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911B1 - 화합물 - Google Patents

화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911B1
KR101786911B1 KR1020110044941A KR20110044941A KR101786911B1 KR 101786911 B1 KR101786911 B1 KR 101786911B1 KR 1020110044941 A KR1020110044941 A KR 1020110044941A KR 20110044941 A KR20110044941 A KR 20110044941A KR 101786911 B1 KR101786911 B1 KR 1017869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ormula
parts
carbon atoms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6537A (ko
Inventor
가츠나리 오다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26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6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91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72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Materials For Photolithography (AREA)

Abstract

식 (Ⅰ)로 나타내는 화합물.
Figure 112011035363488-pat00072

[식 (Ⅰ)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30의 1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는 -O- 또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2는 수소 원자, 시아노기, 또는 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낸다.
R3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당해 알킬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4∼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탄소수 2∼8의 알콕시알킬기,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식 (Ⅰa)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내고, 적어도 1개는 식 (Ⅰa)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73

(식 (Ⅰa)에서, L1은 탄소수 1∼8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낸다.)]

Description

화합물{COMPOUNDS}
본 발명은 염료로서 유용한 화합물 등에 관한 것이다.
염료는, 예를 들어 섬유재료, 액정표시장치, 잉크젯 등의 분야에서 반사광 또는 투과광을 이용하여 색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04-2630호 공보의 실시예 1에는 하기 식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이 기재되어있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01
상기의 화합물은 내광성 및 내열성에 우수한 염료이며, 수성 잉크로서 알려져 있다. 한편, 당해 화합물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낮고,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의 컬러 필터에 사용되는 염료로서 이용하는 데에는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하의 발명이다.
[1] 식 (Ⅰ)로 나타내는 화합물.
Figure 112011035363488-pat00002
[식 (Ⅰ)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30의 1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는 -O- 또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2는 수소 원자, 시아노기, 또는 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낸다.
R3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당해 알킬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4∼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탄소수 2∼8의 알콕시알킬기,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식 (Ⅰa)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내고, 적어도 1개는 식 (Ⅰa)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식 (Ⅰa)에서, L1은 탄소수 1∼8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낸다.]
[2] R8이 식 (Ⅰa)로 나타내는 기인 [1]에 기재된 화합물.
[3] R1이 -L2-X1-R9로 나타내는 기인 [1] 또는 [2]에 기재된 화합물.
[단, L2는 탄소수 1∼8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낸다. X1은 -CO-O-를 나타낸다. R9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지방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는 -O- 또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4] R1이 -L2-X1-L3-X2-R10으로 나타내는 기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단, L2 및 X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L3는 탄소수 1∼8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낸다. X2는 -CO-O-를 나타낸다. R10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낸다.]
[5] X1이 *-O-CO-인 [3] 또는 [4]에 기재된 화합물.
[단, *는 L2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6] R4∼R8 중에서 적어도 1개가 니트로기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
[7]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료.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고,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의 컬러 필터에 사용되는 염료로서 우수하다.
본 발명은 식 (Ⅰ)로 나타내는 화합물[이하, 화합물(Ⅰ)이라고 한다.]이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04
[식 (Ⅰ)에서, R1은 수소 원자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30의 1가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는 -O- 또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2는 수소 원자, 시아노기, 또는 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낸다.
R3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당해 알킬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4∼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탄소수 2∼8의 알콕시알킬기,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식 (Ⅰa)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내고, 적어도 1개는 식 (Ⅰa)로 나타낸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05
[식 (Ⅰa)에서, L1은 탄소수 1∼8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낸다.]
R1으로 나타내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1가의 탄화수소기로서는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는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1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는 1가의 지환식 탄화수소기,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기를 가지는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그리고 이들을 조합한 기를 들 수 있다. 당해 1가의 탄화수소기의 탄소수는 1∼30이다.
상기 탄화수소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치환기로서는 하이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술파닐기, 탄소수 1∼6의 알킬기로 치환되어도 되는 아미노기 및 탄소수 1∼4의 알콕시기를 들 수 있다.
상기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부틸기, 부틸기, tert-부틸기, 헥실기, 헵틸기, 옥틸기, 노닐기, 데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가지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2-하이드록시에틸기, 2-아미노에틸기, 2-술파닐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지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사이클로펜틸기, 사이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가지는 지환식 탄화수소기로서는 4-메틸사이클로헥실기, 4-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실기, 4-아미노사이클로헥실기, 4-(N,N'-디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실기, 2-아미노사이클로헥실기, 2-(N,N'-디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실기, 4-카르복시사이클로헥실기, 4-메톡시사이클로헥실기, 2-카르복시사이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페닐기, 나프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를 가지는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는 4-하이드록시페닐기, 4-메톡시페닐기, 2-카르복시페닐기, 4-카르복시페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1가의 탄화수소기는 탄소수 1∼20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2∼16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의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는 -O- 또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의 탄화수소기에 있어서, 2∼4개의 -CH2-가 -O- 또는 -CO-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개의 인접한 -CH2-가 -CO- 또는 -O-로 치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1은 바람직하게는 -L2-X1-R9으로 표시되는 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L2-X1-L3-X2-R10으로 표시되는 기이다. R1은 이들의 기이며, 본 발명의 화합물의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도가 향상하는 경향이 있다.
