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810B1 -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 - Google Patents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810B1
KR100978810B1 KR1020080057604A KR20080057604A KR100978810B1 KR 100978810 B1 KR100978810 B1 KR 100978810B1 KR 1020080057604 A KR1020080057604 A KR 1020080057604A KR 20080057604 A KR20080057604 A KR 20080057604A KR 100978810 B1 KR100978810 B1 KR 100978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frequency
transmitting
receiving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6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1709A (ko
Inventor
김판수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공사 filed Critical 한국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0800576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810B1/ko
Publication of KR20090131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LGUIDING RAILWAY TRAFFIC; ENSURING THE SAFETY OF RAILWAY TRAFFIC
    • B61L27/00Central railway traffic control systems; Trackside control;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1L27/50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 B61L27/53Trackside diagnosis or maintenance, e.g. software upgrades for trackside elements or systems, e.g. trackside supervision of trackside control system condi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5/00Details of measuring arrangements of the types provided for in groups G01R17/00 - G01R29/00, G01R33/00 - G01R33/26 or G01R35/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3/00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ies; Arrangements for analysing frequency spectra
    • G01R23/02Arrangements for measuring frequency, e.g. pulse repetition rate; Arrangements for measuring period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차 및 전동차의 운행에 관련한 송수신 주파수 카드의 유지보수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주파수 오디오 신호를 검사용 소스로 제공하고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컴퓨터와; 송신전용카드와 수신전용카드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터기로 구성되되; 컴퓨터로부터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수신카드에 전달하거나 송신카드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신호를 상기 컴퓨터 측으로 전달하는 주파수 송수신 경로 형성부와; 송신카드와 수신카드 모두 존재하는 경우 송신카드에서 발생되는 계전기의 동작에 따른 신호를 수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는 수신카드에 전달하는 계전기 연동 경로 형성부; 및 상기 계전기 연동 경로 형성부를 통해 유입되는 계전기의 동작에 따른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카드 내부의 계전기가 반응하는 경우 이를 검사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확인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열차의 안정운행을 위해 인접 역들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신카드와 수신카드의 검사가 상시 필요한 때에 자체적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종래 검사과정에 비하여 인적손실과 시간적 공간적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반송파, 주파수, 송신카드, 수신카드, 오디오

Description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Tester for a One to One Matching Type Frequency Transmitting and Receiving Card}
본 발명은 열차 및 전동차의 운행에 관련해 인접역과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는 송수신 주파수 카드의 유지보수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접역사내 구비되는 송수신 주파수 카드와 관계없이 관내 송수신 주파수 카드만을 이용하여 해당 송수신 주파수 카드의 정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는 동일 선로상에서 열차가 운행되기 때문에 열차끼리 충돌 또는 추돌의 위험이 상시 존재하며,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열차운전의 안전을 기하기 위해 선로에 적당한 구간을 만들어 한 구간에 한 개의 열차만을 운전하도록 하기 위해 폐색(閉塞)방식의 철도차량 운행방식이 사용된다.
상술한 폐색 방식에는 여러 가지의 운영방식이 존재하는데, 한국철도에서 채용하고 있는 방식은 크게 상용(商用)폐색방식과 대용(代用)폐색방식의 2종으로 구분되고, 또 사고나 기타 부득이한 사용으로 폐색방식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쓰는 폐 색준용법(閉塞準用法)이 있다.
상술한 상용폐색방식은 한 구간에 고정 설치되어 평상시에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폐색방식으로 자동폐색식, 연동(連動)폐색식, 통표(通票)폐색식, 쌍신(雙信)폐색식 등이 있다. 그중에서, 중복선 운전구간에는 자동, 연동, 쌍신식이, 단선운전구간에는 자동, 연동, 통표식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대용폐색방식은 폐색구간에 변동이 생기거나 일부 장치의 고장 등으로 상용폐색방식을 사용할 수 없게 되었을 때, 그 원인이 없어질 때까지 임시로 사용하는 폐색방식이다. 이 방식은 보안도(保安度)가 극히 낮으므로 사용시간은 최소한으로 줄여야만 한다. 한국철도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방식은 통신식과 지도 통신식이 있으며, 특별한 경우에 시행하는 지도식이 있다.
