 연동/비연동시켜 센트럴 락/언락상태를 설정하는 센트럴락 구조; 및 상기 커넥션 레버가 락노브에 의한 절환이 이루어지는 락레버에 연결된 센트럴락 레버와 상기 해제부에 연결된 데드락 레버로 이원화되게 구성되어, 이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데드락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센트럴락 레버에 가해지는 락레버를 통한 센트럴 락/언락 설정작용이 데드락 레버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설정하는 데드락 구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형태의 도어 잠금장치에, 상기 센트럴락 백업레버는 상기 센트럴락 레버에 링크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데드락 백업레버는 상기 센트럴락 레버 및 데드락 레버는 상기 데드락 구동부에 링크구조로 연결되는 형태로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회전각 보정기능을 갖는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키회전각 보정기능을 갖는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키회전각 보정기능을 갖는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센트럴락 구조와 연결되는 센트럴락 백업레버(10A)와, 데드락 구조와 연결되는 데드락 백업레버(10B)로 이원화되게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아, 상기 데드락 백업레버(10B)의 후미에는 키직결홈(10B-a)이 마련되며, 이 키직결홈(10B-a)에는 키뭉치(미도시)의 키로드가 직결되게 된다. 그리고 이들 백업레버(10A, 10B)들은 축방향으로 정렬되어 회동구조로 축(10A-a)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는 키뭉치의 키로드가 소정각 회동되면, 직결된 데드락 백업레버(10B)는 소정각 회동되지만, 센트럴락 백업레버(10A)는 축(10A-a) 연결된 관계로 회동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이들 백업레버들(10A, 10B)간에는 걸림단(10A-b)과 상기 걸림단(10A-b)의 비간섭구역인 간극부(10B-b)를 대응되게 마련하여, 어느 하나의 백업레버(10B)가 간극부(10B-b)의 행정각만큼 회동되면, 비로소 나머지 하나의 백업레버(10A)가 간극부(10A-b)의 측벽에 걸림단(10A-b)이 간섭되어 연동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하게 되면, 상기 백업레버(10A, 10B)들간에 상기 간극부의 간격만큼의 차이를 두고 순차적인 회동이 이루어져, 키회전각의 보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키뭉치의 키로드가 직결된 데드락 백업레버(10B) 의 외주에 절입된 형태의 간극부(10B-b)를 마련하고 있으며, 또 이와 연접되는 센트럴락 백업레버(10A)의 외주에는 걸림단(10A-b)을 마련하고 있다. 이때, 상기 센트럴락 백업레버(10A)에 마련된 걸림단(10A-b)의 선단은, 양자의 결합시 데드락 백업레버(10B)의 간극부(10B-b)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키로드에 의해 데드락 백업레버(10B)가 소정각 회동되더라도, 센트럴락 백업레버(10A)는 걸림단(10A-b)이 비간섭구역인 간극부(10B-b)에 위치된 관계로, 일정 행정각만큼은 회동되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데드락 백업레버(10B-b)의 회동이 일정 행정각보다 크게 되면, 센트럴락 백업레버(10A)의 걸림단(10A-b)이 간극부(10B-b)의 측벽에 결착되어 센트럴락 백업레버(10A)를 연동하여 회동시키게 된다.
