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1632A - 시트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1632A
KR20110091632A KR1020110075610A KR20110075610A KR20110091632A KR 20110091632 A KR20110091632 A KR 20110091632A KR 1020110075610 A KR1020110075610 A KR 1020110075610A KR 20110075610 A KR20110075610 A KR 20110075610A KR 20110091632 A KR20110091632 A KR 20110091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guide
skew
conveying
skew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011B1 (ko
Inventor
다까시 후지따
다까유끼 스즈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327405A external-priority patent/JP52194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8166088A external-priority patent/JP5197181B2/ja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9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1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9/00Registering, e.g. orientating, articles; Devices therefor
    • B65H9/16Inclined tape, roller, or like article-forwarding side registers
    • B65H9/166Rol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00Feeding articles separated from piles; Feeding articles to machines
    • B65H5/36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 B65H5/38Article guides or smoothers, e.g. movable in operation immovable in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Changing form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22Corrugating; Stiff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10Rollers
    • B65H2404/14Roller pairs
    • B65H2404/142Roller pairs arranged on movable frame
    • B65H2404/1424Roller pairs arranged on movable frame moving in parallel to their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4/00Parts for transporting or gui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4/60Other elements in face contact with handled material
    • B65H2404/69Other means designated for special purpose
    • B65H2404/696Ball, sp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gistering Or Overturning Sheets (AREA)

Abstract

시트 반송 장치는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반송된 시트의 측단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기준면과, 기준면에 시트의 측단이 충돌하도록 시트를 비스듬히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스큐 반송 기구와, 스큐 반송 기구에 의해 시트가 기준면을 향해 반송될 경우 시트의 측단을 변형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변형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트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SHEET CONVEYAN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또는 복수의 기능을 갖는 복합기를 위한 시트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며, 또한 시트 반송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사진 방식, 오프셋 인쇄 방식 및 잉크젯 방식을 포함하는 다양한 화상 형성 장치가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종래의 전자 사진 방식의 컬러 화상 형성 장치는 직렬로 배치되는 복수의 감광 드럼("탠덤 방식"으로 언급됨) 또는 원형 경로로 배치되는 복수의 감광 드럼("로터리 방식"으로 언급됨)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화상 전사 방법 중에서, 감광 드럼으로부터 시트에 직접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방법이 "직접 전사 방법"으로 언급된다. 감광 드럼으로부터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체에 전사한 후, 중간 전사체로부터 토너 화상을 용지에 전사하는 방법이 "중간 전사 방법"으로 언급된다.
오프셋 인쇄기와 비교해서, 최근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판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고, 주문 제작 인쇄(Print On Demand: POD) 서비스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여 이에 따라 적은 양의 인쇄가 융통성 있게 행해질 수 있다. 그러나, 기대되는 작업 목표를 획득하기 위해서, POD 서비스 전용의 화상 형성 장치는 POD 서비스에 적합한 고화질 달성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시트에 대한 화상 위치 정밀도가 충족되어야 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예를 들어, 양면 인쇄를 행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화상 위치 정밀도는 앞뒷면에 형성된 화상 사이의 위치 조정 정밀도를 포함한다.
시트 반송 방향의 위치,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위치, 화상의 배율 및 시트의 스큐량(skew amount)는 시트 상에 형성되는 화상의 위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예이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에 의한 편차를 제거하는 것이 만족스런 수준의 위치 정밀도를 얻기 위한 중요 요소이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는 시트 반송 위치 및 화상의 배율에 있어서의 편차를 제거하기 위해서 전기적인 제어를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전기적인 제어를 사용해서 시트의 스큐를 보정하는 것은 어렵다. 예를 들어, 반송된 시트의 위치를 보정하기 위해서, 장치는 감광 드럼에 공급된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레이저 비임의 조사 시간/위치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의 배율을 보정하기 위해서, 장치는 감광 드럼에 방사된 레이저 비임의 조사 범위를 전기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시트의 스큐를 보정하기 위해서, 반송된 시트의 스큐량을 전기적으로 검출하고 경사진 시트에 맞춰서 경사진 화상을 전기적으로 형성하여 시트에 대해 화상의 위치를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화상 형성 장치는 3 또는 4색을 서로 포개서 컬러 화상을 형성하면서 각 시트에 대한 화상의 경사를 조정할 수 있는 경우, 각 색의 닷 형성의 편차가 시트의 스큐량에 따라 각 시트 상의 화상의 색을 바꿀 수도 있다. 또한, 화상의 경사를 산출하는데 비교적 긴 시간이 요구된다. 따라서, 장치 생산성의 현저한 저하가 초래된다. 따라서, 시트의 스큐를 기계적으로 보정하는데 적합한 기구 또는 장치가 요구된다.
스큐 보정 기구는 크게 다음의 방식(또는 그룹)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인 방식에 속하는 스큐 보정 기구는 전사 유닛의 상류 측에 배치된 한 쌍의 레지스트레이션 롤러를 포함하고, 시트의 선단부를 정지 상태인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닙부에 충돌시킴으로써 반송된 시트(반송된 전사재)의 스큐량을 제거할 수 있다. 이런 방식의 스큐 보정 기구는 시트의 선단부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닙부에 닿은 후에 과도하게 시트를 반송한다. 따라서, 반송된 시트가 루프 형상으로 변형되면서, 시트의 선단부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의 닙부를 따라 정렬되어 스큐량을 제거할 수 있다.
또 다른 방식에 속하는 스큐 보정 기구는 시트 선단부의 검출된 경사도에 기초하여 시트의 스큐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 산출 유닛과,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독립 구동 롤러를 포함한다. 이런 방식의 스큐 보정 기구는 산출된 시트의 스큐량에 따라서 각각의 구동 롤러의 반송 속도를 독립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시트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큐를 제거한다.
또한, 또 다른 방식에 속하는 스큐 보정 기구는 시트의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기준면과, 시트를 기준면을 향해 비스듬히 반송하는 스큐 롤러를 포함한다. 기준면은 반송된 시트의 측단을 조정하고, 반송된 시트의 방위를 변경한다(스큐량을 줄인다).
기준면에 시트의 측단을 맞추고 시트의 방위를 보정하도록 구성된 스큐 보정 기구의 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도23a 및 도23b는 시트 반송 방향으로부터 본 스큐 보정 유닛을 도시하며, 이에 따르면 시트는 도면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한다. 스큐 보정 유닛은 스큐 보정 롤러(32) 및 가압 롤러(34)를 포함하며, 이들은 시트(S)를 끼움 지지하고 시트를 기준 가이드 유닛(31)의 기준면(311)에 비스듬히 반송할 수 있다. 시트(S)가 기준면(311)에 충돌한 후, 스큐 보정 롤러(32) 및 가압 롤러(34)는 시트(S)가 그 방위를 바꾸도록(스큐량을 줄이도록) 회전시키고, 기준면(311)을 따라 똑바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도2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S)의 측단이 스큐 보정 롤러(32)와 가압 롤러(34) 사이에 비스듬히 반송된 경우, 시트(S)는 기준 가이드 유닛(31)의 상부 가이드(312) 및 하부 가이드(313)에 의해 안내된다. 상부 가이드(312) 및 하부 가이드(313)는 시트(S)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기준면을 따라서 시트의 측단의 방위를 변경시키는 것에 의해 시트의 스큐를 보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화상 형성 장치가 시트의 (제1 및 제2 면)앞뒷면 상에 화상 형성 처리를 행하는 경우, 제1 및 제2 면에 대해 시트의 선단/후단부를 전환시키도록 스위치백 동작을 행한다. 이 경우, 장치는 시트의 측단을 전환하지 않는다. 장치는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는 동일 위치에서 시트의 제1 및 제2 면에 대한 스큐 보정을 행한다. 따라서, 기준면을 사용하는 스큐 보정 방법은 시트의 측단에 대해 화상의 시작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장치는 시트의 앞뒷면의 화상 사이에 어떠한 어긋남도 없이 양면 화상 형성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시트의 선단부에서 스큐 보정을 행하는 방법에 따르면, 어긋남이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발생된 경우에는 제1 및 제2 면의 화상 사이의 어긋남은 보정될 수 없다. 즉, 스큐 보정 능력이 우수할지라도, 시트의 앞뒷면 상에 형성된 화상은 시트의 측단에 대해 어긋날 수도 있다.
