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70198A -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 Google Patents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70198A
KR20110070198A KR1020090126925A KR20090126925A KR20110070198A KR 20110070198 A KR20110070198 A KR 20110070198A KR 1020090126925 A KR1020090126925 A KR 1020090126925A KR 20090126925 A KR20090126925 A KR 20090126925A KR 20110070198 A KR20110070198 A KR 201100701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 plate
wedge
wrist liner
liner
wr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6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4223B1 (ko
Inventor
박시동
김태용
김명철
이현예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6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84223B1/ko
Priority to JP2010176358A priority patent/JP5336440B2/ja
Priority to US12/923,561 priority patent/US20110151309A1/en
Priority to CN201010538847.7A priority patent/CN102104115B/zh
Priority to EP10191310A priority patent/EP2337113B1/en
Publication of KR20110070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0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4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4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리스트레이너(restrainer)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이 개시된다. 개시된 배터리모듈은 엔드플레이트와 리스트레이너를 체결시키는 체결유닛으로서, 리스트레이너와 엔드플레이트 간의 체결 위치를 가변하며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가변체결기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리스트레이너가 전지 팽창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강력한 복원력을 유지하면서 고정될 수 있어서, 전지 팽창에 따른 변형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Battery module providing improved fixing structure for restrainer and the fix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복수개의 전지를 연결한 배터리모듈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모듈은 복수개의 전지를 연결하여 만든 대용량 전원공급유닛의 요소로서, 예컨대 전기자동차 등에 장착되어 동력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배터리모듈의 전지로는 리튬이온전지가 주로 사용되는데, 이 리튬이온전지는 충전과 방전을 거듭해도 성능이 잘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 충전 시 리튬이온이 이동하면서 음극 쪽이 팽창하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배터리모듈은 이 리튬이온전지 여러 개를 연결한 것이므로, 각 전지마다 조금씩만 팽창이 일어나도 전체적으로는 약 5~10% 까지 팽창이 생길 수 있다. 그러면 배터리모듈의 변형이 심해져서 그것을 제위치에 장착하고 탈착하는데 문제가 생길 수 있고, 또한 전지의 전기저항도 증가할 수 있다. 더구나, 전기자동차에 사용 시에는 이러한 배터리모듈을 8개정도 적층하여 배터리팩으로 만들어 장착하게 되므로, 각 배터리모듈의 변형이 합해지면 변형량이 더 커져서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 서, 배터리모듈에는 이러한 이차전지의 팽창을 억제하기 위한 리스트레이너가 설치되는데, 이 리스트레이너가 적정한 인장력으로 고정되어야 전지들의 팽창을 안정적으로 감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지 팽창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복수의 전지들이 연결된 전지유닛과, 상기 전지유닛의 양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에 체결되어 상기 전지유닛의 팽창을 억제하는 리스트레이너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리스트레이너를 체결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리스트레이너와 상기 엔드플레이트 간의 체결 위치를 가변하며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가변체결기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리스트레이너와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정해진 체결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체결기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리스트레이너는 상기 위치가변체결기구에 의해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리스트레이너는 상기 위치고정체결기구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위치고정체결기구는, 상기 리스트레이너와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볼트와, 그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가변체결기구는,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리스트레이너가 쐐기 모양으로 결합되는 쐐기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쐐기결합부는,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형성된 쐐기홈과, 상기 리스트레이너 일부를 상기 쐐기홈에 형합되게 눌러서 변형시키는 쐐기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쐐기바와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장공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볼트 및, 그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쐐기결합부는, 상기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리스트레이너 일부를 쐐기홈이 형성되도록 함께 눌러서 변형시키는 쐐기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쐐기바와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장공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볼트 및, 그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가변체결기구는, 상기 리스트레이너를 관통하며 내벽에는 요철면이 마련된 요철홀과, 상기 요철면의 일부 영역에 형합되면서 상기 