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1640A -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1640A
KR20110071640A KR1020090128262A KR20090128262A KR20110071640A KR 20110071640 A KR20110071640 A KR 20110071640A KR 1020090128262 A KR1020090128262 A KR 1020090128262A KR 20090128262 A KR20090128262 A KR 20090128262A KR 20110071640 A KR20110071640 A KR 20110071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ver
seasoning
seaweed
canned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8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21963B1 (ko
Inventor
조영철
김해섭
이영재
박정욱
박인배
Original Assignee
전라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라남도 filed Critical 전라남도
Priority to KR1020090128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1963B1/ko
Publication of KR20110071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1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1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1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2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 A23L29/206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gelling or thickening agents of vegetable origin

Abstract

본 발명은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가 높은 김에 맛내기 양념을 첨가하여 통조림으로 만들어 김의 고유한 맛과 김의 기능성과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식탁이나 야외활동에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김 통조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은, 채취한 김을 수세하여 세척하고 선별하는 공정과; 선별된 김을 탈수하여 절단기를 이용하여 10~15cm 크기로 절단하는 공정과; 탈수된 김을 95~100℃의 열탕에 넣고 1~3분간 동안 블랜칭하는 공정과; 김 추출액 20~45중량%, 퉁퉁마디 추출액 20~45중량%, 간장 20~50중량%, 올리고당 5~25%, 참기름 1~3%를 넣고 조미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다진 마늘 15~40%, 참깨 5~15%, 파 15~25%, 설탕 20~40%, 세절전복 5~30%의 양념을 혼합하는 공정과; 조미액과 양념을 혼합하여 95~100℃에서 졸이는 공정과; 졸인 조미액과 양념 혼합물을 블랜칭한 김과 혼합하여 캔에 밀봉하여 포장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김, 통조림

