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8569A -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8569A
KR20110068569A KR1020090125585A KR20090125585A KR20110068569A KR 20110068569 A KR20110068569 A KR 20110068569A KR 1020090125585 A KR1020090125585 A KR 1020090125585A KR 20090125585 A KR20090125585 A KR 20090125585A KR 20110068569 A KR20110068569 A KR 20110068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umbrella
auxiliary
operating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5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06270B1 (ko
Inventor
부일 이
Original Assignee
부일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일 이 filed Critical 부일 이
Priority to KR1020090125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6270B1/ko
Priority to JP2012544382A priority patent/JP5730898B2/ja
Priority to CN201080057947.6A priority patent/CN102711547B/zh
Priority to PCT/KR2010/008979 priority patent/WO2011074875A2/ko
Priority to US13/517,030 priority patent/US8931497B2/en
Publication of KR20110068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85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6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6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우산살 어셈블리 및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접고 펴기가 쉽고 접은 상태의 길이를 최소화 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한 접이식 우산살 어셈블리 및 우산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접철되도록 메인살(110)과, 제1보조살(120)과 제2보조살(130)을 조합한 접이식 구성의 우산살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메인살고정부재(140)에 원주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는 내측부재(111)와, 내측부재(111)의 타단보다 위쪽에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는 중간부재(112)와, 중간부재(112)의 타단에 핀으로 결합되는 외측부재(113)를 접철되도록 조립 구성한 다수개의 메인살(110)과, 제1보조살고정부재(150)에 원주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122)와, 지지부재(122)의 타단에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며 상기 메인살(110)의 중간부재(112)와 평행하도록 내측부재(111) 단부가 지지부재(122)와 결합되는 쪽 단부 바깥쪽에 회동가능하게 핀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중간부재(112)와 연결된 외측부재(113)의 상단 아래쪽에 각각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재(121)를 접철되게 조립 구성한 다수개의 제1보조살(120)과,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40)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사이에 위치하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에 원주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내측부재(111)와 제1보조살(120)의 연결부재(121)의 결합부위에 같이 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조살(130)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살고정부 재(140)에 메인살(110)의 내측부재(1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1)은 제2보조살고정부재(160)에 제2보조살(1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2)보다 의미 있는 큰 치수로 구성하여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고정된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쪽으로 하강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고, 고정된 메인살고정부재(140) 쪽으로 상승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접어지게 하고, 이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이용하여 다양한 구성의 접이식 우산(1)을 제조한 것이다.
접이식 우산, 우산살 어셈블리, 메인살, 우산대, 보조살

Description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Stretcher-assembly and folding-umbrella }
본 발명은 접이식 우산살 어셈블리 및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고 펴기가 쉽고 접은 상태의 길이를 최소화 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한 접이식 우산살 어셈블리 및 우산을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비가 내릴 때 신체를 보호할 목적으로 우산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우산은 길이가 긴 우산(장우산)과 접어서 가방 등에 넣을 수 있는 보관성이 좋은 접이식 우산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장우산 및 접이식 우산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우산대 하단에 결합되는 손잡이에 마련된 버턴을 누르는 수고로움만으로 우산살 어셈블리가 펼쳐질 수 있게 한 구성으로 발전해 왔다.
상기 장우산 및 접이식 우산은 사용한 후 우산을 접을 때 우산대의 상단에 위치한 보조살고정부재를 손으로 잡고 우산대 아래로 내려야 한다.
이러한 작동은 우산 사용에 많은 불편을 주며, 특히 작동과정에서 우산살대의 바깥쪽에 결합되어 있는 우산포에 묻어 있는 빗물에 의해 사용자의 인체나 의복이 젖게 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자는 길이가 긴 우산에 관련한 여러 번의 출원을 통해서 해소하였으나, 접이식 우산에서는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일소치 못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는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을 연구 개발하여 특허출원(10-2009-0084644)한 바 있다.
선출원은 메인살고정부재에 원주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는 내측부재와, 내측부재의 타단보다 위쪽에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는 중간부재와, 중간부재의 타단에 핀으로 결합되는 외측부재를 접철되도록 조립 구성한 다수개의 메인살과; 제1보조살고정부재에 원주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며, 상기 메인살의 중간부재와 평행하도록 내측부재 단부가 중간부분에 회동가능하게 핀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중간부재와 연결된 외측부재의 상단 아래쪽에 각각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다수개의 제1보조살과; 상기 메인살고정부재와 제1보조살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제2보조살고정부재에 원주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내측부재와 제1보조살의 중간부분이 결합되는 부분에 같이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2보조살로 구성되며; 상기 메인살고정부재에 메인살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은 제2보조살고정부재에 제2보조살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보다 의미 있는 큰 치수로 구성하여 제2보조살고정부재를 하측으로 당겨서 우산을 펴고 상측으로 밀어 올려서 우산을 접어지게 한 우산살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접이식 우산들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한 선출원은 손잡이에서 짧은 행정거리 내에서 우산을 쉽게 펴고 접을 수 있는 사용 편리성이 있으면서도 작동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작은 힘으로도 우산을 쉽게 펴고 접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접이식 우산의 경우 우산살 어셈블리를 접은 상태의 길이를 짧게 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한편 우산살 어셈블리를 다단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접이식 우산도 보급되고 있기는 하나 이들의 경우 우산포의 크기에 한계가 있고 우산살 어셈블리가 복잡하여 펴고 접는데 힘이 들고 또한 고장이 쉽게나 우산의 기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우산포를 크게 펼칠 수 있으면서도 접은 상태에서 길이를 짧게 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접고 펴기가 쉽고 접은 상태의 길이를 최소화 하여 보관이 용이하게 한 접이식 우산살 어셈블리 및 우산을 제 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접철되도록 메인살과, 제1보조살과 제2보조살을 조합한 접이식 구성의 우산살어셈블리에 있어서, 메인살고정부재에 원주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는 내측부재와, 내측부재의 타단보다 위쪽에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는 중간부재와, 중간부재의 타단에 핀으로 결합되는 외측부재를 접철되도록 조립 구성한 다수개의 메인살과, 제1보조살고정부재에 원주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의 타단에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며 상기 메인살의 중간부재와 평행하도록 내측부재 단부가 지지부재와 결합되는 쪽 단부 바깥쪽에 회동가능하게 핀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중간부재와 연결된 외측부재의 상단 아래쪽에 각각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재를 접철되게 조립 구성한 다수개의 제1보조살과, 상기 메인살고정부재와 제1보조살고정부재 사이에 위치하는 제2보조살고정부재에 원주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내측부재와 제1보조살의 연결부재의 결합부위에 같이 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조살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살고정부재에 메인살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1)은 제2보조살고정부재에 제2보조살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2)보다 의미 있는 큰 치수로 구성하여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고정된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쪽으로 하강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고, 고정된 메인살고정부재(140) 쪽으로 상승하면 우산살 어셈블 리(100)가 접어지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우산살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다양한 구성의 접이식 우산으로 접고 펴는 것을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을 사용할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우산살 어셈블리를 접은 상태에서 길이가 짧아 휴대 보관이 용이하다.
우산을 펴고 접기가 쉽다.
