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7686B1 -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 Google Patents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7686B1
KR101117686B1 KR1020090131805A KR20090131805A KR101117686B1 KR 101117686 B1 KR101117686 B1 KR 101117686B1 KR 1020090131805 A KR1020090131805 A KR 1020090131805A KR 20090131805 A KR20090131805 A KR 20090131805A KR 101117686 B1 KR101117686 B1 KR 101117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plate
battery
fastening hole
hol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3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5369A (ko
Inventor
박시동
김태용
김명철
이현예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3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7686B1/ko
Priority to US12/805,440 priority patent/US8557428B2/en
Publication of KR20110075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5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7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76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42Grouping of primary cells into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전지 팩이 개시된다. 상기 전지 모듈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일 열로 배열된 다수의 전지 유니트들, 전지 유니트들의 측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갖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사이드 플레이트의 일단부에는 단부가 접혀짐에 따라 휨 변형된 상태로 가공 경화되어 있는 가공 경화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전지들을 하나의 조립체로 결속시키기에 충분한 체결력을 제공하며, 전지의 팽창을 억제하여 전기적인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전지들을 연결한 전지 모듈과, 2 이상의 전지 모듈들을 연결한 전지 팩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차 전지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이다. 이차 전지는 모바일 기기,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건거, 무정전 전원공급장치(uninterruptible power supply) 등의 에너지원으로 사용되며, 적용되는 외부기기의 종류에 따라 단일 전지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하고, 다수의 전지들을 연결하여 하나의 단위로 묶은 전지 모듈의 형태로 사용되기도 한다.
휴대폰과 같은 소형 모바일 기기는 단일 전지의 출력과 용량으로 소정시간 동안 작동이 가능하지만, 전력소모가 많은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같이 장시간 구동, 고전력 구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출력 및 용량의 문제로 전지 모듈이 선호되며, 전지 모듈은 내장된 전지의 개수에 따라 출력전압이나 출력전류를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전지 모듈에는 다수의 전지들을 구조적으로 결속하여 하나의 조립체로 형성하기 위한 조립구조가 요구되는데, 이러한 조립구조는 다수의 전지들을 일체화시키기 위해 적정 이상의 체결력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한편, 이차 전지로서는 예를 들어, 리튬이온전지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이 리튬이온전지는 충전 및 방전을 거듭해도 성능이 잘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충전시 리튬이온이 이동하면서 음극 쪽이 팽창하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특히, 다수의 이차 전지들이 연결된 전지 모듈의 경우에는 각 전지가 조금씩만 팽창하더라도 전체적으로 5~10%의 팽창이 일어날 수 있다. 이렇게 전지 모듈의 변형이 심해질 경우에는 전지의 전기저항이 증가하여 전기적인 특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전지들을 하나의 조립체로 결속시키기에 충분한 체결력을 제공하는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지의 팽창을 억제하여 전기적인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전지 모듈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일 열로 배열된 다수의 전지 유니 트들; 및
상기 전지 유니트들의 측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갖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일단부에는 단부가 접혀짐에 따라 휨 변형된 상태로 가공 경화되어 있는 가공 경화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공 경화부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끼워진 결합부재와 맞닿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공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격된 장공형 체결공과 정공형 체결공이 서로 겹쳐져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공형 체결공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축을 갖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공형 체결공은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지 유니트들의 제1 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1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상기 