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5973A -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5973A
KR20110095973A KR1020117016846A KR20117016846A KR20110095973A KR 20110095973 A KR20110095973 A KR 20110095973A KR 1020117016846 A KR1020117016846 A KR 1020117016846A KR 20117016846 A KR20117016846 A KR 20117016846A KR 20110095973 A KR20110095973 A KR 20110095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speed
stopper
governor
fly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6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1617B1 (ko
Inventor
다케시 니이카와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5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5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 B66B1/30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electrical effective on driving gear, e.g. acting on power electronics, on inverter or rectifier controlled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진동ㆍ소음의 발생이나 부품의 마모에 의한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회전 의존성이 부가된 과속검출기구를 실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엘리베이터의 승강체와 연동하는 로프가 감기며, 승강체의 상승 속도에 따라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킴과 아울러, 승강체의 하강 속도에 따라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쉬브와, 쉬브에 마련되며 쉬브의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 외측으로의 이동량을 증감시키는 플라이 웨이트와, 플라이 웨이트에 근접해서 마련되며 플라이 웨이트를 미리 정해진 양만큼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쉬브의 과속검출을 실시하는 검출기와, 플라이 웨이트에 근접해서 마련되며 양 회전 방향 중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쉬브가 회전하고 있을 때는 플라이 웨이트를 미리 정해진 양(量) 이상으로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ELEVATOR GOVERN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조속기(調速機)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로서, 디스크형(disk type) 조속기와 플라이볼형(fly ball type) 조속기가 있다. 이것들로 대표되는 종래의 조속기의 과속검출기구는 회전 방향 의존성이 없다. 이 때문에, 어느 회전 방향에서도 동일한 속도로 과속검출이 실행된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속도가 하강 속도보다도 빠른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측 조속기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칸의 하강 속도에 맞추어 설정한 과속검출기구가, 엘리베이터칸의 상승시에도 동작해 버린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속도, 하강 속도의 각각에 맞춘 과속검출을 실시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대해, 하나의 조속기에 검출동작속도가 다른 독립한 두 개의 과속검출기구를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조속기에 있어서는, 검출동작속도가 늦은 쪽의 과속검출기구로는 래칫을 통하여 쉬브(sheave)의 회전이 전달된다. 한편, 검출동작속도가 빠른 쪽의 과속검출기구로는 래칫이 자유롭게 되어 쉬브의 회전이 전달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속도가 하강 속도보다도 빠른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측 조속기에 있어서, 상승 속도, 하강 속도의 각각에 맞춘 과속검출을 실시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특개 2003-327241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 기재는, 래칫이 자유롭게 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래칫으로부터 진동ㆍ소음이 발생하고, 래칫 부품의 마모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안전부품으로서의 조속기의 안전성,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속도가 하강 속도보다 빠른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웨이트(weight)측 비상 멈춤이 적용되어, 웨이트측 조속기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는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방향의 과속검출은 반드시 엘리베이터칸측 조속기로 실시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웨이트측 조속기를 구비하는 것은 장황한 구성이 되어,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진동ㆍ소음의 발생이나 부품의 마모에 의한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회전 의존성이 부가된 과속검출기구를 실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체와 연동하는 로프가 감기며, 상기 승강체의 상승 속도에 따라서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킴과 아울러, 상기 승강체의 하강 속도에 따라서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쉬브(sheave)와, 상기 쉬브에 마련되며 상기 쉬브의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서 외측으로의 이동량을 증감시키는 플라이 웨이트(fly weight)와, 상기 플라이 웨이트에 근접해서 마련되며 상기 플라이 웨이트를 미리 정해진 양(量)만큼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쉬브의 과속검출을 실시하는 검출기와, 상기 플라이 웨이트에 근접해서 마련되며 양 회전 방향 중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상기 쉬브가 회전하고 있을 때는 상기 플라이 웨이트가 상기 미리 정해진 양(量) 이상으로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진동ㆍ소음의 발생이나 부품의 마모에 의한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회전 의존성이 부가된 과속검출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도 8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그 중복 설명은 적당하게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실시 형태 1.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승강로는, 건축물의 각 층을 걸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된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이 승강로 상부에는 기계실이 마련된다. 이 기계실에는 권상기(券上機)가 마련된다. 이 권상기에는 권상 로프가 감겨진다. 이 권상 로프의 일단에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칸이 매달려있다. 한편, 권상 로프의 타단에는 웨이트(weight)가 매달려있다. 그리고, 권상기의 회전은 제어장치로 제어된다. 그리고, 권상기의 회전에 따라서 엘리베이터칸 및 웨이트가 설정된 속도로 승강한다.