POD 시장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는 (예를 들어, 40 g/m2 이상 350 g/m2 이하의) 평량과는 다른 보통지, 코팅지, 필름지 및 다른 특수 재료를 포함하는 다양한 종류의 기록 재료 상에 화상 형성을 행하도록 요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대표적인 스큐 보정 방법은 기준면을 향해서 시트를 비스듬히 반송해서 반송된 시트가 기준면에 대해 그 측단을 충돌시키고 그 방위를 변화시킴으로써 시트의 스큐량을 줄인다. 그러나, 최근 화상 형성 장치는 다양한 두께 및 재료의 다른 시트를 사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반송된 시트가 얇거나 낮은 강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 경우에는, 기준면에 충돌할 때 시트가 구부러질 수도 있다. 도2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S)가 낮은 강성을 갖는 경우에는, 기준면(311)에 충돌할 때 상부 가이드(312)와 하부 가이드(313) 사이의 틈에서 구부러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스큐 보정이 정확하게 행해질 수 없고, 이에 따라 시트에 대한 화상의 위치 정밀도가 저하된다. 또한, 종이 걸림(paper jam)이 시트의 구부러짐으로 인해 발생될 수도 있다. 시트의 측단은 절결되거나 손상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상부 가이드(312)와 하부 가이드(313) 사이의 틈은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가장 두꺼운 시트의 두께보다도 크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부 가이드(312)와 하부 가이드(313) 사이의 틈은 얇은 시트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좁지 않다.
따라서, 어떠한 구부러짐의 발생 없이, 기준면을 따라 시트의 측단을 안내하여 시트를 확실하게 반송하도록,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2-356250호에 개시된 장치는 시트의 두께에 따라서 상부와 하부 가이드 사이의 틈을 조정하는 기구를 포함한다. 개시된 종래 장치는 반송된 시트가 얇은 시트(즉, 낮은 강성을 갖는 시트)일 경우, 상부와 하부 가이드 사이의 틈을 줄이도록 작동된다. 따라서, 장치는 기준면을 따라서 시트의 측단을 확실하게 안내하여 시트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시트의 두께에 따라 상부와 하부 가이드 사이의 틈을 조정하도록 구성된 상술한 종래 장치에 따르면, 검출 유닛이 정확히 동작되도록 요구된다. 검출 유닛은, 예를 들어 시트의 두께를 직접 검출할 수 있는 접촉식 센서 또는 반사식 광학 센서이다. 또 다른 검출 유닛은 시트를 끼웠을 때의 가동(可動) 반송 롤러의 변위에 기초하여 시트의 두께를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런 검출 유닛에 의한 검출은 시트가 끊이지 않고 연속적으로 반송되어 행해질 경우, 센서 자체의 오차 이외에도 반송된 시트의 요동 및 각각의 반송 롤러의 편심으로 인해 상당한 검출 에러(예를 들어, 대략 10% 정도)가 발생한다. 또한, 시트를 끼웠을 때의 가동 반송 롤러의 변위량에 기초하여 시트의 두께를 검출하는 방법에 따르면, 얇은 시트의 경우 변위량이 작기 때문에 시트의 두께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시트의 두께를 자동 검출하는 대신에, 사용자에 의해 직접 입력되는 시트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상부와 하부 가이드 사이의 틈을 조정하는 방법이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시트 두께 정보를 입력하도록 요구되는데 정보를 잘못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시트의 두께와 비교하여, 시트의 강성은 시트가 기준면에 충돌할 경우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결정적인 요인이다. 도22는 시트의 두께와 시트의 강성 사이의 관계에 관하여 다양한 종류의 시트가 나타내는 플롯을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22에 도시된 데이터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사한 두께의 시트일지라도 특정 종류의 시트의 강성은 다른 종류의 시트의 강성과 크게 상이하다.
또한, 도22에 도시된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시트의 두께가 조금만 변해도 얇은 시트의 강성은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단순히 시트의 두께에 기초하여 상부와 하부 가이드 사이의 틈을 조정하는 방법으로는, 시트의 구부러짐을 방지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두꺼운 시트의 강성이 낮을 경우에는, 시트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와 하부 가이드 사이의 틈을 좁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장치는 시트의 강성에 기초하여 가이드 틈을 변경하지 않기 때문에, 두꺼운 시트가 낮은 강성을 가질 경우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다. 또한, 상부와 하부 가이드 사이의 틈을 조정하는 특정 기구로서, 모터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구동 유닛과, 구동 유닛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이 필요하다. 따라서, 장치의 비용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잡한 구성을 이용하지 않고 강성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시트를 반송하고 반송된 각각의 시트의 스큐를 확실하게 보정할 수 있고, 또한 시트가 기준면에 충돌할 경우 시트의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시트 반송 장치는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반송된 시트의 측단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기준면과, 시트의 측단이 기준면에 충돌하도록 시트를 비스듬히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스큐 반송 기구와, 시트가 스큐 반송 기구에 의해 기준면을 향해 반송될 경우 시트의 측단을 변형하도록 구성된 시트 변형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구성을 이용하지 않고 강성이 다른 다양한 종류의 시트를 반송하고 반송된 각각의 시트의 스큐를 확실하게 보정할 수 있고, 또한 시트가 기준면에 충돌할 경우 시트의 구부러짐을 방지할 수 있는 시트 반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의 측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스큐 보정 장치의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기준 가이드 유닛의 확대 단면도.
도4a 및 도4b는 도3에 도시된 기준 가이드 유닛의 동작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5는 도1에 도시된 스큐 보정 장치의 평면도.
도6은 도1에 도시된 스큐 보정 장치의 평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단면도.
도8a 내지 도8d는 도7에 도시된 레지스트레이션 유닛의 평면도.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 2차 모멘트, 시트 두께 및 가이드의 고도차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의 측면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의 측면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14는 도13에 도시된 제어 시스템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의 정면도.
도16은 도15에 도시된 스큐 보정 장치의 사시도.
도17은 도16에 도시된 스큐 보정 장치의 확대 사시도.
도18a는 두꺼운 종이가 도15에 도시된 스큐 보정 장치를 통과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18b는 얇은 종이가 도15에 도시된 스큐 보정 장치를 통과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19는 도15에 도시된 스큐 보정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유닛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20은 도19에 도시된 제어 유닛에 의해 행해지는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
도21a는 두꺼운 종이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를 통과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21b는 얇은 종이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를 통과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22는 시트 두께와 강성 사이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23a 및 도23b는 시트 반송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종래의 스큐 보정 장치.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양태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에 통합되고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특징을 도시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의 적어도 일부를 설명하는데 도움이 된다.
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기술은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 그 적용 또는 사용을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기술 분야의 임의의 당업자에 의해 공지된 바와 같은 처리, 기술, 장치 및 시스템은 적절한 권능을 부여하는 기술의 일부가 되도록 의도된다. 명세서 전반에 걸쳐 유사한 도면 부호 및 글자는 이후의 도면에서 유사한 구성을 언급하고, 따라서 구성이 하나의 도면에서 기술되면, 이후의 도면에 대해 기술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에 상세하게 기술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사진 방식 화상 형성 장치(1)가 도7을 참조하여 이후에 기술된다.
시트 급송 장치(10)는 리프트 업 장치(11)에 장착된 복수의 시트(S)(각각은 전사재로서 역할)를 저장할 수 있다. 시트 공급 유닛(12)은 화상 형성 기구(90)의 화상 형성 타이밍에 맞춰서 시트 급송 동작을 개시한다. 시트 공급 유닛(12)은, 예를 들어 시트를 분리하도록 급송 롤러를 포함하는 마찰 방식 또는 시트를 보유 및 분리하도록 흡인력을 이용할 수 있는 에어 방식이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시트 공급 유닛(12)은 에어 방식이다.
