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6117A - 2차 전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2차 전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6117A
KR20110096117A KR1020117011428A KR20117011428A KR20110096117A KR 20110096117 A KR20110096117 A KR 20110096117A KR 1020117011428 A KR1020117011428 A KR 1020117011428A KR 20117011428 A KR20117011428 A KR 20117011428A KR 20110096117 A KR20110096117 A KR 20110096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econdary battery
power conversion
conversion means
battery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3124B1 (ko
Inventor
세이 야스토미
마츠오 반도
도미오 다마코시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후료쿠카이하츠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후료쿠카이하츠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가이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미쓰비시덴키 산교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6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6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3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3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2차 전지(B1~B3)로부터 공급된 직류 전력을 전력 변환 장치(INV1~INV3)에 의해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부하측의 전력 계통에 공급하는 2차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운전하고 있는 전력 변환 장치에 대응하는 2차 전지의 축전지 잔량이, 정지하고 있는 전력 변환 장치에 대응하는 2차 전지의 축전지 잔량의 소정의 비율 이하로 된 경우, 이 운전하고 있는 전력 변환 장치를 정지하고, 정지하고 있는 전력 변환 수단의 운전을 개시하는 제어 장치(1)를 구비한 2차 전지 시스템.

Description

2차 전지 시스템{SECONDARY BATTERY SYSTEM}
본 발명은 2차 전지를 이용한 2차 전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2차 전지를 이용하여, 전력을 공급하는 2차 전지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2차 전지 시스템은, 예컨대, 수전점(受電点)에서의 전력의 보완을 행하기 위해 등에 이용되고 있다(예컨대, "월간 에너지 1월호", 일본 공업 신문사, 2004년 12월 28일 시판, p.82-84 참조).
그러나, 복수의 2차 전지를 이용하여 전력 공급을 행하는 경우, 개개의 2차 전지의 잔량에 따라, 2차 전지 시스템의 운용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개개의 2차 전지의 잔량에 기인하여, 2차 전지 시스템을 효율 좋게 운전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2차 전지를 이용한 2차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효율 좋게 운전할 수 있는 2차 전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은, 2 이상의 2차 전지와, 상기 2 이상의 2차 전지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대응하는 상기 2차 전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변환하는 2 이상의 전력 변환 수단과, 운전하고 있는 상기 전력 변환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전력 변환 수단에 대응하는 상기 2차 전지의 축전지 잔량이, 정지하고 있는 상기 전력 변환 수단에 대응하는 상기 2차 전지의 축전지 잔량의 소정의 비율 이하로 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전력 변환 수단의 운전을 정지하고, 정지하고 있는 상기 전력 변환 수단의 운전을 개시하는 운전 전환 수단을 구비한 구성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제 1의 2차 전지의 축전지 잔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제 1 전력 변환 장치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2(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제 2의 2차 전지의 축전지 잔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2(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제 2 전력 변환 장치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2(e)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제 3의 2차 전지의 축전지 잔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2(f)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제 3 전력 변환 장치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2(g)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제 1 전력 변환 장치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4(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제 2 전력 변환 장치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4(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제 3 전력 변환 장치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
도 4(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이후의 도면에 있어서의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상이한 부분에 대해 주로 설명한다. 이후의 실시 형태도 마찬가지로 해서 중복된 설명을 생략한다.
2차 전지 시스템은, 2차 전지 B1, B2, B3과, 2차 전지 B1, B2, B3의 각각에 접속된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과,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의 출력측에 각각 접속된 변압기 TR1, TR2, TR3과, 변압기 TR1, TR2, TR3의 각각에 접속된 차단기 K1, K2, K3과, 차단기 K1, K2, K3의 출력측을 단락하도록 접속하고, 이 접속점과 전력을 공급하는 부하측 사이에 마련된 차단기 KD와, 3개의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1)를 구비하고 있다.
2차 전지 B1, B2, B3은, 예컨대, 나트륨-황 전지(NAS 전지)이다. 2차 전지 B1, B2, B3은, 각각에 충전되어 있는 전력을, 각각에 접속되어 있는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에 직류 전력으로서 공급한다.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은, 각각 2차 전지 B1, B2, B3으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제어 장치(1)로부터의 지령에 근거하여, 교류 전력으로 변환한다.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은 변환한 교류 전력을 각각에 접속되어 있는 변압기 TR1, TR2, TR3에 출력한다.
