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00129A -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 - Google Patents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00129A
KR20110100129A KR1020100118139A KR20100118139A KR20110100129A KR 20110100129 A KR20110100129 A KR 20110100129A KR 1020100118139 A KR1020100118139 A KR 1020100118139A KR 20100118139 A KR20100118139 A KR 20100118139A KR 20110100129 A KR20110100129 A KR 20110100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ressure
tank
air
pressure
mist sepa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8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3663B1 (ko
Inventor
다모츠 가네코
Original Assignee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가이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0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1/00Pipe-line systems
    • F17D1/02Pipe-line systems for gases or vapours
    • F17D1/065Arrangements for producing propulsion of gases or vapours
    • F17D1/07Arrangements for producing propulsion of gases or vapours by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6Filtration; Moisture sepa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5/00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 F17C5/06Methods or apparatus for filling containers with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under pressures for filling with compressed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3/00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 F17D3/14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eliminating water
    • F17D3/145Arrangements for supervising or controlling working operations for eliminating water in gas pipe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DPIPE-LINE SYSTEMS; PIPE-LINES
    • F17D5/00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 F17D5/005Protection or supervision of installations of gas pipelines, e.g. alar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6/00Control of fluid pressure
    • G05D16/20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16/2006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 G05D16/2013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using throttling means as controlling means
    • G05D16/2026Control of fluid press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with direct action of electric energy on controlling means using throttling means as controlling means with a plurality of throttl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rying Of Gase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과제] 에어컴프레셔의 운전을 적정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탱크로 회수되는 응집수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며, 탱크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할 수 있는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에어컴프레셔(2)로 압축하여 탱크(6)에 저장한 고압에어를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 제습하여 고압드라이에어로 하여 설비기기(21)로 공급하는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1)에 있어서, 미스트 세퍼레이터의 하류 측에 미스트 세퍼레이터로의 고압드라이에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밸브(22)를 설치하고, 미스트 세퍼레이터와 탱크와의 사이에 탱크로부터 미스트 세퍼레이터로의 고압에어의 공급·정지를 전환하는 전자개폐밸브(19)를 설치함과 아울러, 역지밸브의 하류의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을 검출하고, 당해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이 설정값을 넘었을 때, 전자개폐밸브을 닫아 탱크의 내부압력의 저하를 억제하는 제2 압력스위치(20)을 구비했다.

Description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DRIED HIGH PRESSURE AIR SUPPLY SYSTEM}
본 발명은 에어컴프레셔의 운전을 적정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탱크로 회수되는 응집수(凝集水)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며, 탱크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할 수 있는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각종의 공장설비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등의 생산설비에서는 설비기기의 구동이나 제어 등에 고압에어가 이용되고 있다. 고압에어를 각종의 설비기기로 공급하는 경우, 고압에어에 수분이 포함되어 있으면 지장이 생기므로, 고압에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여 드라이하게 해 둘 필요가 있다. 수분을 포함하는 에어가 설비기기로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의 일례로서, 특허문헌 1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의 「공기압 공급회로에서의 자동 배수처리장치」는 기계가 휴지하고 있을 때에 기계의 공압(空壓)회로 내에 에어드라이어의 처리를 거치지 않은 수분을 포함하는 공기가 흘러드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기계의 운전 중에는 에어드라이어에 의한 유효한 녹방지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하여, 에어드라이어의 입구 측에 설치되어 공기압배관을 개폐하는 전자전환밸브와, 전자전환밸브의 상류에 조립되어 일정량의 드레인이 모이면 자동적으로 드레인을 배출하는 오토드레인기구를 구비한 에어필터와, 기계의 가동/휴지상태를 검지하고, 공기압기기의 휴지시에는 공기압배관의 닫음위치로 전자전환밸브를 전환하며, 기계의 가동시에는 열림위치로 전환하는 밸브전환 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평9-89200호 공보
이런 종류의 고압드라이에어의 공급시스템 중에는 에어컴프레셔와 이 에어컴프레셔로 압축한 고압에어를 저장하는 탱크를 가지는 것이 있다. 탱크에 저장한 고압에어는 설비기기에서의 소비에 따라서 탱크로부터 설비기기로 공급된다. 에어컴프레셔의 운전·정지탱크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 설정압력을 하회했는지에 따라서 전환된다. 탱크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에서 정지하고 있는 에어컴프레셔는 내부압력이 설정압력보다도 저하하면 운전을 재개한다.