기존 접이식 우산에 비해 우산포 면적을 넓게 할 수 있어 우수로부터 신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람직한 우산살 어셈블리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우산살 어셈블리가 펴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람직한 우산살 어셈블리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우산살 어셈블리가 접어진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살 어셈블리(100)는 접철되도록 내측부재(111)와 중간부재(112) 및 외측부재(113)를 조합한 다수개의 메인살(110)과, 메인살(110)의 중간부재(112)와 평행하도록 내측부재(111)와 외측부재(113)에 핀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재(121)와 접철되도록 지지부재(122)를 조합한 다수개의 제1보조살(120) 및 내측부재(111)와 제1보조살(120)의 연결부재(121)의 결합부위에 같이 결합되는 다수개의 제2보조살(130)을 포함한다.
즉, 메인살고정부재(140)에 원주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는 내측부재(111)와, 내측부재(111)의 타단보다 위쪽에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는 중간부재(112)와, 중간부재(112)의 타단에 핀으로 결합되는 외측부재(113)를 접철되도록 조립 구성한 다수개의 메인살(110)과, 제1보조살고정부재(150)에 원주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122)와, 지지부재(122)의 타단에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며 상기 메인살(110)의 중간부재(112)와 평행하도록 내측부재(111) 단부가 지지부재(122)와 결합되는 쪽 단부 바깥쪽에 회동가능하게 핀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중간부재(112)와 연결된 외측부재(113)의 상단 아래쪽에 각각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재(121)를 접철되게 조립 구성한 다수개의 제1보조살(120)과,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40)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사이에 위치하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에 원주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내측부재(111)와 제1보조살(120)의 연결부재(121)의 결합부위에 같이 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조살(1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40)에 메인살(110)의 내측부재(111)가 회동가 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1)은 제2보조살고정부재(160)에 제2보조살(1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2)보다 의미 있는 큰 치수로 구성된다.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제2보조살(130)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2)보다 메인살(110)의 내측부재(111)가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1)이 커질수록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적은 힘으로 보다 쉽게 펴고 접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우산살 어셈블리(100)는 종래의 일반적인 우산살 어셈블리에서 보조살고정부재를 위로 밀어서 우산(1)을 펴고 아래로 내려서 우산(1)을 접는 것과는 달리 우산대에 고정된 메인살고정부재(140)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사이에 위치하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를 하측으로 당겨서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펴고 상측으로 밀어 올려서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접을 수 있으며, 또한 메인살(110)의 각 부재의 길이를 길게 구성하여 넓은 면적의 우산포 결합이 가능한 독특한 구성이다.
이런 구성은 짧은 행정거리를 적은 힘으로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펴고 접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살 어셈블리(100)는 제1보조살(120)이 지지부재(122)와 연결부재(121)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구성은 우산포가 결합되는 메인살(110)의 길이를 종래 우산에 비해서 길게 하면서도 제1보조살(120)이 결합되어 있는 제1보조살고정부재(150)가 우산대에 고정된 상태에서 우산(1)을 접고 펴게 구성할 수 있어 접은 상태의 우산(1) 길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이 접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의 우산살 어셈블리가 접어진 상태에서 우산대가 인출된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접이식 우산(1)은, 우산(1)을 펴고 접는 것이 수동식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하단부에 축소걸림턱(8)이 형성된 작동관(7)의 내부에는 손잡이(2)에 하단부가 결합 고정되고 상단부에 확대걸림턱(6)이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 경사면(3a)이 형성된 하부관(3)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입하여 상기 하부관(3)의 확대걸림턱(6)이 작동관(7)의 축소걸림턱(8)에 걸리게 하고 외부에는 작동관(7)보다 길이가 긴 상부관(4)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하여 우산대(5)를 구성한다.
상기 하부관(3)의 상단부의 확대걸림턱(6)의 위쪽 내부에는 판스프링(9)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쇠(10)를 내장 설치하되, 이 걸림쇠(10)는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작동관(7)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구멍(7a)을 통해서 상부관(4) 상단부의 고정구멍(4a)에 삽입되고, 우산(1)을 편 상태에서는 작동관(7)의 하단부의 축소걸림턱(8)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b)에 삽입된다.
상기 걸림쇠(10)는 손잡이(2)에 회동식으로 설치되는 ㄴ형 버튼(12)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되는데,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걸림쇠(10)가 판스프링(9)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걸림쇠(10)에 형성된 구멍(10a)으로 일단이 끼워지는 ㄴ형 회전부재(11)를 하부관(3) 상단부에 핀으로 조립하여 회동되게 하고, ㄴ형 회전부 재(11)의 타측 단부는 상기 ㄴ형 버튼(12)과 와이어(13)로 연결하여 ㄴ형 버튼(12)을 누를 때 걸림쇠(10)가 연동되어 판스프링(9)을 가압하면서 하부관(3)의 내부로 내입되게 구성한다.
상기 상부관(4)의 하단에는 작동손잡이(14)가 고정되며, 작동손잡이(14)에는 판스프링(15)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쇠(16)가 내장 설치되고, 상기 고정쇠(16)는 우산대(5)를 편 상태에서 작동관(7)의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구멍(7c)에 내입되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고정되게 한다. 이때 작동관(7)에 형성되는 고정구멍(7c)은 작동관(7)의 하단부의 축소걸림턱(8)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b)보다 조금 위쪽에 형성하여 후술할 제2보조살고정부재(160)의 이동거리에 부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우산대(5)를 구성하는 상부관(4)의 상단부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설치되는데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부관(4)의 상단에는 메인살(110)의 내측부재(1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살고정부재(140)가 고정 설치되며, 그 하측의 상부관(4)의 외부에는 제1보조살(120)의 지지부재(1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보조살고정부재(15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40)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의 사이에 상부관(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제2보조살(1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를 설치하여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쪽으로 하강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고 메인살고정부재(140) 쪽으로 상승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접혀지게 한다.
또한 상기 상부관(4)에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의 승강 폭 만큼 길게 마주보는 작동장공(4b)을 형성하고,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를 작동장공(4b)을 통해서 핀(17)으로 작동관(7)의 상단에 조립하여 상부관(4)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접이식 우산(1)의 작동 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우산(1)이 접어진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우산(1)을 펴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2)에 설치되어 있는 ㄴ형 버튼(12)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부관(4)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작동손잡이(14)를 손으로 파지하고 손잡이(2)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ㄴ형 버튼(12)을 가압하면 ㄴ형 버튼(12)과 와이어(13)로 연결되어 있는 ㄴ형 회전부재(11)가 회동되면서 걸림쇠(10)가 상부관(4)과 작동관(7)의 상단부에 겹쳐진 상태의 고정구멍(4a)과 걸림구멍(7a)에서 이탈되므로 이때 작동손잡이(14)를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2)를 당기면 하부관(3)의 상단부에 형성된 확대걸림턱(6)이 작동관(7)의 하단부에 형성된 축소걸림턱(8) 까지 인출되는데, 이때까지 우산살 어셈블리(100)는 접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걸림쇠(10)는 작동관(7) 하단부의 축소걸림턱(8)의 바로 위쪽에 걸림구멍(7b)을 통하여 상부관(4)의 내부에 접해 있는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펴기 위해서는 ㄴ형 버튼(12)의 가압을 해제하고 손잡이(2)를 더 당기면 작동관(7)이 하부관(3)과 함께 인출되는데, 이때 작동관(7)의 상단에 작동장공(4b)을 통하여 핀(17)으로 결합된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쪽으로 하향 이동되면서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게 되고, 작동관(7) 하단부의 축소걸림턱(8)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b)을 통하여 상부관(4)의 내부에 접해 있는 걸림쇠(10)는 상부관(4)의 하단을 빠져나오면서 작동관(7) 외부로 돌출되어 하부관(3)과 작동관(7)은 고정 결합되고 또한 작동손잡이(14)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쇠(16)가 작동관(7)의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구멍(7c)으로 내입되면서 작동관(7)과 상부관(4)이 고정 결합되어 우산(1)을 편 상태로 고정하게 되는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우산(1)을 펴서 사용하다가 접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2)에 마련된 ㄴ형 버튼(12)을 가압한 채로 작동손잡이(14)를 손으로 잡고 손잡이(2)를 작동손잡이(14) 쪽으로 밀면 된다.
