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8169B1 - 차량용 도어래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8169B1
KR101818169B1 KR1020160123089A KR20160123089A KR101818169B1 KR 101818169 B1 KR101818169 B1 KR 101818169B1 KR 1020160123089 A KR1020160123089 A KR 1020160123089A KR 20160123089 A KR20160123089 A KR 20160123089A KR 101818169 B1 KR101818169 B1 KR 101818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unit
release
double lock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륜
노혁
박종호
Original Assignee
평화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화정공(주) filed Critical 평화정공(주)
Priority to KR1020160123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22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 E05B77/24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 E05B77/28Functions related to actuation of locks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preventing use of an inner door handle, sill button, lock knob or the like for anti-theft purposes, e.g. double-locking or sup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36Locks for passenger or like 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도어래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도어래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모터부의 출력축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연결기어부와, 연결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마주하며 설치되는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회전기어부와, 회전기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의 측면에 걸려서 회전기어부와 함께 회전되며 파울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레버를 이동시키는 릴리즈기어와, 베이스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블부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인사이드레버 및 릴리즈기어와 인사이드레버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가 정회전을 할 때 회전기어부에 맞물려 돌아가는 회전기어부의 홈부를 따라 이동되어 인사이드레버의 이동경로에서 벗어나며 회전기어부가 역회전을 할 때 회전기어부에 맞물려 돌아가는 회전기어부의 홈부를 따라 이동되어 인사이드레버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더블락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래치{DOOR LA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더블락과 더블언락 및 파워릴리즈 기능을 단일 모터로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를 잠그는 래치장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체에 스트라이커가 고정되며, 도어에 파울과 래치기어를 포함한 래치장치가 설치된다. 도어에 설치된 래치장치는 도어와 함께 회전되어 스트라이커에 걸려서 도어의 회전을 구속한다.
도어용 래치장치는 인사이드 핸들, 아웃사이드 핸들 및 인사이드 노브 등의 작동에 따라 동작되며, 래치장치를 작동시키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케이블에 의해 회전되는 이동레버로 전달된 동력이 파울로 전달됨을 차단하는 락 기능과, 이동레버로 전달된 동력을 파울로 전달하는 언락 기능 및 향상된 도난 방지성을 갖는 더블락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구성요소의 개수가 많으며, 구성요소의 중량과 크기가 비교적 크게 형성되어 생산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15873호(2011.10.24 공개, 발명의 명칭: 더블락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더블락과 더블언락 및 파워릴리즈 기능을 단일 모터로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더블락과 더블언락 및 파워릴리즈 기능을 구비하는 래치장치의 부품수를 감소시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도어래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와, 모터부의 출력축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연결기어부와, 연결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마주하며 설치되는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회전기어부와, 회전기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의 측면에 걸려서 회전기어부와 함께 회전되며 파울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레버를 이동시키는 릴리즈기어와, 베이스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블부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인사이드레버 및 릴리즈기어와 인사이드레버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가 정회전을 할 때 회전기어부에 맞물려 돌아가는 회전기어부의 홈부를 따라 이동되어 인사이드레버의 이동경로에서 벗어나며 회전기어부가 역회전을 할 때 회전기어부에 맞물려 돌아가는 회전기어부의 홈부를 따라 이동되어 인사이드레버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더블락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기어부는, 출력축의 외측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1기어 및 제1기어에 연이어 설치되며 제1기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회전기어부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회전기어부는,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기어에 맞물리는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회전기어몸체와, 회전기어몸체에서 돌출되어 릴리즈기어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 및 더블락링크부와 마주하는 회전기어몸체의 측면에 홈부를 형성하여 더블락링크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릴리즈기어는,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릴리즈몸체와, 릴리즈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가압돌기와 마주하는 연장돌기 및 릴리즈몸체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잠금레버와 마주하는 해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사이드레버는, 베이스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사이드레버몸체와, 