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8490A -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 - Google Patents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8490A
KR20110098490A KR1020100018134A KR20100018134A KR20110098490A KR 20110098490 A KR20110098490 A KR 20110098490A KR 1020100018134 A KR1020100018134 A KR 1020100018134A KR 20100018134 A KR20100018134 A KR 20100018134A KR 20110098490 A KR20110098490 A KR 201100984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olution
buffer
dermal matrix
cryoprote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9614B1 (ko
Inventor
전욱
최원익
홍준표
유현승
Original Assignee
(주)시지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시지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시지바이오
Priority to KR1020100018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9614B1/ko
Priority to PCT/KR2010/003783 priority patent/WO2011105663A1/ko
Priority to US13/580,248 priority patent/US9623149B2/en
Priority to CN201080064799.0A priority patent/CN102869392B/zh
Publication of KR201100984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84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9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9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61L27/362Skin, e.g. dermal papill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61L27/3687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hemical agents in the treatment, e.g. specific enzymes, detergents, capping agents, crosslinkers, anticalcification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60Materials for use in artificial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40Preparation and treatment of biological tissue for implantation, e.g. decellularisation, cross-link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otan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Zoolog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기본 용매 또는 용액을 기본 성분으로 하여 이에 수크로스를 첨가하여 동결 보호제를 만들고, 이 용액을 표피 및 진피 내 세포가 제거된 피부에 침투시킨 다음 동결 건조하여 무세포 진피 기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METHOD FOR PREPARING ACELLULAR DERMAL MATRIX AND ACELLULAR DERMAL MATRIX PREPARED THEREFROM}
본 발명은 무세포 진피 기질(acellular dermal matrix, ADM)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기본 용매 또는 용액을 기본 성분으로 하여 이에 수크로스를 첨가하여 동결 보호제를 만들고, 이 용액을 표피 및 진피 내 세포가 제거된 피부에 침투시킨 다음 동결 건조하여 무세포 진피 기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 표면 전체를 덮고 있는 가장 큰 장기로서 체액의 유실 및 외부로부터 유해물질과 미생물의 유입을 막고, 물리적, 화학적 자극 등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심한 화상, 외상, 상피암 절제 및 피부 질환 등으로 피부가 심각하게 손실된 환자의 경우, 손실 부위의 감염 및 체액의 손실을 막아주는 보호막의 기능과 함께 환자의 상처 부위에 흉터가 남지 않고, 자연치유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심각한 수축을 막아 주어야 한다. 손상된 피부 조직을 재생시키기 위한 방법으로는 환자 자신의 피부를 이식하는 자가 이식(autograft), 다른 사람의 피부를 이식하는 동종이식(allograft), 동물의 피부를 이식하는 이종이식(xenograft)의 세 가지 방법이 있다. 이들 방법 중 자가이식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화상부위가 광범위한 경우 조직을 확보할 수 있는 부위에 제한이 따르며, 채취 부위가 새로운 상처 부위로 남게 되는 어려움이 있다. 동종이식은 영구적인 생착 보다는 상처 주변부의 세포의 이동과 치유를 돕는 역할을 한다.
