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856Y1 -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856Y1
KR200429856Y1 KR2020060021637U KR20060021637U KR200429856Y1 KR 200429856 Y1 KR200429856 Y1 KR 200429856Y1 KR 2020060021637 U KR2020060021637 U KR 2020060021637U KR 20060021637 U KR20060021637 U KR 20060021637U KR 200429856 Y1 KR200429856 Y1 KR 2004298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battery body
groove
plate
assembly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성원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1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8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8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8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각각 상이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해당되는 규격의 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며, 상기 볼트의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상기 볼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볼트머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규격별로 다른 형상의 볼트머리를 갖는 볼트를 동일한 형상의 삽입부에만 삽입하게 됨으로써 볼트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조립으로 인한 재작업이 줄어들고, 생산 속도가 높아져 생산성이 향상되는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Description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 {Battery body structure for bolt assembling}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의 조립 완료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의 조립 완료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플레이트 120 : 볼트
122 : 제1볼트 124 : 제2볼트
130 : 삽입부 132 : 제1삽입부
134 : 제2삽입부 140 : 볼트홈
142 : 제1볼트홈 144 : 제2볼트홈
150 : 볼트홀 152 : 제1볼트홀
154 : 제2볼트홀 160 : 볼트머리부
170 : 삽입부재 172 : 제1삽입부재
174 : 제2삽입부재 180 : 삽입지지부재
182 : 제1삽입지지부재 184 : 제2삽입지지부재
본 고안은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터리 바디에 조립되는 서로 다른 규격의 볼트의 볼트머리를 각각 다른 형상으로 구비하여 동일한 형상으로 된 부분에만 해당되는 볼트가 삽입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구비하여 볼트의 오삽입을 방지하고, 오조립으로 인한 재작업을 줄이며, 생산 속도를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의 조립 완료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는 플레이트(10)와, 상기 플레이트(10)에 삽입되는 서로 다른 규격의 제1볼트(22)와 제2볼트(24)로 형성되는 볼트(20)와, 상기 플레이트(10)에 상기 볼트(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볼트홈(40)과 볼트홀(50)을 구비하는 삽입부(30)와, 상기 삽입부(30)에 삽입되도록 상기 볼트(20)의 일측에 삽입부재(70)와 삽입지지부재(80)를 구비하는 볼트머리부(6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고안은 해당되는 각각의 상기 삽입부(30)에 상기 제1볼트(22)와 제2볼트(24)를 상기 플레이트(10)의 상측면 방향에서 삽입하였 다. 그리고, 상기 제1볼트(22)와 제2볼트(24)는 상기 삽입부(30)의 볼트홀(50)에 삽입되어 플레이트(10)의 하측면으로 돌출되었고, 상기 볼트머리부(60)의 삽입지지부재(80)가 볼트홀(50)에 삽입된 후 볼트홀(50)의 내측면에 접하여 고정되었으며, 상기 볼트머리부(60)의 삽입부재(70)가 상기 삽입부(30)의 볼트홈(40)에 삽입됨으로써 플레이트(10)에 볼트(20) 조립이 완료되었다.
그러나, 종래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는 제1볼트와 제2볼트의 삽입부재가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제1볼트와 제2볼트를 쉽게 구분하기 어려웠으며, 플레이트에 구비된 삽입부의 형상이 모두 같아 제1볼트와 제2볼트 구분 없이 모두 삽입이 가능했기 때문에 볼트의 오조립이 자주 발생하여 재작업으로 인해 생산 속도가 느려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규격별 볼트의 형상을 다르게 하여 동일한 형상의 삽입부에만 삽입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볼트의 오조립을 방지하며, 오조립으로 인한 재작업을 줄이고, 생산 속도를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는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각각 상이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해당되는 규격의 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며, 상기 볼트의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상기 볼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볼트머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볼트머리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각각 구비되는 볼트홈과, 상기 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홈 바닥면을 원형으로 관통하는 볼트홀을 구비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볼트머리부는 상기 볼트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각각 구비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 하측면에 상기 볼트홀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정확한 삽입을 유도하는 삽입 지지부재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의 조립 완료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게 플레이트(110)와, 삽입부(130)와, 볼트머리부(160)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볼트(120)는 서로 다른 규격의 제1볼트(122)와 제2볼트(124)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10)는 배터리 바디이며, 상측면에 다수개의 삽입부(130)를 형성하여 볼트(120) 삽입 후 너트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삽입부(130)는 플레이트(110)에 각각 상이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해당되는 규격의 볼트(1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볼트머리부(160)는 삽입부(130)에 삽입되어 너트 체결시 볼트(120)의 회전을 방지하며, 볼트(120)의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볼트(120)의 일측에 일체적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부(130)는 제1볼트(122)를 삽입하는 제1삽입부(132)와 제2볼트(124)를 삽입하는 제2삽입부(13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삽입부(132) 및 제2삽입부(134)는 각각 볼트홈(140)과 볼트홀(150)을 구비한다.