폐색준용법이란, 사고나 기타 특별한 사정으로 두 정거장 사이에 정상적인 폐색방식을 사용할 수 없을 때 시행하는 준(準)폐색방식이다. 이는 통상적으로 전화불통시 상대 정거장과 의사소통을 할 수 없을 때에 열차운전을 하는 경우로서, 격시법(隔時法)과 기도격시법이 있으며, 이것과 조금 성격이 다른 전령법(傳令法)도 있다.
이러한 폐색방식을 원활하게 운용하기 위해서는, 신호시스템이 필요하다.
철도에서 신호시스템이란, 신속한 인적 혹은 물적 수송시스템의 구축을 위하여 열차운전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증대시키기 위한 설비를 말한다. 이러한 신호 제어시스템은 열차의 운행효율을 향상시키고 열차의 안전운행 및 신호제어장치 전체를 원격 제어 및 감시하는 열차 집중제어장치, 열차의 속도제어, 열차간의 안전거 리 확보 및 궤도상의 열차 점유유무 검지 등을 수행하는 자동 열차 제어장치, 그리고 열차의 진로설정 및 열차의 안전운행을 최종적으로 책임지는 연동장치 등으로 크게 구분되어진다.
열차제어는 운행계획에 따라 열차의 운전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운행하기 위해 열차의 속도, 진로 및 건널목 등의 제어를 위한 각종 장치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어를 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열차의 속도 제어와 위치 검지에 있으며, 열차의 위치 검지는 궤도회로에 의해 검출된다. 최근에는 트랜스 폰더에 의해 지상자 통과 시 열차의 위치를 검지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열차 간격과 전철기 전환 등의 제어에 필요한 열차 위치는 궤도회로 등의 지상센서에 의존하고 있다.
속도는 회전속도계를 사용하여 차상에서 차축을 통한 속도검출방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고정지점간을 열차가 통과시 지상에서 열차의 속도를 검출하는 방법이 일부의 ATS와 건널목 정시간 제어에 사용됨은 물론 차상에서 두 지점간의 통과시간을 측정하여 열차의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 또한 사용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열차를 신속하고 안전하며 고밀도 운행이 가능하도록 열차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제어장치로서 자동폐색제어장치(Automatic block system; 이하 ABS라 칭함), 궤도회로제어장치, 선로전환장치, 연동제어장치, 건널목 보안장치, 열차자동제어장치(ATC, ATO, ATP, ATS, MBS) 등 수 많은 제어장치가 존재하며, 이중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에 관련한 열차 안전운행에 관련한 제어시스템의 간략한 구성을 첨부한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첨부한 도 1은 일반적인 열차 안전운행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개념도로서, 크게 열차(40)가 운행되는 선로 주변의 장치(50,60,70)들과 해당 장치들을 제어하며 상태를 감지하는 장치(10,20)로 구분된다.
상기 구성 중 선로변 전자유니트(20)는 상기 신호기(70)의 상태정보를 수신하여 신호기의 동작에 따른 램프의 동작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램프검지부(22)와, 가변정보 전송장치(60)로부터 발생되는 발리스(Balise) 정보를 입력받는 발리스 드라이브(21) 및 상기 램프검지부(22)와 발리스 드라이브(21)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발리스(Balise)란 열차자동제어를 위한 지상정보 전달장치를 통칭하는 것으로, 발리스는 열차의 차상과 지상간에 데이터 통신으로 지상운전조건, 지상자의 거리, 지상자의 위치, 목표속도 등의 지상정보를 전달하는 장치이다.
또한, ABS(10)는 ATS(Automatic block system) 제어부(13)를 통해 신호현시 상태정보를 CR-BOX(제어계전기박스)(55)를 거쳐 ATS 지상장치(50)로 출력하여 ATS를 제어하고, 열차(40)가 운행되는 선로의 상태정보를 입력받는 궤도회로 검지부(11)와, 상기 선로변 전자유니트(20)의 램프검지부(22)와 연결되어 신호기(70)의 램프 동작상태를 감지하는 램프검지부(14)와, 좌우의 인접 역과 인접된 전후방의 선로변 전자유니트(20)로부터 열차의 운행과 관련된 각종 입출력 조건들의 정보를 송수신하는 주파수 송수신부(15) 및 전원부(16)로 구성된다.