또, 엘리베이터칸 하부에는 비상 멈춤 장치가 마련된다. 이 비상 멈춤 장치에는 암(arm)을 통하여 무단상(無端狀)의 조속기 로프가 접속된다. 이 조속기 로프 하단의 만곡부는 텐션 쉬브에 감겨진다. 한편, 조속기 로프 상단의 만곡부는 기계실 등에 마련된 조속기의 쉬브에 감겨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조속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1은 조속기이다. 이 조속기(1)는 쉬브(2)를 구비한다. 이 쉬브(2)는 주축(主軸, 3)에 축지지 된다. 또, 쉬브(2)에는 조속기 로프(4)가 감겨진다.
이 조속기 로프(4)는, 무단상(無端狀)으로 엘리베이터칸에 장착된다. 이 조속기 로프(4)는 엘리베이터칸과 연동한다. 그리고, 조속기 로프(4)는 엘리베이터칸의 승강에 따라 쉬브(2)를 회전시킨다. 즉, 쉬브(2)는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속도에 따라서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킴과 아울러, 엘리베이터칸의 하강 속도에 따라서 다른 방향으로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킨다.
이 쉬브(2)의 측면에는 한 쌍의 디스크형(disk type)의 플라이 웨이트(fly weight, 5)가 핀(6)을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플라이 웨이트(5)는 쉬브(2)의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서 쉬브(2)의 측면을 따라서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량을 증감시킨다. 이러한 플라이 웨이트(5)는 링크(7)에 의해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양 플라이 웨이트(5)의 회전 각도가 동일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 플라이 웨이트(5)의 한쪽의 일단에는 링크(8)를 통하여 평형 스프링(9)이 마련된다. 이 평형 스프링(9)은 플라이 웨이트(5)의 한쪽을 쉬브(2) 중심측으로 항상 가압하고 있다. 또, 링크(8)에는 스프링력 조정용 너트(10)가 마련된다. 이 스프링력 조정용 너트(10)는 평형 스프링(9)의 가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것이다. 게다가, 플라이 웨이트(5)의 다른쪽의 일단에는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을 향해서 도그(dog, 11)가 마련된다.
또, 쉬브(2)의 일측부측에 근접하여 작동 캠(12)이 마련된다. 이 작동 캠(12)은 과속스위치(13)에 마련된다. 그리고, 작동 캠(12)이 상하로 이동하면 과속스위치(13)가 동작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쉬브(2)의 일측부 하방에는 로프 캐치(rope catch, 14)가 엘리베이터칸을 장착한 조속기 로프(4)에 근접해서 마련된다.
이 로프 캐치(14)는 후크(15)의 하단에 걸려서 매달려진다. 이 후크(15)는 핀(16)을 통하여 중앙에서 축지지 된다. 또, 로프 캐치(14)의 대향측에는 고정정 슈(shoe, 17)가 마련된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4)는 쉬브(2)의 일측부 하방에서 로프 캐치(14)와 고정 슈(17)에 둘러싸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게다가 스토퍼(18)가 마련된다. 이 스토퍼(18)의 본체는 주축(3)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 스토퍼(18)의 본체에는 한 쌍의 걸림용 노치부(19)가 마련된다. 이러한 걸림용 노치부(19)의 쉬브(2) 중심측 단부는 연결 노치부(20)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이 연결 노치부(2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레버(21)의 일단(22)이 삽입 통과된다. 한편, 레버(21)의 타단(23)은 쉬브(2)에 축지지 된다.
