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3533A - 신호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호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083533A KR20110083533A KR1020110002977A KR20110002977A KR20110083533A KR 20110083533 A KR20110083533 A KR 20110083533A KR 1020110002977 A KR1020110002977 A KR 1020110002977A KR 20110002977 A KR20110002977 A KR 20110002977A KR 20110083533 A KR20110083533 A KR 2011008353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vice control
- field device
- control terminal
- train
- logic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0432 diamo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3460 diamon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94 contradic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55 networ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54 sign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monitoring the mechanical state of the rout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19/00—Arrangements for interlocking between points and signals by means of a single interlocking device, e.g. central control
- B61L19/06—Interlocking devices having electrical ope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3/00—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 B61L23/08—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 B61L23/14—Control, warning or like safety means along the route or between vehicles or trains for controlling traffic in one direction only automatically operated
- B61L23/16—Track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section bloc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5/00—Recording or indicating positions or identities of vehicles or trains or setting of track apparatus
- B61L25/06—Indicating or recording the setting of track apparatus, e.g. of points, of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연동 논리부가 정지한 상태에서는, 현장 기기는 제어 정보를 취득할 수 없기 때문에, 구내 모든 신호가 정지 현시(現示)로 되어, 열차의 운행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신호 보안 시스템의, 진로를 구성하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간에서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전송로를 갖고, 수신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열차의 진로 제어를 실현하는 현장 기기 제어 논리를 갖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로서, 연동 논리부로부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의 통신이 계속되고 있는 경우의 현장 기기 제어 논리1과, 연동 논리부로부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의 통신이 두절되어 있는 경우의 진로 제어를 계속하는 현장 기기 제어 논리2를 갖고, 연동 논리부와의 통신 두절을 검지하면 현장 기기 제어 논리1로부터 현장 기기 제어 논리2로 제어 논리를 절환하여 진로 제어를 계속하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 의해 진로 제어를 실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용의 신호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철도용의 연동 장치와 현장 신호 장치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속되도록 한 신호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전자 연동 장치에서는, 연동 논리부가 존재하는 역 기기실로부터 궤도 회로, 신호기, 전철기 등의 현장 기기에 대하여, 제어 출력마다 부설되어 있던 방대한 수의 전원 케이블을 삭감하기 위해서, 현장 기기에 연산 처리 장치를 탑재한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를 접속하여, 연동 논리부와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간 접속의 통신 네트워크화가 진행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도, 네트워크화에 의한 배선 간소화가 행해지고 있다. 또한, 연동 장치의 가동률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현장 기기를 자율 분산 제어하는 특허 문헌 2와 같은 예도 존재한다.
현장 기기의 분산 제어는 제안되어 있지만, 통신 회선 유지의 난도, 자율 분산 제어 논리의 복잡함에 의한 과제로부터 실현이 곤란하기 때문에, 여전히 현장 기기로부터의 상태 정보를 연동 논리부에서 중앙 처리하는 연동 장치가 주체로 되어 있다. 연동 논리부와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간의 통신이 네트워크화되어도 진로 제어를 연동 논리부가 중앙에서 처리하는 형식이 주체이다.
중앙 처리형의 연동 장치에서는, 현장 기기마다 각각을 제어하는 연산 처리 장치를 탑재한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가 있다고 해도,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처리는 네트워크를 전송되는 제어 전문을 해석하여 제어 출력할 뿐이며, 궤도 회로의 재선 판정, 전철기의 전환 지시, 신호기 현시의 변경 등은 모두 연동 논리부에서 중앙 처리하고 있었다.
따라서, 연동 논리부가 정지하면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는 제어 전문을 수취할 수 없어, 올바른 제어 출력이 불분명하게 되기 때문에, 안전측 제어로서 구내 모든 신호가 정지 현시로 되어, 열차의 운행이 정지하였다. 열차 운행의 정지는, 복구까지의 시간이나 복구 후의 다이어의 혼란에 의해, 정상적인 다이어로 되돌아갈 때까지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여, 철도 사업자로서는 피하고 싶은 사상이다. 따라서, 중앙의 연동 논리부가 정지해도, 열차의 운행을 완전히 정지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연동 논리부로부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의 통신이 두절된 상태라도,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만으로 진로 제어를 계속하는 축퇴 모드에서의 운행을 실현하는 신호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신호 보안 시스템은, 진로를 구성하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간에서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전송로를 갖고, 수신한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열차의 진로 제어를 실현하는 현장 기기 제어 논리를 갖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로서, 연동 논리부로부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의 통신이 계속되고 있는 경우의 현장 기기 제어 논리1과, 연동 논리부로부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의 통신이 두절되어 있는 경우의 진로 제어를 계속하는 현장 기기 제어 논리2를 