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7114A - 적층 시트 및 적층 시트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적층 시트 및 적층 시트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7114A
KR20110097114A KR1020100016770A KR20100016770A KR20110097114A KR 20110097114 A KR20110097114 A KR 20110097114A KR 1020100016770 A KR1020100016770 A KR 1020100016770A KR 20100016770 A KR20100016770 A KR 20100016770A KR 20110097114 A KR20110097114 A KR 201100971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material
laminated
base film
cover film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6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7420B1 (ko
Inventor
김훈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16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7420B1/ko
Priority to JP2010266997A priority patent/JP5526008B2/ja
Priority to US13/032,260 priority patent/US8709566B2/en
Publication of KR20110097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7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7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7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 face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32B2038/042Pun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9/00Parameters for the laminating or treatment process; Apparatus details
    • B32B2309/08Dimensions, e.g. volume
    • B32B2309/10Dimensions, e.g. volume linear, e.g. length, distance,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6Organic displays, e.g. O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6Drying; Softening; Cleaning
    • B32B38/164Dry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10T156/1052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with cutting, punching, tearing or sev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1Protectiv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4Layer or component removable to expose adhesive
    • Y10T428/1476Release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8Longitudinally sectional layer of three or more se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8Longitudinally sectional layer of three or more sections
    • Y10T428/183Next to unitary sheet of equal or greater ext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298Noncircular aperture [e.g., slit, diamond, rectangular,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298Noncircular aperture [e.g., slit, diamond, rectangular, etc.]
    • Y10T428/24314Slit or elongated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보호 필름 및 보호 필름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도포된 적층 재료 층; 및 상기 적층 재료 층 상에 위치되는 커버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적층 재료 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커버 필름의 넓이는 상기 베이스 필름보다 작고, 상기 적층 재료 층보다 넓도록 형성되는 적층 시트는, 피부착물 상에 적층 재료 단위 시트를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층 시트 및 적층 시트 형성 방법{Lamination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적층 시트 및 적층 시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보호 필름을 피부착물 상에 일정간격으로 부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적층 시트 및 적층 시트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시 생산량과 생산 효율을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다면취 공정을 이용하고 있는데, 다면취 공정이란, 유리원판 1장에 여러 장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잘라 내어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이와 같은 다면취 공정에서는, 유리 원판 상에 복수의 라미네이션 시트가 적층되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유리 기판 상에 복합적인 성질을 갖는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기 위하여 포토 리소그래피법을 이용하는 경우, 기판 상에 포토 레지스트를 라미네이션 시트 형태로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대형 AMOLED 패널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하 기판 사이에 캐비티(cavity)가 존재하지 않는 충진 구조를 형성할 때, 라미네이션 시트를 이용하여 충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미네이션 시트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필름 위에 연속적으로 코팅 건조 한 후 필름을 커팅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다면취 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이와 같이 커팅된 시트를 기판 상에 부착하는 경우 한번의 공정으로 다면취 기판에 복수의 시트를 부착하지 못하고 시트를 한 매씩 개별적으로 기판에 부착하였기 때문에 공정의 진행 속도가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착물에 복수의 시트를 한번의 공정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적층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방법으로 다면취 공정에 적용할 수 있는 적층 시트를 제공하기 위한 적층 시트의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도포된 적층 재료 층; 및 상기 재료 층 상에 위치되는 커버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적층 재료 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측에는 상기 적층 재료층과 겹치지 않는 베이스 필름 제거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필름의 일측에는 상기 적층 재료층과 겹치지 않는 커버 필름 제거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필름 제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버 필름 제거부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적층 시트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적층 재료 층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 재료 단위 시트는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층 재료 단위 시트는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는 3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는 종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종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 인접한 적층 재료 단위 시트 사이에는 상기 베이스 필름 부분 및 상기 커버 필름 부분이 제거된 홀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은 상기 충진 재료층보다 양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 필름은 양 측부 중 적어도 일측부가 상기 커버 필름보다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적층 재료 단위 시트의 넓이는 적층 재료 단위 시트가 부착되는 피부착물의 넓이에 대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의 넓이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 사이의 넓이는 모두 동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의 폭을 갖는 적층 재료 층을 상기 베이스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적층 재료 층 상에 커버 필름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상기 적층 재료 층 및 상기 커버 필름의 소정 영역을 제거하여 소정의 넓이 갖는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 시트 형성 방법이 제공된다.
