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718A - 화상의 확대 표시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 Google Patents

화상의 확대 표시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718A
KR20110074718A KR1020100134676A KR20100134676A KR20110074718A KR 20110074718 A KR20110074718 A KR 20110074718A KR 1020100134676 A KR1020100134676 A KR 1020100134676A KR 20100134676 A KR20100134676 A KR 20100134676A KR 20110074718 A KR20110074718 A KR 20110074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ification
unit
image
optical zoom
im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4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540B1 (ko
Inventor
히로유키 호시노
에리나 이치카와
히로시 시미즈
쥰 무라키
Original Assignee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시오게산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4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07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 of motion blu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5Blur det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18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 G03B2217/185Signals indicating condition of a camera member or suitability of light providing indication that the picture may be blurr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촬상 장치는 촬상부에서 순차 생성되는 화상의 전체를 순차 표시하는 표시부와, 이 촬상부에서 순차 생성되는 화상의 일부를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표시부에 순차 표시하는 확대 표시 제어부를 구비하고,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흔들림량, 또는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되는 광학 줌 배율에 따라 확대 표시 제어부의 확대율을 변화시킨다.

Description

화상의 확대 표시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CAMERA EQUIPPED WITH IMAGE ENLARGIND DISPLAY FUNCTION}
본 발명은 촬영 화상의 일부를 확대 표시하는 확대 표시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으로 이루어지는 액정 모니터를 구비하고, 라이브 뷰 표시되는 화상을 이용하여, 해당 액정 모니터의 표시 화면을 파인더로서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가 알려져 있다. 해당 촬상 장치에서는 유저가 메뉴얼 조작으로 포커스 조정을 실행하는 경우, 액정 모니터의 해상도가 촬상 소자의 해상도보다도 낮으므로, 해당 액정 모니터의 화면을 통해 포커스가 정확하게 조정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포커스 조정의 메뉴얼 조작이 가능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 메뉴얼 조작시에, 촬상 소자에서 촬상된 화상을 소정의 확대율로 액정 모니터의 표시 화면에 확대하여 표시함으로써, 포커스가 조정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용이하게 육안 관찰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등 참조).
[특허문헌1]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11-341331호
[특허문헌2]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평성11-055560호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촬상 장치에서는 액정 모니터상에 화상을 확대하여 표시할 때의 확대율의 설정이 적정하지 않은 경우, 확대된 화상에 의해서 한층 포커스의 조정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를 들면, 손떨림가 발생한 상태나 광학 줌의 광학 줌 배율이 높은 상태임에도 불구하고 확대율을 높게 설정한 경우, 표시 화면중의 피사체는 용이하게 큰 위치 변화를 실행하기 때문에, 피사체를 잃어 포커스 조정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로서, 상기 촬상부에서 순차 생성되는 화상의 전체를 순차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촬상부에서 순차 생성되는 화상의 일부를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부에 순차 표시하는 확대 표시 제어부와, 촬상 장치의 흔들림량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흔들림량에 따라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에 의한 확대시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확대율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로서, 광학 줌 배율을 임의의 배율로 설정하는 광학 줌부와,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되는 화상의 전체를 순차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되는 화상의 일부를 또한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부에 순차 표시하는 확대 표시 제어부와,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따라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에 의한 확대시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확대율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서 순차 생성되는 화상의 전체를 순차 표시하는 표시부와, 촬상 장치의 흔들림량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촬상 장치의 컴퓨터를, 상기 촬상부에서 순차 생성되는 화상의 일부를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부에 순차 표시하는 확대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흔들림량에 따라 상기 확대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한 확대시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확대율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부와, 광학 줌 배율을 임의의 배율로 설정하는 광학 줌부와,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되는 화상의 전체를 순차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촬상 장치의 컴퓨터를,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되는 화상의 일부를 또한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부에 순차 표시하는 확대 표시 제어부와,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따라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에 의한 확대시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확대율 제어부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라이브 뷰 표시된 화상에 의거하여 수동 조작에 의한 포커스 조정이 가능하고, 해당 포커스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촬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표시부에 있어서, 화상을 라이브 뷰 표시한 표시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a)는 확대한 화상을 표시 화면 전체에 걸쳐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고, (b)는 확대한 화상을 표시 화면의 일부에만 표시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평가값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촬상 장치에 의한 확대율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설정 확대율의 증감 또는 유지의 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a)는 평가값 테이블을, (b)는 평가값 대응표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촬상 장치에 의한 확대율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의 주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3의 촬상 장치에 의한 확대율 조정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구체적인 양태를 설명한다. 단, 발명의 범위는 도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는 피사체를 촬상하는 디지털 카메라 등이다. 그리고, 촬상 장치(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10)와, 촬상부(20)와, 화상 처리부(30)와, 구동부(40)와, 흔들림량 검출부(50)와, 조작부(60)와, 계시부(70)와, 표시부(80)와, 기억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촬상부(20)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는 촬상부(20)는 도시는 생략하겠지만, 촬상 렌즈부, 조리개 기구, 전자 촬상부, 촬상 처리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촬상 렌즈부는 줌 렌즈나 포커스 렌즈 등을 구비하고, 피사체로부터의 광을 전자 촬상부에 결상시킨다.
조리개 기구는 촬상 렌즈부를 통한 광을 제어부(10)에서 제어되는 조리개값으로 조이고, 노출을 조정한다.
전자 촬상부는 예를 들면,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로 구성되고, 촬상 렌즈부의 각종 렌즈나 조리개 기구를 통과한 피사체 상을 이차원의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촬상 처리부는 도시는 생략하겠지만, 예를 들면, 타이밍 발생기, 수직 드라이버 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촬상 처리부는 타이밍 발생기, 수직 드라이버에 의해 전자 촬상부를 주사 구동시켜, 소정 주기마다 피사체상을 전자 촬상부에서 이차원의 화상 신호로 변환시키고, 해당 전자 촬상부의 촬상 영역으로부터 1화면분씩 화상 프레임을 읽어내어 화상 처리부(30)에 출력한다.
