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9885A -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9885A
KR20110069885A KR1020117011027A KR20117011027A KR20110069885A KR 20110069885 A KR20110069885 A KR 20110069885A KR 1020117011027 A KR1020117011027 A KR 1020117011027A KR 20117011027 A KR20117011027 A KR 20117011027A KR 20110069885 A KR20110069885 A KR 201100698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nction
information processing
vehicle information
portable
portabl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1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0120B1 (ko
Inventor
신이찌 다니구찌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69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98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0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0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75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 H04M1/6083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 H04M1/609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adapted for handsfree use in a vehicle by interfacing with the vehicle audio system including a wireless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75Indicating network or usage conditions on the user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내에서 접속된 휴대 기기와 협동하여 각종 기능을 실현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이며, 휴대 기기와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와, 휴대 기기와 협동하여 실현 가능한 각종 기능에 대한 조작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화면 생성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접속된 휴대 기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된 휴대 기기와 협동하여 실현 가능한 기능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한 실현 가능한 기능에 따라서 다른 상기 조작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ON-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차내에서 접속된 휴대 기기와 협동하여 각종 기능을 실현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등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내에 반입된 블루투스(Bluetooth)(등록 상표, 이하 동일) 통신 기능이 구비된 기기, 예를 들어 휴대 전화기, 마이크 유닛, 휴대 오디오 플레이어, 휴대형 퍼스널 컴퓨터, 개인 정보 기기 등과의 사이에서 블루투스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를 교환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이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에 카 네비게이션 기능, 카 오디오 기능,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구비된 전자 기기와의 통신 기능 등의 초기 메뉴가 표시된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1-239897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종류의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와 협동하는 휴대 기기는, 휴대 전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포터블 오디오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가 있다. 또한,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와 협동하여 실현 가능한 기능도, 예를 들어 핸즈프리 기능, 오디오 기능, 전화번호부 기능 등의 방식으로 다양화되고 있다. 또한, 휴대 전화라고 하는 동일한 카테고리 내라도, 그 기종에 의존하여, 실현 가능한 기능은 다르다. 예를 들어,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와 협동하여 실현 가능한 기능으로서, 핸즈프리 기능밖에 갖지 않는 휴대 전화도 있는가 하면, 핸즈프리 기능과 오디오 기능(음악 등을 재생하는 기능)을 갖는 휴대 전화도 있다.
이에 대해,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측에서는, 가능한 한 다양한 휴대 기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보유하고, 또한 그것에 따른 각종 기능을 위한 조작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휴대 기기의 다양화에 수반하여, 휴대 기기측이 보유하는 기능과,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측이 보유하는 기능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접속되는 휴대 기기의 기종이나 종류를 고려하지 않고,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조작 화면을 일정(일률)하게 생성하면, 사용자에게 혼란을 부여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핸즈프리 기능밖에 갖지 않는 휴대 전화가 접속되어 있는데, 핸즈프리 기능과 오디오 기능에 대응한 조작 화면을 제공하면, 사용자에 의한 오디오 기능의 선택 조작이 표면적으로는 가능하지만, 실제로는 오디오 기능이 실현되지 않는다고 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러한 사태는, 사용자에게 혼란을 부여해 버리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접속된 휴대 기기가 보유하는 기능에 따른 적절한 조작 화면을 제시할 수 있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등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르면, 차내에서 접속된 휴대 기기와 협동하여 각종 기능을 실현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이며,
휴대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와,
휴대 기기와 협동하여 실현 가능한 각종 기능에 대한 조작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화면 생성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접속된 휴대 기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된 휴대 기기와 협동하여 실현 가능한 기능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한 실현 가능한 기능에 따라서 다른 상기 조작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된 휴대 기기가 보유하는 기능에 따른 적절한 조작 화면을 제시할 수 있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등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해 실현되는 주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3은 각종 조작 화면의 일례의 화면 이미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해 실현되는 주요 처리의 그 밖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의 설명을 행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의 일 실시예를 포함하는 시스템 전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는, 참조 부호 10이 부여되어 있다.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는, 차량에 탑재된다.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주요한 구성 요소로서, 블루투스 통신 장치(11)와, 조작 화면 생성 장치(12)와, 표시 장치(14)를 포함한다.