L2 및 L3는 서로 독립적으로 탄소수 1∼8의 알칸디일기이고, 예를 들어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판-1,3-디일기, 프로판-1,2-디일기, 부탄-1,4-디일기, 부탄-1,3-디일기, 부탄-1,2-디일기, 펜탄-1,5-디일기, 헥산-1,6-디일기, 헵탄-1,7-디일기, 옥탄-1,8-디일기 등을 들 수 있다.
L2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5의 알칸디일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4의 알칸디일기이다.
L3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의 알칸디일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의 알칸디일기이다.
X1 및 X2는 -CO-O-이다. X1으로서는 *-O-CO- (*는 L2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인 것이 바람직하다. X1이 *-O-CO-이면,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가 용이하다.
R9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이며, 당해 지방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는 -O- 또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9을 나타내는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는 R1을 나타내는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로서 들어진 기 중에서, 탄소수 1∼20의 지방족 탄화수소기,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10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R10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이고, 에틸기가 바람직하다.
-L2-X1-R9로서는, 예를 들어 식 (f- 1)∼식 (f- 25)로 나타내는 기를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L2-X1-L3-X2-R10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식 (f- 1)∼식 (f- 20)으로 나타내는 기를 들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식 (f- 1), 식 (f- 2), 식 (f- 5), 식 (f- 6), 식 (f- 9), 식 (f- 10), 식 (f- 13), 식 (f- 14), 식 (f- 17) 및 식 (f- 18)로 나타내는 기를 들 수 있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식 (f- 2), 식 (f- 6), 식 (f- 10), 식 (f- 14) 및 식 (f- 18)로 나타내는 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06
Figure 112011035363488-pat00007
Figure 112011035363488-pat00008
R2는 수소 원자, 시아노기, 또는 카르바모일기이다. 이 중에서도, 시아노기가 염료를 입수하기 쉽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R3를 나타내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ert-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당해 알킬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할로겐 원자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등을 들 수 있다. 수소 원자가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펜타플루오로에틸기 등을 들 수 있다.
R3로서는 메틸기 및 트리플루오로메틸기가 바람직하고, 메틸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R4∼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탄소수 2∼8의 알콕시알킬기,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식 (Ⅰa)로 나타내는 기이며, 적어도 1개가 식 (Ⅰa)로 나타내는 기이다.
화합물(Ⅰ)은 R4∼R8의 적어도 1개에 식 (Ⅰa)로 나타내는 기를 가지기 때문에, 화합물(Ⅰ)의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화합물(Ⅰ)은 R4∼R8으로서 식 (Ⅰa)로 나타내는 기에 첨가하여, 수소 원자, 니트로기, 탄소수 1∼6의 알킬기, 클로로기 또는 브로모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R4∼R8 중 1개가 식 (Ⅰa)로 나타내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중에서도, R8이 식 (Ⅰa)로 나타내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09
L1은 탄소수 1∼8의 알칸디일기이다. 당해 알칸디일기로서는 L2 및 L3에 있어서 탄소수 1∼8의 알칸디일기로서 들어진 것과 동일한 기를 들 수 있다. L1으로서는 탄소수 1∼4의 알칸디일기가 바람직하고, 메틸렌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R4∼R8 중 적어도 1개가 니트로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Ⅰ)이 니트로기를 가지면, 분광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R4∼R8 중, 니트로기는 바람직하게는 1∼2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개이다. 이 중에서도, R5 또는 R6가 니트로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R6가 니트로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니트로기가 이들의 위치에 있으면, 더욱더 분광 농도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R4∼R8 중, R8이 식 (Ⅰa)로 나타내는 기이고 R5 또는 R6이 니트로기인 것이 바람직하며, R8이 식 (Ⅰa)로 나타내는 기이고 R5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6이 니트로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R4 및 R7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6의 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R4∼R8으로 표시되는 탄소수 1∼8의 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n-부틸기, n-펜틸기, n-헥실기, n-헵틸기, n-옥틸기 등의 직쇄형 알킬기;
이소프로필기, 이소부틸기, sec-부틸기, 이소펜틸기, 1-메틸펜틸기, 2-메틸펜틸기, 3-메틸펜틸기, 4-메틸펜틸기, 1-에틸부틸기, 2-에틸부틸기, 1-메틸헥실기, 2-메틸헥실기, 3-메틸헥실기, 4-메틸헥실기, 5-메틸헥실기, 1-에틸펜틸기, 2-에틸펜틸기, 3-에틸펜틸기, 1-프로필부틸기, 1-(1-메틸에틸)부틸기, 1-(1-메틸에틸)-2-메틸프로필기, 1-메틸헵틸기, 2-메틸헵틸기, 3-메틸헵틸기, 4-메틸헵틸기, 5-메틸헵틸기, 6-메틸헵틸기, 1-에틸헥실기, 2-에틸헥실기, 3-에틸헥실기, 4-에틸헥실기, 1-n-프로필펜틸기, 2-프로필펜틸기, 1-(1-메틸에틸)펜틸기, 1-부틸부틸기, tert-부틸기, 1,1-디메틸프로필기, 1,1-디메틸부틸기, 1,2-디메틸부틸기, 1,3-디메틸부틸기, 2,3-디메틸부틸기, 1-에틸-2-메틸프로필기, 1,1-디메틸펜틸기, 1,2-디메틸펜틸기, 1,3-디메틸펜틸기, 1,4-디메틸펜틸기, 2,2-디메틸펜틸기, 2,3-디메틸펜틸기, 2,4-디메틸펜틸기, 3,3-디메틸펜틸기, 3,4-디메틸펜틸기, 1-에틸-1-메틸부틸기, 1-에틸-2-메틸부틸기, 1-에틸-3-메틸부틸기, 2-에틸-1-메틸부틸기, 2-에틸-3-메틸부틸기, 1,1-디메틸헥실기, 1,2-디메틸헥실기, 1,3-디메틸헥실기, 1,4-디메틸헥실기, 1,5-디메틸헥실기, 2,2-디메틸헥실기, 2,3-디메틸헥실기, 2,4-디메틸헥실기, 2,5-디메틸헥실기, 3,3-디메틸헥실기, 3,4-디메틸헥실기, 3,5-디메틸헥실기, 4,4-디메틸헥실기, 4,5-디메틸헥실기, 1-에틸-2-메틸펜틸기, 1-에틸-3-메틸펜틸기, 1-에틸-4-메틸펜틸기, 2-에틸-1-메틸펜틸기, 2-에틸-2-메틸펜틸기, 2-에틸-3-메틸펜틸기, 2-에틸-4-메틸펜틸기, 3-에틸-1-메틸펜틸기, 3-에틸-2-메틸펜틸기, 3-에틸-3-메틸펜틸기, 3-에틸-4-메틸펜틸기, 1-프로필-1-메틸부틸기, 1-프로필-2-메틸부틸기, 1-프로필-3-메틸부틸기, 1-(1-메틸에틸)-1-메틸부틸기, 1-(1-메틸에틸)-2-메틸부틸기, 1-(1-메틸에틸)-3-메틸부틸기, 1,1-디에틸부틸기, 1,2-디에틸부틸기 등의 분지 쇄형 알킬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8의 알콕시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톡시기, 에톡시기, 프로폭시기, 부톡시기, 펜틸옥시기, 헥실옥시기, 헵틸옥시기, 옥틸옥시기, 2-에틸헥실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2∼8의 알콕시알킬기로서는, 예를 들어 메톡시메틸기, 메톡시에틸기, 메톡시프로필기, 메톡시부틸기, 메톡시펜틸기, 1-에톡시프로필기, 2-에톡시프로필기, 1-에톡시-1-메틸에틸기, 1-메틸-2-에톡시에틸기, 1-(1-메틸에톡시)프로필기, 2-(1-메틸에톡시)프로필기, 1-(1-메틸에톡시)-1-메틸에틸기, 2-(1-메틸에톡시)-1-메틸에틸기, 3-에톡시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Ⅰ)로서는, 예를 들어 화합물(Ⅰ- 1)∼화합물(Ⅰ- 126) 등을 들 수 있다. 표 1에서, R1의 란은 상기에 예시한 기의 식의 번호를 기록한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10
Figure 112011035363488-pat00011
Figure 112011035363488-pat00012