시트 공급 유닛(12)으로부터 공급된 시트(S)는, 반송 유닛(20)에 제공된 반송 경로를 통과하고, 레지스트레이션 유닛(30)에 도달한다. 레지스트레이션 유닛(30)은 각각의 시트(S)에 대한 스큐 보정과, 2차 전사 유닛에 의해 행해지는 화상 전사 동작과 시트(S)를 동기화시키기 위한 타이밍 보정을 행하도록 구성된 스큐 보정 장치를 포함한다. 레지스트레이션 유닛(30)은 시트(S)를 2차 전사 유닛으로 반송한다.
2차 전사 유닛은 내부 2차 전사 롤러(43) 및 외부 2차 전사 롤러(44)를 포함하며, 이들은 서로 대향되어 전사 닙부를 형성한다. 2차 전사 유닛은 소정의 가압력 및 정전 부하 바이어스를 가함으로써 중간 전사 벨트(40)로부터의 토너 화상(미정착 화상)을 시트(S)에 전사할 수 있다. 시트에 전사될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시트를 2차 전사 유닛으로 반송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일례가 아래에 기술된다.
도7에 있어서, 화상 형성 기구(90)는 감광 드럼(91), 노광 장치(93), 현상 유닛(92), 1차 전사 유닛(45) 및 감광 드럼 클리너(95)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 신호에 기초하여 노광 장치(93)로부터 발산된 광은 반사 유닛(94)에 의해 반사되고, 사전에 대전 유닛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 표면을 갖으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 드럼(91)에 도달한다. 따라서, 정전 잠상이 감광 드럼(91)의 표면에 형성된다. 현상 유닛(92)은 토너 현상 처리를 행하고, 이에 따라 정전 잠상은 토너를 인가하는 것에 의해 감광 드럼(91)의 표면에 토너 화상으로서 현상된다. 그 후, 1차 전사 유닛(45)은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벨트(40)에 전사하기 위해 소정의 가압력 및 정전 부하 바이어스를 가한다. 감광 드럼 클리너(95)는 감광 드럼(91)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 입자를 회수한다.
상술한 화상 형성 기구(90)는 4가지, 예를 들어 옐로(Y), 마젠타(M), 시안(C) 및 블랙(Bk) 화상 형성 유닛을 포함하는데, 색은 4가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색의 정렬 순서도 Y → M →C → Bk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중간 전사 벨트(40)는 구동 롤러(42), 텐션 롤러(41) 및 내부 2차 전사 롤러(43)를 둘러서 연장된다. 중간 전사 벨트(40)는, 모터에 의해 구동될 경우 화살표(B)로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술된 Y, M, C 및 Bk 화상 형성 유닛의 병렬 처리에 의해 형성된 각각의 컬러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40)에 1차 전사된 상류 토너 화상에 순차적으로 중첩된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풀 컬러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40)에 형성되고, 2차 전사 유닛으로 반송된다.
상술한 시트 반송 및 화상 형성 처리를 마치고, 2차 전사 유닛은 시트(S)에 풀 컬러 토너 화상을 2차적으로 전사할 수 있다. 벨트 클리너(46)는 중간 전사 벨트(40)의 표면에 잔류하는 토너 입자를 회수한다.
화상이 시트(S)에 2차 전사된 후, 정착전 반송 장치(51)는 시트(S)를 정착 유닛(50)으로 반송한다. 정착 유닛(50)은 시트(S)에 대해 소정의 가압력을 가하고 시트(S) 상에 토너를 용융 고착하도록 시트(S)를 가열하기 위해 열원(예를 들어, 할로겐 히터)을 가하도록 서로에 대해 대향 배치된 롤러 또는 벨트를 포함한다. 정착된 화상을 갖는 시트(S)는 분기(分岐) 반송 장치(60)에 도달하는데, 이는 시트(S)를 시트 배출 트레이(61)로 바로 배출하거나 또는 장치가 양면 화상 형성 처리를 행할 경우에는 시트(S)를 반전 반송 장치(70)로 반송한다.
반전 반송 장치(70)는 시트(S)의 앞/뒷면을 반전하고 시트(S)의 선단/후단부를 전환하는 스위치백 동작을 행한다. 그 후, 시트(S)는 양면 반송 장치(80)에 도달한다. 양면 반송 장치(80)는 시트(S)가 시트 급송 장치(10)로부터 공급된 다른 하나의 시트(S)와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반송 유닛(20)으로 진입시킨다. 시트(S)가 다시 한번 2차 전사 유닛에 도달할 경우, 시트(S)는 제1 면에 대해 상술된 처리와 마찬가지 방식으로 제2 면에 대해서 화상 형성 처리된다.
화상 형성 기구(90), 중간 전사 벨트(40), [내부 2차 전사 롤러(43) 및 외부 2차 전사 롤러(44)를 포함하는]2차 전사 유닛 및 정착 장치(50)는 본 실시예에 따라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화상 형성 유닛을 구성한다. 도8a는 시트의 스큐를 보정할 수 있는, 레지스트레이션 유닛(30) 내에 제공된 스큐 보정 장치의 배열의 일례를 도시한다.
스큐 보정 장치는 가동식 가이드(55) 및 고정식 가이드(33)를 포함한다. 가동식 가이드(55)는 시트(S)의 사이즈에 따라 시트의 폭 방향으로(즉, 시트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가동식 가이드(55)는 기준 가이드 유닛(31), 복수의 스큐 보정 롤러(32a, 32b 및 32c) 및 가압 롤러(34a, 34b 및 34c)를 포함하며, 이는 일체로 이동 가능하다. 가압 롤러(34a, 34b 및 34c)는 스큐 보정 롤러(32a, 32b 및 32c)를 가압할 수 있다. 장치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식 가이드(33)는 시트(S)에 대한 반송 가이드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의 상세한 구성이 도1 내지 도5를 참조하여 아래에 기술된다. 도1은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스큐 보정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2는 경사 상방으로부터 본 스큐 보정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3, 도4a 및 도4b는 도1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5는 기준 가이드 유닛(31)의 상부 가이드(312)가 생략된 도1에 도시된 스큐 보정 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큐 보정 장치의 기준 가이드 유닛(31)은 홈이 있는(U 형상) 단면을 갖는다. 기준 가이드 유닛(31)은 기준면(311)과, 제1 가이드로서의 상부 가이드(312)와, 제2 가이드로서의 하부 가이드(313)를 포함한다. 기준면(311)은 시트의 측단을 안내하고, 스큐량을 제거하도록 시트의 방위를 보정한다. 기준면(311)은 시트의 측단을 위치 설정하거나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부 가이드(312)는 반송된 시트의 하나의 면(상부면 측)에 대향하는 시트 반송면(312a)을 포함한다. 하부 가이드(313)는 반송된 시트의 다른 하나의 면(하부면 측)에 대향하는 시트 반송면(313a)을 포함한다. 상부 가이드(312) 및 하부 가이드(313)는 시트의 측단을 기준면(311)에 안내할 수 있고, 시트가 기준면(311)에 충돌할 경우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큐 반송 기구로서의)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는 시트 반송 방향에 대해 각도(α)로 경사진다.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는 시트의 측단이 기준면(311)에 비스듬히 충돌하도록 기준 가이드 유닛(31)의 기준면(311)을 향해 시트를 비스듬히 반송한다. 그 후, 기준면(311)이 반송된 시트의 측단을 안내하고,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는 시트를 반송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322)는 타이밍 벨트(323, 324, 325) 및 커플링 조인트(321a, 321b, 321c)를 통해,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된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를 구동한다. 이러한 구성은 각각의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 사이의 구동 속도의 편차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도1 내지 도6은 시트가 기준면(311)에 충돌할 경우 시트의 측단을 절곡시키도록 구성된 시트 변형 유닛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313)는 시트 반송 방향에 따라 복수의 위치(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2"군데)에 배치되는 오목부(314)를 갖는다. 오목부(314)는 하부 가이드(313)의 시트 반송면(313a)에 연결되는 평활면을 갖는다. 따라서, 반송된 시트의 선단부는 오목부(314)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다.