블루투스 통신 장치(11)는, 사용자에 의해 차량에 반입되는 휴대 기기(20)와 블루투스 통신을 행하는 장치이다. 블루투스 통신 장치(11)는, 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송수신용 안테나를 가져도 된다. 블루투스 통신 장치(11)에는 조작 화면 생성 장치(12)가 접속된다.
조작 화면 생성 장치(12)는, 처리 장치(12a)와, 묘화 장치(12b)를 구비한다.
처리 장치(12a)는,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각종 처리를 주도적으로 실행하는 장치이다. 처리 장치(12a)는, 하드웨어 구성으로서, 예를 들어 CPU, 후술하는 각종 기능(예를 들어, 도 2나 도 4에 나타내는 처리)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 연산 결과 등을 저장하는 판독 기입 가능한 RAM, 타이머, 카운터,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 등을 가져도 된다. 묘화 장치(12b)는, 처리 장치(12a)로부터의 지시에 따라서, 표시 장치(14)에 출력하는 조작 화면(후술)을 묘화한다. 또한, 처리 장치(12a) 및 묘화 장치(12b)는, 하나의 제어 유닛(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ECU)에 의해 실현되어도 되고, 각각의 제어 유닛(예를 들어, 각각 네비게이션 ECU와 디스플레이 ECU)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처리 장치(12a) 및 묘화 장치(12b)의 각종 기능은, CPU가 소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되고, 묘화 IC와 같이 로직 회로 등의 하드웨어 자원을 사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묘화 장치(12b)에는, 표시 장치(4)가 접속된다.
표시 장치(14)는, 차 실내의 적절한 개소(예를 들어,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는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이다. 표시 장치(14)는, 터치 패널식 액정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임의의 종류의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이면 된다. 표시 장치(14)에는, 조작 화면 생성 장치(12)에 의해 생성되는 조작 화면(후술)이 표시된다.
휴대 기기(20)는, 휴대 전화나 PDA, 포터블 오디오, DVD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휴대 기기로,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갖는다. 휴대 기기(20)는,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온(ON)으로 설정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차량 내로 반입된다. 휴대 기기(20)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와 협동하여 실현될 수 있는 기능(이하, 휴대 보유 기능이라 함)을 갖는다. 이 휴대 보유 기능은, 휴대 기기(20)의 종류나 기종에 의존하여 다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휴대 보유 기능을 실제로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와 협동하여 실현하기 위해서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측이 대응하는 기능(이하, 차량 탑재기 보유 기능이라고도 함)을 가질 필요가 있다.
휴대 보유 기능은, 휴대 기기(20)의 전화 기능을 사용하여 차량 탑재 마이크로폰과 차량 탑재 스피커로 핸즈프리 통화를 행하는 핸즈프리 기능, 휴대 기기(20)에서 등록된 전화번호부 또는 주소록을 차량 탑재 정보 기기[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14)]에서 이용 또는 편집하는 전화번호부 기능, 휴대 기기(20)로부터 공급되는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를 차량 탑재 오디오/비쥬얼 시스템에 의해 재생하는 오디오/비쥬얼 기능 및 휴대 기기(20)에 수신된 메일을 차량 탑재 정보 기기[예를 들어, 표시 장치(14)]에 의해 열람하거나 또는 차량 탑재 정보 기기[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표시 장치(14)]에 의해 작성한 메일을 휴대 기기(20)로부터 송신하는 메일 기능 등을 포함해도 된다.
이들 각종 휴대 보유 기능은, 블루투스 프로파일(이하, 단순히 프로파일이라고도 함)을 사용하여 실현된다. 이 프로파일은, 전형적으로는 업계 단체인 블루투스 SIG에 의해 책정된 표준의 프로파일이지만, 메이커 독자적인 기능을 실장한 독자적인 프로파일을 포함해도 된다. 또한, 프로파일은, 휴대 기기(20)와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 사이에서의 코맨드나 데이터의 송수신 수순이나 타이밍, 코맨드의 정의나 변수의 정의 등을 포함하는 기술적 사양을 규정한 프로토콜의 일종을 가리킨다.
