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4674A - 피리돈 착체 화합물 - Google Patents

피리돈 착체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4674A
KR20110074674A KR1020100131221A KR20100131221A KR20110074674A KR 20110074674 A KR20110074674 A KR 20110074674A KR 1020100131221 A KR1020100131221 A KR 1020100131221A KR 20100131221 A KR20100131221 A KR 20100131221A KR 20110074674 A KR20110074674 A KR 201100746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hydrocarbon group
hydrogen atom
compound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1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키 다츠미
박소연
유지 우에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746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467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11/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6 or 16 of the Periodic 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78Ring systems having three or more relevant rings
    • C07D311/80Dibenzopyrans; Hydrogenated dibenzopyrans
    • C07D311/82Xanth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8/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8/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four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6Organo-metallic compounds, i.e.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metal-to-carbon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10Metal complexes of organic compounds not being dyes in uncomplexed for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Abstract

피리돈 착체 화합물, 피리돈 착체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료, 및 피리돈 착체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료와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하는 착색 수지 조성물.

Description

피리돈 착체 화합물{PYRIDONE COMPLEX COMPOUNDS}
본 발명은, 염료로서 유용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금속착염 화합물의 색소는, 여러가지 분야(예를 들면, 섬유 재료, 액정 표시장치 등)에서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이용하여 색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색소로서는, 예를 들면, 아조화합물을 배위자로 하는 크롬착체의 염료인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C.I. Solvent Yellow 21이 널리 알려져 있다.
Figure pat00001
[비특허문헌 1]
Industrial Dyes Chemistry, Properties, Applications, WILEY-VCH, 2003.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상기의 화합물에서는, 몰흡광계수가 작고, 분광농도에 대하여 충분히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닌 경우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하의 [1]∼[8]를 제공하는 것이다.
[1] 식 (0)로 나타내는 화합물.
Figure pat00002
[식 (O)에서, R1은,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포화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원자는, -OR8, -COOR8, -OCOR8, -CONR8R9,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당해 포화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 중 -O-과 결합하고 있지 않은 -CH2-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2는, 수소원자, -CN, 또는 -CONH2기를 나타낸다.
R3은,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4a∼R7a는 각각 독립으로, -R8, OR8, -COOR8, -COR8, -OCOOR8, -OCOR8, -CN, -NO2, 할로겐원자, -SO3H, -SO3Na, -SO3K, -SO2NR8R9 또는 -NRllR12를 나타낸다. R4a 및 R5a, R5a 및 R6a 그리고 R6a 및 R7a는, 서로 결합하여 벤젠환의 탄소를 포함한 6∼7원환을 형성하여도 된다.
R8 및 R9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지방족 탄화수소기, 당해 아랄킬기 및 당해 방향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원자는, -OR10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10은,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l1 및 R12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2∼8의 아실기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기를 나타낸다. R11 및 R12는, 서로 결합하여 질소원자를 포함한 고리를 형성하여도 된다.
R21∼R25는,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26 및 R27은,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2] 식 (I)로 나타내는 화합물.
Figure pat00003
[식 (I)에서, R1은,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포화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원자는, -OR8, -COOR8, -OCOR8, -CONR8R9,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당해 포화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 중 -O-와 결합하고 있지 않은 -CH2-는, -CO-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2는 수소원자, -CN 또는 -CONH2을 나타낸다.
R3은 수소원자,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4∼R7은, 서로 독립으로, -R8, -OR8, -COOR8, -CN, -NO2, 할로겐원자, -SO3H, -SO3Na, -SO3K, 또는 -SO2NR8R9를 나타낸다.
R8 및 R9는,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지방족 탄화수소기, 당해 아랄킬기 및 당해 방향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원자는, -OR10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10은,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21∼R25는,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26 및 R27은,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3] R1이, -OH 또는 -OCOR8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인 [1] 또는 [2]에 기재된 화합물.
[4] R4a∼R7a 중 적어도 3개가 수소원자이거나, 또는 R4∼R7 중 적어도 3개가 수소원자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5] R2가, -CN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6] R25가,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7]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료.
[8] [7]에 기재된 염료,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하는 착색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식 (O)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하, 「화합물(O)」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는, 그 호변이성체도 포함된다.
Figure pat00004
[식 (O)에서, R1은,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포화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원자는, -OR8, -COOR8, -OCOR8, -CONR8R9,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당해 포화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 중 -O-와 결합하고 있지 않은 -CH2-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2는, 수소원자, -CN, 또는 -CONH2기를 나타낸다.
R3은,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4a∼R7a는 각각 독립으로, -R8, OR8, -COOR8, -COR8, -OCOOR8, -OCOR8, -CN, -NO2, 할로겐원자, -SO3H, -SO3Na, -SO3K, -SO2NR8R9 또는 -NRllR12를 나타낸다. R4a 및 R5a, R5a 및 R6a 그리고 R6a 및 R7a는, 서로 결합하여 벤젠환의 탄소를 포함한 6∼7원환을 형성하여도 된다.
R8 및 R9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지방족 탄화수소기, 당해 아랄킬기 및 당해 방향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원자는, -OR10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10은,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2∼8의 아실기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기를 나타낸다. Rl1 및 R12는, 서로 결합하여 질소원자를 포함한 고리를 형성하여도 된다.
R21∼R25는,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26 및 R27은,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식 (I)로 나타내는 화합물(이하, 「화합물(I)」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O) 및 화합물(I)은, 애나이언 부분의 크롬 착이온과, 카티온 부분의 로다민화합물에 유래한 카티온으로된 염이다.
Figure pat00005
[식 (I)에서, R1은,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포화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원자는, -OR8, -COOR8, -OCOR8, -CONR8R9,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당해 포화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 중 -O-와 결합하지 않은 -CH2-는, -CO-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2는 수소원자, -CN 또는 -CONH2을 나타낸다.
R3은 수소원자,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4∼R7은, 서로 독립으로, -R8, -OR8, -COOR8, -CN, -NO2, 할로겐원자, -SO3H, -SO3Na, -SO3K, 또는 -SO2NR8R9를 나타낸다.
R8 및 R9는,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지방족 탄화수소기, 당해 아랄킬기 및 당해 방향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원자는, -OR10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10은,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21∼R25는,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26 및 R27은,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R1 및 R10에서의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등의 직쇄형상 포화탄화수소기;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이소펜틸기, 1-메틸펜틸기, 2-메틸펜틸기, 3-메틸펜틸기, 4-메틸펜틸기, 1-에틸부틸기, 2-에틸부틸기, 1-메틸헥실기, 2-메틸헥실기, 3-메틸헥실기, 4-메틸헥실기, 5-메틸헥실기, 1-에틸펜틸기, 2-에틸펜틸기, 3-에틸펜틸기, 1-프로필부틸기, 1-(1-메틸에틸)부틸기, 1-(1-메틸에틸)-2-메틸프로필기, 1-메틸헵틸기, 2-메틸헵틸기, 3-메틸헵틸기, 4-메틸헵틸기, 5-메틸헵틸기, 6-메틸헵틸기, 1-에틸헥실기, 2-에틸헥실기, 3-에틸헥실기, 4-에틸헥실기, 1-n-프로필펜틸기, 2-프로필펜틸기, 1-(1-메틸에틸)펜틸기, 1-부틸부틸기, 1-부틸-2-메틸부틸기, 1-부틸-3-메틸부틸기, 1-(1,1-디메틸에틸)부틸부틸기, tert-부틸기, 1,1-디메틸프로필기, 1,1-디메틸부틸기, 1,2-디메틸부틸기, 1,3-디메틸부틸기, 2,3-디메틸부틸기, 1-에틸-2-메틸프로필기, 1,1-디메틸펜틸기, 1,2-디메틸펜틸기, 1,3-디메틸펜틸기, 1,4-디메틸펜틸기, 2,2-디메틸펜틸기, 2,3-디메틸펜틸기, 2,4-디메틸펜틸기, 3,3-디메틸펜틸기, 3,4-디메틸펜틸기, 1-에틸-1-메틸부틸기, 1-에틸-2-메틸부틸기, 1-에틸-3-메틸부틸기, 2-에틸-1-메틸부틸기, 2-에틸-3-메틸부틸기, 1,1-디메틸헥실기, 1,2-디메틸헥실기, 1,3-디메틸헥실기, 1,4-디메틸헥실기, 1,5-디메틸헥실기, 2,2-디메틸헥실기, 2,3-디메틸헥실기, 2,4-디메틸헥실기, 2,5-디메틸헥실기, 3,3-디메틸헥실기, 3,4-디메틸헥실기, 3,5-디메틸헥실기, 4,4-디메틸헥실기, 4,5-디메틸헥실기, 1-에틸-2-메틸펜틸기, 1-에틸-3-메틸펜틸기, 1-에틸-4-메틸펜틸기, 2-에틸-1-메틸펜틸기, 2-에틸-2-메틸펜틸기, 2-에틸-3-메틸펜틸기, 2-에틸-4-메틸펜틸기, 3-에틸-1-메틸펜틸기, 3-에틸-2-메틸펜틸기, 3-에틸-3-메틸펜틸기, 3-에틸-4-메틸펜틸기, 1-프로필-1-메틸부틸기, 1-프로필-2-메틸부틸기, 1-프로필-3-메틸부틸기, 1-(1-메틸에틸)-1-메틸부틸기, 1-(1-메틸에틸)-2-메틸부틸기, 1- (1-메틸에틸)-3-메틸부틸기, 1,1-디에틸부틸기, 1,2-디에틸부틸기 등의 분기쇄형상 포화탄화수소기;
시클로프로필기, 시클로부틸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시클로옥틸기 등의 고리식 포화탄화수소기를 들 수 있다.
