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454B1 - 이차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이차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454B1
KR100860454B1 KR1020040080322A KR20040080322A KR100860454B1 KR 100860454 B1 KR100860454 B1 KR 100860454B1 KR 1020040080322 A KR1020040080322 A KR 1020040080322A KR 20040080322 A KR20040080322 A KR 20040080322A KR 100860454 B1 KR100860454 B1 KR 100860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battery cell
battery cells
secondary battery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1338A (ko
Inventor
추현석
유지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40080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454B1/ko
Priority to CNB2005800321251A priority patent/CN100505384C/zh
Priority to JP2007532253A priority patent/JP4805271B2/ja
Priority to PCT/KR2005/003211 priority patent/WO2006080656A1/en
Priority to US11/247,837 priority patent/US7758999B2/en
Publication of KR200600313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13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4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cells
    • H01M10/647Prismatic or flat cells, e.g. pouch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전지 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이차전지 모듈은, 상면과 하면중 돌출된 면은 돌출된 면끼리, 그리고 평평한 면은 평평한 면끼리 교대로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전지셀과; 돌출된 면끼리 배치된 두 전지셀 사이에 전지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인접한 상측 전지셀과 하측 전지셀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블록과; 평평한 면끼리 배치된 두 전지셀 사이에 전지셀의 테두리중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배치되어 전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도블록과; 상하로 인접하게 적층된 일측 전지셀이 타측 전지셀과 하나의 직렬회로를 이루도록 그 두 인접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를 상호 연결하는 전도성연결부재 및 절연성연결부재와; 상기 전체 전지셀을 고정용블록 및 공기유도블록과 함께 상호 밀착시킨 후 일체로 고정하는 다수 개의 패스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각 전지셀의 전극단자를 볼트와 너트의 기능을 겸하는 전도성연결부재와 절연성연결부재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각종 산업기기 또는 전기자동차의 전력 요구량에 맞추어 소정 개수의 전지셀로 구성되는 전지모듈을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한다.
이차전지, 모듈, 단자

Description

이차전지 모듈{SECONDARY BATTERY MODUL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전지모듈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을 보여주는 전체 개략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전지셀이 평평한 면끼리 고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이차전지 모듈에 따른 두 전극단자중 한쪽의 전도성연결부재와 절연성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분해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전지셀이 돌출된 면끼리 고정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도 5의 이차전지 모듈에 따른 두 전극단자중 한쪽의 전도성연결부재와 절연성연결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여주는 개략 부분분해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 전지셀 7a,7b: 전극단자
8: 고정용블록 8a: 중공부
8b: 지지체 9: 공기유도블록
9a: 공기통로 10: 전도성연결부재
10a: 보스 10b: 몸체
10bb: 홈 11: 절연성연결부재
11a: 보스 11b: 몸체
11bb: 홈 12: 전압측정용 홈
13: 그루브
본 발명은 이차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높이로 적층되는 전지셀과 인접한 전지셀의 평평한 면 사이에는 공기유도블록을, 그리고 돌출된 면 사이에는 고정용블록을 개재시켜 패스너로 고정하고, 아울러 전지셀과 인접한 전지셀의 해당 전극단자를 볼트와 너트의 기능을 겸하는 전도성연결부재와 절연성연결부재로 직렬연결해 하나의 전지모듈을 형성하여 각종 산업기기나 전기자동차 등에 편리하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이차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지는 한 개의 단위전지가 낼 수 있는 출력이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대용량의 출력을 필요로 하는 전기자동차, 레저용 전기기구 등에는 다수 개의 전지셀로 이루어지는 전지모듈이 사용된다.