또, 레버(21)보다도 주축(3) 측에는 핀(24)이 스토퍼(18) 측으로 돌출하여 쉬브(2)에 마련된다. 한편, 레버(21)에도 핀(25)이 쉬브(2) 측으로 돌출하여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핀(24, 25) 사이에, 인장 스프링(26)이 마련된다. 이러한 인장 스프링(26)은 레버(21)를 쉬브(2) 중심 측으로 항상 가압하고 있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조속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우선, 스토퍼(18)가 없는 경우의 조속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
쉬브(2)가 엘리베이터칸의 승강과 동기(同期)하여 회전하면, 쉬브(2)의 회전 속도에 따른 원심력을 플라이 웨이트(5)가 받는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칸이 정격 속도 이내에서 승강하고 있는 동안은, 플라이 웨이트(5)에 가해지는 원심력보다도 평형 스프링(9)에 의한 힘이 크다. 이 때문에, 플라이 웨이트(5)와 쉬브(2)의 상대 위치는 초기설정 상태로부터 변화하지 않는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의 승강 속도가 정격 속도를 초과하면, 플라이 웨이트(5)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평형 스프링(9)의 힘을 이긴다. 이 때문에, 플라이 웨이트(5)가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게다가, 엘리베이터칸의 승강 속도가 제1 과속검출속도에 도달하면, 플라이 웨이트(5) 선단의 도그(11)가 작동 캠(12)에 맞닿는다. 이러한 맞닿음에 의해, 과속스위치(13)가 동작한다. 즉, 작동 캠(12) 및 과속스위치(13)는 엘리베이터칸의 상승ㆍ하강에 관계하지 않고, 플라이 웨이트(5)가 미리 정해진 양(量)만큼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쉬브(2)의 과속검출을 실시하는 검출기로서 기능을 한다. 그리고, 과속스위치(13)의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및 브레이크로의 동력이 차단된다. 이러한 차단에 의해, 통상은 엘리베이터칸이 정지한다.
또, 엘리베이터칸이 정지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칸의 하강 속도가 제1 과속검출속도를 초과하여 제2 과속검출속도에 도달하면, 플라이 웨이트(5)가 더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도그(11)가 후크(15) 상단에 작동 캠(12)측으로부터 맞닿는다. 이러한 맞닿음에 의해, 후크(15)가 핀(1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 후크(15)의 회전에 의해, 후크(15)의 하단이 로프 캐치(14)로부터 벗어난다.
그 다음에, 로프 캐치(14)가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고정 슈(17)와의 사이에서 조속기 로프(4)를 끼운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4)가 제동된다. 이 조속 로프(4)의 제동에 연동하여,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비상 멈춤 장치가 동작한다. 이 비상 멈춤 장치의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이 정지한다.
다음에, 스토퍼(18)가 있는 경우의 조속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쉬브(2)의 회전 속도가 미리 정해진 임계치를 초과하면, 레버(21)가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레버(21)의 질량과 인장 스프링(26)의 스프링 계수가 결정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이 상승 방향으로 가속하면, 스토퍼(18)는 레버(21)의 일단(22)에 의해 쉬브(2)의 회전 방향으로 밀려진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18)는 쉬브(2)와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그 다음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속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레버(21)의 일단(22)은 원심력에 의해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걸림용 노치부(19)의 한쪽으로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18)는 쉬브(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즉, 스토퍼(18)는 쉬브(2)와 일체로 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방향이 정격 속도를 초과하여, 플라이 웨이트(5)가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려고 한다. 그러나, 스토퍼(18)의 돌출단이 플라이 웨이트(5)에 대해서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플라이 웨이트(5)는 미리 정해진 이상으로 이동하면, 스토퍼(18)의 돌출단과 간섭하게 된다.