상술한 구성에서 주파수 송수신부(15)는 전방역 혹은 인접역의 동작상태를 수신하고 관내 제어상태에 따른 정보를 송출하는 기능을 담당하게 되는데, 이를 위 해 다수의 송수신 카드를 구비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송수신카드를 구비하는 이유는 통상 8 내지 18개의 송신 혹은 수신 정보별로 각각 1개씩의 전용 송수신 카드를 사용하는 데, 그 이유는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통신 방식의 기존 체계에서 감지신호의 보다 빠른 데이터 송수신 및 감지를 위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데이터 송수신 방식에서 8 내지 18개의 송수신용 주파수 카드의 유지보수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되었다.
그 이유는 실제적으로 특정 정보(예를 들어, 신호상태)의 당 관내 송신전용카드가 정상동작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인접역에 구비되어 있는 해당 정보(예를 들어, 신호상태)의 수신전용카드의 정상동작 여부를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관내 및 인접역의 유지보수 관계자들이 동일한 날자와 시간에 서로 클로스 검사를 수행하여 송수신 주파수 카드의 상태를 확인하는 종래의 유지보수를 위한 검사 방식은 인적손실과 시간적 공간적 부담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어, 효율적인 송수신 주파수 카드의 검사 방식의 필요성이 대두 되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차 및 전동차의 운행에 관련해 인접역과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는 송수신 주파수 카드의 유지보수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접역사내 구비되는 송수신 주파수 카드와 관계없이 관내 송수신 주파수 카드만을 이용하여 해당 송수신 주파수 카드의 정상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의 특징은, 정보의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특정 주파수 신호와 동일 주파수를 갖는 오디오 신호를 컴퓨터의 주파수 발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이를 해당 주파수 검사용 소스로 제공하고 또한 컴퓨터의 주파수 수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하여 해당 주파수의 대역을 검출하기 위한 컴퓨터와; 대응하는 임의의 주파수를 송신 및 수신하는 그 자체만으로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주파수 송수신 카드 중 일측에 송신전용카드가 안착되는 송신카드 안착슬롯과 다른 일측에 수신전용카드가 안착되는 수신카드 안착슬롯을 구비한 후, 양단에 구비되어진 슬롯간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송신전용카드와 수신전용카드의 동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터기로 구성되되; 상기 테스터기는 송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는 송신카드와 수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는 수신카드간의 주파수 신호를 전달하거나 임의의 안착슬롯에 해당 카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컴퓨터로부터 주파수신호를 입력받아 수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어진 수신카드에 전달하거나 송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어진 송신카드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신호를 상기 컴퓨터 측으로 전달하는 주파수 송수신 경로 형성부; 송신카드와 수신카드 모두 존재하는 경우 송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는 송신카드에서 발생되는 계전기의 동작에 따른 신호를 수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는 수신카드에 전달하는 계전기 연동 경로 형성부; 및 수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어진 수신카드 중 상기 주파수 송수신 경로 형성부를 통해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에 호응하여 상기 계전기 연동 경로 형성부를 통해 유입되는 계전기의 동작에 따른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카드 내부의 계전기가 반응하는 경우 이를 검사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확인경고부;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의 부가적인 특징으로, 상기 주파수 송수신 경로 형성부는 제1, 제2 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1차측 권선 코일이 연결되며 유기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2차측 권선코일이 제1, 제2 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연결되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제1, 제2 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걸리는 신호를 컴퓨터측으로 전달하거나 컴퓨터로부터 발생되는 검사용 오디오신호를 입력받아 인가하는 오디오잭; 및 상기 제1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와 제1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공통적으로 제1구동양전압이 연결되는 제1전원공급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 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의 부가적인 다른 특징으로, 상기 계전기 연동 경로 형성부는 구동전압에 따라 분류되는 송신전용카드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해 제4, 제5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두 개의 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선택 접점에 따라 두 개의 입력단자에 걸리는 신호가 하나의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선택스위치와; 제3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와 제3, 제5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간의 동일 전위를 갖도록 접지와 연결되는 접지접점과; 상기 선택스위치의 출력단자와 상기 접지접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는 제1접점스위치; 및 제6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2구동양전압(+24V)이 공급되는 제2전원공급단;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의 부가적인 또 다른 특징으로, 상기 확인경고부는 제4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애노드단자가 연결되고 캐소드 단자는 제1전원공급단에 연결되어진 발광다이오드와;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병렬연결되어진 부저; 및 상기 부저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제2접점스위치로 구성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열차의 안정운행을 위해 인접 역들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송신카드와 수신카드의 검사가 상시 필요한 때에 자체적으로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종래 검사과정에 비하여 인적손실과 시간적 공간적 부담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기술적 사상을 간략히 살펴보면, 하나의 역구내에는 8 내지 18개의 송신 혹은 수신 정보별로 각각 1개씩의 전용 송수신 카드가 존재하며, 각 송수신 카드는 고유의 반송주파수가 존재한다.