탱크와 설비기기의 사이에는 탱크로부터의 고압에어를 제습하는 미스트 세퍼레이터를 설치하고, 이 미스트 세퍼레이터에서 고압에어를 고압드라이에어로 하여 설비기기로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미스트 세퍼레이터 중에는 제습에 의해 발생하는 드레인을 대기(大氣)개방한 배출계(排出系)로 대기압하에서 자동적으로 배출하는 오토드레인 타입의 것이 있다. 이 오토드레인 타입의 미스트 세퍼레이터는, 드레인의 배출이 자동적이므로 자동운전에 적합하다.
드레인을 대기압하에서 자동적으로 배출하는 구조의 미스트 세퍼레이터에서는 고압에어가 가압상태에 있을 때, 고압에어가 유통하여, 항상 약간의 고압에어의 리크가 발생하고 있다. 미스트 세퍼레이터에서 고압에어의 리크가 있으면, 상당량의 고압에어가 탱크로부터 계속 유출하게 된다. 미스트 세퍼레이터에서의 리크에 의해, 설비기기에서의 소비는 적음에도 불구하고, 탱크로부터 고압에어가 계속 유출하면, 탱크의 내부압력은 설정압력보다 저하해 버리며, 이 때문에 에어컴프레셔의 운전이 재개된다. 에어컴프레셔로부터의 고압에어로 탱크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일단 복귀하여도 미스트 세퍼레이터에서 리크가 생기고 있는 한, 곧바로 탱크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을 하회해 버려, 그때마다, 에어컴프레셔가 반복해서 재기동되게 된다.
미스트 세퍼레이터에서의 리크에 기인하여, 설비기기에서의 소비와는 관계없이, 에어컴프레셔가 빈번하게 운전을 재개하여 운전시간이 길어지는 것은 전력사용에 낭비를 발생시키고 있고, 에너지 절약이나 탄산가스 배출삭감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았다.
한편, 에어컴프레셔가 에어를 압축함으로써 발생하는 응집수를 탱크에 회수하여 배수하도록 하고 있는 경우에는 운전시간에 비례하여 응집수가 고이기 때문에, 에어컴프레셔의 운전빈도가 빈번하거나 운전시간이 길면, 단시간 동안에 탱크 내에 응집수가 다량으로 모인다. 응집수의 배수처리는 일정량 모인 시점에서 자동적으로 행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탱크의 내부에서는 빈번히 모이는 응집수에 의해서 녹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 녹은 탱크로부터 응집수를 배수할 때에 구멍막힘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된다. 구멍막힘이 발생하면, 배수조작에 지장을 일으키게 한다. 따라서, 녹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 응집수의 배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탱크를 청소하는 등의 메인터넌스를 빈번히 행할 필요가 있어, 기기관리의 절력화(節力化)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에어컴프레셔의 운전을 적정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탱크로 회수되는 응집수량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고, 탱크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할 수 있는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은, 에어컴프레셔와 이 에어컴프레셔로 압축한 고압에어를 저장하는 탱크를 가지고, 이 탱크의 내부압력이 저하하면 이 에어컴프레셔를 운전하며, 이 에어컴프레셔가 에어를 압축함으로써 발생하는 응집수는 이 탱크로 회수하여 배수함과 아울러, 이 탱크에 저장한 고압에어는 드레인을 대기압하에서 배출하는 미스트 세퍼레이터로 제습해 고압드라이에어로 하여 설비기기로 공급하도록 한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세퍼레이터의 하류 측에 이 미스트 세퍼레이터로의 고압드라이에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逆止)기구를 마련하고, 상기 미스트 세퍼레이터와 상기 탱크와의 사이에 이 탱크로부터 이 미스트 세퍼레이터로의 고압에어의 공급·정지를 전환하는 개폐밸브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역지기구의 하류의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을 검출하고, 당해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이 설정값을 넘었을 때, 상기 개폐밸브를 닫아 상기 탱크의 내부압력의 저하를 억제하는 압력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지기구의 하류 측에 상기 미스트 세퍼레이터로부터의 고압드라이에어를 상기 설비기기로 공급하기 위해서 저장하는 이차탱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스트 세퍼레이터가 오토드레인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에서는 에어컴프레셔의 운전을 적정화할 수 있어,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탱크로 회수되는 응집수량을 저감할 수 있어, 탱크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의 바람직한 일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에어컴프레셔(2)로 압축한 고압에어를 드라이한 고압에어로 하여, 예를 들면,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설비의 카트(cart)에 구비되는 칩관의 클램프기구(3)나 노즐승강실린더(4), 진공벌브(bulb)(5) 등의 각종 설비기기(21)로 공급한다.