R8 및 R9에서의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상기 직쇄형상 포화탄화수소기 및 분기쇄형상 포화탄화수소기에서 열거한 기 외에, 비닐기, 프로페닐기, 이소프로페닐기, 부테닐기, 2-메틸프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R8 및 R9에 있어서의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로서는, 벤질기, 페닐에틸기, 페닐프로필기, 나프틸메틸기, 나프틸에틸기, 디페닐메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8, R9 및 R10에서의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페닐기, 톨루일기, 크시릴기, 나프틸기, 바이페닐기, 플루오레닐기, 안트릴기 등을 들 수 있다.
-CH2-가 -CO-로 치환된 포화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기, 3-옥소부틸기, 2-옥소부틸기, 3-옥소펜틸기, 2-옥소펜틸기, 3-옥소헥실기 등의 옥소기 함유 포화탄화수소기;
페나실기, 2-옥소-2-나프틸에틸기, 2-옥소-2-하이드록시페닐에틸기, 2-옥소-2-하이드록시나프틸에틸기, 2-옥소-2-메톡시페닐에틸기, 2-옥소-2-메톡시나프틸에틸기, 2-옥소-3-페닐프로필기, 2-옥소-3-나프틸프로필기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옥소기 함유 포화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수소원자가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는 포화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플루오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플루오로메틸기, 플루오로프로필기, 플루오로부틸기, 클로로메틸기, 클로로에틸기, 클로로프로필기, 클로로부틸기, 브로모메틸기, 브로모에틸기, 브로모프로필기, 브로모부틸기, 요오드메틸기, 요오드에틸기, 요오드프로필기, 요오드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OR8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기,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 펜틸옥시기, 헥실옥시기, 헵틸옥시기, 옥틸옥시기, 2-에틸헥실옥시기, 페녹시기, 벤질옥시기, 벤조일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OR10으로 치환되어 있는 -OR8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메틸기, 메톡시에틸기, 메톡시프로필기, 메톡시부틸기, 메톡시펜틸기, 1-에톡시프로필기, 2-에톡시프로필기, 1-에톡시-1-메틸에틸기, 1-메틸-2-에톡시에틸기, 1-(1-메틸에톡시)프로필기, 2-(1-메틸에톡시)프로필기, 1-(1-메틸에톡시)-1-메틸에틸기, 2-(1-메틸에톡시) -1-메틸에틸기, 3-에톡시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수소원자가 -OR8로 치환되어 있는 포화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하이드록시메틸기, 하이드록시에틸기, 하이드록시프로필기, 하이드록시부틸기, 하이드록시메톡시메틸기, 2-하이드록시에톡시메틸기, 2-하이드록시메톡시에틸기, 2-(2-하이드록시에톡시)에틸기, 2-옥소-4-하이드록시부틸기 등의 하이드록시기 함유 포화탄화수소기;
메톡시메틸기, 에톡시메틸기, 프로폭시메틸기, 메톡시에틸기, 에톡시에틸기, 프로폭시에틸기, 메톡시프로필기, 에톡시프로필기, 프로폭시프로필기, 2-옥소-4-메톡시부틸기 등의 알콕시기 함유 포화탄화수소기;
메톡시메톡시메틸기, 2-메톡시에톡시메틸기, 에톡시메톡시메틸기, 2-에톡시에톡시메틸기, 프로폭시메톡시메틸기, 2-프로폭시에톡시메틸기, 2-메톡시메톡시에틸기, 2-(2-메톡시에톡시)에틸기, 2-에톡시메톡시에틸기, 2-(2-에톡시에톡시)에틸기, 2-프로폭시메톡시에틸기, 2-(2-프로폭시에톡시)에틸기 등의 알콕시알킬기 함유포화탄화수소기;
페닐옥시메틸기, 1-나프틸옥시메틸기, 2-나프틸옥시메틸기, 하이드록시페닐옥시메틸기, 하이드록시나프틸옥시메틸기, 메톡시페닐옥시메틸기, 메톡시나프틸옥시메틸기, 3-페녹시-2-옥소프로필기 등의 아릴옥시기 함유 포화탄화수소기;
벤질옥시메틸기, 나프틸메톡시메틸기, 하이드록시벤질옥시메틸기, 하이드록시나프틸메톡시메틸기, 메톡시벤질옥시메틸기, 메톡시나프틸메톡시메틸기, 페닐옥시에톡시메틸기, 나프틸옥시에톡시메틸기 등의 아랄킬옥시기 함유 포화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COOR8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벤질옥시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수소원자가 -COOR8로 치환되어 있는 포화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기, 카르복시에틸기, 카르복시프로필기, 카르복시부틸기 등의 카르복시기 함유 포화탄화수소기;
메톡시카르보닐메틸기, 메톡시카르보닐에틸기, 에톡시카르보닐메틸기, 에톡시카르보닐에틸기, 프로폭시카르보닐메틸기, 프로폭시카르보닐에틸기, 부톡시카르보닐메틸기, 부톡시카르보닐에틸기, 페녹시메톡시카르보닐메틸기, 2-하이드록시에톡시카르보닐메틸기, 2-메톡시에톡시카르보닐메틸기 등의 알콕시카르보닐기 함유 포화탄화수소기;
페녹시카르보닐메틸기, 나프틸옥시카르보닐메틸기 등의 아릴옥시카르보닐기 함유 포화탄화수소기;
벤질옥시카르보닐메틸기, 나프틸메톡시카르보닐메틸기 등의 아랄킬옥시카르보닐기 함유 포화탄화수소기;
2-옥소프로폭시카르보닐메틸기, 2-(2-옥소프로폭시카르보닐)에틸기, 3-(2-옥소프로폭시카르보닐)프로필기, 2-옥소부톡시카르보닐메틸기, 2-(2-옥소부톡시카르보닐)에틸기, 3-(2-옥소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기, 2-옥소펜틸옥시카르보닐메틸기, 2-(2-옥소펜틸옥시카르보닐)에틸기, 3-(2-옥소펜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기, 3-옥소부톡시카르보닐메틸기, 2-(3-옥소부톡시카르보닐)에틸기, 3-(3-옥소부톡시카르보닐)프로필기, 3-옥소펜틸옥시카르보닐메틸기, 2-(3-옥소펜틸옥시카르보닐)에틸기, 3-(3-옥소펜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기, 2-옥소헥실옥시카르보닐메틸기, 2-(2-옥소 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기, 3-(2-옥소헥실옥시카르보닐)프로필기 등의 -CH2-가 -CO-로 치환된 알콕시카르보닐기를 함유하는 포화탄화수소기;
3-메톡시카르보닐-2-옥소프로필기, 4-메톡시카르보닐-3-옥소부틸기, 5-메톡시카르보닐-4-옥소펜틸기, 3-에톡시카르보닐-2-옥소프로필기, 4-에톡시카르보닐-3-옥소부틸기, 5-에톡시카르보닐-4-옥소펜틸기, 3-프로폭시카르보닐-2-옥소프로필기, 4-프로폭시카르보닐-3-옥소부틸기, 5-프로폭시카르보닐-4-옥소펜틸기, 4-메톡시카르보닐-2-옥소부틸기, 4-메톡시카르보닐-3-옥소펜틸기, 5-메톡시카르보닐-4-옥소 헥실기, 4-에톡시카르보닐-2-옥소부틸기, 4-에톡시카르보닐-3-옥소펜틸기, 5-에톡시카르보닐-4-옥소헥실기, 4-프로폭시카르보닐-2-옥소부틸기, 4-프로폭시카르보닐-3-옥소펜틸기, 5-프로폭시카르보닐-4-옥소헥실기 등의 알콕시카르보닐기 함유이고, 또한 -CH2-가 -CO-로 치환된 포화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수소원자가 -CONR8R9로 치환되어 있는 포화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N- 메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N-메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N,N-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N,N-디메틸아미노카르보닐에틸기, N,N-에틸메틸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N,N-에틸메틸카르보닐에틸기 등의 알킬기 치환 카르바모일기 함유 포화탄화수소기;
N-페닐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N,N-페닐메틸카르보닐메틸기, N,N-디페닐카르보닐메틸기, N,N-페닐벤질카르보닐메틸기 등의 아릴기 치환 카르바모일기 함유 포화탄화수소기;
N-벤질아미노카르보닐메틸기, N,N-디벤질카르보닐메틸기, N,N-비스(2-페닐에틸)카르보닐메틸기 등의 아랄킬기 치환 카르바모일기 함유 포화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OCOR8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옥시기, 피발로일옥시기, 벤조일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수소원자가 -OCOR8로 치환되어 있는 포화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옥시메틸기, 아세틸옥시에틸기, 에틸카르보닐옥시메틸기, 에틸카르보닐옥시에틸기, 프로필카르보닐옥시메틸기, 프로필카르보닐옥시에틸기, 부틸카르보닐옥시메틸기, 부틸카르보닐옥시에틸기, 헥사노일옥시에틸기, 2-에틸부티릴옥시에틸기, 2-에틸헥사노일옥시에틸기, 2-프로필헥사노일옥시에틸기, 피발로일옥시에틸기, 2-메틸프로피오닐옥시에틸기 등의 알킬카르보닐옥시기 함유 포화탄화수소기;