리스트레이너와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요철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스트레이너는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비해 높이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리스트레이너 고정방법은, 전지유닛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에 리스트레이너를 고정시키는 배터리모듈의 리스트레이너 고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일단부를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일단부고정단계;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타단부를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의 엔드플레이드 쪽으로 당기는 인장력부가단계;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타단부를 상기 다른 하나의 엔드플레이드에 체결하여 인장력 부가 상태로 고정시키는 타단부고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일단부고정단계는, 상기 리스트레이너와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볼트로 관통시키는 단계와, 상기 볼트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단부고정단계는, 쐐기 모양이 형성된 쐐기바를 이용하여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일부를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형성된 쐐기홈 안으로 눌러서 그 쐐기홈 안에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일부가 끼워지며 결합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쐐기바와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장공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볼트로 관통하는 단계 및, 상기 볼트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단부고정단계는, 쐐기 모양이 형성된 쐐기바를 이용하여 상기 리스트레이너와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쐐기홈이 형성되도록 함께 눌러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쐐기바와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장공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볼트로 관통하는 단계 및, 상기 볼트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단부고정단계는, 상기 리스트레이너에 요철면이 마련된 요철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요철면의 형상과 형합하는 요철핀을 상기 요철홀에 삽입하여 그 요철핀이 상기 요철면의 일부 영역에 형합되면서 상기 리스트레이너와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은 리스트레이너가 전지 팽창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강력한 복원력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므로, 전지 팽창에 따른 변형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배터리모듈은 일렬로 연결된 복수개의 전지(1)을 포함한 전지유닛(10)과, 이 전지유닛(10)을 둘러싸는 다수의 플레이트들을 구비하고 있다. 먼저, 참조부호 20과 30은 상기 전지유닛(10)의 상부와 하부에 밀착 결합되는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를 각각 나타내며, 참조부호 50은 전지유닛(10)의 양단부에 설치되는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40은 이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50)에 체결된 리스트레이너(restrainer)를 나타내는데, 이 리스트레이너(40)가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50)를 고정시켜서 전지유닛(10)의 팽창에 대항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전지유닛(10)이 팽창되면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50)를 바깥쪽으로 밀어내려는 힘이 작용하게 되는데, 상기 리스트레이너(40)가 이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50)를 밀려나지 않도록 붙잡고 있기 때문에 변형이 억제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의 배터리모듈에서는, 이와 같은 전지유닛(10)의 팽창 변형을 보다 안정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상기 리스트레이너(40)와 엔드플레이트(50)를 체결시키는 체결유닛을 도 2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구성하고 있다.
먼저, 도 2는 체결유닛 중 도 1의 A부위 즉, 리스트레이너(40)의 일단부 측 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이 부분은 엔드플레이트(50)와 리스트레이너(40)가 정해진 위치에 볼트(111)와 너트(112)로 고정되는 위치고정체결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즉, 리스트레이너(40)와 엔드플레이트(50)에 형성된 홀(41)(51)을 통해 볼트(111)를 끼우고 그 볼트(111)의 단부에 너트(112)를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미리 정해진 위치의 홀(41)(51)에 통해 볼트(111)와 너트(112)로 두 부재(40)(50)를 결합시키는 것으로, 이하에 설명될 위치가변체결기구에서 인장력을 가할 때의 기준위치가 된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는 체결유닛 중 도 1의 B부위 즉, 리스트레이너(40)의 타단부 측 결합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이 부분은 상기한 바와 같이 위치가변체결기구로 결합된다. 즉, 상기한 위치고정체결기구처럼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이 아니라, 리스트레이너(40)를 화살표 T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인장력을 강하게 준 다음에, 그 인장력이 유지된 위치에서 두 부재(40)(50)를 서로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엔드플레이트(50)에는 쐐기 모양의 쐐기홈(52)이 형성되어 있고, 리스트레이너(40)를 이 쐐기홈(52)으로 눌러서 끼워지도록 변형시키는 쐐기바(120)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리스트레이너(40)를 소정 지그(미도시)로 잡아당겨서(화살표 T방향으로) 인장력을 강하게 준 다음, 그 상태에서 상기 쐐기바(120)로 리스트레이너(40)를 쐐기홈(52) 안으로 눌러서 변형시키면, 도 3b와 같은 쐐기결합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도 세 부재(40,50,120)가 쐐기홈(52) 안에 물려있기 때문에 쉽게 결합이 풀리지는 않지만, 더욱 안전한 결합을 위해서 볼트(121)와 너트(122)를 체결한다. 상기 리스트레이너(40)에는 인장 방 향으로 긴 장공(42)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한 바대로 리스트레이너(40)를 잡아 당겨서 고정시키기 때문에 결합 위치가 가변적이므로 볼트(121)를 끼울 수 있는 구멍의 범위를 조금 넓혀놓은 것이다.