에어컴프레셔(2)는 흡입구로부터 에어(대기)를 흡인(吸引)해 압축하여, 고압에어를 만들어 낸다. 에어컴프레셔(2)의 토출구에는 탱크(6)가 접속된다. 탱크(6)는 에어컴프레셔(2)로 압축한 고압에어를 저장함과 아울러, 에어컴프레셔(2)가 에어를 압축함으로써 발생하는 응집수(w)를 회수한다. 탱크(6)는 전자배수밸브(7)를 가지는 배수계(8)를 구비한다. 전자배수밸브(7)를 개방함으로써, 탱크(6) 내에 회수된 응집수(w)는 배수계(8)로부터 배수된다.
탱크(6)에는 탱크(6)의 내부압력을 검출함과 아울러, 검출된 내부압력에 따라 에어컴프레셔(2)의 운전·정지를 전환하는 제1 압력스위치(9)가 설치된다. 제1 압력스위치(9)에는 설정압력이 설정되고, 고압에어를 저장하는 탱크(6)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 이상으로 유지되고 있을 때는, 에어컴프레셔(2)에 정지신호를 출력하고, 내부압력이 설정압력보다 저하했을 때에는, 에어컴프레셔(2)에 운전신호를 출력한다.
탱크(6)에는 고압에어를 유통시키는 배관(10)을 통하여 이차탱크(11)가 접속된다. 이차탱크(11)와 탱크(6)와의 사이에는 배관(10)에 장착하여, 탱크(6)로부터의 고압에어를 제습해 고압드라이에어로 하는 미스트 세퍼레이터(12)가 설치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미스트 세퍼레이터(12)는 3대 배열되며, 3단계에서 고압에어의 제습을 행하여 고압드라이에어로 한다. 각 미스트 세퍼레이터(12)는 공장설비나 생산설비의 자동운전에 적절한 오토드레인 타입으로서, 대기개방된 드레인계(12a)를 가지며, 고압에어의 제습으로 생긴 드레인을 대기압하에서 자동적으로 배출한다.
미스트 세퍼레이터(12)의 하류 측에는 배관(10)에 장착하여, 제습 후의 고압드라이에어를 더욱 건조시키는 드라이어(13)가 설치된다. 드라이어(13)의 하류 측에는 배관(10)에 장착하여, 배관(10) 내의 압력변동을 억제하는 제1 레귤레이터(14)가 설치된다.
이차탱크(11)는 배관(10)에 접속하여, 제1 레귤레이터(14)의 하류 측, 즉 미스트 세퍼레이터(12)의 하류 측에 설치된다. 또, 이차탱크(11)는 분기된 이차배관(15)을 통하여 각종의 설비기기(21)인 칩관의 클램프기구(3) 등에 접속된다. 이차배관(15)에는 클램프기구(3)나 노즐승강실린더(4) 등으로의 고압드라이에어의 공급·정지를 제어하는 전자제어밸브(16)나 전자밸브유니트(17), 이차배관(15) 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제2 레귤레이터(18)가 설치된다. 이차탱크(11)는 압력변동을 억제하는 버퍼(buffer)탱크로서,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부터의 고압드라이에어를 클램프기구(3) 등으로 공급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미스트 세퍼레이터(12)와 탱크(6)와의 사이에는 배관(10)에 장착하여, 탱크(6)로부터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의 고압에어의 공급·정지를 전환하는 전자개폐밸브(19)가 설치된다. 전자개폐밸브(19)가 열리면, 탱크(6)로부터의 고압에어는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 공급된다. 전자개폐밸브(19)가 닫히면, 고압에어는 탱크(6)로부터 송출되지 않고, 탱크(6)에 저장된다.