Figure 112011035363488-pat00013

Figure 112011035363488-pat00014
이 중에서도, 화합물(Ⅰ- 1)∼화합물(Ⅰ- 22), 화합물(Ⅰ- 45), 화합물(Ⅰ- 46), 화합물(Ⅰ- 65), 화합물(Ⅰ- 66), 화합물(Ⅰ- 85), 화합물(Ⅰ- 86) 및 화합물(Ⅰ- 105)∼화합물(Ⅰ- 126)이 바람직하고, 화합물(Ⅰ- 45), 화합물(Ⅰ- 46), 화합물(Ⅰ- 65), 화합물(Ⅰ- 66), 화합물(Ⅰ- 85), 화합물(Ⅰ- 21), 화합물(Ⅰ- 125) 및 화합물(Ⅰ- 86)이 더욱 바람직하다.
화합물(Ⅰ)이 이들의 화합물이면,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합물(Ⅰ)에 있어서, 예를 들어 R8이 식 (Ⅰa)로 나타내는 기인 경우, 식 (a4)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을 갖는 카르복시기와 식 (a5)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갖는 하이드록시기와 반응(에스테르화)시킴으로써, 식 (Ⅰaa)로 나타내는 화합물(이하,「화합물 (Ⅰaa)」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을 얻을 수 있다. R4∼R7 중 어느 하나가 식 (Ⅰa)로 나타내는 기인 경우에도, 화합물 (Ⅰaa)를 제조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15
[식 (a4) 및 식 (a5)에서, R1∼R7 및 L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16
[식 (Ⅰaa)에서, R1∼R7 및 L1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식 (a4)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은 특공평 7-88633호 공보 기재에 준하여, 식 (a2)로 나타내는 디아조늄염과 식 (a3)으로 나타내는 피리돈 화합물을 디아조커플링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식 (a2)로 나타내는 디아조늄염은, 예를 들어 식 (a1)로 나타내는 아민을 아질산, 아질산염 또는 아질산 에스테르에 의해 디아조화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식 (a3)으로 나타내는 피리돈 화합물은, 예를 들어 식 (a4)로 나타내는 아민을 식 (a5)로 나타내는 화합물 및 식 (a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17
[식 (a1), 식 (a2), 식 (a3), 식 (a4), 식 (a5) 및 식 (a6)에서, R1∼R7은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A1은 무기 애나이온 또는 유기 애나이온을 나타낸다.]
상기 무기 애나이온으로서는, 예를 들어 불화물 이온, 염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 요오드화물 이온, 과염소산 이온, 차아염소산 이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애나이온으로서는, 예를 들어 CH3COO-, PhCOO-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화물 이온, 브롬화물 이온, CH3COO- 등을 들 수 있다.
식 (a2)로 나타내는 디아조늄염과 식 (a3)으로 나타내는 피리돈 화합물을 수성용매에서 디아조커플링함으로써, 식 (a4)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반응온도는 -5 ℃∼60 ℃가 바람직하고, 0 ℃∼30 ℃가 더욱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1시간∼12시간이 바람직하고, 1시간∼4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수성용매로서는 물, N-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으며, 물이 바람직하다.
식 (a4)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과 식 (a5)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유기용매의 존재하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화합물 (Ⅰaa)를 얻을 수 있다. 당해 에스테르화 반응에는 축합제[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및 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등] 및/또는 첨가제[N,N-디메틸-4-아미노피리딘, 트리에틸아민, (±)-10-캄파술폰산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온도는 -5 ℃∼60 ℃가 바람직하고, 0 ℃∼30 ℃가 더욱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1시간∼12시간이 바람직하고, 1시간∼5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다.
식 (a5)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사용량은 식 (a4)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 1몰에 대하여 0.5∼10 몰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몰이다.
상기 유기용매로서는 톨루엔, 크실렌 등의 탄화수소 용매, 클로로벤젠, 디클로벤젠,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용매, 니트로벤젠 등의 니트로 탄화수소 용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 용매, N-메틸피롤리돈, 1-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 용매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있어서, R1은 -L2-X1-R9이고, 또한 X1이 *-O-CO-인 화합물(Ⅰ) [*은 L2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인 경우, 즉 식 (Ⅰb)로 나타내는 화합물(이하,「화합물 (Ⅰb)」라고 한다)인 경우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18
[식 (Ⅰb)에서, R2∼R7, R9, L1 및 L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식 (a2)로 나타내는 디아조늄염과 식 (b3)으로 나타내는 피리돈 화합물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디아조커플링함으로써, 식 (b4)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19
[식 (b3) 및 식 (b4)에서, R2∼R7 및 L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어서, 식 (b4)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과 식 (b5)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유기용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식 (b6)으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반응온도는 30 ℃∼180 ℃가 바람직하고, 50 ℃∼120 ℃가 더욱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1시간∼12시간이 바람직하고, 1시간∼4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20
[식 (b5) 및 식 (b6)에서, R2∼R7, R9 및 L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Z1은 염소 원자 또는 브롬 원자를 나타낸다.]
상기 유기용매로서는 톨루엔, 크실렌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클로로벤젠, 디클로로벤젠, 클로로포름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계 용매, 니트로벤젠 등의 니트로 탄화수소계 용매,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케톤계 용매, 1-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계 용매를 들 수 있다.
식 (b5)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사용량은 식 (b4)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 1 몰에 대하여 1 몰 이상 8 몰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1 몰 이상 4 몰 이하이다.
이어서, 식 (b6)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과 식 (b5)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화합물 (Ⅰb)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있어서, R1이 -L2-X1-R9이고, 또한 X1이 *-CO-O-인 화합물(Ⅰ) [*는 L2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즉 식 (Ⅰc)로 나타내는 화합물(이하,「화합물 (Ⅰc)」라고 한다)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21
[식 (Ⅰc)에서, R2∼R7, R9, L1 및 L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식 (a2)로 나타내는 디아조늄염과 식 (c3)으로 나타내는 피리돈 화합물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디아조커플링함으로써, 식 (c4)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22
[식 (c3) 및 식 (c4)에서, R2∼R7 및 L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이어서, 식 (c4)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과 식 (c5)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유기용매의 존재하에서 반응시킴으로써, 식 (c6)으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반응온도는 30 ℃∼180 ℃가 바람직하고, 50 ℃∼120 ℃가 더욱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1시간∼12시간이 바람직하고, 1시간∼4시간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로서는 식 (b4)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과 식 (b5)로 나타내는 화합물과의 반응에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용매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23
[식 (c5) 및 식 (c6)에서, R2∼R7, R9 및 L2는 상기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식 (c5)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사용량은 식 (c4)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 1몰에 대하여, 1 몰 이상 8 몰 이하이며, 바람직하게는 1 몰 이상 4 몰 이하이다.
식 (c4)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과 식 (c5)로 나타내는 화합물과의 반응 시, 반응을 순조롭게(smooth) 진행시키기 위하여, 산성 촉매를 첨가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산성 촉매로서는 황산, 염산 등의 무기산(鑛散)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촉매의 사용량은 임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식 (c5)로 나타내는 화합물 1 몰에 대하여, 0.01∼4 몰,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0.8∼2 몰이다.