Description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PROCESS FOR PREPARING CANNED LAVER FOODS}
본 발명은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양가 높은 김에 맛내기 양념을 첨가하여 통조림으로 만들어 김의 고유한 맛과 김의 기능성과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식탁이나 야외활동에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김 통조림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김은 홍조류에 속하는 해조류로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양권에서 예로부터 섭취하여 왔다. 김에는 다량의 당이 함유되어 있는데 isoflroridoside, floridoside 등의 유리당과 세포벽 구성성분인 불용성 다당인 hemi-cellulose, 그리고 세포간 충진물질인 수용성 다당인 phophyran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porphyran은 3,6-anhydro-L-galactose, 6-O-methyl-D-galactose, D,L-galactose, ester sulfate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한천의 주요 원료의 하나인 꼬시래기의 조성과 매우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김에는 동맥경화의 원인이 되는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간장의 활동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진 타우린이 굴과 흡사한 수준으로 높은 함량을 가지고 있고, 콜레스테롤 개선효과가 우수한 다당류와 타우린 등의 기능성 물질을 다량 함유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식이섬유와 단백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홍조류인 주로 마른 김이나 조미 김의 형태로만 주로 유통되는데 마른김 등은 수분의 침투로 인해 눅눅해지고 보관이 어렵고 저장성이 떨어진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인식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양가 높은 김에 맛내기 양념을 첨가하여 통조림으로 만들어 김의 고유한 맛과 김의 기능성과 저장성을 향상시키고 웰빙(well-being) 시대에 맞는 식탁 및 레저형 김 영양식품을 제공할 수 있는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은, 채취한 김을 수세하여 세척하고 선별하는 공정과; 선별된 김을 탈수하여 절단기를 이용하여 10~15cm 크기로 절단하는 공정과; 탈수된 김을 95~100℃의 열탕에 넣고 1~3분간 동안 블랜칭하는 공정과; 김 추출액 20~45중량%, 퉁퉁마디 추출액 20~45중량%, 간장 20~50중량%, 올리고당 5~25%, 참기름 1~3%를 넣고 조미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다진 마늘 15~40%, 참깨 5~15%, 파 15~25%, 설탕 20~40%, 세절전복 5~30%의 양념을 혼합하는 공정과; 조미액과 양념을 혼합하여 95~100℃에서 졸이는 공정과; 졸인 조미액과 양념 혼합물을 블랜칭한 김과 혼합하여 캔에 밀봉하여 포장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 통조림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은 김을 블랜칭해서 김의 부드럽게 하여 섭취가 쉽도록 하고, 조미액과 각종 양념으로 통조림에 넣어 포장하여 저장성을 부여하고 김의 영양과 맛을 그대로 느낄 수 있으며 보관이 자유롭고 섭취를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 및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김 통조림 제조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은 김을 깨끗이 세척하는 수세공정, 김 속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선별공정, 섭취가 쉽도록 김을 적당한 크기로 자르는 세절공정, 김을 열탕 속에서 블랜칭하는 열처리 공정, 조미액과 양념을 제조하는 공정, 제조된 조미액과 각종 양념을 첨가하는 혼합공정 및 혼합된 제품을 통조림에 넣어 밀봉하고 포장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원료인 김의 수세 및 이물질의 선별을 위한 공정은 여과한 해수(海水)를 이용해 세척한 다음 탈수한다. 세척하여 탈수한 김 원초는 세절공정을 거치는데 10~15㎝내외의 크기로 절단한다. 절단한 김은 섭취할 때 부드럽게 하기 위해 95~100℃의 열탕에 넣고 1~3분간 동안 신속히 블랜칭하고 신속히 탈수한다. 열처리된 김은 준비된 조미액과 양념을 일정량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통조림에 넣고 밀봉하고 포장하였다. 조미액과 양념의 배합비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조미액에 첨가되는 김 추출물은 김에 20배 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121℃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한 다음 추출물을 얻었다. 김 추출물에는 김의 기능성 성 분으로 porphyran이 11~13%를 함유한다.
퉁퉁마디 추출물은 퉁퉁마디에 5배 중량의 물을 넣고 통상의 열수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즉, 퉁퉁마디 100g에 물 500g을 넣고 10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한 다음 여과액을 조미액의 원료로 사용하였다.
양념에 들어가는 마늘은 생마늘을 다져서 사용하였고, 세절전복은 전복을 세척하고 내장과 육을 분리하여 육을 2~3cm로 세절하여 조미액과 양념을 혼합할 때 익혀서 사용하였다.
품명 조미액(중량%) 품명 양념(중량%)
김 추출액 20~45 마늘 15~40
퉁퉁마디 추출액 20~45 참깨 5~15
간장 20~50 15~25
올리고당 5~25 설탕 20~40
참기름 1~3 세절 전복 5~30
이하에서는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① 채취한 김 1,000g을 여과해수로 20분간 수세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여 선별한다.
② 세척한 김은 탈수하고 절단기를 이용하여 10~15cm 크기로 절단한다.
③ 절단한 김은 섭취할 때 부드럽게 하기 위해 95~100℃의 열탕에 넣고 2분간 동안 블랜칭하고 구멍이 있는 채에 받쳐 탈수한다.
④ 조미액은 김 추출액 25중량%, 퉁퉁마디 추출액 25중량%, 간장 38중량%, 올리고당 10중량%, 참기름 2중량%를 넣고 조미액 200g을 제조한다.
첨가되는 김 추출물은 김에 20배 중량의 물을 첨가하여 121℃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한 다음 추출물을 얻었다. 퉁퉁마디 추출물은 퉁퉁마디에 5배 중량의 물을 넣고 통상의 열수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즉, 퉁퉁마디 100g에 물 500g을 넣고 100℃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여 여과한 다음 추출물을 얻었다.
⑤ 양념은 다진 마늘 30중량%, 참깨 10중량%, 파 20중량%, 설탕 35중량%, 세절전복 5중량%를 준비하여 200g을 제조한다.
양념에 들어가는 마늘은 생마늘을 다져서 사용하였고, 세절전복은 전복을 세척하고 내장과 육을 분리하여 육을 2~3cm로 세절하여 조미액과 양념을 혼합할 때 익혀서 사용하였다.
⑥ 조미액과 양념을 표 2와 같이 첨가하여 95~100℃에서 졸인 다음 블랜칭한 김과 혼합한다.
⑦ 혼합한 김은 150g씩 통조림 관에 넣어 밀봉하고 포장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하여 관능평가 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결과 김 100g 기준, 조미액 100g에 양념을 40g 넣고 졸인다음 혼합하여 만든 제품이 맛과 색, 향 등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다.
조미액(g) 양념(g) 김 첨가량(g) 관능평가
100 20 100 6.3 6.4 6.2
100 30 100 6.4 6.4 6.3
100 40 100 6.7 6.5 6.8
100 50 100 6.5 6.5 6.5
100 60 100 6.4 6.4 6.4
도면 및 앞에서 설명된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서만 정하여지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개량 및 변경된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공정도

