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437B1 - 함초를 이용한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 Google Patents
함초를 이용한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53437B1 KR101153437B1 KR1020090001077A KR20090001077A KR101153437B1 KR 101153437 B1 KR101153437 B1 KR 101153437B1 KR 1020090001077 A KR1020090001077 A KR 1020090001077A KR 20090001077 A KR20090001077 A KR 20090001077A KR 101153437 B1 KR101153437 B1 KR 1011534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imchi
- seasoning
- seaweed
- weight
- prepared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03351 Brassica cretica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5
- 235000003343 Brassica rupestris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5
- 235000010460 mustard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5
- 241000219198 Brassica Species 0.000 title 2
- 240000003748 Salicornia europaea Species 0.000 title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5000003392 Curcuma domestic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5000003373 curcuma long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5000013976 turmeric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9938 salt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44000163122 Curcuma domesti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21329 brown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0000002860 Daucus caro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6886 Zingiber officinal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08397 ginge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
- 244000016163 Allium sibir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1270 Allium sibir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40000003670 Sesamum indic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0129 Piper nigr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0000001132 Stevia rebaudian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02243 Daucus carota subsp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4443 Pyru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05765 wild carrot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0000007842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1987 Pyrus communis Species 0.000 claims 1
- 240000007329 Zingiber officinale Species 0.000 claims 1
- 230000014860 sensory perception of tast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4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5000019654 spicy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9629 palatability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40000005583 Curcuma longa Species 0.000 abstract 1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0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9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41000234314 Zingiber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ZIUSSTSXXLLKKK-HWUZOJPISA-N Curcumin Natural products C1=C(O)C(OC)=CC(\C=C\C(\O)=C/C(=O)/C=C/C=2C=C(OC)C(O)=CC=2)=C1 ZIUSSTSXXLLKKK-HWUZOJPISA-N 0.000 description 6
- 241000220324 Pyru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491 Skin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HVYWMOMLDIMFJA-DPAQBDIFSA-N (3β)-Cholest-5-en-3-ol Chemical compound C1C=C2C[C@@H](O)CC[C@]2(C)[C@@H]2[C@@H]1[C@@H]1CC[C@H]([C@H](C)CCCC(C)C)[C@@]1(C)CC2 HVYWMOMLDIMFJA-DPAQBDIF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53 sensor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KEAYESYHFKHZAL-UHFFFAOYSA-N sodium Chemical compound [Na] KEAYESYHFKHZA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0000000772 Brassica cretic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29940109262 Curcumin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40029983 VITAMINS Drugs 0.000 description 3
- 229940021016 Vitamin IV solution additives Drug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754 curcu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148 curcu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17 pea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633 pungent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30003231 vitam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3
- 229940107161 Cholesterol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60001231 Chol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QRMPRVXWPCLVNI-YYFQZIEXSA-N Curcumol Chemical compound C1C(=C)[C@@H]2CC[C@H](C)[C@@]22C[C@@H](C(C)C)[C@]1(O)O2 QRMPRVXWPCLVNI-YYFQZIEX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7465 Echinoide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XOAAWQZATWQOTB-UHFFFAOYSA-N Taurine Chemical compound NCCS(O)(=O)=O XOAAWQZATWQO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WIUHFFTVRNATP-UHFFFAOYSA-N Trimethylglycine Chemical compound C[N+](C)(C)CC([O-])=O KWIUHFFTVRNA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30013930 alkaloid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00 cholest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CRBHXDCYXIISFC-UHFFFAOYSA-N choline Chemical compound C[N+](C)(C)CC[O-] CRBHXDCYXIISF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4 chrom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VYZAMTAEIAYCRO-UHFFFAOYSA-N chromium Chemical compound [Cr] VYZAMTAEIAYCR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651 chrom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75 main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00 m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06 pear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341 volati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VFLDPWHFBUODDF-UHFFFAOYSA-N 1,7-bis(4-hydroxy-3-methoxyphenyl)hepta-1,6-diene-3,5-dione Chemical compound C1=C(O)C(OC)=CC(C=CC(=O)CC(=O)C=CC=2C=C(OC)C(O)=CC=2)=C1 VFLDPWHFBUOD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WEEGYLXZBRQIMU-UHFFFAOYSA-N 1,8-cineole Chemical compound C1CC2CCC1(C)OC2(C)C WEEGYLXZBRQIM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ZMIQNSSHYBJKIL-UHFFFAOYSA-N 