제1 레귤레이터(14)의 하류 측, 즉 미스트 세퍼레이터(12)의 하류 측으로서, 이차탱크(11)의 상류 측에는 배관(10)에 장착하여,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부터의 고압드라이에어가 이차탱크(11) 측으로부터 당해 미스트 세퍼레이터(12) 측을 향하여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지기구로서, 역지밸브(22)가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역지밸브(22)는 전자개폐밸브(19)를 닫았을 때, 이차탱크(11) 측으로 송입되는 고압드라이에어나 이차탱크(11)에 저장되어 있는 고압드라이에어가 드레인계(12a)가 대기압하에 개방되어 있는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 역류하여 리크해 버리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아울러 이차탱크(11)의 내부압력이 저하해 버리는 것을 방지한다. 역지기구로서는 역지밸브(22)에 한정하지 않고, 고압드라이에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면, 전자제어밸브나 전환밸브 등, 어떠한 수단이어도 된다.
역지밸브(22)의 하류 측에는 배관(10)에 장착하여, 제2 압력스위치(20)가 설치된다. 제2 압력스위치(20)는 역지밸브(22)의 하류에서의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을 검출함과 아울러, 검출된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에 따라서 전자개폐밸브(19)의 개폐를 전환한다. 제2 압력스위치(20)에는 역지밸브(22) 하류의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의 설정값이 설정되고, 검출된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이 설정값을 넘고 있을 때는 전자개폐밸브(19)에 닫음신호를 출력하며, 설정값 이하가 되었을 때에는 전자개폐밸브(19)에 열림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제2 압력스위치(20)에서 검출된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이 설정값을 넘고 있고, 전자개폐밸브(19)가 닫혀짐으로써, 탱크(6)로부터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의 고압에어의 공급이 정지되며, 탱크(6)의 내부압력의 저하가 억제된다. 한편, 설비기기(21)에서의 고압드라이에어의 소비에 의해, 검출되는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이 설정값 이하로 저하했을 때에는 전자개폐밸브(19)가 열려 탱크(6)의 고압에어는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 보내져 고압드라이에어로 처리되어, 이차탱크(11)로 공급된다. 제2 압력스위치(20)는 이차탱크(11)에 설치하도록 하여, 이차탱크(11)의 내부압력을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역지밸브(22)의 열림밸브압력과, 제1 압력스위치(9)의 설정압력의 관계는 탱크(6)로부터 이차탱크(11)로의 고압에어의 공급을 보증하기 위해서, 제1 압력스위치(9)의 설정압력이 역지밸브(22)의 열림밸브압력보다도 높게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탱크(6)로부터의 고압에어는 역지밸브(22)를 열어 이차탱크(11) 측에 유통된다.
또, 역지밸브(22)의 열림밸브압력과, 제2 압력스위치(20)의 설정값의 관계는 고압드라이에어가 역지밸브(22)를 거쳐 이차탱크(11)로 부드럽게 유입할 수 있도록 제2 압력스위치(20)의 설정값은 역지밸브(22)의 열림밸브압력보다도 낮게 설정된다. 따라서, 제2 압력스위치(20)의 설정값은 제1 압력스위치(9)의 설정압력보다도 낮게 설정된다.
또, 역지밸브(22)의 하류 측에는 배관(10)에 접속하여, 본 시스템(1)에 대한 메인터넌스를 행할 때, 역지밸브(22)와 이차탱크(11)와의 사이로부터 배기하여 배관(10) 내의 잔압을 개방하는 수동개폐식의 잔압개방밸브(23)가 설치된다. 또한, 24, 25는 압력게이지이다.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1)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설비기기(21)에서 고압드라이에어가 계속적으로 소비되고 있는 상황을 초기상태로 하여, 이하 설명한다.
고압드라이에어의 소비에 의해서, 역지밸브(22)의 하류에서의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이 설정값 이하이면, 제2 압력스위치(20)에 의해 전자개폐밸브(19)는 열려 있다. 전자개폐밸브(19)가 열려 있으면, 탱크(6)로부터 고압에어가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 공급된다.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 고압에어를 공급하고 있는 탱크(6)의 내부압력이 설정압력보다도 저하되고 있으면, 제1 압력스위치(9)에 의해 에어컴프레셔(2)가 운전된다.
이것에 의해, 에어컴프레셔(2)로 압축한 고압에어를 저장하는 탱크(6)는 고압에어를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 보내고, 미스트 세퍼레이터(12)는 고압에어를 제습하여 고압드라이에어로 하여 이차탱크(11)로 보내며, 이차탱크(11)는 고압드라이에어를 저장함과 아울러, 이 고압드라이에어를 설비기기(21)로 보낸다.