표준의 프로파일로서는, 예를 들어 상술한 핸즈프리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파일 : HFP(Hands Free Profile), 상술한 전화번호부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파일 : PBAP(Phone Book Access Profile), 상술한 오디오/비쥬얼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파일 : AVP(Audio Visual Profile), 상술한 메일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파일 : MAP(Message Access Profile) 등이 있다. 또한, 오디오/비쥬얼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파일 AVP는, 2개의 프로파일 A2DP(Advanced Audio Distribution Profile) 및 AVRCP(Audio Visual Remote Control Profile)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휴대 보유 기능으로서 핸즈프리 기능과 전화번호부 기능을 갖는 휴대 기기(20)에는, 프로파일 HFP와 프로파일 PBAP가 보유되고, 휴대 보유 기능으로서 핸즈프리 기능과 전화번호부 기능과 오디오/비쥬얼 기능을 갖는 휴대 기기(20)에는, 프로파일 HFP와 프로파일 PBAP와 프로파일 AVP가 보유되어 있게 된다. 마찬가지로,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에는, 차량 탑재기 보유 기능에 대응한 각종 프로파일이 보유되어 있다.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에는, 다양한 휴대 기기(20)와의 사이에서 실현 가능한 기능을 최대화하기 위해, 상술한 4개의 프로파일(HFP, MAP, AVP 및 MAP)에 대응하는 모든 프로파일이 보유되어 있어도 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해 실현되는 주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처리 루틴은, 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이 시동되었을 때(즉, 이그니션 스위치가 온되었을 때)에 기동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에는, 상술한 4개의 프로파일(HFP, MAP, AVP 및 MAP)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이 보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200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11)에 의해, 차 실내로 반입된 휴대 기기(20)와의 블루투스 통신이 개시된다. 또한, 이 블루투스 통신은, 휴대 기기(20)에 있어서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온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는 자동적으로 개시되지만, 그 이외의 경우는,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의해 개시되어도 된다.
스텝 202에서는, 블루투스 통신 장치(11)를 통해 휴대 기기(20)가 보유하는 프로파일을 검출한다. 이 프로파일의 검출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 통신 장치(11)와 휴대 기기(20) 사이에서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링크 확립 프로세스에 의해 실현된다.
스텝 204에서는, 처리 장치(12a)에 의해, 상기 스텝 202의 처리에 의해 검출된 휴대 기기(20)측의 프로파일과,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가 대응하고 있는 프로파일 사이의 정합이 확인된다. 예를 들어, 금회 반입된 휴대 기기(20)에 대해 프로파일 HFP와 프로파일 PBAP가 검출된 경우, 이들 2개의 프로파일 HFP와 프로파일 PBAP가,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측의 프로파일과의 사이에서 정합되게 된다. 또한, 금회 반입된 휴대 기기(20)에 대해 프로파일 HFP와 프로파일 PBAP와 프로파일 AVP가 검출된 경우, 이들 3개의 프로파일 HFP와 프로파일 PBAP와 프로파일 AVP가,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측의 프로파일과의 사이에서 정합되게 된다. 또한,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에 휴대 기기(20)가 보유할 수 있는 모든 휴대 보유 기능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이 보유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스텝 202에서 검출된 휴대 기기(20)측의 프로파일의 정합성이 무조건 확인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즉, 스텝 204는 실질적으로 생략되어도 됨).
스텝 206에서는, 처리 장치(12a)에 의해, 상기 스텝 204의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측에서 동작시키는 기능(차량 탑재기 보유 기능)이 선별ㆍ결정된다. 예를 들어, 프로파일 HFP와 프로파일 PBAP의 정합이 확인된 경우에는, 핸즈프리 기능과 전화번호부 기능이 선별ㆍ결정된다. 또한, 프로파일 HFP와 프로파일 PBAP와 프로파일 AVP의 정합이 확인된 경우에는, 핸즈프리 기능과 전화번호부 기능과 오디오/비쥬얼 기능이 선별ㆍ결정된다.