2-methyl-6-(4-methylcyclohexa-1,3-dien-1-yl)hept-2-en-4-one Chemical compound CC(C)=CC(=O)CC(C)C1=CC=C(C)CC1 ZMIQNSSHYBJKI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903 2-propenyl group Chemical group [H]C([*])([H])C([H])=C([H])[H]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373 Acetylcho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282 Al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1897 Alzheimer'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261 Aspart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747 Betacarote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41000219193 Brassic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0218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YKPUWZUDDOIDPM-SOFGYWHQSA-N Capsaicin Chemical compound COC1=CC(CNC(=O)CCCC\C=C\C(C)C)=CC=C1O YKPUWZUDDOIDPM-SOFGYWHQSA-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384 Capsicum annuum var. annu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5623 Carcinogene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72 Colo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50 Crude prote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D-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89 Glutam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8987 Haemorrhag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953 Hypo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21015 I.V. solution additive Amino Acids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36 Intestin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CKLJMWTZIZZHCS-REOHCLBHSA-N L-aspar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O)=O CKLJMWTZIZZHCS-REOHCLBHSA-N 0.000 description 1
- WHUUTDBJXJRKMK-VKHMYHEASA-N L-glutam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N)CCC(O)=O WHUUTDBJXJRKMK-VKHMYHEASA-N 0.000 description 1
- KDXKERNSBIXSRK-YFKPBYRVSA-N L-lysine Chemical compound NCCCC[C@H](N)C(O)=O KDXKERNSBIXSRK-YFKPBYRVSA-N 0.000 description 1
- ONIBWKKTOPOVIA-BYPYZUCNSA-N L-proline Chemical compound OC(=O)[C@@H]1CCCN1 ONIBWKKTOPOVIA-BYPYZUCNSA-N 0.000 description 1
- OUYCCCASQSFEME-QMMMGPOBSA-N L-tyrosine Chemical compound OC(=O)[C@@H](N)CC1=CC=C(O)C=C1 OUYCCCASQSFEME-QMMMGPOB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72 Lys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3207 Nia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8589 Obesit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1090 Papaver somnife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753 Papaver somnife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758706 Pip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429 Prol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92 Radical scaven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700159 Ratt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080 Taur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441 Tyros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5997 Vitamin A Drug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BOOMUCAASA-N Vitamin A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BOOMUCAA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51 Vitamin B1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46009 Vitamin 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427 Vitamin 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4299 Zingiber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OIPILFWXSMYKGL-UHFFFAOYSA-N acetylcholine Chemical compound CC(=O)OCC[N+](C)(C)C OIPILFWXSMYKG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8 adul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97 alkaloid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FPIPGXGPPPQFEQ-OVSJKPMPSA-N all-trans-retinol Chemical compound OC\C=C(/C)\C=C\C=C(/C)\C=C\C1=C(C)CCCC1(C)C FPIPGXGPPPQFEQ-OVSJKPMP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16183 alpha-curcumene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014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08 anthocya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10 anthocya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636 anthocyani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7 anthocyanin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78 antioxida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118 ar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704 aspar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VYAWBVGESA-N beta-Carotene Natural products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VYAWBVGE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734 beta-carote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48 beta-carot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237 beta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19 bleeding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72 blood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52 cancer 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1 cancerogen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663 capsaic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504 capsai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833 capsaic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357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504 carcinogenesis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83 carcinogen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6 carot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73 carot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63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1 chl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0 chlo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AMOUSCENKQFHK-UHFFFAOYSA-N chlorine atom Chemical compound [Cl] ZAMOUSCENKQF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04 chlorophyl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ATNHDLDRLWWWCB-AENOIHSZSA-M chlorophyll a Chemical compound C1([C@@H](C(=O)OC)C(=O)C2=C3C)=C2N2C3=CC(C(CC)=C3C)=[N+]4C3=CC3=C(C=C)C(C)=C5N3[Mg-2]42[N+]2=C1[C@@H](CCC(=O)OC\C=C(/C)CCC[C@H](C)CCC[C@H](C)CCCC(C)C)[C@H](C)C2=C5 ATNHDLDRLWWWCB-AENOIHSZSA-M 0.000 description 1