고압드라이에어의 소비가 적게 되어, 역지밸브(22)의 하류의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이 설정값을 넘으면, 제2 압력스위치(20)는 전자개폐밸브(19)를 닫는다. 전자개폐밸브(19)가 닫히면, 탱크(6)로부터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의 고압에어의 공급이 정지하고, 탱크(6) 내에서의 고압에어의 저장량이 증가하여 내부압력이 설정압력을 넘는다. 설정압력을 넘으면, 제1 압력스위치(9)는 에어컴프레셔(2)의 운전을 정지한다.
그 후에는, 설비기기(21)에서의 고압드라이에어의 소비 상황에 의해서, 제2 압력스위치(20)가 전자개폐밸브(19)에 열림신호를 출력할 때까지는, 전자개폐밸브(19)는 닫은 상태가 되어, 에어컴프레셔(2)의 운전정지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전자개폐밸브(19)와 이차탱크(11)와의 사이에서는 역지밸브(22)에 의해 이차탱크(11)로부터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의 고압드라이에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어, 이차탱크(11)의 내부압력의 저하를 저지할 수 있다. 이 때, 전자개폐밸브(19)와 역지밸브(22)와의 사이에 관해서는 오토드레인 타입의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부터 자동적으로 고압에어가 계속 리크하여 대기압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설비기기(21)에서의 고압드라이에어의 소비가 증가하면, 제2 압력스위치(20)에 의해 전자개폐밸브(19)가 열린다. 전자개폐밸브(19)가 열리면, 고압에어는 탱크(6)로부터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 송입되며, 제습된 고압드라이에어가 역지밸브(22)에 이른다. 역지밸브(22)에 이른 고압드라이에어는 역지밸브(22)를 열어 이차탱크(11)로 송입된다. 이것에 의해, 고압드라이에어를 이차탱크(11)로 보급할 수 있다. 고압에어가 송출됨으로써 내부압력이 저하한 탱크(6)에서는 제1 압력스위치(9)가 에어컴프레셔(2)의 운전을 재개하고, 에어컴프레셔(2)로 압축된 고압에어를 탱크(6)에 저장할 수 있다.
또, 에어컴프레셔(2)가 에어를 압축함으로써 발생하는 응집수(w)는 탱크(6)로 회수되며, 회수된 응집수(w)는 배수계(8)의 전자배수밸브(7)를 개방함으로써, 탱크(6) 바깥쪽으로 배수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에 관한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1)에서는 리크를 발생하는 오토드레인 타입의 미스트 세퍼레이터(12)와 탱크(6)의 사이에 전자개폐밸브(19)를 설치하고, 미스트 세퍼레이터(12)의 하류 측에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부터의 고압드라이에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밸브(22)를 설치함과 아울러, 역지밸브(22)의 하류의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을 검출하여 전자개폐밸브(19)를 개폐하는 제2 압력스위치(20)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고압드라이에어를 공급할 필요가 있을 때, 즉 역지밸브(22)의 하류의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이 설정값 이하일 때에만, 제2 압력스위치(20)로 전자개폐밸브(19)를 열어 공급을 행하고, 공급할 필요가 없을 때에는 미스트 세퍼레이터(12)에서 고압에어가 계속 리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2 압력스위치(20)로 전자개폐밸브(19)를 닫도록 함으로써, 미스트 세퍼레이터(12)에서의 리크에 기인하여 탱크(6)의 내부압력이 저하해 빈번하고 또한 쓸데없이 에어컴프레셔(2)가 운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해 에어컴프레셔(2)의 운전을 적정화할 수 있어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어, 에너지 절약이나 탄산가스의 배출삭감을 달성할 수 있다.
또, 에어컴프레셔(2)의 운전을 적정화할 수 있어 운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므로, 탱크(6)로 회수되는 응집수(w)의 양을 저감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에어컴프레셔(2)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녹의 발생 등을 억제하여 배수작용을 원활히 유지할 수 있어 청소 등의 수고를 삭감할 수 있으며, 탱크(6)나 배수계(8)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할 수 있어 기기관리의 절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역지밸브(22)를 미스트 세퍼레이터(12)와 이차탱크(11)와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전자개폐밸브(19)를 닫을 때, 이차탱크(11)에 저장되어 있는 고압드라이에어가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부터 리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자개폐밸브(19)의 개방시, 미스트 세퍼레이터(12)를 통하여 공급되는 고압드라이에어는 항상 역지밸브(22)의 열림밸브압력 이상이 되므로, 이차탱크(11)로 공급되는 고압드라이에어의 압력을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역지밸브(22)의 하류 측에 미스트 세퍼레이터(12)로부터의 고압드라이에어를 설비기기(21)로 공급하기 위해서 저장하는 이차탱크(11)를 설치함으로써, 고압드라이에어를 설비기기(21)에 안정하여 공급할 수 있다.