즉, 최대 18개의 송신카드(T101~T118)와 수신카드(R101~R118)는 각각 대응하는 송신카드와 수신카드만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제1수신카드(R101)는 제1송신카드(T101)에서 발생되어진 특정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만으로 인에이블되어 지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반송파의 주파수 대역은 625㎐ ~ 7,125㎐ 이다.
따라서 관내의 송수신 카드 역시 최대 18개의 송신카드(T101~T118)와 수신카드(R101~R118)가 모두 준비되어 있으며, 모든 송수신 카드들은 자신에 할당된 주파수 신호가 송신 및 수신되는가만 확인할 수 있다면 정상동작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는 데 착안한 것이다.
더욱이 특정 채널의 주파수 신호가 정상적으로 송수신되는 경우에 한하여 송신카드측의 계전기와 수신카드측의 계전기는 연동하게 된다.
따라서 송신카드의 주파수 송신기능의 검사와 수신카드의 주파수 수신기능의 정상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인접역과 데이터를 실제적으로 교환할 필요 없이 관내 구비되어 있는 송신카드와 수신카드를 이용하여 서로 간에 주파수 신호가 정상적으로 송신되고 수신되는 가를 판단하고, 정상동작한다고 판단되는 송신카드와 수신카 드의 계전기 연동상태를 검사 할 수 있는 테스터기를 개발한 것이다.
또한, 관내 송수신 카드중 대응하는 송신카드 혹은 수신카드가 없는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를 검사하기 위해 상술한 특정 채널의 주파수 신호에 대응하는 주파수를 컴퓨터의 소프트 프로그램인 주파수 발생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수신카드 검사용 소스로 제공하고, 반면에 송신카드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신호를 입력받아 스펙트럼 분석하여 해당 주파의 대역을 검출하기 위한 컴퓨터와 주파수 수신 소프트웨어를 구비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기의 회로 구성 예시도로서, 테스터기의 회로의 양측에는 송신카드 안착슬롯과 수신카드 안착슬롯이 구비되어 있으며, 테스터 회로는 크게 참조번호 TP31과 TP6로 지칭되는 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와 참조번호 TP31과 TP6로 지칭되는 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와 참조번호 RP31과 RP24로 지칭되는 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 사이에 형성되는 주파수 송수신 경로 형성부와 참조번호 100으로 지칭되는 확인경고부 및 이외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계전기 연동 경로 형성부로 구분되어진다.
이때 상기 주파수 송수신 경로 형성부는 참조번호 TP31과 TP6로 지칭되는 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컴퓨터와 주파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연결되는 오디오잭(A-Jack)과, 오디오잭(A-Jack)의 신호 입력단인 제1접점(P1)과 제2접점(P2)에 1차전압 입력단이 연결되며 유기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2차전압 출력단이 참조번호 RP31과 RP24로 지칭되는 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연결되는 트랜스포머(T)와, 제1구동양전압(+10V)이 상기 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TP31)와 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RP31)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 제 1전원공급단(참조번호 미부여)으로 구성된다.
반면에 상기 계전기 연동 경로 형성부는 송신카드의 종류(구동전압에 따라 분류됨: 60V용과 24V용)를 선택하기 위해 선택스위치(SS)와, 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TP1)와 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RP2, RP8)의 공통접점(P4)과 상기 선택스위치(SS)의 출력단간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는 제1접점스위치(CS1), 및 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TP23)에 제2구동양전압(+24V)을 외부로부터 공급받아 공급하는 제2전원공급단(참조번호 미부여)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통접점(P4)은 접지단과 연결되어 송신카드와 수신카드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접지전위를 갖는다.