상기에서 손잡이(2)에 마련된 ㄴ형 버튼(12)을 가압하면 ㄴ형 버튼(12)과 와이어(13)로 연결되어 있는 ㄴ형 회전부재(11)가 회동하면서 걸림쇠(10)는 작동관(7)의 하단부의 축소걸림턱(8)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b)에서 이탈되어 하부관(3)과 작동관(7)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때 손잡이(2)를 작동손잡이(14) 쪽으로 밀면 하부관(3)이 작동관(7)의 내부로 내입되면서 하부관(3)의 상단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3a)이 고정쇠(16)의 하단을 밀어 고정쇠(16)가 작동관(7)의 고정구멍(7c)에서 이탈되어 작동관(7)과 상부관(4)의 결합이 해제되고, 하부관(3)이 작동관(7)에 계속 내입되면서 상승하여 하부관(3)의 상단이 작동관(7)의 상단부를 밀어 작동관(7)의 상단과 핀(17)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를 메인살고 정부재(140) 쪽으로 상승시켜 우산살어셈블리(100)를 접고 동시에 우산대(5)도 접어진다.
상기와 같이 하부관(3)의 상단과 작동관(7)의 상단부가 접하여 메인살고정부재(140) 쪽으로 이동하다가 작동관(7)의 걸림구멍(7a)을 통하여 상부관(4)의 내부와 접해 있는 걸림쇠(10)가 상부관(4) 상단부에 형성된 고정구멍(4a)에 이르면 고정구멍(4a)으로 돌출하면 하부관(3)과 상부관(4) 및 작동관(7)이 동시에 결합 고정되어 우산(1)이 접혀 고정된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살 어셈블리(100)의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인살(110)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1)이 제2보조살(130)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2)보다 의미 있는 큰 치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동손잡이(14)를 손으로 잡고 손잡이(2)를 적은 힘으로 아래로 당겨 우산살 어셈블리(100)도 펴고 우산대(5)도 늘릴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이 접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의 우산살 어셈블리가 접어진 상태에서 우산대가 인출된 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접이식 우산(1)은, 우산(1)을 수동으로 펴고 자동으로 접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측 중간부와 하단부에 각각 축소걸림턱(18)(19)이 형성된 작동관(7)의 내부에는 손잡이(2)에 하단부가 결합 고정되고 상단부에 확대걸림턱(6)이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 경사면(3a)이 형성된 하부관(3)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입하여 상기 하부관(3)의 상단과 확대걸림턱(6)이 각각 작동관(7)의 축소걸림턱(18)(19)에 걸리게 하고 외부에는 작동관(7)보다 길이가 짧은 상부관(4)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하여 우산대(5)를 구성한다.
상기 하부관(3)의 상단부의 확대걸림턱(6)의 위쪽 내부에는 판스프링(9)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쇠(10)를 내장 설치하되, 이 걸림쇠(10)는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의 바로 아래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d)을 통해서 상부관(4)의 중간에 형성된 고정구멍(4c)에 삽입되고, 우산(1)을 편 상태에서는 작동관(7)의 하측 축소걸림턱(19)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e)에 삽입된다.
상기 걸림쇠(10)는 손잡이(2)에 회동식으로 설치되며 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버튼(21)에 의해 회동하는 ㄴ형 버튼(12)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되는데,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걸림쇠(10)가 판스프링(9)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걸림쇠(10)에 형성된 구멍(10a)으로 일단이 끼워지는 ㄴ형 회전부재(11)를 하부관(3)의 상단부에 핀으로 조립하여 회동되게 하고, ㄴ형 회전부재(11)의 타측 단부는 상기 ㄴ형 버튼(12)과 와이어(13)로 연결하여 버튼(21)을 누를 때 걸림쇠(10)가 연동되어 판스프링(9)을 가압하면서 하부관(3)의 내부로 내입되게 구성한다.
상기 상부관(4)의 하단에는 작동손잡이(14)가 고정되며, 작동손잡이(14)에는 판스프링(15)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쇠(16)가 내장 설치되고, 상기 고정쇠(16)는 우 산대(5)를 편 상태에서 작동관(7)에 형성된 고정구멍(7f)에 내입되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고정되게 한다. 이때 작동관(7)에 형성되는 고정구멍(7f)은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의 아래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d)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걸림구멍(7d)과 일부가 걸쳐지게 조금 아래쪽으로 형성되며, 또한 걸림구멍(7d) 보다 조금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관(4)의 상단부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설치되는데,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부관(4)의 상단에는 메인살(110)의 내측부재(1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살고정부재(140)가 고정 설치되며, 그 하측의 상부관(4)의 외부에는 제1보조살(120)의 지지부재(1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보조살고정부재(15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40)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의 사이에 상부관(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제2보조살(1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를 설치하여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쪽으로 하강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고 메인살고정부재(140) 쪽으로 상승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접혀지게 한다.
또한 상기 상부관(4)에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의 승강 폭 만큼 길게 마주보는 작동장공(4b)을 형성하고,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는 작동장공(4b)을 통해서 핀(17)으로 작동관(7)의 상단에 형성된 스프링고정구(22)와 함께 조립하여 상부관(4)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우산(1)을 자동으로 접어질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관(4)의 내측에는 우산(1)을 접은 상태일 때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에 인접되게 위치하도록 스프링받침(23)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관(7) 상단의 스프링고정구(22)와 스프링받침(23) 사이에는 압축스프링(24)을 개재하며, 상기 작동관(7) 상단의 스프링고정구(22)와 하부관(3) 상단에는 인장스프링(25)의 양단을 고정한다.
상기 압축스프링(24)과 인장스프링(25)은 각각 우산(1)을 펴는 과정에서 압축 및 인장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들 에너지는 향후 우산(1)을 접을 때 사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접이식 우산(1)의 작동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우산(1)이 접어진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우산(1)을 펴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2)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21)을 가압한 상태에서 상부관(4)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작동손잡이(14)를 손으로 파지하고 손잡이(2)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된다.
상기와 같이 버튼(21)을 가압하면 이때 ㄴ형 버튼(12)이 회동되고 이와 와이어(13)로 연결되어 있는 ㄴ형 회전부재(11)가 회동되면서 걸림쇠(10)가 상부관(3)과 작동관(7)의 중간에 겹쳐진 상태의 고정구멍(4c)과 걸림구멍(7d)에서 이탈되므로 이때 작동손잡이(14)를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2)를 당기면 하부관(3)의 상단부에 형성된 확대걸림턱(6)이 작동관(7)의 하단부에 형성된 하측 축소걸림턱(19) 까지 인출되는데, 이때까지 우산살 어셈블리(100)는 접어진 도 7과 같은 상태를 유지 한다.
