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6889B1 - 배터리 팩 - Google Patents

배터리 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6889B1
KR101126889B1 KR1020100051137A KR20100051137A KR101126889B1 KR 101126889 B1 KR101126889 B1 KR 101126889B1 KR 1020100051137 A KR1020100051137 A KR 1020100051137A KR 20100051137 A KR20100051137 A KR 20100051137A KR 101126889 B1 KR101126889 B1 KR 101126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member
battery pack
end plate
battery cells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609A (ko
Inventor
김태용
Original Assignee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51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6889B1/ko
Priority to US12/889,266 priority patent/US9368769B2/en
Priority to JP2010214109A priority patent/JP5352558B2/ja
Priority to CN201010562900.7A priority patent/CN102263211B/zh
Priority to EP10194501.2A priority patent/EP2390941B1/en
Publication of KR20110131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6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68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13Large-sized flat cells or batteries for motive or stationary systems with plate-lik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45Multimode batteries, e.g. containing auxiliary cells or electrodes switchable in parallel or series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33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 H01M50/2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properties of casings or racks, e.g. dimensions adapted for protecting batteries from their environment, e.g. from corro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강 부재와 유지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컴팩트 설계 및 경량화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서로 적층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을 커버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이 개시된다.

Description

배터리 팩{Battery pack}
본 발명은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전지는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하여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지로, 하나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져 휴대폰, 노트북, 컴퓨터, 카메라, 캠코더 등의 휴대용 소형 전자기기에 사용되거나, 다수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 이루어져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전기 자동차(EV), 전기 스크터 등의 모터 구동용 전원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 팩은 다수의 배터리 셀 외에 고정 부재 및 케이스 등 많은 부품을 포함한다. 이러한 많은 부품은 배터리 팩의 컴팩트 설계 및 경량화 설계를 저해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 부재와 유지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컴팩트 설계 및 경량화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배터리 팩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서로 적층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을 커버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는 인서트 사출 방법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지 부재는 절연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의 일부가 상기 유지 부재로부터 노출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관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보강 부재의 일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하부를 커버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서 절곡되고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양측부를 커버하는 측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측벽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적층 방향과 평행하며, 바(bar)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부; 상기 유지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에 상기 유지 부재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과 마주보는 평판부; 상기 평판부의 양측에서 절곡되고 연장되는 절곡부; 및 상기 평판부 중 상기 보강 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유지 부재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유지 부재의 내부 중 상기 보강 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볼트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는 너트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에 체결되는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부재는 제 1 금속 라인과 제 2 금속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중 인접한 배터리 셀들 사이에 개재된 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인서트 사출 방법 등에 의해 보강 부재와 유지 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프레임을 구비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컴팩트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보강 부재와 유지 부재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스트레스를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보강 부재를 금속 재질로 형성하고, 유지 부재를 절연성 수지로 형성함으로써, 방열 기능 및 절연 기능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강도를 높이면서 형상 유지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을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중 도 3과 대응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중 도 3과 대응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중 도 3과 대응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보강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중 도 3과 대응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터리 팩을 분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절취선 A-A'를 따라 절취된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복수의 배터리 셀(110), 프레임(120) 및 엔드 플레이트(130)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110)은 서로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전기적 연결 부재(미도시)에 의해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된다. 이러한 복수의 배터리 셀(110)은 외부 전자 기기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방전 동작을 수행하거나, 외부 전자 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110) 각각은 양극판과 음극판이 세퍼레이터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전극 조립체(111)와, 전극 조립체(111)가 내장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112)와, 케이스(112)와 결합되어 케이스(112)를 밀봉하는 캡 조립체(113), 및 양극판과 음극판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캡 조립체(113)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양극 단자(114)와 음극 단자(115)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110) 중 인접한 배터리 셀들 사이에는 불필요한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얇은 두께의 절연체(101)가 개재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110) 중 최외측 배터리 셀들의 외면에 얇은 두께의 절연체(101)가 부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양극 단자(114)와 음극 단자(115)가 배터리 셀(110)의 외부로 노출된 방향을 상부 방향이라 하기로 한다.