- 229930002875 chlorophyll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233 cineol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7050 cineols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27 cl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70 cla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3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4 crude f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213 die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25 dietary fib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76 essential amino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7 essential amino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626 essential fatty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22 glutam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220 glutam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43 hepatoprotec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216 herb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0 iodin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30 iod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NDPGZBMCMUPRI-UHFFFAOYSA-N iodine Chemical compound II PNDPGZBMCMUPR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646 lys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977 lys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1 m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DFPAKSUCGFBDDF-UHFFFAOYSA-N nicotinamide Chemical compound NC(=O)C1=CC=CN=C1 DFPAKSUCGFBDD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968 nicot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512 nicot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4 nicot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824 obesit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732 oign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4 parasympathetic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049 pear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10 pick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9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69 prophylax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058 respiratory gaseous ex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71 retin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791 so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KYMBYSLLVAOCFI-UHFFFAOYSA-N thiamine Chemical compound CC1=C(CCO)SCN1CC1=CN=C(C)N=C1N KYMBYSLLVAOCF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95 thia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19 tissue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3 trace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9 trace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26 triacylglycer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374 tyros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0 van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LEONUFNNVUYDNQ-UHFFFAOYSA-N vanadium(0) Chemical compound [V] LEONUFNNVUYDN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5 vitamin 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9 vitamin 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74 vitamin B1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1 vitamin B1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00 vitamin C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65 vitamin 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9 vitamin 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12 vitamin E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ENHQHLEOONYIE-JLTXGRSLSA-N β-Carotene Chemical compound CC=1CCCC(C)(C)C=1\C=C\C(\C)=C\C=C\C(\C)=C\C=C\C=C(/C)\C=C\C=C(/C)\C=C\C1=C(C)CCCC1(C)C OENHQHLEOONYIE-JLTXGRSLSA-N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Abstract
본 발명은 함초를 이용한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인체에 유용한 영양성분인 함초를 가미함과 동시에 기호성이 향상된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함초를 함유한 갓 김치의 제조방법은 채취하여 준비된 갓을 염장하는 염장단계와, 염장단계에서 염장된 갓을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함초를 함유하는 양념을 준비하는 양념준비단계와, 양념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양념을 상기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갓에 버무려 혼합하는 버무림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체에 매우 유익한 함초의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현대인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고, 갓김치를 최적의 조건에서 일정기간 발효 숙성시켜 갓 특유의 향취와 맛은 살리면서도 갓의 자극적인 매운맛은 제거하여 갓김치의 기호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갓, 갓김치, 함초, 발효, 강황
Description
본 발명은 함초를 이용한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조미료를 사용하지 않고 인체에 유용한 영양성분인 함초를 가미함과 동시에 기호성이 향상된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는 우리 식탁에서 필수적인 독특한 발효식품으로 한국에서 개발하여 이용해오는 고유한 채소 염장법이다. 우리 민족은 오래전부터 채소를 즐겨왔기 때문에 채소가공이 발달하여 왔고 이 중 김치는 다른 나라에서 찾아볼 수 없는 우리 민족 고유의 슬기를 발휘한 걸작품이다.
특히 김치는 겨울철 채소류가 부족한 시기에 비타민과 무기질의 공급원으로, 주식인 밥과 가장 잘 어울리는 최적의 부식으로 우리의 식생활과 가장 가까이 있는 복합적인 식품이다. 김치는 주재료가 야채이므로 비타민과 무기질의 조절 영양소로서의 역할 및 식이 섬유소 공급원 그리고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맛과 젖산균 및 유 기산에 의한 변비예방과 정장작용에도 중요하게 작용하여 일상생활에서 한국인을 위한 영양공급 및 건강유지를 위해 중요하다.
이러한 김치의 종류는 아주 다양한 데, 이 중에서 갓을 이용한 갓김치가 있다.
갓은 쌍떡잎식물 양귀비목 겨자과로 영명은 'Mustard, stalk and leaves'이며, 우리나라에서는 갓 또는 겨자라고 부르는데 갓은 주로 김치용이며 씨앗은 매우맛이 강하며 작고 황갈색으로 향기로운 맛이 있어서 양념과 약제로 쓰인다. 중국에서는 2,000년 전부터 재배역사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재배역사가 분명치 않으나 중국과 일본의 전파 내력으로 봐서 오랜 옛날에 도입이 되어 품종분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이 되고 있다.
갓은 채소 중에서 고온성이다. 성장 초기에는 내한성과 내서성이 모두 강하지만 따뜻한 지방에서 적응된 품종은 성장을 함에 따라서 내한성이 약해지고 차가운 지방에서 자라는 계통은 내서성이 약하다. 갓은 결각이 심한 것, 결각이 심하지 않은 것이 있다. 또한 잎에는 털이 많고 억센 것, 털이 거의 없는 것이 있다.
잎의 색깔은 적색인 것, 청색인 것, 그리고 중간 색깔인 것이 있는데 편의상 적색갓, 청색갓, 중간 색깔인 얼청갓이 있다. 우리나라의 갓 재배는 거의가 가을에 재배를 해서 김치용으로 쓰고 있으나 여수 지방의 특산 갓은 연중 재배를 하여 김치용으로 그 인기가 대단하다.
씨앗에는 갈색인 씨앗과 황갈색, 황색이 있으며 매우 맛이 적으나 향기가 있다. 갓은 잎과 줄기에 매운맛이 강해서 대부분이 김치용으로 쓰이며 일부는 초봄에 겉절이용으로 쓰이며 맛 된장에 찍어 먹기도 한다.