갖고, 연동 논리부와의 통신 두절을 검지하면 현장 기기 제어 논리1로부터 현장 기기 제어 논리2로 제어 논리를 절환하여 진로 제어를 계속하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 의해 진로 제어를 실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동 논리부가 정지하고, 연동 논리부로부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의 통신이 두절된 상태라도,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만으로 진로 제어를 계속하는 축퇴 모드에서의 운행을 실현하는 신호 보안 시스템을 실현함으로써, 운전 정지 시간이나 다이어 복구 시간을 삭감하여, 신호 보안 시스템의 가동률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보안 시스템의 실시예 1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네트워크형 전자 연동 장치의 정상 동작 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보안 시스템의 실시예 1의 연동 도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궤도 회로 제어 단말기의 통상 제어 모드로부터 축퇴 모드로의 절환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전철기 제어 단말기의 통상 제어 모드로부터 축퇴 모드로의 절환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신호기 제어 단말기의 통상 제어 모드로부터 축퇴 모드로의 절환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궤도 회로 제어 단말기의 축퇴 모드로부터 통상 제어 모드로의 절환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전철기 제어 단말기의 축퇴 모드로부터 통상 제어 모드로의 절환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신호기 제어 단말기의 축퇴 모드로부터 통상 제어 모드로의 절환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의 전철기 제어 단말기의 축퇴 모드의 동작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보안 시스템의 실시예 5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보안 시스템의 실시예 5의 연동 논리부가 정상 동작 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진로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의 전철기 제어 단말기의 축퇴 모드의 동작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의 신호기 제어 단말기의 축퇴 모드의 동작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네트워크형 전자 연동 장치의 정상 동작 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보안 시스템의 실시예 1의 연동 도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궤도 회로 제어 단말기의 통상 제어 모드로부터 축퇴 모드로의 절환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전철기 제어 단말기의 통상 제어 모드로부터 축퇴 모드로의 절환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신호기 제어 단말기의 통상 제어 모드로부터 축퇴 모드로의 절환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궤도 회로 제어 단말기의 축퇴 모드로부터 통상 제어 모드로의 절환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전철기 제어 단말기의 축퇴 모드로부터 통상 제어 모드로의 절환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신호기 제어 단말기의 축퇴 모드로부터 통상 제어 모드로의 절환 처리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의 전철기 제어 단말기의 축퇴 모드의 동작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보안 시스템의 실시예 5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신호 보안 시스템의 실시예 5의 연동 논리부가 정상 동작 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의 진로 정보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의 전철기 제어 단말기의 축퇴 모드의 동작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의 신호기 제어 단말기의 축퇴 모드의 동작의 플로우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연동 논리부가 정지하고, 연동 논리부로부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의 통신이 두절된 상태라도,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만으로 진로 제어를 계속하는 축퇴 모드에서의 운행을 실현하는 신호 보안 시스템에 관하여, 이하 각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의 신호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연동 논리부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신호 보안 시스템에서, 연동 논리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연동 논리부와 연산 처리 장치를 갖는 각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는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끼리도 네트워크로 접속되어 있다. 서로 접속되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는, 적어도 진로를 구성하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네트워크로 접속된 연동 장치에서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23)가 연동 논리부(10)에 대하여 송신하는 표시 전문(30)(궤도 회로로부터의 재선 정보, 전철기의 전환 방향, 신호기의 현시 등)에 기초하여, 연동 논리부(10)가 다음 제어 주기의 제어 출력을 연산하고, 제어 전문(40)을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23)에 송신한다.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23)는 이 제어 전문(40)을 해독하여, 지시된 제어 출력을 출력한다. 그리고, 그 출력 결과를 또한 표시 전문(30)으로서 연동 논리부(10)에 송신한다.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23)는, 역 기기실 내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거니와, 현장 기기의 아주 가까이에 설치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연동 논리부(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통상 제어 모드로서 상기의 동작을 실시한다. 연동 논리부(10)가 정지한 경우에는, 이것을 검지하고, 축퇴 모드로 하여 연동 논리부 없이,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만으로 간편한 진로 제어를 실현한다.
도 3은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0) 내의 논리 블록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연산 처리 장치(CPU) 내에는, 연동 논리부로부터의 제어 전문을 수신하고 연동 논리부의 정지를 판정하여 현장 기기 제어 논리를 절환하는 연동 논리부 정지 판정부 및 논리 절환부(20a), 통상 제어 모드의 현장 기기 제어 논리(20b)와, 축퇴 모드의 현장 기기 제어 논리(20c)가 존재한다.
연동 논리부 정지 판정부 및 논리 절환부(20a)를 경유하여 제어 입출력부(20d)로부터, 궤도 회로의 재선 정보의 입력이나, 전철기ㆍ신호기에의 제어 출력이 실시된다. 연동 논리부 정지 판정부 및 논리 절환부(20a)에 의해, 통상 제어 모드의 현장 기기 제어 논리(20b)와, 축퇴 모드의 현장 기기 제어 논리(20c) 중 어느 것으로 동작할지가 결정되고, 각각의 제어 논리는 연동 논리부 정지 판정부 및 논리 절환부(20a)에 의해 절환된다.
제어 입출력부(20d)는 릴레이나 스위치, 센서로 이루어지는 회로를 포함하는 것이다. 연산 처리 장치(CPU)는 릴레이나 스위치를 동작시켜 현장 기기를 제어하고, 릴레이나 스위치의 상태를 센서에 의해 판독함으로써 현장 기기의 상태를 인식한다.
