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203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203A
KR20110087203A KR1020100123470A KR20100123470A KR20110087203A KR 20110087203 A KR20110087203 A KR 20110087203A KR 1020100123470 A KR1020100123470 A KR 1020100123470A KR 20100123470 A KR20100123470 A KR 20100123470A KR 20110087203 A KR20110087203 A KR 20110087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spring
engaging portion
insertion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23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75571B1 (ko
Inventor
마사키 야마시타
노부카즈 가토
Original Assignee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87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4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eparate resilient locking means on contact member, e.g. retainer collar or ring around contac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과제) 컨택트와 하우징 사이에서 덜컥거림을 발생시키지 않고 하우징에 대한 컨택트의 장착을 달성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컨택트 (110) 와, 컨택트 (110) 를 일측면측으로부터 삽입시켜 컨택트 수용부 (180) 내에 수용하고 유지하는 하우징 (170) 을 구비하고, 컨택트 (110) 는, 컨택트 결선부 (120) 와, 하우징 걸어맞춤부 (181a) 에 걸어 맞춰지는 컨택트 걸어맞춤부 (130) 와, 하우징 걸림부 (183) 에 의해 걸려 고정되는 컨택트 걸림부 (150) 와, 컨택트 스프링부 (140) 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 (100).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접속 대상물을 전기적으로 또한 상호 접속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에 전기 케이블 (E) 을 유지한 박스 타입의 컨택트 (510) 와, 이 컨택트 (510) 를 수용하는 복수의 컨택트 수용구멍 (580) 과 그 컨택트 수용구멍 (580) 안으로 돌출되고 컨택트 (510) 의 상방에서 컨택트 (510) 를 걸어 고정시키는 탄성 랜스 (571) 를 갖는 인슐레이터 (570) 를 구비한 커넥터 (500) 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35799호 (특허문헌 1) 참조 (특허 청구의 범위, 도 5 및 도 6)).
그런데, 종래의 커넥터 (500) 에서는,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수용구멍 (580) 에 연속하여 통하는 개구부 (584) 로부터 컨택트 (510) 를 삽입하고, 컨택트 (510) 에 형성된 걸림부 (511) 를 인슐레이터 (570) 에 형성된 탄성 랜스 (571) 에 걸어서 고정시키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걸림부 (511) 를 탄성 랜스 (571) 에 원활하게 걸어 맞추기 위해서 컨택트 (510) 와 인슐레이터 (570) 사이에 일정량의 클리어런스를 필요로 하고, 이 클리어런스에서 기인하여, 컨택트 (510) 는 인슐레이터 (570) 에 대하여 덜컥거림을 일으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컨택트와 하우징 사이에서 덜컥거림을 발생시키지 않고 하우징에 대한 컨택트의 장착을 달성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컨택트 수용부를 내부에 갖는 하우징과, 상기 컨택트 수용부의 내부에 일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수용되는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컨택트에 걸어 맞춰지는 하우징 걸어맞춤부와, 그 하우징 걸어맞춤부의 컨택트 삽입 방향 전방측에 형성되어 상기 컨택트를 걸어 고정시키는 하우징 걸림부를 갖고, 상기 컨택트는, 외부에 접속되는 컨택트 결선부와, 그 컨택트 결선부의 컨택트 삽입 방향 전방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걸어맞춤부에 걸어 맞춰지는 컨택트 걸어맞춤부와, 그 컨택트 걸어맞춤부의 컨택트 삽입 방향 전방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걸림부에 의해 걸려 고정되는 컨택트 걸림부와, 상기 컨택트 걸어맞춤부와 컨택트 걸림부 사이에 형성되는 컨택트 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있음으로써, 전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에 대한 컨택트의 장착시에, 하우징 걸어맞춤부에 걸어 맞춰지는 컨택트 걸어맞춤부와 하우징 걸림부에 의해 걸려 고정되는 컨택트 걸림부 사이에서 컨택트 스프링부가 탄성력을 발휘하여, 컨택트와 하우징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배제하기 때문에, 덜컥거림을 발생시키지 않고 컨택트를 하우징에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반대 방향에서 본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3 은 전기 커넥터와 상대측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전체 사시도이다.
