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9799B1 - 균형추 - Google Patents

균형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9799B1
KR100569799B1 KR1020047001986A KR20047001986A KR100569799B1 KR 100569799 B1 KR100569799 B1 KR 100569799B1 KR 1020047001986 A KR1020047001986 A KR 1020047001986A KR 20047001986 A KR20047001986 A KR 20047001986A KR 100569799 B1 KR100569799 B1 KR 100569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weight
car
brake
separated
gu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694A (ko
Inventor
이토가즈마사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21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6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9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9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7/00Hoistway equipment
    • B66B17/12Counterpoises

Abstract

엘리베이터 장치(100)내에서 승강하는 카와의 밸런스를 취해 승강하는 균형추(10)에 있어서, 상부 균형추(30)와 하부 균형추(32)를 구비하고, 이 상부 균형추 (30)와 하부 균형추(32)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또, 균형추(10)가 분리된 경우 상부 균형추(30)는 상부 균형추(30)를 정지시키는 상부 브레이크장치(36)를 구비하고, 하부 균형추(32)는 하부 균형추(32)를 정지시키는 하부 브레이크장치(38)를 구비한다.
균형추,상부 균형추,하부 균형추,상부 브레이크장치,하부 브레이크장치

Description

균형추{COUNTERWEIGHT}
본 발명은 균형추에 관한 것이다. 다시 구체적으로는 엘리베이터 장치내에서 승강하는 카와 접속되어 승강하는 엘리베이터 장치용의 균형추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로프식의 엘리베이터 장치(200)의 개략을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7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200)에는 승강로(2)를 구비한다. 승강로 (2)의 상방은 기계실 바닥(4)에 의해 구분되고, 기계실(6)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2)에는 카(8) 및 균형추(10)가 매달려 있다. 기계실(6)에는 권양기 (24)가 구비되어 있다. 권양기(24)에는 로프(26)가 감겨져 있다. 로프(26)의 양단은 각각 기계실(6)로부터 승강로(2)에 매달리고, 일단에서 카(8)에 고정되고, 카 (8)를 승강로(2)에 매달려 있다. 또, 타단에서 균형추(10)에 고정되고, 균형추 (10)가 승강로(2)에 매달려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200)에 있어서 카(8) 및 균형추(10)는 권양기(24)의 회전에 따른 로프의 이동에 의해 승강로(2)내를 승강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로프식의 엘리베이터 장치(200)에서는 카(8)와 균형추 (10)가 로프(26)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상태에서 어느 정도의 무게의 밸런스를 가지고 승강한다.
또, 균형추(10)는 시스템의 효율을 고려해서 통상 카(8)의 정격하중의 반의 무게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카(8) 내부가 정격하중의 반 이하가 되어 있는 경우에 카(8) 상승중에 엘리베이터 장치(200)의 고장 등에 의해 카(8)나 균형추(10)의 승강에 대한 제어가 안되게 되면 카(8)쪽이 균형추(10)보다도 가벼움으로 카(8)는 상승속도를 증가하고, 정격속도 이상이 상승해 버리는 일이 생각된다.
또, 이 경우 균형추(10)는 정격속도 이상의 빠르기로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비상시의 대책으로는 예를들면 엘리베이터 장치(200)는 균형추(측의 승강로(2)의 하방에 완충기(60)를 구비한다. 이 완충기(60)에 강하하는 균형추 (10)를 충돌시킴으로써 어느 정도의 충격을 흡수하고, 승강로(2) 저부에 균형추 (10)가 직접 충돌하는 경우 보다도 충격을 완화시킬 수가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어느 정도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가 있어도 균형추(10)가 정격속도 이상의 빠르기로 승강로(2)를 강하하고 있는 경우에는 완충기(60)에 정격속도 이상의 속도로 충돌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는 균형추(10)에도, 또 카(8)에도 큰 충격을 주게 된다.