Claims (1)

  1. 채취한 김을 수세하여 세척하고 선별하는 공정과;
    선별된 김을 탈수하여 절단기를 이용하여 10~15cm 크기로 절단하는 공정과;
    탈수된 김을 95~100℃의 열탕에 넣고 1~3분간 동안 블랜칭하는 공정과;
    김 추출액 20~45중량%, 퉁퉁마디 추출액 20~45중량%, 간장 20~50중량%, 올리고당 5~25%, 참기름 1~3%를 넣고 조미액을 제조하는 공정과;
    다진 마늘 15~40%, 참깨 5~15%, 파 15~25%, 설탕 20~40%, 세절전복 5~30%의 양념을 혼합하는 공정과;
    조미액과 양념을 혼합하여 95~100℃에서 졸이는 공정과;
    졸인 조미액과 양념 혼합물을 블랜칭한 김과 혼합하여 캔에 밀봉하여 포장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
KR1020090128262A 2009-12-21 2009-12-21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 KR101221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262A KR101221963B1 (ko) 2009-12-21 2009-12-21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8262A KR101221963B1 (ko) 2009-12-21 2009-12-21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1640A true KR20110071640A (ko) 2011-06-29
KR101221963B1 KR101221963B1 (ko) 2013-01-11

Family

ID=44402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8262A KR101221963B1 (ko) 2009-12-21 2009-12-21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19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373B1 (ko) * 2018-10-17 2019-03-18 김종돈 장기간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물김 생엽상체의 보관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34A (ja) * 1992-09-30 1995-01-13 Tsukuni Hajime 生藻類の保存方法及び生藻類の保存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9373B1 (ko) * 2018-10-17 2019-03-18 김종돈 장기간 우수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물김 생엽상체의 보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21963B1 (ko) 201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11167A (zh) 一种蒜、豆豉和鱼罐头的制作方法
KR101121738B1 (ko) 김치의 제조 방법
KR20190044179A (ko) 감태와 포도껍질 및 오미자 추출물이 함유된 닭갈비 소스의 제조방법
KR20150053433A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전복장조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황칠나무를 이용한 전복장조림
CN110892981A (zh) 一种海鲜味调味酱及其制备方法
KR102081426B1 (ko) 다시마 김치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다시마 김치
KR20170094959A (ko) 고추씨 천연 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90142494A (ko) 해초와 키토산을 이용한 돌산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KR102145899B1 (ko) 천연식물이 스며든 굴비분말을 이용한 굴비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굴비고추장
KR101068882B1 (ko) 자색고구마김치의 제조방법
KR101221963B1 (ko) 김 통조림의 제조 방법
KR102287098B1 (ko) 황칠나무를 이용한 훈제전복의 제조방법
KR100768335B1 (ko) 함초를 이용하여 저장성이 증대된 함초김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31812B1 (ko) 기능성 김치 제조방법
KR101742975B1 (ko) 쇠비름 당침액이 함유된 김치 제조방법
CN104055055A (zh) 乌梅马鞭草营养调味料
KR101427359B1 (ko) 상황버섯과 헛개나무 및 민들레 추출물을 이용한 김치속과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김치
KR101340928B1 (ko) 한국의 전통발효식품을 이용한 발효 주먹밥 및 그 제조방법
KR100708778B1 (ko) 홍삼곤짠지의 제조방법
KR101123578B1 (ko) 절임 생선의 제조방법
KR101153437B1 (ko) 함초를 이용한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KR20200141149A (ko) 홍삼 돈수육의 제조 방법
KR102533478B1 (ko) 만능 양념소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90057600A (ko) 패류의 건식통조림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건식통조림
KR101559169B1 (ko)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액젓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