변압기 TR1은, 전력 변환 장치 INV1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력을, 차단기 K1 및 차단기 KD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부하측의 전력 계통에 공급한다.
변압기 TR2는, 전력 변환 장치 INV2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력을, 차단기 K2 및 차단기 KD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부하측의 전력 계통에 공급한다.
변압기 TR3은, 전력 변환 장치 INV3으로부터 공급된 교류 전력을, 차단기 K3 및 차단기 KD를 순차적으로 거쳐서, 부하측의 전력 계통에 공급한다.
차단기 K1, K2, K3은, 각각을 개방함으로써, 각각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으로부터 출력되는 교류 전력의 부하측으로의 공급을 정지한다.
차단기 KD는, 개방함으로써, 본 2차 전지 시스템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을 정지한다.
제어 장치(1)는, 2차 전지 B1, B2, B3 각각의 축전지 잔량에 근거하여,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 장치(1)는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의 운전을 전환하기 위한 설정치가 설정되어 있다. 제어 장치(1)는, 이 설정치 및 2차 전지 B1, B2, B3의 축전지 잔량에 근거하여,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의 운전의 전환을 한다.
다음으로,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도 2(e), 도 2(f), 및 도 2(g)를 참조하여 제어 장치(1)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 도 2(b), 도 2(c), 도 2(d), 도 2(e), 도 2(f), 및 도 2(g)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제어 장치(1)의 제어에 의한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의 출력 전력과 2차 전지 B1, B2, B3의 축전지 잔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2(a)는 2차 전지 B1의 축전지 잔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2(b)는 전력 변환 장치 INV1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2(c)는 2차 전지 B2의 축전지 잔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2(d)는 전력 변환 장치 INV2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2(e)는 2차 전지 B3의 축전지 잔량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2(f)는 전력 변환 장치 INV3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2(g)는 2차 전지 시스템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여기서, 2차 전지 시스템은 부하측의 전력 계통에 400㎾의 전력량을 공급해야 하는 것으로 한다.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은 최대 발전 전력이 200㎾인 것으로 한다. 제어 장치(1)에 설정되어 있는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의 운전을 전환하기 위한 설정치는 70%인 것으로 한다.
지금, 제어 장치(1)는 시각 T0으로부터 제어를 개시하는 것으로 한다.
2차 전지 시스템의 부하측의 전력 계통에 필요한 공급 전력은 400㎾이고,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 각각의 최대 발전 전력이 200㎾이기 때문에, 2대의 전력 변환 장치의 운전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 장치(1)는 2대의 전력 변환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고, 나머지의 1대의 전력 변환 장치를 정지시킨다.
시각 T0에서의 2차 전지 B1, B2, B3 각각의 축전지 잔량은 다음과 같다. 2차 전지 B1의 축전지 잔량은 90%이다. 2차 전지 B2의 축전지 잔량은 100%이다. 2차 전지 B1의 축전지 잔량은 70%이다.
그래서, 제어 장치(1)는 축전지 잔량이 많은 쪽으로부터 2개의 2차 전지 B1, B2에 접속되어 있는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를 운전한다. 가장 축전지 잔량이 적은 2차 전지 B3에 접속되어 있는 전력 변환 장치 INV3은 정지시키고 있다.
제어 장치(1)는, 시각 T0으로부터 시각 T1까지의 동안,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를 운전한다.
시각 T0으로 되면, 전력 변환 장치 INV1의 축전지 잔량은 약 49%로 된다. 이 49%는, 정지하고 있는 전력 변환 장치 INV3의 축전지 잔량 70%에 대해, 제어 장치(1)의 설정치인 70%에 상당하는 값이다.
그래서, 제어 장치(1)는, 전력 변환 장치 INV1을 정지하고, 전력 변환 장치 INV3을 운전한다.