화상 처리부(30)는 촬상부(20)(촬상 처리부)로부터 전송된 화상 프레임에 의거하여, 화질 조정 처리나 해상도 변환 처리나 화상 압축 처리 등을 실행하여, 촬상부(20)에서 생성되는 화상을 표시용의 화상이나 기록용의 화상으로 변환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처리부(30)는 촬상 처리부로부터 전송된 화상 프레임의 아날로그값의 신호에 대해 RGB의 각 색성분마다 적절히 게인 조정한 후에, 샘플 홀드 회로(도시 생략)에서 샘플 홀드하여, A/D변환기(도시 생략)에서 디지털 데이타로 변환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부(30)는 해당 디지털 데이타에 대해 컬러 프로세스 회로(도시 생략)에서 화소 보간 처리 및 γ보정 처리를 포함한 컬러 프로세스 처리를 실행한 후, 디지털값의 휘도 신호 Y 및 색차 신호 Cb, Cr을 생성한다. 해당 컬러 프로세스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휘도 신호 Y 및 색차 신호 Cb, Cr은 DMA 콘트롤러(도시 생략)를 통해, 제어부(10)의 메모리부(12)에 DMA 전송된다.
구동부(40)는 모터나 기어 등(도시 생략)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한다. 그리고, 구동부(40)는 촬상부(20)에 의해 피사체를 촬상할 때에, 촬상 소자를 구동하는 촬상 소자 구동부(41)나, 줌 렌즈나 포커스 렌즈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렌즈 구동부(42) 등으로 구성된다.
흔들림량 검출부(50)는 도시하지 않은 자이로 센서나 연산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흔들림량 검출부(50)는 흔들림량 검출 센서로서의 자이로 센서에 의해 2축 방향 각각의 각속도를 검출하고, 검출된 각속도에 의거하여 연산 회로에서 촬상 장치(1)의 흔들림량을 산출하는 연산 처리를 실행하고, 산출된 흔들림량이 제어부(10)에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조작부(60)는 촬상부(20)에 의해 촬상을 실행하기 위한 촬상 모드와 해당 촬상된 화상을 표시부(42)에서 재생(표시)하기 위한 재생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버튼, 촬상부(20)에 의한 촬상 처리를 실행시키기 위한 셔터 버튼, 유저의 수동 조작에 의한 포커스 조정의 모드(메뉴얼 포커스 모드)와 자동 조작에 의한 포커스 조정의 모드(오토 포커스 모드)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스위치나, 메뉴얼 포커스 모드로 전환된 상태에서, 포커스 조정을 실행하기 위한 조정 버튼이나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버튼, 광학 줌 배율(줌 렌즈에 의한 광학 줌의 배율)을 임의의 배율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버튼 등을 구비한다. 그리고, 조작부(60)는 유저가 해당 버튼이나 스위치를 조작했을 때에, 조작 내용에 따른 조작 신호를 제어부(10)에 대해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해당 조작 신호를 입력한 제어부(10)에 의해, 조작 내용에 따른 각종 제어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표시 버튼은 유저에 의해 해당 표시 버튼이 눌러져 있는 동안만을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결정이 이루어졌다고 제어부(10)가 판단하는 버튼으로서 기능시켜도 좋다. 또, 표시 버튼은 유저에 의해 해당 표시 버튼이 한 번 눌러지면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의 표시가 선택되었을 때의 동작 모드를 제어부(10)에 실행시키고, 재차 눌러지면 해당 동작 모드를 해제하는 처리를 제어부(10)에 실행시키는 바와 같은 토글 동작이 가능한 버튼으로 해도 좋다. 또, 미리 메뉴 조작을 통해 유저가 표시 버튼의 기능을 설정해 두도록 해도 좋다.
계시부(70)는 시간을 계시하며, 해당 계시한 시간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1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표시부(42)는 메모리부(12)에 기억되는 화상을 읽어내어, 촬상부(20)에 의해 촬상된 촬상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42)는 도시는 생략하겠지만, 디지털 비디오 엔코더 등을 구비하고, 제어부(10)의 제어하에서 입력된 화상에 엔코드 처리를 실시하여 비디오 신호를 발생시키고, 해당 비디오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을 표시 화면에 표시한다. 
또, 표시부(80)는 유저가 조작부(60)를 통해 메뉴얼 포커스 모드로의 전환 조작을 실행하면, 조작부(60)에서 설정되는 광학 줌 배율에 따라 촬상부(20)에서 촬상되는 복수의 화상 프레임에 의거하는 화상의 전체를 연속적으로 표시 화면에 표시(라이브 뷰 표시)한다. 즉, 유저는 메뉴얼 포커스 모드에서 표시부(42)의 표시 화면을 파인더로서 사용할 수 있다.
기억부(90)는 불휘발성 메모리 등에 의해 구성되고, 화상 처리부(30)로부터 출력되는 화상을 기억용의 화상 데이터로서 기억한다. 그리고, 조작부(60)에서 재생 모드로의 전환 조작이 실행되면, 제어부(10)에 의해, 해당 기억부(90)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가 읽어내어지고, 재생용의 화상으로서 표시부(60)의 표시 화면에 표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1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1)와 메모리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촬상 장치(1)의 각 부를 통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는 유저에 의한 조작부(60)를 이용한 촬상 조작이나 광학 줌 배율의 설정 조작이나 포커스 위치의 조정 조작에 따른 구동부(40)(촬상 소자 구동부(41) 및 렌즈 구동부(42))의 구동 제어, 촬상부(20)에 의한 피사체의 촬상시의 노출 조건(예를 들면, 셔터 속도나 조리개값 등의 조건)을 자동 조정하는 자동 노출 처리(AE 처리), 조작부(60)에서 오토 포커스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에, 포커스 렌즈를 피사체에 대한 포커스 위치에 자동으로 맞추는 오토 포커스 처리 등을 실행한다.
즉, 제어부(10)는 촬상부에서 순차 생성되는 화상의 일부를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표시부에 순차 표시하는 확대 표시 제어부, 흔들림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흔들림량에 따라 확대 표시 제어부에 의한 확대시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확대율 제어부, 수동 조작에 의한 포커스 조정 또는 자동적인 포커스 조정을 실행하는 포커스 조정부, 확대의 대상 영역 또는 포커스 조정부에 의한 자동적인 포커스 조정의 대상으로 되는 피사체 영역을 나타내는 틀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틀 표시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CPU(11)는 메모리부(12)에 기억된 촬상 장치(1)용의 각종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서 각종 제어 동작을 실시한다.