한편, 이러한 메카니컬백업용 키직결레버(10)를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센트럴락 백업레버(10A)에는 힌지연결단(10A-c)을, 상기 데드락 백업레버(10B)에는 캠레버(10B-c)를 각각 형성하게 되면, 상기 센트럴락 백업레버(10A)는 센트럴락 백업레버의 힌지연결단(10A-c)을 통해 양방향 이송이 가능한 힌지구조로 결속되고, 상기 데드락 백업레버(10B)는 캠레버(10B-c)를 통해 데드락 백업레버(10B)와 일방향 이송이 가능한 결착구조로 결속되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메카니컬백업용 키직결레버가 적용된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의 예를 보여주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키직결레버가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에 적용되어 작동되는 상태 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가 적용된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1)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를 구속/구속해제하는 래치앗세이(20)와; 상기 래치앗세이(20)에 외부의 작용력을 전달하는 릴리즈 레버(30)를 구비하여 래치앗세이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와; 커넥션 레버(41)의 절환에 의해 상기 릴리즈 레버(30)와 래치앗세이(20)간의 선택적인 연동/비연동구조를 설정하는 센트럴락 구조(40); 및 락레버(44)를 통한 센트럴락의 설정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데드락 구조(5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센트럴락 구조(40) 및 데드락 구조(50)의 일편에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키직결레버(10)를 이용한 메카니컬백업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먼저 해제부의 작용에 의한 래치앗세이의 구속/해제 구조를 살펴보면, 래치앗세이(20)에서 래치에 맞물려 래치의 상태를 제어하는 파울(21)의 상부에 상기 해제부의 릴리즈 레버(30)가 배설되어 있다. 이 릴리즈 레버(30)는 인사이드 또는 아웃사이드핸들에 가해지는 작용력을 전달받기 위해 양단이 구비되고, 그 중앙에는 장공(31a)이 형성된 중앙단(31)이 마련되어 있는데, 이 릴리즈 레버(30)의 중앙단(31) 아래에, 상기 장공(31a)의 내측에 대응되는 중간부분은 굽어서 일정 깊이의 요입부가 형성되고, 장공(31a)의 외측에 대응하는 말단에는 장공의 위치까지 돌출된 파울(21)의 걸림단(21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릴리즈 레버(30)의 장공(31a)에는, 커넥션 레버(41)와 힌지(H) 결속된 센트럴락 링크(42)의 락 핀(42a)이 관통되게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락핀(42a)이 도면에서와 같이 장공(31a)의 우측단쪽에 위치하게 되면 릴리즈레버(30)를 통해 전달되는 도어 핸들의 조작이 락핀(42a)을 통해 파울(21)의 걸림단(21a)에 전달되어 파울(21)이 회동하기 때문에 래치앗세이(20)의 해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커넥션 레버(41)의 절환으로 센트럴락 링크(42)의 락핀(42a)이 변위되면, 이 변위에 의해 락핀(42a)의 선회궤적이 변환되어 상기 파울의 걸림단(21a)을 가압할 수 없게 되어 핸들을 조작하더라도 래치앗세이(20)의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센트럴락 상태가 설정된다.
즉, 상기 센트럴락 링크의 일단이 연결된 커넥션 레버(41)의 절환에 의해 릴리즈 레버(30)와 래치앗세이(20)간이 선택적으로 연동/비연동되도록 설정하는 센트럴락 구조(40)가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션 레버(41)의 센트럴락 링크(42)가 결속된 쪽의 말단에는 데드락모터의 구동력이 랙과 피니언 구조를 통해 전달되도록 이루어진 센트럴락 구동부(43)가 결속되어 있으며, 타단에는 락레버(44)와 센트럴락 백업링크(45)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하여, 센트럴락 구동부(43)가 구동되거나, 타단에 마련된 락레버(44) 또는 센트럴락 백업레버(45)가 락노브 또는 키셋에 의해 조작되면, 커넥션 레버(31)는 절환되어 센트럴락/센트럴언락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1)는, 상기 센트럴락을 설정하는 커넥션 레버(41)가 센트럴락 레버(41A)와 데드락 레버(41B)로 이원화되게 구성되고, 이들 이원화된 레버(41A, 41B)가 데드락 링크(51)에 마련된 락핀(51a)의 변위에 의해 선 택적으로 연동됨으로써, 데드락 및 데드언락 상태가 설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이원화된 센트럴락 레버(41A)와 데드락 레버(41B)에는, 일자형의 슬롯공(41A-aa)을 가진 중첩단(41A-a)과 L자형의 슬롯공(41B-aa)을 가진 중첩단(41B-a)이 각각 마련되며, 이 중첩단(41A-a, 41B-a)의 슬롯공(41A-aa, 41B-aa)에는 좌우이송되는 구조의 데드락 링크(51)의 락핀(51a)이 관통되게 삽설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데드락 링크(51)가 좌측으로 이송되면, 락핀(51a)은 L자형 슬롯공(41B-aa)의 단공부(s)와 일자형 슬롯공(41A-aa)상에 위치되므로, 데드락 레버(41B)와 