도 1에서, 축퇴 모드 시의 본 발명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23)의 동작을 설명한다. 축퇴 모드로 되면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는 관련되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 자기의 표시 전문(30)을 송신한다.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이면,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와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에 표시 전문(30)을 송신한다.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이면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에 표시 전문(30)을 송신하고,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이면,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에 표시 전문(30)을 송신한다.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 내에서는 축퇴 모드의 현장 기기 제어 논리가 수신한 표시 전문(30)에 기초하여, 미리 설정된 현장 기기 제어 논리에 따라서 제어 출력의 제어를 행한다.
도 4는 제어 논리의 예로서, 연동 도표를 도시한 도면이다. 통상 제어 모드의 제어 논리에서의 연동 도표는 연동 논리부(10) 내에 유지되며, 각 현장 기기로부터 정보에 기초하여 연동 도표에 따라서 각 현장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축퇴 모드의 제어 논리에서는, 필요한 연동 도표는, 각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 유지되며, 다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로부터의 현장 기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가 현장 기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와 같은 선로 형상의 역이면, 진로 1RA의 신호기에 진행 현시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궤도 회로 2T, 3AT가 비재선이고, 전철기(2)가 정위(定位)에 쇄정되어 있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접근 쇄정을 위해서 궤도 회로 1T의 재선 정보도 취득해야만 한다.
따라서, 진로 1RA의 신호기는, 궤도 회로 1T, 2T, 3AT의 표시 정보와 전철기(2)의 표시 정보를 취득하여 신호 현시를 제어하게 된다.
도 5∼도 7은, 궤도 회로, 전철기, 신호기의 각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의 축퇴 모드로의 절환 조건과, 축퇴 모드 천이 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 각 도면에서 각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의 모드 천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의 축퇴 모드로의 절환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정상 제어 모드(101)인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는 연동 논리부(10)에 궤도 회로 정보를 송신(102)한다. 연동 논리부와의 통신이 두절된(103)("예") 경우에는 통신 단절을 트리거로 하여 축퇴 모드로 천이(104)하고, 관련되는 현장 기기(전철기, 신호기)에 궤도 회로 정보를 송신(105)한다.
여기서, 관련되는 현장 기기에의 궤도 회로 정보의 송신은, 각 현장 기기에 대하여 1대1로 송신하는 유니캐스트 송신이어도 되지만, 송신 대상으로 하는 그룹 내의 모든 현장 기기에 송신하는 멀티캐스트 송신,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모든 장치에 송신하는 브로드캐스트 송신이어도 된다. 연동 논리부와의 통신이 두절되지 않은(103)("아니오") 경우에는, 통상 제어 모드를 계속(101)한다.
도 6은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의 축퇴 모드로의 절환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정상 제어 모드(201)인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는 연동 논리부에 전철기 상태 정보를 송신(202)한다. 연동 논리부와의 통신이 두절된(203)("예") 경우에는 통신 단절을 트리거로 하여 전철기를 쇄정(204)한다.
전철기의 쇄정 후,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로부터 궤도 회로 정보를 수신한(205)("예") 경우에는, 축퇴 모드로 천이(206)한다. 축퇴 모드로 천이하면 관련되는 신호기에 전철기 상태 정보를 송신(207)한다. 축퇴 모드에서는 연동 도표의 쇄정 조건에 따라서 전철기를 제어(208)한다. 연동 논리부와의 통신이 두절되지 않은(203)("아니오") 경우, 궤도 회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205)("아니오") 경우에는, 통상 제어 모드를 계속(201)한다.
도 7은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의 축퇴 모드로의 절환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정상 제어 모드(301)인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는 논리부에 신호기 상태 정보를 송신(302)한다.
연동 논리부와의 통신이 두절된(303)("예") 경우에는 통신 단절을 트리거로 하여 신호기를 일단 정지 현시로 변경(304)한다. 정지 현시 출력 후,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로부터 궤도 회로 정보를 수신한(305)("예") 경우에는, 축퇴 모드로 천이(306)한다.
축퇴 모드로 천이하면 관련되는 전철기에 신호기 상태 정보를 송신(307)한다. 축퇴 모드에서는 연동 도표의 신호 제어 조건에 따라서 신호 현시를 제어(308)한다. 연동 논리부와의 통신이 두절되지 않은(303)("아니오") 경우, 궤도 회로 정보를 수신하지 않은(305)("아니오") 경우에는, 통상 제어 모드를 계속(301)한다.
도 8∼도 10은, 궤도 회로, 전철기, 신호기의 각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의 축퇴 모드로부터 통상 제어 모드로의 복귀 조건과, 통상 제어 모드 천이 후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 각 도면에서 각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의 모드 천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의 축퇴 모드로부터 통상 제어 모드로의 복귀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축퇴 모드(111)에서는 관련 기기에 궤도 회로 정보를 송신(112)하고 있다. 연동 논리부와의 통신이 복귀된(113)("예") 후, 관련 신호기로부터 통상 제어 모드 복귀를 수신(114)("예")하면 통상 제어 모드로 복귀(115)하고, 관련 현장 기기에의 궤도 회로 정보의 송신을 정지(116)한다. 연동 논리부와의 통신이 복귀되지 않은(113)("아니오") 경우, 관련 신호기로부터 통신 제어 모드 복귀를 수신하지 않은(114)("아니오") 경우에는, 축퇴 모드를 계속(211)한다.
