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6567A - 엘리베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6567A
KR20170086567A KR1020177016286A KR20177016286A KR20170086567A KR 20170086567 A KR20170086567 A KR 20170086567A KR 1020177016286 A KR1020177016286 A KR 1020177016286A KR 20177016286 A KR20177016286 A KR 20177016286A KR 20170086567 A KR20170086567 A KR 201700865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ave
shaft
pawl
inertia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760B1 (ko
Inventor
나오히로 시라이시
에이지 안도
세이지 와타나베
고타로 후쿠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86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6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24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guide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28Buffer-stops for cars, cages, or skips
    • B66B5/282Structur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이상 가속도 검출 기구(40)는, 현가체(7)의 파단에 의한 승강체(8)의 이상 가속도를 검출하고, 비상 멈춤 장치(14)를 작동시킨다. 또, 이상 가속도 검출 기구(40)는, 쉬브축(23)을 중심으로 하여, 작동 로프가 감아 걸어진 연동 쉬브(17)에 대해서 독립하여 회전 가능한 관성 쉬브(24)와, 연동 쉬브(17) 및 관성 쉬브(24)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통상 위치와, 가동 슈를 파지 위치로 변위시키는 작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폴(29)과, 초기 압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폴(29)을 상기 통상 위치에 유지함과 아울러, 관성 쉬브(24)를 연동 쉬브(17)와 일체로 회전시키는 탄성체(37, 38)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장치{ELEVATOR APPARATUS}
본 발명은, 승강체를 매다는 현가체의 파단시에 비상(非常) 멈춤 장치에 의해서 승강체를 비상 정지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작동 레버의 축에 비틀림 스프링이 마련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은,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방향과는 반대 방향의 토크를 작동 레버에 부여한다. 또, 조속기, 조속기 로프 및 텐셔닝 쉬브(tensioning sheave)에 의해, 질량체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현가체가 파단하여 엘리베이터 칸이 낙하한 경우에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과, 질량체의 관성 질량이 조정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국제공개 제2012/059970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 칸과 조속기 로프계(系)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관성력의 차분(差分)을 이용하여, 엘리베이터 칸의 이상(異常) 가속도 상태를 검출하고,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고 있지만,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양(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 행정(行程) 및 조속기 로프의 단면 지름 등)에 의해서 조속기 로프계의 관성력이 다르기 때문에, 비상 멈춤 장치의 설계 및 공장에서의 조정에 여러가지 제약이 발생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이며, 현가체의 파단시에,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과대 속도에 이르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고, 또한,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정을 사양에 의하지 않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 엘리베이터 칸을 매다는 현가체, 현가체를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을 승강시키는 권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탑재되어 있고, 엘리베이터 칸을 비상(非常) 정지시키는 비상 멈춤 장치, 승강로 내에 고리 모양으로 부설되어 있고, 또한 비상 멈춤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작동 로프, 작동 로프가 감아 걸어져 있고, 엘리베이터 칸의 승강에 따라 쉬브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연동 쉬브, 작동 로프로부터 떨어진 이격 위치와, 작동 로프를 파지하는 파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통상시에는 이격 위치에 유지되는 가동 슈(shoe), 및 현가체의 파단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의 이상(異常) 가속도를 검출하고, 가동 슈를 파지 위치로 변위시켜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이상 가속도 검출 기구를 구비하며, 이상 가속도 검출 기구는, 쉬브축을 중심으로 하여, 연동 쉬브에 대해서 독립하여 회전 가능한 관성(inertia) 쉬브와, 연동 쉬브 및 관성 쉬브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통상 위치와, 가동 슈를 파지 위치로 변위시키는 작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폴(pawl)과, 초기 압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폴을 통상 위치에 유지함과 아울러, 관성 쉬브를 연동 쉬브와 일체로 회전시키는 탄성체를 가지고 있으며, 현가체의 파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의 가속도가 이상 가속도에 이르면, 연동 쉬브와 관성 쉬브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초기 압력을 초과하여, 관성 쉬브의 연동 쉬브에 대한 회전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생기고, 폴이 작동 위치로 변위하여, 가동 슈를 파지 위치로 변위시킨다.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는, 현가체의 파단시에, 연동 쉬브와 관성 쉬브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이용하여 폴을 작동 위치로 변위시켜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므로,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과대 속도에 이르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고, 또한,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정을 사양에 의하지 않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속기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관성 쉬브를 떼어낸 상태의 조속기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폴이 작동 위치로 변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승강로(1)의 상부에는, 기계실(2)이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권상기(구동 장치)(3), 디플렉팅 쉬브(deflecting sheave)(4), 및 제어 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권상기(3)는, 구동 쉬브(6), 구동 쉬브(6)를 회전시키는 권상기 모터(도시하지 않음), 및 구동 쉬브(6)의 회전을 제동하는 권상기 브레이크(도시하지 않음)를 가지고 있다.