인사이드레버몸체에서 돌출되어 케이블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몸체 및 인사이드레버몸체에서 돌출되며 회전기어부를 따라 이동경로로 이동된 더블락링크부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더블락링크부는, 베이스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더블락링크몸체와, 더블락링크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홈부로 삽입되며 회전기어몸체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 및 더블락링크몸체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가이드돌기의 위치에 따라 가압레버의 이동경로로 이동되어 가압레버에 의해 밀려서 이동이 이루어지는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더블락링크몸체는 베이스축이 이동되기 위한 장공 형상의 슬롯홀이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는 더블락과 더블언락 및 파워릴리즈 기능을 단일 모터부로 구현하므로 래치장치의 부품수를 감소시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와 연결기어부와 회전기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락링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주요 구성을 차례로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가 더블락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가 정회전되면서 파울이 오픈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가 역회전되어 릴리즈기어가 더블락상태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가 더블락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가 역회전되면서 더블락링크부가 회전기어부의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레버가 케이블부재에 의해 이동되면, 더블락링크부와 함께 회전기어부와 릴리즈기어가 회전되어 파울이 오픈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가 더블언락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가 정회전되면, 더블락링크부가 회전기어부의 가이드홈부를 따라 초기 위치로 이동되어 더블락 상태로 동작이 변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가 일반모드로 동작될 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가 비상모드로 동작될 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와 연결기어부와 회전기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락링크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의 주요 구성을 차례로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가 더블락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가 정회전되면서 파울이 오픈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가 역회전되어 릴리즈기어가 더블락상태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가 더블락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가 역회전되면서 더블락링크부가 회전기어부의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레버가 케이블부재에 의해 이동되면 더블락링크부와 함께 회전기어부와 릴리즈기어가 회전되어 파울이 오픈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가 더블언락인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가 정회전되면, 더블락링크부가 회전기어부의 가이드홈부를 따라 초기 위치로 이동되어 더블락 상태로 동작이 변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가 일반모드로 동작될 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가 비상모드로 동작될 때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10)와, 모터부(10)의 출력축(12)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연결기어부(20)와, 연결기어부(20)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마주하며 설치되는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회전기어부(30)와, 회전기어부(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축(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30)의 측면에 걸려서 회전기어부(30)와 함께 회전되며 파울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레버(50)를 이동시키는 릴리즈기어(60)와, 베이스축(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블부재(78)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인사이드레버(70) 및 릴리즈기어(60)와 인사이드레버(70)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축(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30)가 정회전을 할 때 회전기어부(30)에 맞물려 돌아가는 회전기어부(30)의 홈부를 따라 이동되어 인사이드레버(70)의 이동경로에서 벗어나며 회전기어부(30)가 역회전을 할 때 회전기어부(30)에 맞물려 돌아가는 회전기어부(30)의 홈부를 따라 이동되어 인사이드레버(70)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더블락링크부(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터부(1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전기모터가 사용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부(10)는 하우징부(90)에 고정되며, 모터부(10)의 출력축(12) 외측에는 기어가 형성된다.
연결기어부(20)는 모터부(10)의 출력축(12)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며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어부(20)는, 출력축(12)의 외측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1기어(22) 및 제1기어(22)에 연이어 설치되며 제1기어(22)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회전기어부(30)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2기어(24)를 포함한다.
연결기어부(20)는 서로 다른 직경의 기어가 2단으로 설치되어 회전하는 원판 형상의 기어로, 큰 직경의 제1기어(22) 및 제1기어(22)에 연이어 설치되며 제1기어(22) 보다는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기어(24)를 포함한다.
제1기어(22)는 모터부(10)의 출력축(12)에 맞물려 돌아가며, 제2기어(24)는 회전기어부(30)의 원주면을 따라 형성된 기어에 맞말려 돌아간다. 제1기어(22) 보다 제2기어(24)의 직경이 작으므로, 출력축(12)의 동력이 회전기어부(30)로 전달될 때 감속되며 토크가 증대된다.
회전기어부(30)는 연결기어부(20)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마주하며 설치되는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기어부(30)는, 회전기어몸체(32)와 가압돌기(34)와 가이드홈부(36)를 포함한다.