도 9는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의 축퇴 모드로부터 통상 제어 모드로의 복귀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축퇴 모드(211)에서는 관련 신호기에 전철기 상태 정보를 송신(212)하고 있다. 연동 논리부와의 통신이 복귀된(213)("예") 후, 관련 신호기로부터 통상 제어 모드 복귀를 수신(214)("예")하면 통상 제어 모드로 복귀(215)하고, 관련 신호기에의 전철기 상태 정보의 송신을 정지(216)한다. 그 후에는 연동 논리부의 지시에 따른다(217). 연동 논리부와의 통신이 복귀되지 않은(213)("아니오") 경우, 관련 신호기로부터 통신 제어 모드 복귀를 수신하지 않은(214)("아니오") 경우에는, 축퇴 모드를 계속(211)한다.
도 10은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의 축퇴 모드로부터 통상 제어 모드로의 복귀 조건을 도시한 도면이다. 축퇴 모드(311)에서는 연동 도표의 신호제어 조건에 따라서 신호 현시를 제어(312)하고, 관련 전철기에 신호기 상태 정보를 송신(313)한다. 연동 논리부와의 통신이 복귀된(314)("예") 후, 연동 논리부의 지시가 신호기 현시보다 하위(315)("예")인 경우, 통상 제어 모드로 복귀(316)하고, 관련 현장 기기에 통상 제어 모드로의 복귀를 통지(317)하고, 관련 전철기에의 신호기 상태 정보의 송신을 정지(318)한다.
그 후에는 연동 논리부의 지시에 따른다(319). 연동 논리부와의 통신이 복귀되지 않은(314)("아니오") 경우, 연동 논리부의 지시가 신호기 현시보다도 상위(315)("아니오")인 경우에는, 축퇴 모드를 계속(311)한다.
[실시예 2]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1에서의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를, 통상 제어 모드 제어 논리(21b)에서 궤도 회로 정보를 연동 논리부(10)뿐만 아니라, 관련되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 23)에도 송신하는 것으로 하고, 수신하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가 축퇴 모드 이외에서는 궤도 회로 정보를 파기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에서 축퇴 모드를 설정할 필요가 없어, 논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1에서의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를, 논리부와의 통신이 도중에서 끊어지면, 통신 단절을 검지하였을 때의 상태에서 쇄정하고, 논리부와의 통신이 복귀될 때까지 쇄정을 계속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연동 논리부가 정지하고 있는 동안은 전철기를 전환할 수 없게 되지만, 전철기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에서 축퇴 모드를 설정할 필요가 없어, 통상 제어 모드 제어 논리(22b)만으로 논리의 간략화가 도모된다.
이 때, 축퇴 모드의 삭제에 수반하여, 연동 논리부와 관련되는 신호기에 전철기 상태 정보를 송신하는 것으로 하고,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에서는 축퇴 모드 이외에서는 전철기 상태 정보를 파기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가 축퇴 모드에서 전철기 상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로부터의 궤도 회로 정보는 파기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로부터의 궤도 회로 정보가 통상 제어 모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는, 통상 제어 모드에서 궤도 회로 및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 22)로부터 송신되는 표시 전문(궤도 회로 정보, 전철기 상태 정보)을 표시 전문 파기 회로(23f)에 의해 파기하는 것으로 한다. 이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2에서의 궤도 회로 및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 22)의 표시 전문이 통상 제어 모드에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따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실시예 2에서의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를, 모드에 상관없이, 철사 쇄정 및 접근 쇄정의 제어 논리(22b')에 의해 철사 쇄정 및 접근 쇄정만이 유효한 것으로 해도 된다.