특히, 표피층, 진피층 및 피하층까지 손상되는 3도 화상의 경우에는 피부이식 치료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피부이식 치료는 자가이식 방법을 이용하는데, 피부를 떼어낸 건강한 부위에 새로운 외상이 발생하여 환자의 고통이 증가하고, 완치되는데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경제적 부담 또한 크다. 게다가 심한 화상환자와 같이 건강한 신체부위가 충분히 남아있지 않는 경우에는 자가 이식방법을 적용할 수 없거나 여러 차례에 걸쳐 이식수술을 시행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다른 사람의 피부를 이용하는 동종이식, 돼지 등과 같은 다른 동물의 피부를 이용하는 이종이식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면역거부 반응뿐만 아니라 다른 부작용을 종종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가장 일반적으로 국내외 병원에서 시행하는 화상수술의 경우 먼저 죽은 표피층과 진피층을 제거하고, 면역거부반응을 없애기 위해 기증된 사체의 피부를 이용하여 표피를 제거한 후, 진피 내 세포들을 제거한 무세포 진피를 이용하여 피부 이식을 수행한다. 이 후 배양된 각질 세포가 그 위에 온전한 피부를 완성하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피부는 기저막층을 포함하고 있어 실제 피부와 같이 외부 유해 물질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미국특허 제5,336,616호에서는 이식용 콜라겐-기반(collagen-based) 조직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서 개시하고 있는 방법에 따라 제조된 조직은 동결보호제의 조성이 콜라겐 조직 속으로 충분히 침투하고 있지 못하며, 수분을 많이 흡수하는 콜라겐 조직의 특성상 저농도의 당 성분이 조직 내 수분을 충분히 배출하지 못하게 만들어 동결시 조직 내에서 얼음결정이 생성된다. 이런 얼음결정은 건조 과정 중 조직에 많은 구멍을 만들어내며, 콜라겐 조직들을 파괴시키고, 이식 후 빨리 분해되어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흡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의 방법보다 효과적으로 조직의 안정성을 높이고 생물학적 성질의 변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인 과제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i) 동종 피부의 표피를 제거하고;
ⅱ) 진피 내 세포를 제거하며;
ⅲ)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기본 용매 또는 용액을 혼합하고;
ⅳ) 상기 용액에 수크로스를 최종 농도가 20 내지 40 중량%가 되도록 용해하여 동결 보호제를 제조하며;
ⅴ) 상기 동결 보호제를 상기 표피 및 진피 내 세포가 제거된 피부에 침투시키고;
ⅵ) 상기 동결 보호제가 침투된 피부를 동결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처리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을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동종피부는 면역거부반응을 없애기 위하여 표피가 제거된 후 진피 내 세포가 제거된다. 표피 및 진피 내 세포의 제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따라 수행될 수 있고 이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표피를 제거하는 것은, 예를 들면 트립신(trypsin), 콜라게나제(collagenase) 또는 디스파제(dispase) 등의 효소나 NaCl 용액으로 처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진피 내 세포를 제거하는 것은, 예를 들면 Triton X100, Tween 20, Tween 40, Tween 60, Tween 80 또는 SDS(sodium dodecylsulfate) 등으로 처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동결 보호제의 기본 성분으로는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및 기본 용매 또는 용액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기본 용매 또는 용액은 동결 보호제를 제조시 기본(base)이 되는 용매 또는 용액을 의미하고, 증류수, 생리 식염수(normal saline), 동물세포 처리시 사용되는 완충용액 또는 동물세포배양 배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용액은 당업계에서 동물세포의 처리시 사용되는 것인 한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완충용액은, 예를 들면 인산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 TBS(Tris buffered saline), TAPS(N-Tris(hydroxymethyl)methyl-3-aminopropanesulfonic acid) 완충용액, Bicine(N,N-Bis(2-hydroxyethyl)glycine) 완충용액, HEPES(4-(2-hydroxyethyl)-1-piperazineethanesulfonic acid) 완충용액, TES(N-Tris(hydroxymethyl)methyl-2-aminoethanesulfonicd acid) 완충용액, PIPES(piperazine-N,N'-bis(2-ethanesulfonic acid) 완충용액, 카코딜레이트(cacodylate) 완충용액, MES(2-(N-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완충용액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동물세포배양 배지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배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동물세포배양 배지는, 예를 들면 MEM(Minimum Essential Media),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a), RPMI 1640, IMDM(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a), Defined Keratinocyte-SFM(without BPE(Bovine Pituitary Extract)), Keratinocyte-SFM(with BPE), KnockOut D-MEM, AmnioMAX-II Complete Medium 및 AmnioMAX-C100 Complete Medium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기본 용매 또는 용액은 바람직하게는 중량 기준으로 0.5~2 : 0.5~2 : 6~10, 더 바람직하게는 0.8~1.5 : 0.8~1.5 : 7~9,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1 : 8의 혼합비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글리세롤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혼합비가 0.5 미만이면 동결시 냉해로 인한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를 초과하면 동결건조 후 조직의 변성이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동결 보호제는 상기 기본 성분이 혼합된 용액에 수크로스(sucrose)를 최종 농도가 20 내지 40 중량%가 되도록 용해함으로써 제조된다. 