상기의 상태에서 버튼(21)의 가압을 해제하면 하부관(3)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쇠(10)가 작동관(7)의 하측 축소걸림턱(19)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e)에 삽입되어 하부관(3)과 작동관(7)이 결합 고정되고 동시에 작동관(7)의 상단의 스프링고정구(22)와 하부관(3)의 상단에 양단이 고정된 인장스프링(25)이 늘어나 고정되어 향후 우산대(5)를 접을 때 사용된다. 위의 과정에서 인장스프링(25)의 인장력에 의해 작동관(7)이 어느 정도 하향 이동하여 제2우산살고정부재(160)가 하향 이동하고 따라서 우산살 어셈블리(100)도 어느 정도 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펴기 위해서는 손잡이(2)를 더 당기면 된다.
즉, 손잡이(2)를 더 당기면 작동관(7)이 하부관(3)과 함께 인출되는데 이때 작동관(7)의 상단의 스프링고정구(22)와 핀(17)으로 결합된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쪽으로 하향 이동되면서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게 되고, 상부관(4)의 하단에 있는 작동손잡이(14)에 설치되어 있는 고정쇠(16)는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의 바로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구멍(7f)에 내입되어 상부관(4)과 작동관(7)이 결합 고정되어 우산(1)이 펴진 도 8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작동관(7) 상단의 스프링고정구(22)와 스프링받침(23) 사이에 개재한 압축스프링(24)은 압축 고정되어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접을 때 사용한다. 상기에서 압축스프링(24)이 압축될 때 인장스프링(25)의 길이의 변화는 없다.
상기와 같이 우산(1)을 펴서 사용하다가 접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2)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21)을 가압하면 우산(1)을 자동으로 접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손잡이(2)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21)을 가압하면 ㄴ형 버튼(12)과 와이어(13)로 연결되어 있는 ㄴ형 회전부재(11)가 회동되면서 걸림쇠(10)를 작동관(7)의 하측 축소걸림턱(19)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e)에서 이탈 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쇠(10)가 걸림구멍(7e)에서 이탈되면 하부관(3)과 작동관(7)의 결합이 해제되어 작동관(7)의 상단의 스프링고정구(22)와 하부관(3)의 상단에 양단이 고정된 인장스프링(25)의 복원력에 의해 하부관(3)이 상부관(4)에 고정된 작동관(7)의 내부로 내입하면서 하부관(3)의 상단의 일측에 형성된 경사면(3a)이 상부관(4)의 하단에 고정된 작동손잡이(14)의 고정쇠(16)의 하단을 밀어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의 바로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구멍(7f)에서 이탈시켜 작동관(7)과 상부관(4)의 결합을 해제하여 하부관(3)의 상단과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이 접하게 되고 동시에 작동관(7)의 상단의 스프링고정구(22)와 스프링받침(23)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24)이 팽창하여 작동관(7)이 상승하면서 작동관(7)의 스프링고정구(22)와 작동장공(4b)을 통하여 핀(17)으로 조립된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를 메인살고정부재(140) 쪽으로 상승시켜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접혀지고 우산대(5)도 접어진다.
상기에서 작동관(7)이 상승하여 우산(1)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에서는 하부관(3) 상단부의 걸림쇠(10)가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 아래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d)을 통하여 상부관(4)의 중간에 형성된 고정구멍(4c)에 내입되어서 하부관(3)과 상부관(4) 및 작동관(7)이 동시에 결합 고정되어 우산(1)이 완전히 접혀진 도 6과 같은 상태가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살 어셈블리(100)의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인살(110)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1)이 제2보조살(130)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2)보다 의미 있는 큰 치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작동손잡이(14)를 손으로 잡고 손잡이(2)를 적은 힘으로 아래로 당겨 우산살 어셈블리(100)도 펴고 우산대(5)도 늘릴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이 접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의 우산살 어셈블리가 펴진 단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3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접이식 우산(1)은, 우산(1)을 자동으로 펴고 수동으로 접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측 중간부와 하단부에 각각 축소걸림턱(18)(19)이 형성된 작동관(7)의 내부에는 손잡이(2)에 하단부가 결합 고정되고 상단부에 확대걸림턱(6)이 형성된 하부관(3)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입하여 상기 하부관(3)의 상단과 확대걸림턱(6)이 각각 작동관(7)의 축소걸림턱(18)(19)에 걸리게 하고 외부에는 작동관(7)보다 길이가 짧은 상부관(4)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하여 우산대(5)를 구성한다.
상기 하부관(3)의 상단부의 확대걸림턱(6)의 위쪽 내부에는 판스프링(9)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쇠(10)를 내장 설치하되, 이 걸림쇠(10)는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의 바로 아래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d)을 통해서 상부관(4)의 중간에 형성된 고정구멍(4c)에 삽입되고, 우산(1)을 편 상태에서는 작동관(7)의 하측 축소걸림턱(19)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e)에 삽입된다.
상기 걸림쇠(10)는 손잡이(2)에 회동식으로 설치되며 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버튼(21)에 의해 회동하는 ㄴ형 버튼(12)에 의해 작동되도록 설치되는데,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걸림쇠(10)가 판스프링(9) 쪽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걸림쇠(10)에 형성된 구멍(10a)으로 일단이 끼워지는 ㄴ형 회전부재(11)를 하부관(3)의 상단부에 핀으로 조립하여 회동되게 하고, ㄴ형 회전부재(11)의 타측 단부는 상기 ㄴ형 버튼(12)과 와이어(13)로 연결하여 버튼(21)을 누를 때 걸림쇠(10)가 연동되어 판스프링(9)을 가압하면서 하부관(3)의 내부로 내입되게 구성한 것으로 상기 제2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상부관(4)의 하단에는 작동손잡이(14)가 고정되며, 이 작동손잡이(14)는 우산(1)을 접을 때 사용하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관(4)의 상단부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설치되는데,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부관(4)의 상단에는 메인살(110)의 내측부재(1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살고정부재(140)가 고정 설치되며, 그 하측의 상부관(4)의 외부에는 제1보조살(120)의 지지부재(1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보조살고정부재(15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40)와 제1 보조살고정부재(150)의 사이에 상부관(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제2보조살(1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를 설치하여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쪽으로 하강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고 메인살고정부재(140) 쪽으로 상승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접혀지게 한다.
또한 상기 상부관(4)에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의 승강 폭 만큼 길게 마주보는 작동장공(4b)을 형성하고,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는 작동장공(4b)을 통해서 핀(17)으로 작동관(7)의 상단에 조립하여 상부관(4)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고안은 우산(1)을 자동으로 펴질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관(4)에 고정되어 있는 제1보조살고정부재(150)의 내측에는 스프링받침(23)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과 스프링받침(23) 사이에는 압축스프링(26)을 개재한다.