또한, 상기 확인경고부(100)는 참조번호 RP9로 지칭되는 수신카드측 접점에 캐소드단자가 연결되고 애노드 단자는 상기 제1구동양전압(+10V)이 입력되는 제3접점(P3)에 연결되어진 발광다이오드(LED)와,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와 병렬연결되어진 부저(BZ) 및 상기 부저(BZ)의 동작을 선택하기 위한 제2접점스위치(CS2)로 구성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 테스터 장치의 동작 및 이를 이용한 검사과정을 검사양태 별로 구분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첨부한 도면을 살펴보면, 첨부한 도 3과 도 4는 송신카드 없이 수신카 드의 주파수 수신 동작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의 회로구성 및 시스템 연결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첨부한 도 5와 도 6은 수신카드 없이 송신카드의 주파수 송신 동작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의 회로구성 및 시스템 연결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기를 이용한 송신카드와 수신카드의 정상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경우의 검사과정 및 회로상태 예시도이다.
첨부한 도 3과 도 4는 송신카드 없이 수신카드의 주파수 수신 동작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의 회로구성 및 시스템 연결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첨부한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테스터기의 수신카드 안착슬롯에만 수신카드를 안착시킨 후, 컴퓨터 오디오 출력단자와 시험기의 오디오잭(A-Jack)을 연결한 후 컴퓨터에서 주파수 발생 소프트웨어를 실행하여 수신하고자 하는 카드의 주파수를 발생시킨다.
이때 주파수란 101,102 ~ 118번으로 구분되는 각각의 채널에 해당하는 주파수신호를 말하며 컴퓨터에서 해당 주파수 발생시 해당 주파수 수신카드가 동작하는 지의 여부를 점검한다.
점검을 위한 회로의 동작을 첨부한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오디오잭(A-Jack)을 통해 유입되는 주파수 신호는 특정 주파수(예를 들어 625㎐)의 신호들인데, 해당 신호는 제1접점(P1)과 제2접점(P2)에 인가된다.
따라서 제1접점(P1)과 제2접점(P2)에 연결되어진 트랜스포머(T)의 1차전압 입력단에는 상기 일정하게 유지되던 제1구동양전압(+10V)의 전압상태가 변화되며 해당 변동에 따라 유기되는 전압의 상태가 2차전압 출력단에 나타나게 된다.
즉, 오디오잭(A-Jack)을 통해 유입되는 주파수 신호가 참조번호 RP31과 RP24 로 지칭되는 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오디오잭(A-Jack)을 통해 유입되는 신호가 만약 625㎐라면 수신카드 슬롯에 안착되어진 수신카드중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반송파가 625㎐인 수신카드만이 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RP31, RP24)에 걸리는 오디오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해당 수신카드는 인에이블 되어 진다.
반면에 수신카드 없이 송신카드의 주파수 송신 동작 상태를 검사하고자 하는 경우 첨부한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오디오잭(A-Jack)과 컴퓨터의 오디오 입력단을 연결한 후 송신카드에서 정상적으로 주파수를 출력한다.
점검을 위한 회로의 동작을 첨부한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특정 주파수(예를 들어 625㎐)를 송출하는 송신카드에 정상적으로 전원이 공급되어 주파수 신호를 발생하게 되면, 출력되는 주파수신호는 TP31과 TP6로 지칭되는 송신카드 측 접점포인트를 통해 제1접점(P1)과 제2접점(P2)에 걸리게 된다.
이때 수신카드가 없으므로 트랜스포머(T)의 동작과 관계없이 상기 제1접점(P1)과 제2접점(P2)에 걸리는 신호는 오디오잭(A-Jack)에 신호선으로 연결된 컴퓨터측으로 전송되어진다.
이때 상기 컴퓨터는 주파수 수신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유입되는 주파수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과정을 통해 해당 송신카드의 주파수 채널이 정상적으로 유입되는 가를 판단하게 된다.
상술한 도 3 내지 도 6의 과정에서 송신카드와 수신카드가 정상상태임을 확인하는 것은 육시검사를 통해 카드 자체에 구비되어진 LED의 발광상태를 확인함과 동시에 컴퓨터상에서 확인하게 된다.
상술한 송신카드 혹은 수신카드만을 확인하는 절차는 실질적으로 관내 송수신 카드 중 대응하는 송신카드 혹은 수신카드가 없는 경우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관내에는 송신카드만 존재하고 해당 송신카드의 주파수신호는 인접역에서 수신카드가 수신하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해당 채널의 주파수 카드 중 관내에는 송신카드만 존재하며, 인접역에는 수신카드만 존재한다.