갓의 효능에는 비타민A의 모체인 카로틴의 형태로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잎과 씨앗에 함유되어 있는 매운맛의 주성분은 시니구린이며 건조상태에서는 쓴맛이 있을 뿐이고 매운맛은 나타나지 않지만 수분이 있으면 가수분해효소 미로시나제에 의해서 분해가 되어 알릴이소치오시아네이트(allylisothiocynates)와 포도당이 되어 특유의 강한 매운맛을 나타낸다.
이러한 갓의 자극적인 매운 맛은 매운맛을 싫어하는 어른이나 어린이에게 갓김치의 기호도를 저하시키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유익한 함초를 함유하는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갓 특유의 매운맛을 제거하여 기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갓 김치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갓 김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함초를 함유한 갓 김치의 제조방법은 채취하여 준비된 갓을 염장하는 염장단계와; 상기 염장단계에서 염장된 갓을 세척하는 세척단계와; 함초를 함유하는 양념을 준비하는 양념준비단계와; 상기 양념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양념을 상기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갓에 버무려 혼합하는 버무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염장단계는 생함초를 가열추출한 함초추출물에 천일염을 용해시킨 후 수분을 증발시켜 얻어진 함초소금으로 염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념준비단계에서 양념은 함초를 발효시킨 함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양념은 강황에 스테비아, 청양고추를 혼합하여 발효시킨 강황 발효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무림단계 후 양념으로 버무려진 갓을 12 내지 14℃에서 2 내지 4개월간 저장하여 1차 숙성한 후, 3 내지 5℃에서 9 내지 11개월간 2차 숙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함초를 함유한 갓 김치는 상기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함초를 함유하는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에 의하면 인체에 매우 유익한 함초의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현대인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함초와 함께 혼합되는 강황을 발효시킴으로써 강황 고유의 쓴맛이 제거되어 갓 김치의 식미감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또한, 갓김치를 최적의 조건에서 일정기간 발효 숙성시켜 갓 특유의 향취와 맛은 살리면서도 갓의 자극적인 매운맛은 제거하여 갓김치의 기호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함초를 함유하는 갓김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1. 갓 준비단계
갓을 채취하여 선별한 후 물에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갓의 세척은 흐르는 물에 2~3회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척된 갓은 체에 올려놓아 물기를 제거하여 자연 탈수시킨다.
2. 염장 및 세척단계
물기가 제거된 갓을 절임고에 넣어 염수로 염장한다. 이때 사용하는 염수는 염도 3%이고 염장시간은 약 3 내지 4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다. 염수는 천일염을 용해시켜 만들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함초소금을 이용하여 염수를 만든다.
함초소금은 추출기에 잎과 줄기 및 뿌리를 포함하는 생함초와 물을 투입하여 90 내지 110℃로 2 내지 3시간 정도 가열한 후 고형물과 이물질을 걸러낸 함초추출물에 천일염을 용해시킨후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켜 만든다. 이때 천일염의 양은 원하는 염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정가능하다.
함초의 가열추출시 물의 함량은 생함초 100중량부에 대하여 400 내지 500중량부가 바람직하다. 추출기는 한약이나 과일 등을 가열추출시키는 통상적인 추출기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염장된 갓은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일정시간 체에 올려 놓아 물기를 제거한다.