종래의 전지모듈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지모듈(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렬로 나란히 배치된 다수 개의 전지셀(2)과; 이 전지셀중 가장 바깥 것의 외면과 접하도록 배치되고 좌우 모서리를 따라 다수 개의 나사홀(3a)이 형성된 두 개의 엔드플레이트(3)와; 이 두 앤드플레이트를 통해 전지셀(2)을 밀착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다수 개의 전지셀(2)의 측면을 가로질러 배치되고, 양단이 내측으로 수직하게 절곡된 수직고정부(5a)가 마련된 두 개의 판형지지체(5)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각 판형지지체(5)의 수직고정부(5a)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나사홀(5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판형지지체(5)의 본체부분에는 전지셀(2)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냉각홀(5c)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전지모듈의 전지셀의 전극단자와 인접하는 전지셀의 해당 전극단자가 리드(6)에 의해 용접방식으로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각종 산업기기나 전기자동차 등의 다양한 전력 요구량에 맞추어 전지모듈을 제조하는 데 많은 불편이 수반되었다.
또한, 전지모듈의 각 전지셀의 전후면이 판형지지체와 엔드플레이트에 의해 밀착되는 구조이었기 때문에 각 전지셀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인접한 전지셀에 악영향을 주어 궁극적으로 전지모듈 전체의 성능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전지모듈의 각 전지셀이 긴 판형지지체와 엔드플레이트 간의 밀착력에 의해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전체 전지셀중 중간 것에 충격이 가해지기라도 하면 해당 전지셀이 인접한 전지셀로부터 미끄러져 전지모듈의 전체 고정상태가 불안정해지게 될 우려가 매우 높았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일정높이로 적층되는 전지셀과 인접하는 전지셀의 해당 전극단자를 전도성연결부재와 절연성연결부재로 착탈 가능하게 직렬 연결해 각종 산업기기 또는 전기자동차 등의 전력 요구량에 맞추어 소정 개수의 전지셀로 이루어지는 전지모듈을 신속하면서도 편리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는 이차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지셀의 평평한 면 사이에는 공기유도블록을, 그리고 돌출된 면 사이에는 고정용블록을 위치시켜 전지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소정의 전지셀에 충격이 가해져도 전지모듈의 전체 고정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이차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면과 하면중 돌출된 면은 돌출된 면끼리, 그리고 평평한 면은 평평한 면끼리 교대로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전지셀과; 돌출된 면끼리 배치된 두 전지셀 사이에 전지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인접한 상측 전지셀과 하측 전지셀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블록과; 평평한 면끼리 배치된 두 전지셀 사이에 전지셀의 테두리중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배치되어 전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도블록과; 상하로 인접하게 적층된 일측 전지셀이 타측 전지셀과 하나의 직렬회로를 이루도록 그 두 인접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를 상호 연결하는 전도성연결부재 및 절연성연결부재와; 상기 전체 전지셀을 고정용블록 및 공기유도블록과 함께 상호 밀착시킨 후 일체로 고정하는 다수 개의 패스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 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을 보여주는 전체 개략 분해 사시도이이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중 돌출된 면은 돌출된 면끼리, 그리고 평평한 면은 평평한 면끼리 교대로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전지셀(7)과;
돌출된 면끼리 배치된 두 전지셀(7) 사이에 전지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인접한 상측 전지셀과 하측 전지셀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블록(8)과;
평평한 면끼리 배치된 두 전지셀(7) 사이에 전지셀의 테두리중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배치되어 전지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도블록(9)과;
상하로 인접하게 적층된 일측 전지셀(7)이 타측 전지셀(7)과 하나의 직렬회로를 이루도록 그 두 인접한 전지셀(7)들의 전극단자(7a,7b)를 상호 연결하는 전도성연결부재(10) 및 절연성연결부재(11)와;
상기 전체 전지셀(7)을 고정용블록(8) 및 공기유도블록(9)과 함께 상호 밀착시킨 후 일체로 고정하는 다수 개의 패스너(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각 고정용블록(8)은 인접하는 두 전지셀(7)의 돌출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중공부(8a)와; 상호 인접하는 전지의 테두리 보다 크게 형성되는 지지체(8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공기유도블록(9)에는 해당 전지셀(7)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원활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일정형태의 공기통로(9a)가 형성되며, 이 공기통로의 일부분은 전지셀과 인접한 전지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층류에서 난류로 변화될 수 있도록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유도블록(9)은 공기가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원활히 통과되도록 공기통로(9a)가 마련된 구조로서, 독립된 두 개의 부품 또는 하나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것 모두 적용 가능하다.