메모리부(12)는 CPU(11)에 의해서 처리되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나, CPU(11)의 실행에 관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프로그램 메모리로 구성된다. 그리고, 메모리부(12)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으로서는 확대 표시 제어 프로그램,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 데이터로서는 후술하는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의 실행에 관한 평가값 테이블이 있다.
다음에, 메모리부(12)에 기억된 각종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한다.
확대 표시 제어 프로그램은 촬상부(20)에서 순차 생성되는 화상의 일부를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표시부(80)에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는 기능을 CPU(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구체적으로는 유저가 조작부(60)의 전환 스위치로 메뉴얼 포커스 모드로 전환하고 또한 해당 메뉴얼 포커스 모드에서 표시 버튼을 누르면, CPU(11)는 순차 촬상부(20)에서 촬상되어 라이브 뷰 표시의 대상으로 되는 화상(즉, 조작부(60)에서 설정되는 광학 줌 배율에 따라 촬상부(20)에서 촬상된 화상)에 대해, 트리밍과 확대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해당 화상의 일부를 또한 소정의 확대율(미리 정해진 초기값으로서의 확대율이나, 후술하는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의 실행시에 변화시키는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500)으로서 표시부(80)에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여기서,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500)은 도 2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부(80)의 표시 화면 전체에 걸쳐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좋고, 도 2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상의(즉, 상기 확대 처리 등을 실시하고 있지 않은) 라이브 뷰 표시가 실행되고 있는 표시부(80)의 표시 화면의 일부에만 표시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유저가 조작부(60)를 조작함으로써, CPU(11)가,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500)이 표시 화면 전체에 걸쳐 표시되는 패턴과, 표시 화면의 일부에게만 표시되는 패턴을 전환하여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하도록 구성해도 물론 좋다.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은 표시부(80)에 화상의 일부가 확대되어 표시되어 있을 때의 손떨림량 및 광학 줌 배율에 의거하여, 확대 표시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시에 화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할 때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CPU(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구체적으로는 확대 표시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으로서 화상의 일부가 확대되어 표시되면, CPU(11)는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흔들림량 검출부(50)로부터 촬상 장치(1)의 흔들림량(손떨림량)을 입력하고, 렌즈 구동부(42)에 출력한 구동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광학 줌 배율을 취득한다. 즉, CPU(11)는 메뉴얼 포커스 모드에서 화상의 일부가 표시부(80)에서 확대되어 표시되고, 유저가 포커스 조정을 실행할 때의 손떨림량과 광학 줌 배율을 파라미터로서 취득한다. 그리고, CPU(11)는 도 3에 나타내는 평가값 테이블을 메모리부(12)로부터 읽어내어, 취득한 파라미터(흔들림량 및 광학 줌 배율)에 대응하는 평가값을 추출한다. 그리고, CPU(11)는 해당 추출한 평가값에 따라 목표 확대율(확대율을 변화시켰을 때의 변화 후의 확대율의 목표값)를 결정한다.
여기서, 표시부(80)에 표시되는 화상의 일부가 확대된 상태에서는 흔들림량이나 광학 줌 배율이 큰 값일수록, 표시 화면 중의 피사체가 용이하게 큰 위치 변화를 실행하여 피사체를 잃기 쉬워진다. 그리고, 이 광학 줌 배율이 큰 상태에서는 메뉴얼 포커스 모드에 있어서의 유저의 포커스 조정이 곤란하게 된다. 그 때문에, CPU(11)는 평가값 테이블에 있어서 광학 줌 배율과 흔들림량의 적산값에 대응하는 평가값이 큰 값일수록 더욱 작은 값으로 되도록 목표 확대율을 결정한다.
또한, CPU(11)는 확대 표시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시에 화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할 때의 확대율(설정 확대율)이 상기 결정한 목표 확대율에 서서히 근접하도록, 설정 확대율과 목표 확대율의 차분량을,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시간의 총합으로 나누어, 확대율의 시간 변화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CPU(11)는 해당 산출한 시간 변화량에 의거하여 확대율을 시간과 함께 변화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도 3에 나타내는 평가값 테이블에서는 광학 줌 배율과 흔들림량의 적산값을 평가값으로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목표 확대율 그 자체를 평가값으로서 기재한 것이어도 물론 좋다.
(확대율 조정 처리)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에 의한 확대율 조정 처리에 대해 도 4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조작부(60)를 통해, 유저에 의해 전원이 온되고, 촬상 모드로 전환되면, CPU(11)가 설정 확대율을 미리 정해진 초기값으로 설정한다(스텝 S101).
다음에, CPU(11)는 유저가 조작부(60)(전환 스위치)를 조작하여, 메뉴얼 포커스 모드로 전환했는지 전환하지 않았는지(메뉴얼 포커스 모드가 유지되고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02).
그리고, CPU(11)는 스텝 S102에서 메뉴얼 포커스 모드로 전환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102; No), 오토 포커스 모드로 전환되어 있는 것으로 해서 오토 포커스 처리를 실행하고(스텝 S103), 스텝 S114의 처리로 진행된다. 또한, 상기 오토 포커스 처리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메뉴얼 포커스 모드에 있어서의 CPU(11)의 확대 표시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 처리와 달리, 포커스 확인용의 확대 표시를 실행하는 일 없이, 광학 줌 배율에 따른 화상의 전체를 표시부(80)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통상의 라이브 뷰 표시를 실행한다. 그리고, 오토 포커스 처리에 있어서의 라이브 뷰 표시에서는 포커스 확인용의 확대 표시를 실행하는 대신, 오토 포커스의 포커스 조정의 대상으로 되는 피사체 영역을 나타내는 AF틀을 표시한다.
한편, CPU(11)는 스텝 S102에서 메뉴얼 포커스 모드로 전환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102; Yes), 촬상부(20)를 통해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을 생성한다(스텝 S104).
다음에, CPU(11)는 유저가 조작부(60)(표시 버튼)를 조작하여,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의 표시를 선택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한다(스텝 S105).