벤조일옥시메틸기, 벤조일옥시에틸기, 나프틸옥시카르보닐메틸기, 벤질카르보닐옥시메틸기, 나프틸메틸카르보닐옥시메틸기, 메틸벤조일옥시메틸기, 2-메틸벤조일옥시에틸기, 4-메틸벤조일옥시에틸기, 3,4-디메틸벤조일옥시에틸기, 하이드록시벤조일옥시메틸기, 메톡시벤조일옥시메틸기, 4-메톡시벤조일옥시에틸기, 3,4-디메톡시벤조일옥시에틸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카르보닐옥시기 함유 포화탄화수소기 등을 들 수 있다.
-COR8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이소부티릴기, 발레릴기및 이소발레릴기 등을 들 수 있다.
-OCOOR8로서는, 예를 들면, 메톡시카르보닐옥시기, 에톡시카르보닐옥시기, n-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기, 이소프로폭시카르보닐옥시기, n-부톡시카르보닐옥시기, 이소부톡시카르보닐옥시기, sec-부톡시카르보닐옥시기, n-펜틸옥시카르보닐옥시기, 페녹시카르보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수소원자가 탄소수 6∼1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 치환되어 있는 포화탄화수소기로서는, 예를 들면, 벤질기, 1-나프틸메틸기, 2-나프틸메틸기,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기 등을 들 수 있다.
Figure pat00006
R1로서는,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수소원자가 -OR8로 치환되어 있는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수소원자가 -COOR8로 치환되어 있는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수소원자가 -OCOR8로 치환되어 있는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고, 수소원자가 -COOR8로 치환되어 있는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 수소원자가 -OCOR8로 치환되어 있는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가 바람직하며, 식 (f-1)∼식 (f-14)로 나타내는 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R1이 상기한 기이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기용매에 높은 용해성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식 (f-1)∼식 (f-14)에서, *은, 피리돈환 상의 질소원자와의 결합위치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R1로서는, -OH 또는 -OCOR8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1이 이들의 기이면,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R2는, 수소원자, -CN 또는-CONH2이다. 그 중에서도, -CN이, 원료를 입수하기 쉬운 점에서 바람직하다.
R3은, 수소원자,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다.
탄소수 1∼4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면,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3으로서는, 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R4a∼R7a는, 각각 독립으로, -R8, -OR8, -COOR8, -CN, -NO2, 할로겐원자, -SO3H, -SO3Na, -SO3K, -SO2NR8R9 또는 -NR11R12인 것이 바람직하다.
R4∼R7은, 서로 독립으로, -R8, -OR8, -COOR8, -CN, -NO2, 할로겐원자, -SO3H, -SO3Na, -SO3K, 또는 -SO2NR8R9이다.
R4a∼R7a에서의 -NR11Rl2로서는, 예를 들면, N-메틸아미노기, N,N-디메틸아미노기, N-에틸아미노기, N,N-디에틸아미노기, N-프로필아미노기, N,N-디프로필아미노기, N-부틸아미노기, N,N-디부틸아미노기, N-펜틸아미노기, N-아세틸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R11 및 R12가 서로 결합하여 질소원자를 포함한 고리를 형성한 -NR11R12로서는, 예를 들면, 1-피라졸릴기, 피롤리디노기, 피페리디노기, 모르폴리노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의 관점에서, N-아세틸아미노기가 바람직하다.
R4∼R7 중, 적어도 3개가 수소원자이면, 색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R4a∼R7a 및 R4∼R7에서의 -SO2NR8R9로서는, 무치환의 술파모일기, N-1 치환 술파모일기 및 N,N-2 치환 술파모일기를 들 수 있다.
N-1 치환 술파모일기로서는, 예를 들면, N-메틸술파모일기, N-에틸술파모일기, N-프로필술파모일기, N-이소프로필술파모일기, N-부틸술파모일기, N-이소부틸술파모일기, N-sec-부틸술파모일기, N-tert-부틸술파모일기, N-펜틸술파모일기, N- (1-에틸프로필)술파모일기, N-(1,1-디메틸프로필)술파모일기, N-(1,2-디메틸프로필)술파모일기, N-(2,2-디메틸프로필)술파모일기, N-(1-메틸부틸)술파모일기, N- (2-메틸부틸)술파모일기, N-(3-메틸부틸)술파모일기, N-시클로펜틸술파모일기, N-헥실술파모일기, N-(1,3-디메틸부틸)술파모일기, N-(3,3-디메틸부틸)술파모일기, N-헵틸술파모일기, N-(1-메틸헥실)술파모일기, N-(1,4-디메틸펜틸)술파모일기, N-옥틸술파모일기, N-(2-에틸헥실)술파모일기, N-(1,5-디메틸)헥실술파모일기, N-(1,1,2,2-테트라메틸부틸)술파모일기, N-알릴술파모일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 치환된 N-1 치환 술파모일기;
N-(2-하이드록시에틸)술파모일기, N-(3-하이드록시프로필)술파모일기, N-(2-하이드록시프로필)술파모일기, N-(2,3-디하이드록시프로필)술파모일기, N-(2-하이드록시부틸)술파모일기, N-(4-하이드록시부틸)술파모일기, N-(1-하이드록시메틸에틸)술파모일기 등의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로 치환된 N-1 치환 술파모일기;
N-(2-메톡시에틸)술파모일기, N-(2-에톡시에틸)술파모일기, N-(1-메톡시프로필)술파모일기, N-메톡시프로필술파모일기, N-에톡시프로필술파모일기, N-프로폭시프로필술파모일기, N-이소프로폭시프로필술파모일기, N-헥시록시프로필술파모일기, N-(2-에틸헥시록시프로필)술파모일기, N-(3-tert-부톡시프로필)술파모일기, N-(4,4-디메톡시부틸)술파모일기, N-메톡시헥실술파모일기 등의 알콕시기를 가지는 알킬기 또는 시클로알킬기로 치환된 N-1 치환 술파모일기;
N-[1-(2-에톡시에톡시)프로필]술파모일기 등의 알콕시알킬기를 가지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로 치환된 N-1 치환 술파모일기;
N-페닐술파모일기, N-(1-나프틸)술파모일기 등의 아릴기로 치환된 N-1 치환 술파모일기;
N-벤질술파모일기, N-(1-페닐에틸)술파모일기, N-(2-페닐에틸)술파모일기, N-(3-페닐프로필)술파모일기, N-(4-페닐부틸)술파모일기, N-[2-(2-나프틸)에틸]술파모일기, N-[2-(4-메틸페닐)에틸]술파모일기, N-(3-페닐-1-프로필)술파모일기, N- (3-페닐-1-메틸프로필)술파모일기 등의 아랄킬기로 치환된 N-1 치환 술파모일기;
N-(3,4,5-트리메톡시벤질)술파모일기, N-[2-(3,4-디메톡시페닐)에틸]술파모일기, N-[2-(2-에톡시페닐)에틸]술파모일기 등의 치환기를 가지는 아랄킬기로 치환된 N-1 치환 술파모일기;
N,N-2 치환 술파모일기로서는, 예를 들면, N,N-디메틸술파모일기, N,N-에틸메틸술파모일기, N,N-디에틸술파모일기, N,N-프로필메틸술파모일기, N,N-이소프로필메틸술파모일기, N,N-tert-부틸메틸술파모일기, N,N-부틸에틸술파모일기, N,N-비스(1-메틸프로필)술파모일기, N,N-헵틸메틸술파모일기 등의 2개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 치환된 N,N- 치환 술파모일기;
N,N-비스(2-하이드록시에틸)술파모일기, N,N-비스(2-메톡시에틸)술파모일기, N,N-비스(2-에톡시에틸)술파모일기 등의 치환을 가지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로 치환된 N,N-2 치환 술파모일기 등을 들 수 있다.