상기 각 전도성연결부재(10)와 절연성연결부재(11)는 번갈아 배치되는 인접한 해당 절연성연결부재와 전도성연결부재에 결합 가능하도록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된 보스(10a,11a)와, 타측에 대응 나사선이 형성된 홈(10bb,11bb)을 갖는 몸체(10b,11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상기 전도성연결부재(10)의 몸체(10b)는 바닥면이 하측 전지셀(7)의 전극단자(7a 또는 7b)에, 그리고 그 몸체(10b)의 상면은 상측 전지셀(7)의 해당 전극단자(7a 또는 7b)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며, 그 결과 그 하측 전지셀(7)과 상측 전지셀(7)은 상호 직렬연결된 구조를 이룬다.
한편, 해당 전지셀(7)의 전도성연결부재(10)와 마주하는 절연성연결부재(11)는 상기 전도성연결부재(10)와 동일한 구조를 이루지만 절연성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전지셀과 인접한 전지셀의 해당 전극단자(7a 또는 7b)를 일정간격으로 유지시켜 주는 스패이서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각 전도성연결부재(10)는 해당 몸체(10b)에 적어도 반경방향으로 개구되는 전압측정용 홈(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일정높이로 적층된 하측 소정 전지셀(7)과 상측 소정 전지셀(7)의 전압을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그 해당 전지셀측 두 전도성연결부재(10)의 전압측정용 홈(12)에 전압측정기(도시되지 않음)의 두 측정단자를 갖다 대면 해당 전지셀과 전지셀 간의 전압을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각 전도성연결부재(10)와 절연성연결부재(11)는 해당 전지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해당 몸체(10b,11b)의 반경방향 외주면에 소정패턴을 갖는 다수 개의 그루브(13)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각 해당 그루브는 해당 연결부재(10,11)의 축선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 패스너(도시되지 않음)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암수 형태의 똑딱이 단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암수형태의 똑딱이 단추중 한 쪽이 고정용블록(8)에 설치되면 다른 한쪽은 공기유도블록(9)에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른 한편, 전지셀(7)의 평평한 면과 인접한 전지셀(7)의 평평한 면 사이에 개재되는 공기유도블록(9)의 두께는 전지셀(7)의 돌출된 면과 인접한 전지셀(7)의 돌출된 면이 이루는 높이와 거의 같도록 형성되며, 그 결과 전도성연결부재(10)와 절연성연결부재(11)를 동일한 사이즈로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 모듈의 조립과정 및 그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지모듈의 전지셀중 가장 아래 것의 하부에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용블록과 공기유도블록 중 어느 것이 놓여져도 무방하므 로, 편의상 적층되는 전지셀의 가장 아래 부분에 고정용블록이 배치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고정용블록(8)을 작업대(도시되지 않음) 상에 위치시킨 후, 그 고정용블록의 중공부(8a) 안에 전지셀의 돌출된 면을 끼워 그 전지셀의 테두리가 상기 고정용블록(8)의 지지체(8b) 상에 걸쳐지도록 위치시킨다(도 3과 도 4 참조).
그런 다음, 미리 놓여진 전지셀(7)의 평평한 면 테두리에 공기유도블록(9)을 위치시킨 다음, 다른 전지셀(7)의 평평한 면이 미리 놓여진 전지셀(7)의 평평한 면과 마주하도록 그 공기유도블록의 상면에 다른 전지셀(7)의 평평한 면을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하측 전지셀(7)의 전극단자(7a,7b)와 상측 전지셀(7)의 해당 전극단자(7a,7b)가 서로 직렬연결되도록 그 하측 전지셀(7)의 전극단자(7a,7b)와 상측 전지셀(7)의 해당 전극단자(7a,7b) 사이에 전도성연결부재(10)를 개재시켜 그 전도성연결부재의 홈(10bb)과 보스(10a)에 각각 절연성연결부재(11)의 대응부분{보스(11a) 또는 홈(11bb)}을 끼운다.