또, 다른 비상의 경우의 대책으로는 예를들면 카(8) 또는 균형추(10)의 하부에 비상정지 장치를 설치하고, 기계실(6)에 조속기를 설치한 것 등이 있다.
이로 인해 카(8)가 정격속도 이상으로 빨리 승강하는 것을 검출해서 정격속 도 이상으로 빠르게 승강하고 있는 경우에는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카(8)를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또, 다른 대책으로는 직접 메인로프를 잡는 로프브레이크를 설치하거나 하는 경우도 있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에 있어서는 여러가지 안전의 대책이 도모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비상정지용의 안정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 장치에 어느 정도의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된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장치의 설치에서는 스페이스 생략화의 요구가 큰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와 같은 설치에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는 안전장치는 반드시 적합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또, 메인로프를 직접 잡아서 엘리베이터를 정지시키는 것과 같은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메인로프의 손상이 빨라져 버린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이들의 안전장치는 구조가 복잡해지므로 기능부전이 일어나기 쉽고, 또 각각의 장치가 값비싼 것이 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에 대해서 이들의 장치를 사용하는 경우 제동력은 마찰력에 의존하므로 제동중의 감속력에 변동이 크고, 또 동작속도가 큰 경우에는 제동거리가 커지고, 슈가 마모되어 제동불능이 되는 경우도 생각되었다.
또, 일본국 특개평5-193860호 공보의 발명과 같은 장치에서는 기기가 동작해서 제동력을 발생할 때 까지에 구조적인 티임래그가 있고, 지연시간, 분 또 카가 증속해 버린다는 것 등이 생각된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되고, 카의 정격속도 이상의 승강을 쉽게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 개량된 엘리베이터 장치용 균형추를 제안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균형추는 엘리베이터 장치내에서 승강하는 카와 접속되어 승강하는 균형추로서, 균형추는 상부 균형추와 하부 균형추를 구비하고, 상부 균형추와 하부 균형추는 서로 분리가 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하면 균형추를 일부 분리해서 카와 균형추의 밸런스를 조정할 수가 있다. 따라서, 승강속도를 완화시킬 수가 있고, 승강로 저부에 카 또는 균형추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 또는 충돌의 충격을 약하게 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균형추는 상부 균형추가 분리되었을 때 상부 균형추를 정지 시키는 상부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하고, 하부 균형추는 균형추가 분리된 경우 하부 균형추를 정지시키는 하부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승강하는 상부 균형추와 하부 균형추를 떠내어 개별적으로 정지가 되므로 보다 간편하게 카를 정지시킬 수가 있고, 엘리베이터 장치의 안전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장치용 균형추를 상부 균형추와 하부 균형추가 분리되었을 때에 상부 균형추와 하부 균형추를 연결시키기 위한 복귀수단을 구비한다. 이로써, 상부 균형추, 하부 균형추의 분리후에도 간단하게 연결을 회복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장치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균형추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복귀 플레이트를 표시하는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비상용 브레이크가 작동한 상태를 표시하는 모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비상용 브레이크가 작동한 경우의 상부 균형추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장치에서 비상용 브레이크가 작동한 경우의 하부 균형추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모식도,
도 7은 로프식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개략을 표시하는 모식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부쳐서 그 설명을 간략화 내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서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또, 도 2는 엘리베이터 장치(100)에서 균형추(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2A는 정면도, 도 2B는 측면도이다. 또, 도 2는 도1에서 우측에 배치되어 있는 비상용 브레이크 및 그 주변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도 1에 표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장치(100)는 승강로(2)를 구비하고 있다. 승강로(2)의 상부는 기계실 바닥(4)으로 구분되고, 기계실 바닥(4)의 상방에는 기계실(6)이 설치되어 있다.
