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9169B1 -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액젓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액젓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9169B1
KR101559169B1 KR1020140009295A KR20140009295A KR101559169B1 KR 101559169 B1 KR101559169 B1 KR 101559169B1 KR 1020140009295 A KR1020140009295 A KR 1020140009295A KR 20140009295 A KR20140009295 A KR 20140009295A KR 101559169 B1 KR101559169 B1 KR 101559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ratio
fish
extract
mixing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2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1958A (ko
Inventor
박창하
박승재
Original Assignee
박창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하 filed Critical 박창하
Priority to KR10201400092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9169B1/ko
Publication of KR2014003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1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9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91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20Fish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20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 A23L27/24Synthetic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prepared by ferme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Soy Sauces And Products Related Thereto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액젓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자작나무수피를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100㎛ ∼ 15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자작나무수피 분말 : 정제수를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8℃∼36℃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발효된 재료 : 정제수를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85℃∼95℃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 (d) 상황버섯을 수분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20㎛ ∼ 5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e) 상기(d)단계의 재료 : 정제수를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5℃∼95℃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 (f) 상기(c)단계에서 제조된 추출액과 상기(e)단계에서 제조된 추출액을 1 : 5 ∼ 1 : 3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g) 수분함유율 5% ∼ 10%의 건조된 엿기름을 0.01㎜ ∼0.1㎜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h) 60℃∼80℃의 정제수 1리터당 상기(g)단계의 엿기름분말을 100g∼300g을 첨가하여 3시간∼5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 (i) 상기(f)단계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액에 상기(h)단계의 추출액을 10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j) 상기(i)단계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액에 천일염을 1 : 1 ∼ 5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분함유율 10% 이내로 건조하는 단계; (k) 액젓제조용 생선을 준비하는 단계; (l) 상기(k)단계의 생선에 상기(j)단계의 소금을 5%∼30%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30일∼150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m) 상기(l)단계의 숙성이 완료된 젓갈을 여과하여 액젓을 분리하는 단계; (o) 상기(m)단계의 액젓을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액젓의 제조방법{Using natural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functional fish sauce}
본 발명은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액젓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젓(fish sauce)은 소금을 침장원으로 사용해 발효시킨 것으로 방법에서 젓갈과 동일하지만 숙성기간에서 구별된다. 기존의 젓갈들이 2-3개월 숙성 발효시켜 원료가 완전히 분해되지 않은 상태에서 식용하는 것과는 달리 숙성기간을 6-24개월 정도 연장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저장기간이 오래 지속되면서 원료의 육질이 효소 가수분해되어 숙성이 충분히 되면 여과장치로 걸러서 만든다. 액젓은 베트남, 타이, 라오스,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국가의 요리에서 주로 사용되며, 음식에 간을 맞추기 위해 사용된다. 한국에서는 김치를 담글 때 쓰인다. 동남아시아 음식에서 어장은 생선, 새우, 돼지고기, 닭고기 요리를 위한 찍어먹는 소스로도 사용된다. 중국 남부 지방에서는 조리용 기름이나 국물 요리, 찜요리를 위한 재료로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과 유사한 선행기술로는 특허출원 10-2000-0041983(백년초 액젓 및 그 제조방법) 등이 있다.