그리고, CPU(11)는 스텝 S105에서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의 표시가 선택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105; No), 스텝 S104에서 생성된 화상 전체(즉, 확대 처리가 실시되지 않는 화상 그 자체)를 표시부(80)에 표시시키고(스텝 S106), 스텝 S114의 처리로 진행된다(통상의 라이브 뷰 표시의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CPU(11)는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의 표시를 선택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105; Yes), 확대 표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스텝 S104에서 생성된 화상의 일부를 설정 확대율로 확대하여 표시한다(스텝 S107). 그리고, 유저는 스텝 S107에서 확대된 화상을 표시부(60)에서 육안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포커스 조정을 위한 조작부(60)(조정 버튼)의 조작이나, 광학 줌 배율을 변경하기 위한 조작부(60)(설정 버튼)의 조작을 실행한다.
다음에, CPU(11)는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촬상 장치(1)의 흔들림량과 광학 줌 배율을 취득한다(스텝 S108). 그리고, CPU(11)는 스텝 S108에서 취득한 파라미터(흔들림량 및 광학 줌 배율)에 대응하는 평가값을 메모리부(12)의 평가값 테이블로부터다 추출하여, 목표 확대율을 결정한다(스텝 S109). 여기서, CPU(11)는 설정 확대율과 스텝 S109에서 결정한 목표 확대율이 동일한지 동일하지 동일하지 않은지를 판단하고(스텝 S110),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110; Yes), 확대율을 변화시키지 않고 스텝 S114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CPU(11)는 스텝 S110에서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110; No), 설정 확대율과 목표 확대율의 차분량으로부터 확대율의 시간 변화량(단위시간 당 변화량)을 산출한다(스텝 S111).
다음에, CPU(11)는 스텝 S111에서 산출한 시간 변화량에 의거하여, 설정 확대율을 목표 확대율을 향해 시간 변화(단위시간마다 소정량씩 변화)시킨다(스텝 S112). 그리고, CPU(11)는 계시부(70)로부터 출력되는 시간에 관한 신호에 의거하여, 스텝 S112의 처리의 개시 시점보다 미리 정해진 시간에 도달했는지 아닌지에 따라, 설정 확대율이 목표 확대율에 도달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S113), 목표 확대율에 도달해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13; No), 스텝 S112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CPU(11)는 스텝 S113에서 목표 확대율에 도달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13; Yes), 그 밖의 처리로서, 유저에 의한 조작부(60)를 통한 포커스 조정의 조작/광학 줌 배율의 설정의 조작에 따른 포커스 조정 처리/광학 줌 배율의 조정 처리, AE처리나 조작부(60)에서 셔터 버튼이 눌러졌는지 아닌지의 판단 처리, 셔터 버튼이 눌러진 경우의 화상의 메모리부(12)나 기억부(90) 등에의 기록 처리 등을 실행한다(스텝 S114).
그리고, CPU(11)는 조작부(60)를 통해 유저에 의해 재생 모드로 전환되었는지 아닌지 등에 따라, 유저에 의한 촬상이 종료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S115), 촬상이 종료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15; No), 스텝 S102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CPU(11)는 스텝 S115에서 촬상이 종료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15; Yes), 본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에 의하면, CPU(11)가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이 CPU(11)를 포함시킨 각 부가 협조하여 동작함으로써 이하와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촬상 장치(1)는 표시부(80)에 화상의 일부가 확대되어 표시되고 있을 때의(메뉴얼 포커스 모드에서 유저가 포커스 조정이나 광학 줌 배율의 조정을 실행할 때의) 파라미터를 취득하고, 해당 취득한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확대 표시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시에 화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할 때의 확대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촬상 장치(1)를 상기와 같이 확대율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표시부(80)에 화상이 표시될 때의 확대율이 적절하지 않고, 표시 화면 중의 피사체가 큰 위치 변화를 실행하여 유저의 포커스 조정이 곤란하게 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1)는 라이브 뷰 표시된 화상에 의거하여 수동 조작에 의한 포커스 조정이 가능하고, 해당 포커스 조정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촬상 장치(1)에 있어서, 조작부(60)에 의해 광학 줌 배율을 임의의 배율로 설정 가능하고, 표시부(80)에 의해 조작부(60)에서 설정되는 광학 줌 배율에 따라 촬상부(20)에서 생성되는 화상의 전체를 표시하고,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따라 촬상부(20)에서 생성되는 화상의 일부를 또한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표시부(8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촬상 장치(1)는 줌 렌즈를 이용한 광학 줌 기능과는 별도로, 트리밍이나 확대 처리를 통한 화상의 일부의 확대 표시 기능을 별도로 구비하고 있다.
또, 촬상 장치(1)는 파라미터로서의 손떨림량, 광학 줌 배율이 큰 값일수록, 목표 확대율이 작은 값으로 되도록 설정 확대율을 변화시킨다. 즉, 흔들림량이나 광학 줌 배율이 큰 값일수록, 표시 화면중의 피사체가 큰 위치 변화를 실행하여 포커스 조정이 한층 곤란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목표 확대율을 더욱 작은 값으로 함으로써, 유저에 의한 포커스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촬상 장치(1)는 취득한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목표 확대율을 결정하고, 설정 확대율이 목표 확대율에 서서히 근접하도록 확대율의 시간 변화량을 산출하고, 해당 산출한 시간 변화량에 의거하여 설정 확대율을 시간과 함께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설정 확대율에서 목표 확대율로 순간적으로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서서히 확대율을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부(80)를 육안관찰하는 유저에게 위화감을 주는 일이 없다.
또, 촬상 장치(1)는 흔들림량 검출부(50)로부터 검출되는 촬상 장치(1)의 흔들림량을 손떨림량으로 해서, 광학 줌 배율과 함께 목표 확대율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흔들림량과 광학 줌 배율의 쌍방에 의거하여 목표 확대율을 결정하므로, 설정 확대율을 한층 적절한 확대율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촬상 장치(1)는 조작부(60)에 의해 메뉴얼 포커스 모드와 오토 포커스 모드로 전환되도록 구성되고, 메뉴얼 포커스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표시부(80)에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을 표시하는 제어를 실행한다. 즉, 촬상 장치(1)는 메뉴얼 포커스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만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이 표시되므로, 오토 포커스 모드를 선택하는 유저에게 쓸데없는 혼란을 부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촬상 장치(1)는 조작부(60)에 의해 메뉴얼 포커스 모드로 전환된 경우에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500)을 표시시킬지 표시시키지 않을지를 선택시키도록 구성되고,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500)을 표시시킨다고 선택된 경우에,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500)을 표시시키는 제어를 실행한다. 즉, 유저는 메뉴얼 포커스 모드로 전환한 상태에서, 해당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500)을 표시시킬지 표시시키지 않을지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으므로, 유저에게 있어서의 촬상 장치(1)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또, 촬상 장치(1)는 표시부(80)의 표시 화면의 일부에만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500)을 표시하도록 제어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유저는 해당 표시 화면의 일부에서 포커스 조정을 실행하는 동시에, 상기 일부 이외의 표시 화면을 통해, 화각내의 피사체의 확인 등, 다른 작업을 병행하여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촬상 장치(1)의 편리성이 향상한다.