이와 같은 체결유닛의 리스트레이너(40) 고정 과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위치고정체결기구를 이용하여 리스트레이너(40)의 일단부를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중 하나와 결합시킨다. 즉, 도 2와 같이 볼트(111)와 너트(112)를 이용해서 리스트레이너(40)의 일단부를 먼저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어서, 소정 지그(미도시)를 이용하여 리스트레이너(40)의 타단부를 다른 한 엔드플레이트(50) 쪽으로(화살표 T방향) 잡아당겨서 탄성 범위 내에서 인장시킨다.
이 상태에서 쐐기바(120)로 리스트레이너(40)의 타단부를 눌러서 엔드플레이트(50)의 쐐기홈(52) 안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도 3b와 같은 쐐기결합부가 형성되며, 볼트(121)와 너트(122)를 체결하여 안전한 결합을 완료한다.
이렇게 되면, 강하게 인장된 리스트레이너(40)에 탄성복원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전지 팽창에 대해 더욱 강력하게 대항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전지 팽창을 매우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구조가 구현된다.
여기서, 리스트레이너(40)의 높이와 엔드플레이트(50)의 높이가 같은 경우를 예시하였는데, 도 4와 같이 리스트레이너(40a)의 높이가 엔드플레이트(50) 보다 작게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여기서는 엔드플레이트(50)에 미리 쐐기홈(52)을 만들어놓고 리스트레 이너(40)를 그 쐐기홈(52) 안으로 찌그러뜨리는 구조를 예시하였는데, 만일 엔드플레이트(50)도 리스트레이너(40)와 비슷하게 얇은 박판이라면, 굳이 먼저 쐐기홈(52)을 만들지 않고 쐐기바(120)로 두 부재(40)(50)를 동시에 눌러서 변형시킬 수도 있다. 즉,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엔드플레이트(50)와 리스트레이너(40)를 대고 쐐기바(120)로 눌러서 두 부재에 쐐기홈이 함께 생기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이것은 상기와 같이 엔드플레이트(50)도 쉽게 소성 가공이 가능한 박판인 경우이다. 그리고, 그 후에 볼트(121)와 너트(122)로 체결하는 것은 같다.