상기 프레임(120)은 복수의 배터리 셀(110)을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복수의 배터리 셀(110)을 고정하며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프레임(120)은 인서트 사출 방법 등에 의해 결합되는 유지 부재(121)와 고정 부재(12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서트 사출 방법은 서로 다른 재질의 구성들을 결합시켜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하는 방법이다.
상기 유지 부재(121)는 프레임(120)의 외관을 형성하며, 구체적으로 복수의 배터리 셀(110)의 하부를 커버하는 바닥부(121a)와, 복수의 배터리 셀(110)의 양측부를 커버하도록 바닥부(121a)의 양측에서 절곡되고 연장되는 측벽부(121b)를 포함한다. 이러한 유지 부재(121)는 프레임(120)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형상 변형이 적은 절연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부재(123)는 유지 부재(121)의 내부에 형성되어, 프레임(12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보강 부재(123)는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부재(123)는 유지 부재(121)의 측벽부(121b)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로드(restraint rod)일 수 있으며, 일부가 유지 부재(121)로부터 노출되어 엔드 플레이트(130)를 관통한다.
상기 보강 부재(12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베이스부(124), 연장부(125) 및 나사산(126)을 포함한다. 도 3에서는 보강 부재(123)가 실질적으로 위치하는 유지 부재(121)의 측벽부(121b)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부(124)는 복수의 배터리 셀(110)의 적층 방향과 평행하며, 바(bar) 형상을 가진다. 상기 연장부(125)는 유지 부재(121)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베이스부(124)로부터 연장되며, 엔드 플레이트(130)를 관통한다. 상기 나사산(126)은 연장부(125)의 외면에 형성되며, 너트(135)를 연장부(125)에 체결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프레임(120)은 인서트 사출 방법 등에 의해 유지 부재(121)와 보강 부재(123)가 결합되어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배터리 셀을 고정하는 연결 로드와 별도의 케이스를 각각 구비하는 경우보다, 배터리 팩(100)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배터리 팩(100)의 컴팩트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지 부재(121)와 보강 부재(123)가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프레임(120)은 외력에 의한 배터리 팩(100)의 스트레스를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123)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유지 부재(121)가 절연성 수지로 형성됨으로써, 프레임(120)은 배터리 팩(100)의 방열 기능 및 절연 기능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20)은 수지로만 형성되는 프레임보다 배터리 팩(100)의 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금속으로만 형성되는 프레임보다 배터리 팩(100)의 형상 유지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130)는 복수의 배터리 셀(110)의 외측, 구체적으로 프레임(120)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양측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며, 프레임(120)에 결합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엔드 플레이트(130)는 프레임(120)과 함께 복수의 배터리 셀(11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130)는 금속 재질 또는 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평판부(131), 절곡부(132) 및 관통홀(1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판부(131)는 마주보는 배터리 셀(110)을 커버하고 프레임(120)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132)는 평판부(131)의 양측 가장 자리에서 절곡되고 연장된다. 이러한 절곡부(132)는 엔드 플레이트(130)의 강성을 보강하여 엔트 플레이트(130)가 외력에 의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관통홀(133)은 평판부(131) 중 보강 부재(123)의 연장부(125)와 대응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보강 부재(123)의 연장부(125)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엔드 플레이트(130)는, 보강 부재(123)의 연장부(125)가 엔드 플레이트(130)의 관통홀(133)에 삽입되고 너트(135)가 보강 부재(123)의 나사산(126)을 통해 연장부(125)에 체결됨으로써, 프레임(120)에 결합되고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인서트 사출 방법 등에 의해 유지 부재(121)와 보강 부재(123)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프레임(120)을 구비함으로써, 제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컴팩트 설계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유지 부재(121)와 보강 부재(123)를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스트레스를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은 유지 부재(121)를 절연성 수지로 형성하고 보강 부재(123)를 금속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방열 기능 및 절연 기능을 함께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강도를 높이면서 형상 유지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중 도 3과 대응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과 비교하여 프레임(220)의 보강 부재(223)의 형상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프레임(220)의 보강 부재(223)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220)은 인서트 사출 방법 등에 의해 유지 부재(121)와 보강 부재(223)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 부재(223)는 도 3의 보강 부재(123)와 유사하다. 