승강로(2)에는 카(8) 및 균형추(10)가 매달려 있다. 균형추(10)는 카(8)의 정격하중에 비해 반의 무게가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 승강로(2)의 카(8)측에는 가이드레일(12)이 설치되고, 카(8)는 가이드레일(12)에 상ㆍ하 방향으로 가동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또, 균형추(10)측에는 가이드레일(14)이 설치되고, 균형추(10)는 가이드레일 (14)에 상ㆍ하 방향으로 가동인 상태로 접속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4)의 상방 및 하방에는 각각 복귀 플레이트(16) 및 (18)이 설치되어 있다.
기계실 바닥(4)에는 2개의 로프통과용 구멍(20),(22)이 설치되어 있다. 또, 기계실(6)에는 권양기(24)가 구비되어 있다.
권양기(24)에는 로프(26)가 감겨져 있다. 로프(26)의 일단은 기계실(6)에서 기계실 바닥(4)에 설치된 로프통과용 구멍(20)을 통해서 승강로(2)에 매달려 카(8)에 고정되고, 카(8)를 승강로(2)에 매달고 있다.
로프(26)의 타단은 기계실(6)에서 기계실 바닥(4)에 설치된 로프통로(22)를 통해서 승강로(2)에 매달아서 균형추(10)에 고정되고, 균형추(10)를 승강로(2)에 매달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장치(100)에서는 권양기(24)가 회전함으로써 그 회전방향에 맞추어 로프(26)가 이동되고, 이로 인해 로프(26)의 양단에 각각 고정된 카(8), 균형추(10)가 가이드레일(12),(14)에 따라 승강로(2)내를 승강하도록 되어 있다.
또,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균형추(10)는 상부 균형추(30)와 하부 균형추 (32)를 구비한다. 하부 균형추(32)는 카(8)가 무인상태의 무게보다도 약간 가벼운 무게로 되어 있다.
또, 상부 균형추(30)의 무게는 하부 균형추(32)와 연결한 상태에서 균형추 (10) 전체의 무게가 카(8)의 정격하중의 반의 무게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상부 균형추(30)와 하부 균형추(32) 사이에는 비상용 브레이크가 설치되어 있다.
상부 균형추(30)와 하부 균형추(32)는 비상용 브레이크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로프(26)는 상부 균형추(30)를 관통해서 하부 균형추(32)의 상방에만 고정되어 있다.
도 2에 표시한 바와 같이 비상용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중심부(34), 상부 브레이크금구(36), 하부 브레이크금구(38)를 포함해서 구성된다.
브레이크 중심부(34)는 솔레노이드코일(40)을 구비하고 있다.
솔레노이드코일(40)에는 전류원에 접속되고, 필요에 따라 전류가 흐르도록 되어 있다. 또, 솔레노이드코일(40)의 중심부에는 플런저(42)가 구비되어 있다.
상부 브레이크금구(36)는 상부 균형추(30)에 설치되고 고정되어 있다. 상부 브레이크금구(36)는 연결봉(44)을 가지고 있다. 연결봉(44)은 관통공을 가지고 관 통공에는 브레이크 중심부(34)의 플런저(42)가 관통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브레이크 중심부(34)와 상부 브레이크금구(36)가 접속되고, 따라서 브레이크 중심부(34)와 상부 균형추(30)가 접속되어 있다.
또, 연결봉(44)의 주위에는 동작용 탄성체(46)가 감겨져 있다. 동작용 탄성체(46)는 강한 와이어로 형성된 스프링 상태의 탄성체이다.
또, 연결봉(44)의 일단에는 롤러(48)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48)는 측면에서 본 경우에 원형의 원주상의 부재이다. 또, 상부 브레이크금구(36)와 롤러(48)의 상방에는 측면에서 본 경우에 상방을 향해 가이드레일(14)과의 폭이 좁아지도록 끝이 가는 쐐기형태의 홈(50)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브레이크금구(38)는 하부 균형추(32)이 설치되고 고정되어 있다. 하부 브레이크금구(38)는 연결봉(52)을 구비한다.