-SO2NR8R9에서의 R8 및 R9로서는, 탄소수 6∼8의 분기쇄형상 알킬기, 알릴기, 페닐기, 탄소수 8∼10의 아랄킬기, 탄소수 2∼8의 하이드록시기 함유 알킬기 또는 아릴기, 또는 탄소수 2∼8의 알콕시기 함유 알킬기 또는 아릴기가 바람직하고, 2-에틸헥실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R21∼R25를 나타내는 탄소수 1∼8의 탄소수 1∼8의 1가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R8 및 R9에 있어서의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R21∼R25를 나타내는 1가의 탄소수 6∼1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R8, R9 및 R10에 있어서의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R21∼R24는,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8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소원자 또는 에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21∼R24의 합계의 탄소수는 1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당해 탄소수가 10 이하이면, 분광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R25로서는,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페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26 및 R27은,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화합물(O) 및 화합물(I)에 있어서, 카티온 부분이 되는 로다민화합물에 유래한 카티온[즉 하기식(II)로 나타내는 카티온]으로서는, 식 (II-1)∼(II-146)에서 나타내는 카티온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9
[식 (II)에서, R21∼R27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Figure pat00019

화합물(O)으로서는, 예를 들면, 화합물(I-1)∼화합물(I-320) 등을 들 수 있다. A+는, 로다민화합물에 유래한 카티온을 나타낸다. 표 1에서, A+의 란은, 상기에 예시한 카티온의 식의 번호를 기재한다. nBu는, n-부틸기를 나타내고, Et는 에틸기를 나타낸다. 또한, R1 란에 식 번호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상기에 나타낸 기의 식 번호를 기재한다.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Figure pat00034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7
그 중에서도, 분광농도가 높기 때문에, 화합물(I-1)∼화합물(1-4), 화합물(I-286) 및 화합물(I-299)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화합물(I)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합물(O) 중 화합물(I)이 아닌 화합물도, 하기에 나타내는 화합물(I)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I)은, 식 (d)로 나타내는 화합물(이하「화합물(d)」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과 크롬화합물을 사용하여, 크롬착염을 형성시키고, 그 후에 당해 크롬착염과, 식 (II)으로 나타낸 카티온을 포함하는 염을 염교환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pat00038
[식 (d)에서, R1∼R7은, 식 (I)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화합물(d)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본국 특공평7-88633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 디아조늄염과 피리돈화합물을 디아조커플링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화합물(d)는, 식 (b)로 나타내는 디아조늄염과 식 (c)로 나타내는 피리돈화합물을 디아조커플링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식 (b)로 나타내는 디아조늄염은, 예를 들면, 식 (a)로 나타내는 아민을, 아질산, 아질산염 또는 아질산에스테르에 의해 디아조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Figure pat00039
[식 (a), 식 (b) 및 식 (c)에서, R1∼R7은, 식 (I)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1은, 무기 애나이언 또는 유기 애나이언을 나타낸다.]
상기 무기 애나이언으로서는, 예를 들면, 불화물이온, 염화물이온, 브롬화물이온, 옥화물이온, 과염소산이온, 차아염소산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애나이언으로서는, 예를 들면, CH3-COO-, C6H5-COO-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화물이온, 브롬화물이온, CH3-COO- 이다.
식 (b)로 나타내는 디아조늄염과, 식 (c)로 나타내는 피리돈화합물을, 수성용매 중에서 반응시킴으로써, 화합물(d)를 제조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5℃∼60℃가 바람직하고, 0℃∼30℃가 더욱 바람직하다. 반응시간은, 1시간∼12시간이 바람직하고, 1시간∼4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N-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반응혼합물로부터 목적 화합물인 화합물(d)를 취득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여러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혼합물을 산(예를 들면, 아세트산 등) 및 물과 함께 혼합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은, 미리 산의 수용액을 조제하고 나서, 반응혼합물을 상기 수용액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혼합물을 첨가할 때의 온도는, 통상, 10℃ 이상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30℃ 이하이다. 또한 반응혼합물을 산의 수용액에 첨가한 후에는, 동일 온도에서 0.5∼2시간 정도 교반하는 바람직하다. 여과하여 취한 결정은, 물 등으로 세정하고, 이어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재결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더욱 정제하여도 된다.
크롬착염은, 화합물(d)와 크롬화합물을, 수성용매(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에서, 바람직하게는 70∼150℃에서, 3∼10시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크롬화합물로서는, 포름산크롬, 아세트산크롬, 염화크롬, 불화크롬, 황산암모늄크롬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포름산크롬, 황산암모늄크롬 등을 들수 있다.
크롬화합물의 사용량은, 화합물(d) 1 몰에 대하여, 0.5∼1 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해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무기염기를 공존시킬 수도 있다.
상기 무기염기로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슘, 탄산나트륨, 탄산칼슘, 아세트산나트륨, 아세트산칼슘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탄산나트륨, 아세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다.
식 (I)로 나타내는 화합물은, 애나이언 부분으로 되는 상기에서 얻어진 크롬착염과, 카티온 부분으로 되는 식 (II)로 나타내는 카티온을 포함하는 염을, 용매 중에서 염교환반응을 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당해 크롬착염과 식 (II)로 나타내는 카티온을 포함하는 염을, 1:1∼1:4의 몰비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40
[식 (II')에서, R21∼R27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2는, 무기 애나이언 또는 유기 애나이언을 나타낸다.]
A2로서는, A1에 있어서의 것과 동일한 애나이언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불화물이온, 염화물이온, 브롬화물이온 등의 할로겐화물이온이 바람직하다.
반응혼합물로부터 목적 화합물인 화합물(I)을 취득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여러가지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응혼합물을 무기염(예를 들면, 식염 등) 및 물과 함께 혼합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여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염은, 미리 무기염의 수용액을 조제하고 나서, 반응혼합물을 상기 수용액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혼합물을 첨가할 때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40℃ 이하,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25℃ 이하이다. 또한 반응혼합물을 무기염의 수용액에 첨가한 후에는, 동일 온도에서 0.5∼2시간 정도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하여 취한 결정은, 물 등으로 세정하고, 이어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 재결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더욱 정제하여도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료로서 유용하다. 특히, 분광농도가 높기 때문에,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이용하여 색 표시하는, 액정 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의 컬러 필터나 섬유재료 등에 사용되는 염료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염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료이다.