상부 가이드(312)는 하부 가이드(313)에 제공된 오목부(314)에 대향되는 소정의 위치에 제공된 구형 부재(35: 35a, 35b)를 포함한다. 구형 부재(35: 35a, 35b)는 시트 반송면(312a)에 배치된 돌출부이다. 구형 부재(35: 35a, 35b)는 상부 가이드(312)의 맞물림 홀에 느슨하게 결합되고 각각의 맞물림 홀의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부에 의해 지지된다. 각각의 구형 부재(35)는, 시트 반송면(312a)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경우, 그 하부의 반송된 시트와 접촉할 수 있다. 구형 부재(35: 35a, 35b)는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여 시트가 기준면(311)에 충돌할 경우 또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7)가 시트를 반송할 경우 시트의 방위의 변화를 이끌 수 있다. 따라서, 구형 부재(35: 35a, 35b)는 시트에 작용하는 반송 저항을 줄일 수 있다.
구형 부재(35: 35a, 35b)는 폴리아세탈 수지(POM)와 같은 저마찰 수지 재료로 만들어지고, 반송된 시트(S)를 적절하게 가압할 수 있는 경량의 부재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구형 부재(35)의 중량은 1g이다. 탄성 부재(예를 들어, 스프링)는 구형 부재(35)가 시트 반송면(312a)으로부터 확실하게 돌출할 수 있도록 구형 부재(35: 35a, 35b)를 탄력적으로 압박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상술된 구성에 따르면, 시트(Sn)의 강성이 낮을 경우(도4a 참조), 시트(Sn)의 측단은 구형 부재(35)와 오목부(314) 사이의 개재된 부분에서 변형 또는 절곡된다. 시트(Sn)의 측단은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물결 형상으로 변형되고 기준면(311)에 충돌한다. 바꿔 말하면, 구형 부재(35)에 의해 형성된 볼록 형상과, 대응하는 오목부(314)에 의해 형성된 오목 형상은 시트의 측단을 물결 형상으로 변형시킨다.
도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Sk)의 강성이 높을 경우, 구형 부재(35: 35a, 35b)는 시트(Sk)에 의해 상방으로 밀리며 시트(Sk)가 곧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기준면(311)과 접촉할 수 있는 위치로 유지된다. 구형 부재(35: 35a, 35b)의 이동량은 시트의 강성에 비례한다. 바꿔 말하면, 시트의 변형량은 시트의 강성에 따라 변한다. 시트의 변형량은 시트의 강성이 높을 경우 감소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가이드(312)의 시트 반송면(312a)과 하부 가이드(313)의 시트 반송면(313a) 사이의 틈(G1)(즉, 도3에 도시된 베이스 사이의 간격)은 1㎜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가장 두꺼운 시트로서 350g/m2의 평량을 갖는 시트의 두께는 4㎜이다. 따라서, 틈(G1)의 설정은 시트 두께의 편차로 인해 발생하는 종이 걸림 또는 컬을 고려해서 결정된다. 하부 가이드(313)의 시트 반송면(313a)과 오목부(314)의 바닥면 사이의 수직 편차를 나타내는 고도차(G2)는 1㎜로 설정된다.
일반적으로, 시트의 구부러짐은 단면 2차 모멘트(I)에 비례해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평량 40g/m2 및 두께 0.05㎜를 갖는 시트를 물결 형상으로 변형 또는 절곡했을 때의 고도 변형을 2㎜로 했을 경우, 단면 2차 모멘트(I)는 평판 상태의 값에 약 6300배가 된다. 따라서, 이것은 가장 두꺼운 시트(두께 = 0.4㎜)의 단면 2차 모멘트(I)를 명백하게 초과한다.
도9는 시트의 변형에 있어서의 고도차와 단면 2차 모멘트(I) 사이의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그래프이다. 도9에 있어서, 횡축의 값은 단면 2차 모멘트(I)를 나타낸다. 실선은 보통지의 시트 두께("t")에 따라 변화하는 단면 2차 모멘트(I)를 나타낸다. 파선은 물결 형상으로의 시트(두께"t" = 0.05㎜)의 변형에 있어서의 고도차("a")에 따라 변화하는 보통지의 단면 2차 모멘트(I)를 나타낸다.
도9에 도시한 관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면 2차 모멘트(I)는 시트가 적당히 변형될 경우 충분한 값까지 증가될 수 있다. 시트의 강성이 낮은 경우에도 시트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떠한 종이 걸림 또는 스큐 없이 시트를 기준면으로 확실하게 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시트(Sn)의 강성이 낮은 경우에도, 시트(Sn)의 측단이 기준면(311)을 따라 시트 반송 방향으로 연장하는 물결 형상을 유지한다면,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의 시트(Sn)의 강성(좌굴력)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낮은 강성을 갖는 시트가 기준면(311)에 충돌할 때 구부러지지 않는다.
시트의 변형량(물결 형상의 변형에 있어서의 고도차)은 시트의 강성에 따라 변경된다. 시트의 강성이 높을 경우, 변형량 및 반송 저항은 작다. 따라서, 낮은 강성을 갖는 시트는 큰 변형을 발생한다. 변형된 부분은 시트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시트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한다. 높은 강성을 갖는 시트는 작은 변형 및 작은 반송 마찰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장치는 시트를 원활하게 반송할 수 있다. 따라서, 장치는 스큐 보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구형 부재(35a, 35b)는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소정의 위치에 배치되는데, 그것은 스큐 보정 롤러(32a, 32b)의 사이 및 스큐 보정 롤러(32b, 32c)의 사이의 중점에 각각 대응된다. 따라서, 구형 부재(35a, 35b)는 낮은 강도를 갖는 시트를 안정적으로 물결 형상으로 변형시킨다. 바꿔 말하면, 시트의 측단은 이웃하는 스큐 보정 롤러 사이에서 대칭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장치는 시트가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시트를 반송할 수 있다.
하류측에 배치된 스큐 보정 롤러가 상류측에 배치된 스큐 보정 롤러와 비교해서 높은 반송 속도를 갖는 경우, 시트가 하류 스큐 보정 롤러에 의해 당겨지고 상당한 인장 응력이 시트 상에 작용하기 때문에, 시트의 물결 형상은 붕괴되거나 소멸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시트의 강성을 높이는 효과가 줄어든다.
따라서,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는 각각 다른 스큐 각도(αa, αb, αc)를 갖도록 설정된다. 하류측에 배치된 스큐 보정 롤러는 상류측에 배치된 스큐 보정 롤러와 비교해서 큰 스큐 각도를 갖는다(αc 〉αb 〉αa). 따라서, 하류측에 배치된 스큐 보정 롤러는 상류측에 배치된 스큐 보정 롤러와 비교해서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느린 속도 성분을 갖는다. 시트 반송 방향에 따른 상술한 속도 성분 관계를 유지하는 선에서, 각각의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의 스큐 각도가 외경 공차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각의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의 시트 반송 각도(스큐 각도)는 상술한 관계를 만족시키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하류측에 배치된 스큐 보정 롤러는 상류측에 배치된 스큐 보정 롤러과 비교해서 시트 반송 방향에 따른 속도 성분을 작게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하류측에 배치된 스큐 보정 롤러는 상류측에 배치된 스큐 보정 롤러와 비교해서 작은 외경을 갖는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구동 모터는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를 독립적으로 구동한다. 하류 스큐 보정 롤러의 반송 속도는 상류 스큐 보정 롤러의 반송 속도보다 느리게 설정된다.