즉, 정지하고 있는 전력 변환 장치의 축전지 잔량을 A%, 제어 장치(1)의 설정치를 B%, 운전하고 있는 전력 변환 장치 중 가장 잔량이 적은 쪽의 축전지 잔량을 C%라고 하면, 제어 장치(1)는, 다음 부등식이 성립될 때에, 전력 변환 장치의 전환을 행한다.
C% < A% × B%
위의 부등식이 성립하면, 제어 장치(1)는, 가장 축전지 잔량이 적은 전력 변환 장치의 운전을 정지하고, 정지시키고 있었던 전력 변환 장치의 운전을 개시한다.
도 2(a) 내지 도 2(g)에 나타내는 시각 T1에서는, 가장 축전지 잔량이 적은 전력 변환 장치는 전력 변환 장치 INV1이다. 또한, 정지시키고 있었던 전력 변환 장치는 전력 변환 장치 INV3이다. 따라서, 제어 장치(1)는, 전력 변환 장치 INV1의 운전을 정지하고, 전력 변환 장치 INV3의 운전을 개시한다.
제어 장치(1)는, 상술한 순서를 반복하면서,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의 운전을 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2차 전지 시스템은, 부하측의 전력 계통에 필요한 공급 전력을 1대의 전력 변환 장치를 정지시키더라도 공급 가능한 경우에는, 항상 1대의 전력 변환 장치를 정지시킴으로써, 설비 전체적으로 전력 변환 장치의 1대분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2차 전지 시스템은, 모든 2차 전지 B1, B2, B3의 축전지 잔량이 균일해지도록 전력 변환 장치를 운전하여, 부하측의 전력 계통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축전지 잔량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2차 전지 시스템에서의 설비의 운용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은, 도 1에 나타내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장치(1)를 제어 장치(1A)로 치환한 점 이외에는,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다.
제어 장치(1A)는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의 제어를 행한다. 제어 장치(1A)는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의 운전을 전환하기 위한 설정치가 설정되어 있다. 제어 장치(1A)는, 이 설정치에 근거하여,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의 운전의 전환을 한다.
다음으로,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여, 제어 장치(1A)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에 따른 2차 전지 시스템의 제어 장치(1A)의 제어에 의한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4(a)는 전력 변환 장치 INV1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4(b)는 전력 변환 장치 INV2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4(c)는 전력 변환 장치 INV3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도 4(d)는 2차 전지 시스템의 출력 전력의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도이다.
여기서, 2차 전지 시스템은 부하측의 전력 계통에 400㎾의 전력량을 공급해야 하는 것으로 한다.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은 최대 발전 전력이 200㎾인 것으로 한다.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 각각에 대응하는 2차 전지 B1, B2, B3의 축전지 잔량은 거의 균일하다고 한다. 제어 장치(1A)에 설정되어 있는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의 운전을 전환하기 위한 설정치는 시간 T라고 한다.
지금, 제어 장치(1A)는 시각 T0으로부터 제어를 개시하는 것으로 한다.
2차 전지 시스템의 부하측의 전력 계통에 필요한 공급 전력은 400㎾이고,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 각각의 최대 발전 전력이 200㎾이기 때문에, 2대의 전력 변환 장치의 운전으로 공급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 장치(1A)는, 2대의 전력 변환 장치로 전력을 공급하고, 나머지의 1대의 전력 변환 장치를 정지시킨다.
제어 장치(1A)는 2대의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3의 운전을 개시한다.
운전을 개시하고 나서 설정치의 시간 T의 절반인 시간 T/2의 경과 후의 시각 T1에서, 제어 장치(1A)는, 전력 변환 장치 INV3의 운전을 정지하고, 전력 변환 장치 INV2의 운전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1A)는 운전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전력 변환 장치 INV3으로부터 전력 변환 장치 INV2로 전환한다.
시각 T1로부터 시간 T/2의 경과 후의 시각 T2에서, 제어 장치(1A)는, 전력 변환 장치 INV1의 운전을 정지하고, 전력 변환 장치 INV3의 운전을 개시한다. 이것에 의해, 제어 장치(1A)는, 운전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전력 변환 장치 INV1로부터 전력 변환 장치 INV3으로 전환한다.
마찬가지로 해서 시간 T/2의 경과마다의 시각 T3, T4, T5에서, 제어 장치(1A)는 운전하는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의 전환을 행한다. 제어 장치(1A)는, 이 전환을 반복하면서,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의 운전을 한다.