상기 볼트홈(140)은 볼트머리부(16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볼트홈(140)은 서로 다른 규격의 제1볼트(122)와 제2볼트(124)의 볼트머리부(160)를 각각 삽입할 수 있도록 제1볼트홈(142)과 제2볼트홈(144)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볼트홈(142)은 제1볼트(122)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정사각형 형상으로 제1삽입부(132)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볼트홈(144)은 제2볼트(124)를 삽입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 형상으로 제2삽입부(134)에 구비된다.
상기 볼트홀(150)은 볼트(1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제1볼트홈(142)과 제2볼트(144)홈 바닥면을 원형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볼트홀(150)은 제1볼트홈(142)에 구비되는 제1볼트홀(152)과, 제2볼트홈(144)에 구비되는 제2볼트홀(154)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볼트홀(152)은 제1삽입부(132)의 제1볼트홈(142)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볼트홀(154)은 제2삽입부(134)의 제2볼트홈(144)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볼트머리부(160)는 크게 삽입부재(170)와 삽입지지부재(180)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재(170)는 볼트홈(140)에 삽입될 수 있도록 볼트홈(140)과 동일한 형상으로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삽입부재(170)는 제1볼트홈(142)와 제2볼트홈(144)에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삽입부재(172)와 제2삽입부재(174)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부재(172)는 제1볼트홈(142)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볼트홈(142)과 동일한 형상인 정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삽입부재(174)는 제2볼트홈(14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2볼트홈(144)과 동일한 형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삽입지지부재(180)는 삽입부재(170) 하측면에 볼트홀(15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볼트(120)의 정확한 삽입을 유도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삽입지지부재(180)는 제1볼트홀(152)과 제2볼트홀(154)에 삽입될 수 있도록 제1삽입지지부재(182)와 제2삽입지지부재(18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지지부재(182)는 제1삽입부재(172)의 하측면에 제1볼트홀(152)과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1볼트홀(152)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삽입지지부재(184)는 제2삽입부재(174)의 하측면에 제2볼트홀(154)과 동일한 원형으로 형성되어 제2볼트홀(154)에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110)와 플레이트(110)의 삽입부(130)에 삽입될 볼트(12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볼트(120)는 제1삽입부(132)와 제2삽입부(134)에 각각에 삽입될 두 가지 규격의 제1볼트(122)와 제2볼트(124)를 구비한다.
먼저, 상기 제1볼트(122)는 플레이트(110)의 제1삽입부(132)에 삽입된다.
상기 제1볼트(122)는 제1볼트홀(152)에 삽입되어 플레이트(110) 반대측으로 돌출되며, 제1볼트(122)의 제1삽입지지부재(182) 둘레면이 제1볼트홀(152)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삽입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1삽입지지부재(182)는 제1볼트(122)의 삽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며, 삽입된 제1볼트(122)가 제1볼트홀(152) 내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 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볼트(122)의 제1삽입부재(172)는 동일한 형상인 정사각형 형상의 제1볼트홈(14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1볼트홈(142)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어 직사각형 형상의 제2삽입부재(174)를 구비한 제2볼트(124)의 삽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작업자의 실수로 제1볼트(122)를 삽입해야 하는 제1삽입부(132)에 제2볼트(124)를 오조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볼트(124)는 플레이트(110)의 제2삽입부(134)에 삽입된다.
상기 제2볼트(124)는 제2볼트홀(154)에 삽입되어 플레이트(110) 반대측으로 돌출되며, 제2볼트(124)의 제2삽입지지부재(184)의 둘레면이 제2볼트홀(154)의 내측면과 접하면서 삽입 고정된다.