이 때, 상기 베이스 필름, 상기 적층 재료 층 및 상기 커버 필름의 제거는 펀칭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측에는 상기 적층 재료층과 겹치지 않는 베이스 필름 제거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필름의 일측에는 상기 적층 재료층과 겹치지 않는 커버 필름 제거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필름 제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버 필름 제거부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시트를 제작할 때 베이스 필름과 커버 필름 사이에 적층 재료층을 형성한 후 펀칭 공정에 의하여 적층 시트를 형성하므로 간단한 방식으로 적층 시트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필름 및 커버 필름에는 적층 재료층과 겹치지 않는 베이스 필름 제거부 및 커버 필름 제거부가 형성되어, 적층 재료층으로부터 베이스 필름 및 커버 필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Ⅲ-Ⅲ'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가 부착될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5a내지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를 제작하는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를 기판에 부착하는 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b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가 기판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Ⅲ-Ⅲ'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10)는 베이스 필름(40), 적층 재료층(30), 커버 필름(20)을 포함한다.
베이스 필름(40)은 적층 재료층(30)이 도포되는 시트로서, 적층 재료층(30)보다 넓은 넓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베이스 필름(40)은 적층 재료층(30)의 일면 즉, 하면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이다.
베이스 필름(40)의 일측에는 적층 재료층(30)과 겹치지 않는 베이스 필름 제거부(42)가 형성된다.
베이스 필름(40)은 적층 재료층(30)을 적층하고자 하는 대상물, 예를 들어 기판(1)에 적층하기 전에 적층 시트(10)로부터 벗겨내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 필름(40)의 일측에 베이스 필름 제거부(42)가 형성되어 베이스 필름(40)을 적층 재료층(30)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벗겨낼 수 있다.
적층 재료층(30)은 적층하고자 하는 대상물, 예를 들어, 기판(1)에 적층되는 층이다. 이와 같은 적층 재료층(30)은 적층하고자 하는 재료에 따라 다양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기판(1)에 적층되는 적층 재료층(30)은 상부 기판과 하부 기판 사이에 형성되는 충진 재료로 형성되는 충진 재료층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재료층(30)은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를 포함한다.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는 적층 재료층(30)이 적층되는 기판 상에서 적층 재료가 적층되어야 하는 영역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 소정 크기의 시트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는 하나의 기판(1) 상에서 복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는 기판을 제작하기 위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적층 영역(2)에 포개어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시트 형태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하나의 적층 시트(10)는 도 2에서 볼 때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 3개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를 포함한다.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는 이웃하는 시트 사이에 소정의 간격(l2)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는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가 적층되는 기판 상의 적층 영역(2)이 소정의 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바, 그에 대응하도록 적층 재료 단위 시트가 배열되기 때문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가 하나의 적층 시트(10)로 형성되었으나, 적층 시트를 형성하는 적층 재료 단위 시트의 개수는 2개 혹은 4개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길이 방향뿐 아니라 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적층 재료층(30) 상에는 커버 필름(20)이 위치된다.