제어 모드에서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로부터의 궤도 회로 정보에 의해 철사 쇄정을 거는 것은 연동 논리부로부터 철사 쇄정 지시를 받는 것보다, 응답이 빨라진다. 접근 쇄정의 논리는 신호 현시의 변화를 트리거로 하여 동작하는 것이다.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는 통상 제어 모드에서는 신호기 상태 정보를 송신하지 않기 때문에,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는 통상 제어 시에 신호 현시의 변화를 수신하는 일은 없다. 통상 동작 시에는 연동 논리부가 접근 쇄정의 논리를 갖고, 전철기에 대한 제어 전문을 송신하고,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는 그것에 따라서 제어 출력할 뿐이기 때문에,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의 통상 제어 모드에서도 제어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실시예 4]
도 13은 실시예 4에 따른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축퇴 모드 시의 현장 기기 제어 논리(22c)에서, 역 통과 진로 구성 논리(22g)를 추가한다. 실시예 4에서,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는, 실시예 1∼3에서의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또한,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도, 실시예 1∼3에서의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도 14는 실시예 4에 따른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의 축퇴 모드에서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축퇴 모드에서는 우선 전철기 상태 정보를 취득(401)하고, 전철기의 방향이 설정된 역 통과 진로 방향인지를 확인(402)한다. 전철기 방향이 역 통과 방향이 아닌(402)("아니오") 경우에는, 전철기가 쇄정되어 있는지를 확인(403)한다. 전철기가 쇄정되어 있지 않은(403)("아니오") 경우에는, 역 통과 진로 방향으로 전철기를 전환(404)하고, 다른 현장 기기 제어 장치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연동 도표의 쇄정 조건에 따라서 전철기의 제어를 실시(405)한다. 전철기 방향이 역 통과 방향이었던(402)("예") 경우나, 전철기가 쇄정되어 있는(403)("예") 경우에는, 역 통과 방향으로의 전환은 실시하지 않고, 연동 도표의 쇄정 조건에 따라서 전철기를 제어(405)한다. 전철기를 제어한 후에는, 관련 신호기에 전철기 상태를 송신하고, 전철기 상태 정보 취득(401)으로 되돌아가서, 마찬가지의 처리를 계속한다.
이에 의해, 축퇴 모드 천이 시의 전철기 전환 방향에 의하지 않고 역 통과 진로를 구성할 수 있어, 해당 역을 통과하는 열차의 운전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5]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5에서의 신호 보안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 연동 논리부가 정지하고 있는 경우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6은 도 15의 신호 보안 시스템에서, 연동 논리부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 5에서, 연동 논리부(1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철기 및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 및 23)에 수시간분의 진로 정보(50)를 송신한다. 연동 논리부(10)가 정지한 경우에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 23)가 정지를 검지하고, 축퇴 모드로 하여 연동 논리부 없이,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만으로 간편한 진로 제어를 실현한다.
도 17은 실시예 5에서의 전철기 또는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 및 23) 내의 논리 블록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시예 5에서,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는, 실시예 1∼3에서의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도 17의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에서 논리 블록 구조를 설명한다. 연산 처리 장치(CPU) 내에는, 연동 논리부(10)로부터의 제어 전문(40)을 수신하고, 연동 논리부(10)의 정지를 판정하여 현장 기기 제어 논리를 절환하는 연동 논리부 정지 판정부 및 논리 절환부(22a), 통상 제어 모드의 현장 기기 제어 논리(22b)와, 열차 통과 검지 논리(22i)를 내포한 축퇴 모드의 현장 기기 제어 논리(22c')가 존재한다. 또한, 연산 처리 장치(CPU) 내에는, 연동 논리부(10)로부터의 진로 정보(50)를 수신하는 진로 정보 수신부(22g)와 진로 정보(50)를 기억하는 진로 정보 기억부(22h)가 존재하고, 진로 정보 기억부(22h)에 기억된 진로 정보(50)는 열차 통과 검지 논리(22i)를 내포한 축퇴 모드의 현장 기기 제어 논리(22c')에서 사용된다.
도 17의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18은 전철기 또는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 및 23)가 수신하고, 기억하는 진로 정보(50)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통과하는 열차의 순번에 대응한 진로가 기록되어 있다. 순번을 판별할 수 있으면, 진로만을 1열로 기록한 것 등이어도 된다.
도 19 및 도 20은, 전철기 및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 또는 23)의 축퇴 모드의 제어 논리(22c' 또는 23c')가, 어떻게 진로 정보(50)를 이용하여 전환 처리 또는 신호 현시 처리를 행하는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후, 각 도면에서 처리 내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의 진로 정보(50)를 이용한 전환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축퇴 모드 제어 논리(22c')에서는 우선 진로 정보(50)를 취득(501)한다. 취득한 진로 정보(50)에서 다음 진로 방향을 확인(502)한다. 다음 진로 방향의 확인 후에는, 전철기 방향을 확인(503)하고, 전철기 방향이 다음 진로 방향에 일치하는지를 판정(504)한다.
전철기 방향이 다음 진로 방향에 일치하고 있지 않은("아니오") 경우에는, 전철기가 쇄정되어 있는지를 판정(505)한다. 쇄정되어 있는("예") 경우에는, 쇄정이 해제될 때까지 판정(505)을 반복한다. 전철기의 쇄정이 해제된("아니오") 경우에는, 전철기를 다음 진로 방향으로 전환(506)한다. 전환이 종료되면, 열차 통과 검지 논리(22i)에 의해, 열차가 통과하였는지를 판정(507)한다.
만약 판정(504)에서, 전철기 방향이 다음 진로 방향에 일치하고 있었던("예") 경우에는, 전환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505, 506을 스킵), 열차가 통과하였는지를 판정(507)한다.
열차가 통과하지 않은("아니오") 경우에는, 열차가 통과할 때까지 판정(507)을 반복한다. 열차가 통과한("예") 경우에는, 현재 진로의 정보를 파기하고 다음 진로의 정보를 선택(508)한다. 다음 진로 정보를 선택한 후에는 다시 다음 진로 방향을 확인(502)하고, 마찬가지의 처리를 계속한다.