완만동결법을 이용하여 동결을 할 경우 세포 및 조직 내 수분의 손실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세포 내 형성된 빙결은 세포와 조직을 물리적으로 파괴하게 된다. 또한 동결건조 시 수분의 증발로 인하여 조직의 응축이 일어나게 되는데 빙결로 인해 조직의 파괴가 일어나면 조직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는 콜라겐 섬유의 결속력이 약해지거나 끊어지게 되고 이 경우 동결 건조시 더욱 조직의 파괴가 가속화된다. 이렇게 제작된 무세포 진피 기질은 인장강도가 약해짐으로 무세포 진피 기질을 많이 사용하는 화상환자의 관절 부위에 이식시 수술 후 좋은 예후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세포 내 빙결 형성을 최대한 억제하는 것이 동결 보호제의 선결과제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막투과성을 가지는 글리세롤과 고농도의 수크로오스 그리고 비투과성을 가지는 프로필렌 글리콜을 빙결로 인해 발생하는 물리적 파괴로부터 조직을 보호하고 안정화시키는 동결보존 용액의 주요 물질로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된 프로필렌 글리콜은 다른 글리콜 류에 비해 독성이 거의 없어 식품첨가물과 화장품에도 사용되는 물질로서 박테리아와 곰팡이의 증식을 억제하는 항균작용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동결 건조 후 오염으로부터 조직을 보호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무세포 진피 기질은 조직의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고, 수크로스,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기본 용매 또는 용액의 이상적인 혼합비로 더욱 진피조직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동결 보호제에 수크로스가 2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면 동결시 얼음 결정으로 인해 조직의 안정성 등이 미약해질 수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되면 고농도의 당성분으로 인하여 동결건조 후 조직에 당 결정이 생성되어 조직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본 발명에서 동결 보호제는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 성분이 혼합된 용액에 수크로스를 최종 농도가 30 중량%가 되도록 용해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표피 및 진피 내 세포가 제조된 피부에 동결 보호제를 침투시키는 것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저온 반응기에서 피부에 동결 보호제를 침투시킨다. 당성분은 미생물의 영양 공급원으로서 피부 가공시 오염의 소지가 될 수 있으므로 저온에서 동결보호제를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온에서의 동결 보호제의 반응은 원재료인 콜라겐 조직의 변성을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동결 보호제를 저온에서 침투시키는 것은 상온에서 이루어지는 것보다 더 바람직하다. 침투에 걸리는 시간은 피부 조직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할 수 있고, 예를 들면 4℃의 저온 반응기에서 약 6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침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동결 보호제가 침투된 피부는 온도 조절이 가능한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동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결시 온도 조절이 가능한 동결건조기를 사용하면 원하는 속도로 피부를 동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온도 조절이 가능한 동결건조기를 사용하여 피부를 동결하는 속도는 바람직하게는 분당 -0.1℃ 내지 -5℃, 가장 바람직하게는 분당 -1℃이다.
본 발명의 처리 방법에 따라 제조된 이식용 무세포 진피 기질은 조직의 안정성이 높고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구조 및 기저막(basement membrane)이 손상 없이 유지되며 생물학적 성질의 변화도 적어서 무세포 진피 기질의 이식율을 높이고 치료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은 농도별 수크로스가 사용된 동결보존액으로 동결건조시킨 무세포 진피 기질을 재수화한 다음 H&E 염색을 하고 광학 현미경으로 100배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A: 5% 수크로스, B: 10% 수크로스, C: 15% 수크로스, D: 20% 수크로스, E: 25% 수크로스, F: 30% 수크로스)
도 2는 농도별 수크로스가 사용된 동결보존액으로 동결건조시킨 무세포 진피 기질을 전자 현미경으로 150 및 1,000배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A: 0% 수크로스, 150배; B: 0% 수크로스, 1,000배; C: 10% 수크로스, 150배; D: 10% 수크로스, 1,000배; E: 30% 수크로스, 150배; F: 30% 수크로스, 1,000배)
도 3은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의 무세포 진피 기질을 H&E 염색 후 광학 현미경으로 100배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A: 실시예; B: 비교예 1; C: 비교예 2)
도 4는 수크로스를 최종 농도 30 중량%로 포함하는 동결 보호제로 처리한 동결보존 무세포 진피 기질과 비교예 1 및 2의 무세포 진피 기질에 대하여 콜라겐 분해효소에 의한 분해성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Positive control: 콜라겐 분말을 콜라겐 분해효소 처리; Negative control: 콜라겐 분해효소 처리 안 함)
이하에서 본 발명을 실시예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증자(시체)로부터의 인체 피부조직의 용도가 제한됨에 따라 인체 피부에 가까운 돼지 피부를 사용하여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방법에 따라 각각 10개씩 제작하였다.