커버 필름(20)은 적층 재료층(30)의 일면을 보호하기 위한 필름으로서, 적층 재료층(30)보다 넓은 넓이를 가지며 적층 재료층(30)을 모두 덮을 수 있는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때, 커버 필름(20)의 일측에는 커버 필름(20)과 적층 재료층(30)이 기판 상에 놓인 상태에서 적층 재료층(30)으로부터 커버 필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적층 재료층(30)과 겹치지 않는 영역, 도 2에서 볼 때 적층 재료 단위 시트의 우측부에 커버 필름 제거부(22)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10)는 커버 필름(20)의 폭(Wc)은 적층 재료층(30)의 폭(WL)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베이스 필름(40)의 폭(WB)은 커버 필름(20) 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때, 적층 시트(10)에서 베이스 필름 제거부(42)는 커버 필름 제거부(22)와 겹치지 않는 일 영역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베이스 필름 제거부(42)가 커버 필름 제거부(22)와 겹치지 않은 영역을 구비함으로써 베이스 필름(40)을 적층 시트로부터 우선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커버 필름 제거부(22) 및 베이스 필름 제거부(42)를 적층 재료층(30)의 우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베이스 필름 제거부(42)의 일부가 적층 재료층(30) 및 커버 필름 제거부(22)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며, 커버 필름 제거부(22)가 적층 재료층(30)과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경우라면, 커버 필름 제거부(22) 및 베이스 필름 제거부(42)의 위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10)는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 사이의 영역에 베이스 필름(40) 및 커버 필름(20)이 제거된 상태의 홀 영역(12)을 구비한다.
도 2를 참조하면, 홀 영역(12)은 폭이 Wl, 높이가 l2인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적층 대상 기판(1)의 적층 영역 사이 영역(3)의 넓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홀 영역(12)은 베이스 필름(40) 상에 적층 재료층(30)을 도포하고 커버 필름(20)을 적층 재료층(30) 상에 위치시킨 후, 펀칭 공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4에는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가 부착되는 기판(1)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기판(1) 상에는, 적층 재료층(30)이 적층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형성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복수의 적층 영역(2)이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방향으로 3개의 적층 영역이 배열되며, 횡방향으로 2열의 적층 영역이 배열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기판(1)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10) 2개가 나란하게 배열되어 적층 재료층(30)의 적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10)를 제작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적층 시트(10)를 제작하기 위하여 우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40)을 제공한다.
그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필름 상에 길이 방향으로 적층 재료층(30)을 형성한다. 이 때 적층 재료층(30)은 베이스 필름(40) 상에 적층 재료를 코팅한 후 건조 시킴으로써 베이스 필름(40) 상에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 후,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재료층(30) 상에 커버 필름(20)을 위치시키고,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재료층(30)이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를 형성하도록 커버 필름(20), 적층 재료층(30) 및 베이스 필름(40)의 일부를 제거하여 홀 영역(12)을 형성한다.
이 때, 커버 필름(20), 적층 재료층(30) 및 베이스 필름(40)의 일부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펀칭이 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 형성 방법을 사용하면 베이스 필름(40) 상에 적층 재료층(30)을 형성할 때 적층 영역(2)의 크기에 맞는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 크기의 적층 재료층을 베이스 필름(40)에 각각 도포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 필름(40)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며 소정의 폭을 갖는 적층 재료층(30)을 도포한 후, 펀칭에 의하여 기판 상의 적층 영역(2) 사이의 사이 영역(3)에 대응하는 영역을 제거함으로써 불필요하게 적층되어서는 아니되는 영역을 간단하게 제거하여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를 형성하기 때문에, 베이스 필름(40)에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를 형성하는 공정이 간단하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10)를 기판에 적층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기판 상의 적층 영역(2)에 적층 재료층(30)을 적층하기 위하여 우선 베이스 필름(40)을 제거한다. 베이스 필름(40)을 제거하는 것은 베이스 필름 제거부(42)를 이용하여 적층 재료층(30)의 하측으로 베이스 필름(40)을 잡아 당김으로써 달성된다.
그 후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 재료층(30)을 기판 상의 적층 영역(2) 상에 위치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를 구비한 2개의 적층 시트를 6개의 적층 영역을 갖는 하나의 기판 상에 나란하게 배치시키도록 형성하였다.