다만, 상기 보강 부재(223)는 베이스부(124)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홈(227)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결합홈(227)은 유지 부재(121)가 채워져 견고하게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보강 부재(223)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홈(227)을 더 포함함으로써,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보강 부재(223)와 유지 부재(121)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중 도 3과 대응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과 비교하여 프레임(320)의 보강 부재(323)의 형상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프레임(320)의 보강 부재(323)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320)은 인서트 사출 방법 등에 의해 유지 부재(121)와 보강 부재(323)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 부재(323)는 도 3의 보강 부재(123)와 유사하다. 다만, 상기 보강 부재(323)는 베이스부(124)의 외면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 돌기(327)를 더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결합 돌기(327)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보강 부재(323)와 유지 부재(121)의 결합력을 높이는 동시에 외력에 대하여 저항을 하는 지지체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보강 부재(323)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 돌기(327)를 더 포함함으로써,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보강 부재(323)와 유지 부재(121)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중 도 3과 대응되는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보강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과 비교하여 프레임(420)의 보강 부재(423)의 형상이 다르고, 연결 부재(426)를 더 포함하는 것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프레임(420)의 보강 부재(423)및 연결 부재(426)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420)은 인서트 사출 방법 등에 의해 유지 부재(121), 보강 부재(423) 및 연결 부재(426)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 부재(423)는 유지 부재(121)의 내부에 형성되어, 프레임(42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보강 부재(423)는 강도가 높은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스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강 부재(423)는 메쉬 형태로 형성되며, 구체적으로 제 1 금속 라인(424)과 제 2 금속 라인(425)을 포함한다. 이러한 보강 부재(423)는 유지 부재(121)의 측벽부에 전체적으로 배치되어, 프레임(420)의 강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426)는 프레임(420) 중 엔드 플레이트(도 2의 130)의 관통홀(133)과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되며, 볼트일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426)는 유지 부재(121)의 내부 중 보강 부재(423)의 외측에 형성되는 베이스부(427), 유지 부재(121)의 일측으로 노출되는 연장부(428), 및 연장부(428)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429)을 포함한다. 이러한 연결 부재(426)의 연장부(428)가 엔드 플레이트(130)의 관통홀(133)에 삽입되고, 너트(도 2의 135)가 나사산(429)을 통해 연장부(428)에 체결되면, 엔드 플레이트(130)가 프레임(420) 결합되고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메쉬 형태의 보강 부재(423)를 유지 부재(121)의 측벽부에 전체적으로 배치되게 하여 프레임(420)의 강도를 더욱 높임으로써,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중 도 3과 대응되는 부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100)과 비교하여 프레임(520)의 보강 부재(423)의 형상이 다르고, 연결 부재(523) 및 볼트(535)를 더 포함하는 것만 다를 뿐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프레임(520)의 보강 부재(423), 연결 부재(523) 및 볼트(535)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520)은 인서트 사출 방법 등에 의해 유지 부재(121), 보강 부재(423) 및 연결 부재(523)가 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보강 부재(423)는 도 6에서 설명되었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결 부재(523)는 프레임(520) 중 엔드 플레이트(도 2의 130)의 관통홀(133)과 대응되는 영역에 설치되며, 너트일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523)는 유지 부재(121)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유지 부재(121)의 내부 중 보강 부재(423)의 외측에 형성된다.