본 발명의 착색 수지 조성물은, 착색제(이하「착색제(A)」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로서 본 발명의 염료를 포함하고, 수지(B) 및 용제(E)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착색 수지 조성물은, 중합성 화합물(C) 및 중합 개시제(D)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A)는, 본 발명의 염료 외에, 안료 및/또는 본 발명의 염료와는 다른 염료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염료와는 다른 염료로서는, 컬러 인덱스(Colour Index)(The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 출판)에서 용매(Solvent), 산성(Acid), 염기성(Basic), 반응성(reactive), 직접(Direct), 분산(Disperse), 또는 배트(Vat)로 분류되어 있는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컬러 인덱스(C. I.) 번호의 염료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 I. 솔벤트 옐로우 25, 79, 81, 82, 83, 89;
C. I. 애시드 옐로우 7, 23, 25, 42, 65, 76;
C. I. 리액티브 옐로우 2, 76, 116;
C. I. 다이렉트 옐로우 4, 28, 44, 86, 132;
C. I. 디스퍼스 옐로우 54, 76;
C. I. 솔벤트 오렌지 41, 54, 56, 99;
C. I. 애시드 오렌지 56, 74, 95, 108, 149, 162;
C. I. 리액티브 오렌지 16;
C. I. 다이렉트 오렌지 26;
C. I. 솔벤트 레드 24, 49, 90, 91, 118, 119, 122, 124, 125, 127, 130, 132, 160, 218;
C. I. 애시드 레드 73, 91, 92, 97, 138, 151, 211, 274, 289;
C. I. 애시드 바이올렛 102;
C. I. 솔벤트 그린 1, 5;
C. I. 애시드 그린 3, 5, 9, 25, 28;
C. I. 베이식 그린 1;
C. I. 배트 그린 1 등.
안료로서는, 안료분산 레지스트에 통상 사용되는 유기안료 또는 무기안료를 들 수 있다. 무기안료로서는, 금속 산화물이나 금속착염과 같은 금속화합물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철, 코발트, 알루미늄, 카드뮴, 납, 구리, 티탄, 마그네슘, 크롬, 아연, 안티몬 등의 금속의 산화물 또는 복합 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안료 및 무기안료로서 구체적으로는, 컬러 인덱스(Colour Index)(The Society of Dyers and Co1ourists 출판)에서, 피그먼트(Pigment)로 분류되어 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은 컬러 인덱스(C. I.) 번호의 안료를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 I. 피그먼트 옐로우 20, 24, 31, 53, 83, 86, 93, 94, 109, 110, 117, 125, 137, 138, 139, 147, 148, 150, 153, 154, 166, 173 및 180;
C. I. 피그먼트 오렌지 13, 31, 36, 38, 40, 42, 43, 51, 55, 59, 61, 64, 65 및 71;
C. I. 피그먼트 레드 9, 97, 105, 122, 123, 144, 149, 166, 168, 176, 177, 180, 192, 215, 216, 224, 242, 254, 255 및 264;
C. I. 피그먼트 바이올렛 14, 19, 23, 29, 32, 33, 36, 37 및 38;
C. I. 피그먼트 그린 7, 10, 15, 25, 36, 47 및 58 등.
착색제(A)의 함유량은, 착색 수지 조성물 중의 고형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60 질량% 이다. 여기서, 고형분이란, 착색 수지 조성물 중의 용제를 제외하는 성분의 합계를 말한다.
착색제(A) 중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염료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100질량% 이다.
본 발명의 염료와는 다른 염료 및 안료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본 발명의 염료와 함께 사용하여도 된다.
수지(B)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어떠한 수지를 사용하여도 된다. 수지(B)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타)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을 나타낸다.
수지(B)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메타크릴산/벤질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 메타크릴산/벤질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공중합체, 메타크릴산/벤질메타크릴레이트/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 메타크릴산/스티렌/벤질메타크릴레이트/N-페닐말레이미드공중합체, 메타크릴산/스티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수지(B)의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35,000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30,000 이다.
수지(B)의 산가는, 50∼150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135이다.
수지(B)의 함유량은, 착색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7∼65 질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60 질량% 이다.
중합성 화합물(C)는, 중합 개시제(D)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 산 등에 의하여 중합할 수 있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중합성의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가지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중합성 화합물(C)로서는, 중합성기를 3개 이상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성기를 3이상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광중합성 화합물(C)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된다.
중합성 화합물(C)의 함유량은, 착색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에 대하여, 5∼65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60 질량% 이다.
상기한 중합 개시제(D)로서는, 활성 라디칼 발생제, 산 발생제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라디칼 발생제는 열 또는 빛의 작용에 의해 활성 라디칼을 발생한다. 상기한 활성 라디칼 발생제로서는, 알킬페논화합물, 티옥산톤화합물, 트리아진화합물, 옥심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알킬페논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메틸-2-모르폴리노-1-(4-메틸술파닐페닐)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벤질디메틸케탈, 2-하이드록시-2-메틸-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티옥산톤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이소프로필티옥산톤, 4-이소프로필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2,4-디클로로티옥산톤, 1-클로로-4-프로폭시티옥산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트리아진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5-메틸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옥심화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O-아실옥심계 화합물을 들 수 있고, 그 구체예로서는, N-벤조일옥시-1-(4-페닐술파닐페닐)부탄-1-온-2-이민, N-벤조일 옥시-1-(4-페닐술파닐페닐)옥탄-1-온-2-이민, N-아세톡시-1-[9-에틸-6-(2-메틸벤조일)-9H-카르바졸-3-일]에탄-1-이민, N-아세톡시-1-[9-에틸-6-{2-메틸-4-(3,3-디메틸-2,4-디옥사시클로펜타닐메틸옥시)벤조일}-9H-카르바졸-3-일]에탄-1-이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활성 라디칼 발생제로서는, 예를 들면,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2'-비스(o-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바이이미다졸, 10-부틸-2-클로로아크리돈, 2-에틸안트라퀴논, 벤질, 9,10-페난스렌퀴논, 캄파퀴논, 페닐글리옥실산메틸, 티타노센화합물 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상기한 산발생제로서는, 예를 들면, 4-하이드록시페닐디메틸술포늄p-톨루엔술포나이트, 4-하이드록시페닐디메틸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아세톡시페닐디메틸술포늄p-톨루엔술포나이트, 4-아세톡시페닐·메틸·벤질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트리페닐술포늄p-톨루엔술포나이트, 트리페닐술포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p-톨루엔술포나이트, 디페닐요오드늄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등의 오늄염류나, 니트로벤질토실레이트류, 벤조인토실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중합 개시제(D)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된다.
중합 개시제(D)의 함유량은, 수지(B) 및 중합성 화합물(C)의 합계량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30 질량부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질량부이다. 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이, 상기한 범위에 있으면, 고감도화하여 노광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용제(E)로서는, 예를 들면, 에테르류, 방향족 탄화수소류, 케톤류, 알콜류, 에스테르류, 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에테르류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테트라하이드로피란, 1,4-디옥산,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방향족 탄화수소류로서는, 예를 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시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케톤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톤, 2-부탄온, 2-헵탄온, 3-헵탄온, 4-헵탄온, 4-메틸-2-펜탄온, 4-하이드록시-4-메틸-2-펜탄온, 시클로펜탄온, 시클로헥산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알콜류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헥산올, 시클로헥산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에스테르류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n-부틸, 아세트산이소부틸, 포름산아밀, 아세트산이소아밀, 아세트산이소부틸, 프로피온산부틸, 낙산이소프로필, 낙산에틸, 낙산부틸, 알킬에스테르류, 젖산메틸, 젖산에틸, 젖산부틸, 메톡시아세트산메틸, 메톡시아세트산에틸, 메톡시아세트산부틸, 에톡시아세트산메틸, 에톡시아세트산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메톡시프로피온산메틸, 2-메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메톡시프로피온산프로필, 2-에톡시프로피온산메틸, 2-에톡시프로피온산에틸, 2-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메틸, 2-에톡시-2-메틸프로피온산에틸, 피루빈산메틸, 피루빈산에틸, 피루빈산프로필, 아세토아세트산메틸, 아세토아세트산에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γ-부틸올락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아미드류로서는, 예를 들면,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류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된다.
착색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용제(E)의 함유량은, 착색 수지 조성물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70∼95 질량%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75∼90 질량% 이다.