이 때 적층 시트(10)를 기판(1) 상에 배치시키는 경우,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층 시트(10)의 홀 영역(12)이 기판의 적층 영역 사이의 사이 영역(3)에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그 후,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필름(20)을 적층 재료층(30)으로부터 벗겨 낸다.
이 때 커버 필름 제거부(22)가 적층 재료층(30)과 겹쳐져 있지 않으므로, 커버 필름 제거부(22)를 잡은 후 상측으로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커버 필름 제거부(22)를 제거할 수 있다.
기판 상에 배치된 두 개의 적층 시트(10)로부터 커버 필름이 제거된 후 기판의 적층 영역 상에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가 위치된 상태의 기판이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6a 내지 도 6c 및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10)를 이용하여 기판(1) 상에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를 부착하는 것은 적층 영역(2)의 크기로 이미 형성되어 있는 적층 시트 내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로부터 베이스 필름(40)을 벗겨낸 후 기판의 적층 영역(2)에 적층 시트(10)를 위치시키고, 커버 필름(20)을 제거하기만 하면 1회의 공정으로 적층 시트(10)에 위치된 적층 재료층(30)이 기판(1) 상에 적층되므로, 간단한 방법으로 하나의 기판 상의 복수 영역에 적층 재료 단위 시트(32, 34, 36)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적층 시트(10)는 베이스 필름(40) 및 커버 필름(20)이 벗겨지기 용이하도록 베이스 필름 제거부(42) 및 커버 필름 제거부(22)가 형성되어 있어 간단한 방법으로 적층 시트(10)를 기판 상에 적층할 수 있다.
이 때, 본 실시예에서는 충진 재료를 기판 상에 적층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적층 재료가 적층되는 기판 및 적층 재료의 종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며, 적층 재료 및 적층 시트의 크기 그리고 적층되는 기판의 종류 및 적층 영역의 크기 및 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기판 2 적층 영역
10 적층 시트 12 제거 영역
20 커버 필름 22 커버 필름 제거부
30 적층 재료층 32, 34, 36 적층 재료 단위 시트
40 베이스 필름 42 베이스 필름 제거부

Claims (14)

  1. 베이스 필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도포된 적층 재료 층; 및
    상기 적층 재료 층 상에 위치되는 커버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적층 재료 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측에는 상기 적층 재료층과 겹치지 않는 베이스 필름 제거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필름의 일측에는 상기 적층 재료층과 겹치지 않는 커버 필름 제거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필름 제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버 필름 제거부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적층 시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재료 층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적층 재료 시트는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적층 시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재료 단위 시트는 직사각형태로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는 3개로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는 종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되는, 적층 시트.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으로 상호 나란하게 배열된 인접한 적층 재료 단위 시트 사이에는 베이스 필름 부분 및 상기 커버 필름 부분이 제거된 홀 영역이 형성되는, 적층 시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은 상기 적층 재료층보다 양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적층 시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은 양 측부 중 적어도 일측부가 상기 커버 필름보다 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적층 시트.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재료 단위 시트의 넓이는 적층 재료 단위 시트가 부착되는 피부착물의 넓이에 대응하는, 적층 시트.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의 넓이는 모두 동일한, 적층 시트.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 사이의 넓이는 모두 동일한, 적층 시트.
  12. 베이스 필름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상에 소정의 폭을 갖는 적층 재료 층을 상기 베이스 필름의 길이 방향으로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적층 재료 층 상에 커버 필름을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베이스 필름, 상기 충진 재료 층 및 상기 커버 필름의 소정 영역을 제거하여 소정의 넓이 갖는 복수의 적층 재료 단위 시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층 시트 형성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 상기 적층 재료 층 및 상기 커버 필름의 제거는 펀칭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적층 시트 형성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 재료 층은 상기 베이스 필름 및 상기 커버 필름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베이스 필름의 일측에는 상기 적층 재료층과 겹치지 않는 베이스 필름 제거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 필름의 일측에는 상기 적층 재료층과 겹치지 않는 커버 필름 제거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필름 제거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커버 필름 제거부와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적층 시트 형성 방법.