상기 압축스프링(26)은 우산(1)을 접을 때 압축 고정되고 향후 우산(1)을 펼 때 사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서 제공하는 접이식 우산(1)의 작동예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우산(1)이 접어진 도 9와 같은 상태에서 우산(1)을 펴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2)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21)을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버튼(21)을 가압하면 이때 ㄴ형 버튼(12)이 회동되고 이와 와이 어(13)로 연결되어 있는 ㄴ형 회전부재(11)가 회동되면서 걸림쇠(10)가 상부관(4)과 작동관(7)의 중간에 겹쳐진 상태의 고정구멍(4c)과 걸림구멍(7d)에서 이탈되는데, 이때 상기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과 스프링받침(23)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압축스프링(26)이 팽창되면서 작동관(7)이 밀려 하향이동하고 이때 작동관(7)의 상단과 작동장공(4b)을 통하여 핀(17)으로 조립된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쪽으로 하향 이동하여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압축스프링(26)의 팽창력에 의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진 상태에서 우산대(5)의 경우 작동관(7)만 하향 이동된 상태이고, 작동관(7)에서 하부관(3)의 인출은 이루어지지 않은 도 10과 같은 상태인데, 작동관(7)에서 하부관(3)의 인출을 위해서는 손잡이(2)를 잡고 아래쪽으로 추려 당기기만 하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추려 당기면 우산포에 공기 저항력이 제공되고 반대로 인력이 작용하는 하부관(3)은 하향 인출이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이 작동관(7)에서 하부관(3)이 하향 인출되어 하부관(3)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쇠(10)가 작동관(7)의 하측 축소걸림턱(19)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e)에 삽입되면 하부관(3)과 작동관(7)이 고정 결합되어 우산대(5)가 펴진 상태로 고정되게 잡아주어 우산(1)이 완전히 펴진 도 11과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도 10의 상태에서 걸림쇠(10)는 작동관(7)의 걸림구멍(7d)을 통하여 상부관(4)의 내부에 접해 있는 상태인데 이 상태에서 손잡이(2)를 추려 당길 때 걸림쇠(10)가 걸림구멍(7d)에 걸리지 않게 걸림쇠(10)의 끝부분을 둥글게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우산(1)을 펴서 사용하다가 접고자 할 시에는 버튼(21)을 가압한 후 상부관(4)의 하단에 구비된 작동손잡이(14)를 손으로 잡고 손잡이(2)를 작동손잡이(14) 쪽으로 밀면 된다.
상기와 같이 버튼(21)을 가압하면 ㄴ형 버튼(12)이 회동되고 이와 와이어(13)로 연결되어 있는 ㄴ형 회전부재(11)가 회전되면서 걸림쇠(10)가 작동관(7)의 하측 축소걸림턱(19)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e)에서 이탈하게 되어 하부관(3)과 작동관(7)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때 손잡이(2)를 작동손잡이(14) 쪽으로 밀면 하부관(3)이 작동관(7)의 내부로 내입되어 하부관(3)의 상단이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을 밀어 올리게 되고 동시에 작동관(7)의 상단에 작동장공(4b)을 통하여 핀(17)으로 조립된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메인살고정부재(140) 쪽으로 상승하여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접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과 스프링받침(23) 사이에 개재된 압축스프링(26)이 압축되고 상기 걸림쇠(10)가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의 아래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d)을 통하여 상부관(4)의 고정구멍(4c)에 내입되면 하부관(3)과 상부관(4) 및 작동관(7)이 동시에 결합 고정되어 우산(1)은 도 9와 같은 접은 상태로 고정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살 어셈블리(100)의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인살(110)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1)이 제2보조살(130)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2)보다 의미 있는 큰 치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압축스프링(26)의 강 도를 약하게 하여도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펼 수 있고 따라서 압축스프링(26)을 압축하면서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접는데 힘이 적게 들어 그다지 부담이 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이 접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의 우산살 어셈블리가 펴진 상태에서 우산대가 인출되기 전 상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의 우산살 어셈블리가 펴진 상태에서 우산대가 인출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의 우산살 어셈블리만 접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16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회동구 및 판스프링 조립상태를 보이기 위한 중요부분 발췌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걸림구 조립 상태를 보이기 위한 손잡이의 평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4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접이식 우산(1)은, 우산(1)을 자동으로 펴고 접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중간부에 상하 축소걸림턱(18)(18’)과 하단부에 축소걸림턱(19)이 형성된 작동관(7)의 내부에는 손잡이(2)에 하단부가 결합 고정되고 상단부에 확대걸림턱(6)이 형성된 하부관(3)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입하여 상기 하부관(3)의 확대걸림턱(6)이 작동관(7)의 하단부의 축소걸림턱(19)에 걸리게 하고 외부에는 작동관(7)보다 길이가 짧고 하단부에 축소걸림턱(45)이 형성된 상부관(4)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하여 상기 작동관(7)의 축소걸림턱(18’)이 상부관(4)의 축소걸림턱(45)에 걸리게 구성한다.
상기 작동관(7)의 중간부에 상하 형성된 축소걸림턱(18)(18’)의 사이에 중앙에 상하 관통하는 끼움구멍(28a)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절개부(28b)가 형성된 가이드부재(28)를 내장설치하고, 이 가이드부재(28)의 절개부(28b)에는 작동관(7)에 형성된 회동구멍(29) 및 상부관(4)의 아래쪽으로 작동관(7)의 승강폭에 부합하도록 상하 형성된 2개의 회동구멍(30)(31)을 통해서 스프링(32b)에 의해 회동할 수 있도록 회동구(32)를 내입하여 회동구(32)의 상단을 가이드부재(28)에 핀(33)으로 결합하며, 회동구(32)에는 끼움구멍(28a) 쪽으로 위치되게 상하 마주보며 경사면이 구비된 걸림돌기(32a)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단부에 확대걸림턱(27c)을 중하단부에 축소걸림턱(27d)을 형성하여 상기 확대걸림턱(27c)의 위쪽 부분은 상부관(4)의 내부에 접하고 축소걸림턱(27d)의 위쪽 부분은 작동관(7)의 내부에 접하여 슬라이드 이동하는 보조작동관(27)을 조립하여 상기 보조작동관(27)의 축소걸림턱(27d)의 아래쪽에 결합봉(27a)을 형성하되, 결합봉(27a)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재(28)의 끼움구멍(28a)에 끼워져 회동구(32)의 상측 걸림돌기(32a)에 걸림되는 걸림홈(27b)을 형성하여 작동관(7)과 보조작동관(27)을 연결되게 한다.
상기 하부관(3)의 상단부의 확대걸림턱(6) 위쪽에는 상기 회동구(32)의 하측 걸림돌기(32a)에 걸림 될 수 있도록 일자형 회전부재(34)를 핀(35)으로 결합하며, 이 일자형 회전부재(34)의 아래쪽에는 걸림돌부(37)가 일체 형성된 판스프링(36)을 내장 설치하되, 상기 걸림돌부(37)는 하부관(3)의 확대걸림턱(6)의 위쪽에 형성된 구멍(3b)을 통하여 인출되며, 우산(1)을 편 상태에서는 작동관(7)의 하측 축소걸림 턱(19)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g)에 삽입되게 구성하며, 판스프링(36)의 상단에는 상기 회동구(32)와 간섭되게 않으면서 일자형 회전부재(34)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턱(36a)을 절곡 형성하여 회동구(32)의 하측 걸림돌기(32a)와 접하는 쪽의 일자형 회전부재(34) 아래를 지지하게 구성하고 일자형 회전부재(34)가 상기 회동구(32)의 하측 걸림돌기(32a)에 걸려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때 지지턱(36a)의 측면에 접하여 90˚만큼만 회전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36)의 상단에는 회동레버(38)가 배치되고 그 중심이 핀으로 조립되며, 상기 회동레버(38)는 걸림돌부(37) 쪽은 낮으면서 하부관(3)의 내면과 접하도록 하고, 반대쪽은 높으면서 단부를 손잡이(2)에 회동식으로 설치되며 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버튼(21)에 의해 회동하는 ㄴ형 버튼(12)과 와이어(13)로 연결하여 판스프링(36)에 형성된 걸림돌부(37)를 하부관(3) 내측으로 강제 내입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손잡이(2) 내부에는 판스프링(39)에 탄성 지지되며 돌기(41)가 형성된 걸림구(40)가 설치되어 상기 돌기(41)가 상부관(4)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42)에 걸림되어 우산(1)을 접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하고 버튼(21)을 누를 때 걸림구(40)의 돌기(41)가 상기 걸림돌기(42)에서 이탈할 때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관(4)의 상단부에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설치되는데, 이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부관(4)의 상단에는 메인살(110)의 내측부재(1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살고정부재(140)가 고정 설치되며, 그 하측의 상부관(4)의 외부에는 제1보조살(120)의 지지부재(1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보조살고정부재(15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40)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의 사이에 상부관(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제2보조살(1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를 설치하여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쪽으로 하강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고 메인살고정부재(140) 쪽으로 상승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접혀지게 한다.