이어서, 식 (c6)으로 나타내는 아조화합물과 식 (c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에스테르화 반응시킴으로써, 화합물(Ⅰc)를 얻을 수 있다.
반응 혼합물로부터 목적 화합물인 본 발명의 화합물을 취득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의 여러 가지 수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응 혼합물을 산(예를 들어, 아세트산) 및 물과 함께 혼합하고, 석출한 결정을 여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은 미리 산의 수용액을 제조하여, 반응 혼합물을 상기 수용액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혼합물을 첨가할 때의 온도는 10 ℃ 이상 5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50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 이상 30 ℃ 이하이다. 또한, 반응 혼합물을 산의 수용액에 첨가한 후에는 동일한 온도에서 0.5∼2시간 정도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과하여 얻어진 결정은 물 등으로 세정하고, 이어서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재결정 등의 공지의 수법에 의하여 더욱더 정제하는 것도 된다.
본 발명의 염료는 화합물(Ⅰ)을 유효성분으로서 갖는다. 본 발명의 염료는 화합물(Ⅰ)만으로 이루어진 염료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염료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바람직하게는 70∼100 중량%의 비율로 함유한다.
화합물(Ⅰ)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착색제로서 사용한다.
화합물(Ⅰ)을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로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착색제(이하,「착색제 (A)」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수지(B), 광중합성 화합물(C), 광중합 개시제(D) 및 용제(E)를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착색제(A)는 화합물(Ⅰ)외에, 또한 화합물(Ⅰ)과는 상이한 염료 및/또는 안료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화합물 (Ⅰ) 이외의 염료로서는 컬러 인덱스(Colour Index)[The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 출판]에서 솔벤트(Solvent), 애시드(Acid), 베이직(Basic), 리액티브(reactive), 다이렉트(Direct), 디스펄스(Disperse), 또는 배트(Vat)로 분류되어 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은 컬러 인텍스(C.I.) 번호의 염료를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I. 솔벤트 옐로우 25, 79, 81, 82, 83, 89;
C.I. 애시드 옐로우 7, 23, 25, 42, 65, 76;
C.I. 리액티브 옐로우 2, 76, 116;
C.I. 다이렉트 옐로우 4, 28, 44, 86, 132;
C.I. 디스펄스 옐로우 54, 76;
C.I. 솔벤트 오렌지 41, 54, 56, 99;
C.I. 애시드 오렌지 56, 74, 95, 108, 149, 162;
C.I. 리액티브 오렌지 16;
C.I. 다이렉트 오렌지 26;
C.I. 솔벤트 레드 24, 49, 90, 91, 118, 119, 122, 124, 125, 127, 130, 132, 160, 218;
C.I. 애시드 레드 73, 91, 92, 97, 138, 151, 211, 274, 289;
C.I. 애시드 바이올렛 102;
C.I. 솔벤트 그린 1, 5;
C.I. 애시드 그린 3, 5, 9, 25, 28;
C.I. 베이직 그린 1;
C.I. 배트 그린 1 등.
안료로서는 안료 분산 레지스트에 통상 사용되는 유기안료 또는 무기안료를 들 수 있다. 무기안료로서는 금속 산화물이나 금속 착염과 같은 금속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철, 코발트, 알루미늄, 카드뮴, 납, 구리, 티탄, 마그네슘, 크롬, 아연, 안티몬 등의 금속의 산화물 또는 복합금속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또한, 유기안료 및 무기안료로서 구체적으로는 컬러 인덱스(Colour Index)[The Society of Dyers and Colourists 출판]에서 피그먼트(Pigment)로 분류되어있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하기와 같은 컬러 인텍스(C.I.) 번호의 안료를 들 수 있으나,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I. 피그먼트 옐로우 20, 24, 31, 53, 83, 86, 93, 94, 109, 110, 117, 125, 137, 138, 139, 147, 148, 150, 153, 154, 166, 173, 및 180;
C.I. 피그먼트 오렌지 13, 31, 36, 38, 40, 42, 43, 51, 55, 59, 61, 64, 65 및 71;
C.I. 피그먼트 레드 9, 97, 105, 122, 123, 144, 149, 166, 168, 176, 177, 180, 192, 215, 216, 224, 242, 254, 255 및 264;
C.I. 피그먼트 바이올렛 14, 19, 23, 29, 32, 33, 36, 37 및 38;
C.I. 피그먼트 그린 7, 10, 15, 25, 36 및 47 등.
착색제(A)의 함유량은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서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5∼60 질량부이다. 여기서, 고형분으로서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서의 용제를 제외한 성분의 합계를 말한다.
착색제(A)에서의 화합물(Ⅰ)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3∼100 질량%이다.
화합물(Ⅰ), 화합물(Ⅰ)과는 상이한 염료 및 안료는 각각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수지(B)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어떠한 수지를 사용하여도 된다. 수지(B)는 알칼리 가용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메타)아크릴산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조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타)아크릴산은 아크릴산 및/또는 메타크릴산을 나타낸다.
수지(B)로서는 구체적으로 메타아크릴산/벤질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벤질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벤질메타크릴레이트/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타크릴산/스티렌/벤질메타크릴레이트/N-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 메타크릴산/스티렌/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수지(B)의 폴리스티렌 환산 중량 평균 분자량은 5,000∼35,000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00∼30,000이다.
수지(B)의 산가는 50∼150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60∼135이다.
수지(B)의 함유량은 착색 감광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7∼65 질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13∼60 질량부이다.
중합성 화합물(C)는 빛 또는 열의 작용에 의하여 중합 개시제(D)로부터 발생한 활성 라디칼, 산 등에 의하여 중합을 개시하는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중합성 화합물(C)로서는 중합성의 탄소-탄소 불포화결합을 가지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중합성 화합물(C)로서는 중합성기를 3개 이상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중합성기로서는 상기의 활성 라디칼, 산 등에 의하여 중합반응하는 기인 것을 말한다. 중합성기를 3개 이상 가지는 광중합성 화합물로서는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타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중합성 화합물(C)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하여도 된다. 중합성 화합물(C)의 분자량은 통상 150∼800, 바람직하게는 190∼700이다.
중합성 화합물(C)의 함유량은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고형분 100 질량부에 대하여 5∼65 질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60 질량부이다.
상기의 중합 개시제(D)로서는 활성 라디칼 발생제, 산 발생제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라디칼 발생제는 빛 또는 열의 작용에 의하여 활성 라디칼을 발생한다.
상기의 활성 라디칼 발생제로서는, 예를 들어 2-메틸-2-모르폴리노-1-(4-메틸술파닐페닐)프로판-1-온, 2-하이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벤질디메틸케탈, 2-하이드록시-2-메틸-1-[4-(2-하이드록시에톡시)페닐]프로판-1-온,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아세토페논 화합물;
2-이소프로필티옥산톤, 4-이소프로필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2,4-디클로로티옥산톤, 1-클로로-4-프로폭시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 화합물;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나프틸)-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4-메톡시스티릴)-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5-메틸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푸란-2-일)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4-디에틸아미노-2-메틸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2,4-비스(트리클로로메틸)-6-[2-(3,4-디메톡시페닐)에테닐]-1,3,5-트리아진 등의 트리아진 화합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2,2'-비스(o-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바이이미다졸, 10-부틸-2-클로로아크리돈, 2-에틸안트라퀴논, 벤질, 9,10-페난스렌퀴논, 캄포르퀴논, 페닐글리옥실산메틸, 티타노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산 발생제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페닐술포늄p-톨루엔술포네이트, 트리페닐술포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4-아세톡시페닐디메틸술포늄p-톨루엔술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p-톨루엔술포네이트, 디페닐요오드늄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등의 오늄염류나, 니트로벤질토실레이트류, 벤조인토실레이트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광중합 개시제(D)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해도 된다.