따라서, 플라이 웨이트(5)는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는 거의 이동할 수 없다. 즉,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속도가 제1 과속검출속도에 도달하더라도, 플라이 웨이트(5) 선단의 도그(11)가 작동 캠(12)에 맞닿지는 않는다. 이 때문에, 과속스위치(13)가 동작하지도 않는다.
한편,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속도가 감속하여 임계치 정도까지 저하되면, 레버(21)의 일단(22)은 쉬브(2)의 지름 방향 내측, 즉, 연결 노치부(20)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스토퍼(18)는 쉬브(2)에 대해서 연결 노치부(20)의 길이분 만큼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해진다.
이 때, 쉬브(2)가 감속하고 있어도, 관성의 법칙에 의해 스토퍼(18)는 거의 등속으로 회전을 계속하려고 한다. 이 때문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18)는 쉬브(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계속하여, 엘리베이터칸이 하강 방향으로 가속하면, 스토퍼(18)는 레버(21)의 일단(22)에 의해 밀려진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18)는 쉬브(2)와 일체로 되어 회전한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의 하강 속도가 임계치를 초과하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21)의 일단(22)은 원심력에 의해,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걸림용 노치부(19)의 다른 쪽으로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스토퍼(18)의 돌출단은 플라이 웨이트(5)의 외측으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 유지된다. 즉, 플라이 웨이트(5)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 때문에, 엘리베이터칸의 하강 속도가 제1 및 제2 과속검출속도에 도달할 때는, 각각의 속도에 따른 과속검출동작을 실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양 회전 방향 중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쉬브(2)가 회전하고 있을 때, 스토퍼(18)는 플라이 웨이트(5)를 미리 정해진 양(量) 이상으로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진동ㆍ소음의 발생이나 부품의 마모에 의한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하면서, 회전 의존성이 부가된 과속검출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쉬브(2)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스토퍼(18)의 본체는 레버(21)에 의해 플라이 웨이트(5)에 대해서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에 유지된다. 한편, 쉬브(2)를 미리 정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 스토퍼(18)의 본체는 레버(21)에 의해 플라이 웨이트(5)에 대해서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에 유지된다. 이 때문에, 보다 안정되고, 회전 의존성이 부가된 과속검출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레버(21)의 일단(22)이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도록 설정된 쉬브(2)의 회전 속도의 임계치는 엘리베이터칸의 상승ㆍ하강 속도 중 낮은 쪽의 정격 속도의 반 정도로 설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의도하지 않은 과속검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엘리베이터칸이 상승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만 과속검출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칸 상승 방향으로 쉬브(2)가 회전하고 있을 때에, 플라이 웨이트(5)의 이동을 방지하지 않도록 스토퍼(18)를 구성하면 좋다.
실시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어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에서는, 스토퍼(18)의 걸림용 노치부(19), 연결 노치부(20), 레버(21), 핀(24, 25), 인장 스프링(26)이 각각 하나씩 마련되어 있었다. 한편, 실시 형태 2에서는, 스토퍼(18)의 걸림용 노치부(19), 연결 노치부(20), 레버(21), 핀(24, 25), 인장 스프링(26)이 주축(3)에 대해서 대칭적으로 복수개 마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레버(21)에 걸리는 부하가 저감한다. 이 때문에, 조속기(1)의 신뢰성,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B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3의 조속기(1)는 실시 형태 1의 조속기(1)와, 플라이 웨이트의 구성, 스토퍼(18)의 형상 등이 다른 것이다. 이하, 실시 형태 3의 조속기(1)를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에서, 27은 한 쌍의 직선 운동용 베어링이다. 이러한 직선 운동용 베어링(27)은 고정부(28)를 통하여 쉬브(2)의 측면에 장착된다. 그리고, 직선 운동용 베어링(27)에 플라이 웨이트(29)가 삽입 통과되어 있다. 여기서, 직선 운동용 베어링(27)은 미끄럼 마찰을 이용한 미끄럼 베어링이라도 좋고, 볼이나 롤러의 구름 마찰을 이용한 롤러 베어링 어느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플라이 웨이트(29)에는 스프링력 조정용 너트(30)가 마련된다. 이 스프링력 조정용 너트(30)와 고정부(28) 사이에는, 평형 스프링(31)이 마련된다. 이 평형 스프링(31)은 플라이 웨이트(29)를 쉬브(2) 중심 측으로 항상 가압하는 것이다.