(실시형태 2)
다음에, 실시형태 2에 관한 촬상 장치(1a)에 대해, 도 5∼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실시형태 1에 관한 촬상 장치(1)에서는 흔들림량 검출부(50)로부터 검출되는 촬상 장치(1)의 흔들림량을 손떨림량으로 해서, 흔들림량과 광학 줌 배율에 의거하여 목표 확대율을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촬상 장치(1a)에서는 설정 확대율로 확대한 화상의 흔들림량을 손떨림량으로 해서, 목표 확대율을 결정하는 일 없이, 흔들림량에 의거하여 설정 확대율을 증감할지 또는 유지할지를 결정하는 점에서 실시형태 1과 다르다.
또한, 이하의 촬상 장치(1a)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형태 1에 관한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촬상 장치(1a)는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와, 촬상부(20)와, 화상 처리부(30)와, 구동부(40)와, 조작부(60)와, 계시부(70)와, 표시부(80)와, 기억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0)의 메모리부(12a)는 CPU(11)에 의해서 처리되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나, CPU(11)의 실행에 관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프로그램 메모리로 구성된다. 그리고, 메모리부(12a)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으로서는 확대 표시 제어 프로그램,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 데이터로서는 후술하는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의 실행에 관한 평가값 테이블이나 평가값 대응표 등이 있다.
다음에, 메모리부(12a)에 기억된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한다.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은 표시부(80)에 화상의 일부가 확대되어 표시되어 있을 때의 화상의 흔들림량에 의거하여, 확대 표시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시에 화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할 때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CPU(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구체적으로는 확대 표시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으로서 화상의 일부가 확대되어 표시부(80)에 표시되면, CPU(11)는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확대 표시 제어 프로그램 실행시에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과, 해당 화상보다 1개 전의 화상 프레임에 의거하는 화상을 비교하여, 확대한 화상의 흔들림량(움직임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CPU(11)는 산출한 흔들림량에 의거하여, 도 6의 (a)에 나타내는 평가값 테이블을 메모리부(12a)보다 읽어내어, 취득한 파라미터(흔들림량)에 대응하는 평가값을 추출한다. 다음에, CPU(11)는 도 6의 (b)에 나타내는 평가값 대응표를 메모리부(12a)로부터 읽어내어, 추출한 평가값에 따라 설정 확대율을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확대율에 대해 증감할지 또는 유지할지를 결정한다.
또, CPU(11)가, 설정 확대율을 증감한다고 결정한 경우(예를 들면, 도 6의 (b)에 나타내는 평가값 대응표에 있어서의 평가값이 1∼4 또는 16이상이었던 경우), 확대율의 시간 증감량에 따라, 확대율을 미리 정한 설정 시간 등이 경과할 때까지 시간과 함께 변화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상기 확대율의 시간 증감량은 시간과 함께 설정 확대율이 서서히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미리 정해진 단위시간당 확대율의 증가량 또는 감소량이며, 평가값에 의존하지 않는 일정값이다.
여기서, 화상의 일부가 확대된 상태에서, 확대한 화상의 흔들림량이 큰 값일수록, 표시부(80)의 표시 화면중의 피사체가 용이하게 큰 위치 변화를 실행하고, 메뉴얼 포커스 모드에 있어서의 유저의 포커스 조정이 곤란하게 된다. 그 때문에, CPU(11)는 확대한 화상의 흔들림량(에 대응하는 평가값)이 큰 값일수록, 변화 후의 확대율이 더욱 작은 값으로 되도록 설정 시간을 설정한다(즉, 증가시키는 경우에는 더욱 단시간이 되도록, 감소시키는 경우는 더욱 장시간이 되도록 설정한다).
(확대율 조정 처리)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a)에 의한 확대율 조정 처리에 대해 도 7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스텝 S101∼스텝 S107, 및 스텝 S114∼스텝 S115의 처리는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확대율 조정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CPU(11)는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스텝 S107에서 확대된 화상의 흔들림량을 취득(산출)한다(스텝 S108a). 그리고, CPU(11)는 스텝 S108a에서 취득한 파라미터(움직임량)에 대응하는 평가값을 메모리부(12a)의 평가값 테이블로부터 추출한다(스텝 S109a). 여기서, CPU(11)는 추출한 평가값이 평가값 대응표에 있어서의 유지 범위내(도 6의 (b)에 나타내는 평가값 5∼15의 범위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S110a), 유지 범위내에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110a; Yes), 확대율을 변화시키지 않고 스텝 S114의 처리로 진행한다.
한편, CPU(11)는 스텝 S110a에서 유지 범위내에 없다고 판단하는 경우(스텝 S110a; No), 설정 시간을 설정하여, 설정 확대율을 시간 증감량에 따라 시간 변화시킨다(스텝 S111a). 그리고, CPU(11)는 계시부(70)로부터 출력되는 시간에 관한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했는지 아닌지를 판단하고(스텝 S112a), 설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12a; No), 스텝 S111a 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한편, CPU(11)는 설정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 S112a; Yes), 스텝 S114의 처리로 진행한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a)에 의하면, 실시형태 1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 CPU(11)가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취득한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설정 확대율을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확대율에 대해 증감할지 또는 유지할지를 결정하고, 확대율의 시간 증감량에 의거하여 설정 확대율을 시간과 함께 증감시키므로, 목표 확대율을 산출할 필요가 없고, 촬상 장치(1)에 비해 제어부(10)의 처리 부담의 경감을 기대할 수 있다.