실시예
돼지 피부를 사용하여 다음의 단계에 따라 무세포 진피 기질을 제작하였다.
(1) 돼지 피부를 생리식염수로 깨끗이 세척하였다.
(2) 돼지 피부를 각각 5 × 10 cm2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3) 1M NaCl(Sigma, 미국) 용액에 돼지피부를 각각 넣었다.
(4) 38℃ 반응기(P-039, 코아테크)를 준비하였다
(5) 1M NaCl(Sigma, 미국) 용액에 담긴 돼지피부를 38℃ 반응기(P-039, 코아테크)에서 교반하며 약 6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6) 포셉을 이용해 표피를 제거하였다.
(7) 인산완충용액으로 표피가 제거된 진피를 세척하였다.
(8) 세척된 진피를 0.5% SDS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며 반응시켜 진피 내 세포를 제거하였다.
(9) 인산완충용액으로 세포가 제거된 진피를 세척하였다.
(10) 글리세롤(Sigma, 미국), 프로필렌 글리콜(Sigma, 미국) 및 인산완충용액(GIBCO, 미국)을 1 : 1 : 8의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11) (10)의 용액에 최종 농도가 30%가 되도록 수크로스(Sigma, 미국)를 넣고 용해시켜 동결 보호제를 만들었다.
(12) 4℃ 저온 반응기(P-039, 코아테크)를 준비하였다.
(13) 4℃ 저온 반응기에 (9)의 돼지 피부를 넣은 다음 동결 보호제를 12시간 동안 침투시켰다.
(14) 침투가 완료된 돼지피부를 Tyvek 백(Tyvek bag, 고려신소재, 한국)에 넣었다.
(15) 동결건조기(Genesis 25XL, VirTis, 미국)를 준비하였다.
(16) (14)의 Tyvek 백을 동결건조기 안으로 넣고 분당 -1℃의 속도로 -70℃까지 동결하였고, 진공 5 torr인 동결건조기에 넣어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동결건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을 만들었다.
(17) 동결 건조가 끝나고 난 후 E.O. gas 멸균기(HS-4313EO, 한신메디칼, 한국)에 넣어 멸균시켰다.
(18) 멸균된 무세포 진피 기질을 알루미늄백에 넣어 밀봉 후 실험 전까지 상온 보관하였다.
비교예 1
돼지 피부를 사용하여 미국특허 제5,336,616호의 실시예 1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HBSS 내에 7.5% 덱스트란 (MWT 70,000), 6% 수크로스, 7.5% 폴리비닐피롤리돈 (MWT 40,000), 1.25% 라피노스 및 1mM 디소듐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disodium 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하여 개시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무세포 진피 기질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2
돼지 피부를 사용하여 다음의 단계에 따라 동결건조 피부를 준비하였다.
(1) 돼지 피부를 생리식염수로 깨끗이 세척하였다.
(2) 돼지 피부를 각각 5 × 10 cm2의 크기로 절단하였다.
(3) 1M NaCl(Sigma, 미국) 용액에 돼지피부를 각각 넣었다.
(4) 38℃ 반응기(P-039, 코아테크)를 준비하였다.
(5) 1M NaCl 용액에 담긴 돼지피부를 38℃ 반응기에서 교반하며 약 6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6) 포셉을 이용해 표피를 제거하였다.
(7) 인산완충용액으로 표피가 제거된 진피를 세척하였다.
(8) 세척된 진피를 0.1% SDS에 넣고 상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며 반응시켜 진피 내 세포를 제거하였다.
(9) 인산완충용액(pH 7.2, GIBCO, 미국)으로 세포가 제거된 진피를 세척하였다.
(10) 글리세롤(Sigma, 미국) 및 인산완충용액을 1 : 9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동결보존용액을 만들었다.
(11) 4℃ 저온 반응기(P-039, 코아테크)를 준비하였다.
(12) 4℃ 저온 반응기에 (9)의 돼지 피부를 넣은 다음 동결 보호제를 12시간 동안 침투시켰다.
(13) 침투가 완료된 돼지피부를 Tyvek 백(Tyvek bag, 고려신소재, 한국)에 넣었다.