다음에, 스토퍼(18)가 없는 경우의 조속기(1)의 동작을 설명한다.
쉬브(2)가 엘리베이터칸의 승강과 동기(同期)하여 회전하면, 쉬브(2)의 회전 속도에 따른 원심력을 플라이 웨이트(29)가 받는다. 여기서, 엘리베이터칸이 정격 속도 이내에서 승강하고 있는 동안은, 플라이 웨이트(29)에 가해지는 원심력보다도 평형 스프링(31)에 의한 힘이 크다. 이 때문에, 플라이 웨이트(29)와 쉬브(2)의 상대 위치는 초기설정 상태로부터 변화하지 않는다.
그리고, 엘리베이터칸의 승강 속도가 정격 속도를 초과하면, 플라이 웨이트(29)에 가해지는 원심력이 평형 스프링(31)에 의한 원심력의 힘을 이긴다. 이 때문에, 플라이 웨이트(29)가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동을 시작한다.
게다가, 엘리베이터칸의 승강 속도가 제1 과속검출속도에 이르면, 플라이 웨이트(29) 선단이 작동 캠(12)에 맞닿는다. 이러한 맞닿음에 의해, 과속스위치(13)가 동작한다. 즉, 작동 캠(12) 및 과속스위치(13)는 엘리베이터칸의 상승ㆍ하강에 관계하지 않고, 플라이 웨이트(29)가 미리 정해진 양(量)만큼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쉬브(2)의 과속검출을 실시하는 검출기로서 기능을 한다. 그리고, 과속스위치(13)의 동작에 의해, 엘리베이터의 권상기 및 브레이크로의 동력이 차단된다. 이러한 차단에 의해, 통상은 엘리베이터칸이 정지한다.
또, 엘리베이터칸이 정지하지 않고, 엘리베이터칸의 하강 속도가 제1 과속검출속도를 초과하여 제2 과속검출속도에 도달하면, 플라이 웨이트(29)가 더 쉬브(2)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에 의해, 플라이 웨이트(29)의 선단이 후크(15) 상단에 작동 캠(12)측으로부터 맞닿는다. 이러한 맞닿음에 의해, 후크(15)가 핀(16)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후크(15)의 하단이 로프 캐치(14)로부터 벗어난다. 이 후크(15)의 회전에 의해, 로프 캐치(14)가 중력에 의해 낙하한다.
그리고, 로프 캐치(14)가 중력에 의해 낙하하여, 고정 슈(17)와의 사이에서 조속기 로프(4)를 끼운다. 이것에 의해, 조속기 로프(4)가 제동된다. 이 조속 로프(4)의 제동에 연동하여 엘리베이터칸에 마련된 비상 멈춤 장치가 동작한다. 이것에 의해, 엘리베이터칸이 정지한다.
또한, 스토퍼(18)가 있는 경우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3에 의하면, 디스크형의 플라이 웨이트(5)가 아니더라도, 실시 형태 1과 같은 효과를 가지는 회전 의존성이 부가된 과속검출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도 8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또한, 실시 형태 1과 동일 또는 상당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3에서는, 과속검출기구가 하나 마련되어 있었다. 한편, 실시 형태 4에서는, 과속검출기구가 두 개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과속검출기구는 서로 독립해서 동작한다. 이하, 도 9를 이용하여 실시 형태 4의 조속기(1)를 설명한다.