도 4 는 전기 커넥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하우징에 컨택트를 장착할 때에 있어서의 제 1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 은 하우징에 컨택트를 장착할 때에 있어서의 제 2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 은 하우징에 컨택트를 장착할 때에 있어서의 제 3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 은 하우징에 컨택트를 장착할 때에 있어서의 제 4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 는 종래의 커넥터의 일부를 단면(斷面)으로 보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 은 탄성 랜스와 컨택트의 걸어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확대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기 커넥터 (100) 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기 커넥터 (100)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 (E) 의 도선 (E1) 에 접속되는 복수의 컨택트 (110) 와, 복수의 컨택트 (110) 를 일측면측으로부터 삽입시켜 그 내부에 형성된 컨택트 수용부 (180) 내에 소정 피치로 병렬 형상으로 수용하는 단일 부재의 하우징 (170) 을 구비하고 있다.
컨택트 (110) 는 인청동으로 성형되고, 하우징 (170) 은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전기 커넥터 (100)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대측 전기 커넥터 (O) 에 접속되고, 하우징 (170) 에 형성되어 상대측 하우징 (H) 에 걸리는 로크용 클립편 (190) 에 의해 상대측 전기 커넥터 (O) 에 고정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부호 C 는, 컨택트 (110) 에 접속되는 상대측 컨택트이다.
컨택트 (11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판 형상으로, 컨택트 결선부 (120) 와, 이 컨택트 결선부 (120) 의 컨택트 삽입 방향 (D1) 의 전방측에 형성된 컨택트 걸어맞춤부 (130) 와, 이 컨택트 걸어맞춤부 (130) 의 컨택트 삽입 방향 (D1) 의 전방측에 형성된 컨택트 스프링부 (140) 와, 이 컨택트 스프링부 (140) 의 컨택트 삽입 방향 (D1) 의 전방측에 형성된 컨택트 걸림부 (150) 와, 컨택트 스프링부 (140) 와 컨택트 걸림부 (150) 사이에 형성된 컨택트 내접부 (160) 를 구비하고 있다.
컨택트 결선부 (12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케이블 (E) 의 도선 (E1) 에 접속되고, 컨택트 수용부 (180) 의 제 1 내측면 (181) 에 내접하고 있다.
컨택트 걸어맞춤부 (13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수용부 (180) 의 제 1 내측면 (181) 에 단차 형상으로 형성된 하우징 걸어맞춤부 (181a) 에 걸어 맞춰져 있다.
이 컨택트 걸어맞춤부 (13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완만한 R(round)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하우징 걸어맞춤부 (181a)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삽입 방향 (D1) 의 전방을 향하여 컨택트 수용부 (180) 의 내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컨택트 스프링부 (14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띠판 형상의 컨택트 (110) 를 컨택트 두께 방향 (D2) 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되고, 후술하는 스프링 맞닿음부 (141) 를 정점으로 하는 산형 (山形) 의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컨택트 스프링부 (14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수용부 (180) 의 제 1 내측면 (181) 에 대향하는 제 2 내측면 (182) 에 맞닿는 스프링 맞닿음부 (141) 를 갖고 있다.
이 스프링 맞닿음부 (141) 는 완만한 R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제 2 내측면 (182) 은,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 맞닿음부 (141) 에 맞닿는 영역에, 컨택트 삽입 방향 (D1) 의 전방을 향하여 컨택트 수용부 (180) 의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위치 결정 경사면 (182a) 을 갖고 있다.
컨택트 걸림부 (15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110) 의 선단을 하우징 (170) 의 외측을 향하여 구부림으로써 형성된 U 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 컨택트 걸림부 (15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70) 의 제 1 내측면 (181) 측 단부에 형성된 하우징 걸림부 (183) 에 걸려 있다.
컨택트 내접부 (160) 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수용부 (180) 의 제 1 내측면 (181) 에 내접하고 있다.
하우징 (170)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수용부 (180) 의 제 1 내측면 (181) 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컨택트 (110) 를 컨택트 폭방향 (D3) 으로 위치 결정시키는 위치 결정 홈부 (181b) 를 갖고 있다.
이하에, 하우징 (170) 에 대한 컨택트 (110) 의 장착 방법, 및 이 컨택트 (110) 의 장착시에 있어서의 컨택트 (110) 의 작용에 관해서, 도 5 내지 도 8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전기 케이블 (E) 의 도선 (E1) 을 컨택트 결선부 (120) 에, 납땜 등의 수단을 사용해서 접속한다.
또한, 도선 (E1) 과 컨택트 결선부 (120) 의 접속 수단은, 압착, 레이저 접착 등의 어떠한 수단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컨택트 수용부 (180) 의 컨택트 삽입 방향 (D1) 의 후방에 형성된 삽입 개구부 (184) 로부터 컨택트 (110) 를 컨택트 삽입 방향 (D1) 의 전방을 향하여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컨택트 (110) 를 컨택트 삽입 방향 (D1) 의 전방을 향하여 좀더 삽입한다.