구동 쉬브(6) 및 디플렉팅 쉬브(4)에는, 현가체(7)가 감아 걸어져 있다. 현가체(7)로서는, 복수개의 로프 또는 복수개의 벨트가 이용되고 있다. 현가체(7)의 제1 단부에는, 승강체로서의 엘리베이터 칸(8)이 접속되어 있다. 현가체(7)의 제2 단부에는, 균형추(9)가 접속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는, 현가체(7)에 의해 승강로(1) 내에 매달려져 있고, 권상기(3)가 발생하는 구동력에 의해 승강로(1) 내를 승강한다. 즉, 권상기(3)는, 현가체(7)를 매개로 하여 엘리베이터 칸(8) 및 균형추(9)를 승강시킨다. 제어 장치(5)는, 권상기(3)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설정한 속도로 엘리베이터 칸(8)을 승강시킨다.
승강로(1) 내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과, 균형추(9)의 승강을 안내하는 한 쌍의 균형추 가이드 레일(11)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1)의 저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완충기(12) 및 균형추 완충기(13)가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의 하부에는, 엘리베이터 칸 가이드 레일(10)을 파지하여 엘리베이터 칸(8)을 비상 정지시키는 비상 멈춤 장치(14)가 탑재되어 있다. 비상 멈춤 장치(14)에는, 비상 멈춤 장치(14)를 작동시키는 작동 레버(15)가 마련되어 있다.
기계실(2)에는, 엘리베이터 칸(8)의 과대 속도에서의 주행의 유무를 감시하는 조속기(16)가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16)에는, 연동 쉬브로서의 조속기 쉬브(17)가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17)에는, 작동 로프로서의 조속기 로프(18)가 감아 걸어져 있다.
조속기 로프(18)는, 승강로(1) 내에 고리 모양으로 부설되고, 작동 레버(15)에 접속되어 있다. 또, 조속기 로프(18)는, 승강로(1)의 하부에 배치된 텐셔닝 쉬브(tensioning sheave)(19)에 감아 걸어져 있다. 조속기 쉬브(17)는, 엘리베이터 칸(8)의 승강에 따라 회전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8)이 승강하면, 조속기 로프(18)가 순환 이동하여, 엘리베이터 칸(8)의 주행 속도에 따른 회전 속도로 조속기 쉬브(17)가 회전한다.
조속기(16)에서는, 엘리베이터 칸(8)의 주행 속도가 과대 속도에 이른 것이 기계적으로 검출된다. 검출하는 과대 속도로서는, 정격 속도 Vr 보다도 높은 제1 과대 속도 Vos와, 제1 과대 속도 보다도 높은 제2 과대 속도 Vtr가 설정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8)의 주행 속도가 제1 과대 속도 Vos에 이르면, 과대 속도 검출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조작된다. 이것에 의해, 권상기(3)로의 급전(給電)이 차단되어, 권상기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엘리베이터 칸(8)이 급정지한다.
엘리베이터 칸(8)의 하강 속도가 제2 과대 속도 Vtr에 이르면, 조속기 로프(18)가 파지되고, 조속기 로프(18)의 순환이 정지한다. 이것에 의해, 작동 레버(15)가 조작되어 비상 멈춤 장치(14)가 작동하여, 엘리베이터 칸(8)이 비상(非常) 정지한다.
도 2는 도 1의 조속기(16)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베이스(21)에는, 쉬브 지지 부재(22)가 고정되어 있다. 쉬브 지지 부재(22)는, 연직으로 세워져 있다. 쉬브 지지 부재(22)의 중간부에는, 수평한 쉬브축(sheave軸)(23)이 마련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17)는, 쉬브축(23)을 매개로 하여 쉬브 지지 부재(22)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쉬브축(2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한다.