또, 촬상 장치(1a)는 CPU(11)가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산출하는 확대한 화상의 흔들림량을 손떨림량으로서, 설정 확대율을 증감할지 또는 유지할지를 결정하므로, 흔들림량 검출용의 센서 등에 의해 촬상 장치(1a)의 흔들림량을 검출하는 구성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촬상 장치(1a)의 제조 코스트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에, 실시형태 3에 관한 촬상 장치(1b)에 대해, 도 8∼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실시형태 2에 관한 촬상 장치(1a)는 확대한 화상의 흔들림량을 손떨림량으로 해서, 목표 확대율을 결정하는 일 없이 흔들림량에 의거하여 설정 확대율을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확대율에 대해 증감할지 또는 유지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었지만, 실시형태 3에 관한 촬상 장치(1b)는 촬상부(20)에 의해 생성되는 화상의 고주파 성분을 검출하는 화상 처리에 의거하여 첨예도(sharpness)를 취득하고, 해당 첨예도를 상기 손떨림량과 마찬가지의 파라미터로서, 목표 확대율을 결정하는 일 없이 첨예도에 의거하여 설정 확대율을 증감할지 또는 유지할지를 결정하도록 구성하는 점에서 실시형태 2와 다르다.
또한, 이하의 촬상 장치(1b)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형태 1에 관한 촬상 장치(1) 및 실시형태 2에 관한 촬상 장치(1a)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촬상 장치(1b)는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어부(10)와, 촬상부(20)와, 화상 처리부(30)와, 구동부(40)와, 표시부(80)와, 계시부(70)와, 조작부(60)와, 기억부(90)와, 고주파 성분 검출부(1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주파 성분 검출부(100b)는 촬상부(20)에서 생성되는 화상에 대해, 고주파 성분을 검출하는 화상 처리에 의거하여 첨예도를 취득한다. 구체적으로는 고주파 성분 검출부(100b)는 생성된 화상에 대해 2차원 푸리에 변환을 실시하고, 상기 화상을 주파수 영역의 함수로 변환한다. 그리고, 고주파 성분 검출부(100b)는 예를 들면, 해당 변환된 함수에 대해 하이 패스 필터용의 필터 함수와의 곱을 산출하는 처리를 실시하는 등에 의해서, 전 주파수 성분 중에서 소정의 주파수 이상의 성분의 비율을 산출하여, 해당 산출 결과를 첨예도로서 제어부(10)에 출력한다.
제어부(10)의 메모리부(12b)는 CPU(11)에 의해서 처리되는 데이터 등을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버퍼 메모리나, CPU(11)의 실행에 관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프로그램 메모리로 구성된다. 그리고, 메모리부(12b)에 기억되는 프로그램으로서는 확대 표시 제어 프로그램,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 데이터로서는 후술하는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의 실행에 관한 평가값 테이블이나 평가값 대응표 등이 있다.
다음에, 메모리부(12b)에 기억된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한다.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은 고주파 성분 검출부(100b)로부터 출력되는 첨예도에 의거하여, 확대 표시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시에 화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할 때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기능을 CPU(11)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다.
구체적으로는 확대 표시 제어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포커스 조정용의 확인 화면으로서 화상의 일부가 확대되어 표시되면, CPU(11)는 고주파 성분 검출부(100b)로부터 출력되는 첨예도를 취득한다. 그리고, CPU(11)는 취득한 첨예도에 의거하여, 평가값 테이블을 메모리부(12)로부터 읽어내어, 취득한 파라미터(첨예도)에 대응하는 평가값을 추출한다. 여기서, 첨예도는 피사체에 대한 포커스 조정의 조정 정도(유저의 시각이 피사체를 첨예의 상으로서 파악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첨예도에 대한 평가값 테이블은 도 6의 (a) 나타내는 흔들림량에 대한 평가값 테이블과는 반대로, 첨예도가 작은 값일수록 큰 평가값이 할당된다.
다음에, CPU(11)는 도 6의 (b)와 같은 평가값 대응표를 메모리부(12b)로부터 읽어내고, 해당 추출한 평가값에 따라 설정 확대율을 증감할지 또는 유지할지를 결정한다.
또한, CPU(11)가, 설정 확대율을 증감한다고 결정한 경우(예를 들면, 도 6의 (b)에 나타내는 평가값 대응표에 있어서의 평가값이 1∼4 또는 16이상이었던 경우), 확대율의 시간 증감량(시간과 함께 설정 확대율이 서서히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미리 정해진 단위시간당 확대율의 증가량 또는 감소량)에 따라, 확대율을 미리 정한 설정 시간 등이 경과할 때까지 시간과 함께 변화시키는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화상의 일부가 확대된 상태에서, 첨예도가 작은 값일수록, 표시부(80)에 있어서의 표시 화면 중의 피사체가 뿌예점 상태로 유저에게 인식되고, 메뉴얼 포커스 모드에 있어서의 유저의 포커스 조정이 곤란하게 된다. 그 때문에, CPU(11)는 첨예도가 작은 값일수록, 변화 후의 확대율이 더욱 작은 값으로 되도록 설정 시간을 설정한다.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메뉴얼 포커스 모드시에 있어서, 유저가 수동 조작으로 포커스 조정을 실행하는 경우의 조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상의 일부를 확대하는 표시를 실행하였다. 즉, 스텝 S102에서 메뉴얼 포커스 모드로 전환했다고 판단한 경우에만, 스텝 S104에서 스텝 S113까지의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메뉴얼 포커스 모드시 뿐만 아니라, 오토 포커스 모드시에 있어서, 유저가 오토 포커스에 의한 포커스 조정의 상태를 확인하는 경우의 육안관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상의 일부를 확대하는 표시를 실시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실시형태의 일부를 다음과 같이 변형한다.
즉, 스텝 S102에서 오토 포커스 모드로 전환했다고 판단한 경우에 있어서도, 스텝 S104에서 스텝 S113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실행한다.
단, 오토 포커스 모드에 있어서는 스텝 S104에서 스텝 S113 중에서 오토 포커스에 관한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104를 실행한 후, 오토 포커스의 대상으로 되는 피사체 영역을 나타내는 AF틀을 표시하고, 이 AF틀 내의 피사체를 대상으로 하여 콘트라스트 방식에 의한 오토 포커스 처리를 실행한다.