이때, 상기 하측 전지셀(7)의 전극단자(7a 또는 7b)는 전도성연결부재(10)의 몸체(10b)의 바닥면과 접촉되고 상측 전지셀(7)의 해당 전극단자(7a 또는 7b)는 전도성연결부재(10)의 보스(10a) 아래면, 즉 상면과 접촉된다.
그런 다음, 상기 두 전지셀(7)의 나머지 전극단자(7a 또는 7b)에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절연성연결부재(11)를 개재시켜 그 절연성연결부재의 홈(11bb)과 보스(11a)에 각각 전도성연결부재(10)의 대응부분{보스(10a) 또는 홈(10bb)}을 끼 운다. 이때, 상기 하측 전지셀(7)과 상측 전지셀(7)의 나머지 두 전극단자(7a 또는 7b)는 상기 절연성연결부재(11)의 몸체(11b)에 의해 절연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원하는 만큼의 전지셀을 더 적층하고자 하는 경우 돌출된 면은 돌출된 면끼리 고정용블록(8)을 개재시켜 적층하고, 평평한 면은 평평한 면끼리 공기유도블록(9)을 개재시켜 적층한 다음, 해당 전지셀과 인접한 전지셀이 서로 직렬연결되도록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전도성연결부재(10)와 절연성연결부재(11)를 각각 해당 전지셀(7)의 전극단자(7a,7b)에 연결하면 된다.
그런 다음, 상기 고정용블록(8), 전지셀(7), 공기유도블록(9), 전지셀(7), 고정용블록(8) 등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측 고정용블록(8)의 한쪽 코너부분 구멍에 적당한 길이의 볼트를 끼운 후 반대편 하측을 너트로 고정한 다음, 그 끼워진 볼트의 대각선 방향에 위치한 고정용블록(8)의 다른 한쪽 코너부분 구멍에 볼트를 끼워 너트로 고정한 후, 나머지 부분도 볼트와 너트로 고정시키면 하나의 전지모듈이 완성되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용블록(8)과 공기유도블록(9)은 전술한 바와 같은 패스너, 즉 볼트와 너트 대신에 암수형태의 똑딱이 단추(도시되지 않음)로도 고정 가능하며, 상기 고정용블록과 공기유도블록에 똑딱이 단추가 적용되는 경우 그 똑딱이 단추는 고정용블록과 공기유도블록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때마다 서로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 전지셀의 전극단자를 볼트와 너트의 기능을 겸하는 전도성연결부재와 절연성연결부재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여 각종 산업기기 또는 전기자동차의 전력 요구량에 맞추어 소정 개수의 전지셀로 구성되는 전지모듈을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구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지셀의 평평한 면 사이에는 공기유도블록을, 그리고 돌출된 면 사이에는 고정용블록을 위치시켜 전지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게 함과 아울러, 외부로부터 소정의 전지셀에 충격이 가해져도 전지모듈의 전체 고정상태가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

Claims (11)

  1. 상면과 하면중 돌출된 면은 돌출된 면끼리, 그리고 평평한 면은 평평한 면끼리 교대로 배치되는 적어도 2개의 전지셀과;
    돌출된 면끼리 배치된 두 전지셀 사이에 전지셀의 테두리를 따라 배치되어 인접한 상측 전지셀과 하측 전지셀을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용블록과;
    평평한 면끼리 배치된 두 전지셀 사이에 전지셀의 테두리중 적어도 일부분을 따라 배치되어 전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유도블록과;
    상하로 인접하게 적층된 일측 전지셀이 타측 전지셀과 하나의 직렬회로를 이루도록 그 두 인접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를 상호 연결하는 전도성연결부재 및 절연성연결부재와;
    상기 전체 전지셀을 고정용블록 및 공기유도블록과 함께 상호 밀착시킨 후 일체로 고정하는 다수 개의 패스너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용블록은 인접하는 두 전지셀의 돌출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중공부와; 상호 인접하는 전지셀의 테두리 보다 크게 형성되는 지지체로 이루어진 것인 이차전지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공기유도블록에는 해당 전지셀들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일정형태의 공기통로가 형성된 것인 이차전지 모 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의 일부분은 전지셀과 인접한 전지셀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가 층류에서 난류로 변화될 수 있도록 좁게 형성된 것인 이차전지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도성연결부재와 절연성연결부재는 일측에 나사선이 형성된 보스와, 타측에 대응 나사선이 형성된 홈을 갖는 몸체로 이루어진 것인 이차전지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연결부재의 몸체는 바닥면이 하측 전지셀의 전극단자에, 그리고 그 몸체의 상면은 상측 전지셀의 해당 전극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그 하측 전지셀과 상측 전지셀이 직렬연결되는 것인 이차전지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도성연결부재는 해당 몸체에 적어도 반경방향으로 개구되는 전압측정용 홈이 형성된 것인 이차전지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도성연결부재와 절연성연결부재는 해당 전지셀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해당 몸체의 반경방향 외주면에 소정패턴을 갖는 다수 개의 그루브가 형성된 것인 이차전지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도성연결부재와 절연성연결부재의 해당 그루브는 해당 연결부재의 축선과 나란한 것인 이차전지 모듈.