상술한 경우와 달리 송신카드와 수신카드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기를 이용한 송신카드와 수신카드의 정상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경우를 첨부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또한 첨부한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송신카드는 송신계전기 구동전압에 따라 60V용 송신카드와 24V용 송신카드로 분류되며, 따라서 24V용 송신카드의 검사 과정은 첨부한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접점스위치(CS1)은 온동작상태이며 선택스위치(SS)는 접점 b와 접점 a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참조번호 TP21로 지칭되는 송신카드 접점포인트는 상기 선택스위치(SS)가 내부접점 a와 b간에 전기적인 연결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제1접점스위치(CS1)를 온 동작시킴에 따라 접지전위가 연결되어 진다.
이때 외부에서 입력되는 제2구동양전압(+24V)은 송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어진 송신카드 중 24V용 송신카드에 참조번호 TP23로 지칭되는 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인가되어 송신계전기(SE)를 여자시키고, 참조번호 TP1로 지칭되는 송신카드 접점포인트는 여자된 송신계전기(SE)의 여자접점으로 접지와 연결되어 짐에 따라 해당 송신카드는 여자접점(SE_P)를 통해 전원접지로 연결되어 자체의 발진부를 통해 특정 주파수(예를 들어 625㎐)를 발생하게 되며, 출력되는 주파수신호는 TP31과 TP6로 지칭되는 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를 통해 제1접점(P1)과 제2접점(P2)에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접점(P1)과 제2접점(P2)에 연결되어진 트랜스포머(T)의 1차전압 입력단에는 상기 일정하게 유지되던 제1구동양전압(+10V)의 전압상태가 변화되며 해당 변동에 따라 유기되는 전압의 상태가 2차전압 출력단에 나타나게 된다.
또한 참조번호 RP2와 RP8로 지칭되는 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는 수신카드의 구동전압으로 사용되는 여자된 송신계전기(SE)의 여자전위(-10V)가 입력되는 접점이며, 참조번호 RP9는 정상 수신시 여자되는 수신계전기의 여자접점전위가 발생되는 RP8로 지칭되는 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져 있다.
따라서 수신카드 슬롯에 안착되어진 수신카드 중 수신카드내부 회로에 의해 625㎐인 수신카드만이 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RP31, RP24)에 걸리는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해당 수신카드내부의 수신계전기는 여자 하게 된다.
또한, 이때 수신계전기의 여자접점인 참조번호 RP8과 참조번호 RP9가 내부적으로 연결되어 참조번호 RP9로 지칭되는 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와 연결되어진 확인경고부(100)내의 발광다이오드(LED)가 발광동작하게 된다.
반면에 검사자가 발광다이오드(LED)의 동작이외에 음향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제1접점스위치(CS2)를 온동작시키면 참조번호 RP9로 지칭되는 수신카드측 접 점에 걸리는 전압은 상기 발광다이오드(LED)의 캐소드 단자에 걸리는 것과 동시에 부저(BZ)측에도 걸리게 되어 발광다이오드(LED)의 발광동작에 따른 시각적인 확인이외에 부저(BZ)의 동작에 따른 청각적인 확인이 이루어진다.
만약 상기 수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어진 수신카드 중 상술한 예에서와 같이 625㎐를 반송파로 사용하는 수신카드가 존재하되 상기 확인경고부(100)의 발광다이오드(LED)가 발광동작하지 않는 경우는 수신카드내부 회로 및 수신계전기의 오류가 발생되었거나 송신카드내부 회로 및 송신계전기에 오류가 발생되어진 것이다.
상술한 24V용 송신카드와 달리 60V용 송신카드는 첨부한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접점스위치(CS1)은 온동작상태이며 선택스위치(SS)는 접점 c와 접점 a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60V용 송신카드의 검사과정은 24V용 송신카드의 검사과정과 동일하며, 60V용 송신카드내 송신계전기 SE 여자접점을 쓰지않고 바로 CS1 개시 버턴을 통해 전원접지쪽으로 연결되어 회로가 구성되어 카드발진회로를 구동, 해당 주파수를 출력하는 특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24V, 60V 절체 스위치를 구비하는 이유는 동일 전원회로내에 카드 구동전압10V, 송신계전기 전압24V, 또다른 송신 계전기 전압 60V를 3가지 구비하기에 회로의 번거러움이 있기 때문이다.