(14) 동결건조기(Genesis 25XL, VirTis, 미국)를 준비하였다.
(15) (13)의 Tyvek 백을 동결건조기에 넣고 분당 -1℃의 속도로 -70℃까지 동결하였고, 진공 5 torr인 동결건조기에 넣어 24시간 동안 건조시켜 동결건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을 만들었다.
(16) 동결 건조가 끝나고 난 후 E.O. 가스 멸균기(HS-4313EO, 한신메디칼, 한국)에 넣어 멸균시켰다.
(17) 멸균된 동결건조 무세포 진피 기질을 알루미늄 백에 넣어 밀봉 후 실험 전까지 상온 보관하였다.
실험예 1: 조직학적 분석
H&E 염색법은 다음과 같이 실행하였다.
(1) 파라핀 블록을 4 ㎛ 두께로 박절한 후 건조시켜 파라핀 절편을 제작하였다.
(2) 탈파라핀 과정을 위해 자일렌에서 5분간 3번, 100% 에탄올에서 2분간 3번, 90% 에탄올에서 1분간 1번, 80% 에탄올에서 1분간 1번, 70% 에탄올에서 1분간 1번 반응시킨 후, 흐르는 물에 10분간 세척하였다.
(3) 헤마토자일린(hematoxylin) 염색액에 10분간 반응시킨 후 흐르는 물에 3분간 세척하고 에오신(eosin) 염색액에 10분간 반응시킨 후, 흐르는 물에 에오신 염색액이 나오지 않을 때까지 세척하였다. 70% 에탄올에 1초간 10번, 80% 에탄올에 1초간 10번, 90% 에탄올에 1초간 10번, 100% 에탄올에 1분간 2번, 자일렌에 3분간 3번 반응시킨 후, 마운팅 용액으로 마운팅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 촬영은 다음과 같이 실행하였다.
(1) 시료를 2.5% 글루타르알데히드 용액(fixative solution)에서 2시간 동안 전고정하고, 0.1M phosphate buffer로 세척 후 1% OsO4 용액으로 후고정을 하였다.
(2) 이후 에탄올 농도 상승 순으로 탈수/치환하여 -190℃의 액체질소 내에서 동결할단 하여 시료의 단면을 노출시킨 후, 임계점 건조기(HCP-2)를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시켰다.
(3) 노출된 시료의 단면이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알루미늄 Stub(시료고정대)에 부착하여, 금속이온코팅장비(E-1030 Ion sputter)에서 Pt-Pd로 약 10nm 두께로 금속코팅 하였다.
(4) 주사전자현미경(Hitachi S-4700, 일본)으로 관찰 및 촬영을 하였다.
최종 농도 5%, 10%, 15%, 20%, 25% 및 30% 수크로스를 포함하는 동결보존액을 제조한 다음 이를 사용하여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동결건조시킨 무세포 진피 기질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을 재수화시키고 나서 상기 방법에 따라 H&E 염색을 하고 광학 현미경(Olympus BX51, H&E staining)으로 촬영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수크로스의 농도가 20% 미만인 경우에는 동결 건조 후 관찰하면 조직의 기질이 농도에 비례하며 파괴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20%, 25% 및 30%인 경우에는 농도에 비례하며 조직의 기질이 파괴되지 않고 원형에 가까운 형태로 유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수크로스를 포함하지 않는 동결보존액으로 처리하여 제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 및 상기에서 제조된 10%, 30% 수크로스를 포함하는 동결보존액으로 처리한 것을 상기의 방법에 따라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하여 도 2에 나타내었다. 수크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것 및 10% 수크로스를 포함하는 동결보존액으로 처리한 것에서는 무세포 진피 기질이 동결 건조 후 파괴가 일어남을 관찰할 수 있었으나, 30% 수크로스를 포함하는 동결보존액으로 처리한 것에서는 동결 건조 후에도 조직의 기질이 파괴 없이 그 형태를 잘 유지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수크로스를 20% 이상 포함하는 경우가 동결건조 과정 중에 일어나는 조직의 파괴가 확실히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 1 및 2의 무세포 진피 기질을 상기 방법에 따라 H&E 염색을 한 다음 광학 현미경(Olympus BX51, H&E staining)으로 촬영하여 도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및 2에 비하여 실시예의 무세포 진피 기질이 동결 보존액의 우수성으로 인하여 동결 건조 시 발생하는 얼음결정의 조직파괴로부터 비교예 1 및 2의 무세포 진피 기질에 비하여 조직의 안정성이 훨씬 더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콜라겐 분해효소에 의한 분해성 측정
실시예와 비교예의 무세포 진피 기질의 안정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콜라겐 분해효소에 의한 분해성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1) 25mg의 시료를 5ml의 0.36mM 염화칼슘(calcium chloride)이 첨가된 5mM TES buffer에 넣고 잘 섞었다.