상술한 제어 장치(1A)의 제어에 의해,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은 설정치인 시간 T 연속하여 운전하고, 정지하는 것을 반복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2차 전지 시스템은, 부하측의 전력 계통에 필요한 공급 전력을 1대의 전력 변환 장치를 정지시키더라도 공급 가능한 경우에는, 항상 1대의 전력 변환 장치를 정지시킴으로써, 설비 전체적으로 전력 변환 장치의 1대분의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장치(1A)에 설정된 시간 T/2마다, 전력 변환 장치 INV1, INV2, INV3의 운전을 순차적으로 전환하기 때문에, 모든 2차 전지 B1, B2, B3의 축전지 잔량을 균일하게 소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2차 전지 B1, B2, B3의 축전지 잔량을 균일하게 유지함으로써, 2차 전지 시스템에서의 설비의 운용 및 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각 실시 형태에서는, 2차 전지 및 전력 변환 장치를 각각 3개로 했지만, 2 이상이면, 몇 개이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전력 변환 장치를 정지시키는 대수를 하나로 했지만, 부하측의 전력 계통에 필요한 전력 공급이 가능한 것이면, 2 이상이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운전을 정지시키고 있는 전력 변환 장치가 2 이상 있고, 운전을 개시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선택하는 경우, 가장 축전지 잔량이 많은 2차 전지에 대응하는 전력 변환 장치를 선택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해, 모든 2차 전지의 축전지 잔량을 균등하게 소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차 전지로서, NAS 전지를 이용했지만, 다른 것이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 그대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시 단계에서는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요소를 변형하여 구체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개시되어 있는 복수의 구성요소의 적당한 조합에 의해, 여러 가지의 발명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실시 형태에 나타내어지는 전체 구성요소로부터 몇 개의 구성요소를 삭제하더라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구성요소를 적절히 조합하더라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2차 전지를 이용한 2차 전지 시스템에 있어서, 효율 좋게 운전할 수 있는 2차 전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2 이상의 2차 전지와,
    상기 2 이상의 2차 전지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대응하는 상기 2차 전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변환하는 2 이상의 전력 변환 수단과,
    운전하고 있는 상기 전력 변환 수단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전력 변환 수단에 대응하는 상기 2차 전지의 축전지 잔량이, 정지하고 있는 상기 전력 변환 수단에 대응하는 상기 2차 전지의 축전지 잔량의 소정의 비율 이하로 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전력 변환 수단의 운전을 정지하고, 정지하고 있는 상기 전력 변환 수단의 운전을 개시하는 운전 전환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시스템.
  2. 2 이상의 2차 전지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대응하는 상기 2차 전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변환하는 2 이상의 전력 변환 장치를 제어하는 2차 전지 시스템의 제어 장치로서,
    운전하고 있는 상기 전력 변환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전력 변환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2차 전지의 축전지 잔량이, 정지하고 있는 상기 전력 변환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2차 전지의 축전지 잔량의 소정의 비율 이하로 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운전을 정지하고, 정지하고 있는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운전을 개시하는 운전 전환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시스템의 제어 장치.
  3. 2 이상의 2차 전지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대응하는 상기 2차 전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변환하는 2 이상의 전력 변환 장치를 제어하는 2차 전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운전하고 있는 상기 전력 변환 장치 중 어느 하나의 상기 전력 변환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2차 전지의 축전지 잔량이, 정지하고 있는 상기 전력 변환 장치에 대응하는 상기 2차 전지의 축전지 잔량의 소정의 비율 이하로 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단계와,
    상기 검출 단계에 의한 검출의 대상으로 된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운전을 정지하고, 정지하고 있는 상기 전력 변환 장치의 운전을 개시하는 운전 전환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2 이상의 2차 전지와,
    상기 2 이상의 2차 전지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대응하는 상기 2차 전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변환하는 2 이상의 전력 변환 수단과,
    상기 전력 변환 수단 중 하나의 상기 전력 변환 수단을 정지한 경우에 있어서의 최대 발전 전력이 부하측에 필요한 공급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소정 시간마다,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연속하여 운전한 상기 전력 변환 수단의 운전을 정지하고, 정지하고 있는 상기 전력 변환 수단의 운전을 개작하는 운전 전환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시스템.