다음으로 도 6a 및 도 6b는 체결유닛의 위치가변체결기구로서 변형 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는 전술한 쐐기결합부 대신에 요철홀(43)과 요철핀(130)의 결합을 이용한다. 즉, 리스트레이너(40)에는 치차 모양의 요철면(43a)을 가진 요철홀(43)이 형성되어 있고, 그 요철면(43a)에 형합되면서 엔드플레이트(50)까지 관통하여 끼워지는 요철핀(130)이 구비되어 있다. 요철핀(130)의 폭(W1)은 요철홀(43)의 폭(W2) 보다 작아서 그 결합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리스트레이너(40)의 타단부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요철핀(130)을 요철홀(43)에 끼우면, 요철핀(130)이 요철면(43a)과 형합되어 위치가 고정됨과 동시에, 상기 엔드플레이트(50)까지 요철핀(130)이 관통하여 두 부재(40)(50)를 결합시키게 된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리스트레이너(4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전지 팽창을 견고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의 배터리모듈은 리스트레이너가 전지 팽창에 대항하는 방향으로 강력한 복원력을 유지하면서 고정되므로, 전지 팽창에 따른 변형을 안정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모듈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부위를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B부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위치가변체결기구의 변형 가능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6b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체결유닛의 변형 가능한 예들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전지유닛 20...상부플레이트
30...하부플레이트 40...리스트레이너
50...엔드플레이트 52...쐐기홈
120...쐐기바 130...요철핀

Claims (17)

  1. 복수의 전지들이 연결된 전지유닛과, 상기 전지유닛의 양단부에 설치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에 체결되어 상기 전지유닛의 팽창을 억제하는 리스트레이너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리스트레이너를 체결시키는 체결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리스트레이너와 상기 엔드플레이트 간의 체결 위치를 가변하며 고정시킬 수 있는 위치가변체결기구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유닛은 상기 리스트레이너와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정해진 체결 위치에 고정시키는 위치고정체결기구를 더 구비하며,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와 상기 리스트레이너는 상기 위치가변체결기구에 의해 체결되고, 다른 하나의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리스트레이너는 상기 위치고정체결기구로 체결되는 배터리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체결기구는,
    상기 리스트레이너와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볼트와, 그 볼트에 체결 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체결기구는,
    상기 엔드플레이트와 상기 리스트레이너가 쐐기 모양으로 결합되는 쐐기결합부;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결합부는,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형성된 쐐기홈과, 상기 리스트레이너 일부를 상기 쐐기홈에 형합되게 눌러서 변형시키는 쐐기바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결합부는,
    상기 쐐기바와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장공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볼트 및, 그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결합부는,
    상기 엔드플레이트 및 상기 리스트레이너 일부를 쐐기홈이 형성되도록 함께 눌러서 변형시키는 쐐기바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결합부는,
    상기 쐐기바와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장공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볼트 및, 그 볼트의 단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가변체결기구는,
    상기 리스트레이너를 관통하며 내벽에는 요철면이 마련된 요철홀과,
    상기 요철면의 일부 영역에 형합되면서 상기 리스트레이너와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요철핀을 포함하는 배터리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레이너는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비해 높이가 같거나 작은 배터리모듈.
  11. 전지유닛의 양단에 설치된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에 리스트레이너를 고정시키는 배터리모듈의 리스트레이너 고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일단부를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체결하여 고정시키는 일단부고정단계;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타단부를 상기 한 쌍의 엔드플레이트 중 다른 하나의 엔드플레이드 쪽으로 당기는 인장력부가단계;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타단부를 상기 다른 하나의 엔드플레이드에 체결하여 인장력 부가 상태로 고정시키는 타단부고정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의 리스트레이너 고정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부고정단계는,
    상기 리스트레이너와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볼트로 관통시키는 단계와, 상기 볼트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의 리스트레이너 고정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단부고정단계는,
    쐐기 모양이 형성된 쐐기바를 이용하여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일부를 상기 엔드플레이트에 형성된 쐐기홈 안으로 눌러서 그 쐐기홈 안에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일부가 끼워지며 결합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의 리스트레이너 고정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타단부고정단계는,
    상기 쐐기바와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장공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볼트로 관통하는 단계 및, 상기 볼트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의 리스트레이너 고정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단부고정단계는,
    쐐기 모양이 형성된 쐐기바를 이용하여 상기 리스트레이너와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쐐기홈이 형성되도록 함께 눌러서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의 리스트레이너 고정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단부고정단계는,
    상기 쐐기바와 상기 리스트레이너의 장공 및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볼트로 관통하는 단계 및, 상기 볼트의 단부에 너트를 체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의 리스트레이너 고정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타단부고정단계는,
    상기 리스트레이너에 요철면이 마련된 요철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요철면의 형상과 형합하는 요철핀을 상기 요철홀에 삽입하여 그 요철핀이 상기 요철면의 일부 영역에 형합되면서 상기 리스트레이너와 상기 엔드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결합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모듈의 리스트레이너 고정방법.