  10.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스너는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진 것인 이차전지 모듈.
  11. 제1항 내지 제9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패스너는 암수 형태의 똑딱이 단추로 이루어지고, 그 암수형태의 똑딱이 단추중 한 쪽이 고정용블록에 설치되면 다른 한쪽은 공기유도블록에 고정된 것인 이차전지 모듈.
KR1020040080322A 2004-10-08 2004-10-08 이차전지 모듈 KR100860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322A KR100860454B1 (ko) 2004-10-08 2004-10-08 이차전지 모듈
CNB2005800321251A CN100505384C (zh) 2004-10-08 2005-09-28 蓄电池模块
JP2007532253A JP4805271B2 (ja) 2004-10-08 2005-09-28 二次電池モジュール
PCT/KR2005/003211 WO2006080656A1 (en) 2004-10-08 2005-09-28 Secondary battery module
US11/247,837 US7758999B2 (en) 2004-10-08 2005-10-10 Secondary battery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0322A KR100860454B1 (ko) 2004-10-08 2004-10-08 이차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1338A KR20060031338A (ko) 2006-04-12
KR100860454B1 true KR100860454B1 (ko) 2008-09-25

Family

ID=36181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322A KR100860454B1 (ko) 2004-10-08 2004-10-08 이차전지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58999B2 (ko)
JP (1) JP4805271B2 (ko)
KR (1) KR100860454B1 (ko)
CN (1) CN100505384C (ko)
WO (1) WO200608065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80673B2 (ja) * 2006-08-24 2012-07-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モジュール
KR100870355B1 (ko) * 2007-07-19 2008-11-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전지팩
DE102009018787A1 (de) * 2009-04-24 2010-10-28 Akasol Engineering Gmbh Batteriemodul
KR101182426B1 (ko) 2009-12-04 2012-09-12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KR101117686B1 (ko) * 2009-12-28 2012-02-2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KR200468011Y1 (ko) * 2011-08-09 2013-07-16 세방전지(주) 금속성 도전체를 이용한 전지탭 연결장치
DE102011082576A1 (de) * 2011-09-13 2013-03-1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zum Befestigen eines Energiespeichermoduls auf einem Modulträger
FR2990567B1 (fr) * 2012-05-14 2014-09-12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gestion thermique et de connexion pour module de batterie
DE102012218162B4 (de) 2012-10-04 2023-12-14 Bayerische Motorenwerke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anordnung
FR3017023B1 (fr) * 2014-01-29 2017-01-06 Hypertac Sa Systeme pour connecter electriquement au moins un premier equipement et un deuxieme equipement entre eux
CN112909409A (zh) * 2015-12-25 2021-06-04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无人飞行器
CN115347295A (zh) * 2021-05-14 2022-11-15 中创新航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箱体、电池包及车辆
CN117154349B (zh) * 2023-11-01 2024-01-19 成都大学 一种便于更换的新能源电池模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3086A (ja) * 2000-07-17 2002-01-31 Mitsubishi Heavy Ind Ltd 二次電池モジュール
JP2003338275A (ja) * 2002-05-21 2003-11-28 Nissan Motor Co Ltd 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20050106540A (ko) * 2004-05-04 2005-1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060061486A (ko) * 2004-12-02 2006-06-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케이스와,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및 이차전지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9982A (en) * 1993-12-06 1995-05-30 Valence Technology, Inc. Corner tab termination for flat-cell batteries