액젓은 한국이나 중국, 일본, 동남아 등지에서 식재료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액젓의 염도를 낮추고, 비린내 또는 잡냄새가 저하되고 조미효과가 향상된 액젓을 제조하려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액젓의 숙성기간이 6개월 이상 소요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숙성기간이 현저하게 단축하여 생산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액젓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자작나무수피를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100㎛ ∼ 15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자작나무수피 분말 : 정제수를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8℃∼36℃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발효된 재료 : 정제수를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85℃∼95℃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 (d) 상황버섯을 수분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20㎛ ∼ 5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e) 상기(d)단계의 재료 : 정제수를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5℃∼95℃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 (f) 상기(c)단계에서 제조된 추출액과 재료와 상기(e)단계에서 제조된 추출액을 1 : 5 ∼ 1 : 3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g) 수분함유율 5% ∼ 10%의 건조된 엿기름을 0.01㎜ ∼0.1㎜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h) 60℃∼80℃의 정제수 1리터당 상기(g)단계의 엿기름분말을 100g∼300g을 첨가하여 3시간∼5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 (i) 상기(f)단계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액에 상기(h)단계의 추출액을 10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j) 상기(i)단계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액에 천일염을 1 : 1 ∼ 5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분함유율 10% 이내로 건조하는 단계; (k) 액젓제조용 생선을 준비하는 단계; (l) 상기(k)단계의 생선에 상기(j)단계의 소금을 5%∼30%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30일∼150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m) 상기(l)단계의 숙성이 완료된 젓갈을 여과하여 액젓을 분리하는 단계; (o) 상기(m)단계의 액젓을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액젓은 성인병의 원인이 되는 나트륨성분이 저하되며, 향신료를 첨가하지 않고 본 발명의 액젓만으로 음식을 조리할 때 첨가하면 비린내가 없고 풍미가 향상된다. 육류에 본 발명의 액젓을 첨가하여 숙성하면 육류의 잡냄새가 제거되고 풍미가 향상되어 다용도의 조미료로 사용할 수 있는 고품질의 액젓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액젓의 숙성기간이 6개월 이상이 소요되는 데, 본 발명의 액젓은 30일 ∼150일 정도 소요되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액젓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자작나무수피를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100㎛ ∼ 15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자작나무수피 분말 : 정제수를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8℃∼36℃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발효된 재료 : 정제수를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85℃∼95℃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 (d) 상황버섯을 수분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20㎛ ∼ 5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e) 상기(d)단계의 재료 : 정제수를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5℃∼95℃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 (f) 상기(c)단계에서 제조된 추출액과 상기(e)단계에서 제조된 추출액을 1 : 5 ∼ 1 : 3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g) 수분함유율 5% ∼ 10%의 건조된 엿기름을 0.01㎜ ∼0.1㎜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h) 60℃∼80℃의 정제수 1리터당 상기(g)단계의 엿기름분말을 100g∼300g을 첨가하여 3시간∼5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 (i) 상기(f)단계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액에 상기(h)단계의 추출액을 10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j) 상기(i)단계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액에 천일염을 1 : 1 ∼ 5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분함유율 10% 이내로 건조하는 단계; (k) 액젓제조용 생선을 준비하는 단계; (l) 상기(k)단계의 생선에 상기(j)단계의 소금을 5%∼30%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30일∼150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m) 상기(l)단계의 숙성이 완료된 젓갈을 여과하여 액젓을 분리하는 단계; (o) 상기(m)단계의 액젓을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 액젓은 비린내 및 잡냄새가 거의 없으며 풍미와 질감, 기호도가 향상되어 제품성이 강화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조방법 중 상기(i)단계의 추출액에 천일염을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건조하여 만든 소금을 만든 후, 이를 생멸치의 8%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60일동안 숙성한 다음, 여과하여 준비하였다.
비교예 1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하는 멸치액젓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조방법 중 상기(i)단계의 추출액에 천일염을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건조하여 만든 소금을 만든 후, 이를 마쇄한 참다랑어의 8%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60일동안 숙성한 다음 여과하여 준비하였다.
비교예 2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하는 참치액젓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제조방법 중 상기(i)단계의 추출액에 천일염을 1 : 1의 비율로 혼합하여 건조하여 만든 소금을 만든 후, 이를 생까나리의 8%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60일동안 숙성한 다음 여과하여 준비하였다.
비교예 3
일반적으로 시중에 판매하는 까나리액젓을 준비하였다.
실시예1,2,3 및 비교예1,2,3의 액젓 맛, 냄새, 질감, 전체적인 기호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20∼40대의 남녀 30명의 관능검사요원에 대해 실시예1,2 및 비교예1,2의 액젓과 액젓을 첨가하여 만든 미역국, 게장, 돼지갈비를 시식하게 한 다음 맛에 대한 만족도를 평가하도록 하였으며, 평가방법은 제조 후 경과 일자별로 맛, 향미, 질감, 전체적인 기호도를 5점법으로 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관능검사 항목에 대해(매우 나쁘다 : 1점, 조금 나쁘다 : 2점, 보통이다 : 3점, 조금 좋다 4점, 매우 좋다 : 5점) 평가하여 평균점수를 표1 - 표6에 나타냈다.