쉬브축(23)에는, 관성 쉬브(24)가 마련되어 있다. 관성 쉬브(24)는, 쉬브축(23)을 중심으로 하여, 조속기 쉬브(17)에 대해서 독립하여 회전할 수 있다.
베이스(21) 상에는, 조속기 로프(18)를 파지하는 로프 파지 기구(25)가 마련되어 있다. 로프 파지 기구(25)는, 고정 슈(shoe)(26), 가동 슈(27) 및 슈 지지 레버(28)를 가지고 있다. 고정 슈(26)는, 베이스(21) 상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 슈(27)는, 조속기 로프(18)로부터 떨어진 이격 위치(도 2의 실선)와, 고정 슈(26)와의 사이에 조속기 로프(18)를 파지하는 파지 위치(도 2의 2점 쇄선)와의 사이에서 회전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슈 지지 레버(28)는, 쉬브 지지 부재(22)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슈 지지 레버(28)의 하단부는, 가동 슈(27)에 걸어져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 슈(27)는, 통상시에는 이격 위치에 유지된다.
또, 슈 지지 레버(28)가 도 2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슈 지지 레버(28)로부터 가동 슈(27)가 빠져, 가동 슈(27)가 자중에 의해 도 2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슈(27)의 선단이 고정 슈(26)에 대향하고, 고정 슈(26)와 가동 슈(27)와의 사이에 조속기 로프(18)가 파지된다.
도 3은 도 2의 관성 쉬브(24)를 떼어낸 상태의 조속기(16)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조속기 쉬브(17)와 관성 쉬브(24)와의 사이에는, 평행사변형 모양의 폴(pawl)(29)dl 마련되어 있다. 폴(29)은, 폴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관성(inertia) 쉬브(24)에 장착되어 있다.
또, 폴(29)은, 관성 쉬브(24)가 회전해도 슈 지지 레버(28)에 닿지 않는 통상 위치(도 3)와, 관성 쉬브(24)의 회전에 의해 슈 지지 레버(28)에 닿는 작동 위치(도 4)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폴 회전축(30)은, 쉬브축(23)에 평행하다. 또, 폴 회전축(30)은, 폴(29)의 중심(重心)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조속기 쉬브(17)에는, 제1 축 유지부로서의 제1 핀(31)이 마련되어 있다. 제1 핀(31)은, 폴 회전축(30)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폴(29)과 제1 핀(31)과의 사이에는, 제1 연결축(32)이 마련되어 있다. 즉, 제1 연결축(32)은, 폴(29)과 조속기 쉬브(17)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연결축(32)의 제1 단부는, 폴 회전축(30)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폴(29)에 연결되어 있다. 제1 연결축(32)의 제2 단부는, 제1 핀(31)에 마련된 구멍을 관통하고 있고, 제1 핀(31)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제1 연결축(32)의 제2 단부에는, 제1 연결축(32)의 제1 핀(31)으로부터의 빠짐을 저지하는 제1 더블 너트(33)가 장착되어 있다. 폴(29)은, 제1 연결축(32), 제1 더블 너트(33) 및 제1 핀(31)을 매개로 하여 조속기 쉬브(17)에 연결되어 있다.
관성 쉬브(24)에는, 제2 축 유지부로서의 제2 핀(34)이 마련되어 있다. 제2 핀(34)은, 폴 회전축(30)과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폴(29)과 제2 핀(34)과의 사이에는, 제2 연결축(35)이 마련되어 있다. 즉, 제2 연결축(35)은, 폴(29)과 관성 쉬브(24)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연결축(35)의 제1 단부는, 폴 회전축(30)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폴(29)에 연결되어 있다. 제2 연결축(35)의 제2 단부는, 제2 핀(34)에 마련된 구멍을 관통하고 있고, 제2 핀(3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제2 연결축(35)의 제2 단부에는, 제2 연결축(35)의 제2 핀(34)으로부터의 빠짐을 저지하는 제2 더블 너트(36)가 장착되어 있다. 폴(29)은, 제2 연결축(35), 제2 더블 너트(36) 및 제2 핀(34)을 매개로 하여 관성 쉬브(24)에 연결되어 있다.
제1 핀(31)과 제1 연결축(32)과의 사이에는, 제1 탄성체(37)가 마련되어 있다. 제1 탄성체(37)로서는, 예를 들면, 제1 연결축(32)의 중간부를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이 이용된다.