센트럴락 레버(41A)는 일원화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하여 락레버(44)를 통해 데드락 레버(41B)를 절환시키게 되면 센트럴락 레버(41A)도 함께 절환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데드락 링크(51)가 우측으로 이송되면, 락핀(51a)은 L자형 슬롯공(41B-aa)상에서 장공부(l)에 위치되고, 이 상태에서는 락레버(44)를 통해 데드락 레버(41B)를 소정각 절환시키더라도, 락핀(51a)은 L자형 슬롯공(41B-aa)상에서 장공부(l)의 측벽에 간섭되지 않는 관계로 센트럴락 레버(41A)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락레버(44)를 통한 센트럴락 레버(41A)의 절환이 불가능한 데드락 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아, 상기 데드락 링크(51)는 랙과 피니언 구조의 데드락 구동부(52)의 데드락 백업레버(52A)와 힌지 결속되어, 데드락 모터(52B)의 정역구동에 의해 좌우 이송 및 회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센트럴락(40) 및 데드락 구조(50)에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공된 키직결레버(10)가 마련되어, 메카니컬 백업이 구현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을 보아, 상기 센트럴락(40) 및 데드락 구조(50)의 일편에,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키직결레버(1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센트럴락 백업레버(10A)의 힌지연결단(10A-c)에는 데드락 레버(31B)와 일단이 결속된 센트럴락 백업링크(35)가 힌지 결속되어 있으며, 또 상기 데드락 백업레버(10B)의 캠레버(10B-c)에는 데드락 링크(51)와 힌지구조로 결속된 데드락 백업링크(52A)의 측부가 결착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키뭉치를 통해 키로드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면, 먼저 키로드에 직결된 데드락 백업레버(10B)가 좌측으로 소정각 회동되며, 이때 데드락 백업레버(10B)에 결착된 데드락 백업링크(52) 및 데드락 링크(51)는 좌방향으로 이송되어, 데드언락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데드락 백업레버(10B)는 회동되지만, 센트럴락 백업레버(10A)는 걸림단(10A-b)이 비간섭구역인 간극부(10B-b)에 위치된 관계로, 일정동안 회동되지 아니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키로드를 좀 더 회동시켜 상기 데드락 백업레버(10B)의 회동이 일정 행정각보다 크게 되면, 비로소 센트럴락 백업레버(10A)의 걸림단(10A-b)은 간극부(10B-b)의 측벽에 결착되어, 센트럴락 백업레버(10A)가 데드락 백업레버(10B)에 연 동하여 회동되고, 이어서 상기 센트럴락 백업레버(10A)의 힌지연결단(10A-c)에 힌지 결속된 센트럴락 백업링크(45)도 좌방향으로 당겨져 커넥션 레버(41)를 절환시키게 되어, 센트럴 언락상태로 전환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키직결레버(10)는, 순차적으로 데드락 백업링크(52)를 일측으로 이송시켜 데드언락 상태로 먼저 전환시킨 다음, 센트럴락 백업링크(45)를 일측으로 이송시켜 센트럴락 언락상태로 전환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채택한 키직결레버(10)에서 센트럴락 백업레버(10A)는, 센트럴락 백업링크(45)와 양방향 작용이 가능하도록 힌지 결속된 바, 키뭉치의 키로드 및 데드락 백업레버(10B)의 우회동에 의해 센트럴락 백업레버(10A)가 우회동되면 센트럴락 백업링크(45)는 우측으로 이송되고, 그리하여 커넥션 레버(41)의 절환으로 센트럴 언락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는, 센트럴락 백업레버와 데드락 백업레버로 이원화되게 구성되어 이들간에 순차적인 연동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데드락과 센트럴락의 전환에 따른 키회전각이 보정이 가능하게 되어 일체로 형성된 경우보다 작동감이 향상되고, 안정적이고 원활한 작동이 보장되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3)

  1. 락노브에 의한 센트럴락의 락/언락 설정을 선택적으로 가능 또는 불가능하게 하는 데드락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에 있어서의 데드락 상태의 메카니컬 백업용으로 사용되는 키직결식 레버의 구조에 있어서;
    키직결레버의 몸체가 센트럴락 구조와 연동되는 센트럴락 백업레버 및 데드락 구조와 연동되며 후미에 키직결홈이 마련된 데드락 백업레버로 이원화되어, 이들이 회동자재한 구조로 축연결되고;