상기 볼트(535)는 외면 일부에 나사산(536)을 가지며, 엔드 플레이트(도 2의 130)의 관통홀(133)을 통과하여 연결 부재(523)에 체결되어, 프레임(520)이 엔드 플레이트(도 2의 130)에 결합되고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520)과 엔드 플레이트(도 2의 130)를 결합시키는데 볼트(535)가 사용되므로, 도 2의 너트(135)는 제거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은 메쉬 형태의 보강 부재(423)를 유지 부재(121)의 측벽부에 전체적으로 배치되게 하여 프레임(520)의 강도를 더욱 높임으로써, 외력에 대한 저항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배터리 팩 110: 배터리 셀
120, 220, 320, 420, 520: 프레임 130: 엔드 플레이트

Claims (19)

  1. 수평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배터리 셀;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적층방향과 평행인 양측부와 하부를 커버하는 유지 부재와, 상기 유지 부재의 내부에 형성된 보강 부재를 포함하는 프레임; 및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적층방향과 수직인 양측부를 커버하며,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엔드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2. 제 1 항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는 서로 다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보강 부재는 인서트 사출 방법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절연성 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일부가 상기 유지 부재로부터 노출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보강 부재의 일부에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하부를 커버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양측에서 절곡되고 연장되며,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양측부를 커버하는 측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측벽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의 적층 방향과 평행하며, 바(bar)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부;
    상기 유지 부재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홈에 상기 유지 부재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외면에 형성된 다수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 플레이트는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과 마주보는 평판부;
    상기 평판부의 양측에서 절곡되고 연장되는 절곡부; 및
    상기 평판부 중 상기 보강 부재가 삽입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유지 부재의 내부 중 상기 보강 부재의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관통하는 볼트이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 부재에 체결되는 너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너트이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엔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연결 부재에 체결되는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메쉬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제 1 금속 라인과 제 2 금속 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터리 셀 중 인접한 배터리 셀들 사이에 개재된 절연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팩.
KR1020100051137A 2010-05-31 2010-05-31 배터리 팩 KR101126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137A KR101126889B1 (ko) 2010-05-31 2010-05-31 배터리 팩
US12/889,266 US9368769B2 (en) 2010-05-31 2010-09-23 Battery pack
JP2010214109A JP5352558B2 (ja) 2010-05-31 2010-09-24 バッテリーパック
CN201010562900.7A CN102263211B (zh) 2010-05-31 2010-11-18 电池组
EP10194501.2A EP2390941B1 (en) 2010-05-31 2010-12-10 Battery pa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137A KR101126889B1 (ko) 2010-05-31 2010-05-31 배터리 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609A KR20110131609A (ko) 2011-12-07
KR101126889B1 true KR101126889B1 (ko) 2012-03-20

Family

ID=43827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137A KR101126889B1 (ko) 2010-05-31 2010-05-31 배터리 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68769B2 (ko)
EP (1) EP2390941B1 (ko)
JP (1) JP5352558B2 (ko)
KR (1) KR101126889B1 (ko)
CN (1) CN1022632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686B1 (ko) * 2009-12-28 2012-02-29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전지 팩
DE102011076580A1 (de) 2011-05-27 2012-11-2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Energiespeichermodul aus mehreren prismatischen Speicherzellen
US9660231B2 (en) * 2012-02-03 2017-05-2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US8512889B1 (en) * 2012-02-27 2013-08-20 Samsung Sdi Co., Ltd. Battery module
FR2993522B1 (fr) * 2012-07-19 2016-04-01 Renault Sas Enveloppe pour le support d'un equipement electrique embarque dans un vehicule
KR101306653B1 (ko) * 2013-03-22 2013-09-10 비스티온 인테리어스 코리아 주식회사 사출메쉬 일체형 비엠에이 제조방법
DE102013207592B3 (de) * 2013-04-25 2014-08-07 Magna Steyr Battery Systems Gmbh & Co Og Batteriesystem