이 때, 컨택트 걸림부 (150) 가 제 1 내측면 (181) 에 의해 컨택트 수용부 (180) 의 내측을 향하여 밀어 올려지고, 컨택트 스프링부 (140) 는 탄성 변형된다.
다음으로,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컨택트 (110) 를 컨택트 삽입 방향 (D1) 의 전방을 향하여 좀더 삽입한다.
이 때, 스프링 맞닿음부 (141) 가 위치 결정 경사면 (182a) 에 맞닿고, 컨택트 스프링부 (140) 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택트 삽입 방향 (D1) 의 전후 방향으로 퍼지는, 즉, 컨택트 두께 방향 (D2) 으로 찌부러 뜨려지도록 탄성 변형된다.
다음으로,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작업자는, 컨택트 (110) 를 컨택트 삽입 방향 (D1) 의 전방을 향하여 좀더 삽입한다.
이 때,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컨택트 수용부 (180) 의 내측을 향하여 밀어 올려져 있는 컨택트 걸림부 (150) 는, 제 1 내측면 (181) 에 의한 지지를 상실하여 컨택트 스프링부 (140) 가 탄성 복귀되기 때문에, 컨택트 걸림부 (150) 는, 하우징 걸림부 (183) 에 자동적으로 걸려진다.
그리고, 도 7 에 나타내는 상태에서는 컨택트 삽입 방향 (D1) 으로 퍼지도록 탄성 변형되어 있던 컨택트 스프링부 (140) 는, 컨택트 걸어맞춤부 (130) 와 컨택트 걸림부 (150) 에 의해 하우징 걸어맞춤부 (181a) 와 하우징 걸림부 (183) 를 사이에 끼우도록 탄성 복귀한다.
또한, 컨택트 (110) 는, 하우징 (170) 에 대한 컨택트 (110) 의 장착 완료 후에 있어서도, 컨택트 걸어맞춤부 (130) 와 컨택트 걸림부 (150) 에 의해 하우징 걸어맞춤부 (181a) 와 하우징 걸림부 (183) 를 사이에 끼우게끔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치수 설계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컨택트 (110) 의 장착 완료 후에는, 컨택트 스프링부 (140) 가 조금도 탄성력을 발휘하지 않도록 치수 설계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본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 (100) 는, 컨택트 (110) 가, 외부에 접속되는 컨택트 결선부 (120) 와, 하우징 걸어맞춤부 (181a) 에 걸어 맞춰지는 컨택트 걸어맞춤부 (130) 와, 컨택트 스프링부 (140) 와, 하우징 걸림부 (183) 에 의해 걸려 고정되는 컨택트 걸림부 (150) 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하우징 (170) 에 대한 컨택트 (110) 의 장착시에, 하우징 걸어맞춤부 (181a) 에 걸어 맞춰지는 컨택트 걸어맞춤부 (130) 와 하우징 걸림부 (183) 에 의해 걸려 고정되는 컨택트 걸림부 (150) 사이에서, 컨택트 스프링부 (140) 가 탄성력을 발휘하여, 컨택트 (110) 와 하우징 (170) 사이를 확실하게 고정 유지시키기 때문에, 컨택트 (110) 와 하우징 (170) 사이의 덜컥거림, 즉, 컨택트 수용부 (180) 내에서 컨택트 (110) 가 움직일 여지를 만들지 않고 컨택트 (110) 를 하우징 (170) 에 확실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 (100) 에서는, 하우징 (170) 의 삽입 개구부 (184) 로부터 컨택트 (110) 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컨택트 스프링부 (140) 가 탄성력을 발휘하여, 컨택트 걸림부 (150) 가 하우징 걸림부 (183) 에 자동적으로 걸림과 함께, 컨택트 걸어맞춤부 (130) 가 하우징 걸어맞춤부 (181a) 에 자동적으로 걸어 맞춰지기 때문에, 하우징 (170) 에 대한 컨택트 (110) 의 장착을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어, 컨택트 (110) 의 장착에 관련된 작업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컨택트 스프링부 (140) 는, 제 2 내측면 (182) 에 맞닿는 스프링 맞닿음부 (141) 를 갖고 있다.
따라서, 컨택트 (110) 의 컨택트 두께 방향 (D2) 에 대한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컨택트 (110) 와 하우징 (170) 사이의 덜컥거림을 보다 확실하게 배제할 수 있다.