3. 함초발효액 준비단계
염장 및 세척단계가 완료되면 갓에 버무릴 양념을 준비하는 데, 이 경우 양념은 함초의 유효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인 양념은 함초를 유효성분으로 가지기 위해 생함초 나 건초 또는 분말 형태의 함초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함초를 발효시킨 함초발효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이용되는 함초의 성분과 효능을 문헌에 공지되어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함초(鹹草)는 우리나라 서해안 개펄에 자라는 한해살이 풀로서 주성분은 효소와 미네랄로서 칼슘, 마그네슘, 칼륨, 철, 인, 망간, 아연, 요오드, 구리, 니켈, 크롬, 코발트, 바나듐, 나트륨, 염소, 우론산 및 천연섬유질을 다량 함유하고 있고, 일반성분으로는 수분,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 탄수화물 등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B1, B2, 비타민 C, 비타민 E, 나이아신 및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있다. 이외에도 아미노산(amino acid)으로 글루타민산, 아스파틱산, 티로신, 리신, 타우린, 베타인, 콜린 및 프롤린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이 외에도 바닷물 속에 들어 있는 각종 미네랄이 골고루 들어 있다. 상기와 같이 바닷물이 가지고 있는 모든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있는 함초의 효과는 다양하다. 함초에 함유되어 있는 콜린(choline)은 식품으로 복용시 체내 아세틸콜린(acetyl choline)의 수치를 높여주고, 체내 부교감신경을 항진시켜 혈당량을 하강시킴으로써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나, 함초에 함유되어 있는 각종 미량원소와 효소는 장내 숙변을 없애고 몸속의 지방질을 분해하여 몸 밖으로 내보내는 작용을 하여 변비를 개선하고, 비만증이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장벽에 달라붙어 있는 숙변을 제거함으로써 심장을 튼튼하게 하고,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질을 제거하여 혈액을 깨 끗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좋게 하여 고혈압과 저혈압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 외에도 함초는 각종 성인병의 예방 및 개선의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함초는 염전이나 갯펄 등의 내륙에서 자생하면서 바닷물이나 개벌 속에 녹아 있는 염분을 비롯하여 여러 성분들을 흡수하며 자라는 염생식물이다. 이러한 함초는 햇볕과 대기를 직접 쐬며 광합성을 통해 나쁜 성분들을 걸러내고 자신의 생육을 위해 좋은 성분만을 간직하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함초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나트륨을 비롯한 각종 미네랄 등 인체에 유익한 성분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이 중 나트륨은 함초 생초 100g당 1000 내지 1000mg의 나트륨이 들어 있다. 따라서 생초는 깨끗하면서도 각종 미네랄이 풍부하게 들어 있는 인체에 가장 유익한 소금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함초를 이용한 발효액을 얻기 위해 함초의 잎과 줄기를 선별하여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하여 뻘과 이물질을 제거한다. 세척된 함초는 물기를 제거한 후 함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흙설탕 20 내지 30 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를 첨가하여 잘 혼합한다.
이 경우 흙설탕이 20중량부 미만이면 숙성기간이 너무 길고 부패의 가능성이 있어 바람직하지 않으며, 30중량부를 초과하면 숙성 후 발효액이 너무 달아 바람직하지 않다.
함초와 흙설탕이 골고루 혼합한 다음 용기에 담아 20 내지 25℃에서 4 내지 6개월 동안 숙성시킨다. 숙성온도와 숙성기간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데, 온도가 너무 높으면 부패의 가능성이 있고 온도가 너무 낮으면 숙성기간이 너무 길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20 내지 25℃에서 4 내지 6개월 동안 숙성시켰을 경우 함초의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고 가장 깊은 맛이 난다.
이외에도 숙성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함초와 흙설탕을 혼합한 후 상기의 숙성단계전에 약 50℃에서 약 10 내지 15시간 방치하여 숙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양념은 상기 함초발효액에 더하여 강황발효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강황(薑黃)은 생강과(Zingiberaceae)의 여러해살이 풀이며 학명은 커쿠마 롱가.엘(Curcuma longa. L)이다. 강황의 원산지는 인도, 중국, 오키나와 등인데, 인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 및 아열대지방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강황에는 강황색소로 불리우는 쿠르쿠민(curcumin)을 비롯하여, 약 100종류 정도 확인되어 있는 정유성분(Tumerone,Cineol, α-curcumen, curcumol등 방향이 있는 휘발성의 정유성분), 풍부한 미네랄이 들어있다. 쿠르쿠민은 1,7-비스(4-히드록시-3 메톡시페닐)-1,6-헵타디엔-3,5-디온의 화학성분(C21H20O6)으로, 물에 불용성이고, 오렌지황색의 결정성분말을 가진다. 이러한 쿠르쿠민(curcumin)의 항산화 활성, 항염증 활성과 같은 생리활성이 밝혀지고 있다(FoodChem, Toxicol 2002 Aug:40(8):1091-7, Surh YJ.). 항암활성에서는 암세포 증식을 억제(The J. Laborstory&Clinical medicine 1997:576-583, Hanif, R. et al.)와 쥐에서의 피부, 대장, 구강암에서의 예방효과도 나타났다(Carcinogenesis,2000, 21(2):331-335, Chayng,S.E. et al). 또한 자유라디칼 소거능과 간장보호 효과도 밝혀지고 있다(Planta Med 2001Dec:67(9):876-7, Song EK et al.).
이외에도 근래에는 알츠하이머병의 예방효과, 콜레스테롤 저해활성(Indian J Physiol Pharmacol 1992 Oct;36(4):275-3, Soni KB, KuttanR.)도 밝혀지고 있다.
한의학에서 강황의 뿌리줄기(근경)는 성질이 온(溫)하여 기혈약(氣血藥)으로 쓰여지며, 중국 약초학의 고전인 이시진의 본초강목에서는 나쁜피를 제거하고 혈압, 요혈, 금창을 치료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상기의 성분과 효능을 가지는 강황은 근경을 이용한다. 강황은 본래 그 맛이 쓰므로 일정 함량이상 김치에 이용할 경우 김치의 전체적 식미감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갓김치의 일 실시예로는 강황을 발효시킨 강황발효액을 이용한다.