그리고, 스텝 S107의 확대 표시에서는 상기 AF틀 내의 화상을 확대하여 표시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오토 포커스의 대상으로 되는 피사체 부분의 포커스 상태를 유저가 용이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확대율 조정 처리)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관한 촬상 장치(1b)에 의한 확대율 조정 처리에 대해 도 9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스텝 S108b 이외의 처리는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확대율 조정 처리와 마찬가지의 처리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107까지의 처리의 실행 후, CPU(11)는 스텝 S107에서 화상의 일부가 확대되어 표시부(80)에 표시되면,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유저가 해당 화상을 이용하여 포커스 조정을 실행할 때의 첨예도를 고주파 성분 검출부(100b)로부터 취득한다(스텝 S108b). 그리고, CPU(11)는 스텝 S108b에서 취득한 첨예도에 의거하여, 스텝 S109a 이후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b)에 의하면, 실시형태 2에 있어서의 촬상 장치(1a)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지는 것은 물론, CPU(11)가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취득한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설정 확대율을 증감할지 또는 유지할지를 결정할 때에, 실시형태 2에서는 설정 확대율로 확대한 화상의 흔들림량을 파라미터로서 산출할 필요가 있었지만, 촬상 장치(1b)에서는 고주파수 성분 검출부(100b)로부터 출력되는 첨예도를 파라미터로서 입력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제어부(10)의 처리 부담의 경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기술은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화상 형성 장치의 일예이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이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하는 각 부의 세부 구성 및 세부 동작에 관해 본 발명의 취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1에 관한 촬상 장치(1)나 실시형태 2에 관한 촬상 장치(1a)에, 실시형태 3의 고주파수 성분 검출부(100b)를 준비해 두고, CPU(11)가 확대율 조정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에, 평가값을 결정짓는 파라미터로서 손떨림량이나 광학 줌 배율과 함께, 고주파수 성분 검출부(100b)로부터 출력되는 첨예도를 이용해도 물론 좋다(이 경우, 첨예도가 큰 값일수록 결정되는 평가값은 작아진다). 이것에 의해, CPU(11)는 복수의 파라미터에 의해 복합적으로 평가값을 결정하게 되므로, 한층 적절한 평가값을 결정지을 수 있다.
또, 실시형태 1∼3에 있어서, 촬상 장치(1∼1b)에 의한 확대율 조정 처리는 도 4, 도 7, 도 9의 스텝 S104∼스텝 S115에서 나타나도록, 촬상부(20)에 의해 피사체가 촬상되는 타이밍에서 반복하여 확대율을 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계시부(70)에서 계시되는 시간이 소정 시간에 도달한 타이밍 등에서 반복하여 조정하도록 구성해도 물론 좋다.
1; 촬상장치 10; 제어부
11; CPU 12, 12a, 12b; 메모리부
20; 촬상부 30 화상 처리부
40; 구동부 41; 촬상소자 구동부
42; 렌즈 구동부 50; 흔들림량 검출부
60; 조작부 70; 계시부
80; 표시부 90; 기억부
100B; 고주파 성분 검출부

Claims (18)

  1.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로서,
    상기 촬상부에서 순차 생성되는 화상의 전체를 순차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촬상부에서 순차 생성되는 화상의 일부를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부에 순차 표시하는 확대 표시 제어부와,
    촬상 장치의 흔들림량을 검출하는 검출부와,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흔들림량에 따라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에 의한 확대시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확대율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율 제어부는 흔들림량이 클수록 확대율이 작아지도록,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흔들림량에 따라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에 의한 확대시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광학 줌 배율을 임의의 배율로 설정하는 광학 줌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대응해서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되는 화상의 전체를 표시하고,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는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대응해서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되는 화상의 일부를 또한 상기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는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되는 화상의 전체가 상기 표시부에 한창 표시되고 있는 도중에, 유저의 지시 조작에 따라 상기 확대 표시를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는 유저의 지시 조작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화상을 확대 전의 화상에서 확대 후의 화상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는 확대 전의 화상의 일부에 합성해서 확대 후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수동 조작에 의한 포커스 조정을 실행하는 포커스 조정부와,
    확대의 대상 영역을 나타내는 틀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틀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는 상기 틀 표시 제어부에서 표시된 틀 내의 화상을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부에 순차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포커스 조정을 실행하는 포커스 조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는 상기 포커스 조정부에 의한 자동적인 포커스 조정의 대상으로 되는 피사체 부분의 화상을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부에 순차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스 조정부에 의한 자동적인 포커스 조정의 대상으로 되는 피사체 영역을 나타내는 틀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시키는 틀 표시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는 상기 틀 표시 제어부에서 표시된 틀 내의 화상을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부에 순차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율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손떨림량에 의거하여 변화 후의 확대율의 목표값을 결정하고,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가 화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할 때의 확대율이 상기 결정한 목표값에 서서히 근접하도록 확대율의 시간 변화량을 산출하고, 해당 산출한 시간 변화량에 의거하여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에 의한 확대시의 확대율을 시간과 함께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율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흔들림량에 의거하여,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가 화상의 일부를 확대하여 표시할 때의 확대율을 그 시점에서 설정되어 있는 확대율에 대해 증감할지 또는 유지할지를 결정하고, 상기 확대율을 증감한다고 결정한 경우에, 소정의 확대율의 시간 증감량에 의거하여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에 의한 확대시의 확대율을 시간과 함께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율 제어부는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흔들림량과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의 조합에 따라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에 의한 확대시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3.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부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로서,
    광학 줌 배율을 임의의 배율로 설정하는 광학 줌부와,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되는 화상의 전체를 순차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되는 화상의 일부를 또한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부에 순차 표시하는 확대 표시 제어부와,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따라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에 의한 확대시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확대율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확대율 제어부는 광학 줌 배율이 클수록 확대율이 작아지도록,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따라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5.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서 순차 생성되는 화상의 전체를 순차 표시하는 표시부와, 촬상 장치의 흔들림량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촬상 장치의 컴퓨터를,
    상기 촬상부에서 순차 생성되는 화상의 일부를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부에 순차 표시하는 확대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흔들림량에 따라 상기 확대 표시 제어 수단에 의한 확대시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확대율 제어 수단으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6.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부와, 광학 줌 배율을 임의의 배율로 설정하는 광학 줌부와,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되는 화상의 전체를 순차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로서,