*낮은 강성을 갖는 시트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기준면(311)에 근접하여 구형 부재(35a, 35b)를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 구형 부재(35a, 35b)는 상부 가이드(312) 상에 배치된다. 그러나, 구형 부재(35a, 35b)는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와 기준면(311) 사이라면 어디든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구형 부재(35a, 35b)의 설정 위치는 지지되는 재료 및 장치의 구성을 고려하여 적절히 결정될 수 있다. 스큐 보정 롤러, 오목부 및 구형 부재의 수는 지지되는 재료 및 장치의 구성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도8a 내지 도8d는 레지스트레이션 유닛(30)에 의해 행해진 시트 정렬 동작의 일례를 도시한다. 우선, 도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큐 보정 장치는 각도(β)로 경사진 시트(S)를 수용한다. 시트 반송 롤러(21)는 시트(S)를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로 반송한다.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는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S)를 기준 가이드 유닛(31)을 향해서 비스듬히 반송한다.
이 경우, 스큐 보정 롤러(32a)가 시트(S)를 반송하는 것을 개시하기 전에 액추에이터(도시 생략)는 시트 반송 롤러(21)가 시트(S)에 가해진 끼움력을 해제하도록 한다. 그 후, 도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S)의 측단은 기준 가이드 유닛(31)의 기준면(311)에 충돌하고 회전하여(그 방위를 변경하여) 스큐량을 제거한다. 기준면(311)이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트(S)의 위치를 조절한 상태에서, 시트(S)는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7)로 똑바로 이동한다.
시트(S)가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7)에 도달할 경우, 시트(S)는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액추에이터(도시 생략)는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에 대향된 가압 롤러(34a, 34b, 34c)가 시트(S)에 가해진 끼움력을 해제하도록 한다. 그 후, 도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7)는 시트(S)를 끼운 상태에서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한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7)는 중간 전사 벨트(40) 상의 화상과 일치시키도록 시트(S)의 위치를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경우, 기준 가이드 유닛(31)은 시트의 측단의 위치를 조절한다. 따라서, 장치는 기준 가이드 유닛(31)으로부터의 거리를 참조하여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7)를 이동시킨다. 그 후,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7)는 시트(S)를 2차 전사 유닛으로 반송한다.
도10은 경사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를 도시한다. 도10에 도시된 스큐 보정 장치는, 제2 실시예가 돌출부로서의 구형 부재(35a, 35b)를 원기둥 롤러(38a, 38b)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와 유사하다.
원기둥 롤러(38a, 38b)는 상부 가이드(312)에 제공된 맞물림 홀에 느슨하게 결합된다. 원기둥 롤러(38a, 38b)는 상부 가이드(312)의 시트 반송면(312a)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원기둥 롤러(38a, 38b)의 회전 샤프트는 맞물림 홀의 측방에 형성된 홈(슬릿)에 의해 지지된다. 원기둥 롤러(38a, 38b)는 시트 반송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형 부재(35a, 35b)와 마찬가지로, 원기둥 롤러(38a, 38b)는 시트가 원기둥 롤러(38a, 38b)와 오목부(314) 사이에 존재할 경우, 낮은 강성을 갖는 시트의 측단을 변형하는 기능을 갖는다. 시트의 변형된 측단은 시트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장치는 스큐 보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반송된 시트가 높은 강성을 가질 경우, 시트는 원기둥 롤러(38a, 38b)를 밀고 그들을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와 유사한 스큐 보정을 행할 수 있다.
회전 구형 부재(35a, 35b)를 지지할 필요가 있는 구성과 비교해서, 원기둥 롤러(38a, 38b)의 회전 샤프트를 홈(슬릿)으로 지지하는 구성은 간단하다. 원기둥 롤러(38a, 38b)의 제조는 높은 정밀도를 요구하지 않는다. 따라서, 원기둥 롤러(38a, 38b)에 대한 제조 비용은 저렴하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도11에 도시한 스큐 보정 장치는 하부 가이드(313)의 시트 반송면(313a)으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하부 가이드 롤러(39)를 포함하고 하부 가이드(313)의 시트 반송면(313a) 상에 오목부(314)를 포함하지 않는다. 하부 가이드 롤러(39)는 시트 반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기술된 구성과 유사하다.
제3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하부 가이드 롤러(39)가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각각의 구형 부재(35: 35a, 35b)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위치된다. 바꿔 말하면, 한 쌍의 하부 가이드 롤러(39)가 하부 가이드(313)의 시트 반송면(313a) 상에 오목부를 실질적으로 형성한다. 하부 가이드 롤러(39) 및 구형 부재(35a, 35b)는 측면에서 봤을 때 엇갈린 형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구형 부재(35: 35a, 35b)에 의해 형성된 볼록 형상과, 한 쌍의 하부 가이드 롤러(39)에 의해 형성된 오목 형상은 시트의 측단을 물결 형상으로 변형시킨다.
따라서, 스큐 보정될 시트가 낮은 강성을 가질 경우, 기준면(311)은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시트의 위치를 조절하고 시트의 측단은 하부 가이드 롤러(39)와 구형 부재(35a, 35b) 사이에서 물결 형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장치는 시트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반송된 시트에 대해 스큐 보정을 행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에 있어서, 하부 가이드 롤러(39) 및 구형 부재(35a, 35b)는 반송된 시트가 그 사이를 통과할 때 시트 반송 방향으로 원할하게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는 시트에 대해 작용하는 마찰력을 경감할 수 있고, 스큐 보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의 일례이다. 도12에 도시된 스큐 보정 장치는 어떠한 물결 형상의 구성도 포함하지 않고 각각의 스큐 보정 롤러의 시트 반송 속도를 제어하여 기준 가이드 유닛(31)에서 시트의 측단을 물결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제1 실시예에 기술된 구성과 유사하다.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에 대한 구동원으로서의 구동 모터(M1, M2, M3)(도13 참조)는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를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된다. 반송된 시트를 검출할 수 있는 시트 검출 센서(330a ,330b, 330c)는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의 닙부 근방에 배치된다.
도13의 제어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C)는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를 각각 구동하는 구동 모터(M1, M2, M3)(구동원)에 연결된다. 컨트롤러(C)는 구동 모터(M1, M2, M3)에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컨트롤러(C)는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로 반송된 시트를 검출할 수 있는 시트 검출 센서(330a ,330b, 330c)로부터 각각 신호를 수신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해, 컨트롤러(C)는 시트가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의 닙부에 도달했을 때, 시트 검출 센서(330a ,330b, 330c)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시트를 검출할 수 있다. 컨트롤러(C)는 구동 모터(M1, M2, M3)가 이러한 센서에 의한 검출에 기초하여 회전을 개시하도록 순차적으로 제어한다. 따라서,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는 회전을 순차적으로 개시한다.
도14는 컨트롤러(C)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스텝S1에 있어서, 컨트롤러(C)는 스큐 보정 제어를 개시한다. 스텝S2에 있어서, 컨트롤러(C)는 시트가 시트 검출 센서(330a)에 의해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트가 시트 검출 센서(330a)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스텝S2에서 예), 처리는 스텝S3으로 진행한다.
스텝S3에 있어서, 컨트롤러(C)는 구동 모터(M1)가 회전을 개시하도록 한다. 시트는 구동 모터(M1)에 의해 구동되는 스큐 보정 롤러(32a)에 의해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스텝S4에 있어서, 컨트롤러(C)는 스큐 보정 롤러(32a)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가 시트 검출 센서(330b)에 의해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트가 시트 검출 센서(330b)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스텝S4에서 예), 처리는 스텝S5로 진행한다. 스텝S5에 있어서, 컨트롤러(C)는 구동 모터(M2)가 회전을 개시하도록 한다. 시트는 구동 모터(M2)에 의해 구동되는 스큐 보정 롤러(32b)에 의해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이 경우, 시트가 시트 검출 센서(330b)에 의해 검출되는 시간과 구동 모터(M2)가 시트를 반송하도록 회전을 개시하는 시간 사이에 시간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시트는 일시적으로 저속으로 반송되거나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스텝S6에 있어서, 컨트롤러(C)는 스큐 보정 롤러(32b)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가 시트 검출 센서(330c)에 의해 검출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트가 시트 검출 센서(330c)에 의해 검출되는 경우(스텝S6에서 예), 처리는 스텝S7로 진행한다. 스텝S7에 있어서, 컨트롤러(C)는 구동 모터(M3)가 회전을 개시하도록 한다. 시트는 구동 모터(M3)에 의해 구동되는 스큐 보정 롤러(32c)에 의해 연속적으로 반송된다. 이 경우, 시트 검출 센서(330c)가 시트를 검출하는 시간과 구동 모터(M3)가 시트를 반송하도록 회전을 개시하는 시간 사이에 시간차가 존재한다.