제2 핀(34)과 제2 연결축(35)과의 사이에는, 제2 탄성체(38)가 마련되어 있다. 제2 탄성체(38)로서는, 예를 들면, 제2 연결축(35)의 중간부를 둘러싸는 코일 스프링이 이용된다.
제1 탄성체(37)는, 제1 연결축(32)의 폴(29)로의 연결부가 제1 핀(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폴(29)을 밀고 있다. 제2 탄성체(38)는, 제2 연결축(35)의 폴(29)로의 연결부가 제2 핀(3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폴(29)을 밀고 있다.
또, 제1 및 제2 탄성체(37, 38)는, 초기 압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의 가속도가 이상(異常) 가속도 미만일 때에(엘리베이터 칸(8)이 일정 속도로 주행할 때 및 정상적인 가속도(예를 들면, 0.98m/s2)로 주행할 때에), 폴(29)을 통상 위치에 유지함과 아울러, 관성 쉬브(24)를 조속기 쉬브(17)와 동기(同期)하여 일체로 회전시킨다.
조속기(16)를 정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제1 및 제2 핀(31, 34), 제1 및 제2 연결축(32, 35), 제1 및 제2 더블 너트(33, 36), 및 제1 및 제2 탄성체(37, 38)는, 각각 폴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폴(29)은, 폴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하여 점대칭으로 조속기 쉬브(17) 및 관성 쉬브(24)에 연결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의 이상 가속도 검출 기구(40)는, 관성 쉬브(24), 폴(29), 폴 회전축(30), 제1 핀(31), 제1 연결축(32), 제1 더블 너트(33), 제2 핀(34), 제2 연결축(35), 제2 더블 너트(36), 제1 탄성체(37), 및 제2 탄성체(38)를 가지고 있다. 이상 가속도 검출 기구(40)는, 현가체(7)의 파단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8)의 이상 가속도(예를 들면, 9.8m/s2)를 검출하고, 가동 슈(27)를 파지 위치로 변위시켜 비상 멈춤 장치(14)를 작동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현가체(7)의 파단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8)의 아래 방향으로의 가속도가 이상 가속도에 이르면, 조속기 쉬브(17)와 관성 쉬브(24)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초기 압력을 초과하여, 관성 쉬브(24)의 조속기 쉬브(17)에 대한 회전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생기며,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폴(29)이 작동 위치로 변위한다.
이 상태에서, 관성 쉬브(24)가 더 회전하는 것에 의해, 폴(29)이 슈 지지 레버(28)에 닿고, 슈 지지 레버(28)가 회전하여 슈 지지 레버(28)로부터 가동 슈(27)가 빠진다. 이것에 의해, 가동 슈(27)가 도 4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조속기 로프(18)가 파지된다. 이 후, 엘리베이터 칸(8)이 더 낙하함으로써, 작동 레버(15)가 끌어 올려져, 비상 멈춤 장치(14)가 작동한다.
이러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는, 현가체(7)의 파단시에, 조속기 쉬브(17)와 관성 쉬브(24)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관성력을 이용하여 폴(29)을 작동 위치로 변위시켜 비상 멈춤 장치(14)를 작동시키므로, 엘리베이터 칸 속도가 과대 속도에 이르는 것을 기다리지 않고 비상 멈춤 장치(14)를 작동시킬 수 있고, 또한, 비상 멈춤 장치(14)를 작동시키기 위한 조정을 사양에 의하지 않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사양에 의한 작동 레버(15)에 부여하는 토크의 설계 및 공장 조정의 번잡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 폴 회전축(30)이 폴(29)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폴(29)이 원심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게다가, 제1 핀(31), 제1 연결축(32), 제2 핀(34), 제2 연결축(35), 제1 탄성체(37), 및 제2 탄성체(38)를 이상 가속도 검출 기구(40)에 마련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이상 가속도를 검출할 수 있다. 게다가, 이들 부품을 폴 회전축(30)에 대해서 점대칭으로 배치했으므로, 이상 가속도 검출 기구(40)가 원심력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진다.