전지 유니트들의 제2 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2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전지 유니트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면에서 상기 전지 유니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면에서 상기 전지 유니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랜지부와 결합을 이루고, 상기 제2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랜지부와 결합을 이룰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지 모듈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일 열로 배열된 다수의 전지 유니트들; 및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된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를 둘러싸며 재차 제1 엔드 플레이트로 연장되어서 제1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타단부를 갖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타단부에는 단부가 접혀짐에 따라 휨 변형된 상태로 가공 경화되어 있는 가공 경화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공 경화부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끼워진 결합부재와 맞닿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공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격된 장공형 체결공과 정공형 체결공이 서로 겹쳐져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공형 체결공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축을 갖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지 팩은,
복수의 전지 모듈들을 포함하는 전지 팩으로서,
상기 각 전지 모듈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들 사이에서 일 열로 배열된 다수의 전지 유니트들; 및
상기 전지 유니트들의 측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갖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일단부에는 단부가 접혀짐에 따라 휨 변형된 상태로 가공 경화되어 있는 가공 경화부가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공 경화부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끼워진 결합부재와 맞닿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공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이격된 장공형 체결공과 정공형 체결공이 서로 겹쳐져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장공형 체결공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축을 갖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공형 체결공은 실질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지 유니트들의 제1 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1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상기 전지 유니트들의 제2 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2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전지 유니트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면에서 상기 전지 유니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면에서 상기 전지 유니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랜지부와 결합을 이루고, 상기 제2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랜지부와 결합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수의 전지들을 결속하여 하나의 전지 모듈로 구성함에 있어서 결속력 내지 체결력을 제공하는 부분을 휨 변형을 통해 가공 경화 처리함으로써 체결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체 전지 모듈의 기계적인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열로 배열된 전지들을 강한 체결력으로 구속함으로써, 전지의 팽창을 억제하고 전기적인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 및 전지 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를 통하여 전지 팩 이란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의 전지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각 전지 모듈은 소정의 방향으로 다수의 전지 유니트들을 배열하고 이들 상호 간에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도 1에는 전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 모듈(100)은 열을 이루어 배열된 다수의 전지 유니트(10)들과, 상기 전지 열(15)을 둘러싸는 플레이트(20,30,40,51,52)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전지 유니트(10)들은 일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지 모듈(100)은 1열 또는 2열 이상의 복 열을 이루어 다수의 전지 유니트(10)들이 배열되는 적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지 유니트(10)로는 리튬 이온 전지와 같은 이차 전지가 적용될 수 있으며, 원통형 이차 전지나, 각형 이차 전지, 또는 폴리머 이차 전지 등 다양한 형태의 이차 전지가 적용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형태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상기 전지 유니트(10)는 전극 조립체(미도시), 케이스(11) 및 전극 단자(12)를 구비한다. 