따라서, 시트는 일시적으로 저속으로 반송되거나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가 순차적으로 회전을 개시하면서, 시트는 비스듬히 반송되어 시트의 측단이 기준면(311)에 충돌됨에 따라 시트의 스큐량을 제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가 회전을 개시할 때 구동 시간의 손실이 존재한다. 따라서, 구동 모터가 회전을 개시하는 시간은 시트가 시트 검출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시간과 비교하여 지연된다. 따라서, 반송된 시트는 시트가 스큐 보정 롤러에 끼워졌을 때에는 저속으로 반송되고, 또는 시트가 스큐 보정 롤러에 의해 끼워지기 전에는 정지된다.
따라서, 낮은 강성을 갖는 시트는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 사이에서 감속되거나 일시적으로 정지되어 그 측단에서 물결 형상으로 변형된다. 물결 형상의 측단은 시트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시트가 낮은 강성을 갖는 경우에도, 장치는 시트의 기준면(311) 충돌시에 어떠한 구부러짐도 발생하지 않고 반송된 시트에 대해 스큐 보정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한편, 반송된 시트가 높은 강성(예를 들어, 두꺼운 시트)을 가질 경우, 시트는 어떠한 변형도 발생시키지 않고 롤러의 닙부에서 활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시트 검출 센서(330a ,330b, 330c)는 대응하는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의 상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센서가 시트를 검출하고 난 후의 소정의 시간을 측정하도록 구성된 타이머에 의해 측정한 것을 기초하여 각각의 스큐 보정 롤러는 회전을 개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경우, 센서에 의한 시트의 검출 후 시트가 스큐 보정 롤러까지 도달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비교하여, 스큐 보정 롤러가 회전을 개시하는 시간을 지연시킴으로써 장치는 반송된 시트를 변형할 수 있다. 상술된 동작을 순차 반복하는 것에 의해, 장치는 시트의 측단을 물결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시트의 측단을 물결 형상으로 변형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서, 하류측에 배치된 스큐 보정 롤러가 상류측에 배치된 스큐 보정 롤러보다 원주 속도가 느리도록 각각의 스큐 보정 롤러(32a ,32b, 32c)의 원주 속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스큐 보정 롤러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장치는 시트의 측단을 물결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장치는 스큐 보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치는 각각의 스큐 보정 롤러의 회전 속도 제어만으로 물결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롤러를 사용한 장치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종이 걸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15는 기준 가이드 유닛(31)의 기준면(311)이 부분적으로 절결되었지만, 시트 반송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종이의 측단을 변형하도록 구성된 절곡 유닛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16은 경사 상방으로부터 바라본 스큐 보정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7은 도16에 도시한 스큐 보정 장치의 확대된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16 및 도17에 있어서, 기준면(311)은 시트의 상태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제거된다.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기준 가이드 유닛(31)은 도23a 및 도23b를 참조하여 기술된 것과 유사하게 U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기준 가이드 유닛(31)은 내벽을 형성하는 기준면(311)(도15에서 일부 도시), 상부 가이드(312) 및 하부 가이드(313)(즉, 한 쌍의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데, 이들은 U 형상의 시트 가이드면을 형성한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된 시트를 안내하기 위해, 상부 가이드(312)의 하부면 및 하부 가이드(313)의 상부면에 각각 가요성의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 313a)가 제공된다. 가요성의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 313a)는 상부 가이드(312) 및 하부 가이드(313)의 가이드면과 동등하게 낮은 마찰 계수를 갖는 신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된다. 상부 가이드(312) 및 하부 가이드(313)는 상부 가이드(312) 및 하부 가이드(313) 사이의 틈으로 삽입되는 시트를 안내할 수 있는 경사 가이드(312b, 313b)로 구성된 말단부(개방단)를 갖는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 가이드(312b, 313b) 측에 위치된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 313a)의 단부는 각각 경사 가이드(312b, 313b)의 정상부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상부 가이드(312) 및 하부 가이드(313)는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돌출 부재(320)를 포함한다. 각각의 돌출 부재(320)는 가이드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돌출 부재(320)가 상부 가이드(312) 상에 존재하고, 3개의 돌출 부재(320)가 하부 가이드(313) 상에 존재한다. 도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 부재(320)는 상부 가이드(312) 및 하부 가이드(313)의 각각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돌출 부재(320)는 상부 가이드(312) 및 하부 가이드(313) 상에 교번식으로 배치된다.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가 볼록 형상으로 변형되는 위치는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3a)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되는 위치와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대향된다.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되는 위치는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3a)가 볼록 형상으로 변형되는 위치와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대향된다.
돌출 부재(320)의 반송 방향의 간격은 약 40㎜로 설정된다. 액추에이터(도시 생략)는 각각의 돌출 부재(320)를 구동할 수 있다. 돌출 부재(320)는 소정량 만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두꺼운 종이를 반송하는 동작에 있어서(이하, "두꺼운 종이 통과 동작"으로 언급됨), 장치는 돌출 부재(320)의 돌출량을 상부 가이드(312)의 하부면으로부터 0㎜가 되도록 설정한다. 또한, 장치는 돌출 부재(320)의 돌출량을 하부 가이드(313)의 상부면으로부터 0㎜가 되도록 설정한다. 바꿔 말하면, 장치는 상부 가이드(312) 및 하부 가이드(313)의 가이드면과 동일한 높이에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 313a)의 돌출 단부를 위치시킨다.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 313a)는 이 경우 편평하다.
상부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는, 하부 가이드(313) 상에 대응 돌출 부재(320)가 제공되는 위치에서 상부 가이드(312)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하부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3a)는, 상부 가이드(312) 상에 대응 돌출 부재(320) 제공되는 위치에서 하부 가이드(313)에 고정된다.
도15, 도18a 및 도18b는 시트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기준 가이드 유닛(31)의 정면도이다. 도18a는 두꺼운 종이 통과 동작에 있어서 기준 가이드 유닛(31)의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15 및 도18b는 얇은 종이가 반송된 경우(이하, "얇은 종이 통과 동작"으로 언급됨)의 기준 가이드 유닛(31)의 상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1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큐 보정이 보통지 또는 두꺼운 종이와 같이 높은 강도 또는 강성을 갖고 구부러짐에 대해 강한 시트에 대해 행해질 경우, 돌출 부재(320)는 가이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는다. 따라서, 장치는 똑바른 상태로 시트를 반송함으로써 반송 저항을 줄이고 반송 불량을 억제할 수 있다.
도15 및 도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장치가 낮은 강도 또는 강성을 갖는 시트에 대해 스큐 보정을 행할 경우, 돌출 부재(320)의 돌출량을 상부 가이드(312) 및 하부 가이드(313)의 가이드면으로부터 대략 3㎜가 되도록 설정한다. 사용자는 돌출량을 변경할 수 있다.
돌출 부재(320)가 상부 가이드(312) 및 하부 가이드(313)의 가이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경우,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 313a)는 도15 및 도1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결 형상을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낮은 강성 또는 강도를 갖는 시트가 가이드 부재(312a, 313a) 사이의 틈을 통해 통과할 경우,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 313a)에 대응하는 물결 형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장치는 시트의 강성을 향상시킨 상태에서, 시트를 반송할 수 있다.
도1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 유닛의 일례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컨트롤러(500)는 CPU(중앙 처리 장치; 501),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는 ROM(판독 전용 기억 장치; 503),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RAM(임의 접근 기억 장치: 502) 및 통신 인터페이스로서 동작 가능한 I/O 인터페이스(504)를 포함한다. 컨트롤러(500)는 조작 유닛(112)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시트(S)의 종이 두께 정보를 수신하거나, 아날로그/디지털(AD) 변환 유닛(505)을 통해 종이 두께 검출 센서(111)로부터의 검출 신호[즉, 시트(S)의 두께를 인지하는 신호]를 수신한다. 컨트롤러(500)는 수용된 종이 두께 정보에 기초하여 돌출 부재(320)를 구동하도록 드라이버(506)를 통해 솔레노이드(106)를 구동시킨다.