강황발효액은 강황에 스테비아, 청양고추를 혼합하여 발효시킨다. 강황발효액을 준비하기 위해서 강황 100중량부에 대하여 청양고추 10 내지 20중량부와, 스테비아 2내지 6중량부를 혼합하여 용기에 담아 20 내지 25℃에서 3 내지 5개월 동안 발효시켜 충분히 숙성시킨다.
청양고추는 알칼로이드의 일종으로 고추의 매운 맛을 내는 성분인 캅사이신이 다른 고추에 비해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고, 미네랄 등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다. 이러한 청양고추는 강황과 함께 발효되어 강황의 쓴 맛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스테비아는 발효를 위한 당분으로서, 상술한 흙설탕이나 다른 당분으로도 대체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양념장에는 강황의 뿌리와 줄기를 건조시킨 후 분쇄한 강황분말이 첨가될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강황분말은 일정 함량 이상이면 김치의 식미감을 저하시키므로 적절한 양을 첨가한다. 이는 후술한다.
4. 양념준비단계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갓김치에 적용되는 양념은 상기 함초발효액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함초발효액과 마늘, 쪽파, 생강, 참깨, 당근, 배, 고춧가루, 멸치젓, 현미박피분말을 혼합하여 이용한다.
상기 재료들의 조성비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양념의 각 재료 조성은 혼합된 양념 총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함초발효액 12중량%, 마늘 8중량%, 쪽파 15중량%, 생강 2중량%, 참깨 2중량%, 당근 15중량%, 배 5중량%, 고춧가루 27중량%, 멸치젓 10중량%, 현미 박피분말 4중량%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료들은 천연 재료이고 인체에 유익한 성분들이므로 몇 가지 재료들이 정해진 조성비를 벗어났다 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가 크게 감소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조성비를 따르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상기 양념재료 중 마늘, 생강은 잘 씻어서 다져놓고, 배는 갈아서 배즙으로 준비하고, 쪽파, 당근은 잘 씻어서 적당한 크기(3~5㎝)로 썰어서 준비하고, 멸치젓은 다져서 준비한다.
현미 박피분말은 현미를 도정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현미의 등겨층(과피, 종피, 외배유, 호분층)을 분말화한 것이다. 현미의 등겨층에는 여러 비타민과 미네랄이 들어 있으며, 필수 아미노산과 필수 지방산이 풍부하다. 특히, 현미의 등겨층에는 섬유질이 풍부하게 들어있다. 섬유질은 발암물질과 중금속 등의 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체외로 배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갓김치는 함초를 함유하여 인체에 매우 유익할 뿐만 아니라 현미박피분말을 함유함으로써 유익성을 배가시킨다.
이렇게 준비된 재료 중 함초발효액, 마늘, 생강, 배즙, 고춧가루, 멸치젓, 현미 박피분말을 먼저 혼합한 다음, 여기에 쪽파, 당근, 참깨를 넣어 함께 버무려 양념을 제조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양념은 상기 재료에 강황발효액이 더 추가되거나 강황분말이 더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 강황분말은 양념 총 중량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7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강황분말이 5중량부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고 7중량부를 초과하면 강황의 쓴맛 때문에 김치의 식미감을 저하시킨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적용되는 양념은 건 함초를 분쇄한 함초분말과, 마늘, 쪽파, 생강, 참깨, 당근, 배, 고춧가루, 멸치젓, 현미박피분말을 혼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5. 버무림단계
상기 양념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양념을 상기 염장된 갓에 골고루 버무려 본 발명의 갓김치를 제조한다.
6. 숙성단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상기 버무림 단계 완료 후 숙성단계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숙성단계에 의해 갓 김치는 일정기간 발효 숙성되어 갓 특유의 향취와 맛은 살리면서도 갓의 자극적인 매운맛은 제거하여 갓김치의 기호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매운맛을 싫어하는 성인이나 어린이들도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버무림단계 후 양념으로 버무려진 갓을 옹기에 담아 12 내지 14℃에서 2 내지 4개월간 저장하여 1차 숙성시킨 후, 3 내지 5℃에서 9 내지 11개월간 2차로 더 숙성시킨다. 이 경우 옹기는 미세한 기공들이 무수하게 형성되어 있어 옹기 내부로 신선한 공기가 끊임없이 유통되도록 하여 최적의 발효가 되도록 한다.