이외 검사과정은 24V용 송신카드의 검사과정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동작의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설명에서 송신카드와 수신카드의 내구 구성은 설명상의 편의를 위해 생략하고 도시하지 않았으나, 접속핀의 특성을 간략히 살펴보면, 접점포인트 TP31과 접하는 송신카드의 핀은 +10V의 입력단임과 동시에 포지티브 주파수 송출단이며, 접점포인트 TP6과 접하는 송신카드의 핀은 네가티브 주파수 송출단이다.
또한, 접점포인트 TP1과 접하는 송신카드의 핀은 송신카드내 계전기의 여자접점을 통하는 경로의 접지의 입력단이며, 접점포인트 TP4와 접하는 송신카드의 핀은 송신카드내 계전기 SE의 여자접점을 통하지 않는 경로의 전원접지단이다.
또한, 접점포인트 TP21과 TP23과 접하는 송신카드의 핀은 24V용 송신계전기의 구동접점을 칭하는 것이다.
반면에 접점포인트 RP31과 접하는 수신카드의 핀은 +10V의 입력단임과 동시에 포지티브 주파수 수신단이며, 접점포인트 RP24과 접하는 송신카드의 핀은 네가티브 주파수 수신단이다.
또한, 접점포인트 RP9와 RP8에 접하는 수신카드의 핀은 수신카드내 수신계전기의 여자접점을 칭하는 것이며, 접점포인트 RP2는 -10V의 입력단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열차 안전운행 제어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기의 회로 구성 예시도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기를 이용해 송신카드 없이 수신카드의 주파수 수신 동작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의 회로구성 및 시스템 연결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기를 이용해 수신카드 없이 송신카드의 주파수 송신 동작 상태를 검사하는 과정의 회로구성 및 시스템 연결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기를 이용한 송신카드와 수신카드의 정상 동작상태를 확인하는 경우의 검사과정 및 회로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ABS 11 : 궤도회로 검지부
20 : 선로변 전자유니트 14, 22 : 램프검지부
21 : 발리스 드라이브 16, 23 : 전원부
15 : 주파수 송수신부 40 : 열차
50 : ATS 지상장치 55 : CR-BOX
60 : 가변정보 전송장치 70 : 신호기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정보의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특정 주파수 신호와 동일 주파수를 갖는 오디오 신호를 컴퓨터의 주파수 발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생성하고 이를 해당 주파수 검사용 소스로 제공하고 또한 컴퓨터의 주파수 수신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를 스펙트럼 분석하여 해당 주파수의 대역을 검출하기 위한 컴퓨터와;
    대응하는 임의의 주파수를 송신 및 수신하는 그 자체만으로 정보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주파수 송수신 카드 중 일측에 송신전용카드가 안착되는 송신카드 안착슬롯과 다른 일측에 수신전용카드가 안착되는 수신카드 안착슬롯을 구비한 후, 양단에 구비되어진 슬롯간의 데이터 교환을 통해 송신전용카드와 수신전용카드의 동 작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테스터기로 구성되되;
    상기 테스터기는 송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는 송신카드와 수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는 수신카드간의 주파수 신호를 전달하거나 임의의 안착슬롯에 해당 카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컴퓨터로부터 주파수신호를 입력받아 수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어진 수신카드에 전달하거나 송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어진 송신카드에서 발생되는 주파수 신호를 상기 컴퓨터 측으로 전달하는 주파수 송수신 경로 형성부;
    송신카드와 수신카드 모두 존재하는 경우 송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는 송신카드에서 발생되는 계전기의 동작에 따른 신호를 수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는 수신카드에 전달하는 계전기 연동 경로 형성부; 및
    수신카드 안착슬롯에 안착되어진 수신카드 중 상기 주파수 송수신 경로 형성부를 통해 입력되는 주파수 신호에 호응하여 상기 계전기 연동 경로 형성부를 통해 유입되는 계전기의 동작에 따른 신호에 대응하여 수신카드 내부의 계전기가 반응하는 경우 이를 검사자에게 통지하기 위한 확인경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송수신 경로 형성부는 제1, 제2 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1차측 권선 코일이 연결되며 유기되는 신호를 출력하는 2차측 권선코일이 제1, 제2 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연결되는 트랜스포머와;
    상기 제1, 제2 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걸리는 신호를 컴퓨터측으로 전달하거나 컴퓨터로부터 발생되는 검사용 주파수신호를 입력받아 인가하는 오디오잭; 및
    상기 제1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와 제1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공통적으로 제1구동양전압이 연결되는 제1전원공급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계전기 연동 경로 형성부는 구동전압에 따라 분류되는 송신전용카드의 종류를 선택하기 위해 제4, 제5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두 개의 입력단자가 연결되고 선택 접점에 따라 두 개의 입력단자에 걸리는 신호가 하나의 출력단으로 출력되는 선택스위치와;