광중합 개시제(D)의 함유량은 수지(B) 및 광중합성 화합물(C)의 함유량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1∼30 질량%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질량%이다.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이 상기의 범위에 있으면 고감도화하여 노광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이 향상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용제 (E)로서는, 예를 들어 에테르, 케톤, 알코올, 에스테르, 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에테르로서는, 예를 들어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테트라하이드로피란, 1,4-디옥산,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 디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모노프로필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케톤으로서는 아세톤, 2-부탄온, 2-헵탄온, 3-헵탄온, 4-헵탄온, 4-메틸-2-펜탄온, 4-하이드록시-4-메틸-2-펜탄온, 사이클로펜탄온, 사이클로헥산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알코올로서는 헥산올, 사이클로헥산올, 에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에스테르로서는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n-부틸, 아세트산 이소부틸, 포름산 아밀, 아세트산 이소아밀, 아세트산 이소부틸, 프로피온산 부틸, 부티르산 이소프로필, 부티르산 에틸, 부티르산 부틸, 젖산 메틸, 젖산 에틸, 젖산 부틸, 메톡시아세트산 메틸, 메톡시아세트산 에틸, 메톡시아세트산 부틸, 에톡시아세트산 메틸, 에톡시아세트산 에틸, 3-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3-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3-에톡시프로피온산 메틸, 3-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2-메톡시프로피온산 메틸, 2-메톡시프로피온산 에틸, 2-메톡시프로피온산 프로필, 2-에톡시프로피온산 메틸, 2-에톡시프로피온산 에틸, 2-메톡시-2-메틸프로피온산 메틸, 2-에톡시-2-메틸프로피온산 에틸, 피루빈산 메틸, 피루빈산 에틸, 피루빈산 프로필, 아세토아세트산 메틸, 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3-메틸-3-메톡시부틸아세테이트, γ-부티로락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의 아미드로서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용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시켜 사용하여도 된다.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용제(E)의 함유량은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에서 바람직하게는 70∼95 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5∼90 질량%이다.
본 발명의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계면활성제, 충전제, 여타의 고분자 화합물, 밀착촉진제, 산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연쇄 이동제 등의 여러 종류의 첨가제를 포함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료로서 유용하다.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특히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의 컬러 필터에 사용되는 염료로서 유용하다.
또한, 상술된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컬러 필터를 이의 구성 부품의 일부로서 구비하는 표시장치(예를 들어, 공지의 액정표시장치, 유기 EL 장치 등), 고체촬상소자 등의 여러 종류의 착색 화상에 관련하는 기기에 공지된 형태(態樣)로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 등을 들면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에서, 함유량 내지 사용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으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화합물의 구조는 NMR[JMM-ECA-500; 일본전자(주) 제]로 확인하였다.
실시예 1
5-니트로안트라닐산[도쿄카세이 공업(주) 제] 18.2부에 물 80부를 첨가한 후, 수산화나트륨 0.4부를 첨가하고, 용해시켰다. 빙냉하에서, 35 % 아질산나트륨 수용액 19.7부를 첨가하고, 이어서 35 % 염산 26.2부를 조금씩 첨가하여 용해시켜 2시간 교반하고,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얻었다.
한편, 아세토아세트산 에틸에스테르[도쿄카세이 공업(주) 제] 26.0부, 시아노아세트산 메틸(도쿄카세이 제) 20.8부 및 2-아미노에탄올[와코쥰야쿠 공업(주) 제] 24.4부를 혼합하고, 95 ℃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상기의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물 304부, 35 % 염산 35부의 혼합액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석출한 결정을 흡인 여과의 잔여물로서 얻은 후에 건조하여, 식 (d1)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20.4부를 얻었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24
이어서, 식 (d1)로 나타내는 화합물 20.4부를 물 100부에 현탁시키고,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9.0으로 조정하였다. 여기서, 상기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15분에 걸쳐서 펌프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또한 30분간 교반하여 황색의 현탁액을 얻었다. 1시간 교반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황색 고체를 감압 하 60 ℃에서 건조하여, 식 (d2)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38.7부 얻었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25
식 (d2)로 나타내는 화합물 30.1부에 식 (d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25.7부를 첨가하여, N-메틸피롤리돈의 용매에서 70 ℃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에 차지(charge)하여, 식 (d4)로 나타내는 화합물 37.0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26
<식 (d4)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27
식 (d4)로 나타내는 화합물 30.2부에 (±)-10-캄파술폰산 1.89부, N,N-디메틸-4-아미노피리딘 3.25부, 2,3-에폭시-1-프로판올 15.2부 및 클로로포름 450부를 첨가하고, 5 ℃에서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16.4부를 클로로포름 197부에 용해시킨 용액을 5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1N 염산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분취로드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고, 황산 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한 후, 60 ℃에서 감압 건조하여, 식 (Ⅰ- 45)로 나타내는 화합물 29.0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28
<식 (Ⅰ- 45)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29
얻어진 식 (Ⅰ- 45)로 나타내는 화합물 0.10 g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켜 체적을 250 ㎤로 하고, 이 중에서 2 ㎤를 젖산 에틸로 희석하여 체적을 100 ㎤로 하여(농도: 0.0080 g/L), 자외가시광 광도계[V-650DS; 니혼분코(주) 제](석영셀, 광로부; 1 cm)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λMAX = 435 nm이고, 선명한 황색을 띠며, 몰 흡광계수는 48000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 5-니트로안트라닐산을 대신하여 2-아미노테레프탈산을 사용하고, 식 (d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대신하여 식 (e1)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사용한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식 (i)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얻었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30
얻어진 식 (i)로 나타내는 화합물 0.35 g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켜 체적을 250 ㎤로 하고, 이 중에서 2 ㎤를 젖산 에틸로 희석하여 체적을 100 ㎤로 하여(농도: 0.028 g/L), 자외가시광 광도계[V-650DS; 니혼분코(주) 제](석영셀, 광로부; 1 cm)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λMAX = 440 nm이고, 몰 흡광계수는 42000에 머물렀다.
[용해성의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얻어진 화합물의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이하, PGMEA로 축약한다), 프로필렌글리콜 모노메틸에스테르(이하, PGME로 축약한다), 젖산 에틸(이하, EL로 축약한다), N-메틸피롤리돈(이하, NMP라고 축약한다)에 대한 용해도를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하였다.
50 mL 샘플관에서, 하기의 비율로 화합물과 상기 용매를 혼합한 후에, 샘플관을 밀봉(密栓)하여, 30 ℃에서 3분간 초음파진동기로 진동시켰다. 이어서 실온에서 30분간 방치 후, 여과하여, 이의 잔여물을 눈으로 관찰하였다. 잔여물로서 불용물이 확인되지 않은 경우, 용해성이 양호하다라고 판단하여 표 2에 ○로 기재하고, 불용물이 확인되는 경우에는 용해성이 불량하다고 판단하여 표 2에 ×로 기재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0.5 % 화합물 0.01 g, 용매 2 g
1 % 화합물 0.01 g, 용매 1 g
3 % 화합물 0.03 g, 용매 1 g
Figure 112011035363488-pat00031
참고예 1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의 조제]
(Ⅰ- 45) 착색제 :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 20부