상기 전극 조립체(미도시)는 미도시된 양극, 세퍼레이터, 음극을 구비하며, 권취형 또는 적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는 그 내부에 전극 조립체를 수용하며, 전극 조립체와 외부회로 간의 전기접속을 위해 케이스(11) 외부로 전극 단자(12)가 인출된다. 전지 유니트(10)들은 전극 단자(12) 간의 접속을 통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버스 바(18)를 통하여 전극 단자(12)들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1) 상에는 안전 벤트(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전 벤트(13)는 상대적 으로 약한 강도로 설계되며, 케이스(11) 내에 사전에 설정된 임계 포인트 이상의 내압이 걸리면 파단되면서 내부 가스를 분출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전지 열(15) 방향을 따라 양편으로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51,52)가 배치된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51,52)의 일면은 전지 열(15)의 외곽에 배치된 전지 유니트(10)와 밀착되어 있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51,52)는 전지 열(15)을 구성하는 전지 유니트(10)들을 하나의 단위로 묶어 결속시키는 한편으로, 충방전 동작에 따른 전지 유니트(10)의 부피 팽창을 억제하고 저항특성을 유지함으로써 전지의 전기적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51,52)는 베이스 플레이트(61)와 베이스 플레이트(61)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된 플랜지부(62,63,64,65)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1)는 전지 유니트(10)의 외면을 커버할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부(62,63,64,65)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1)의 가장자리로부터 전지 열(15)의 반대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1)의 좌우 가장자리 또는 하부 가장자리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61)로부터 절개됨이 없이 통 부재 형태로 절곡되어 하나의 플랜지부(63,64)를 형성하거나 또는 베이스 플레이트(61)의 상부 가장자리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61)가 절개되고 절곡되는 높이를 서로 달리함으로써 서로에 대해 분리된 복수의 플랜지부(62,65)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랜지부(62,63,64,65)는 엔드 플레이트(51,52)와 다른 부재 간의 결합을 매개하기 위한 결합구의 역할을 수행하며, 다른 부재와의 결합 상태에 따라 다 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62,63,64,65)는 엔드 플레이트(51,52)의 기계적인 강성을 보강해주는 역할도 겸한다. 상기 플랜지부(62,63,64,65)에는 다수의 결합 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51,52)는 사이드 플레이트(40)를 통하여 상대편 엔드 플레이트(51,52)와 결합을 이루며, 사이드 플레이트(40)는 쌍을 이루는 엔드 플레이트(51,52)들을 서로에 대해 결속시킨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40)는 전지 열(15)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며, 일단은 제1 엔드 플레이트(51)에 결합되며, 타단은 제2 엔드 플레이트(52)에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40)는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띠 모양의 스트립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40)의 일단에는 제1 체결공(41)이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공(41)을 통하여 사이드 플레이트(40)와 제1 엔드 플레이트(51)의 좌우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된 플랜지부(64) 간에 나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 플레이트(40)와 플랜지부(64)를 겹쳐지게 배치한 다음, 체결공(41)을 통하여 결합부재(45)를 체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양자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40)의 타단에는 제2 체결공(42)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공(42)을 통하여 사이드 플레이트(40)와 제2 앤드 플레이트(52)의 좌우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된 플랜지부(64) 간에 나사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사이드 플레이트(40)와 플랜지부(64)를 서로 겹쳐지게 배치한 다음, 체결공(42)을 통하여 결합부재(45)를 체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양자를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40)의 타단이며 제2 체결공(42)에 인접한 위치에는 가공 경화부(WH)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40)의 타단에는 둥글게 말린 형태로 돌출된 가공 경화부(WH)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된 형태의 가공 경화부(WH)는 체결공(42)에 끼워진 결합부재(45)와 맞닿게 되고, 가공 경화부(WH)와 결합부재(45) 간의 걸림 작용에 의해 사이드 플레이트(40)의 체결 강도가 향상된다. 상기 가공 경화부(WH)는 사이드 플레이트(40)의 타단을 구부려 사이드 플레이트(40) 상의 일부와 겹쳐지도록 휨 변형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휨 변형된 부분은 가공 경화를 거쳐 기계적인 강성이 향상된다. 