회전기어몸체(32)는 출력축(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제2기어(24)에 맞물리는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된다. 원판 형상의 회전기어몸체(32)의 회전중심에는 베이스축(40)이 연결되며, 이러한 회전기어몸체(32)는 베이스축(4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가압돌기(34)는 회전기어몸체(32)에서 돌출되며, 회전기어몸체(32)가 회전될 때 같이 회전되면서 릴리즈기어(60)의 측면을 가압한다. 가압돌기(34)는 회전기어몸체(32)의 테두리에서 전방(도 2기준 좌측)으로 돌출된다. 회전기어몸체(32)와 함께 회전되는 가압돌기(34)는 마주하고 있는 릴리즈기어(60)를 가압하여 릴리즈기어(60)를 회전시킨다.
가이드홈부(36)는 더블락링크부(80)와 마주하는 회전기어몸체(32)의 측면에 홈부를 형성하여 더블락링크부(8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홈부(36)는 더블락링크부(80)와 마주하는 회전기어몸체(32)의 측면에 형성되며, 회전기어몸체(32)의 회전중심과 이격된 위치에 설치된다. 가이드홈부(36)는 베이스축(40)이 연결되는 회전기어몸체(32)의 회전중심을 향하여 "U"자 형상의 홈부를 형성한다.
베이스축(40)은 축 형상으로 형성되며, 회전기어부(30)의 중심을 관통하여 하우징부(90)에 연결된다. 베이스축(40)의 일측에는 회전기어부(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베이스부의 타측에는 릴리즈기어(60)와 더블락링크부(80)와 인사이드레버(7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잠금레버(50)는 파울의 구속을 해제하는 레버로, 잠금레버(50)가 회전되면 래치기어의 잠금을 구속하는 파울의 이동을 허용하므로 차량용 도어래치(1)의 구속이 해제된다. 스트라이커의 이동을 구속하는 파울과 래치기어의 형상 및 파울의 이동을 구속하는 잠금레버(50)의 동작상태는 차량용 도어래치(1)를 설계하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잠금레버(50)는 하우징부(9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릴리즈기어(60)의 해제돌기(66)에 밀려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릴리즈기어(60)는 회전기어부(3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축(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기어부(30)의 측면에 걸려서 회전기어부(30)와 함께 회전되며 파울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레버(50)를 이동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릴리즈기어(60)는, 출력축(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릴리즈몸체(62)와, 릴리즈몸체(62)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가압돌기(34)와 마주하는 연장돌기(64)와, 릴리즈몸체(62)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잠금레버(50)와 마주하는 해제돌기(66)를 포함한다.
릴리즈몸체(62)는 베이스축(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릴리즈몸체(62)에서 연장된 연장돌기(64)는 가압돌기(34)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기어부(30)의 가압돌기(34)가 시계방향(도 2기준)으로 회전될 때, 릴리즈기어(60)의 연장돌기(64)도 가압돌기(34)에 밀려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해제돌기(66)는 잠금레버(5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며, 연장돌기(64)의 회전에 연동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잠금레버(50)를 회전시키므로 파울의 구속이 해제된다.
한편 릴리즈몸체(62)에서 더블락링크부(80)를 향하여 돌출된 돌기 부분은 더블락링크부(80)의 슬롯홀(83)로 삽입되어 더블락링크부(80)의 이동을 안내한다.
인사이드레버(70)는 베이스축(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블부재(78)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이동경로에 있는 더블락링크부(80)를 회전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사이드레버(70)는, 베이스축(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사이드레버몸체(72)와, 인사이드레버몸체(72)에서 돌출되어 케이블부재(78)에 연결되는 연결몸체(74)와, 인사이드레버몸체(72)에서 돌출되며 회전기어부(30)를 따라 이동경로로 이동된 더블락링크부(80)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레버(76)를 포함한다.