US9608245B2 (en) 2014-09-30 2017-03-28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System for providing structural integrity of a battery module
DE102017103653A1 (de) * 2017-02-22 2018-08-23 Thyssenkrupp Ag Batteriegehäuse für eine Fahrzeugbatterie und Fahrgestell für ein Elektrofahrzeug
US11811259B2 (en) 2017-03-17 2023-11-07 Renew Health Ltd Power pack
JP6851020B2 (ja) * 2017-06-01 2021-03-3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蓄電池ユニット
CN108321314A (zh) * 2018-01-18 2018-07-24 湖南三迅新能源科技有限公司 轻量化动力电池包
KR102250204B1 (ko) 2018-03-07 2021-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KR101944718B1 (ko) * 2018-07-05 2019-02-01 (주)상아프론테크 인서트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기판 적재용 카세트
US11901570B2 (en) 2019-09-16 2024-02-13 Black & Decker Inc. Battery pac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7966A2 (en) * 2004-03-18 2005-09-21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Accumulator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82363A (en) * 1936-06-24 1938-03-24 Frank Maccallum Improvements relating to dry batteries
FR1600393A (ko) * 1968-12-31 1970-07-20
GB1488116A (en) 1974-12-19 1977-10-05 Chloride Lorival Ltd Formation of generally rectangular containers
US5492779A (en) 1994-10-24 1996-02-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Heat dissipating battery
JP3451142B2 (ja) 1994-11-18 2003-09-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温度制御機構を備えたバッテリ組立体
US7625665B2 (en) * 2004-11-30 2009-12-01 Samsung Sdi Co., Ltd. Secondary battery module and end-plate used in the same
KR100590049B1 (ko) 2004-11-30 2006-06-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모듈과 이에 적용되는 단위 전지 고정용앤드플레이트
JP4513813B2 (ja) 2007-02-01 2010-07-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装置
JP5147373B2 (ja) 2007-11-29 2013-02-20 三洋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システム
JP2009238643A (ja) 2008-03-27 2009-10-15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池ブロック
JP5340659B2 (ja) 2008-07-07 2013-11-13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の組電池
CN201311951Y (zh) 2008-10-09 2009-09-1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动力电池组
JP2010108788A (ja) 2008-10-30 2010-05-13 Sanyo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システム
JP5504724B2 (ja) 2009-07-17 2014-05-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組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065111B2 (en) * 2010-05-26 2015-06-23 Samsung Sdi Co., Ltd. Battery pa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77966A2 (en) * 2004-03-18 2005-09-21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Accumulator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352558B2 (ja) 2013-11-27
EP2390941B1 (en) 2013-04-17
CN102263211B (zh) 2015-05-20
CN102263211A (zh) 2011-11-30
JP2011253799A (ja) 2011-12-15
KR20110131609A (ko) 2011-12-07
US9368769B2 (en) 2016-06-14
US20110293978A1 (en) 2011-12-01
EP2390941A1 (en)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6889B1 (ko) 배터리 팩
US10236486B2 (en) Rechargeable battery pack
EP2808921B1 (en) Battery module
US9548475B2 (en) Battery cell of irregular structure and battery module employed with the same
JP6570050B2 (ja) バッテリパック
JP2020513664A (ja) 拡張型バッテリーモジュール構造を有するバッテリーパック
KR101252952B1 (ko) 배터리 셀의 유동을 방지하는 배터리 모듈
EP2571078B1 (en) Battery module
US7479040B2 (en) Battery module
US9876260B2 (en) Battery module
KR101287107B1 (ko) 연결부재를 가지는 전지 모듈
US9929427B2 (en) Battery module having reinforcing barrier with metal member
US11349181B2 (en) Battery module including insert-injection molded busbar assembly
US20100075216A1 (en) Battery pack
US20090246616A1 (en) Battery module
KR102444124B1 (ko) 배터리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US9349999B2 (en) Electric storage apparatus
JP6555835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
US9748533B2 (en) Battery module
US20160164051A1 (en) Secondary battery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US10367180B2 (en) Battery pack
KR101750487B1 (ko) 외부 입출력 단자 및 버스 바의 장착 수단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KR20200097512A (ko) 배터리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78534B1 (ko) 절연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US10938014B2 (en) Battery wir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