1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 2 에어컴프레셔
6 탱크 11 이차탱크
12 미스트 세퍼레이터 19 전자개폐밸브
20 제2 압력스위치 21 설비기기
22 역지밸브 w 응집수

Claims (3)

  1. 에어컴프레셔와 이 에어컴프레셔로 압축한 고압에어를 저장하는 탱크를 가지고, 이 탱크의 내부압력이 저하하면 이 에어컴프레셔를 운전하며, 이 에어컴프레셔가 에어를 압축함으로써 발생하는 응집수는 이 탱크로 회수하여 배수함과 아울러, 이 탱크에 저장한 고압에어는 드레인을 대기압하에서 배출하는 미스트 세퍼레이터로 제습하여 고압드라이에어로 하여 설비기기로 공급하도록 한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세퍼레이터의 하류 측에 이 미스트 세퍼레이터로의 고압드라이에어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기구를 마련하고,
    상기 미스트 세퍼레이터와 상기 탱크와의 사이에 이 탱크로부터 이 미스트 세퍼레이터로의 고압에어의 공급·정지를 전환하는 개폐밸브를 설치함과 아울러,
    상기 역지기구의 하류의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을 검출하고, 당해 고압드라이에어 압력이 설정값을 넘었을 때, 상기 개폐밸브를 닫아 상기 탱크의 내부압력의 저하를 억제하는 압력스위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지기구의 하류 측에 상기 미스트 세퍼레이터로부터의 고압드라이에어를 상기 설비기기로 공급하기 위해서 저장하는 이차탱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미스트 세퍼레이터가 오토드레인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
KR1020100118139A 2010-03-03 2010-11-25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 KR1011936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46171 2010-03-03
JP2010046171A JP4917158B2 (ja) 2010-03-03 2010-03-03 高圧ドライエア供給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0129A true KR20110100129A (ko) 2011-09-09
KR101193663B1 KR101193663B1 (ko) 2012-10-22

Family

ID=44601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8139A KR101193663B1 (ko) 2010-03-03 2010-11-25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17158B2 (ko)
KR (1) KR101193663B1 (ko)
CN (1) CN102192400B (ko)
TW (1) TWI38502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0514A1 (en) * 2017-09-22 2019-03-28 Engineered Corrosion Solutions, Llc CONTROLLED AIR MAINTENANCE DEVICES FOR FIRE PROTECTION SYSTEMS
WO2022263985A1 (en) * 2021-06-14 2022-12-22 Tyco Fire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ic nitrogen generator bypassing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88744B (zh) * 2012-03-12 2013-06-19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煤气切断系统的在线检测泄漏方法
CN103277311B (zh) * 2013-05-14 2016-01-20 宁波鲍斯能源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分体式两级中压空压机组
CN104456090A (zh) * 2014-11-13 2015-03-25 宁夏中远天宇科技有限公司 一种地埋热力管道泄漏的压力报警系统
JP6683077B2 (ja) * 2016-09-05 2020-04-1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ガラス合成用流体供給装置
CN107554990A (zh) * 2017-10-10 2018-01-09 北京航天新风机械设备有限责任公司 一种储运箱除湿换气设备
CN109084183A (zh) * 2018-10-31 2018-12-25 安徽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压缩空气管道自动排水装置
JP7476110B2 (ja) * 2018-12-28 2024-04-30 ナブテスコオートモーティブ株式会社 空気供給システム
CN109798444B (zh) * 2019-03-15 2021-05-14 中广核核电运营有限公司 一种用于气体保养的安全装置
KR102096594B1 (ko) 2019-06-12 2020-05-28 주식회사 동광 에어 정온 냉각 시스템
US11638883B1 (en) * 2020-04-15 2023-05-02 Commoditas, LLC System and method for recycling helium