KR1020090126925A 2009-12-18 2009-12-18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KR101084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925A KR101084223B1 (ko) 2009-12-18 2009-12-18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JP2010176358A JP5336440B2 (ja) 2009-12-18 2010-08-05 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のリストレーナ固定方法
US12/923,561 US20110151309A1 (en) 2009-12-18 2010-09-28 Battery module having restrainer and method of fixing restrainer
CN201010538847.7A CN102104115B (zh) 2009-12-18 2010-11-05 具有限制器的电池模块和固定限制器的方法
EP10191310A EP2337113B1 (en) 2009-12-18 2010-11-16 Battery module having restrainer and method of fixing restrai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6925A KR101084223B1 (ko) 2009-12-18 2009-12-18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0198A true KR20110070198A (ko) 2011-06-24
KR101084223B1 KR101084223B1 (ko) 2011-11-17

Family

ID=43558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6925A KR101084223B1 (ko) 2009-12-18 2009-12-18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151309A1 (ko)
EP (1) EP2337113B1 (ko)
JP (1) JP5336440B2 (ko)
KR (1) KR101084223B1 (ko)
CN (1) CN10210411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6751B2 (en) 2012-04-30 2015-02-1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WO2024063555A1 (ko) * 2022-09-23 2024-03-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686B1 (ko) * 2009-12-28 2012-02-2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KR101191662B1 (ko) * 2010-11-05 2012-10-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1303416B1 (ko) * 2011-02-15 2013-09-0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하우징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JP5730797B2 (ja) * 2011-08-02 2015-06-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KR20130023562A (ko) 2011-08-29 2013-03-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셀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US8512889B1 (en) * 2012-02-27 2013-08-2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JP6168599B2 (ja) * 2013-09-02 2017-07-26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161199B2 (ja) * 2013-09-02 2017-07-12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330379B2 (ja) * 2014-03-07 2018-05-30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池パック
JP6305260B2 (ja) 2014-07-30 2018-04-04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298377B2 (ja) * 2014-07-30 2018-03-20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JP6831632B2 (ja) * 2016-02-19 2021-02-1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及び該蓄電装置の製造方法
JP7039584B6 (ja) * 2017-06-22 2022-04-01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US10601003B2 (en) * 2017-10-30 2020-03-24 Lg Chem, Ltd. Battery modul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battery module
WO2019130937A1 (ja) * 2017-12-25 2019-07-04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電源装置を備える車両並びに蓄電装置
CN109994658B (zh) * 2017-12-29 2021-10-26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侧板结构体、电池模组的壳体及电池模组
US20210288371A1 (en) * 2018-07-31 2021-09-16 Sanyo Electric Co., Ltd. Cell module fixing structure
CN112673520B (zh) * 2018-09-20 2023-03-21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源装置和具备电源装置的车辆以及蓄电装置
KR102330872B1 (ko) * 2018-09-20 2021-11-23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WO2020202681A1 (ja) * 2019-03-29 2020-10-0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とこの電源装置を備える電動車両及び蓄電装置、電源装置用締結部材、電源装置用締結部材の製造方法、電源装置の製造方法
WO2020202663A1 (ja) * 2019-03-29 2020-10-08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とこの電源装置を備える電動車両及び蓄電装置、電源装置の製造方法
WO2021153523A1 (ja) * 2020-01-31 2021-08-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JP7228557B2 (ja) * 2020-11-16 2023-02-24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348930B2 (ja) * 2021-07-06 2023-09-21 プライムプラネットエナジー&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3446A (en) * 1937-08-17 1939-06-20 Richard P Heckman Insert anchor