사이드 플레이트(40)의 길이 방향으로 가해지는 축력은 전지 유니트(10)의 부피 팽창을 억제하게 되고, 사이드 플레이트(40)의 일단에 가공 경화부(WH)를 형성하여 사이드 플레이트(40)의 체결력을 강화시킴으로써 전지 유니트(10)의 전기적인 특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40)에는 방열 공(40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방열 공(40a)은 사이드 플레이트(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방열 공(40a)은 전지 유니트(10)와 외기 간의 접촉을 허용함으로써 전지 유니트(10)들로부터 생성된 구동 열을 신속히 배출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전지 열(15)의 하부에는 하부 플레이트(30)가 배치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는 전지 열(15)의 하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엔드 플레이트(51,52)의 하부에 연결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는 양 측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된 벤딩 부(30a)를 갖춘 스트립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는 전지 열(15)을 비롯한 전지 모듈(100)의 전체 하중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며, 벤딩부(30a)를 갖춤으로써 굽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30)는 엔드 플레이트(51,52)의 하부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된 플랜지부(63)와 나사 결합을 이룰 수 있고, 하부 플레이트(30)와 플랜지부(63)를 겹쳐지게 배치하고 결합 공을 일치시킨 후, 볼트-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양자 간을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나사 결합을 통하여 하부 플레이트(30)와 플랜지부(63)는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서로 맞닿는 면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지 열(15)의 상부에는 상부 플레이트(20)가 배치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0)는 전지 열(15)의 상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며 엔드 플레이트(51,52)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0)는 양 측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된 벤딩부(21)를 갖춘 스트립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지 유니트(10)의 안전 벤트(13)와 대응되는 위치에는 개구부(2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20)는 엔드 플레이트(51,52)의 상부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된 플랜지부(62)와 나사 결합을 이룰 수 있고, 상부 플레이트(20)와 플랜지부(62)를 겹쳐지게 배치하고 결합 공을 일치시킨 후, 볼트-너트 등의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양자 간을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나사 결합을 통하여 상부 플레이트(20)와 플랜지부(62)는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서로 맞닿는 면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는 사이드 플레이트(40)의 가공 경화부(WH)의 형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40)는 제1 엔드 플레이트(51)에 고정된 일단으로부터 제2 엔드 플레이트(52)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엔드 플레이트(52)측 단부에는 사이드 플레이트(4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장공형 체결공(42a)과 진원 형태로 형성된 정공형 체결공(42b)이 서로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형성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플레이트(40)의 단부를 구부려서 정공형 체결공(42b)이 장공형 체결공(42a) 상에 겹쳐지도록 휨 변형시킴으로써 둥글게 말린 형태의 가공 경화부(WH)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공 경화부(WH)는 적정의 압축 변형을 통하여 납작하게 접힌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사이드 플레이트(40)의 휨 변형 정도에 따라 장공형 체결공(42a) 상에 겹쳐지는 정공형 체결공(42b)의 위치가 사이드 플레이트(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가변될 수 있으며, 가공오차에 따라 양 체결공(42a,42b)이 겹쳐지는 위치가 사이드 플레이트(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어느 정도 가변될 수 있다. 이때, 장공형 체결공(42a)을 사이드 플레이트(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정공형 체결공과(42b)의 위치맞춤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3b에 도시된 전지 모듈(100)을 다수 결합하여 구성되는 전지 팩(300)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전지 팩(300)은 다수의 전지 모듈(100)들이 수직방향(Z1)과 수평방향(Z2)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 집합체이다. 전지 팩(300)을 구성할 전지 모듈(100)의 개수는 설계사양에서 요구하는 충방전 전 류와 용량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전지 팩(300)을 구성하는 전지 모듈(100)들은 서로 간에 전기적인 연결을 형성할 수 있고, 직렬 연결 또는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인접하게 배치된 전지 모듈(100) 간의 결합은 전지 모듈(100)의 외곽을 구성하는 엔드 플레이트(51,52)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는 도 4의 엔드 플레이트(51,52)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도면번호와 함께 괄호 내에 병기된 첨자 U,D,L,R은 전지 모듈(100)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각각 상측(U), 하측(D), 좌측(L), 우측(R)에 배치된 전지 모듈(100)임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며, 예를 들어, 상측이면서 좌측에 배치된 전지 모듈은 100(U)과 100(L)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하로 배치된 전지 모듈(100(U),100(D)) 간의 결합에 대해 살펴보면, 상측 전지 모듈(100(U))과 하측 전지 모듈(100(D))은 서로 수직방향(Z1)으로 정렬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상측 전지 모듈(100(U))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하부 플랜지부(63)가 형성되고, 하측 전지 모듈(100(D))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상부 플랜지부(65)가 형성된다. 