연결봉(52)은 관통공을 가지고 있고, 이 관통공에 브레이크 중심부(34)의 플런저(42)가 관통되어 있다. 이 구조에 의해 브레이크 중심부(34)와 하부 브레이크금구(38)가 접속되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 중심부(34)와 하부 균형추(32)가 접속되어 있다. 연결봉(52)의 주위에는 동작용 탄성체(54)가 감겨져 있다. 동작용 탄성체(54)는 견고한 와이어로 형성된 스프링 상태의 탄성체이다.
또, 연결봉(52)의 일단에는 롤러(56)가 설치되어 있다. 롤러(56)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에 원형의 원주상의 부재이다. 또, 하부 브레이크금구(38)와 롤러 (56)의 아래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아래를 향해 가이드레일(14)과의 폭이 좁아지도록 끝이 가는 쐐기형상의 홈(58)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복귀플레이트를 표시한 모식도이다. 또, 도 3A는 복귀플레이트(16)를 표시하고, 도 3B는 복귀플레이트(18)를 표시한다.
도 3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방의 복귀플레이트(16)는 측면에서 본 경우 아래를 향해 끝이 가늘게 된 형상을 갖는다. 또, 아래의 복귀프레이트(18)는 역으로 위를 향해 끝이 가늘게 된 형상을 갖는다.
도 4는 엘리베이터 장치(100)에서 비상용 브레이크가 작동한 상태를 표시하는 모식도이다. 또, 도 5는 비상용 브레이크 작동시의 상부 균형추(30)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6은 비상용 브레이크 작동시의 하부 균형추(32)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또,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4에서 우측으로 배치되어 있는 비상용 브레이크 및 그 주변의 부분을 표시한다. 또, 도 5A 및 도 6A는 정면도이고, 도 5B 및 6B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사용해서 비상용 브레이크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균형추(10)는 카(8)의 정격하중의 반의 무게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카(8)내의 부하상황이 하프로드 이하, 즉 균형추(10)쪽이 무거운 상태에서의 카(8)의 상승중에 권양기(24)의 고장이나 축의 파손 등이 있어 권양기(24)의 제어가 불가능해진 경우 카(8)는 상승속도를 증가하고, 정격속도 이상의 속도를 상승한다.
여기서는 카(8)가 정격속도 이상의 이상속도로 상승한 경우의 비상브레이크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카(8)가 정격속도 이상의 이상속도로 상승하는 경우 균형추(10)는 같은속도로 하강하고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장치(100)에서 이상이 감지되고, 솔레노이드코일(40)에 전원 전류로부터 전류가 흐른다.
솔레노이드코일(40)에 전류가 흐르면 정면에서 보아 내측이 되는 방향에 플런저(42)가 이동해서 연결봉(44),(52)의 관통공으로부터 플런저(42)가 빠지게 된다. 이로써 상부 브레이크금구(36)와 하부 브레이크금구(38)와의 연결이 빠져 버리고, 따라서 도 4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 균형추(30)와 하부 균형추(32)의 연결이 분리된다. 또, 이때 브레이크 중심부(34)는 하부 브레이크금구(38)와 함께 이동한다.
도 5에 표시한 바와 같이 상부 브레이크금구(36)의 연결봉(44)으로부터 플런저(42)가 빠지면 연결봉(44)의 주위에 설치된 동작용 탄성체(46)의 탄성력에 의해 롤러(48)가 상방으로 밀린다. 롤러(48)는 쐐기형의 홈(50)에 따라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이드레일(14)이 밀려간다.
상부 균형추(30)가 그대로 하강을 계속하면 롤러(48)에는 동작용 탄성체(46)로부터의 상향 탄성력과 롤러(48)와 가이드레일(14)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상향의 마찰력이 걸리고, 롤러(48)는 더욱 상방으로 밀리게 된다.
이로써, 상방으로 향해 가이드레일(14)과의 폭이 좁아지도록 끝이 가늘어진 형상을 하고 있는 쐐기형의 홈(50)과 가이드레일(14)과의 사이에 롤러(48)가 점차 로 끼워져 밀어 붙이게 된다.