또한 상기 상부관(4)에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의 승강 폭 만큼 길게 마주보는 작동장공(4b)을 형성하고,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는 작동장공(4b)을 통해서 핀(17)으로 보조작동관(27)의 상단에 조립하여 상부관(4)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우산(1)을 자동으로 펴고 접을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관(4)에 고정되어 있는 제1보조살고정부재(150)의 내측에는 스프링받침(23)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과 스프링받침(23) 사이에는 제1압축스프링(43)을 개재하여 버튼(21)을 눌러 상기 손잡이(2)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구(40)에서 상부관(4)이 자유로워질 때 제1압축스프링(43)이 팽창되면서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게 하며, 상기 작동관(7)의 내부에 결합봉(27a)에 끼워진 상태로 가이드부재(28)와 보조작동관(27)의 중하단부의 축소걸림턱(27d) 사이에 제2압축스프링(44)을 개재하여 상기 손잡이(2)의 버튼(21)을 눌러서 판스프링(36)의 걸림돌부(37)가 하부관(3)의 내부로 내입되어 작동관(7) 과의 결합이 해제될 때 하부관(3)이 작동관(7) 내부로 내입하면서 상기 판스프링(36)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턱(36a)에 지지되어 수평 상태로 있는 일자형 회전부재(34)가 회동구(32)의 하측 걸림돌기(32a)의 경사면을 밀어 회동구(32)를 회동시켜 작동관(7)과 보조작동관(27)의 결합이 해제되어 자유로워질 때 팽창하면서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접을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4실시 예에서 제공하는 접이식 우산(1)의 작동례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먼저 우산(1)을 펴고자 할 시에는 도 12와 같은 상태에서 손잡이(2)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21)을 누르면 된다. 상기와 같이 버튼(21)을 가압하게 되면 상부관(4)의 하단부의 걸림돌기(42)에 걸림 되어있는 걸림구(40)가 가압되어 걸림돌기(42)에서 걸림구(40)에 형성된 돌기(41)가 이탈되어 손잡이(2)와 상부관(4)이 자유로워진다.
이때 상부관(4)의 내부에 형성된 스프링받침(23)과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제1압축스프링(43)이 팽창하면서 작동관(7)이 하향 이동하면 작동관(7)과 결합되어 있는 보조작동관(27)을 하향 이동시켜서 보조작동관(27)의 상단에 상부관(4)의 작동장공(4b)를 통하여 핀(17)으로 결합되어 있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를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쪽으로 하향 이동시켜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펴게 되어 도 13과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결합된 보조작동관(27)이 작동관(7)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향 이동되어 우산살 어셈블리(100)만 펴진 도 13과 같은 상 태에서 우산대(5)를 인출코자 할 시에는 손잡이(2)를 잡고 아래쪽으로 추려 당기면 된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2)를 아래쪽으로 추려 당길 때 펴진 상태의 우산포에 공기 저항력이 제공되고 반대로 하부관(3)에는 손잡이(2)를 당기는 인력이 제공되어 하부관(3)이 작동관(7)에서 인출되고, 이때 하부관(3)의 상단부에 형성된 확대걸림턱(6)이 작동관(7)의 하측 축소걸림턱(19)과 접되게 하강하여 판스프링(36)과 일체 형성된 걸림돌부(37)가 작동관(7)의 하측 축소걸림턱(19)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g)에 내입되면 하부관(3)과 작동관(7)이 결합 고정되어 우산(1)이 완전하게 펴진 도 1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우산살 어셈블리(100)만 펴진 상태에서는 하부관(3)의 상단부의 확대걸림턱(6)에 위쪽에 핀(35)으로 결합되어 있는 일자형 회전부재(34)는 하측 걸림돌기(32a)의 위쪽에 수평으로 있다가 손잡이(2)를 아래로 추려 당기면 하측 걸림돌기(32a)에 걸려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다 상기 판스프링(36)의 상측에 형성된 지지턱(36a)의 측면에 접하여 수직으로 된다. 일자형 회전부재(34)가 수직으로 된 상태에서는 손잡이(2)를 추려 당기는 과정에서 추려 당기는 힘이 약하여 판스프링(36)의 걸림돌부(37)가 작동관(7)의 하측 축소걸림턱(19)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g)에 걸리지 않아 다시 후퇴하여 하부관(3)의 상단이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과 접촉할 때 하측 걸림돌기(32a)와 접촉하지 않아 회동구(32)가 회전하여 작동관(7)과 보조작동관(27)의 결합이 해제되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는 경우가 생기지 않는다. 또 판스프링(36)의 걸림돌부(37)가 상기 작동관(7) 의 하측 걸림구멍(7g)에 내입될 때 판스프링(36)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턱(36a)이 지지턱(36a)의 측면에 접하여 수직으로 서있는 일자형 회전부재(34)의 하측을 밀어 수평으로 되게 하여 향후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접을 때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우산(1)을 사용하다가 우산(1)을 접고자 할 시에도 상기와 같이 손잡이(2)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21)을 다시 가압하면 된다.