상하 전지 모듈(100(U),100(D))의 플랜지부(63,65)를 서로 겹쳐지게 배치하고 결합 공을 일치시킨 후, 결합 공을 통하여 결합부재(154)를 체결함으로써, 예를 들어, 결합 공을 통하여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로 체결함으로써 상하 전지 모듈(100(U),100(D))을 상호 결속시킨다. 이때, 상하 전지 모듈(100(U),100(D))의 플랜지부(63,65)는 적어도 일부에서 서로 맞닿는 면 접촉을 형성할 수 있다. 플랜지부(63,65)의 면 접촉을 통하여 상측 전지 모듈(100(U))의 하중은 하측 전지 모듈(100(D))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좌우로 배치된 전지 모듈(100(L),100(R)) 간의 결합에 대해 살펴보면, 예를 들어, 좌측 전지 모듈(100(L))과 우측 전지 모듈(100(R))은 서로 동일한 수평 레벨에 배치되어 있다. 좌측 전지 모듈(100(L))의 우측 가장자리와 우측 전지 모듈(100(R))의 좌측가장자리에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한 쌍의 플랜지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좌우 전지 모듈(100(L),100(R))의 플랜지부(64)를 서로 겹쳐지게 배치하고 결합 공을 일치시킨 후, 결합 공을 통하여 결합부재(164)를 체결함으로써, 예를 들어, 결합 공을 통하여 볼트를 삽입하고 너트를 체결함으로써 좌우 전지 모듈(100(L),100(R))을 서로 결속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수직방향(Z1) 및 수평방향(Z2)으로 배열된 다수의 전지 모듈(100)들은 엔드 플레이트(51,52)들을 서로 결합시킴으로써 하나의 전지 팩(300) 형태로 결속될 수 있다. 이때, 엔드 플레이트(51,52)의 연결 방식에 대해서는 볼트-너트와 같은 기계적인 체결 방식 이외에 용접 결합 방식 등이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열로 배열된 전지 열(15)의 외곽에는 한 쌍의 엔드 플레이트(51,52)가 배치되고, 상기 엔드 플레이트(51,52)에는 전지 열(15)의 측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사이드 플레이트(140)가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40)는 전지 열(15)의 측면을 따라서 연장되며, 일단은 제1 엔드 플레이트(51)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2 엔드 플레이트(52)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40)는 소정 간격을 사이에 두고 서로 나란하게 연장되도록 적어도 2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렇게 복 열로 마련되는 사이드 플레이트(140)는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51,52)를 이중으로 결속시킴으로써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51,52) 사이에 개재되는 전지 열(15)의 팽창을 억제하고, 전지 유니트(10)의 부피팽창으로 인한 전기적인 특성의 저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140)는 제1 엔드 플레이트(51)에 체결된 일단과, 제2 엔드 플레이트(52)에 체결된 타단을 갖고, 일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띠 모양의 스티립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때, 제2 엔드 플레이트(52)와 결합된 타단에는 둥글게 말린 형태로 돌출된 가공 경화부(WH)가 형성된다. 돌출된 형태의 가공 경화부(WH)는 사이드 플레이트(140)를 고정하는 결합부재(45)와 맞닿게 되고, 가공 경화부(WH)와 결합부재(45) 간의 걸림 작용에 의해 사이드 플레이트(140)의 체결력이 강화된다. 상기 가공 경화부(WH)는 사이드 플레이트(140)의 단부를 구부리는 휨 변형을 통하여 형성될 수 있고, 휨 변형된 가공 경화부(WH)는 경화되면서 고강도의 기계적인 강성을 형성하고 사이드 플레이트(140)의 체결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지 모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는 도 7의 전지 모듈을 엔드 플레이트(52) 측에서 바라본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방향을 따라 열을 이루어 배치된 전지 열(15)의 외곽에는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51,52)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51,52)와 전지 열(15)은 이들을 애워싸는 사이드 플레이트(240)에 의해 하나의 조립체로 결속된다.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52)의 좌우 가장자리에는 좌측 플랜지부(64L)와 우측 플랜지부(64R)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사이드 플 레이트(240)의 일단은 제2 엔드 플레이트의 좌측 플랜지부(64L)에 결합되고, 사이드 플레이트(240)의 타단은 제2 엔드 플레이트의 우측 플랜지부(64R)에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240)는 제2 엔드 플레이트의 좌측 플랜지부(64L)에 결합된 일단으로부터 제1 엔드 플레이트(51) 쪽으로 연장되고, 제1 엔드 플레이트(51)를 둘러싸며 그 연장방향을 반전하여 다시 제2 엔드 플레이트(52) 측으로 연장되고 제2 엔드 플레이트(52)의 우측 플랜지부(64R)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우측 플랜지부(64R)와 결합되는 사이드 플레이트(240)의 단부에는 둥글게 말린 형태로 돌출된 가공 경화부(WH)가 형성된다. 돌출된 형태의 가공 경화부(WH)는 사이드 플레이트(240)를 고정하는 결합부재(45)와 맞닿게 되고, 가공 경화부(WH)와 체결부재(45) 간의 걸림 작용에 의해 사이드 플레이트(240)의 체결력이 강화될 수 있다.