스텝 208에서는, 처리 장치(12a)로부터의 지령에 따라서 묘화 장치(12b)에 의해, 상기 스텝 206의 처리에서 결정된 기능에 대응한 내용의 조작 화면이 묘화되어, 표시 장치(14)에 출력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텝 206의 처리에서 핸즈프리 기능과 전화번호부 기능이 선별ㆍ결정된 경우는,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즈프리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70a)와, 전화번호부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70b)를 구비하는 조작 화면이 생성ㆍ출력된다. 또한, 핸즈프리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70a) 및 전화번호부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70b)에는, 각각의 스위치 기능을 나타내는 문자(도시예에서는, 「핸즈프리」와 「전화번호부」)가 묘화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실현 가능한 핸즈프리 기능과 전화번호부 기능만을 조작할 수 있고, 핸즈프리 기능과 전화번호부 기능 이외의 기능(예를 들어, 오디오/비쥬얼 기능과 같은 실현 불가능한 기능)에 대해서는 조작 자체를 할 수 없으므로, 불필요한 혼란을 사용자에게 부여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A)에 도시하는 조작 화면은, 사용자가 터치 스위치(70a, 70b)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그 하위(하층)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화면으로 천이되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어, 핸즈프리 통화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터치 스위치(70a)를 조작하면, 도 3의 (A)에 도시하는 조작 화면은, 핸즈프리 통화를 실제로 행하기 위한 하위의 조작 화면(예를 들어, 전화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나, 발신을 행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 등을 포함하는 조작 화면)으로 천이되는 것이면 된다. 또한, 이 계층수에 대해서도 임의이고, 3계층 이상이라도 좋다.
마찬가지로, 상기 스텝 206의 처리에서 핸즈프리 기능과 전화번호부 기능과 오디오/비쥬얼 기능이 선별ㆍ결정된 경우는, 예를 들어 도 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즈프리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70a)와, 전화번호부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70b)와, 오디오/비쥬얼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70c)를 구비하는 조작 화면이 생성ㆍ출력된다. 또한, 오디오/비쥬얼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70c)에는, 스위치 기능을 나타내는 문자(도시예에서는, 「오디오」)가 묘화되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실현 가능한 핸즈프리 기능과 전화번호부 기능과 오디오/비쥬얼 기능만을 조작할 수 있고, 핸즈프리 기능과 전화번호부 기능과 오디오/비쥬얼 기능 이외의 기능(예를 들어, 메일 기능과 같은 실현 불가능한 기능)에 대해서는 조작 자체를 할 수 없으므로, 불필요한 혼란을 사용자에게 부여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하는 조작 화면은, 사용자가 터치 스위치(70a, 70b, 70c) 중 어느 하나를 조작하면, 그 하위의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화면으로 천이되는 것이면 된다. 예를 들어, 휴대 기기(20)에 다운로드해 온 음악을 듣고 싶은 사용자가 터치 스위치(70c)를 조작하면, 도 3의 (B)에 도시하는 조작 화면은, 음악 재생을 행하기 위한 하위의 조작 화면(예를 들어, 재생, 스크롤 업, 정지 등을 지시하기 위한 터치 스위치를 포함하는 조작 화면)으로 천이되는 것이면 된다. 또한, 이 계층수에 대해서도 임의이고, 3계층 이상이라도 좋다.
이와 같이 도 2에 나타내는 처리에 따르면,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 기기(20)를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와 접속한 경우에,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에서 보유되는 몇 가지의 기능(차량 탑재기 보유 기능)과, 사용자에 의해 반입된 휴대 기기(20)의 휴대 보유 기능 사이의 정합을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반입된 휴대 기기(20)를 동작할 수 있는 기능만이 조작 가능한 조작 화면을 생성ㆍ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해결하려는 과제」의 란에서 지적한 문제, 즉 실제로는 실현되지 않는 기능에 대한 조작 스위치를 갖는 조작 화면에 의해 사용자에게 혼란을 부여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없앨 수 있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에 의해 실현되는 주요 처리의 그 밖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처리 루틴은, 도 2에 나타내는 처리 루틴과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이 시동되었을 때에 기동된다. 여기서는, 일례로서,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에는, 상술한 4개의 프로파일(HFP, MAP, AVP 및 MAP)에 대응하는 프로파일이 보유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스텝 402 이외의 처리, 즉 스텝 400, 404, 406 및 408의 처리는, 도 2에 나타낸 처리의 스텝 200, 204, 206 및 208의 처리와 각각 동일해도 되고, 따라서 이들 처리의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402에서는, 처리 장치(12a)에 의해, 차 실내에 반입된 휴대 기기(20)에 관한 초기 등록시의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휴대 기기(20)가 보유하는 프로파일이 검출된다. 등록 정보는, 휴대 기기(20)의 초기 등록시에 처리 장치(12a)에 의해 메모리에 기억된다. 등록 정보에는, 휴대 기기(20)가 보유하는 프로파일(휴대 보유 기능)의 정보를 포함한다. 