<멸치액젓을 그대로 시식한 경우의 관능검사 비교표>
구분 냄새 질감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1 4.7 4.6 4.7 4.7
비교예1 2.9 2.6 3.0 2.9
참다랑어액젓을 그대로 시식한 경우의 관능검사 비교표>
구분 냄새 질감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2 4.9 4.7 4.8 4.8
비교예2 3.0 2.9 3.2 3.1
<까나리액젓을 그대로 시식한 경우의 관능검사 비교표>
구분 냄새 질감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3 4.8 4.6 4.7 4.7
비교예3 2.6 2.5 2.5 2.5
<미역국에 멸치액젓만 첨가하여 시식한 경우의 관능검사 비교표>
구분 냄새 질감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1 4.8 4.7 4.8 4.7
비교예1 3.1 2.8 3.2 3.1
<까나리액젓으로 게장을 만들어 3일간 숙성 후 시식한 경우의 관능검사 비교표>
구분 냄새 질감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3 4.7 4.6 4.8 4.7
비교예3 3.3 3.0 3.4 3.3
<참다랑어 액젓으로 숙성한 돼지갈비를 시식한 경우의 관능검사 비교표>
구분 냄새 질감 전체적인 기호도
실시예2 4.9 4.8 4.9 4.9
비교예2 3.2 3.3 3.4 3.3
참다랑어액젓으로 돼지갈비를 첨가하여 24시간동안 숙성한 후 팬에 구운 후 시식함.
<멸치액젓의 영양성분 비교표>
구분 가식부100g당
수분
(%)
단백질
(%)
지방
(%)
회분
(%)
탄수화물
(%)
Ca
(mg)
P
(mg)
Na
(mg)
K
(mg)
실시예1 62.1 6.7 0 22.1 9.1 30 25 3864 352
비교예1 64 6.1 0.2 20.9 8.8 27 22 6358 334
<참다랑어액젓의 영양성분 비교표>
구분 가식부100g당
수분
(%)
단백질
(%)
지방
(%)
회분
(%)
탄수화물
(%)
Ca
(mg)
P
(mg)
Na
(mg)
K
(mg)
실시예2 68.1 9.9 0.1 14.0 7.9 9 7 3829 435
비교예2 70.8 9.4 0.3 12.8 6.7 7 5 7021 423
<까나리액젓의 영양성분 비교표>
구분 가식부100g당
수분
(%)
단백질
(%)
지방
(%)
회분
(%)
탄수화물
(%)
Ca
(mg)
P
(mg)
Na
(mg)
K
(mg)
실시예3 68 6.7 0.1 19.0 6.2 19 22 3754 275
비교예3 69.8 5.9 0.4 18.2 5.7 16 19 6957 267
표 1에서 표 6 까지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액젓 및 액젓을 첨가하여 만든 게장, 미역국, 돼지갈비는 비교예1,2,3에 비하여 이미, 이취가 현저히 적으며, 맛과 조직감과 기호도가 현저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표 7를에서 표 9 까지를 참조하면, 비교예의 액젓보다 본 발명의 액젓의 나트륨 성분이 현저하게 저하되었으며, 각종 영양성분이 향상 된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a) 자작나무수피를 수분 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100㎛ ∼ 15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
    (b) 상기 (a)단계의 분쇄된 자작나무수피 분말 : 정제수를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28℃∼36℃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c) 상기(b)단계의 발효된 재료 : 정제수를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한 다음 85℃∼95℃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
    (d) 상황버섯을 수분함유율 5% 이내로 건조하여, 20㎛ ∼ 50㎛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e) 상기(d)단계의 재료 : 정제수를 1 : 5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85℃∼95℃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추출액을 준비하는 단계;
    (f) 상기(c)단계에서 제조된 추출액과 상기(e)단계에서 제조된 추출액을 1 : 5 ∼ 1 : 30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g) 수분함유율 5% ∼ 10%의 건조된 엿기름을 0.01㎜ ∼0.1㎜의 크기로 분쇄하여 준비하는 단계;
    (h) 60℃∼80℃의 정제수 1리터당 상기(g)단계의 엿기름분말을 100g∼300g을 첨가하여 3시간∼5시간동안 추출한 다음 여과하여 추출액을 얻는 단계;
    (i) 상기(f)단계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액에 상기(h)단계의 추출액을 10 : 1 ∼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하는 단계;
    (j) 상기(i)단계에서 제조된 혼합 추출액에 천일염을 1 : 1 ∼ 5 : 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수분함유율 10% 이내로 건조하는 단계;
    (k) 액젓제조용 생선을 준비하는 단계;
    (l) 상기(k)단계의 생선에 상기(j)단계의 소금을 5%∼30%의 중량비로 첨가하여 30일∼150일 동안 숙성하는 단계;
    (m) 상기(l)단계의 숙성이 완료된 젓갈을 여과하여 액젓을 분리하는 단계;
    (o) 상기(m)단계의 액젓을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액젓의 제조방법.