  5. 2 이상의 2차 전지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대응하는 상기 2차 전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변환하는 2 이상의 전력 변환 장치를 제어하는 2차 전지 시스템의 제어 장치로서,
    상기 전력 변환 수단 중 하나의 상기 전력 변환 수단을 정지한 경우에 있어서의 최대 발전 전력이 부하측에 필요한 공급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소정 시간마다,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연속하여 운전한 상기 전력 변환 수단의 운전을 정지하고, 정지하고 있는 상기 전력 변환 수단의 운전을 개시하는 운전 전환 수단
    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시스템의 제어 장치.
  6. 2 이상의 2차 전지의 각각에 대응하여 마련되고, 대응하는 상기 2차 전지로부터 공급된 전력을 변환하는 2 이상의 전력 변환 장치를 제어하는 2차 전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전력 변환 수단 중 하나의 상기 전력 변환 수단을 정지한 경우에 있어서의 최대 발전 전력이 부하측에 필요한 공급 전력을 초과하는 경우, 소정 시간마다, 상기 소정 시간 동안 연속하여 운전한 상기 전력 변환 수단의 운전을 정지하고, 정지하고 있는 상기 전력 변환 수단의 운전을 개시하는 운전 전환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전지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0117011428A 2008-11-19 2008-11-19 2차 전지 시스템 KR101493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8/071040 WO2010058460A1 (ja) 2008-11-19 2008-11-19 二次電池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6117A true KR20110096117A (ko) 2011-08-29
KR101493124B1 KR101493124B1 (ko) 2015-02-12

Family

ID=42197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428A KR101493124B1 (ko) 2008-11-19 2008-11-19 2차 전지 시스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214814B2 (ko)
EP (1) EP2352215A4 (ko)
JP (1) JP5501248B2 (ko)
KR (1) KR101493124B1 (ko)
CN (1) CN102217162B (ko)
AU (1) AU2008364377B2 (ko)
CA (1) CA2743994C (ko)
MY (1) MY160070A (ko)
WO (1) WO20100584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57072A (zh) * 2010-10-22 2012-05-16 湖州雷霆能源科技有限公司 光电互补电池的充放电方法及系统
CN102122826A (zh) * 2011-01-17 2011-07-13 中国南方电网有限责任公司电网技术研究中心 一种大容量蓄电池储能双向换流器
WO2012141022A1 (ja) 2011-04-11 2012-10-18 日本碍子株式会社 電力貯蔵装置及び電力貯蔵装置の運転方法
JP5732134B2 (ja) * 2011-06-09 2015-06-10 東芝三菱電機産業システム株式会社 無停電電源システム
JP5849518B2 (ja) * 2011-08-12 2016-01-27 株式会社Ihi 電源システム
CN102355040A (zh) * 2011-10-19 2012-02-15 北京四方继保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与电池成组应用相匹配的变流器模块化设计与控制方法
JP5851879B2 (ja) * 2012-02-21 2016-02-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電力制御装置
JP6323822B1 (ja) * 2017-07-07 2018-05-16 Mirai−Labo株式会社 電源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EP3462560B1 (en) * 2017-09-27 2021-05-12 Indielux UG (Haftungsbeschränkt)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d controlling an electricity feed to an electricity grid from a load side of an electric circuit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9387B2 (ja) * 1994-11-07 2004-12-08 東京電力株式会社 電力貯蔵システム
CN1044954C (zh) * 1995-02-20 1999-09-01 三洋电机株式会社 向电子器具供电的电源装置
JPH0946914A (ja) * 1995-07-31 1997-02-14 Oki Electric Ind Co Ltd 電源供給装置及びその充電装置
JPH11252812A (ja) * 1998-02-27 1999-09-17 Nec Yonezawa Ltd バッテリ放電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000116014A (ja) * 1998-10-06 2000-04-21 Hitachi Ltd 電力貯蔵装置
US6111764A (en) * 1998-10-12 2000-08-29 Sanyo Denki Co., Ltd. Power failure-free power supply apparatus
JP3697121B2 (ja) * 1998-10-15 2005-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1103740A (ja) * 1999-09-30 2001-04-13 Oki Electric Ind Co Ltd 電源回路