등록 정보에는, 그 밖에, 휴대 기기(20)의 기종이나 메이커 등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이와 같이 도 4에 나타내는 처리에 따르면, 도 2에 나타내는 처리와 마찬가지로,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의 휴대 기기(20)를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에 접속한 경우에,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에서 보유하는 몇 가지의 기능(차량 탑재기 보유 기능)과, 사용자에 의해 반입된 휴대 기기(20)의 휴대 보유 기능 사이의 정합을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반입된 휴대 기기(20)를 동작시킬 수 있는 기능만을 조작 가능한 조작 화면을 생성ㆍ출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실제로는 실현되지 않는 기능에 대한 조작 스위치를 갖는 조작 화면에 의해 사용자에 혼란을 부여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를 없앨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는 일은 없고,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는 일 없이, 상술한 실시예에 각종 변형 및 치환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블루투스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을 통하는 것이었지만, 본 발명은 예를 들어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다른 무선 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기기(20)와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가 유선 통신의 형태로 접속되는 구성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현 불가능한 기능이 비표시로 되는 조작 화면이 생성ㆍ출력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실현 불가능한 기능이 선택 불가능한 형태(예를 들어, 무효화된 비액티브한 터치 스위치의 형태)로 표시되는 조작 화면이 생성ㆍ출력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조작 화면에는, 휴대 기기(20)와 협동하여 실현되는 기능에 대한 조작 스위치만이 설정되어 있지만, 휴대 기기(20)와 관계없는 기능, 즉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10)만으로 실현 가능한 기능(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기능, 공조 설정 기능)에 대한 조작 스위치가 설정되어도 된다. 이 경우, 이들 휴대 기기(20)와 관계없는 기능에 대한 조작 스위치는, 접속되는 휴대 기기(20)에 의존하지 않고, 항상 설정(표시)되게 된다. 또한, 휴대 기기(20)가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12)에는 그 밖의 표시(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시스템 지도나 TV 등)가 표시되어도 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14)는, 표시한 조작 화면의 터치 조작이 가능한 터치 패널식 디스플레이로 구성되어 있지만, 표시 장치(14)는 터치 패널식이 아닌 통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라도 좋다. 이 경우, 표시 장치(14)는, 별개의 부재의 스위치 조작 장치와 협동하여, 표시와 입력 기능을 실현해도 된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4)는 상술한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그 조작이 별개의 부재의 스위치 조작 장치(예를 들어, 리모트 컨트롤러나 다른 장소에 배치된 터치 패널식 스위치)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10 :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11 : 블루투스 통신 장치
12 : 조작 화면 생성 장치
12a : 처리 장치
12b : 묘화 장치
14 : 표시 장치
20 : 휴대 기기
70a : 터치 스위치
70b : 터치 스위치
70c : 터치 스위치

Claims (10)

  1. 차내에서 접속된 휴대 기기와 협동하여 각종 기능을 실현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이며,
    휴대 기기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와,
    휴대 기기와 협동하여 실현 가능한 각종 기능에 대한 조작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생성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화면 생성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접속된 휴대 기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된 휴대 기기와 협동하여 실현 가능한 기능을 특정하고, 상기 특정한 실현 가능한 기능에 따라서 다른 상기 조작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생성 장치는, 상기 특정한 실현 가능한 기능만이 조작 가능한 상기 조작 화면을 생성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생성 장치는, 상기 특정한 실현 가능한 기능만이 표시되는 상기 조작 화면을 생성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블루투스에 기초하는 무선 통신 장치인,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생성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해 접속된 블루투스 통신 기능이 구비된 휴대 기기가 갖는 프로파일을 검지함으로써, 상기 실현 가능한 기능을 특정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기기와 협동하여 실현되는 각종 기능은, 상기 휴대 기기의 전화 기능을 사용하여 차량 탑재 마이크로폰과 차량 탑재 스피커로 핸즈프리 통화를 행하는 핸즈프리 기능, 상기 휴대 기기에서 등록된 전화번호부 또는 주소록을 차량 탑재 정보 기기에서 이용 또는 편집하는 전화번호부 기능,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공급되는 음악 또는 영상 데이터를 차량 탑재 오디오/비쥬얼 기기로 재생하는 오디오/비쥬얼 기능 및 상기 휴대 기기에 수신된 메일을 차량 탑재 정보 기기에 의해 열람하거나 또는 차량 탑재 정보 기기에 의해 작성한 메일을 상기 휴대 기기로부터 송신하는 메일 기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생성 장치에 의해 생성된 상기 조작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더 구비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8.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에 접속된 휴대 기기를 사용하여 각종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조작 화면의 생성 방법이며,
    차량 탑재 통신 장치를 통해 접속된 휴대 기기가 보유하는 프로파일을 검지하는 검지 스텝과,
    상기 검지 스텝의 검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된 휴대 기기가 보유하는 프로파일과, 상기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가 보유하는 각종 프로파일의 정합성을 확인하는 정합 확인 스텝과,
    상기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가 보유하는 각종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각종 기능 중, 상기 정합 확인 스텝에서 정합성이 확인된 프로파일에 대응한 기능만을 조작 가능한 조작 화면을 생성하는 조작 화면 생성 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방법.