본 발명의 착색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충전제, 다른 고분자 화합물, 밀착촉진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광안정제, 연쇄이동제 등의 여러가지 첨가제를 포함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료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몰흡광계수가 높고, 분광농도가 높기 때문에, 특히, 액정 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의 컬러 필터에 사용되는 염료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착색 수지 조성물은, 컬러 필터를 그 구성부품의 일부로서 구비하는 표시장치(예를 들면, 공지의 액정 표시장치, 유기 EL 장치 등), 고체 촬상소자 등의 여러가지 착색 화상에 관련되는 기기에, 공지의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함유량 내지 사용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히 기재가 없는 한, 질량 기준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화합물의 구조는 NMR[JMM-ECA-500; 니혼덴시(주) 제], 질량 분석(LC; Agilent 제 1200형, MASS: Agilent 제 LC/MSD형) 및 원소 분석[VARIO-EL; (엘레멘탈(주) 제)]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1]
안트라닐산[도쿄카세이고교(주) 제] 17.0부에 물 170부를 가한 후, 수산화나트륨 5.4부를 가하여, 용해시켰다. 빙냉 하에서, 아질산나트륨 25.5부를 가하고, 이어서 35% 염산 79.5부를 조금씩 가하였다. 그 후 빙냉 하에서 2시간 교반하여, 과잉의 아질산을 퀀치하기 위하여 9% 아미드황산수용액 250부를 천천히 가하고 약 10분 교반하여,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얻었다.
이어서, 식 (c-1)로 나타내는 화합물 24.1부를 물 170부에 현탁시키고,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9.0으로 조정하였다. 여기에, 상기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현탁액의 pH를 8.0∼9.5로 유지하면서, 약 30분에 걸쳐 펌프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다시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함으로써, 황색의 현탁액을 얻었다. 여과하여 얻은 황색 고체를 감압 하 60℃에서 건조하여, 식 (d-1)로 나타내는 화합물 39.9부를 얻었다. 1H-NMR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식 (d-1)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1H-NMR(500 MHz, δ값(ppm, TMS 기준), DMSO-d6) ; 1.08(3H, t), 2.58(3H, s), 3.88(2H, q), 7.32(1H, t), 7.58(1H, td), 7.85(1H, d), 8.05(1H, dd), 16.4(1H, s).
Figure pat00041
식 (d-1)로 나타내는 화합물 10부에 N-메틸피롤리돈 200부를 가하여 80℃까지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포름산크롬 n수화물 3.7부를 가하여 135℃에서 약 2시간 교반하고, 이어서 80℃까지 온도를 낮추고, 탄산나트륨 1.2부 첨가한 후, 재차 135℃에서 약 2시간 교반하여, 암등색(暗橙色)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1N 염산수용액 1000부 중에 주입하고, 얻어진 등색 고체를 여과하여, 물 80부로 2회 세정한 후, 60℃에서 진공 건조함으로써, 식 (f-1)로 나타내는 화합물 7.5부를 얻었다.
식 (f-1)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질량분석) 이온화 모드 = ESI- : m/z = 700.1[M-Na]-
Exact Mass : 723.1
Figure pat00042
식 (f-1)로 나타내는 화합물 1.3부에 N-메틸피롤리돈 19.5부를 가하여 용액(s1)을 조정하였다. 또한, 식 (g-1)로 나타내는 로다민화합물[로다민 6G, 도쿄카세이고교(주) 제] 1.0부에, 메탄올 25.0부를 가하여 용액(t1)을 조정하였다. 그 후 실온에서 용액(s1)과 용액(t1)을 혼합하여, 약 1시간 교반한 후, 물 500부에 주입 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적색 고체를 감압하 60℃에서 건조하여, 식 (I-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1.6부(수율 80%)를 얻었다.
Figure pat00043

Figure pat00044
식 (I-1)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원소분석) C 63.0 H 4.7 N 11.9 Cr 4.5
[실시예 2]
로다민 B[도쿄카세이고교(주) 제] 25.0부에 무수클로로포름[칸토카가쿠(주) 제] 200부, 캄파술폰산[알드리치(주) 제] 1.5부,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도쿄카세이고교(주) 제] 1.6부, 에탄올[도쿄카세이고교(주) 제] 12.1부를 가하여 약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포지이미드염산염[와코쥰야쿠고교(주) 제] 14.5부에 무수클로로포름 55.3부를 가하여 미리 용해시킨 용액을 천천히 가한 후, 실온에서 약 2시간 교반하였다. 1N 염산수용액 150부로 분액 조작을 2회 한 후, 10% 식염수 150부로 2회 유기층을 세정하였다. 이어서 무수황산마그네슘 43부를 가하여 약 30분간 교반 후, 건조제를 여과하여, 용매 증류 제거함으로써 식 (g-2)로 나타내는 로다민화합물을 23.1부(수율 87%)를 얻었다.
식 (g-2)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질량분석) 이온화 모드 = ESI+ : m/z = 471.2[M-Cl-]+
Exact Mass : 506.2
Figure pat00045
식 (f-1)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3.9부에, N-메틸피롤리돈 60부를 가하여 용액(s2)을 조정하였다. 또한, 식 (g-2)로 나타내는 로다민화합물 3.1부에, N-메틸피롤리돈 55부를 가하여 용액(t2)를 조정하였다. 그 후 실온에서 용액(s2)와 용액(t2)를 혼합하고, 약 1시간 교반한 후, 물 1200부에 주입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적색 고체를 감압 하 60℃에서 건조하여, 식 (I-2)로 나타내는 화합물 6.0부(수율 95%)를 얻었다.
Figure pat00046
식 (I-2)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원소분석) C 62.3 H 5.1 N 12.3 Cr 4.4
[실시예 3]
안트라닐산 5.5부에 물 88부를 가한 후, 수산화나트륨 3.2부를 가하여, 황색 현탁액으로 하였다. 빙냉 하에서, 아질산나트륨 8.9부를 가하고, 이어서 35% 염산 33.2부를 조금씩 가하였다. 그 후 빙냉 하에서 3시간 교반하고, 과잉의 아질산을 퀀치하기 위하여 9% 아미드황산수용액 100부를 천천히 가하고 약 10분 교반하여,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얻었다.
한편, 아세토아세트산에틸에스테르[도쿄카세이고교(주) 제] 26.0부, 시아노아세트산메틸(도쿄카세이 제) 20.8부 및 2-아미노에탄올[와코쥰야쿠고교(주) 제] 24.4부를 혼합하고, 95℃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상기의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물 304부, 35% 염산 35부의 혼합액 중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석출한 결정을 흡인 여과의 잔사로서 취득한 후 건조하여, 식 (c-3)로 나타내는 화합물 20.4부를 얻었다.
Figure pat00047
이어서, 식 (c-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8.5부를 물 77부에 현탁시키고,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9.0으로 조정하였다. 여기에, 상기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현탁액의 pH를 8.0∼9.5로 유지하면서, 약 1시간에 걸쳐 펌프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다시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하여 황색의 현탁액이 얻어졌다. 여과하여 얻은 황색 고체를 감압 하 60℃에서 건조하여, 식 (d-3)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11.2부를 얻었다. 1H-NMR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식 (d-3)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1H-NMR(270 MHz, δ값(ppm, TMS 기준), DMSO-d6) ; 2.56(3H, s), 3.52(2H, t), 3.93(2H, t), 4.82(1H, brs), 7.36(1H, t), 7.74(1H, t), 8.02-8.06(1H, 1H, overlapped), 15.7(1H, s).
Figure pat00048
식 (d-3)로 나타내는 화합물 10부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100부, 황산암모늄크롬 7.7부, 아세트산나트륨 2.6부를 가하여 135℃에서 약 6시간 교반하여, 암등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20% 식염수에 주입하고, 얻어진 등색 고체를 여과한 후, 60℃에서 진공 건조함으로써, 식 (f-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18부를 얻었다.
식 (f-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질량분석) 이온화 모드 = ESI- : m/z = 732.1[M-Na]-
Exact Mass : 755.1
Figure pat00049
식 (f-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2.1부에, N-메틸피롤리돈 26.3부를 가하여, 용액(s3)을 조정하였다. 또한, 식 (g-1)로 나타내는 로다민화합물(로다민 6G, 도쿄카세이고교 제) 1.5부에, 메탄올 18부를 가하여, 용액(t3)을 조정하였다. 그 후 실온에서 용액(s3)과 용액(t3)을 혼합하고, 약 1시간 교반한 후, 물 650부에 주입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적색 고체를 감압 하 60℃에서 건조하여, 식 (I-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2.8부(수율 86%)를 얻었다.