(B-1) 수지 : 메타크릴산/벤질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몰 비; 30/70, 중량 평균 분자량; 10700, 산가; 70 mgKOH/g) 70부
(C-1) 중합성 화합물 :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니혼카야쿠사 제) 30부
(D-1) 광중합 개시제 : 벤질디메틸케탈(일가큐어 651; 치바·재팬사 제)
15부
(E-1) 용제 : N,N-디메틸포름아미드 680부
를 혼합하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컬러 필터의 제작]
유리 상에 상기에서 얻어진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을 스핀 코트법으로 도포하고, 휘발성분을 휘발시켰다. 냉각 후, 패턴을 가지는 석영 유리제 포토 마스크 및 노광기를 사용하여 빛을 조사하였다. 빛을 조사한 후에, 수산화칼륨 수용액으로 현상하고, 오븐에서 가열하여 컬러 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2
4-니트로안트라닐산[도쿄카세이 공업(주) 제] 18부에 물 80부를 가한 후, 수산화나트륨 0.4부를 첨가하고 용해시켰다. 빙냉 하에서, 35 % 아질산나트륨 수용액 19.8부를 첨가하고, 이어서 35 % 염산 26.1부를 조금씩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2시간 교반하여,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얻었다. 이어서, 식 (d1)로 나타내는 화합물 20.3부를 물 100부에 현탁시키고,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9.0으로 조정하였다. 여기서, 상기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15분에 걸쳐서 펌프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또한 30분간 교반하여 황색의 현탁액을 얻었다. 1시간 교반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황색 고체를 감압 하 60 ℃에서 건조하여, 식 (d5)로 나타내는 화합물 38.4부를 얻었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32
<식 (d5)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33
식 (d5)로 나타내는 화합물 30부에 식 (d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25.6부를 첨가하고, N-메틸피롤리돈의 용매에서 70 ℃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에 차지(charge)하고, 식 (d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36.9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34
<식 (d6)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35
식 (d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30.1부에 (±)-10-캄파술폰산 1.89부, N,N-디메틸-4-아미노피리딘 3.20부, 2,3-에폭시-1-프로판올 15.3부 및 클로로포름 450부를 첨가하고, 5 ℃에서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16.4부를 클로로포름 197부에 현탁시킨 용액을 5 ℃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1N 염산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분취로드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한 후, 60 ℃에서 감압 건조하여, 식 (Ⅰ- 4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29.1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36
<식 (Ⅰ- 46)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37
얻어진 식 (Ⅰ- 46)로 나타내는 화합물 0.1 g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켜 체적을 250 ㎤로 하고, 이 중에서 2 ㎤를 젖산 에틸로 희석하여 체적을 100 ㎤로 하여(농도: 0.0080 g/L), 자외가시광 광도계[V-650DS; 니혼분코(주) 제](석영셀, 광로부; 1 cm)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λMAX = 425 nm이고, 선명한 황색을 띠며, 몰 흡광계수는 48000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식 (d5)로 나타내는 화합물 30.2부에, 식 (d7)로 나타내는 화합물 25.4부를 첨가하고, N-메틸피롤리돈의 용매에서 70 ℃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에 차지(charge)하여 식 (d8)로 나타내는 화합물 37.3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38
<식 (d8)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39
식 (d8)로 나타내는 화합물 30부에 (±)-10-캄파술폰산 1.89부, N,N-디메틸-4-아미노피리딘 3.26부, 2,3-에폭시-1-프로판올 15.4부 및 클로로포름 450부를 첨가하고, 5 ℃에서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17부를 클로로포름 197부에 현탁시킨 용액을 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1N 염산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분취로드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한 후, 60 ℃에서 감압 건조하여, 식 (Ⅰ- 86)로 나타내는 화합물 28.4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40
<식 (Ⅰ- 86)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41
얻어진 식 (Ⅰ- 8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0.10 g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켜 체적을 250 ㎤로 하고, 이 중에서 2 ㎤를 젖산 에틸로 희석하여 체적을 100 ㎤로 하여(농도: 0.008 g/L), 자외가시광 광도계[V-650DS; 니혼분코(주) 제](석영 셀, 광로부; 1 cm)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λMAX = 425 nm이고, 선명한 황색을 띠며, 몰 흡광계수는 48000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식 (d2)로 나타내는 화합물 30.0부에 식 (d7)로 나타내는 화합물 25.2부를 첨가하고, N-메틸피롤리돈의 용매에서 70 ℃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에 차지(charge)하고, 식 (d9)로 나타내는 화합물 36.9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42
<식 (d9)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43
식 (d9)로 나타내는 화합물 30.1부에 (±)-10-캄파술폰산 1.89부, N,N-디메틸-4-아미노피리딘 3.27부, 2,3-에폭시-1-프로판올 15.5부 및 클로로포름 450부를 첨가하고, 5 ℃에서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17.1부를 클로로포름 197부에 현탁시킨 용액을 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1N 염산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분취로드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한 후, 60 ℃에서 감압 건조하여, 식 (Ⅰ- 85)로 나타내는 화합물 28.4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44
<식 (Ⅰ- 85)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45
얻어진 식 (Ⅰ- 85)로 나타내는 화합물 0.10 g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켜 체적을 250 ㎤로 하고, 이 중에서 2 ㎤를 젖산 에틸로 희석하여 체적을 100 ㎤로 하여(농도: 0.008 g/L), 자외가시광 광도계[V-650DS; 니혼분코(주) 제](석영 셀, 광로부; 1 cm)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λMAX = 435 nm이고, 선명한 황색을 띠며, 몰 흡광계수는 48000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5
5-니트로안트라닐산[도쿄카세이 공업(주) 제] 18.2부에 물 80부를 가한 후, 수산화나트륨 0.4부를 첨가하고 용해시켰다. 빙냉 하에서, 35 % 아질산나트륨 수용액 19.7부를 첨가하고, 이어서 35 % 염산 26.2부를 조금씩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2시간 교반하여,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얻었다.
한편, 아세토아세트산 에틸에스테르[도쿄카세이 공업(주) 제] 26.0부, 시아노아세트산 메틸(도쿄카세이 제) 20.8부 및 2-아미노에탄올[와코쥰야쿠 공업(주) 제] 30.0부를 혼합하고, 95 ℃에서 24시간 교반하였다. 상기의 반응액을 실온까지 냉각한 후, 물 304부, 35 % 염산 35부의 혼합액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교반하였다. 석출한 결정을 흡인 여과의 잔여물로서 얻은 후에 건조하여, 식 (d10)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21.9부를 얻었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46
<식 (d10)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47
이어서, 식 (d10)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21.9부를 물 100부에 현탁시키고,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9.0으로 조정하였다. 여기서, 상기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15분에 걸쳐서 펌프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또한 30분간 교반하여 황색의 현탁액을 얻었다. 1시간 교반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황색 고체를 감압 하 60 ℃에서 건조하여, 식 (d11)로 나타내는 화합물 42.3부를 얻었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48
<식 (d11)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49
식 (d11)로 나타내는 화합물 32.9부에 식 (d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25.7부를 첨가하고, N-메틸피롤리돈의 용매에서 70 ℃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에 차지(charge)하고, 식 (d12)로 나타내는 화합물 38.0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50
<식 (d12)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51