JPS5618667U (ko) * 1979-07-20 1981-02-18
JPS60113955U (ja) * 1984-01-10 1985-08-01 株式会社 富士電機総合研究所 燃料電池
DE59307592D1 (de) * 1992-08-10 1997-12-04 Friedhelm Mesmer Bleiakkumulator
JPH06188023A (ja) * 1992-12-22 1994-07-08 Fuji Electric Co Ltd 平板形固体電解質燃料電池
JP4083303B2 (ja) * 1998-08-19 2008-04-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US6210823B1 (en) * 1998-08-19 2001-04-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JP4117865B2 (ja) * 1999-08-31 2008-07-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電池
JP4965012B2 (ja) * 1999-12-15 2012-07-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池パック
JP2003157817A (ja) * 2001-11-22 2003-05-30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ユニットケースおよび蓄電池収納箱
US7625665B2 (en) * 2004-11-30 2009-12-0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end-plate used in the same
KR100590049B1 (ko) * 2004-11-30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JP2006185815A (ja) * 2004-12-28 2006-07-13 Toyota Motor Corp 電池パック
KR200396717Y1 (ko) 2005-07-04 2005-09-27 모아걸로리(주) 용접용 배터리케이스
KR100696669B1 (ko) * 2005-08-10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2007048750A (ja) * 2005-08-10 2007-02-22 Samsung Sdi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KR100696638B1 (ko) * 2005-09-05 2007-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4974578B2 (ja) * 2006-04-27 2012-07-11 三洋電機株式会社 パック電池
KR200429856Y1 (ko) 2006-08-11 2006-10-27 경신공업 주식회사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
DE202007002232U1 (de) * 2007-02-12 2007-04-12 Ideematec Deutschland Gmbh Schienenartiges Profil
JP2008282582A (ja) * 2007-05-08 2008-11-20 Sanyo Electric Co Ltd 組電池
JP2009187781A (ja) * 2008-02-06 2009-08-20 Toshiba Corp 組電池
JP5272629B2 (ja) * 2008-10-03 2013-08-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構造体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56751B2 (en) 2012-04-30 2015-02-1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and battery module having the same
WO2024063555A1 (ko) * 2022-09-23 2024-03-2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37113A1 (en) 2011-06-22
US20110151309A1 (en) 2011-06-23
JP2011129509A (ja) 2011-06-30
CN102104115A (zh) 2011-06-22
EP2337113B1 (en) 2013-03-13
JP5336440B2 (ja) 2013-11-06
CN102104115B (zh) 2015-04-29
KR101084223B1 (ko)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4223B1 (ko)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US10347881B2 (en) Battery module including spacer and insulation sheet
JP6414952B2 (ja) バッテリパック
US9666840B2 (en) Cell module
US9455425B2 (en) Battery module
US9350088B2 (en) Swaging structure for metallic members and bus bar using the same
KR101117686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US20230352722A1 (en) Linked battery module and linked battery pack
US20160164061A1 (en) Battery module
KR102317506B1 (ko) 배터리 팩
JP2017526130A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のための収容器、及び、このような収容器を有するバッテリモジュール
CN110998904A (zh) 电池模块和配备有该电池模块的车辆
KR101097223B1 (ko)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제조방법
EP3883045B1 (en) Battery module, battery pack, apparatus, and method of assembling battery module
KR20120006637A (ko) 이차전지용 전극탭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KR102610140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90280278A1 (en) Bus bar assembly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US11394088B2 (en) Battery module
KR101084066B1 (ko) 이차 전지 모듈
US10741810B2 (en) Battery pack ca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20177935A (ja) 組電池
WO2014103746A1 (ja) 電池モジュール
KR20060102661A (ko) 이차 전지 모듈
US11283099B2 (en) Battery pack
JP6146238B2 (ja) 複数の角型蓄電装置の組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