KR1020100016770A 2010-02-24 2010-02-24 적층 시트 및 적층 시트 형성 방법 KR101147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770A KR101147420B1 (ko) 2010-02-24 2010-02-24 적층 시트 및 적층 시트 형성 방법
JP2010266997A JP5526008B2 (ja) 2010-02-24 2010-11-30 積層シートおよび積層シートの形成方法
US13/032,260 US8709566B2 (en) 2010-02-24 2011-02-22 Lamination she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6770A KR101147420B1 (ko) 2010-02-24 2010-02-24 적층 시트 및 적층 시트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7114A true KR20110097114A (ko) 2011-08-31
KR101147420B1 KR101147420B1 (ko) 2012-05-22

Family

ID=44476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6770A KR101147420B1 (ko) 2010-02-24 2010-02-24 적층 시트 및 적층 시트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709566B2 (ko)
JP (1) JP5526008B2 (ko)
KR (1) KR101147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11406S1 (en) 2016-05-27 2018-02-2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tray
US10782746B2 (en) 2013-08-08 2020-09-22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for an electronic device
US9902111B2 (en) 2013-08-08 2018-02-27 Belkin International, Inc. Cradle device, method of using the same, and overlay applicator machine
EP3030493B1 (en) 2013-08-08 2021-02-24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applicator and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same
USD812061S1 (en) 2016-05-27 2018-03-06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tray
US10675817B2 (en) 2013-08-08 2020-06-09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applicator tra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1772320B2 (en) 2013-08-08 2023-10-03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applicator tra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10155370B2 (en) 2013-08-08 2018-12-18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applicator machin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USD759640S1 (en) 2013-12-20 2016-06-21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751556S1 (en) 2013-12-20 2016-03-15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751557S1 (en) 2013-12-20 2016-03-15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767550S1 (en) 2014-01-27 2016-09-2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for electronic device
KR102096609B1 (ko) 2016-03-31 2020-04-02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직선 및 곡선의 패턴을 도포할 수 있는 다이나믹 3d 라미네이션 장치
KR102569928B1 (ko) 2016-05-18 2023-08-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USD811408S1 (en) 2016-05-27 2018-02-2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00131S1 (en) 2016-05-27 2017-10-1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00128S1 (en) 2016-05-27 2017-10-1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02594S1 (en) 2016-05-27 2017-11-14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11405S1 (en) 2016-05-27 2018-02-2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00127S1 (en) 2016-05-27 2017-10-1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11407S1 (en) 2016-05-27 2018-02-2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00130S1 (en) 2016-05-27 2017-10-1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17945S1 (en) 2016-05-27 2018-05-15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00126S1 (en) 2016-05-27 2017-10-1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00129S1 (en) 2016-05-27 2017-10-1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11404S1 (en) 2016-05-27 2018-02-27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USD833439S1 (en) 2016-09-15 2018-11-13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tray