JP3398703B2 (ja) * 2000-02-14 2003-04-21 米沢日本電気株式会社 放電回路及びデューティー比設定方法
JP2001327083A (ja) * 2000-05-18 2001-11-22 Ngk Insulators Ltd 高温二次電池による電力貯蔵及び補償システム
JP3854175B2 (ja) * 2002-03-01 2006-12-06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電気機器、コンピュータ装置、コントローラ、電池切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003553B2 (ja) * 2002-06-26 2007-11-0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副生ガスを用いた発電方法および発電設備
US7081737B2 (en) * 2003-06-19 2006-07-25 O2Micro International Limited Battery cell monitoring and balancing circuit
CN1300910C (zh) * 2003-07-23 2007-02-14 黄府能 一种电池供电装置
JP5039980B2 (ja) 2005-11-14 2012-10-03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二次電池モジュール
JP4784566B2 (ja) * 2006-07-12 2011-10-0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入出力電力制御装置及び入出力電力制御方法
JP4886562B2 (ja) * 2007-03-19 2012-02-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力変換器及び多入出力電力変換器
CN101436830B (zh) * 2007-11-15 2011-06-0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源装置及其保护方法
US8648568B2 (en) * 2008-01-17 2014-0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Backup power system management
JP4530078B2 (ja) * 2008-06-04 2010-08-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制御装置及び車両
CN102202929B (zh) * 2008-10-31 2014-01-01 丰田自动车株式会社 电动车辆的电源系统及其控制方法
EP2371610A4 (en) * 2008-11-28 2014-09-10 Toyota Motor Co Ltd VEHICLE LOAD SYSTEM
JP4985873B2 (ja) * 2009-04-23 2012-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動車両の電源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52215A4 (en) 2014-01-15
CN102217162A (zh) 2011-10-12
WO2010058460A1 (ja) 2010-05-27
AU2008364377A1 (en) 2010-05-27
CN102217162B (zh) 2014-05-21
KR101493124B1 (ko) 2015-02-12
JP5501248B2 (ja) 2014-05-21
US20110278930A1 (en) 2011-11-17
CA2743994C (en) 2018-02-20
US9214814B2 (en) 2015-12-15
CA2743994A1 (en) 2010-05-27
MY160070A (en) 2017-02-15
JPWO2010058460A1 (ja) 2012-04-12
EP2352215A1 (en) 2011-08-03
AU2008364377B2 (en) 201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96117A (ko) 2차 전지 시스템
JP5783490B2 (ja) 複数供給オンボード電源を備えた電力インバータ
US8159196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power control
JP5160371B2 (ja) 交流電力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A45388C2 (uk) Пристрій та спосіб живлення постійним струмом тягової системи за допомогою перетворювачів змінного або постійного струму різних напруг
KR100854707B1 (ko) 직류회생방식의 충방전 시스템
JP2010158098A (ja) 電源ユニットおよび電子装置
JP2016010290A (ja) 電力変換装置、変換器及び電力変換装置の制御方法
JP5941826B2 (ja) 二次電池用双方向電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3009476A (ja) 電力変換装置
JP6468593B2 (ja) 蓄電システム
JP2010172115A (ja) 電力供給方法及び交直流電車用電源システム
CN113196612A (zh) 具有不间断电力供应的微电网系统
JP5369047B2 (ja) 電力変換装置
JP2010220339A (ja) 無停電電源システム
JP2008029044A (ja) 直流多端子配電システムとその運転方法
CN112004708B (zh) 电动车辆用电源系统
JP4592714B2 (ja) 無停電電源装置
JP2018007295A (ja) 直流送電システム及び電力変換装置
KR20210020121A (ko) 전력 공급 시스템
WO2022244643A1 (ja) 電力供給装置
JP7233279B2 (ja) 系統連系装置
JP4995756B2 (ja) 直流双方向コンバータと直流双方向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JP3270069B2 (ja) 交直変換装置システム
JP2006174590A (ja) 電力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