1차 및 2차 숙성과정을 거친 갓 김치는 갓에서 배출된 색소인 안토시안, β-캐로틴, 클로로필에 의해 전체적으로 보라빛 또는 분홍빛으로 물들어 시각적인 효과와 함께 갓이 숙성 발효되는 과정에서 갓 특유의 톡 쏘는 매운맛이 대부분 사라져 덜 자극적이면서도 단맛으로 변하게 되고, 갓 특유의 맛과 독특한 향은 지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함초를 이용한 갓김치의 제조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하기의 실시 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갓을 채취하여 선별한 후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탈수시킨 다음 함초소금을 물에 용해시켜 염도 3%로 조절된 염수에서 3시간 동안 염장하였다. 염장된 갓을 체에 올려놓아 물기를 제거하였다. 그리고 생함초 100중량부에 대하여 흙설탕 25중량부를 혼합하여 용기에 담아 23℃에서 5개월 동안 숙성시킨 다음 다른 양념재료들과 혼합하였다.
양념의 각 재료 조성은 혼합된 양념 총 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함초발효액 12중량%, 마늘 8중량%, 쪽파 15중량%, 생강 2중량%, 참깨 2중량%, 당근 15중량%, 배 5중량%, 고춧가루 27중량%, 멸치젓 10중량%, 현미 박피분말 4중량%로 혼합하였다. 준비된 양념을 염장된 갓에 골고루 버무려 본 발명의 갓김치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갓김치를 제조하되, 양념은 함초발효액 7중량%, 강황발효액 5중량%, 마늘 8중량%, 쪽파 15중량%, 생강 2중량%, 참깨 2중량%, 당근 15중량%, 배 5중량%, 고춧가루 27중량%, 멸치젓 10중량%, 현미 박피분말 4중량%를 혼합하였다.
(실시예3)
상기 실시 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김치를 제조한 후 옹기에 담아 13℃에서 3개월간 저장하여 1차 숙성시킨 후, 4℃에서 10개월간 2차로 더 숙성시켰다.
(비교예)
상기 실시 예들과 비교하기 위하여 통상의 갓김치 제조방법에 의한 갓김치를 제조하였다.
1. 실험예: 관능검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함초를 이용한 갓김치의 기호도를 알아보기 위해 상기 실시예들 및 비교예를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패널은 성인(남 10명, 여 6명)16명, 어린이 8명(남 4명, 여 4명) 총 24명을 선정하여 갓김치의 외관, 향, 맛, 전체적기호도를 다음과 같은 5점척도법에 의해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상의 관능 검사 결과는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 외관 | 맛 | 향 | 조직감 | 전체적기호도 |
실시예1 | 3.2 | 3.7 | 4.2 | 4.3 | 3.9 |
실시예2 | 3.3 | 3.8 | 4.0 | 4.2 | 4.0 |
실시예3 | 4.7 | 4.5 | 4.6 | 4.5 | 4.6 |
비교예 | 3.2 | 3.5 | 3.9 | 4.0 | 3.6 |
(1:매우나쁨 2:나쁨 3:보통 4:좋음 5:매우 좋음)
상기 관능검사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일반갓김치인 비교예에 비해 맛, 향, 조직감, 기호도에 있어서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는 본 발명의 갓김치가 인체에 유익한 함초나 강황을 함유하더라도 일반 갓김치와 비교해 볼 때 기호도가 결코 뒤지지 않음을 알 수 있고, 오히려 일반 갓김치보다 맛이 더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시예 3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외관, 맛, 향, 조직감, 기호도 모두에서 높은 점수를 얻었는데, 이는 발효숙성시킨 갓김치는 색상이 곱고 갓김치의 자극적인 매운 맛이 제거되어 전반적인 기호도를 향상시킴을 알 수 있다.
또한, 패널의 면담결과 갓김치의 매운맛이 없고, 조직이 연해 섭취하는 데에 불편함이 없으며, 갓특유의 향이 난다는 평가를 받았다. 특히, 어린이들의 경우 실시 예 3의 갓김치의 기호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발효시킨 갓김치의 경우 매운맛을 싫어하는 어른이나 어린이 모두에게 적합하여 건강에 관심이 많은 현대인들의 기호에 맞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갓김치는 식미감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함초의 유효성분을 일정량 함유하여 인체에 매우 유익할 뿐더러 기호도를 향상시켜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용이하게 섭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생함초를 가열추출한 함초추출물에 천일염을 용해시킨 후 수분을 증발시켜 얻어진 함초소금을 용해시킨 염수로 갓을 염장하는 염장단계와;상기 염장단계에서 염장된 갓을 세척하는 세척단계와;함초발효액 7중량%, 강황발효액 5중량%, 마늘 8중량%, 쪽파 15중량%, 생강 2중량%, 참깨 2중량%, 당근 15중량%, 배 5중량%, 고춧가루 27중량%, 멸치젓 10중량%, 현미 박피분말 4중량%가 혼합된 양념을 준비하는 양념준비단계와;상기 양념준비단계에서 준비된 양념을 상기 세척단계에서 세척된 갓에 버무려 혼합하는 버무림단계와;상기 버무림단계 후 양념으로 버무려진 갓을 옹기에 담아 13℃에서 3개월간 저장하여 1차 숙성한 후, 4℃에서 10개월간 2차 숙성하는 숙성단계;를 포함하고,상기 강황발효액은 강황 100중량부에 대하여 청양고추 10 내지 20중량부와, 스테비아 2 내지 6중량부를 혼합하여 용기에 담아 20 내지 25℃에서 3 내지 5개월 동안 발효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를 이용한 갓김치의 제조방법.