Figure pat00050
식 (I-3)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원소분석) C 60.0 H 4.8 N 12.3 Cr 4.6
[실시예 4]
총설 합성염료, 호리구치 히로시(堀口 博) 저(산쿄출판주식회사, 쇼와 43년 발행)의 340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무수프탈산[도쿄카세이고교(주) 제]과 3-(N,N-디에틸아미노)페놀[도쿄카세이고교(주) 제]과의 축합반응에 의해, 4-(N,N-디에틸아미노)-2-벤조일안식향산을 합성한 후, 다시 3-(N-에틸아미노)페놀[도쿄카세이고교(주) 제]와 축합시킴으로써, 식 (rh-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Figure pat00051
이어서, 식 (rh-1)로 나타내는 화합물 6.0부에 무수클로로포름[칸토카가쿠(주) 제] 42부를 가하여 용액으로 한 후, 캄파술폰산[알드리치(주) 제] 0.4부, 4-(N,N-디메틸아미노)피리딘[도쿄카세이고교(주) 제] 0.5부, 에탄올 3.1부를 가하여 약 30분간 교반하였다. 그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염산염[와코쥰야쿠고교(주) 제] 4.3부에 무수클로로포름 25부를 가하여, 미리 용해시킨 용액을 천천히 가한 후, 실온에서 약 2시간 교반하였다. 1N 염산수용액 50부에서 분액 조작을 2회 한 후, 10% 식염수로 유기층을 세정하였다. 이어서 무수황산마그네슘 20부를 가하여 약 30분간 교반 후, 무수황산마그네슘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용매 증류 제거함으로써 식 (g-3)으로 나타내는 로다민화합물을 6.2부(수율 94%)를 얻었다.
식 (g-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질량분석) 이온화 모드 = ESI+ : m/z = 443.2[M-Cl-]+
Exact Mass : 478.2
Figure pat00052
식 (f-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1.7부에, N-메틸피롤리돈 22부를 가하여 용액(s4)를 조정하였다. 또한, 식 (g-3)으로 나타내는 로다민화합물 1.2부에, N-메틸피롤리돈 18부를 가하여 용액(t4)를 조정하였다. 그 후 실온에서 용액(s4)와 용액(t4)를 혼합하여, 약 1시간 교반한 후, 물 500부에 주입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적색 고체를 감압 하 60℃에서 건조하여, 식 (I-4)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2.2부(수율 83%)를 얻었다.
Figure pat00053
식 (I-4)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원소분석) C 63.1 H 4.6 N 12.0 Cr 4.6
[실시예 5]
5-(N-아세틸아미노)안트라닐산[도쿄카세이고교(주) 제] 19.4부에 물 80부를 가한 후, 수산화나트륨 0.4부를 가하여, 용해시켰다. 빙냉 하, 35% 아질산나트륨수용액 19.7부를 가하고, 이어서 35% 염산 26.2부를 조금씩 가하고 용해시켜 2시간 교반하여,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얻었다.
이어서, 식 (c-3)로 나타내는 화합물 20.4부를 물 100부에 현탁시키고,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9.0으로 조정하였다. 여기에, 상기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15분에 걸쳐 펌프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다시 30분간 교반함으로써 황색의 현탁액을 얻었다. 1시간 교반하였다. 여과하여 얻은 황색 고체를 감압 하 60℃에서 건조하여, 식 (d-4)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39.1부 얻었다.
Figure pat00054
다음에 식 (d-4)로 나타내는 화합물 39.9부에, 식 (e-1)로 나타내는 산클로라이드[와코쥰야쿠고교(주) 제] 32.5부를 가하고, N-메틸피롤리돈 중, 7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에 주입(Charge)하여, 식 (d-5)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50.1부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은 등색을 나타내고, 극대 흡수파장(λmax)을 에틸락테이트 용매 중에서 측정한 바, 459 nm을 나타내었다. 또한, 1H-NMR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1H-NMR : 0.72(3H, m), 0.75(3H, m), 1.02(2H, m), 1.07(2H, m), 1.23(2H, m), 1.31(2H, m), 2.06(3H, s), 2.11(1H, m), 4.10(2H, m), 4.24(2H, m), 7.88(1H, m), 7.92(1H, m), 8.32(1H, d), 10.26(1H, s), 15.63(1H, s).
Figure pat00055
식 (d-5)로 나타내는 화합물 10.0부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0부, 황산암모늄크롬 7.7부, 아세트산나트륨 2.6부를 가하고 135℃에서 약 6시간 교반하여, 암등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20% 식염수에 주입하고, 얻어진 등색 고체를 여과한 후, 60℃에서 진공 건조함으로써, 식 (f-4)로 나타내는 화합물 4.9부를 얻었다.
Figure pat00056
식 (f-4)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질량분석) 이온화 모드 = ESI- : m/z = 1098.3[M-Na]-
Exact Mass : 1121.34
식 (f-4)로 나타내는 화합물 2.0부에, N-메틸피롤리돈 22부를 가하여, 용액(s5)를 조정하였다. 또한, 식 (g-1)으로 나타내는 로다민화합물 1.0부에, N-메틸피롤리돈 18부를 가하여 용액(t5)를 조정하였다. 그 후 실온에서 용액(s5)와 용액(t5)를 혼합하여, 약 1시간 교반한 후, 물 500부에 주입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적색 고체를 감압 하 60℃에서 건조하여, 식 (I-28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1.6부(수율 60%)를 얻었다.
Figure pat00057
식 (I-286)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원소분석) C 61.0 H 5.9 N 10.8 Cr 3.5
[실시예 6]
다음에 식 (d-4)로 나타내는 화합물 30.0부에, 벤조일클로라이드[와코쥰야쿠고교(주) 제] 32.4부를 가하고, N-메틸피롤리돈 중, 70℃에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에 주입(Charge)하여, 식 (d-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35.8부 얻었다. 얻어진 화합물은 등색을 나타내고, 극대 흡수파장(λmax)을 에틸락테이트 용매 중에서 측정한 바, 459 nm을 나타내었다. 또한, 1H-NMR로 구조를 확인하였다.
2.70(3H, s), 2.50(3H, s), 4.28(2H, t), 4.44(2H, t), 7.43(1H, t), 7.57(1H, m), 7.89(1H, m), 7.95(1H, m), 8.35(1H, m), 10.27(1H, s), 15.67(1H, s).
Figure pat00058
다음에, 식 (d-6)로 나타내는 화합물 9.6부에 N,N-디메틸포름아미드 150부, 황산암모늄크롬 7.7부, 아세트산나트륨 2.6부를 가하고 135℃에서 약 6시간 교반하여, 암등색 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을 20% 식염수에 주입하고, 얻어진 등색 고체를 여과한 후, 60℃에서 진공 건조함으로써, 식 (f-5)로 나타내는 화합물 7.1부를 얻었다.
Figure pat00059
식 (f-5)로 나타내는 화합물 1.9부에, N-메틸피롤리돈 22부를 가하여 용액(s6)을 조정하였다. 또한, 식 (g-1)로 나타내는 로다민화합물 1.0부에, N-메틸피롤리돈 18부를 가하여 용액(t6)을 조정하였다. 그 후 실온에서 용액(s6)과 용액(t4)를 혼합하여, 약 1시간 교반한 후, 물 500부에 주입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적색 고체를 감압 하 60℃에서 건조하여, 식 (I-299)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1.7부를 얻었다.
Figure pat00060
식 (I-299)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원소분석) C 65.0 H 4.5 N 11.0 Cr 3.4
<흡광도의 측정>
화합물 0.35 g을 젖산에틸에 용해하여 체적을 250 ㎤로 하고, 그 중의 2 ㎤를 젖산에틸로 희석하여 100 ㎤로 하여, 농도 0.028 g/L의 용액을 조정하였다. 당해 용액에 대하여, 자외가시분광 광도계[V-650 DS; 니혼분코(주) 제](석영셀, 광로길이; 1 cm)를 사용하여 극대 흡수파장(λmax) 및 극대 흡수파장(λmax)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pat00061
Figure pat00062
표 2에서, 화합물(R-1)은, C. I. Solvent Yellow 21[Oleosol Fast Yellow 2G; 다오카카가쿠고교(주) 제]이다.