이때, 상기 제2삽입지지부재(184)는 제2볼트(124)의 삽입이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도하며, 삽입된 제2볼트(124)가 제2볼트홀(154) 내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볼트(124)의 제2삽입부재(174)는 동일한 형상인 정사각형 형상의 제2볼트홈(144)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제2볼트홈(144)은 정사각형 형상으로 구비되어 있어 직사각형 형상의 제1삽입부재(172)를 구비한 제1볼트(122)의 삽입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본 고안은 작업자의 실수로 제2볼트(124)를 삽입해야 하는 제2삽입부(134)에 제1볼트(122)를 오조립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상기 제1볼트(122)와 제2볼트(124) 모두 플레이트(110)에 삽입됨으로써 배터리 바디인 플레이트(110)에 볼트(120)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제1볼트(122)와 제2볼트(124)를 각각 구분하여 플레이트(110)조립할 수 있어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는 규격별로 다른 형상의 볼트머리를 갖는 볼트를 동일한 형상의 삽입부에만 삽입하게 됨으로써 볼트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조립으로 인한 재작업이 줄어들고, 생산 속도가 높아져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지닌다.

Claims (3)

  1.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에 각각 상이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해당되는 규격의 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에 삽입되어 상기 볼트의 회전을 방지하며, 상기 볼트의 규격에 따라 서로 다른 형상으로 상기 볼트의 일측에 구비되는 볼트머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볼트머리부를 삽입할 수 있도록 서로 상이한 형상으로 각각 구비되는 볼트홈과;
    상기 볼트를 삽입할 수 있도록 상기 볼트홈 바닥면을 원형으로 관통하는 볼트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머리부는
    상기 볼트홈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볼트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각각 구비되는 삽입부재와;
    상기 삽입부재 하측면에 상기 볼트홀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정확한 삽입을 유도하는 삽입 지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
KR2020060021637U 2006-08-11 2006-08-11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 KR2004298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637U KR200429856Y1 (ko) 2006-08-11 2006-08-11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637U KR200429856Y1 (ko) 2006-08-11 2006-08-11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856Y1 true KR200429856Y1 (ko) 2006-10-27

Family

ID=41778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637U KR200429856Y1 (ko) 2006-08-11 2006-08-11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8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223B1 (ko) 2009-12-18 2011-11-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223B1 (ko) 2009-12-18 2011-11-17 에스비리모티브 주식회사 리스트레이너의 고정 구조가 개선된 배터리모듈 및 그 고정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4960B1 (ko) 축전지용 접속단자
KR200429856Y1 (ko) 배터리 바디 볼트 조립 구조
JP2010080083A (ja) コネクタモジュール用の保持フレーム
JP2013000830A (ja) 固定治具
CN110573888B (zh) 低插入力连接器组件及半导体部件试验装置
KR20160054685A (ko) 케이블 레이스 웨이용 조인트
JP5160515B2 (ja) パチンコ遊技機
KR101793952B1 (ko) 태양광 웨이퍼 캐리어
KR101164752B1 (ko) 절삭공구
KR200426244Y1 (ko) 커넥터 전선 삽입용 지그
KR101222545B1 (ko) 부품의 위치결정용 핀 및 부시 체결구조
JP2007319975A (ja) 保持具
KR200467897Y1 (ko) 밴드 클램프
KR102363330B1 (ko) 저삽입력 커넥터 어셈블리
CN215400162U (zh) 一种用于纸箱内隔板组装的辅助治具
CN212096208U (zh) 顶针组件和顶针治具
KR101044848B1 (ko) 인티그럴 커버 버킷의 조립용 치공구
CN211638941U (zh) 垫圈的辅助穿套装置及穿套组件
JP6805892B2 (ja) 検出装置
JP4809290B2 (ja) 遊技機用制御装置
JPH0510377Y2 (ko)
JP5160513B2 (ja) パチンコ遊技機
US20080057843A1 (en) Holding device for a rotary tool
KR20170033598A (ko) 확장식 밴드 케이블
KR100899124B1 (ko) 레이업 몰딩툴에서의 툴링홀 형성방법 및 툴링홀 형성용부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