  9.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이며, 컴퓨터로서, 제8항에 기재된 차량 탑재 정보 처리 방법의 각 스텝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0. 제9항에 기재된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 매체.
KR1020117011027A 2009-02-10 2009-02-10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250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52204 WO2010092662A1 (ja) 2009-02-10 2009-02-10 車載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9885A true KR20110069885A (ko) 2011-06-23
KR101250120B1 KR101250120B1 (ko) 2013-04-02

Family

ID=42561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1027A KR101250120B1 (ko) 2009-02-10 2009-02-10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706034B2 (ko)
EP (1) EP2397372A4 (ko)
JP (1) JP5083416B2 (ko)
KR (1) KR101250120B1 (ko)
CN (1) CN102256832A (ko)
WO (1) WO201009266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820A (ko) * 2012-11-01 2014-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통합정보 시스템 및 그 폰북 데이터 공유 방법
KR20150113726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오비고 템플릿 기반 ui를 이용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에 내장된 내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에 상기 헤드 유닛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저장된 외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101754A (ko) * 2015-02-17 2016-08-26 (주)텔레컨스 차량의 avn 장치, avn 보조장치 및 그 작동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86826A1 (de) * 2011-11-22 2013-05-23 Robert Bosch Gmbh System mit einem Handwerkzeugakku und zumindest einer Handwerkzeugakkuladevorrichtung
JP5944689B2 (ja) 2012-02-22 2016-07-05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機、および、車載機の表示制御システム
CN102795173A (zh) * 2012-08-24 2012-11-28 北京汽车股份有限公司 车载系统、远程交互方法及装置
US9538339B2 (en) * 2013-02-07 2017-0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of outputting in a vehicle data streamed by mobile applications
US9123345B2 (en) * 2013-03-14 2015-09-01 Honda Motor Co., Ltd. Voice interface systems and methods
EP2992418B1 (en) 2013-06-08 2022-02-16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synchronizing two or more displays
US10182118B2 (en) 2014-04-12 2019-01-15 Gregor Z. Hanuschak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ng with a personal computing device such as a smart phone using portable and self-contained hardware that is adapted for use in a motor vehicle
KR102592200B1 (ko) * 2016-10-24 2023-10-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계정 정보를 이용한 avn 동기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9897A (ja) 2000-02-28 2001-09-04 Toshiba Corp 乗物用情報処理装置と車載用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2279298A (ja) * 2001-03-22 2002-09-27 Toshiba Corp 車両履歴情報に基づくビジネス手法および記憶媒体
JP4024492B2 (ja) * 2001-06-08 2007-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情報端末装置及び自動機能設定システム並びに方法
JP2003095040A (ja) 2001-09-26 2003-04-03 Daihatsu Motor Co Ltd 車載機器の関連情報表示装置
JP3956694B2 (ja) * 2001-12-27 2007-08-08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内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車載電源制御ユニット
JP2004345540A (ja) 2003-05-23 2004-12-09 Omron Corp 車載端末装置、車載端末制御方法、車載端末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車載端末制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AU2003259428A1 (en) * 2003-09-08 2005-03-29 Nokia Corporation Automotive mobile terminal connection system providing mobile terminal function to enable dynamic external user interface
JP2006053620A (ja) * 2004-08-10 2006-02-23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車載端末用ダウンロードシステム
EP1825661A1 (de) 2004-12-14 2007-08-29 Bayerische Motorenwerke Aktiengesellschaft System zur nutzung mindestens eines mobilen endgeraets in einem kraftfahrzeug
JP4424303B2 (ja) * 2005-12-05 2010-03-03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ハンズフリー装置及び車載ハンズフリーシステム