CN112503650B (zh) * 2020-12-02 2022-02-1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凝水装置、控制方法、控制装置、电器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95500A (ja) * 1987-02-04 1988-08-12 Toshiba Corp 空気供給装置
JPS63214600A (ja) * 1987-03-02 1988-09-07 Toshiba Corp 計装用圧縮空気供給装置
JPH01161199A (ja) * 1987-12-18 1989-06-23 Toshiba Corp 計装用圧縮空気供給装置
JPH04287884A (ja) * 1991-03-19 1992-10-13 Hitachi Ltd 空気圧縮機設備
DE19515895A1 (de) * 1995-04-29 1996-10-31 Bosch Gmbh Robert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für Fahrzeug-Druckluftanlagen sowie Verfahren zum Steuern der Druckluft-Versorgungseinrichtung
JPH0989200A (ja) * 1995-09-20 1997-03-31 Toshiba Mach Co Ltd 空気圧供給回路における自動排水処理装置
JPH10196900A (ja) * 1997-01-14 1998-07-31 Toshiba Eng Co Ltd 圧縮空気発生装置
JP3559958B2 (ja) * 1999-12-09 2004-09-02 株式会社フクハラ ドレン処理システム
TW442632B (en) * 2000-11-14 2001-06-23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any gas supply system interruption
JP2002241111A (ja) * 2001-02-14 2002-08-28 Fukuhara Co Ltd 圧力の高い窒素ガス製造設備の異常検知装置
JP2003336581A (ja) * 2002-05-20 2003-11-28 Fukuhara Co Ltd 圧縮空気と圧縮空気より発生したドレン水の一体型処理装置
JP2004162221A (ja) * 2002-11-14 2004-06-10 Tsudakoma Corp 空気噴射式織機の空気供給装置
CN2890582Y (zh) * 2006-01-18 2007-04-18 上海熊猫机械(集团)有限公司 一种供气装置
TWI351488B (en) * 2008-06-13 2011-11-01 Univ Chung Hua A detective equipment and the method for detect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0514A1 (en) * 2017-09-22 2019-03-28 Engineered Corrosion Solutions, Llc CONTROLLED AIR MAINTENANCE DEVICES FOR FIRE PROTECTION SYSTEMS
WO2022263985A1 (en) * 2021-06-14 2022-12-22 Tyco Fire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of automatic nitrogen generator bypass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663B1 (ko) 2012-10-22
CN102192400B (zh) 2013-08-28
TW201130555A (en) 2011-09-16
JP4917158B2 (ja) 2012-04-18
TWI385025B (zh) 2013-02-11
JP2011179628A (ja) 2011-09-15
CN102192400A (zh)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3663B1 (ko) 고압드라이에어 공급시스템
KR101035319B1 (ko) 연료전지시스템 및 그 정지방법
JP5248373B2 (ja) 水噴射式空気圧縮機
KR100294808B1 (ko) 자동 공압펌프
EP3596410B1 (en) Co2 refriger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4343683A (zh) 油冷式空气压缩机及其控制方法
KR20110006489U (ko) 동력 절감형 수충격 방지 시스템
EP3804837A1 (en) Air supply system
JP2007092230A (ja) 多段式ルーツブロワーを用いた圧縮空気利用システム
JP5262169B2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2009180099A (ja) 水潤滑圧縮機
KR101506847B1 (ko) 진공변기의 진공식환기장치
CN210859100U (zh) 具有排放装置的真空机组
JP2015034535A (ja) インバータ駆動圧縮機の運転制御方法及びインバータ駆動圧縮機
JP2010163919A (ja) 揚水装置
JP2010120103A (ja) 真空発生システム
JP7097098B2 (ja) 燃料電池に接続される圧縮空気圧回路構造
KR101587128B1 (ko) 공기 압축장치의 응축수 배출 시스템
CN220345449U (zh) 带有冷冻干燥设备的干选机系统
JP7039790B2 (ja) 排ガス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217025403U (zh) 基于喷雾干燥塔废水蒸发处理技术的输灰装置
CN110594127B (zh) 一种真空负压机组及其控制方法
CN211715296U (zh) 压缩空气站及工业炉
KR102394851B1 (ko) 안티 이멀전 에어 매니지먼트 시스템 적용 차량 및 이멀전 제거 방법
JP5396667B2 (ja) ドレン水の送水システムおよびドレン水の浄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