인사이드레버몸체(7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베이스축(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연결몸체(74)는 인사이드레버몸체(72)에서 일측으로 돌출되어 케이블부재(78)에 연결된다.
인사이드레버몸체(72)에서 돌출된 가압레버(76)는, 가이드홈부(36)를 따라 이동하는 더블락링크부(80)의 위치에 따라 돌출돌기(87)를 가압할 수 있다.
더블락링크부(80)는 릴리즈기어(60)와 인사이드레버(70) 사이에 위치하며, 베이스축(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더블락링크부(80)는 회전기어부(30)가 정회전(도 2기준 반시계 방향 회전)을 할 때 회전기어부(30)에 맞물려 돌아가는 회전기어부(30)의 홈부를 따라 이동되어 인사이드레버(70)의 이동경로에서 벗어난다. 또한 더블락링크부(80)는 회전기어부(30)가 역회전(도 2기준 시계 방향 회전)을 할 때 회전기어부(30)에 맞물려 돌아가는 회전기어부(30)의 홈부를 따라 이동되어 인사이드레버(70)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므로, 인사이드레버(70)와 함께 더블락링크부(80)가 이동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락링크부(80)는, 베이스축(4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더블락링크몸체(82)와, 더블락링크몸체(82)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가이드홈부(36)로 삽입되며 회전기어몸체(32)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홈부(36)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85)와, 더블락링크몸체(82)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가이드돌기(85)의 위치에 따라 가압레버(76)의 이동경로로 이동되어 가압레버(76)에 의해 밀려서 이동이 이루어지는 돌출돌기(87)를 포함한다.
더블락링크몸체(82)는 베이스축(40)을 따라 이동되기 위한 장공 형상의 슬롯홀(83)이 내측에 구비된다. 릴리즈몸체(62)의 돌출된 돌기 부분이 슬롯홀(83) 내측에 위치하며, 베이스축(40)이 릴리즈몸체(62)를 관통하여 슬롯홀(83) 내측에 위치한다.
가이드돌기(85)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슬롯홀(83)을 따라 이동이 안내된다. 가이드돌기(85)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가압레버(76)는 인사이드레버(70)의 가압레버(76)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경우, 가압레버(76)에 밀려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하우징부(90)는 차량용 도어래치(1)의 외형을 형성하는 부재로, 하우징부(90)의 내측에 차량용 도어래치(1)의 각종 부품들이 설치된다. 연결링크(95)는 연결기어부(20)의 축과 베이스축(40)을 연결하는 부재로, 연결기어부(20)와 베이스축(40)의 설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안내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가 파워릴리즈로 동작되는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닫현 있는 경우, 릴리즈기어(60)는 잠금레버(50)를 가압하지 않으므로 파울의 이동이 구속되어 도어가 닫힌 상태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적 신호로 도어를 오픈하기 위해 파워릴리즈로 동작되는 경우, 모터부(10)의 동작으로 출력축(12)이 회전하면, 출력축(12)에 맞물려 돌아가는 연결기어부(20)가 정회전(도 9 기준 반시계 방향 회전)한다.
연결기어부(20)에 맞물린 회전기어부(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기어부(30)의 가압돌기(34)가 릴리즈기어(60)를 가압한다. 따라서 릴리즈기어(60)가 회전하면서 릴리즈기어(60)의 해제돌기(66)가 잠금레버(50)를 회전시키므로 파울의 구속이 해제되어 도어가 열린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린 후 릴리즈기어(60)의 위치를 스위치가 감지하여 모터부(10)가 역회전하면, 출력축(12)에 맞물려 돌아가는 연결기어부(20)가 역회전(도 10 기준 시계 방향 회전)한다.
연결기어부(20)에 맞물린 회전기어부(3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기어부(30)의 가압돌기(34)가 릴리즈기어(60)를 가압하는 동작이 해제된다. 따라서 잠금레버(50)와 릴리즈기어(60)는 별도로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도어가 잠기는 초기 위치로 이동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가 더블언락으로 동작되는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더블언락은 평상 시에 더블락 상태에 있다가 충돌이나 사고 후 또는 전기 고장 모드시 ECU제어에 의해 더블언락 모드로 동작되는 상태이다. 더블언락은 사이드 도어를 전기적이 아닌 키(KEY) 또는 핸들을 당겨 수동으로 오픈 가능하게 한다.