도 9에서, 32는 회전체이다. 이 회전체(32)는 쉬브(2)의 일측면에 고정된다. 즉, 회전체(32)는 쉬브(2)와 함께 회전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그리고, 쉬브(2)의 타측면에는 과속검출기구의 한쪽이 마련된다. 이 과속검출기구의 한쪽은 실시 형태 3과 같은 스토퍼(18)가 마련된다. 한편, 회전체(32)의 일측면에는 과속검출기구의 다른쪽이 마련된다. 이 과속검출기구의 다른쪽은 스토퍼(18)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여기서, 과속검출기구의 한쪽은 엘리베이터칸 하강 방향의 정격 속도에 맞추어 설정된다. 그리고, 과속검출기구의 한쪽은 엘리베이터칸 상승시에, 엘리베이터칸 하강 방향의 정격 속도보다도 빨라지기 전에, 스토퍼(18)에 동작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과속검출기구의 다른쪽은 엘리베이터칸 상승 방향의 정격 속도에 맞추어 설정된다. 이러한 조속기(1)는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속도가 하강 속도보다도 빠른 엘리베이터에 마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 형태 4에 의하면,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속도가 하강 속도보다 빠른 엘리베이터에서, 상승 속도, 하강 속도의 각각에 맞춘 과속검출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칸의 상승 속도가 하강 속도보다 늦은 엘리베이터에서는, 스토퍼(18)에 의해 동작이 제한되는 과속검출기구의 검출 속도를 엘리베이터칸 상승 방향의 정격 속도에 맞추어 설정하고, 스토퍼(18)에 의해 동작이 제한되지 않는 조속기(1)를 엘리베이터칸 하강 방향의 정격 속도에 맞추어 설정하면 좋다.
또, 상기 실시 형태 1 내지 4에서는, 쉬브(2)의 측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플라이 웨이트(5) 등을 가지는 조속기(1)를 설명했다. 그러나, 플라이볼형(fly ball type) 조속기(1)에서도, 같은 효과를 얻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즉, 쉬브(2)가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 스토퍼(18)에 의해 플라이 웨이트가 미리 정해진 양(量) 이상으로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 좋다.
게다가, 상기 실시 형태 1 내지 4에서는, 엘리베이터칸측 조속기(1)에 스토퍼(18)를 마련하는 구성을 설명했다. 그러나, 웨이트측 조속기(1)에 스토퍼(18)를 마련해도, 실시 형태 1 내지 4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의하면, 승강체가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에 이용할 수 있다.
1 조속기  2 쉬브 
3 주축  4 조속기 로프 
5 플라이 웨이트 6 핀 
7 링크 8 링크
9 평형 스프링  10 스프링력 조정용 너트
11 도그  12 작동 캠
13 과속 스위치 14 로프 캐치
15 후크  16 핀
17 고정 슈 18 스토퍼
19 걸림용 노치부 20 연결 노치부
21 레버  22 일단
23 타단 24 핀
25 핀  26 인장 스프링
27 직선 운동용 베어링  28 고정부
29 플라이 웨이트 30 스프링력 조정용 너트
31 평형 스프링  32 회전체

Claims (5)

  1. 엘리베이터의 승강체와 연동하는 로프가 감기며, 상기 승강체의 상승 속도에 따라서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킴과 아울러, 상기 승강체의 하강 속도에 따라서 다른쪽 방향으로의 회전 속도를 변화시키는 쉬브(sheave)와,
    상기 쉬브에 마련되며, 상기 쉬브의 회전 속도의 증감에 따라 외측으로의 이동량을 증감시키는 플라이 웨이트(fly weight)와,
    상기 플라이 웨이트에 근접해서 마련되며, 상기 플라이 웨이트를 미리 정해진 양(量)만큼 외측으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쉬브의 과속검출을 실시하는 검출기와,
    상기 플라이 웨이트에 근접해서 마련되며, 양 회전 방향 중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상기 쉬브가 회전하고 있을 때는 상기 플라이 웨이트가 상기 미리 정해진 양(量) 이상으로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웨이트는 서로 독립해서 동작하는 과속검출기구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상기 쉬브가 회전하고 있을 때에 상기 플라이 웨이트의 한쪽이 상기 미리 정해진 양(量) 이상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쉬브가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에 상기 플라이 웨이트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미리 정해진 양(量) 보다도 작은 양만큼 이동한 상기 플라이 웨이트와 간섭하여, 상기 플라이 웨이트가 상기 미리 정해진 양(量) 이상으로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플라이 웨이트는 상기 쉬브의 측면에 마련되며, 상기 쉬브의 회전 방향의 증감에 따라서 상기 쉬브의 측면을 따라서 상기 쉬브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의 이동량을 증감시키고,
    상기 스토퍼는 상기 쉬브에 대해서 상기 쉬브의 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쉬브가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상기 플라이 웨이트에 대해서 상기 쉬브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쉬브가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을 때는 상기 쉬브에 대해서 회전하여, 상기 플라이 웨이트에 대해서 상기 쉬브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쉬브에 대해서 상기 쉬브의 측면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한 쌍의 걸림용 노치부와 상기 한 쌍의 걸림용 노치부의 상기 쉬브 중심측 단부를 연결하는 연결 노치부를 가진 스토퍼 본체와,