식 (d12)로 나타내는 화합물 31.0부에 (±)-10-캄파술폰산 1.89부, N,N-디메틸-4-아미노피리딘 3.25부, 2,3-에폭시-1-프로판올 15.2부 및 클로로포름 450부를 첨가하고, 5 ℃에서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16.4부를 클로로포름 197부에 현탁시킨 용액을 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1N 염산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분취로드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한 후, 60 ℃에서 감압 건조하여, 식 (Ⅰ- 65)로 나타내는 화합물 29.7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52
<식 (Ⅰ- 65)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53
얻어진 식 (Ⅰ- 65)로 나타내는 화합물 0.10 g을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시켜 체적을 250 ㎤로 하고, 이 중에서 2 ㎤를 젖산 에틸로 희석하여 체적을 100 ㎤로 하여(농도: 0.008 g/L), 자외가시광 광도계[V-650DS; 니혼분코(주) 제](석영 셀, 광로부; 1 cm)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λMAX = 434 nm이고, 선명한 황색을 띠며, 몰 흡광계수는 48000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4-니트로안트라닐산[도쿄카세이 공업(주) 제] 18.3부에 물 80부를 가한 후, 수산화나트륨 0.4부를 첨가하고 용해시켰다. 빙냉 하에서, 35 % 아질산나트륨 수용액 19.7부를 첨가하고, 이어서 35 % 염산 26.2부를 조금씩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2시간 교반하여,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얻었다.
이어서, 식 (d10)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21.9부를 물 100부에 현탁시키고, 수산화나트륨을 사용하여 pH를 9.0으로 조정하였다. 여기서, 상기 디아조늄염을 포함하는 현탁액을 15분에 걸쳐서 펌프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또한 30분간 교반하여 황색의 현탁액을 얻었다. 1시간 교반하였다. 여과하여 얻어진 황색 고체를 감압 하 60 ℃에서 건조하여, 식 (d1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42.5부를 얻었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54
<식 (d1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55
식 (d1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32.9부에 식 (d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25.7부를 첨가하고, N-메틸피롤리돈의 용매에서 70 ℃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에 차지(charge)하고, 식 (d14)로 나타내는 화합물 36.9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56
<식 (d14)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57
식 (d14)로 나타내는 화합물 30.9부에 (±)-10-캄파술폰산 1.89부, N,N-디메틸-4-아미노피리딘 3.25부, 2,3-에폭시-1-프로판올 15.2부 및 클로로포름 450부를 첨가하고, 5 ℃에서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16.4부를 클로로포름 197부에 현탁시킨 용액을 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1N 염산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분취로드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한 후, 60 ℃에서 감압 건조하여, 식 (Ⅰ- 6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28.7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58
<식 (Ⅰ- 66)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59
얻어진 식 (Ⅰ- 6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0.10 g을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용해시켜 체적을 250 ㎤로 하고, 이 중에서 2 ㎤를 젖산 에틸로 희석하여 체적을 100 ㎤로 하여(농도: 0.008 g/L), 자외가시광 광도계[V-650DS; 니혼분코(주) 제](석영 셀, 광로부; 1 cm)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λMAX = 424 nm이고, 선명한 황색을 띠며, 몰 흡광계수는 48000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
식 (d13)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30.5부에 식 (d7)로 나타내는 화합물 27.0부를 첨가하고, N-메틸피롤리돈의 용매에서 70 ℃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에 차지(charge)하고, 식 (d15)로 나타내는 화합물 37.2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60
<식 (d15)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61
식 (d15)로 나타내는 화합물 30.8부에 (±)-10-캄파술폰산 1.89부, N,N-디메틸-4-아미노피리딘 3.26부, 2,3-에폭시-1-프로판올 15.4부 및 클로로포름 450부를 첨가하고, 5 ℃에서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17부를 클로로포름 197부에 현탁시킨 용액을 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1N 염산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분취로드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한 후, 60 ℃에서 감압 건조하여, 식 (Ⅰ- 125)로 나타내는 화합물 28.3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62
<식 (Ⅰ- 125)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63
Figure 112011035363488-pat00064
얻어진 식 (Ⅰ- 125)로 나타내는 화합물 0.10 g을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용해시켜 체적을 250 ㎤로 하고, 이 중에서 2 ㎤를 젖산 에틸로 희석하여 체적을 100 ㎤로 하여(농도: 0.008 g/L), 자외가시광 광도계[V-650DS; 니혼분코(주) 제](석영 셀, 광노부; 1 cm)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λMAX = 425 nm이고, 선명한 황색을 띠며, 몰 흡광계수는 48000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식 (d11)로 나타내는 화합물 30.6부에 식 (d7)로 나타내는 화합물 26.8부를 첨가하고, N-메틸피롤리돈의 용매에서 70 ℃로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물에 차지(charge)하고, 식 (d1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37.1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65
<식 (d1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66
식 (d16)으로 나타내는 화합물 30.6부에 (±)-10-캄파술폰산 1.89부, N,N-디메틸-4-아미노피리딘 3.26부, 2,3-에폭시-1-프로판올 15.4부 및 클로로포름 450부를 첨가하고, 5 ℃에서 교반하였다. 이 현탁액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 염산염 17부를 클로로포름 197부에 현탁시킨 용액을 5℃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종료 후, 1N 염산과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분취로드를 사용하여 유기층을 추출하고, 황산마그네슘을 첨가하여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여과액을 회전 증발기로 용매를 증발시켜 제거한 후, 60 ℃에서 감압 건조하여, 식 (Ⅰ- 21)로 나타내는 화합물 28.6부를 얻었다. 1H-NMR에 의해서 구조를 확인하였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67
<식 (Ⅰ- 21)로 나타내는 화합물의 동정>
Figure 112011035363488-pat00068
얻어진 식 (Ⅰ- 21)로 나타내는 화합물 0.10 g을 디메틸포름아미드로 용해시켜 체적을 250 ㎤로 하고, 이 중에서 2 ㎤를 젖산 에틸로 희석하여 체적을 100 ㎤로 하여(농도: 0.008 g/L), 자외가시광 광도계[V-650DS; 니혼분코(주) 제](석영 셀, 광노부; 1 cm)를 사용하여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이 화합물은 λMAX = 433 nm이고, 선명한 황색을 띠며, 몰 흡광계수는 48000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8에서 얻어진 화합물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용해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1035363488-pat00069
표 2 및 표 3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의 화합물은 유기용매에 대하여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는 것을 알았다.
참고예 2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을 실시예 2에서 합성한 화합물로 대신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컬러 필터를 얻는다.
참고예 3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을 실시예 3에서 합성한 화합물로 대신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컬러 필터를 얻는다.
참고예 4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을 실시예 4에서 합성한 화합물로 대신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컬러 필터를 얻는다.
참고예 5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을 실시예 5에서 합성한 화합물로 대신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컬러 필터를 얻는다.
참고예 6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을 실시예 6에서 합성한 화합물로 대신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컬러 필터를 얻는다.
참고예 7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을 실시예 7에서 합성한 화합물로 대신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컬러 필터를 얻는다.
참고예 8
실시예 1에서 합성한 화합물을 실시예 8에서 합성한 화합물로 대신한 것 이외에는 참고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컬러 필터를 얻는다.
당해 화합물을 포함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은 이물질의 발생이 적고, 고품질의 컬러 필터를 제작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유기용매에 대한 용해성이 우수하고, 액정표시장치 등의 표시장치의 컬러 필터에 사용되는 염료로서 우수하다.