롤러(48)가 홈(50)에 완전히 끼워지면 가이드레일(14)에 상부 브레이크금구 (36)가 고정되고, 승강로(2)의 상방에서 상부 균형추(30)가 정지하게 된다.
한편, 도 6에 표시한 바와 같이 하부 브레이크금구(38)의 연결봉(52)으로부터 플런저(42)가 뽑히면 연결봉(52)의 주위에 설치된 동작용 탄성체(54)의 탄성력에 의해 롤러(56)가 아래로 밀린다.
롤러(56)는 쐐기형의 홈(58)에 따라 다소 아래로 이동하면서 가이드레일 (14)에 밀어 붙여진다. 이때, 하부 브레이크금구(38)는 하강하고 있으므로 롤러 (56)에 걸리는 가이드레일(14)과의 마찰력은 상부 브레이크금구(36)의 롤러(48)와 같이 상향의 힘이 된다.
그러나, 하부 브레이크금구(38)의 홈(58)은 상부 브레이크금구(36)의 홈(50)과는 역으로 하방을 향해 가이드레일(14)과의 폭이 좁아지도록 끝이 가늘게 된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롤러(56)는 하강도중은 홈(58)에 완전하게 끼워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하부 균형추(32)와 카(8)는 로프(26)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하부 균형추(32)는 하강을 계속한다.
그러나, 이때 카(8)쪽이 하부 균형추(32) 보다도 무거워지므로 하부 균형추 (32)는 어느 정도 하강하면 하강을 정지하고, 역으로 카(8)에 끌려서 하부 균형추 (32)는 상승을 시작한다.
이때, 롤러(56)에 이러한 가이드레일(14)과의 마찰력은 하향의 힘이 되고, 롤러(56)는 이 하향의 마찰력과 동작용 탄성체(54)로부터 하향의 탄성력을 받아 아래를 향해 밀리게 되어 다음 홈(58)에 끼워져 가이드레일(14)과의 사이에 밀어 붙 여진다.
롤러(56)가 완전하게 홈(58)에 끼워지면 하부 브레이크금구(38)가 가이드레일(14)에 고정된다. 이로 인해 승강로(2)의 도중에서 하부 균형추(32)가 정지하고 카(8)도 정지한다.
다음, 이와 같이 분리된 상부ㆍ하부 균형추(30),(32)를 복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 우선 하부 균형추(32)를 하방의 복귀플레이트(18)가 설치된 곳까지 수동으로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움직여서 밀어내린다.
이로 인해 복귀플레이트(18)의 상방을 향해서 끝이 가늘어진 부분이 자동적으로 롤러(56)을 밀어올려 홈(58)에서 분리되고, 상부 균형추(30)와 하부 균형추 (32)가 연결된 상태의 원래의 위치까지 롤러(56)를 되돌린다. 이로 인해 자동적으로 플런저(42)와 연결봉(52)을 다시 연결시킬 수가 있다.
그후, 이 상태에서 하부 브레이크금구(38)와 함께 하부 균형추(32)를 상부 균형추(30)가 정지해 있는 위치까지 밀어올려서 그대로 계속해서 하부 균형추(32)와 함께 상부 균형추(30), 상부 브레이크금구(36)를 상방의 복귀플레이트(16)가 설치된 곳까지 밀어올린다.
이로써 복귀플레이트(16)의 아래를 향해 끝이 가늘게 된 부분이 자동적으로 롤러(48)를 밀어내려 홈(58)에서 분리되고, 상부 균형추(30)와 하부 균형추(32)가 연결된 상태의 먼저의 위치까지 롤러(48)를 밀어 되돌린다.
이로써, 자동적으로 플런저(42)와 연결봉(44)이 연결되고, 상부 균형추(30)와 하부 균형추(32)를 연결시킬 수가 있다.