또, 탄성체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댐퍼를 이상 가속도 검출 기구에 마련해도 좋다. 이러한 댐퍼로서,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연결축(32, 35)의 제1 및 제2 핀(31, 34)에 대한 슬라이드부, 폴 회전축(30), 관성 쉬브(24)의 측면, 또는 관성 쉬브(24)의 회전축부 등에, 프릭션(friction) 댐퍼를 마련해도 좋다.
또, 상기의 예에서는, 폴(29)을 관성 쉬브(24)에 장착했지만, 조속기 쉬브(17)에 장착해도 괜찮다.
게다가, 상기의 예에서는, 승강체로서 엘리베이터 칸(8)을 나타냈지만, 승강체는 균형추(9)라도 괜찮다.
게다가 또, 상기 예에서는, 연동 쉬브로서 조속기 쉬브(17)를, 작동 로프로서 조속기 로프(18)를 각각 나타냈지만, 조속기와는 별도로, 또는 조속기를 이용하지 않고, 이상 가속도 검출 전용의 연동 쉬브 및 작동 로프를 엘리베이터 장치에 마련해도 좋다.
또, 엘리베이터 장치 전체의 기기의 레이아웃 및 로핑 방식 등은, 도 1의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2:1 로핑의 엘리베이터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권상기의 위치 및 수 등도 도 1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다가,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기계실이 없는 엘리베이터, 더블 데크 엘리베이터, 또는 원 샤프트 멀티 카 방식의 엘리베이터 등, 여러 가지의 타입의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5)

  1. 승강체,
    상기 승강체를 매다는 현가체,
    상기 현가체를 매개로 하여 상기 승강체를 승강시키는 권상기,
    상기 승강체에 탑재되어 있고, 상기 승강체를 비상(非常) 정지시키는 비상 멈춤 장치,
    승강로 내에 고리 모양으로 부설되어 있고, 또한 상기 비상 멈춤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작동 로프,
    상기 작동 로프가 감아 걸어져 있고, 상기 승강체의 승강에 따라 쉬브축(sheave軸)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연동 쉬브,
    상기 작동 로프로부터 떨어진 이격 위치와, 상기 작동 로프를 파지하는 파지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고, 통상시에는 상기 이격 위치에 유지되는 가동 슈(shoe), 및
    상기 현가체의 파단에 의한 상기 승강체의 이상(異常) 가속도를 검출하고, 상기 가동 슈를 상기 파지 위치로 변위시켜 상기 비상 멈춤 장치를 작동시키는 이상 가속도 검출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이상 가속도 검출 기구는,
    상기 쉬브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동 쉬브에 대해서 독립하여 회전 가능한 관성(inertia) 쉬브와,
    상기 연동 쉬브 및 상기 관성 쉬브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통상 위치와, 상기 가동 슈를 상기 파지 위치로 변위시키는 작동 위치와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는 폴(pawl)과,
    초기 압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상기 폴을 상기 통상 위치에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관성 쉬브를 상기 연동 쉬브와 일체로 회전시키는 탄성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현가체의 파단에 의해 상기 승강체의 가속도가 상기 이상 가속도에 이르면, 상기 연동 쉬브와 상기 관성 쉬브와의 사이에 작용하는 관성력이 상기 초기 압력을 초과하여, 상기 관성 쉬브의 상기 연동 쉬브에 대한 회전 방향으로의 어긋남이 생기고, 상기 폴이 상기 작동 위치로 변위하여, 상기 가동 슈를 상기 파지 위치로 변위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은, 상기 연동 쉬브 및 상기 관성 쉬브 중 어느 일방에 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폴 회전축은, 상기 쉬브축에 평행이고, 또한 상기 폴의 중심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상 가속도 검출 기구는, 상기 폴과 상기 연동 쉬브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축과, 상기 폴과 상기 관성 쉬브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제2 연결축을 더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연결축은, 상기 연동 쉬브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1 축 유지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 연결축은, 상기 관성 쉬브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제2 축 유지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유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제1 연결축과 상기 제1 축 유지부와의 사이에 마련된 제1 탄성체와, 상기 제2 연결축과 상기 제2 축 유지부와의 사이에 마련된 제2 탄성체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폴은, 상기 연동 쉬브 및 상기 관성 쉬브 중 어느 일방에 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상기 폴 회전축은, 상기 쉬브축에 평행이고, 또한 상기 폴의 중심(重心)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및 제2 축 유지부, 상기 제1 및 제2 연결축, 및 상기 제1 및 제2 탄성체는, 각각 상기 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 가속도 검출 기구는, 상기 탄성체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한 댐퍼를 더 가지고 있는 엘리베이터 장치.