Claims (7)

  1. 식 (Ⅰ)로 나타내는 화합물.
    Figure 112017048076513-pat00070

    [식 (Ⅰ)에서, R1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탄소수 1∼30의 1가의 탄화수소기, 또는 -L2-X1-R9(L2는 탄소수 1∼8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낸다. X1은 *-CO-O- 또는 *-O-CO-[*는 L2와의 결합 위치이다]를 나타내고, R9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당해 지방족 탄화수소기에 포함되는 -CH2-는 -O- 또는 -CO-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를 나타낸다. 단, 상기 탄소수 1∼30의 1가의 탄화수소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는, 하이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술파닐기, 탄소수 1∼6의 알킬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아미노기 및 탄소수 1∼4의 알콕시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R2는 수소 원자, 시아노기, 또는 카르바모일기를 나타낸다.
    R3는 탄소수 1∼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당해 알킬기에 포함되는 수소 원자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R4∼R8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8의 알킬기, 탄소수 1∼8의 알콕시기, 탄소수 2∼8의 알콕시알킬기, 하이드록시기,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 원자 또는 식 (Ⅰa)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내고, R4∼R8 중 적어도 1개는 식 (Ⅰa)로 나타내는 기를 나타낸다.
    Figure 112017048076513-pat00071

    (식 (Ⅰa)에서, L1은 탄소수 1∼8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8이 식 (Ⅰa)로 나타내는 기인 화합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1이 -L2-X1-R9(식에서, L2, X1 및 R9는 제1항의 기재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로 나타내는 기인 화합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1이 -L2-X1-L3-X2-R10(식에서, L2 및 X1은 청구항 1의 기재와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L3는 탄소수 1∼8의 알칸디일기를 나타낸다. X2는 *-CO-O- 또는 *-O-CO-[*는 L3과의 결합 위치이다]를 나타낸다. R10은 수소 원자, 메틸기 또는 에틸기를 나타낸다.)으로 나타내는 기인 화합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X1이 *-O-CO-인 화합물.
    [식에서, *는 L2와의 결합 위치를 나타낸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4∼R8 중 적어도 1개가 니트로기인 화합물.
  7. 제 1항에 기재된 화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염료.
KR1020110044941A 2010-05-17 2011-05-13 화합물 KR1017869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12965 2010-05-17
JP2010112965 2010-05-17
JP2010184722 2010-08-20
JPJP-P-2010-184722 2010-08-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537A KR20110126537A (ko) 2011-11-23
KR101786911B1 true KR101786911B1 (ko) 2017-10-18

Family

ID=4510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941A KR101786911B1 (ko) 2010-05-17 2011-05-13 화합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724598B2 (ko)
KR (1) KR101786911B1 (ko)
CN (1) CN102276589B (ko)
TW (1) TWI5265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4795B1 (ko) 2011-12-26 2014-12-23 제일모직 주식회사 안료 분산액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CN102617633A (zh) * 2012-03-01 2012-08-01 济南康和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L-α-甘油磷酰胆碱的合成方法
KR101825545B1 (ko) 2014-09-25 2018-02-0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789A (ja) 2004-06-24 2006-01-12 Sumitomo Chemical Co Ltd 染料、該染料を含む着色感光性組成物、該着色感光性組成物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該カラーフィルタを具備するイメージセンサ
WO2007088662A1 (ja) 2006-02-01 2007-08-09 Fujifilm Corporation フタロシアニン系顔料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顔料分散フォトレジスト、着色転写材料、カラーフィルタ、並びに液晶表示装置
CN101493653A (zh) 2008-01-24 2009-07-29 住友化学株式会社 有色光敏组合物,和使用该组合物的彩色滤光器阵列和固态图像拾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305B2 (ja) * 1994-07-04 2000-06-05 三井化学株式会社 感熱転写記録用イエロー色色素、感熱転写記録用インキ組成物、及び転写シート
EP1441013A1 (en) * 2001-09-28 2004-07-28 Mitsui Chemicals, Inc. Watercolor ink
US20070207331A1 (en) * 2006-03-06 2007-09-06 Pearson Jason C Azo compounds and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the azo compounds
JP5572987B2 (ja) * 2008-05-14 2014-08-20 住友化学株式会社 アゾ化合物又はその塩
JP2009280691A (ja) * 2008-05-22 2009-12-03 Sumitomo Chemical Co Ltd アゾ化合物又はその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8789A (ja) 2004-06-24 2006-01-12 Sumitomo Chemical Co Ltd 染料、該染料を含む着色感光性組成物、該着色感光性組成物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該カラーフィルタを具備するイメージセンサ
WO2007088662A1 (ja) 2006-02-01 2007-08-09 Fujifilm Corporation フタロシアニン系顔料微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顔料分散フォトレジスト、着色転写材料、カラーフィルタ、並びに液晶表示装置
CN101493653A (zh) 2008-01-24 2009-07-29 住友化学株式会社 有色光敏组合物,和使用该组合物的彩色滤光器阵列和固态图像拾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6537A (ko) 2011-11-23
TWI526501B (zh) 2016-03-21
TW201141958A (en) 2011-12-01
JP2012062461A (ja) 2012-03-29
CN102276589A (zh) 2011-12-14
JP5724598B2 (ja) 2015-05-27
CN102276589B (zh) 2015-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911B1 (ko) 화합물
TWI531621B (zh) Pyridine azo chloride
KR101930084B1 (ko) 염료용 염
KR101885231B1 (ko)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착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TWI499645B (zh) Pyridone compounds
JP5935417B2 (ja) 染料用塩
JP2012041461A (ja) 化合物
JP5957817B2 (ja) 化合物
KR20110074674A (ko) 피리돈 착체 화합물
TWI522426B (zh) Pyridone compounds
KR20110074685A (ko) 피리돈 화합물
JP2013001742A (ja) 化合物
KR20110074686A (ko) 피리돈 착체 화합물
JP2013001743A (ja) 化合物
JP2012224663A (ja) 化合物
JP2011148993A (ja) 化合物
JP2013001741A (ja) 化合物
JP2012158641A (ja) 化合物
JP2012224661A (ja) 化合物
JP2013043971A (ja) 化合物
JP2012224662A (ja) 化合物
JP2011148995A (ja) 化合物
JP2012172097A (ja) 化合物
JP2013036002A (ja) 化合物
JP2012224660A (ja) 化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