또, 여기서는 카(8)가 하프로드의 균형추(10) 보다도 가벼운 상태에서 정격속도 이상의 속도로 카(8)가 상승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카(8)가 하프로드 이상의 상태, 즉 균형추(10)의 쪽이 가벼운 상태로 어떤 고장 등이 일어나 카(8)가 정격속도 이상으로 하강하는 경우가 있어도 이 엘리베이터 장치에 의해 아래와 같이 대응할 수가 있다.
즉, 이 경우 균형추(10)가 상승해 있는 상태에서 이상속도가 검출되면 상술한 균형추(10)의 하강중인 경우와 같이 솔레노이드코일(40)에 전류가 흘러서 플런저(42)가 이동해서 상부 균형추(30)와 하부 균형추(32)가 분리된다.
이때, 상부 균형추(30)는 로프(26)에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바로 상승을 멈추고 하강을 시작한다. 그후 상술한 균형추(10)는 하강중의 고장인 경우와 같이 롤러(48)가 홈(50)에 끼워짐으로써 상부 균형추(30)가 정지한다.
한편, 하부 균형추(32)는 카(8)에 끌려 가면서 상승을 계속함으로써 동작용 탄성체(54)로부터 하향의 탄성력과 가이드레일(14)과의 하향의 마찰력에 의해 롤러 (56)가 아래로 밀리고, 롤러(56)가 홈(58)에 끼워줌으로써 하부 균형추(32)는 정지한다.
이상과 같이 이 비상용 브레이크에 의하면 카(8)는 무인상태에서도 하부 균형추(32) 보다도 무겁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카(8)의 하중상태가 하프로드 이하인 경우 하프로드 이상인 경우의 어느 경우라도, 또 상승중, 하강중 어느 경우의 고장이라도 균형추(10)가 분리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카(8)측에 끌려서 하부 균형추 (32)는 상승한다. 따라서, 상승중에 롤러(56)는 홈(58)에 끼워지고, 하부 균형추 (32)는 정지하게 된다.
한편, 분리된 상부 균형추(30)는 카(8)와는 연결되어 있지 않으므로 상승중 , 하강중 어느 경우라도 최종적으로는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하강중에 롤러(48)는 홈(50)에 끼워지고, 상부 균형추(30)는 정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면 카(8)와 균형추(10)와의 무게의 밸런스가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경우에 권양기(24)등이 고장나서 정격속도 이상의 승강을 개시해도 간단한 장치로 카(8)을 정지시킬 수가 있다.
또, 이 장치에 의하면 간단한 기구로 쉽게 균형추(10)를 분리할 수가 있으므로 기계부전이 일어나기 어렵고, 신뢰성이 높은 비상용브레이크를 설치할 수가 있다.
또, 이 엘리베이터 장치(100)에서 상부 균형추(30)와 하부 균형추(32)를 분리시켜도 엘리베이터 장치(100)를 수동으로 움직임으로써 간단하게 연결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복잡한 장치를 준비할 필요없이 간단한 비상용브레이크를 설치할 수가 있다.
또, 이 엘리베이터 장치(100)에 의하면 균형추(10)에 비상용 브레이크를 부착하기 위해 특별한 설치용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따라서 성스페이스화에도 대응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엘리베이터 장치나 그 부재의 형상이나 구조 등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부 균형추(30)와 하부 균형추(32)를 분리하는 수단으로서 플런저(42)와 연결봉(44),(52)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의 형태에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에 한하는 것은 아니고, 예를들면 전기적으로 외부로부터 제어되는 장치에 의해 분리하는 등, 다른 방법으로 분리하는 것은 무방하다.
또,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상부 균형추(30)와 하부 균형추(32)를 정지시키는 수단으로 롤러(48),(56)와 홈(50),(58)에 의한 쐐기효과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 실시의 형태에서 설명한 것에 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 실시의 형태에서는 엘리베이터 장치는 균형추(10)를 둘로 분리해서 상ㆍ하부 균형추(30),(32)를 각각 완전하게 정지시키는 비상용브레이크를 갖는 것에 한하지 않는다.