[실시예 7]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
(A) 착색제 : 화합물(I-1) :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 20부
(B-1) 수지 : 메타크릴산/벤질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몰비 ; 30/70
; 중량 평균 분자량 10700, 산가 70 mgKOH/g) 70부
(C-1) 중합성 화합물 :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니혼카야쿠사제) 30부
(D-1) 광중합개시제 : 벤질디메틸케탈(일가큐어 651 ; 치바·저팬사 제)
15부
(E-1) 용제 : 젖산에틸 680부
를 혼합하여 착색 수지 조성물을 얻는다.
[컬러 필터의 제작]
유리 상에, 상기에서 얻은 착색 수지 조성물을 스핀코트법으로 도포하고, 휘발성분을 휘발시킨다. 냉각 후, 패턴을 가지는 석영유리제 포토마스크 및 노광기를 사용하여 광조사한다. 광조사 후에, 수산화칼륨수용액으로 현상하고, 오븐에서 200℃로 가열하여 컬러 필터를 얻는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I-1)을, 실시예 2에서 합성한 화합물(I-2)로 바꾸는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수지 조성물 및 컬러 필터를 얻는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I-1)을, 실시예 3에서 합성한 화합물(I-3)로 바꾸는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수지 조성물 및 컬러 필터를 얻는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I-1)을, 실시예 4에서 합성한 화합물(I-4)로 바꾸는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수지 조성물 및 컬러 필터를 얻는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I-1)을, 실시예 5에서 합성한 화합물(I-286)으로 바꾸는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수지 조성물 및 컬러 필터를 얻는다.
[실시예 12]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I-1)을, 실시예 6에서 합성한 화합물(I-299)로 바꾸는 이외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수지 조성물 및 컬러 필터를 얻는다.
표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합물은 흡광도가 높기 때문에, 높은 분광농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당해 화합물을 포함하는 착색 수지 조성물은, 우수한 색 성능을 가지며, 고품질의 컬러 필터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료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몰흡광계수가 높고, 분광농도가 높기 때문에, 특히, 액정 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의 컬러 필터에 사용되는 염료로서 유용하다.

Claims (8)

  1. 식 (O)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Figure pat00063

    [식 (O)에서, R1은,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포화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원자는, -OR8, -COOR8, -OCOR8, -CONR8R9,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당해 포화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 중 -O-과 결합하고 있지 않은 -CH2-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2는, 수소원자, -CN, 또는 -CONH2기를 나타낸다.
    R3은,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4a∼R7a는 각각 독립으로, -R8, OR8, -COOR8, -COR8, -OCOOR8, -OCOR8, -CN, -NO2, 할로겐원자, -SO3H, -SO3Na, -SO3K, -SO2NR8R9 또는 -NRllR12를 나타낸다. R4a 및 R5a, R5a 및 R6a 그리고 R6a 및 R7a는, 서로 결합하여 벤젠환의 탄소를 포함한 6∼7원환을 형성하여도 된다.
    R8 및 R9는,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지방족 탄화수소기, 당해 아랄킬기 및 당해 방향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원자는, -OR10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10은,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l1 및 R12는,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2∼8의 아실기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기를 나타낸다. Rl1 및 R12는, 서로 결합하여 질소원자를 포함한 고리를 형성하여도 된다.
    R21∼R25는,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26 및 R27은,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2. 식 (I)로 나타내는 화합물.
    Figure pat00064

    [식 (I)에서, R1은,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포화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원자는, -OR8, -COOR8, -OCOR8, -CONR8R9,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당해 포화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 중 -O-와 결합하고 있지 않은 -CH2-는, -CO-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2는 수소원자, -CN 또는 -CONH2을 나타낸다.
    R3은 수소원자, 할로겐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R4∼R7은, 서로 독립으로, -R8, -OR8, -COOR8, -CN, -NO2, 할로겐원자, -SO3H, -SO3Na, -SO3K, 또는 -SO2NR8R9를 나타낸다.
    R8 및 R9는,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탄소수 7∼12의 아랄킬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지방족 탄화수소기, 당해 아랄킬기 및 당해 방향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수소원자는, -OR10으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10은,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21∼R25는,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또는 탄소수 6∼10의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R26 및 R27은, 서로 독립으로,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1이, -OH 또는 -OCOR8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탄소수 1∼8의 1가의 포화탄화수소기인 화합물.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4a∼R7a 중 적어도 3개가 수소원자이거나, 또는 R4∼R7 중 적어도 3개가 수소원자인 화합물.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2가, -CN인 화합물.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R25가, 탄소수 1∼8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인 화합물.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염료.
  8. 제 7항에 기재된 염료, 수지 및 용제를 포함하는 착색 수지 조성물.
KR1020100131221A 2009-12-25 2010-12-21 피리돈 착체 화합물 KR201100746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95013 2009-12-25
JPJP-P-2009-295013 2009-12-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4674A true KR20110074674A (ko) 2011-07-01

Family

ID=44463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1221A KR20110074674A (ko) 2009-12-25 2010-12-21 피리돈 착체 화합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1148994A (ko)
KR (1) KR20110074674A (ko)
CN (1) CN102161641A (ko)
TW (1) TWI53162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18142B (zh) * 2011-03-31 2016-01-21 住友化學股份有限公司 染料用鹽
WO2015137224A1 (ja) * 2014-03-11 2015-09-17 日本化薬株式会社 キサンテン化合物及び該キサンテン化合物を含有する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747B2 (ja) * 1975-11-19 1984-05-29 タオカカガクコウギヨウ カブシキガイシヤ キンゾクサクエンセンリヨウノ セイゾウホウ
CH624981A5 (en) * 1977-03-21 1981-08-31 Ciba Geigy A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alts of 1:2 metal complex dyes which are free from sulphonic acid groups
JPH0788633B2 (ja) * 1986-10-14 1995-09-27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ピリドン系モノアゾ化合物を用いて疎水性繊維を染色する方法
GB9922136D0 (en) * 1999-09-20 1999-11-17 Avecia Ltd Compounds, compositions and use
US6998493B2 (en) * 2003-06-26 2006-02-14 Xerox Corporation Colorant compounds
TW200702396A (en) * 2005-04-07 2007-01-16 Clariant Int Ltd Basic yellow dyes as dye component for optical data recording media
US7294730B2 (en) * 2005-11-30 2007-11-13 Xerox Corporation Colorant compounds
MX2009012050A (es) * 2007-05-09 2009-11-19 Clariant Finance Bvi Ltd Uso de cationes de indolinio diazametina para registro optico de datos.
EP1992667A1 (en) * 2007-05-09 2008-11-19 Clariant International Ltd. Pyridinone based azo dyes and their metal complex salts
JP5481844B2 (ja) * 2007-12-14 2014-04-23 住友化学株式会社 着色感光性樹脂組成物
JP2009280691A (ja) * 2008-05-22 2009-12-03 Sumitomo Chemical Co Ltd アゾ化合物又はその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161641A (zh) 2011-08-24
TW201137049A (en) 2011-11-01
TWI531622B (zh) 2016-05-01
JP2011148994A (ja)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0084B1 (ko) 염료용 염
KR101836350B1 (ko) 피리돈아조클로로 화합물
KR101786911B1 (ko) 화합물
KR20110074674A (ko) 피리돈 착체 화합물
JP5935417B2 (ja) 染料用塩
KR101885231B1 (ko)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KR20110074686A (ko) 피리돈 착체 화합물
KR20110074683A (ko) 피리돈 화합물
TWI522426B (zh) Pyridone compounds
JP2012041461A (ja) 化合物
KR20110074685A (ko) 피리돈 화합물
KR101967823B1 (ko) 피리돈 착체 화합물
TWI498385B (zh) Pyridine ketone compound compounds
JP2012122005A (ja) 化合物
JP2013001743A (ja) 化合物
KR20110074684A (ko) 피리돈 화합물
JP2013001742A (ja) 化合物
JP2013043974A (ja) 化合物
JP2012122006A (ja) 化合物
JP2013043973A (ja) 化合物
JP2012122007A (ja) 化合物
JP2013036005A (ja) 化合物
JP2012158641A (ja) 化合物
JP2013043971A (ja) 化合物
JP2012172097A (ja) 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