JP2007245912A (ja) * 2006-03-15 2007-09-27 Omron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電子機器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015010B2 (en) * 2006-06-13 2011-09-06 E-Lane Systems Inc.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with news subscription service
JP4458071B2 (ja) * 2006-06-23 2010-04-28 株式会社デンソー 入力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34661B1 (ko) * 2006-08-08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핸즈프리 장치의 이동 통신 단말 자동 연결 방법및 장치
US7697917B2 (en) * 2006-08-30 2010-04-13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Method for safe operation of mobile phone in a car environment
EP2099652B1 (en) * 2007-01-05 2016-11-16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customized audio prompting
CN201166978Y (zh) * 2007-11-27 2008-12-17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车载多媒体播放装置
FR2928061B1 (fr) * 2008-02-25 2011-04-08 Alcatel Lucent Procede d'ouverture de sessions de communication pour la prise de controle a distance par un terminal radio de l'affichage d'informations sur un ecran, et serveur associe.
JP4524763B2 (ja) * 2008-03-25 2010-08-18 株式会社デンソー 自動車用情報提供システム
US8254902B2 (en) * 2008-06-26 2012-08-28 Apple Inc. Apparatus and methods for enforcement of policies upon a wireless device
US20110053506A1 (en) * 2009-08-27 2011-03-03 Motorola, Inc. Methods and Devices for Controlling Particular User Interface Functions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in a Vehicle
US8315617B2 (en) * 2009-10-31 2012-11-20 Btpatent Llc Controlling mobile device function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55820A (ko) * 2012-11-01 2014-05-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통합정보 시스템 및 그 폰북 데이터 공유 방법
KR20150113726A (ko) * 2014-03-31 2015-10-08 주식회사 오비고 템플릿 기반 ui를 이용하여 차량의 헤드 유닛에 내장된 내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에 상기 헤드 유닛에 연결된 모바일 단말 장치에 저장된 외부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통합하여 제공하는 방법, 이를 사용한 헤드 유닛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160101754A (ko) * 2015-02-17 2016-08-26 (주)텔레컨스 차량의 avn 장치, avn 보조장치 및 그 작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0120B1 (ko) 2013-04-02
EP2397372A4 (en) 2016-06-15
EP2397372A1 (en) 2011-12-21
JPWO2010092662A1 (ja) 2012-08-16
WO2010092662A1 (ja) 2010-08-19
US20110136435A1 (en) 2011-06-09
US8706034B2 (en) 2014-04-22
CN102256832A (zh) 2011-11-23
JP5083416B2 (ja) 2012-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0120B1 (ko)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JP5585545B2 (ja) 近距離通信システム、車両用機器および携帯通信端末
US930267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simulating a smart device user interface on a vehicle head unit
US20050277445A1 (en) Hands-free vehicle phone system and method
JP5978615B2 (ja) 設定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1166290A (ja) 室内通信用中継装置、室内通信システム及び室内通信方法
KR20160104800A (ko)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스템
JP2007116254A (ja) Bluetooth通信機能付き車載装置
JP5726008B2 (ja) 接続機器一覧の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08096289A (ja) 多言語対応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20230209616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communication thereof
JP5573809B2 (ja) 制御装置
JP2012191349A (ja) 車載機器システム及び該車載機器システムを構成する車載機器及び携帯端末
JP2012128497A (ja) 電子メールデータ処理装置
WO2006095500A1 (ja) 操作システムおよび被操作端末
JP6365605B2 (ja) 端末間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
JP5711068B2 (ja) 車載機
JP2015125640A (ja) 車載用電子機器、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86808A (ja) 車載システム
JP6331990B2 (ja) 車載システム
JP5812322B2 (ja) 車載機器システム及び該車載システムを構成する車載機器
JP2011135419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車載機、通信端末、サーバ装置、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通信方法
JP2017041848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
CN108136975A (zh) 用于设置车辆信息娱乐系统的方法和设备
JP6047948B2 (ja) 車両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