상기와 같이 버튼(21)을 가압할 경우 버튼(21)에 의해 ㄴ형 버튼(12)이 회동되고, ㄴ형 버튼(12)과 와이어(13)로 연결된 회동레버(38)가 판스프링(36)에 형성되어 작동관(7)의 하측 축소걸림턱(19)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g)에 걸려 있는 걸림돌부(37)를 하부관(3)의 확대걸림턱(6)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구멍(3b)를 통하여 하부관(3) 내측으로 내입시키게 되는데, 이때 하부관(3)이 작동관(7)의 내부로 자중에 의해 내입된다. 만약 자중에 의해 내입되지 않을 경우는 손잡이(2)를 추려 밀면 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관(3)이 작동관(7) 내부로 내입할 때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18’)의 사이에 내장 설치되어 있는 회동구(32)의 하측 걸림돌기(32a)의 하단 경사면이 지지턱(36a)에 지지되어 수평상태로 있는 일자형 회전부재(34)에 밀려 작동관(7) 및 상부관(4)의 아래쪽에 형성된 회동구멍(29)(31)을 통해서 회동된다. 이때 보조작동관(27)의 결합봉(27a)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홈(27b)에서 회동구(32)의 상측 걸림돌기(32a)가 분리되어 작동관(7)과 보조작동관(27)의 결합이 해제되는데, 이때 가이드부재(28)와 보조작동관(27)의 중하단부에 형성된 축소걸림턱(27d)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제2압축스프링(44)이 팽창되면서 보 조작동관(27)을 상측으로 밀어 올려 보조작동관(27)의 상단과 작동장공(4b)을 통하여 핀(17)으로 조립되어 있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를 메인살고정부재(140) 쪽으로 상승시켜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접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접은 상태에서 우산대(5)를 접기 위해서는 상기 상부관(4)의 선단 즉 메인살고정부재(140)가 있는 쪽을 벽이나 바닥에 접지시키거나 다른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손잡이(2) 쪽을 가압하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손잡이(2)를 가압하면 하부관(3)의 상단이 가이드부재(28)의 하단을 밀어 올리게 되어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과 스프링받침(23) 사이에 개재되는 제1압축스프링(43) 및 결합봉(27a) 끼워진 상태로 가이드부재(28)와 보조작동관(27)의 중하단부의 축소걸림턱(27d)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제2압축스프링(44)이 압축되며, 결합봉(27a)의 하단부는 회동구(32)가 결합되어 있는 가이드부재(28)의 끼움구멍(28a)으로 삽입되면서 회동구(32)는 작동관(7) 및 상부관(4)의 상측에 형성된 회동구멍(29)(30)을 통해 회동되었다가 스프링(32b)에 의해 내입되면서 결합봉(27a) 하단부의 걸림홈(27b)에 회동구(32)의 상측 걸림돌기(32a)가 내입되어 작동관(7)과 보조작동관(27)이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동시에 상부관(4)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42)가 손잡이(2)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구(40)의 돌기(41)에 걸려 제1,2압축스프링(43)(44)이 압축된 상태로 하부관(3)과 상부관(4)이 결합 고정되어 우산(1)이 완전히 접힌 도 12와 같이 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살 어셈블리(100)의 경우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메인살(110)이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1)이 제2보조살(130)이 결합되는 결 합부의 직경(D2)보다 의미 있는 큰 치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압축스프링(43)(44)의 강도를 약하게 하여도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펴고 접을 수 있고 따라서 압축스프링(43)(44)을 동시에 압축하는데 그다지 부담이 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람직한 우산살어셈블리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우산살어셈블리가 펴진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바람직한 우산살어셈블리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우산살어셈블리가 접어진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이 접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의 우산살어셈블리가 접어진 상태에서 우산대가 인출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이 접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의 우산살어셈블리가 접어진 상태에서 우산대가 인출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이 접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의 우산살어셈블리가 펴진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이 접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의 우산살어셈블리가 펴진 상태에서 우산대가 인출되기 전 상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의 우산살 어셈블리가 펴진 상태에서 우산대가 인출된 상태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로 접이식 우산의 우산살어셈블리만 접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회동구 및 판스프링 조립상태를 보이기 위한 중요부분 발췌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 제4실시예의 걸림구 조립 상태를 보이기 위한 손잡이의 평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00:우산살어셈블리 110:메인살
111:내측부재 112:중간부재
113:외측부재 120:제1보조살
121:연결부재 122:지지부재
130:제2보조살 140:메인살고정부재
150:제1보조살고정부재 160:제2보조살고정부재
1:(접이식) 우산 2:손잡이
3:하부관 3a:경사면
3b:구멍 4:상부관
4a:고정구멍 4b:작동장공
4c:고정구멍 5:우산대
6:확대걸림턱 7:작동관
7a,7b,7d,7e,7g:걸림구멍 7c,7f:고정구멍
8:축소걸림턱 9:판스프링
10:걸림쇠 10a:구멍
11:ㄴ형 회전부재 12:ㄴ형 버튼
13:와이어 14:작동손잡이
15:판스프링 16:고정쇠
17:핀 18,18’,19:축소걸림턱
20:스프링 21:버튼
22:스프링고정구 23:스프링받침
24:압축스프링 25:인장스프링
26:압축스프링 27:보조작동관
27a:결합봉 27b:걸림홈
27c:확대걸림턱 27d:축소걸림턱
28:가이드부재 28a:끼움구멍
28b:절개부 29,30,31:회동구멍
32:회동구 32a:걸림돌기
32b:스프링 33:핀
34:일자형 회전부재 35:핀
36:판스프링 36a:지지턱
37:걸림돌부 38:회동레버
39:판스프링 40:걸림구
41:돌기 42:걸림돌기
43:제1압축스프링 44:제2압축스프링
45: 축소걸림턱

Claims (5)

  1. 접철되도록 메인살(110)과, 제1보조살(120)과 제2보조살(130)을 조합한 접이식 구성의 우산살 어셈블리(100)에 있어서,
    메인살고정부재(140)에 원주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는 내측부재(111)와, 내측부재(111)의 타단보다 위쪽에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는 중간부재(112)와, 중간부재(112)의 타단에 핀으로 결합되는 외측부재(113)를 접철되도록 조립 구성한 다수개의 메인살(110)과,
    제1보조살고정부재(150)에 원주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는 지지부재(122)와, 지지부재(122)의 타단에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며 상기 메인살(110)의 중간부재(112)와 평행하도록 내측부재(111) 단부가 지지부재(122)와 결합되는 쪽 단부 바깥쪽에 회동가능하게 핀으로 결합되고 타단이 중간부재(112)와 연결된 외측부재(113)의 상단 아래쪽에 각각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연결부재(121)를 접철되게 조립 구성한 다수개의 제1보조살(120)과,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40)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사이에 위치하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에 원주상으로 회동 가능하게 일단이 핀으로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내측부재(111)와 제1보조살(120)의 연결부재(121)의 결합부위에 같이 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조살(130)을 포함하되,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40)에 메인살(110)의 내측부재(1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1)은 제2보조살고정부재(160)에 제2보조살(130)이 회동가 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의 직경(D2)보다 의미 있는 큰 치수로 구성하여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고정된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쪽으로 하강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고, 고정된 메인살고정부재(140) 쪽으로 상승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접혀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구성의 우산살 어셈블리.
  2. 접이식 우산(1)에 있어서,
    하단부에 축소걸림턱(8)이 형성된 작동관(7)의 내부에는 손잡이(2)에 하단부가 결합 고정되고 상단부에 확대걸림턱(6)이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 경사면(3a)이 형성된 하부관(3)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입하여 상기 하부관(3)의 확대걸림턱(6)이 작동관(7)의 축소걸림턱(8)에 걸리게 하고 외부에는 작동관(7)보다 길이가 긴 상부관(4)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하여 우산대(5)를 구성하며,
    상기 확대걸림턱(6)의 위쪽 내부에는 판스프링(9)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쇠(10)를 내장 설치하고, 하부관(3)의 상단부에 핀으로 조립한 ㄴ형 회전부재(11)의 일단을 걸림쇠(10)에 형성된 구멍(10a)에 끼우며, ㄴ형 회전부재(11)의 타단에는 손잡이(2)에 회동식으로 설치되는 ㄴ형 버튼(12)과 와이어(13)로 연결하여 상기 걸림쇠(10)가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작동관(7)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구멍(7a)을 통해서 상부관(4) 상단부의 고정구멍(4a)에 삽입되고, 우산(1)을 편 상태에서는 작동관(7)의 상기 축소걸림턱(8)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b)에 삽입되게 하며,
    상기 상부관(4)의 하단에는 판스프링(15)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쇠(16)가 내장 설치된 작동손잡이(14)를 고정하여 상기 고정쇠(16)가 우산대(5)를 편 상태에서 작동관(7)의 아래쪽에 형성된 고정구멍(7c)에 내입되게 하며,
    상기 우산대(5) 상부관(4)의 상단부에는 제1항 구성의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설치하되,
    상기 우산살 어셈블리(100)는 상부관(4)의 상단에 메인살(110)의 내측부재(1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살고정부재(140)가 고정 설치되며, 그 하측의 상부관(4)의 외부에는 제1보조살(120)의 지지부재(1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보조살고정부재(15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40)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의 사이에 상부관(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제2보조살(1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를 설치하여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쪽으로 하강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고 메인살고정부재(140) 쪽으로 상승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접혀지게 하며,
    상기 상부관(4)에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의 승강 폭 만큼 길게 마주보는 작동장공(4b)을 형성하고,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를 작동장공(4b)을 통해서 핀(17)으로 작동관(7)의 상단에 조립하여 상부관(4)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우산.