도 20은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의 진로 정보(50)를 이용한 현시 처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축퇴 모드 제어 논리(23c')에서는 우선 진로 정보(50)를 취득(601)한다. 취득한 진로 정보(50)에서 다음 진로 방향을 확인(602)한다. 다음 진로 방향의 확인 후에는, 관련되는 현장 기기 단말기의 표시 정보로부터 진로가 개통되어 있는지를 판정(603)한다.
진로가 개통되어 있지 않은("아니오") 경우에는, 정지 현시를 표시(604)하고, 진로가 개통될 때까지 판정(603)을 반복한다. 진로가 개통된("예") 경우에는, 진행 현시를 표시(605)하고, 열차 통과 검지 논리(23i)에 의해, 열차가 통과하였는지를 판정(606)한다. 열차가 통과하지 않은("아니오") 경우에는, 열차가 통과할 때까지 판정(606)을 반복한다. 열차가 통과한("예") 경우에는, 현재 진로의 정보를 파기하고 다음 진로의 정보를 선택(607)한다. 다음 진로 정보를 선택한 후에는 다시 다음 진로 방향을 확인(602)하고, 마찬가지의 처리를 계속한다.
이에 의해, 연동 논리부가 정지한 경우라도, 수시간은 통상 다이어대로의 운전을 계속할 수 있다. 또한, 기억하는 진로 정보를 수시간뿐만 아니라, 1일분의 진로 정보로 해도 된다. 이 때, 현장 기기 제어 장치만으로 통상 다이어대로의 운전을 실시할 수 있다. 다이어에 혼란이 발생한 경우에는, 연동 논리부로부터 새롭게 진로 정보를 수신하거나, 운행 관리 장치로부터 직접 유선 전송 혹은 무선 전송에 의해 진로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신규 다이어에 의한 운전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6]
진로의 변경은 전철기와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 23)의 양방에 진로 정보(50)를 기억하지 않더라도,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만에 의해 진로 정보(50)를 기억하고, 열차 통과 검지 논리(22i)를 이용하여 열차 통과를 판정하고, 진로 변경을 실시해도 된다. 이 때,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는, 실시예 1∼3에서의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또한,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도, 실시예 1∼3에서의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이에 의해,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에서, 진로 정보 수신부(23g), 진로 정보 기억부(23h), 축퇴 모드 제어 논리 내의 열차 통과 검지 논리(23i)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의 구성 및 논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기억되는 진로 정보를 전철기만으로 제한함으로써, 전철기 및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 내에 기억된 진로 정보가 상이한 경우에, 구성하는 진로가 일치하지 않아, 신호기의 현시가 정지 현시 상태로 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서의 논리의 블록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에서, 축퇴 모드 제어 논리(23c') 내에 전환 지시 논리(23j)를 새롭게 설치하고, 축퇴 모드 시에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에 대하여 전환 지시인 제어 전문(41)을 출력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2)에서는, 진로 정보 수신부(22g), 진로 정보 기억부(22h), 열차 통과 검지 논리(22i)를 삭감하고, 축퇴 모드 제어 논리(23c'')를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로부터의 제어 전문(41)에 의해 전환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실시예 7에서,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는, 실시예 1∼3에서의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1) 중 어느 것이라도 된다.
이에 의해, 복수의 전철기가 연동하는 진로에서도, 각각의 전철기가 모순된 전환을 하여, 진로를 구성할 수 없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10 : 연동 논리부
20 :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
20a : 연동 논리부 정지 판정부 및 논리 절환부
20b : 통상 제어 모드 제어 논리
20c : 축퇴 모드 제어 논리
20d : 제어 입출력부
21 :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
21b : 통상 제어 모드 제어 논리
21d : 제어 입출력부
21e : 데이터 입출력부
22 :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
22b : 통상 제어 모드 제어 논리
22b' : 철사 쇄정 및 접근 쇄정의 제어 논리
22d : 제어 입출력부
22e : 데이터 입출력부
22g : 통과 진로 구성 논리
22h : 진로 정보 수신부
22i : 진로 정보 기억부
22j : 열차 통과 검지 논리
23 :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
23a : 연동 논리부 정지 판정부 및 논리 절환부
23b : 통상 제어 모드 제어 논리
23c : 축퇴 모드 제어 논리
23d : 제어 입출력부
23f : 표시 전문 파기 회로
23h : 진로 정보 수신부
23i : 진로 정보 기억부
23j : 열차 통과 검지 논리
23k : 전환 지시 논리
30 : 상태 전문(상태 정보)
40 : 제어 전문(제어 정보)
41 :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가 출력하는 제어 전문(제어 정보)
50 : 진로 정보
101∼607 : 플로우차트 내의 처리 블록
20 :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
20a : 연동 논리부 정지 판정부 및 논리 절환부
20b : 통상 제어 모드 제어 논리
20c : 축퇴 모드 제어 논리
20d : 제어 입출력부
21 :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
21b : 통상 제어 모드 제어 논리
21d : 제어 입출력부
21e : 데이터 입출력부
22 :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
22b : 통상 제어 모드 제어 논리
22b' : 철사 쇄정 및 접근 쇄정의 제어 논리
22d : 제어 입출력부
22e : 데이터 입출력부
22g : 통과 진로 구성 논리
22h : 진로 정보 수신부
22i : 진로 정보 기억부
22j : 열차 통과 검지 논리
23 :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
23a : 연동 논리부 정지 판정부 및 논리 절환부
23b : 통상 제어 모드 제어 논리
23c : 축퇴 모드 제어 논리
23d : 제어 입출력부
23f : 표시 전문 파기 회로
23h : 진로 정보 수신부
23i : 진로 정보 기억부
23j : 열차 통과 검지 논리
23k : 전환 지시 논리
30 : 상태 전문(상태 정보)
40 : 제어 전문(제어 정보)
41 :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23)가 출력하는 제어 전문(제어 정보)
50 : 진로 정보