예를 들어, 시트(S)가 두꺼운 종이일 경우, 컨트롤러(500)는 솔레노이드(106)를 비활성화시킨다. 이 경우,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 및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3a)는 상부 가이드(312) 및 하부 가이드(313)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돌출하지 않는 편평한 가이드면이다. 시트(S)가 얇은 종이일 경우, 컨트롤러(500)는 솔레노이드(106)를 구동시켜,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 313a)가 물결 형상의 가이드면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세히 기술하지 않았지만, 컨트롤러(500)는 화상 형성 장치에 대한 다른 제어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도20은 돌출 부재(320)를 구동하도록 컨트롤러(500)에 의해 행해진 동작의 일례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스텝S11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조작 유닛(112)을 통해 입력된 시트 정보[예를 들어, 시트(S)의 종이 두께 및 종이 사이즈]에 따라, 컨트롤러(500)는 인쇄를 위한 소정의 처리를 개시한다. 스텝S12에 있어서, 컨트롤러(500)는 반송 유닛(20)에 제공된 종이 두께 검출 센서(111)가 시트(S)의 두께를 검출하게 한다.
스텝S13에 있어서, 컨트롤러(500)는 종이 두께 검출 센서(111)로부터의 출력값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종이 두께 정도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종이 두께 검출 센서(111)로부터의 출력값이 종이 두께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스텝S13에서 예), 처리는 스텝S14로 진행한다.
스텝S14에 있어서, 컨트롤러(500)는 시트(S)가 두꺼운 종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시트(S)가 두꺼운 종이일 경우(스텝S14에서 예), 처리는 스텝S15로 진행한다.
스텝S15에 있어서, 컨트롤러(500)는 솔레노이드(106)를 OFF로 해서 편평한 가이드면을 형성한다. 그 후, 컨트롤러(500)는 화상 형성 장치가 인쇄 동작을 개시하도록 한다. 시트(S)가 얇은 종이일 경우(스텝S14에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S16으로 진행한다. 스텝S16에 있어서, 컨트롤러(500)는 솔레노이드(106)를 ON으로 해서 물결 형상의 가이드면을 형성한다.
종이 두께 검출 센서(111)로부터의 출력값이 조작 유닛(112)을 통해 입력된 종이 두께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스텝S13에서 아니오), 처리는 스텝S17로 진행한다. 스텝S17에 있어서, 컨트롤러(500)는 조작 유닛(112)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시트 정보와 종이 두께 검출 센서(111)로부터의 출력값 사이의 비교 결과로서 일치하지 않다는 취지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표시(또는 메시지)를 나타내도록 한다.
스텝S18에 있어서, 컨트롤러(500)는 강제 인쇄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는 사용자가 종이 두께 정보를 변경하거나 어떠한 정보 변경 없이 인쇄 처리 실행을 지시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사용되는 기계의 상태 또는 시트의 습도 정도를 고려하여, 시트가 두꺼운 종이일 경우라도 물결 형상의 가이드면을 형성함으로써 시트 스큐 보정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강제 인쇄를 지시한다.
도21a 및 도21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스큐 보정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2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 및 하부 가이드 부재로서의 상부 가이드(312) 및 하부 가이드(313)는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가이드판으로 분할되고, 그 사이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상부 가이드(312)의 분할 위치는 하부 가이드(313)의 분할 위치로부터 오프셋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부 가이드판의 중앙은 하부 가이드판 사이의 간극을 대면한다.
액추에이터(도시 생략)는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배열된 가이드판 사이의 틈을 변경한다.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 313a)는 가이드판에 고정된 부분을 갖는다.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를 물결 형상으로 변형하기 위해, 액추에이터(도시 생략)는 시트 반송 방향으로 상부 가이드(312)의 가이드판을 이동시켜 가이드판 사이의 틈을 감소시킨다. 마찬가지로,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3a)를 물결 형상으로 변형하기 위해, 액추에이터(도시 생략)는 시트 반송 방향으로 하부 가이드(313)의 가이드판을 이동시켜 가이드판 사이의 틈을 감소시킨다.
상부 가이드(312)의 가이드판의 이동에 따라,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는 상부 가이드(312)의 가이드판의 각각에 부분적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물결 형상으로 변형한다(도21b 참조). 하부 가이드(313)에 제공된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3a)는 상부 가이드(312)에 제공된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는다. 하부 가이드(313)의 분할 위치는 각각 상부 가이드(312)의 가이드판의 중간점 부근이다.
따라서, 도2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가 볼록 형상으로 변형하는 위치는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3a)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는 위치와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대향된다. 또한,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는 위치는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3a)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는 위치와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대향된다. 이런 방식으로, 하부 가이드(313) 상의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3a)와, 상부 가이드(312) 상의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312a)는 변형하고, 이에 따라 그 사이에 일정한 틈을 갖는 물결 형상의 시트 경로를 형성한다. 따라서, 제6 실시예는 제5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용례는 상술한 전자 사진 방식 화상 형성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또 다른(예를 들어, 잉크젯 방식 또는 열전사 방식)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으나, 개시된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후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례, 등가 구조물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폭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전체 내용이 본원에서 참조로 통합된, 2007년 12월 19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7-327405호 및 2008년 6월 25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8-166088호로부터 우선권을 주장한다.
1: 화상 형성 장치
10: 시트 급송 장치
12: 시트 공급 유닛
20: 반송 유닛
30: 레지스트레이션 유닛
31: 기준 가이드 유닛
32: 스큐 보정 롤러
34: 가압 롤러
40: 중간 전사 벨트
90: 화상 형성 기구
91: 감광 드럼
92: 현상 유닛
93: 노광 장치
94: 반사 유닛
95: 감광 드럼 클리너

Claims (13)

  1.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고, 반송된 시트의 측단의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기준면과,
    상기 기준면에 상기 시트의 측단이 충돌하도록 상기 시트를 비스듬히 반송하도록 구성되는 스큐 반송 기구와,
    상기 스큐 반송 기구에 의해 상기 시트가 상기 기준면을 향해 반송되어 상기 기준면에 충돌될 때, 상기 시트의 측단을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물결 형상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변형 유닛을 포함하는 시트 반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면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스큐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의 측단을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유닛은 반송되는 시트의 하나의 면에 대향하는 시트 반송면을 갖는 제1 가이드와, 반송되는 시트의 다른 하나의 면에 대향하는 시트 반송면을 갖는 제2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변형 유닛은,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1 가이드의 시트 반송면에 제공되는 오목부 또는 볼록부와,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가이드의 시트 반송면에 제공되는 볼록부 또는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는 상기 제1 가이드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에 대향되는 시트 반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변형 유닛은, 상기 제1 가이드 또는 상기 제2 가이드의 시트 반송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고 돌출된 상태에서 탄성 부재에 의해 압박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시트 반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또는 상기 제2 가이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구형 부재를 포함하는 시트 반송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 가이드 또는 상기 제2 가이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보유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원기둥 롤러를 포함하는 시트 반송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변형 유닛은 돌출부가 배치된 시트 반송면과 대향하는 시트 반송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회전 가능한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는 상기 시트 반송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시트 반송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돌출부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 배치되는 시트 반송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큐 반송 기구는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스큐 반송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 변형 유닛은 상기 복수의 스큐 반송 기구가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상류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회전을 개시하여 시트를 반송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트가 각각의 스큐 반송 기구에 도달하는 시간과 스큐 반송 기구가 회전을 개시하는 시간 사이에 시간 차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시트의 측단을 변형시키도록 구성되는 시트 반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큐 반송 기구의 각각에 제공되어 반송된 시트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 변형 유닛은 상기 검출 센서의 검출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스큐 반송 기구의 각각의 회전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반송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변형 유닛은,
    상기 스큐 반송 기구에 의해 반송된 시트의 측단을 상기 기준면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에 제공되고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요성의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와,
    상기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를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물결 형상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되는 절곡 유닛을 포함하는 시트 반송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 유닛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에 제공되고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돌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 부재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의 가이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시트 반송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분할 가이드 세그먼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세그먼트를 연결 또는 분리하도록 액추에이터가 제공되고,