    상기 센트럴락 백업레버와 데드락 백업레버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소정폭 절입되어 형성된 간극부와 상기 간극부에 수용되어 상기 간극부내를 이동하는 걸림단이 각각 선택적으로 대응되게 마련되어, 키의 회전에 의한 이들 백업레버의 회동이 상기 간극부의 절입구간만큼의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이루어져, 데드락 백업과 센트럴락 백업간에 키회전각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트럴락 백업레버에는 힌지연결단이 마련되어 센트럴락 구조와 양방향 이송이 가능한 힌지구조로 결속되고, 상기 데드락 레버에는 캠레버가 마련되어 데드락 구조와 일방향 이송이 가능한 결착구조로 결속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회전각의 보정이 가능한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데드락기능을 구비한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는,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를 구속 또는 구속해제하는 래치와 상기 래치의 구속상태를 유지시키는 파울을 포함한 래치앗세이와; 상기 래치앗세이에 외부의 작용력을 전달하는 릴리즈 레버를 포함하여 외부의 작동력에 의해 파울을 회동시켜 래치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해제부; 기계적 또는 전기적 작용력에 의한 커넥션 레버의 락/언락 절환에 의해 상기 릴리즈 레버와 래치앗세이간을 선택적으로 연동/비연동시켜 센트럴 락/언락상태를 설정하는 센트럴락 구조; 및 상기 커넥션 레버가 락노브에 의한 절환이 이루어지는 락레버에 연결된 센트럴락 레버와 상기 해제부에 연결된 데드락 레버로 이원화되게 구성되어, 이들에 공통적으로 연결된 데드락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센트럴락 레버에 가해지는 락레버를 통한 센트럴 락/언락 설정작용이 데드락 레버에 선택적으로 전달되도록 설정하는 데드락 구조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센트럴락 백업레버는 상기 센트럴락 레버에 링크구조로 연결되고, 상기 데드락 백업레버는 상기 센트럴락 레버 및 데드락 레버는 상기 데드락 구동부에 링크구조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회전각의 보정이 가능한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
KR1020040090219A 2004-11-08 2004-11-08 키 회전각의 보정이 가능한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 KR100600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219A KR100600433B1 (ko) 2004-11-08 2004-11-08 키 회전각의 보정이 가능한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0219A KR100600433B1 (ko) 2004-11-08 2004-11-08 키 회전각의 보정이 가능한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934A KR20060040934A (ko) 2006-05-11
KR100600433B1 true KR100600433B1 (ko) 2006-07-13

Family

ID=37147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0219A KR100600433B1 (ko) 2004-11-08 2004-11-08 키 회전각의 보정이 가능한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4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0934A (ko)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6965B2 (en) Vehicle door lock device
WO2014175007A1 (ja) 車両用ドアのラッチ制御装置
US7815229B2 (en) Door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vehicle
US9970220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EP1164241A2 (en) Latch assembly and vehicle including such a latch assembly
JP4555871B2 (ja) ドアロック装置
WO2014041958A1 (ja) 車両用ドアのラッチ制御装置
JP6777678B2 (ja) 車両ドアラッチ装置
JP392104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1216625B1 (ko) 개량된 차일드락 구조를 갖는 자동차용 리어 도어래치
KR100600433B1 (ko) 키 회전각의 보정이 가능한 메카니컬 백업용 키직결레버
KR100604612B1 (ko) 구속형 락 레버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WO2020179098A1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100604611B1 (ko) 프리휠형 락레버를 구비한 자동차용 도어 잠금장치
JP2009203745A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939187B1 (ko) 도난 방지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차량용 도어래치
KR100600427B1 (ko) 데드락 기능을 갖는 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KR100600431B1 (ko) 피니언기어에 의한 직선이송의 센트럴락 구조를 갖는자동차 도어 잠금장치
KR100841555B1 (ko) 데드락 기능을 갖는 차량용 사이드 래치
EP1138854B1 (en) Door lock apparatus for vehicles
JP5923784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100997889B1 (ko)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잠금장치
JP2000054708A (ja) ドアロック操作装置
KR101097064B1 (ko) 도어락 어셈블리
GB2415740A (en) Vehicle door lock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