스프링 맞닿음부 (141) 는 완만한 R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컨택트 (110) 의 장착시에, 스프링 맞닿음부 (141) 와 제 2 내측면 (182) 이 스무스하게 접촉하기 때문에, 컨택트 수용부 (180) 내에 컨택트 (110) 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제 2 내측면 (182) 은, 스프링 맞닿음부 (141) 에 맞닿는 영역에, 컨택트 삽입 방향 (D1) 의 전방을 향하여 컨택트 수용부 (180) 의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위치 결정 경사면 (182a) 을 갖고 있다.
따라서, 스프링 맞닿음부 (141) 와 위치 결정 경사면 (182a) 이 맞닿음으로써, 컨택트 (110) 의 컨택트 삽입 방향 (D1) 의 전방을 향한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컨택트 (110) 를 컨택트 삽입 방향 (D1) 으로 위치 결정시킬 수 있다.
컨택트 걸림부 (150) 는, 컨택트 (110) 의 선단을 구부려 하우징 걸림부 (183) 에 걸리는 U 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컨택트 걸림부 (150) 가 하우징 걸림부 (183) 에 의해 강고하게 걸려 고정되기 때문에, 컨택트 (110) 의 컨택트 폭방향 (D3) 의 치수를 작게 설정한 경우라도 충분한 걸림력을 얻을 수 있어, 전기 커넥터 (100) 전체의 컨택트 폭방향 (D3) 에 있어서의 치수를 조밀하게 설계할 수 있다.
그리고, 컨택트 (110) 의 장착시에, 컨택트 걸림부 (150) 가 하우징 걸림부 (183) 에 걸릴 때에 발생하는 클릭감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컨택트 (110) 의 장착 완료를 알아차릴 수 있기 때문에, 컨택트 (110) 의 장착 작업을 용이하게 달성하고, 작업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하우징 걸어맞춤부 (181a) 는, 컨택트 삽입 방향 (D1) 의 전방을 향하여 컨택트 수용부 (180) 의 내측으로 기울어져 있다.
따라서, 컨택트 (110) 의 장착시에, 컨택트 걸림부 (150) 가 하우징 걸어맞춤부 (181a) 에 간섭하는 것을 회피하기 때문에, 컨택트 수용부 (180) 내에 컨택트 (110) 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컨택트 걸어맞춤부 (130) 는 완만한 R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따라서, 컨택트 (110) 의 장착시에, 컨택트 걸어맞춤부 (130) 와 하우징 걸어맞춤부 (181a) 가 과도하게 간섭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컨택트 수용부 (180) 내에 컨택트 (110) 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컨택트 (110) 는, 컨택트 내접부 (160) 를 갖고 있다.
따라서, 컨택트 (110) 와 하우징 (170) 이 접촉하기 때문에, 컨택트 (110) 와 하우징 (170) 사이의 덜컥거림의 발생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컨택트 결선부 (120) 는, 컨택트 수용부 (180) 의 제 1 내측면 (181) 에 내접하고 있다.
따라서, 컨택트 (110) 와 하우징 (170) 이 접촉하기 때문에, 컨택트 (110) 와 하우징 (170) 사이의 덜컥거림의 발생을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 (170) 은, 컨택트 (110) 용의 위치 결정 홈부 (181b) 를 갖고 있다.
따라서, 컨택트 (110) 의 장착시에, 위치 결정 홈부 (181b) 가 컨택트 (110) 를 컨택트 삽입 방향 (D1) 으로 가이드하여, 컨택트 수용부 (180) 내에 컨택트 (110) 를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고, 컨택트 (110) 가 장착된 후에 있어서도, 병렬 배치된 복수의 컨택트 (110) 의 상호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100 … 전기 커넥터
110 … 컨택트
120 … 컨택트 결선부
130 … 컨택트 걸어맞춤부
140 … 컨택트 스프링부
141 … 스프링 맞닿음부
150 … 컨택트 걸림부
160 … 컨택트 내접부
170 … 하우징
180 … 컨택트 수용부
181 … 제 1 내측면
181a … 하우징 걸어맞춤부
181b … 위치 결정 홈부
182 … 제 2 내측면
182a … 위치 결정 경사면
183 … 하우징 걸림부
184 … 삽입 개구부
190 … 로크용 클립편
E … 전기 케이블
E1 … 도선
O … 상대측 전기 커넥터
C … 상대측 컨택트
H … 상대측 하우징
D1 … 컨택트 삽입 방향
D2 … 컨택트 두께 방향
D3 … 컨택트 폭방향

Claims (11)

  1. 컨택트 수용부를 내부에 갖는 하우징과, 상기 컨택트 수용부의 내부에 일방향으로부터 삽입되어 수용되는 컨택트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컨택트에 걸어 맞춰지는 하우징 걸어맞춤부와, 그 하우징 걸어맞춤부의 컨택트 삽입 방향 전방측에 형성되어 상기 컨택트를 걸어 고정시키는 하우징 걸림부를 갖고,
    상기 컨택트는, 외부에 접속되는 컨택트 결선부와, 그 컨택트 결선부의 컨택트 삽입 방향 전방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걸어맞춤부에 걸어 맞춰지는 컨택트 걸어맞춤부와, 그 컨택트 걸어맞춤부의 컨택트 삽입 방향 전방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걸림부에 의해 걸려 고정되는 컨택트 걸림부와, 상기 컨택트 걸어맞춤부와 컨택트 걸림부 사이에 형성되는 컨택트 스프링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스프링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컨택트를 장착할 때에 상기 컨택트 걸어맞춤부와 컨택트 걸림부에 의해 상기 하우징 걸어맞춤부와 하우징 걸림부를 사이에 끼우도록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스프링부는, 상기 컨택트를 컨택트 두께 방향으로 구부림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수용부는, 제 1 내측면과, 그 제 1 내측면에 대향하는 제 2 내측면을 갖고,