하나의 단일 사이드 플레이트(240)를 이용하여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51,52) 및 이들 사이의 전지 열(15)을 한번에 결속시킴으로써 부품 개수를 절감할 수 있고, 부품 간의 체결에 소요되는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을 도시한 도면으로, 각기 분해상태와 조립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가공 경화부의 형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팩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엔드 플레이트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전지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전지 모듈을 엔드 플레이트 측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지 유니트 11 : 케이스
12 : 전극 단자 13 : 안전 벤트
15 : 전지 열 18 : 버스 바
20 : 상부 플레이트 20a : 개구부
21 : 벤딩부 30 : 하부 플레이트
30a : 벤딩부 40,140,240 : 사이드 플레이트
40a : 방열 공 41 : 제1 체결공
42 : 제2 체결공 42a : 장공형 체결공
42b : 정공형 체결공 51 : 제1 엔드 플레이트
52 : 제2 엔드 플레이트 61 : 베이스 플레이트
62,63,64,65 : 플랜지부 64L : 좌측 플랜지부
64R : 우측 플랜지부 100 : 전지 모듈
45 : 체결부재 154,164 : 결합부재
300 : 전지 팩 WH : 가공 경화부

Claims (20)

  1.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열된 다수의 전지 유니트들; 및
    상기 전지 유니트들의 측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에 각각 결합되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갖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일단부에는 단부가 접혀짐에 따라 휨 변형된 상태로 가공 경화되어 있는 가공 경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경화부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끼워진 결합부재와 맞닿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서로에 대해 이격된 정공형 체결공과 장공형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단부가 접혀짐에 따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정공형 체결공이 상기 장공형 체결공 상으로 포개지면서 상기 정공형 체결공과 장공형 체결공을 함께 관통하는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형 체결공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축을 갖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형 체결공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지 유니트들의 제1 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1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상기 전지 유니트들의 제2 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2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전지 유니트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면에서 상기 전지 유니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면에서 상기 전지 유니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랜지부와 결합을 이루고, 상기 제2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랜지부와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9.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열된 다수의 전지 유니트들; 및
    상기 제1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된 일단부로부터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엔드 플레이트를 둘러싸며 재차 제1 엔드 플레이트로 연장되어서 제1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타단부를 갖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타단부에는 단부가 접혀짐에 따라 휨 변형된 상태로 가공 경화되어 있는 가공 경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경화부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에 인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끼워진 결합부재와 맞닿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서로에 대해 이격된 정공형 체결공과 장공형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단부가 접혀짐에 따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정공형 체결공이 상기 장공형 체결공 상으로 포개지면서 상기 정공형 체결공과 장공형 체결공을 함께 관통하는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형 체결공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축을 갖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모듈.
  13. 복수의 전지 모듈들을 포함하는 전지 팩으로서,
    상기 각 전지 모듈은,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
    상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들 사이에 배열된 다수의 전지 유니트들; 및
    상기 전지 유니트들의 측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며, 상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일단부와 타단부를 갖는 사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일단부에는 단부가 접혀짐에 따라 휨 변형된 상태로 가공 경화되어 있는 가공 경화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 경화부는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체결공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 끼워진 결합부재와 맞닿도록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는 서로에 대해 이격된 정공형 체결공과 장공형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단부가 접혀짐에 따라,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정공형 체결공이 상기 장공형 체결공 상으로 포개지면서 상기 정공형 체결공과 장공형 체결공을 함께 관통하는 상기 체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형 체결공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장축을 갖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형 체결공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전지 유니트들의 제1 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1 사이드 플레이트; 및
    상기 제1 면과 반대되는 상기 전지 유니트들의 제2 면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제2 사이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엔드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전지 유니트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1 면에서 상기 전지 유니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1 플랜지부;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제2 면에서 상기 전지 유니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절곡된 제2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1 플랜지부와 결합을 이루고, 상기 제2 사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제2 플랜지부와 결합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팩.