    상기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는 각각의 가이드 세그먼트에 부분적으로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 세그먼트가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연결 또는 분리되는 경우 변형되는 시트 반송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하나의 가이드 부재 상의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가 볼록 형상으로 변형하는 위치는 다른 하나의 가이드 부재 상의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는 위치와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대향되고,
    하나의 가이드 부재 상의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가 오목 형상으로 변형하는 위치는 다른 하나의 가이드 부재 상의 시트 형상 가이드 부재가 볼록 형상으로 변형하는 위치와 시트 반송 방향을 따라 대향되는 시트 반송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트 반송 장치와,
    상기 시트 반송 장치에 의해 반송된 시트 상에 화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10075610A 2007-12-19 2011-07-29 시트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KR1011620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327405A JP5219492B2 (ja) 2007-12-19 2007-12-19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JP-P-2007-327405 2007-12-19
JPJP-P-2008-166088 2008-06-25
JP2008166088A JP5197181B2 (ja) 2008-06-25 2008-06-25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333A Division KR101086558B1 (ko) 2007-12-19 2008-12-18 시트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765A Division KR101162026B1 (ko) 2007-12-19 2012-02-06 시트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1632A true KR20110091632A (ko) 2011-08-12
KR101162011B1 KR101162011B1 (ko) 2012-07-04

Family

ID=4046460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333A KR101086558B1 (ko) 2007-12-19 2008-12-18 시트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0110075610A KR101162011B1 (ko) 2007-12-19 2011-07-29 시트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0120011765A KR101162026B1 (ko) 2007-12-19 2012-02-06 시트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9333A KR101086558B1 (ko) 2007-12-19 2008-12-18 시트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1765A KR101162026B1 (ko) 2007-12-19 2012-02-06 시트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7900914B2 (ko)
EP (1) EP2072434A3 (ko)
KR (3) KR101086558B1 (ko)
RU (1) RU240769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75518B2 (en) * 2007-08-30 2010-08-17 Kabushiki Kaisha Toshiba Sheet carrying device and sheet carrying method
EP2072434A3 (en) * 2007-12-19 2012-05-0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an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404209B2 (ja) * 2009-06-29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107649A (ja) * 2009-11-20 2011-06-0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5637700B2 (ja) * 2010-02-26 2014-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記録装置
JP5370336B2 (ja) * 2010-10-29 2013-12-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338785B2 (ja) 2010-10-29 2013-11-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RU2482046C2 (ru) 2011-04-08 2013-05-20 Гизеке Унд Девриент Гмбх Саморегулируемое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листов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5963419B2 (ja) * 2011-11-07 2016-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8915497B2 (en) * 2013-01-04 2014-12-23 Tamarack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eet and carton blank aligning using caster effect
CN103236120B (zh) * 2013-04-23 2015-05-13 广州广电运通金融电子股份有限公司 自动柜员机及其偏斜校正装置
WO2015016810A1 (en) 2013-07-29 2015-02-0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dia output guide assembly
US9475321B2 (en) 2014-07-31 2016-10-2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US9498993B2 (en) * 2014-07-31 2016-11-2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storing program
JP6582544B2 (ja) * 2015-05-19 2019-10-0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媒体処理装置及び媒体取引装置
JP6724595B2 (ja) * 2016-06-23 2020-07-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10530950B2 (en) * 2017-02-22 2020-01-07 Ricoh Company, Ltd. Sheet conveying device,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and post processing device incorporating the sheet conveying device
JP2021039228A (ja) * 2019-09-03 2021-03-11 ヒューレット−パッカード デベロップメント カンパニー エル.ピー.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たわみの計測を伴う画像形成システム
JP2022076365A (ja) * 2020-11-09 2022-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06531A (en) * 1968-01-12 1970-09-23 Int Computer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ocument feeding apparatus
GB2059398B (en) * 1979-04-20 1983-09-14 Canon Kk Text orientating device
US4487407A (en) * 1979-10-03 1984-12-11 Xerox Corporation Trail edge copy registration system
JPS5847735A (ja) 1981-09-17 1983-03-19 Canon Inc シ−ト給送装置
JPS5852124A (ja) * 1981-09-18 1983-03-28 Canon Inc シ−ト給送装置
JPS5953346A (ja) 1982-09-16 1984-03-28 Ricoh Co Ltd 用紙方向変換装置
DE3525040C2 (de) * 1985-07-13 1994-05-11 Bell & Howell Co Einrichtung zur Umlenkung der Förderrichtung von Papierblättern
GB2208851B (en) * 1987-08-19 1991-11-20 Xerox Corp Sheet feeder apparatus
US4809968A (en) * 1988-03-21 1989-03-07 Xerox Corporation Side registration with subtle transverse corrugation
JPH0367853A (ja) 1989-07-31 1991-03-22 Canon Inc シート材搬送装置
US5280901A (en) * 1993-03-24 1994-01-25 Xerox Corporation Sheet variable corrugating and feeding nip
JPH08175704A (ja) 1994-12-26 1996-07-09 Hitachi Koki Co Ltd 用紙幅寄せ装置
US5657983A (en) * 1996-01-11 1997-08-19 Xerox Corporation Wear resistant registration edge guide
JP3361979B2 (ja) 1996-12-09 2003-01-07 ローレルバンクマシン株式会社 紙幣処理機の紙幣整列装置
US6164643A (en) * 1997-09-02 2000-12-26 Kyocera Mita Corporation Lateral paper position correcting mechanism
JP3769913B2 (ja) * 1997-12-26 2006-04-2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整合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0034040A (ja) 1998-07-21 2000-02-02 Horizon International Kk 用紙搬送装置
US6168153B1 (en) * 1999-05-17 2001-01-02 Xerox Corporation Printer sheet deskewing system with automatically variable numbers of upstream feeding NIP engagements for different sheet sizes
US6241242B1 (en) * 1999-10-12 2001-06-05 Hewlett-Packard Company Deskew of print media
JP3882533B2 (ja) 2001-05-31 2007-02-21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用紙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962701B2 (ja) * 2003-03-31 2007-08-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035514B2 (ja) * 2004-04-28 2008-01-23 キヤノン株式会社 斜行補正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給送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読取装置
JP4708900B2 (ja) * 2005-07-28 2011-06-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717676B2 (ja) * 2006-03-27 2011-07-06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314324A (ja) * 2006-05-26 2007-12-06 Canon Inc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072434A3 (en) * 2007-12-19 2012-05-09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conveyan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404209B2 (ja) * 2009-06-29 2014-01-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900914B2 (en) 2011-03-08
US8205879B2 (en) 2012-06-26
RU2407693C2 (ru) 2010-12-27
US20090160125A1 (en) 2009-06-25
EP2072434A3 (en) 2012-05-09
RU2008150322A (ru) 2010-06-27
EP2072434A2 (en) 2009-06-24
KR20090067079A (ko) 2009-06-24
KR101086558B1 (ko) 2011-11-23
US20110115150A1 (en) 2011-05-19
KR20120030494A (ko) 2012-03-28
KR101162011B1 (ko) 2012-07-04
US8585049B2 (en) 2013-11-19
US20120256368A1 (en) 2012-10-11
KR101162026B1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026B1 (ko) 시트 반송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US7658379B2 (en) Sheet conveyance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P1860046B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reading apparatus
US7798491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219492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2845824B1 (en) Sheet convey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EP2441716B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839807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643292B2 (en) Sheet feeding device
JP5506416B2 (ja) 画像形成装置
US9193549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8184259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並びに画像読取装置
US2022022939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7581729B2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20220388801A1 (en) Sheet convey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97181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9206410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