    상기 하우징 걸어맞춤부는, 상기 제 1 내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컨택트 스프링부는, 상기 제 2 내측면에 맞닿는 스프링 맞닿음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걸림부는, 상기 하우징의 제 1 내측면측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컨택트 걸림부는, 상기 컨택트의 선단을 구부려 형성된 U 자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측면은, 상기 컨택트 삽입 방향 전방을 향하여 컨택트 수용부의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위치 결정 경사면을 상기 스프링 맞닿음부에 맞닿는 영역에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맞닿음부는, 완만한 R 형상을 나타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는, 상기 컨택트 스프링부와 상기 컨택트 걸림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내측면에 내접하는 컨택트 내접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컨택트 결선부는, 상기 제 1 내측면에 내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컨택트를 컨택트 폭방향으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 홈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내측면은, 상기 컨택트 삽입 방향 전방을 향하여 컨택트 수용부의 내측으로 기울어지는 위치 결정 경사면을 상기 스프링 맞닿음부에 맞닿는 영역에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00123470A 2010-01-25 2010-12-06 전기 커넥터 KR1011755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12813A JP4908598B2 (ja) 2010-01-25 2010-01-25 電気コネクタ
JPJP-P-2010-012813 2010-0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203A true KR20110087203A (ko) 2011-08-02
KR101175571B1 KR101175571B1 (ko) 2012-08-21

Family

ID=44537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23470A KR101175571B1 (ko) 2010-01-25 2010-12-06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908598B2 (ko)
KR (1) KR101175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9069B2 (en) 2017-04-27 2019-08-20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01978A (ja) * 1984-10-23 1986-05-20 松下電工株式会社 電話用コンセント
JPS61101978U (ko) * 1984-12-11 1986-06-28
JPS62111184A (ja) * 1985-11-07 1987-05-22 Matsushita Refrig Co スクロ−ル型圧縮機
JPS62111184U (ko) * 1985-12-29 1987-07-15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89069B2 (en) 2017-04-27 2019-08-20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908598B2 (ja) 2012-04-04
JP2011150957A (ja) 2011-08-04
KR101175571B1 (ko) 2012-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42148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EP2876743B1 (en) Connector between cable and substrate
JP5033651B2 (ja) ワイヤハーネス及びワイヤハーネス組立方法
US9142904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US7462070B2 (en) Connector having lock mechanism
JP6078919B2 (ja) コネクタ
US10056714B2 (en) Connector device including coming-off preventing structure
US10587057B2 (e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US10665989B2 (en) Connector including a catching portion that catches an elastic locking portion of a mating connector, and an unlocking member to release the elastic locking portion
CN110416768B (zh) 连接器用端子以及连接器
WO2020105382A1 (ja) コネクタ
KR101175571B1 (ko) 전기 커넥터
CN110383595B (zh) 连接器
JP2017220427A (ja) コネクタ用端子保持部材、コネクタ、及び電気的接続装置
KR101479056B1 (ko) 쉴드커넥터
KR101062648B1 (ko) 케이블용 전기 커넥터
JP2008091046A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KR20090090247A (ko) 접속용 소켓
EP2756555B1 (en) Connector unit comprising a second connector including a spacer for locking a second terminal
JP2012069469A (ja) コネクタ
JP5335630B2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6937081B2 (ja) コネクタ
KR20180120566A (ko)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장치
JP2012243562A (ja) コネクタ端子及びこのコネクタ端子を含むカードエッジ型コネクタ
JP2012028084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