(2) 0.1mg/ml의 콜라겐 분해효소(collagenase) 0.1ml을 (1)의 시료에 넣고 잘 섞어 주면서 37℃에서 하루 동안 반응시켰다.
(3) 4.0mM의 L-leucine 표준 용액을 연속적으로 희석(serial dilution)한 후, 닌히드린 발색 시약(ninhydrin color reagent)을 처리하여 570nm에서 흡광도(VERSA max, Molecular Device, 미국)를 측정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하였다.
(4) (2)의 시료에 닌히드린 발색 시약을 처리하여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5) (3)의 L-leucine의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각각 시료의 방출된 L-leucine의 양을 계산하였다.
상기에서 계산된 L-leucine 방출량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볼 수 있듯이, 실시예의 무세포 진피 기질이 비교예 1 및 2의 무세포 진피 기질보다 조직의 안정성이 높아서 콜라겐 분해효소에 의한 분해 속도가 현저하게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현미경 촬영 사진을 통한 조직학적 분석이나 콜라겐 분해효소에 의한 분해성 측정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처리 방법이 종래의 방법에 비해 높은 조직의 안정성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 무세포 진피 기질은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 구조 및 기저막(basement membrane)이 손상 없이 유지되며 생물학적 성질의 변화도 적어서 생체 이식율을 높일 수 있어 치료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Claims (7)

  1. i) 동종 피부의 표피를 제거하고;
    ⅱ) 진피 내 세포를 제거하며;
    ⅲ)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기본 용매 또는 용액을 혼합하고;
    ⅳ) 상기 용액에 수크로스를 최종 농도가 20 내지 40 중량%가 되도록 용해하여 동결 보호제를 제조하며;
    ⅴ) 상기 동결 보호제를 상기 표피 및 진피 내 세포가 제거된 피부에 침투시키고;
    ⅵ) 상기 동결 보호제가 침투된 피부를 동결 건조하는 것을 포함하는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기본 용매 또는 용액의 혼합비가 중량 기준으로 0.5 ~ 2 : 0.5 ~ 2 : 6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본 용매 또는 용액이 증류수, 생리 식염수(normal saline), 인산완충용액(PBS),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 TBS(Tris buffered saline), TAPS(N-Tris(hydroxymethyl)methyl-3-aminopropanesulfonic acid) 완충용액, Bicine(N,N-Bis(2-hydroxyethyl)glycine) 완충용액, HEPES(4-(2-hydroxyethyl)-1-piperazineethanesulfonic acid) 완충용액, TES(N-Tris(hydroxymethyl)methyl-2-aminoethanesulfonicd acid) 완충용액, PIPES(piperazine-N,N'-bis(2-ethanesulfonic acid) 완충용액, 카코딜레이트(cacodylate) 완충용액, MES(2-(N-morpholino)ethanesulfonic acid) 완충용액, MEM(Minimum Essential Media), DMEM(Dulbecco's Modified Eagle Media), RPMI 1640, IMDM(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a), Defined Keratinocyte-SFM(without BPE(Bovine Pituitary Extract)), Keratinocyte-SFM(with BPE), KnockOut D-MEM, AmnioMAX-II Complete Medium 및 AmnioMAX-C100 Complete Medium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수크로스의 최종 농도가 3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동결 보호제를 분리된 피부에 침투시키는 것이 4℃의 저온 반응기에서 6 시간 내지 24 시간 동안 침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동결 보호제가 침투된 피부를 분당 -1℃의 속도로 동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
KR1020100018134A 2010-02-26 2010-02-26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 KR101089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134A KR101089614B1 (ko) 2010-02-26 2010-02-26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
PCT/KR2010/003783 WO2011105663A1 (ko) 2010-02-26 2010-06-11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
US13/580,248 US9623149B2 (en) 2010-02-26 2010-06-11 Method for producing an acellular dermal matrix, and acellular dermal matrix produced by same
CN201080064799.0A CN102869392B (zh) 2010-02-26 2010-06-11 无细胞真皮基质的制备方法及由其制备的无细胞真皮基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134A KR101089614B1 (ko) 2010-02-26 2010-02-26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8490A true KR20110098490A (ko) 2011-09-01
KR101089614B1 KR101089614B1 (ko) 2011-12-05

Family