KR1020090131805A 2009-12-28 2009-12-28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KR1011176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805A KR101117686B1 (ko) 2009-12-28 2009-12-28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US12/805,440 US8557428B2 (en) 2009-12-28 2010-07-30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1805A KR101117686B1 (ko) 2009-12-28 2009-12-28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5369A KR20110075369A (ko) 2011-07-06
KR101117686B1 true KR101117686B1 (ko) 2012-02-29

Family

ID=44187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31805A KR101117686B1 (ko) 2009-12-28 2009-12-28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57428B2 (ko)
KR (1) KR1011176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1662B1 (ko) * 2010-11-05 2012-10-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KR101794265B1 (ko) * 2013-07-18 2017-11-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강 비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150031095A (ko) * 2013-09-13 2015-03-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N103560263B (zh) * 2013-11-08 2015-07-15 宁德时代新能源科技有限公司 电池模组的组装工艺
KR102222888B1 (ko) * 2014-04-09 2021-03-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KR102271384B1 (ko) 2015-04-15 2021-06-29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CN107534113B (zh) * 2015-04-28 2021-09-07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源装置及具有该电源装置的车辆
KR101805650B1 (ko) * 2015-08-28 2017-12-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팩
KR102475839B1 (ko) 2015-11-16 2022-12-0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JP7061547B2 (ja) * 2018-10-02 2022-04-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バッテリモジュール及びバッテリ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10993845B (zh) * 2019-11-18 2021-12-0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电池包及电动车
CN114762179A (zh) * 2020-01-31 2022-07-15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蓄电模块
US11588199B2 (en) * 2020-03-10 2023-02-21 Karma Automotive Llc Vehicle battery system
DE102020117191A1 (de) * 2020-06-30 2021-12-30 Audi Aktiengesellschaft Batterie für Kraftfahrzeug sowie Kraftfahrzeug und Herstellverfahren hierzu
KR20230137775A (ko) * 2022-03-22 2023-10-05 에스케이온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211B1 (ko) 2005-03-24 2006-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7294A (en) * 1981-02-12 1982-08-31 Santiago Mejia Novel electric storage battery assembly
JP4117865B2 (ja) * 1999-08-31 2008-07-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組電池
JP4196521B2 (ja) * 2000-05-19 2008-12-17 新神戸電機株式会社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構造及び電池モジュール
KR100860454B1 (ko) * 2004-10-08 2008-09-25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 모듈
JP2007048750A (ja) * 2005-08-10 2007-02-22 Samsung Sdi Co Ltd 電池モジュール
JP5070697B2 (ja) * 2005-12-19 2012-11-1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US7838142B2 (en) * 2006-02-09 2010-11-23 Scheucher Karl F Scalable intelligent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KR100861713B1 (ko) * 2006-02-09 2008-10-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모듈
TWM311123U (en) * 2006-11-22 2007-05-01 Dynapack Internat Technology C Thin-type battery casing
US7943252B2 (en) * 2007-11-21 2011-05-17 Lg Chem, Ltd. Battery module of improved safety and middle or large-sized battery pack containing the same
KR101084222B1 (ko) * 2009-11-03 2011-11-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베이스플레이트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US8734978B2 (en) * 2009-11-05 2014-05-27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KR101097222B1 (ko) * 2009-11-16 2011-12-21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엔드플레이트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KR101182426B1 (ko) * 2009-12-04 2012-09-1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101084223B1 (ko) * 2009-12-18 2011-11-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KR101065306B1 (ko) * 2009-12-22 2011-09-16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US20110165451A1 (en) * 2010-01-05 2011-07-07 Myung-Chul Kim Battery pack
KR101126889B1 (ko) * 2010-05-31 2012-03-20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201740B1 (ko) * 2010-11-12 2012-11-15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JP5666274B2 (ja) * 2010-12-04 2015-02-12 三洋電機株式会社 組電池及びこれを備える車両
KR101303416B1 (ko) * 2011-02-15 2013-09-0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하우징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KR101240702B1 (ko) * 2011-02-18 2013-03-11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배리어의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US8771864B2 (en) * 2011-02-23 2014-07-08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KR101252950B1 (ko) * 2011-04-21 2013-04-15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엔드 플레이트의 체결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 모듈
TWI371883B (en) * 2011-07-08 2012-09-01 Simplo Technology Company Ltd Battery module and related forming method,battery cell assembly,bus layout structure of a battery module and related layout method,cpnnection structure and connection method between battery cells and conductiog buses of a battery module, and connection s
KR20130019697A (ko) * 2011-08-17 2013-02-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팩 및 이를 포함한 전지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9211B1 (ko) 2005-03-24 2006-1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57428B2 (en) 2013-10-15
KR20110075369A (ko) 2011-07-06
US20110159348A1 (en) 201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7686B1 (ko)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US8859131B2 (en)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9768427B2 (en) Battery module assembly of improved reliability and battery pack employed with the same
US10236486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US11462790B2 (en) Power supply device
US9786965B2 (en) Power source device
US8734978B2 (en) Battery pack
US9083029B2 (en) Battery pack
US9876260B2 (en) Battery module
JP2008282582A (ja) 組電池
JP2010157450A (ja) バッテリシステム
JP7024735B2 (ja) 蓄電装置
KR102069152B1 (ko) 배터리 셀 전극탭 연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JP2013055070A (ja) 組電池
US20200136108A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EP2424008B1 (en) Rechargeable battery
JP2013055069A (ja) 組電池の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