101∼607 : 플로우차트 내의 처리 블록
Claims (8)
- 궤도 회로, 전철기, 신호기로서의 1 이상의 현장 기기와, 그 현장 기기 각각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그 현장 기기를 제어하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와, 상기 현장 기기 각각으로부터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를 제어하는 연동 논리부와, 그 연동 논리부와 상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를 접속하는 네트워크로 이루어지고, 그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연동 논리부로부터 상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 각각에는 제어 정보가, 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 각각으로부터 상기 연동 논리부에는 상태 정보가, 각각 전송되도록 한 신호 보안 시스템으로서,
열차의 진로 제어에서, 진로를 구성하는 상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 간에서 상태 정보를 송수신하는 전송로와 기능을 갖고,
상기 연동 논리부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상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로부터 진로 제어에 필요한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그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열차의 진로 제어를 유지하는 현장 기기 제어 논리를 갖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로 구성되며, 그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 의해 진로 제어를 실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안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논리부가 동작 중인 경우의 현장 기기 제어 논리1과, 상기 연동 논리부가 정지 중에 진로 제어를 유지하는 현장 기기 제어 논리2를 갖고,
상기 연동 논리부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것을 검지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연동 논리부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것을 검지하면, 현장 기기 제어 논리1로부터 현장 기기 제어 논리2로 현장 기기 제어 논리를 절환하는 기능을 갖는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안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가 연동 논리부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것을 검지하는 수단은 연동 논리부로부터의 통신의 두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안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전철기와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의 경우에는, 현장 기기 제어 논리를 절환하는 조건을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로부터의 상태 정보의 수신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안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궤도 회로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는, 상태 정보를 상기 연동 논리부와 진로를 구성하는 상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 송신하고,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는, 철사 쇄정과 접근 쇄정의 제어 논리를 갖고, 상태 정보를 상기 연동 논리부와 진로를 구성하는 상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 송신하고,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현장 기기 제어 논리1과 현장 기기 제어 논리2를 갖고, 상기 연동 논리부의 정지를 통신 두절에 의해 검지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연동 논리부의 정지를 검지하면 현장 기기 제어 논리1로부터 현장 기기 제어 논리2로 진로 제어 논리를 절환하는 기능을 갖고, 상태 정보를 상기 연동 논리부와 진로를 구성하는 상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 송신하는, 상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안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는, 상기 현장 기기 제어 논리2에 의해 역을 통과 가능한 진로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안 시스템.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가, 상기 연동 논리부로부터 진로 정보를 수신하고, 기억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연동 논리부로부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열차의 통과를 검지하는 기능을 갖고, 상기 진로 정보에 기초하여 열차의 통과에 따라서 전철기 또는 신호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안 시스템. - 제7항에 있어서,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가, 상기 현장 기기 제어 논리2에서, 전철기에 대하여 전환 지시를 작성하는 논리를 갖고,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에 송신하는 기능을 갖고,
전철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가, 상기 연동 논리부가 정지 중에 진로 제어를 유지하는 현장 기기 제어 논리2에서, 상기 신호기의 현장 기기 제어 단말기가 송신한 전환 지시에 따라서, 전철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0-004962 | 2010-01-13 | ||
JP2010004962 | 2010-01-13 | ||
JP2010115294A JP5355495B2 (ja) | 2010-01-13 | 2010-05-19 | 信号保安システム |
JPJP-P-2010-115294 | 2010-05-1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83533A true KR20110083533A (ko) | 2011-07-20 |
KR101216865B1 KR101216865B1 (ko) | 2012-12-28 |
Family
ID=43836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02977A KR101216865B1 (ko) | 2010-01-13 | 2011-01-12 | 신호 보안 시스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EP (1) | EP2347943B1 (ko) |
JP (1) | JP5355495B2 (ko) |
KR (1) | KR101216865B1 (ko) |