ID=44507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134A KR101089614B1 (ko) 2010-02-26 2010-02-26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623149B2 (ko)
KR (1) KR101089614B1 (ko)
CN (1) CN102869392B (ko)
WO (1) WO2011105663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7443A (zh) * 2020-04-20 2020-07-24 百澳瑞派(天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真皮基质脱细胞方法
KR102217148B1 (ko) 2020-12-02 2021-02-18 주식회사 이지다이아텍 자성입자를 탈자 및 분산하는 방법과 그 장치
KR102366303B1 (ko) * 2021-07-05 2022-02-23 주식회사 이레텍코리아 식물성 복합 천연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무세포 진피 기질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52850A (ko) 2020-10-21 2022-04-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착 향상을 위한 접착성 이식재
WO2022173066A1 (ko) * 2021-02-15 2022-08-18 주식회사 엘앤씨바이오 유방재건용 무세포화 피부대체재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532866B2 (en) * 2012-03-15 2017-01-03 L&C Bio Co., Ltd. Acellular dermal graft
EP2967835B1 (en) 2013-03-14 2018-08-08 Musculoskeletal Transplant Foundation Soft tissue repair allograft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CN103285420B (zh) * 2013-03-28 2015-03-25 北京桀亚莱福生物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覆盖烧伤创伤创面的人体生物敷料的制作方法
MX2016001247A (es) 2013-07-30 2016-08-17 Musculoskeletal Transplant Foundation Matrices derivadas de tejido suave acelular y metodos para preparar las mismas.
US10912864B2 (en) 2015-07-24 2021-02-09 Musculoskeletal Transplant Foundation Acellular soft tissue-derived matrices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US11052175B2 (en) 2015-08-19 2021-07-06 Musculoskeletal Transplant Foundation Cartilage-derived implant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170049784A (ko) * 2015-10-28 2017-05-11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섬유화 무세포 진피 기질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945831B2 (en) 2016-06-03 2021-03-16 Musculoskeletal Transplant Foundation Asymmetric tissue graft
USD856517S1 (en) 2016-06-03 2019-08-13 Musculoskeletal Transplant Foundation Asymmetric tissue graft
KR102232847B1 (ko) * 2017-04-28 2021-03-26 (주)시지바이오 섬유화 무세포 진피 기질 및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0193095B (zh) * 2018-02-27 2021-11-05 上海微创心通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干态生物组织材料及其制备方法
US10813743B2 (en) 2018-09-07 2020-10-27 Musculoskeletal Transplant Foundation Soft tissue repair grafts and processes for preparing and using same
USD895812S1 (en) 2018-09-07 2020-09-08 Musculoskeletal Transplant Foundation Soft tissue repair graft
CN109701077B (zh) * 2019-01-29 2021-07-30 北京颢美细胞基因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微孔再生组织基质及其制备和应用
CN110596227B (zh) * 2019-08-08 2021-11-23 河北省食品检验研究院(国家果类及农副加工产品质量监督检验中心、河北省食品安全实验室) 飞行时间质谱即用型斯坦利沙门氏菌定性标准样品的制备方法
CN111982629B (zh) * 2020-08-25 2023-11-17 北京市农林科学院 一种食用菌组织细胞的超薄冷冻切片方法
KR102622424B1 (ko) * 2021-07-19 2024-01-09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무세포 진피 제조장치 및 그의 운전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67149B2 (en) * 1990-09-12 2011-11-29 Lifecell Corporation Acellular dermal matrix and method of use thereof for grafting
US5336616A (en) 1990-09-12 1994-08-09 Lifecell Corporation Method for processing and preserving collagen-based tissues for transplantation
US5891617A (en) * 1993-09-15 1999-04-06 Organogenesis Inc. Cryopreservation of harvested skin and cultured skin or cornea equivalents by slow freezing
US6194137B1 (en) * 1999-04-13 2001-02-27 Organ Recovery Systems, Inc. Method of cryopreservation of blood vessels by vitrification