    상기 쉬브 중심측에 가압력을 받으면서 상기 연결 노치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 통과된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쉬브가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는, 상기 연결 노치부에서 상기 걸림용 노치부의 한쪽 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쉬브가 미리 정해진 회전 속도가 되었을 때에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걸림용 노치부의 한쪽에 들어가 상기 스토퍼 본체가 상기 플라이 웨이트에 대해서 상기 쉬브의 지름 방향 외측에 유지되고,
    상기 쉬브가 상기 미리 정해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는, 상기 레버가 상기 연결 노치부에서 상기 걸림용 노치부의 다른 측으로 이동하며, 상기 쉬브가 미리 정해진 속도가 되었을 때에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상기 걸림용 노치부의 다른 쪽으로 들어가 상기 스토퍼 본체가 상기 플라이 웨이트에 대해서 상기 쉬브의 지름 방향 외측으로부터 벗어나는 위치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20117016846A 2009-04-09 2009-04-09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1201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7251 WO2010116503A1 (ja) 2009-04-09 2009-04-09 エレベータ用調速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5973A true KR20110095973A (ko) 2011-08-25
KR101201617B1 KR101201617B1 (ko) 2012-11-14

Family

ID=4293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6846A KR101201617B1 (ko) 2009-04-09 2009-04-09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50554B2 (ko)
EP (1) EP2418166B1 (ko)
JP (1) JP5360201B2 (ko)
KR (1) KR101201617B1 (ko)
CN (1) CN102387977B (ko)
WO (1) WO20101165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567A (ko) * 2014-11-19 2017-07-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25133A1 (en) * 2007-04-13 2008-10-23 Otis Elevator Company Governor sheave with an overlapping flyweight system
EP2319793B1 (de) * 2009-11-10 2012-01-25 ThyssenKrupp Elevator AG Auslösevorrichtung für einen Geschwindigkeitsbegrenzer einer Aufzugsanlage
CN102695666A (zh) * 2010-01-07 2012-09-26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装置
JP5577736B2 (ja) * 2010-02-18 2014-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調速機
CN103261072A (zh) * 2010-12-22 2013-08-21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限速装置
US20150014100A1 (en) * 2012-03-06 2015-01-1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governor and elevator device
WO2013179336A1 (ja) * 2012-05-30 2013-12-05 株式会社 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WO2014125574A1 (ja) * 2013-02-13 2014-08-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JP6027686B2 (ja) * 2013-09-09 2016-1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CN103803371B (zh) * 2014-01-28 2016-08-24 宁波奥德普电梯部件有限公司 电梯轿厢防意外移动的控制装置
EP2913287B1 (en) * 2014-02-26 2018-01-03 Otis Elevator Company Governor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a hoisted object relative to a guide member
JP6239736B2 (ja) * 2014-04-16 2017-11-2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CN106715314A (zh) * 2014-06-18 2017-05-24 奥的斯电梯公司 利用独立阈值速度操作调速器的系统和方法
JP6295189B2 (ja) * 2014-11-28 2018-03-1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CN111498636B (zh) * 2015-09-12 2021-12-28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超速调节器
CN107021395B (zh) * 2016-01-04 2020-11-10 奥的斯电梯公司 具有自动复位的电梯超速调节器
JP6116731B2 (ja) * 2016-04-06 2017-04-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装置
CN107324172B (zh) * 2016-04-28 2023-06-06 刘德民 一种限速器轮
CN107539856B (zh) * 2016-06-29 2019-07-12 上海龙钰电梯配件有限公司 一种电梯限速器