USD812062S1 (en) 2016-09-15 2018-03-06 Belkin International, Inc. Overlay tray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7648A (ja) 1982-12-24 1984-07-07 Fuji Electric Co Ltd デ−タ処理方式
JPS59117648U (ja) * 1983-01-25 1984-08-08 前田 信行 接着テ−プ
ATE179652T1 (de) 1990-12-11 1999-05-15 Pilkington Uk Ltd Verfahren zur verbindung von glasscheiben und danach hergestellte artikel
KR100271920B1 (ko) 1998-01-30 2000-11-15 김양평 라미네이트방법
JP3387032B2 (ja) * 1999-09-13 2003-03-17 宝養生資材株式会社 両面接着シート
US6277456B1 (en) * 1999-09-24 2001-08-21 Brady Worldwide, Inc. Labeling media and method of making
US7153556B2 (en) * 1999-10-13 2006-12-26 Malessa Partners, L.L.C. Integrated forms and method of making such forms
US6902454B1 (en) 2000-07-28 2005-06-07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for laminating electrically addressable display
JP2002328377A (ja) 2001-04-18 2002-11-15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表示パネル、基板積層体、液晶セルおよび基板積層体の製造方法
KR100570641B1 (ko) 2003-10-31 2006-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라미네이션 시트 장치, 그제조 방법 및 라미네이션 시트의 도포 방법
JP4633394B2 (ja) * 2004-07-08 2011-02-16 シチズンファインテックミヨタ株式会社 剥離用プルタブ付両面接着テープの貼り付け方法
KR100560798B1 (ko) 2004-08-30 2006-03-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막층의 형성 방법 및 풀칼라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제조 방법
KR100623697B1 (ko) 2004-08-30 2006-09-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막층의 형성 방법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의 제조 방법
JP5177608B2 (ja) * 2004-11-19 2013-04-03 任天堂株式会社 保護シートの装着構造体
JP2006150880A (ja) * 2004-12-01 2006-06-15 Yamato Grand Kk フィルムカバー並びにラミネートフィルム
KR100725289B1 (ko) 2005-03-17 2007-06-07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반도체 제조용 접착 테이프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E102005049891A1 (de) * 2005-10-17 2007-04-19 Leonhard Kurz Gmbh & Co. Kg Metallisierter Mehrschichtkörper
JP5010829B2 (ja) * 2005-12-28 2012-08-29 帝國製薬株式会社 貼付剤
JP2008018614A (ja) * 2006-07-12 2008-01-31 Lintec Corp 積層シート、積層シートの巻取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820071B1 (ko) * 2006-08-30 2008-04-07 주식회사 세림 레이블의 제조방법
JP2008137346A (ja) * 2006-12-05 2008-06-1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多層フィルムおよび映像表示装置
JP2009111201A (ja) 2007-10-31 2009-05-21 Mitsubishi Electric Corp 積層導電膜、電気光学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26912A (ja) * 2007-11-21 2009-06-11 Shigekazu Ito 持ち手部付両面粘着剤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709566B2 (en) 2014-04-29
JP2011173410A (ja) 2011-09-08
US20110206887A1 (en) 2011-08-25
JP5526008B2 (ja) 2014-06-18
KR101147420B1 (ko) 2012-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7420B1 (ko) 적층 시트 및 적층 시트 형성 방법
JP5990745B2 (ja) 接合体の製造方法及び接合体
TWI701146B (zh) 由載體基板與樹脂層構成之工件的分離方法及分離裝置
JP2014022465A5 (ko)
KR102278124B1 (ko) 전자 소자 밀봉용 적층 시트 및 전자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JP2008311635A5 (ko)
RU2017140197A (ru) Тонкопленочные устройства и их изготовление
JP2009508773A5 (ko)
JP2019032415A5 (ko)
US20050053768A1 (en) Surface protection coating for glass sheets
JP2017044921A5 (ko)
CN103709950B (zh) 双面胶型材及其加工方法
KR20140015038A (ko)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JP2017151382A5 (ko)
JP5715317B2 (ja) 養生ボード
CN103269564A (zh) 多层板局部单层区域内层切割工艺
JP3134213U (ja) 表面保護フィルム積層体
GB2542414A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eelable label
JP2004354474A5 (ko)
JP6463705B2 (ja) シール部材、バックライト、及び製造方法
JP2006278901A (ja) 積層体チップの製造方法
JP4753295B2 (ja) 断熱性発現粘着ラベル
KR20170125851A (ko) 핸들 라벨을 포함하는 절연 요소 및 이 절연 요소용 핸들 라벨
KR20160126995A (ko) 박리 시트
TW201702036A (zh) 薄板切割裝置,薄板及薄板切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