  2. 제1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액젓.


  3. 삭제
KR1020140009295A 2014-01-27 2014-01-27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액젓의 제조방법 KR101559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295A KR101559169B1 (ko) 2014-01-27 2014-01-27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액젓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295A KR101559169B1 (ko) 2014-01-27 2014-01-27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액젓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958A KR20140031958A (ko) 2014-03-13
KR101559169B1 true KR101559169B1 (ko) 2015-10-27

Family

ID=50643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295A KR101559169B1 (ko) 2014-01-27 2014-01-27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액젓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91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912A (ko) 2018-12-20 2020-06-30 (주) 오씨아드 양미리 액젓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678B1 (ko) 2009-08-27 2010-08-03 문은희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젓갈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678B1 (ko) 2009-08-27 2010-08-03 문은희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젓갈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6912A (ko) 2018-12-20 2020-06-30 (주) 오씨아드 양미리 액젓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1958A (ko) 2014-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2416B1 (ko) 전복 내장 젓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전복 내장 젓갈
KR20090040159A (ko) 까나리 액젓를 포함하는 천연 조미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12006B1 (ko) 능이버섯을 이용한 백숙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능이버섯을 이용한 백숙
CN106720457B (zh) 一种冬阴功风味油、冬阴功风味腊肠及其制备方法
CN103431434B (zh) 一种德州鸡的制作方法
KR101559169B1 (ko) 천연물을 이용한 다기능성 액젓의 제조방법
KR102322070B1 (ko) 갈치와 송화버섯을 이용한 김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39800A (ko) 생선 간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2533B1 (ko) 돈코츠 마라소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돈코츠 마라 라멘 및 돈코츠 마라 츠케멘
KR101516427B1 (ko) 양념 돼지갈비 제조방법
KR101515528B1 (ko) 소 양지 육수를 포함하는 김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584360B1 (ko) 속성 발효젓갈의 제조 방법
KR101956508B1 (ko) 생선 불고기용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및 생선 불고기용 양념소스
KR20210047391A (ko) 표고버섯을 이용한 다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579743B1 (ko) 천연물을 이용한 저염숙성 고등어의 제조방법
CN107095263A (zh) 一种海鲜味佐料汁的制备方法
KR20160077676A (ko) 붉은 대게 소스 및 그 제조방법
KR101563742B1 (ko) 천연물을 이용한 고품질 황태의 제조방법
KR20140028087A (ko) 고품질 건멸치의 제조방법
KR20200093774A (ko) 육류용 양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밑간된 육류
KR102641667B1 (ko) 간장게장 소스의 제조방법
KR101380095B1 (ko) 차가버섯으로 숙성한 육류의 제조방법
KR20150064904A (ko) 전복삼계탕 및 그 제조방법
KR102538960B1 (ko) 염장젓갈이 코팅된 염장젓갈 소금의 제조방법 및 그로 이루어진 msg 대체용 조미료
KR102365880B1 (ko) 고기 조미용 파프리카 조미 소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