CN107673159B (zh) * 2016-08-01 2020-09-08 奥的斯电梯公司 升降机的限速器
CN109720961B (zh) * 2017-10-30 2021-08-17 奥的斯电梯公司 限速器组件以及电梯系统
JP6799796B2 (ja) * 2018-03-07 2020-12-16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
CN112105576B (zh) * 2018-05-21 2021-09-2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限速器和电梯装置
US11034546B2 (en) * 2018-06-28 2021-06-15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governor
US10968077B2 (en) * 2018-07-19 2021-04-06 Otis Elevator Company Enhanced governor system for elevator
DE202019105089U1 (de) * 2018-11-19 2020-02-20 Wittur Holding Gmbh Geschwindigkeitsbegrenzer für ein Hebezeug mit fliehkraftbetätigter Brems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51994B2 (ko) 1974-05-30 1981-12-09
JPS631866U (ko) * 1986-06-20 1988-01-08
JP2790615B2 (ja) * 1994-10-20 1998-08-2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4306014B2 (ja) 1999-05-17 2009-07-29 三菱電機株式会社 調速装置
CN100575233C (zh) * 2004-07-22 2009-12-30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限速器
JP4689374B2 (ja) * 2005-07-04 2011-05-25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及びエレベータの改修方法
US8069956B2 (en) * 2006-10-18 2011-12-0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peed governor and elevator device
CN100581971C (zh) * 2006-10-31 2010-01-20 中山市南区机电产业技术中心 一种电梯的无绳限速系统
KR101033393B1 (ko) * 2007-08-09 2011-05-09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CN100575234C (zh) * 2008-04-08 2009-12-30 宁波申菱电梯配件有限公司 电梯限速器
CN201211988Y (zh) * 2008-05-06 2009-03-25 河北东方富达机械有限公司 电梯限速器
CN102131726B (zh) 2008-08-28 2013-05-2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限速器
CN103052583A (zh) * 2010-08-06 2013-04-1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限速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86567A (ko) * 2014-11-19 2017-07-26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72217A1 (en) 2011-11-10
EP2418166A1 (en) 2012-02-15
CN102387977B (zh) 2014-01-29
WO2010116503A1 (ja) 2010-10-14
JP5360201B2 (ja) 2013-12-04
JPWO2010116503A1 (ja) 2012-10-11
KR101201617B1 (ko) 2012-11-14
US8950554B2 (en) 2015-02-10
CN102387977A (zh) 2012-03-21
EP2418166A4 (en) 2015-05-06
EP2418166B1 (en) 2017-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1617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US7537090B2 (en) Method and appliance for tripping the safety gear of an elevator using an overspeed governor
JP5287859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KR101371282B1 (ko) 엘리베이터 및 엘리베이터 브레이크
WO2012086026A1 (ja) エレベータの調速装置
JP5472473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2009154984A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6395922B2 (ja) エレベータの非常止め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5577736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WO2006038300A1 (ja) エレベータ装置
WO2000055085A1 (fr) Dispositif de securite pour ascenseur
KR10062754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9196241A (ja) 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ー
JP2021088428A (ja) エレベーター調速機
KR100816172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9089637A (ja) 調速機及びエレベーター
JP2024070403A (ja) エレベータかご及びエレベータ
KR100881503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장치
JP2020111461A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並びにエレベータ装置
KR19980015960U (ko) 승강기용 조속기의 안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