도 11은 도어가 닫혀 있는 더블락 상태이며, 이러한 상태에서 충돌이나 사고 발생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CU제어에 의해 모터부(10)가 역회전한다. 이에 따라서 연결기어부(20)가 시계방향으로 역회전하며, 연결기어부(20)에 맞물린 회전기어부(30)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기어부(30)의 가이드홈부(36)에 가이드돌기(85)가 삽입된 더블락링크부(80)는 가이드홈부(36)를 따라 베이스축(40)을 향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서 더블락링크부(80)의 돌출돌기(87)가 인사이드레버(70)의 이동경로에 위치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부재(78)가 당겨지면서 케이블부재(78)에 연결된 인사이드레버(70)가 회전한다. 인사이드레버(70)가 회전하면서 가압레버(76)가 돌출돌기(87)를 회전시키므로 인사이드레버(70)와 함께 더블락링크부(80)가 회전한다.
더블락링크부(80)의 가이드돌기(85)가 가이드홈부(36)의 상측에 걸린 상태에서 추가 회전이 이루어지므로 더블락링크부(80)와 함께 회전기어부(30)가 회전하면서 릴리즈기어(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릴리즈기어(60)가 잠금레버(50)를 회전시키므로 잠금레버(50)의 구속이 해제된다.
도어가 열린 이후에, 더블락링크부(80)와 인사이드레버(70)와 릴리즈기어(60)는 스프링에 의해 초기 위치로 리턴되어 더블언락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가 더블락으로 동작되는 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도어래치(1)는, 전기 고장 모드 끝나고 시스템 회복될 때 ECU제어에 의해 더블 락 모드로 이동한다. 즉 전기 고장모드 외에는 항상 더블 락 상태를 유지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이나 사고시 또는 전기 고장 모드일 경우 더블언락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시스템이 회복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ECU 제어에 의해 모터부(10)가 정회전하면, 모터부(10)에 맞물리는 연결기어부(20)도 반시계 방향으로 정회전하면서 회전기어부(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가이드홈부(36)를 따라 릴리즈기어(60)를 향한 방향으로 이동된 더블락링크부(80)는 가이드홈부(36)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기어부(30)의 하측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돌출돌기(87)는 인사이드레버(70)의 이동경로에서 벗어나므로 케이블부재(78)에 의해 인사이드레버(70)가 회전되어도 더블락링크부(80)가 회전되지 않으므로 도어의 열림을 구속한다.
도 16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래치(1)는 일반모드로 더블락 상태이며, 도 17에 도시된 차량용 도어래치(1)는 차량 충돌이나 전기 고장 등 비상모드로 더블언락 상태이다.
더블락상태에서 비상신호가 입력되면 모터부(10)는 역회전을 하므로 더블언락 상태가 되며, 비상모드가 종료되면 다시 모터부(10)는 정회전을 하므로 더블락 상태가 된다.