CN (1) | CN10212650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885654B2 (ja) * | 2012-12-28 | 2016-03-15 | 株式会社東芝 | 列車制御システム |
JP6583846B2 (ja) * | 2014-04-30 | 2019-10-02 | 日本信号株式会社 | 停止位置表示システム |
EP2974939B1 (en) * | 2014-07-17 | 2023-06-07 | Hitachi, Ltd. | Train management system |
WO2017208421A1 (ja) * | 2016-06-02 | 2017-12-07 | 株式会社京三製作所 | 電子連動システム |
FR3056542B1 (fr) | 2016-09-28 | 2021-09-17 | Alstom Transp Tech | Equipement de controle d'au moins un equipement a la voie d'un reseau ferroviaire et systeme ferroviaire associe |
JP6630254B2 (ja) * | 2016-09-29 | 2020-01-15 | 株式会社京三製作所 | 電子連動装置 |
WO2020201949A1 (en) * | 2019-03-29 | 2020-10-08 | L&T Technology Services Limited | System for setting up communication between a signal equipment room (ser) and wayside devices |
FR3137890A1 (fr) * | 2022-07-12 | 2024-01-19 | Sage S Rail | Système anti-talonnage des appareils de voie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H352000A (de) * | 1956-03-06 | 1961-02-15 | Siemens Ag | Schaltungsanordnung in Eisenbahnsicherungsanlagen zur Gleisüberwachung mit Hilfe von isolierten Schienen und Schienenkontakten |
US3740548A (en) * | 1971-06-25 | 1973-06-19 | Westinghouse Electric Corp | Control of an interlocking in a vehicle control system |
GB2022893B (en) * | 1978-06-10 | 1983-01-12 | Westinghouse Brake & Signal | Fault detection |
JP2705818B2 (ja) | 1989-01-12 | 1998-01-28 | 日本信号株式会社 | 電子連動装置におけるてっ査鎖錠装置 |
JP3820322B2 (ja) * | 1998-11-30 | 2006-09-13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設備分散型電子連動装置 |
JP4290933B2 (ja) * | 2002-07-11 | 2009-07-08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連動・atc統合型装置 |
CN1586960A (zh) * | 2004-10-11 | 2005-03-02 | 兰州大成自动化工程有限公司 | 铁路车站信号应急联锁系统 |
JP4755473B2 (ja) | 2005-09-30 | 2011-08-24 |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 信号制御システム |
JP5023685B2 (ja) * | 2005-12-22 | 2012-09-12 | 株式会社日立製作所 | 信号保安システム |
CN1986314B (zh) * | 2005-12-22 | 2012-07-25 | 株式会社日立制作所 | 信号保安系统 |
JP4555781B2 (ja) * | 2006-01-12 | 2010-10-06 | 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 分散型連動システムにおける監視方式 |
-
2010
- 2010-05-19 JP JP2010115294A patent/JP5355495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1-11 CN CN201110020013.1A patent/CN102126509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1-12 KR KR1020110002977A patent/KR10121686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1-12 EP EP11250031.9A patent/EP2347943B1/en not_active Not-in-fo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126509A (zh) | 2011-07-20 |
JP5355495B2 (ja) | 2013-11-27 |
EP2347943A3 (en) | 2012-03-07 |
CN102126509B (zh) | 2014-05-14 |
EP2347943B1 (en) | 2013-07-24 |
JP2011162177A (ja) | 2011-08-25 |
KR101216865B1 (ko) | 2012-12-28 |
EP2347943A2 (en) | 2011-07-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16865B1 (ko) | 신호 보안 시스템 | |
JP2005178667A (ja) | 信号保安システム | |
CN102830302B (zh) | 一种受流器监测系统及方法 | |
WO2018079777A1 (ja) | 線区集中電子連動装置 | |
KR101466912B1 (ko) | 광통신을 이용하는 자동폐색장치 | |
CN109407643A (zh) | 一种基于NB-IoT的工业数据采集系统 | |
CN105681149A (zh) | 环网保护方法及装置 | |
KR101114576B1 (ko) | 통합형 전자폐색제어장치 | |
JP5467749B2 (ja) | 移動閉塞方式atc論理装置を用いた常用系信号とバックアップ系信号を有するバックアップ機能を備えた信号システム | |
CN107959586B (zh) | 一种基于云平台的船端集成导航系统网络架构 | |
JP2015166217A (ja) | 鉄道用設備監視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装置 | |
JP4698565B2 (ja) | 電子軌道端末装置 | |
US8154400B2 (en) |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electrical switches, especially for a magnetic levitation railway line | |
KR101916084B1 (ko) | 철도 지상 신호 제어 시스템 | |
RU2529578C2 (ru) | Система оповещения работающих на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путях станции | |
KR100607123B1 (ko) | 직렬통신 인터페이스 방식 열차 진로 제어시스템 | |
JP4717729B2 (ja) | 監視制御装置 | |
KR100978810B1 (ko) |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 | |
CN109151767A (zh) | 基于大数据的轨道交通列车调头通讯方法 | |
KR101378356B1 (ko) | 호환성이 우수한 디지털 폐색장치 | |
JP5502370B2 (ja) | 鉄道保安システム | |
JP3798411B2 (ja) | 自動列車制御装置 | |
Kunifuji et al. | A novel railway signal control system based on the internet and assurance technologies | |
JP2013226926A (ja) | 鉄道保安システム | |
JP2002019611A (ja) | 列車運行管理システムおよび連動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