    제3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와 제3, 제5수신카드측 접점포인트간의 동일 전위를 갖도록 접지와 연결되는 접지접점과;
    상기 선택스위치의 출력단자와 상기 접지접점 간의 전기적 연결을 온오프하는 제1접점스위치; 및
    제6송신카드측 접점포인트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2구동양전압(+24V)이 공급되는 제2전원공급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
  7. 삭제
KR1020080057604A 2008-06-19 2008-06-19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 KR100978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604A KR100978810B1 (ko) 2008-06-19 2008-06-19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604A KR100978810B1 (ko) 2008-06-19 2008-06-19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709A KR20090131709A (ko) 2009-12-30
KR100978810B1 true KR100978810B1 (ko) 2010-08-30

Family

ID=41690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604A KR100978810B1 (ko) 2008-06-19 2008-06-19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8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220B1 (ko) * 2013-09-10 2015-07-22 서울메트로 철도 분기부 궤도회로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261U (ko) * 2017-01-16 2018-07-25 주식회사 혁신전공사 주파수 카드 시험용 지그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5329B1 (ko) * 1995-12-21 1998-11-16 양승택 씨디엠에이 자동호 시험기의 톤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290520B1 (ko) 1999-02-01 2001-05-15 김정자 휴대용 전동차 제동시험장치
KR20030046878A (ko) * 2001-12-07 2003-06-18 (주)디지링크 전송로 시험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5329B1 (ko) * 1995-12-21 1998-11-16 양승택 씨디엠에이 자동호 시험기의 톤 송수신 장치 및 그 방법
KR100290520B1 (ko) 1999-02-01 2001-05-15 김정자 휴대용 전동차 제동시험장치
KR20030046878A (ko) * 2001-12-07 2003-06-18 (주)디지링크 전송로 시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220B1 (ko) * 2013-09-10 2015-07-22 서울메트로 철도 분기부 궤도회로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709A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0257B1 (ko) 트랙 섹션의 점유 또는 자유 상태의 검출을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6169245A (zh) 用于降低对于位于停车场上的车辆的危险和/或通过位于停车场上的车辆引起的危险的方法及设备
CN102687419B (zh) 用于在轨道车辆系统中中继通信消息的设备和方法
US8613410B2 (en) Devices for detecting the occupied state or the free state of a track section and method for operating such devices
KR101654354B1 (ko) 역사 감시부와 연동되는 철도신호 시스템
RU2508215C1 (ru) Способ контроля нахождения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на участке пу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654345B1 (ko) 선로전환기 및 신호기를 이용하는 철도신호 시스템
CN106494464A (zh) 一种基于通信的列车控制系统的正线信号显示方法
RU2390453C1 (ru) Система интервальн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я движения поездов на перегоне
KR100978810B1 (ko) 일대일 매칭형 주파수 송수신 카드의 테스터 장치
KR20190133939A (ko) 궤도회로 고장방지 장치 및 방법
KR20180134607A (ko) 철도 차량의 통신 모니터링 장치
KR100412063B1 (ko) 전자제어식 자동 폐색장치
JP2015054537A (ja) 列車無線システム
KR20050094712A (ko) 지상중심의 열차 무인 자동 운전 시스템
US8469318B2 (en) Device for the detection of the occupied or free state of a track section
KR20070066498A (ko) 열차무선데이터 통신시스템
JP3967898B2 (ja) 自動列車制御装置
KR100956315B1 (ko) Twc 지상설비 테스트 시스템
KR200275626Y1 (ko) 전자제어식 자동 폐색장치
JP2012153179A (ja) 故障装置特定システム
KR102106704B1 (ko) 선로변 제어 유닛용 발리스 고장 검지 보드
CN112462300A (zh) 轨道电路分路不良监测系统及方法
US10527660B2 (en) Method, controller and system for detecting a leakage of a track signal on at least one railway track
CN104203714A (zh) 控制、保护和/或监视轨道交通的方法以及运行控制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