US20020077697A1 (en) * 2000-12-15 2002-06-20 Ranieri John Paul Processed ratite carotid arteries as xenogeneic small bore vascular grafts
US20030096414A1 (en) * 2001-03-27 2003-05-22 Invitrogen Corporation Culture medium for cell growth and transfection
KR100514582B1 (ko) * 2001-09-05 2005-09-13 한스바이오메드 주식회사 생체복원물질의 제조방법
KR100608192B1 (ko) 2003-04-16 2006-08-02 주식회사 효성 창상 피복재 및 조직공학 구조체용 중화 키토산 스폰지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중화 키토산 스폰지
WO2005014849A2 (en) * 2003-07-03 2005-02-17 Euro-Celtique, S.A. Genes associated with responses to neuropathic pain
JP4725046B2 (ja) * 2003-08-20 2011-07-13 東ソー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用プラスチック基板および表示素子
KR100546793B1 (ko) * 2003-10-27 2006-01-25 주식회사 효성 키토산을 이용한 폼 드레싱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50104704A (ko) * 2004-04-29 2005-11-03 주식회사 효성 키토산을 이용한 창상 피복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37443A (zh) * 2020-04-20 2020-07-24 百澳瑞派(天津)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真皮基质脱细胞方法
KR20220052850A (ko) 2020-10-21 2022-04-2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생착 향상을 위한 접착성 이식재
KR102217148B1 (ko) 2020-12-02 2021-02-18 주식회사 이지다이아텍 자성입자를 탈자 및 분산하는 방법과 그 장치
WO2022173066A1 (ko) * 2021-02-15 2022-08-18 주식회사 엘앤씨바이오 유방재건용 무세포화 피부대체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66303B1 (ko) * 2021-07-05 2022-02-23 주식회사 이레텍코리아 식물성 복합 천연 계면활성제를 이용한 무세포 진피 기질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69392A (zh) 2013-01-09
KR101089614B1 (ko) 2011-12-05
US9623149B2 (en) 2017-04-18
US20120329034A1 (en) 2012-12-27
WO2011105663A1 (ko) 2011-09-01
CN102869392B (zh)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9614B1 (ko)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무세포 진피 기질
KR101107022B1 (ko) 동결보존 무세포 진피 기질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동결보존 무세포 진피 기질
CA1261760A (en) Implant tissue
RU2478403C2 (ru) Стерильный аутологичный, аллогенный или ксеногенный имплантат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CA2771908C (en) Umbilical cord amniotic membrane products
KR100791502B1 (ko) 바이러스 불활화된 무세포 인체 이식재 생산방법
US9532866B2 (en) Acellular dermal graft
KR101362402B1 (ko) 기저막층이 제거된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
US11452794B2 (en) Wound dressing material comprising fibrillated accellular dermis matrix and biodegradeable polym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WO2010053948A1 (en) Dried and irradiated skin equivalents for ready use
KR101139434B1 (ko) 돼지피부를 이용한 드레싱재의 제조방법
KR101330646B1 (ko) 동결보존 이종 피부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동결보존 이종 피부
KR101092411B1 (ko) 이식용 동종 피부의 처리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동결보존동종피부
KR20130083596A (ko)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을 함유하는 창상 치료용 진피 대체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진피 대체물
Oliver et al. Incorporation of stored cell-free dermal collagen allografts into skin wounds: a short term study
KR20190036882A (ko) 생체 이식 또는 삽입용 무세포 진피의 제조방법
KR100644078B1 (ko) 양막과 생분해성 고분자로 구성된 이식용 진피대체물,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90036861A (ko) 무세포 진피 기질 동결보존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62403B1 (ko) 다중 관통이 형성된 무세포 진피조직 이식체
JP2000262610A (ja) 表皮再生を目的とした自家抜去毛包移植用の人工真皮
KR101163736B1 (ko) 피부조직 가공물의 멸균방법
RU2212792C2 (ru) Раствор для криопрезервации кожи и роговицы
Oliver et al. The Incorporation of Trypsin-Purified Dermal Collagen Allografts Into Cutaneous Wounds in the R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