- 제 5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초를 이용한 갓김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1077A KR101153437B1 (ko) | 2009-01-07 | 2009-01-07 | 함초를 이용한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01077A KR101153437B1 (ko) | 2009-01-07 | 2009-01-07 | 함초를 이용한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1715A KR20100081715A (ko) | 2010-07-15 |
KR101153437B1 true KR101153437B1 (ko) | 2012-06-05 |
Family
ID=4264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01077A KR101153437B1 (ko) | 2009-01-07 | 2009-01-07 | 함초를 이용한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5343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1227B1 (ko) | 2016-03-23 | 2016-09-29 | 문준은 | 갓김치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082698B (zh) * | 2014-05-12 | 2016-07-06 | 湖北工业大学 | 一种大头菜酱制品的制备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2213B1 (ko) | 2001-12-15 | 2004-03-11 | 백이호 | 함초를 함유한 김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0768335B1 (ko) | 2006-03-28 | 2007-10-23 | 주식회사 다사랑 | 함초를 이용하여 저장성이 증대된 함초김치 및 그 제조방법 |
-
2009
- 2009-01-07 KR KR1020090001077A patent/KR10115343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22213B1 (ko) | 2001-12-15 | 2004-03-11 | 백이호 | 함초를 함유한 김치 및 그 제조방법 |
KR100768335B1 (ko) | 2006-03-28 | 2007-10-23 | 주식회사 다사랑 | 함초를 이용하여 저장성이 증대된 함초김치 및 그 제조방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한국식품과학회지 제32권[1](2000) 표영희 외 2인, 청갓 김치의 휘발성 성분과 발효 숙성시의 변화, pp.56-61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1227B1 (ko) | 2016-03-23 | 2016-09-29 | 문준은 | 갓김치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81715A (ko) | 2010-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1966B1 (ko) | 산야초가 함유된 초절임 무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70092365A (ko) |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기능성 건조 김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241863B1 (ko) | 김치 및 그 제조방법 | |
KR20190142494A (ko) | 해초와 키토산을 이용한 돌산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 |
KR101762873B1 (ko) | 그라비올라 추어탕의 제조방법 | |
KR100923799B1 (ko) | 강황을 함유하는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 |
KR101850400B1 (ko) | 닭가슴살 육포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육포의 제조방법 | |
KR101243361B1 (ko) | 함초를 이용한 함초진간장 제조방법 | |
KR101153437B1 (ko) | 함초를 이용한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 |
KR101392552B1 (ko) | 매실액이 함유된 곰취양념절임 및 그 제조방법 | |
KR100842809B1 (ko) | 곰취 백김치의 제조방법 | |
KR20180023214A (ko) | 해초와 키토산을 이용한 돌산 갓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김치 | |
KR100841018B1 (ko) | 곰취 통배추 김치의 제조방법 | |
KR101742975B1 (ko) | 쇠비름 당침액이 함유된 김치 제조방법 | |
KR101203790B1 (ko) | 머위 된장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된장 | |
CN112205596A (zh) | 一种特殊风味酸笋加工方法 | |
KR101799815B1 (ko) | 갯기름나물을 이용한 돌산 갓 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갓 김치 | |
KR20170025300A (ko) | 미네랄 가득 담긴 Re 된장·간장 | |
KR101282368B1 (ko) | 가식기간의 연장과 항균성을 갖는 기능성 깻잎말이 고추김치 | |
KR100842807B1 (ko) | 더덕 백김치의 제조방법 | |
KR102418801B1 (ko) | 명이나물 소스의 제조 방법 | |
KR101311902B1 (ko) | 호박과 고구마로 조성된 황금색 된장의 제조방법 | |
KR101933846B1 (ko) | 블루베리를 이용한 김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김치 | |
KR102005982B1 (ko) | 열매 발효액을 이용한 소화를 돕는 저염 동치미의 제조방법 | |
KR101941600B1 (ko) | 효소를 이용한 기능성 메주 및 이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