비상용브레이크를 갖지 않았을 때도 균형추(10)를 둘로 분리할 수 있으면 카(8)와 상부, 하부 균형추를 각각 언밸런스 되게 설정해 둠으로써 정격정도 이상의 승강속도를 완화시킬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은 균형추와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완충기 등을 병용하면 더욱 안전대책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상부 브레이크장치, 하부 브레이크장치는 각각 상부 균형추, 하부 균형추를 정지시키는 수단을 의미하고, 예를들면 이 실시의 형태에서의 상부 브레이크금구(36), 하부 브레이크금구(38)가 해당한다.
또, 본 발명에서 각각 상부 회전체, 하부 회전체에는 예를들면 이 실시의 형 태에서의 롤러(48), 롤러(56)가 해당된다. 또, 상부 탄성체, 하부 탄성체에는 각각 예를들면 동작용 탄성체(46), 동작용 탄성체(54)가 해당된다.
또, 상부 홈부, 하부 홈부에는 각각 예를들면 홈(50), 홈(58)이 해당한다.
또, 본 발명에서 연결수단은 상부 균형추와 하부 균형추를 연결시키는 수단을 의미하고, 예를들면 이 실시의 형태에서의 브레이크 중심부(34)가 해당된다.
또, 연결부에는 예를들면 이 실시의 형태에서의 연결봉(44), 연결봉(52)이 해당된다. 또, 관통축에는 플런저(42)가 해당된다.
또, 본 발명에서 제어장치에는 예를들면 이 실시의 형태에서의 솔레노이드코일(40)을 포함하는 부분이 해당된다.
또, 본 발명에서 복귀수단은 상부 균형추와 하부 균형추의 연결이 분리되었을 때에 상부 균형추와 하부 균형추를 다시 연결시키기 위한 수단을 표시하고 예를들면 이 실시의 형태에서의 복귀플레이트(16),(18)가 해당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엘리베이터 장치용의 균형추는 상부와 하부로 분리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중 필요에 따라 균형추를 분리함으로써 카와 균형추와의 밸런스를 조정하고 승강속도를 떨어뜨릴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 상하로 분리된 균형추의 각각에 상부 브레이크장치, 하부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하는 것에 대해서는 간단한 장치로 엘리베이터 장치를 정지시 킬 수가 있고, 엘리베이터 운행에서의 안전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 복귀수단을 구비한 것에서는 균형추가 분리된 후 간단하게 원래의 연결상태로 복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복잡한 기기를 준비하지 않고 신속하게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행을 복귀할 수가 있으므로 서비스의 향상이나 코스트의 삭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Claims (3)

  1. 엘리베이터 장치 내에서 승강하는 카와 접속해 승강하는 균형추에 있어서,
    상기 균형추는, 상부 균형추; 및 승강용 로프를 통해 상기 카와 연결되어 있는 하부 균형추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균형추와 하부 균형추는, 상기 카가 소정의 속도 이상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경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균형추는 상기 균형추가 분리된 경우 상기 상부 균형추를 정지시키는 상부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균형추는 상기 균형추가 분리된 경우에 상기 하부 균형추를 정지시키는 하부 브레이크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추는 엘리베이터 장치의 승강로에 구비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하며,
    상기 상부 브레이크 장치는, 상기 균형추가 분리된 경우에 상기 가이드레일에 접해 이동하는 상부 회전체; 상기 균형추가 분리된 경우 상기 상부 회전체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상부 탄성체; 및 상기 상부 회전체의 상방에 상기 가이드레일과의 폭이 상방으로 갈수록 가늘게 형성된 상부 홈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회전체는 상기 상부 균형추가 하방으로 떨어질때 상기 상부 홈부와 상기 가이드레일 사이에 밀어올려져서 끼워지고, 상기 상부 균형추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추.