그리고, 더블락상태에서 릴리즈 신호가 입력되면 모터부(10)는 정회전을 하므로 파워릴리즈 상태가 되며, 도어 오픈 후 릴리즈기어(60)의 위치를 스위치가 감지하면 모터부(10)가 역회전을 하므로 더블락 상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더블락과 더블언락 및 파워릴리즈 기능을 단일 모터부(10)로 구현하므로 래치장치의 부품수를 감소시켜 생산비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도어래치
10: 모터부 12: 출력축
20: 연결기어부 22: 제1기어 24: 제2기어
30: 회전기어부 32: 회전기어몸체 34: 가압돌기 36: 가이드홈부
40: 베이스축 50: 잠금레버
60: 릴리즈기어 62: 릴리즈몸체 64: 연장돌기 66: 해제돌기
70: 인사이드레버 72: 인사이드레버몸체 74: 연결몸체 76: 가압레버 78: 케이블부재
80: 더블락링크부 82: 더블락링크몸체 83: 슬롯홀 85: 가이드돌기 87: 돌출돌기
90: 하우징부 95: 연결링크

Claims (7)

  1.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의 출력축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연결기어부;
    상기 연결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마주하며 설치되는 부재의 이동을 안내하는 회전기어부;
    상기 회전기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이스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기어부의 측면에 걸려서 상기 회전기어부와 함께 회전되며 파울의 회전을 구속하는 잠금레버를 이동시키는 릴리즈기어;
    상기 베이스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블부재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인사이드레버; 및
    상기 릴리즈기어와 상기 인사이드레버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베이스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기어부가 정회전을 할 때 상기 회전기어부에 맞물려 돌아가는 회전기어부의 홈부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인사이드레버의 이동경로에서 벗어나며, 상기 회전기어부가 역회전을 할 때 상기 회전기어부에 맞물려 돌아가는 회전기어부의 홈부를 따라 이동되어 상기 인사이드레버의 이동경로에 위치하는 더블락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어부는, 상기 출력축의 외측에 구비된 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1기어; 및
    상기 제1기어에 연이어 설치되며, 상기 제1기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회전기어부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2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부는, 상기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2기어에 맞물리는 기어가 외주면에 형성되는 회전기어몸체;
    상기 회전기어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릴리즈기어의 측면을 가압하는 가압돌기; 및
    상기 더블락링크부와 마주하는 상기 회전기어몸체의 측면에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더블락링크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즈기어는, 상기 출력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릴리즈몸체;
    상기 릴리즈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압돌기와 마주하는 연장돌기; 및
    상기 릴리즈몸체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잠금레버와 마주하는 해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사이드레버는, 상기 베이스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인사이드레버몸체;
    상기 인사이드레버몸체에서 돌출되어 상기 케이블부재에 연결되는 연결몸체; 및
    상기 인사이드레버몸체에서 돌출되며, 상기 회전기어부를 따라 이동경로로 이동된 상기 더블락링크부를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가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락링크부는, 상기 베이스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더블락링크몸체;
    상기 더블락링크몸체의 일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홈부로 삽입되며, 상기 회전기어몸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부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돌기; 및
    상기 더블락링크몸체의 타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돌기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가압레버의 이동경로로 이동되어 상기 가압레버에 의해 밀려서 이동이 이루어지는 돌출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더블락링크몸체는 상기 베이스축이 이동되기 위한 장공 형상의 슬롯홀이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래치.
KR1020160123089A 2016-09-26 2016-09-26 차량용 도어래치 KR101818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089A KR101818169B1 (ko) 2016-09-26 2016-09-26 차량용 도어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3089A KR101818169B1 (ko) 2016-09-26 2016-09-26 차량용 도어래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169B1 true KR101818169B1 (ko) 2018-01-12

Family

ID=61000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3089A KR101818169B1 (ko) 2016-09-26 2016-09-26 차량용 도어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16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05716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WO2009128309A1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EP3783174A1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JP4555871B2 (ja) ドアロック装置
US11377882B2 (en) Motor vehicle lock
KR101212591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20200105075A (ko) 파워 차일드 록 조작장치
JP2019501316A (ja) 車両用トランクドアラッチアセンブリ
JP5421083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1806612B1 (ko) 차량용 잠금 방지 도어래치
JP7327124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KR101818169B1 (ko) 차량용 도어래치
KR101168417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JP4564077B2 (ja) 自動車用ドアラッチ装置
KR101212590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JP4957293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JP6007129B2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2196246B1 (ko) 인터럽팅 기능을 갖는 차량용 래치장치
JP2022027045A (ja) 車両用ドア操作装置
KR102149694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2167840B1 (ko) 차량용 래치장치
KR101168418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US20230228132A1 (en) Electric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KR101212592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20230140857A (ko) 차량용 도어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