KR1020177016286A 2014-11-19 2014-11-19 엘리베이터 장치 KR1019747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4/080633 WO2016079823A1 (ja) 2014-11-19 2014-11-19 エレベー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6567A true KR20170086567A (ko) 2017-07-26
KR101974760B1 KR101974760B1 (ko) 2019-05-02

Family

ID=5601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286A KR101974760B1 (ko) 2014-11-19 2014-11-19 엘리베이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26170B2 (ko)
JP (1) JP6203427B2 (ko)
KR (1) KR101974760B1 (ko)
CN (1) CN106922142B (ko)
BR (1) BR112017010350A2 (ko)
DE (1) DE112014007189B4 (ko)
WO (1) WO20160798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1602B2 (en) * 2015-03-12 2020-04-07 Otis Elevator Company Movable car mounted overspeed governor
JP6321243B1 (ja) * 2017-03-03 2018-05-0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ガバナ装置
JP6909755B2 (ja) * 2018-04-06 2021-07-28 株式会社日立ビルシステム エレベーター装置
CN112105576B (zh) * 2018-05-21 2021-09-24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限速器和电梯装置
US10968077B2 (en) * 2018-07-19 2021-04-06 Otis Elevator Company Enhanced governor system for elevator
CN112141849B (zh) * 2019-06-27 2023-07-04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电梯系统的限速器组件、电梯安全系统和电梯系统
CN111563229B (zh) * 2020-05-13 2022-03-22 浙江大学 基于高斯混合模型的直梯超速自动复位故障诊断方法
CN111891873B (zh) * 2020-08-05 2022-01-25 鹤山扬阳智能机械装备有限公司 一种电梯制动组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5973A (ko) * 2009-04-09 2011-08-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WO2012059970A1 (ja) 2010-11-01 2012-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530B2 (ko) * 1973-03-14 1978-02-07
US4083432A (en) 1976-12-01 1978-04-11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arrangement
JPS5941911B2 (ja) * 1978-03-24 1984-10-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用ガバナ
AT382353B (de) * 1983-04-13 1987-02-25 Otis Elevator Co Geschwindigkeitsbegrenzer fuer einen aufzug
JPH0616360A (ja) * 1992-07-01 1994-01-25 Hitachi Building Syst Eng &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ー用ガバナ
JP4306014B2 (ja) * 1999-05-17 2009-07-29 三菱電機株式会社 調速装置
CN102131726B (zh) * 2008-08-28 2013-05-22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用限速器
DE102009019079A1 (de) * 2009-04-21 2010-11-04 Thyssenkrupp Aufzugswerke Gmbh Geschwindigkeitsbegrenz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5973A (ko) * 2009-04-09 2011-08-25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WO2012059970A1 (ja) 2010-11-01 2012-05-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7010350A2 (pt) 2017-12-26
JPWO2016079823A1 (ja) 2017-04-27
WO2016079823A1 (ja) 2016-05-26
DE112014007189T5 (de) 2017-08-24
KR101974760B1 (ko) 2019-05-02
US10526170B2 (en) 2020-01-07
DE112014007189B4 (de) 2022-01-05
US20180319626A1 (en) 2018-11-08
JP6203427B2 (ja) 2017-09-27
CN106922142A (zh) 2017-07-04
CN106922142B (zh) 2019-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7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KR101033393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JP6633208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2636626B1 (en) Elevator device
US10093515B2 (en) Elevator apparatus
JP5726374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2162374A (ja) 非常止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装置
JP5771746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WO2013190869A1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2246116A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非常止め試験方法
JP2011006218A (ja) エレベーターの乗客救出装置
US10807832B2 (en) Elevator device
KR100569799B1 (ko) 균형추
JP2007176624A (ja) エレベータ
JP4862296B2 (ja) エレベータの検査方法
KR20120014631A (ko) 엘리베이터용 양방향 조속기
JP5898728B2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システム
JPWO2006022015A1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9952262B (zh) 电梯的紧急停止装置的检查方法
KR101830837B1 (ko) 엘리베이터 조속기 로프 텐션 장치
JP200209698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1319387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4974372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KR101754298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JP2017186134A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