KR1020047001986A 2002-06-13 2002-06-13 균형추 KR100569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2/005905 WO2003106321A1 (ja) 2002-06-13 2002-06-13 釣合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694A KR20040021694A (ko) 2004-03-10
KR100569799B1 true KR100569799B1 (ko) 2006-04-10

Family

ID=2972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986A KR100569799B1 (ko) 2002-06-13 2002-06-13 균형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512656B1 (ko)
JP (1) JPWO2003106321A1 (ko)
KR (1) KR100569799B1 (ko)
CN (1) CN1285500C (ko)
DE (1) DE60235727D1 (ko)
WO (1) WO20031063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6641B2 (en) * 2006-12-21 2010-02-02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solenoid
JP5354898B2 (ja) * 2007-12-26 2013-11-2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つり合いおもり
FI20090273A (fi) * 2009-01-15 2010-07-16 Kone Corp Hissi
CN101407301A (zh) * 2008-11-17 2009-04-15 吕安文 无能耗升降装置
WO2011032582A1 (de) * 2009-09-16 2011-03-24 Manuela Widmann Notbefreiungssystem, insbesondere für aufzüge
FI20106273A (fi) * 2010-12-01 2012-06-02 Kone Corp Hissijärjestely ja menetelmä
CN102126663A (zh) * 2011-03-07 2011-07-20 邬建勋 一种无轨对重装置及无轨轿厢
JP5777742B2 (ja) * 2014-01-14 2015-09-09 株式会社東芝 エレベータ装置
WO2019012695A1 (ja) * 2017-07-14 2019-01-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釣合おもり装置
JP2019183214A (ja) * 2018-04-06 2019-10-24 光洋サーモシステム株式会社 熱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3700A (en) * 1913-02-20 1913-09-23 Neenan Elevator Company Rope elevator.
JPH06263368A (ja) * 1993-03-12 1994-09-20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ーの釣り合い重り装置
JPH0797161A (ja) * 1993-09-27 1995-04-11 Fuji Hensokuki Kk 昇降装置のバランスウエート
US5495919A (en) * 1994-04-25 1996-03-05 Otis Elevator Company Safety brake apparatus for an elevator car or counterweight
JP2001080837A (ja) * 1999-09-13 2001-03-27 Hitachi Ltd エレベータ装置
JP4683703B2 (ja) * 2000-10-20 2011-05-18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49789A (zh) 2004-11-24
KR20040021694A (ko) 2004-03-10
WO2003106321A1 (ja) 2003-12-24
EP1512656B1 (en) 2010-03-17
CN1285500C (zh) 2006-11-22
JPWO2003106321A1 (ja) 2005-10-13
DE60235727D1 (de) 2010-04-29
EP1512656A4 (en) 2008-11-12
EP1512656A1 (en) 2005-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393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JP6012596B2 (ja) エレベータ装置
US9637348B2 (en) Elevator apparatus
US9505587B2 (en) Elevator with acceleration detection
KR10197476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683703B2 (ja) マシンルームレスエレベータ
US10093515B2 (en) Elevator apparatus
US11261055B2 (en) Elevator emergency stop systems
WO2017094102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0569799B1 (ko) 균형추
WO2013179336A1 (ja) エレベーター装置
US20170121148A1 (en) Elevator device
JP6062009B2 (ja) エレベータ装置
EP1748017A1 (en) Emergency stop device for elevator
WO2015173913A1 (ja) エレベータ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633948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6204061A (ja) エレベータ装置
EP4349757A1 (en) Emergency stop device, elevator, and method of restoring emergency stop device
JPWO2018179182A1 (ja) エレベータ装置
KR20180018083A (ko) 엘리베이터 하부체대 비상정지장치
KR20060057572A (ko) 엘리베이터 비상 정지 장치
KR20180110770A (ko) 승강기 안전장치의 일면 쇄기식 점차 비상정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