    상기 촬상 장치의 컴퓨터를,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되는 화상의 일부를 또한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부에 순차 표시하는 확대 표시 제어부와,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따라 상기 확대 표시 제어부에 의한 확대시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확대율 제어부로서 기능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7.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서 순차 생성되는 화상의 전체를 순차 표시하는 표시부와, 촬상 장치의 흔들림량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촬상부에서 순차 생성되는 화상의 일부를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부에 순차 표시하는 확대 표시 제어 스텝과,
    상기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흔들림량에 따라 상기 확대 표시 제어 스텝에 의한 확대시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확대율 제어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18. 피사체를 촬상하여 화상을 생성하는 촬상부와, 광학 줌 배율을 임의의 배율로 설정하는 광학 줌부와,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되는 화상의 전체를 순차 표시하는 표시부를 구비한 촬상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대응하여 상기 촬상부에서 생성되는 화상의 일부를 또한 소정의 확대율로 확대하면서 상기 표시부에 순차 표시하는 확대 표시 제어 스텝과,
    상기 광학 줌부에 의해 설정된 광학 줌 배율에 따라 상기 확대 표시 제어 스텝에 의한 확대시의 확대율을 변화시키는 확대율 제어 스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KR1020100134676A 2009-12-25 2010-12-24 화상의 확대 표시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KR101237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293577 2009-12-25
JP2009293577A JP5218388B2 (ja) 2009-12-25 2009-12-25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718A true KR20110074718A (ko) 2011-07-01
KR101237540B1 KR101237540B1 (ko) 2013-02-26

Family

ID=44175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4676A KR101237540B1 (ko) 2009-12-25 2010-12-24 화상의 확대 표시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736736B2 (ko)
JP (1) JP5218388B2 (ko)
KR (1) KR101237540B1 (ko)
CN (1) CN102111555B (ko)
TW (1) TWI50855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766A1 (en) * 2011-11-14 201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Zoom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2664B2 (ja) * 2009-10-22 2014-03-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5457924B2 (ja) * 2010-04-15 2014-04-02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2012008307A (ja) * 2010-06-24 2012-01-12 Olympus Imaging Corp 撮影装置および表示方法
US9503645B2 (en) * 2012-05-24 2016-11-22 Mediatek Inc. Preview system for concurrently displaying multiple preview images generated based on input image generated by image capture apparatus and related preview method thereof
CN103679632A (zh) * 2012-09-18 2014-03-26 英业达科技有限公司 以不同缩放比例缩放影像中不同区域的系统及方法
WO2014069228A1 (ja) * 2012-11-05 2014-05-0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DE102013200312A1 (de) * 2013-01-11 2014-07-17 Carl Zeiss Sports Optics Gmbh Optisches System zur Abbildung eines Objekts sowie Verfahren zum Betrieb des optischen Systems
CN104104787B (zh) * 2013-04-12 2016-12-28 上海果壳电子有限公司 拍照方法、系统及手持设备
JP6307942B2 (ja) * 2014-03-05 2018-04-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2016213582A (ja) * 2015-05-01 2016-12-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観察装置
CN105100622B (zh) * 2015-08-04 2019-05-07 广州飞米电子科技有限公司 变焦实现方法及装置、电子设备
JP6675917B2 (ja) * 2016-04-19 2020-04-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CN106937045B (zh) 2017-02-23 2020-08-14 华为机器有限公司 一种预览图像的显示方法、终端设备及计算机存储介质
JP6873830B2 (ja) 2017-06-05 2021-05-19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92315A (ja) * 2018-12-04 2020-06-1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撮像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2021015417A (ja) * 2019-07-11 2021-02-12 株式会社ソニー・インタラクティブエンタテインメント 画像処理装置、画像配信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方法
CN111918112B (zh) * 2020-06-29 2021-07-20 北京大学 一种视频优化的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55560A (ja) 1997-08-01 1999-02-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EP0854642A3 (en) 1997-01-20 1999-10-2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Digital camera with interchangeable displays
JP4050385B2 (ja) 1998-05-21 2008-02-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的撮像装置
JP4162333B2 (ja) * 1999-07-09 2008-10-08 株式会社東芝 監視システム
JP2004229002A (ja) * 2003-01-23 2004-08-12 Sony Corp 撮像装置
JP2006267217A (ja) 2005-03-22 2006-10-05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光学装置、撮像装置、光学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7710458B2 (en) 2005-06-17 2010-05-04 Casio Computer Co., Ltd. Image pick-up apparatus with a shake reducing function
CN101444084B (zh) 2006-05-09 2012-02-15 夏普株式会社 摄像装置
JP2008054062A (ja) 2006-08-24 2008-03-06 Olympus Imaging Corp 撮像装置
JP4712661B2 (ja) 2006-09-22 2011-06-29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JP4254836B2 (ja) 2006-10-10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5058834B2 (ja) * 2008-01-22 2012-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0016613A (ja) * 2008-07-03 2010-01-21 Canon Inc 撮像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73766A1 (en) * 2011-11-14 2013-05-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Zoom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US8823837B2 (en) 2011-11-14 2014-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Zoom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33696A (ja) 2011-07-07
CN102111555A (zh) 2011-06-29
TW201143392A (en) 2011-12-01
US20110157385A1 (en) 2011-06-30
US8736736B2 (en) 2014-05-27
TWI508550B (zh) 2015-11-11
JP5218388B2 (ja) 2013-06-26
KR101237540B1 (ko) 2013-02-26
CN102111555B (zh) 2014-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7540B1 (ko) 화상의 확대 표시 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JP4916513B2 (ja) 撮像装置
JP4374574B2 (ja) マニュアルフォーカス調整装置及び合焦アシスト・プログラム
US8593545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with switched image capturing mode
JP2010124120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TWI492618B (zh) 攝影裝置及電腦可讀取記錄媒體
US20140028864A1 (en) Imaging apparatus
JP2013162412A (ja) 撮像装置及び画質調整方法、画質調整プログラム
JP5197454B2 (ja) デジタルカメラ
JP6377286B2 (ja) 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作動プログラム
JP5081133B2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5276538B2 (ja) Af枠自動追尾システム
JP4853018B2 (ja)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395683B2 (en) Imaging apparatus having a cyclic noise reduction un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792273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14062926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JP2009278486A (ja) 撮像装置
JP2011075841A (ja) 撮像装置
JP4848763B2 (ja)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7069673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JP5450851B2 (ja) カメラシステム
JP2011085945A (ja)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10050876A (ja) カメラ
JP2004159150A (ja) 撮像装置
JP2010122367A (ja) オートフォーカス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