US5998060A (en) * 1997-04-24 1999-12-07 Mcgrady; Carl Snap connection battery system
KR100592230B1 (ko) * 1999-07-03 2006-06-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폴리머 이차전지
JP2001196103A (ja) * 2000-01-12 2001-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組電池の冷却構造
JP2002280076A (ja) * 2001-03-15 2002-09-27 Hitachi Ltd リチウム二次電池、リチウム二次電池を用いたモジュール及びこれらを用いた装置
JP4892788B2 (ja) * 2001-04-23 2012-03-0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モジュール
JP4720065B2 (ja) * 2001-09-04 2011-07-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フィルム外装電池及び組電池
JP5049436B2 (ja) * 2001-09-28 2012-10-1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組電池
JP3565216B2 (ja) * 2002-07-23 2004-09-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モジュール電池
JP4000961B2 (ja) * 2002-09-04 2007-10-3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
US7291422B2 (en) * 2003-10-10 2007-11-06 Nissan Motor Co., Ltd. Battery and relate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3086A (ja) * 2000-07-17 2002-01-31 Mitsubishi Heavy Ind Ltd 二次電池モジュール
JP2003338275A (ja) * 2002-05-21 2003-11-28 Nissan Motor Co Ltd 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20050106540A (ko) * 2004-05-04 2005-11-1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KR20060061486A (ko) * 2004-12-02 2006-06-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케이스와,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및 이차전지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758999B2 (en) 2010-07-20
JP4805271B2 (ja) 2011-11-02
CN100505384C (zh) 2009-06-24
WO2006080656A1 (en) 2006-08-03
CN101027801A (zh) 2007-08-29
US20060083980A1 (en) 2006-04-20
KR20060031338A (ko) 2006-04-12
JP2008513948A (ja) 2008-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5271B2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
KR100700277B1 (ko) 카트리지 타입의 전지팩
EP2416436B1 (en) Voltage-detecting member, and battery module including same
EP1839349B1 (en) Sensing board assembly for secondary battery module
CN109004166B (zh) 汇流条模块和电池组
KR100920207B1 (ko) 전지모듈 어셈블리 제조용 전원 스위칭 모듈
KR101106544B1 (ko) 기구물체결방식의 유닛팩 조합형 셀 카트리지
JP5394522B2 (ja) 二次電池モジュール製造のための分離型コネクティング部材及び電圧レベリングによる電池モジュール性能の向上方法
EP2765632B1 (en) Battery module assembly having improved reliability and medium or large-size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US20160006006A1 (en) Battery module
US20190221814A1 (en) Cell module
US20080131761A1 (en) Multi-cells connection board (mcb) assembly and its fabrication method
CA2591190A1 (en) Process for preparation of secondary battery module
JP2014524107A (ja) 蓄電デバイス
JP2008181765A (ja) 電池パ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US10879516B2 (en) Busbar, busbar module, and battery pack
US10020473B2 (en) Electric storage device
KR102056366B1 (ko) 전지팩의 셀 모듈 및 그 조립 방법
KR101907213B1 (ko) 리브 유니트가 형성된 케이스를 구비하는 배터리 팩
KR100805153B1 (ko) 전지 모듈
KR20140074411A (ko) 배터리 서브팩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217086810U (zh) 一种固定件、汇流排及电池组
CN213124682U (zh) 用于不间断电源的电池连接部及电池单元
CN111755640A (zh) 电池盒组及电池盒组的制造方法
KR20190135227A (ko) 기판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