  3. 접이식 우산(1)에 있어서,
    상측 중간부와 하단부에 각각 축소걸림턱(18)(19)이 형성된 작동관(7)의 내부에는 손잡이(2)에 하단부가 결합 고정되고 상단부에 확대걸림턱(6)이 형성되고 상단 일측에 경사면(3a)이 형성된 하부관(3)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입하여 상기 하부관(3)의 상단과 확대걸림턱(6)이 각각 작동관(7)의 축소걸림턱(18)(19)에 걸리게 하고 외부에는 작동관(7)보다 길이가 짧은 상부관(4)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하여 우산대(5)를 구성하며,
    상기 확대걸림턱(6)의 위쪽 내부에는 판스프링(9)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쇠(10)를 내장 설치하고, 하부관(3)의 상단부에 핀으로 조립한 ㄴ형 회전부재(11)의 일단을 걸림쇠(10)에 형성된 구멍(10a)에 끼우며, ㄴ형 회전부재(11)의 타단에는 손잡이(2)에 회동식으로 설치되며 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버튼(21)에 의해 회동하는 ㄴ형 버튼(12)과 와이어(13)로 연결하여 걸림쇠(10)가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의 바로 아래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d)을 통해서 상부관(4)의 중간에 형성된 고정구멍(4c)에 삽입되고, 우산(1)을 편 상태에서는 작동관(7)의 하측 축소걸림턱(19)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e)에 삽입되게 하며,
    상기 상부관(4)의 하단에는 판스프링(15)에 의해 지지되는 고정쇠(16)가 내장 설치된 작동손잡이(14)를 고정하여 상기 고정쇠(16)가 작동관(7)에 형성된 고정구멍(7f)에 내입되어 우산(1)이 펴진 상태를 유지되게 하되,
    상기 고정구멍(7f)은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의 바로 아래쪽에 형 성된 걸림구멍(7d)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되며, 걸림구멍(7d)보다 조금 크며 일부가 걸림구멍(7b)에 걸쳐지게 조금 아래쪽으로 형성되며,
    상기 우산대(5) 상부관(4)의 상단부에는 제1항구성의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설치하되,
    상기 우산살 어셈블리(100)는 상부관(4)의 상단에 메인살(110)의 내측부재(1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살고정부재(140)가 고정 설치되며, 그 하측의 상부관(4)의 외부에는 제1보조살(120)의 지지부재(1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보조살고정부재(15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40)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의 사이에 상부관(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제2보조살(1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를 설치하여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쪽으로 하강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고 메인살고정부재(140) 쪽으로 상승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접혀지게 하며,
    상기 상부관(4)에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의 승강 폭 만큼 길게 마주보는 작동장공(4b)을 형성하고,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는 작동장공(4b)을 통해서 핀(17)으로 작동관(7)의 상단에 형성된 스프링고정구(22)와 함께 조립하여 상부관(4)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상부관(4)의 내측에는 우산(1)을 접은 상태일 때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에 인접되게 위치하도록 스프링받침(23)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관(7) 상단의 스프링고정구(22)와 스프링받침(23) 사이에는 압축스프링(24)을 개재하며,
    상기 작동관(7) 상단의 스프링고정구(22)와 하부관(3) 상단에는 인장스프링(25)의 양단을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우산.
  4. 접이식 우산(1)에 있어서,
    상측 중간부와 하단부에 각각 축소걸림턱(18)(19)이 형성된 작동관(7) 내부에 는 손잡이(2)에 하단부가 결합 고정되고 상단부에 확대걸림턱(6)이 형성된 하부관(3) 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입하여 상기 하부관(3)의 상단과 확대걸림턱(6)이 각각 작 동관(7)의 축소걸림턱(18)(19)에 걸리게 하고 외부에는 작동관(7)보다 길이가 짧은 상부관(4)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하여 우산대(5)를 구성하고,
    상기 확대걸림턱(6)의 위쪽 내부에는 판스프링(9)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쇠(10)를 내장 설치하고, 하부관(3)의 상단부에 핀으로 조립한 ㄴ형 회전부재(11)의 일단을 걸림쇠(10)에 형성된 구멍(10a)에 끼우며, ㄴ형 회전부재(11)의 타단에는 손잡이(2)에 회동식으로 설치되며 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버튼(21)에 의해 회동하는 ㄴ형 버튼(12)과 와이어(13)로 연결하여 걸림쇠(10)가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의 바로 아래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d)을 통해서 상부관(4)의 중간에 형성된 고정구멍(4c)에 삽입되고, 우산(1)을 편 상태에서는 작동관(7)의 하측 축소걸림턱(19)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e)에 삽입되게 하며,
    상기 상부관(4)의 하단에는 작동손잡이(14)가 고정되며,
    상기 우산대(5) 상부관(4)의 상단부에는 제1항구성의 우산살 어셈블리(11)를 설치하되,
    상기 우산살 어셈블리(100)는 상부관(4)의 상단에 메인살(110)의 내측부재(1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살고정부재(140)가 고정 설치되며, 그 하측의 상부관(4)의 외부에는 제1보조살(120)의 지지부재(1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보조살고정부재(15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40)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의 사이에 상부관(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제2보조살(1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를 설치하여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쪽으로 하강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고 메인살고정부재(140) 쪽으로 상승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접혀지게 하며,
    상기 상부관(4)에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의 승강 폭 만큼 길게 마주보는 작동장공(4b)을 형성하고,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는 작동장공(4b)을 통해서 핀(17)으로 작동관(7)의 상단에 조립하여 상부관(4)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상부관(4)에 고정되어 있는 제1보조살고정부재(150)의 내측에는 스프링받침(23)을 형성하고, 상기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과 스프링받침(23) 사이에는 압축스프링(26)을 개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우산.
  5. 접이식 우산(1)에 있어서,
    중간부에 상하 축소걸림턱(18)(18’)과 하단부에 축소걸림턱(19)이 형성된 작동관(7)의 내부에는 손잡이(2)에 하단부가 결합 고정되고 상단부에 확대걸림턱(6)이 형성된 하부관(3)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내입하여 상기 하부관(3)의 확대걸림턱(6)이 작동관(7)의 하측 축소걸림턱(19)에 걸리게 하고 외부에는 작동관(7)보다 길이가 짧고 하단부에 축소걸림턱(45)이 형성된 상부관(4)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하여 상기 작동관(7)의 축소걸림턱(18’)이 상부관(4)의 축소걸림턱(45)에 걸리게 구성하며,
    상기 작동관(7)의 중간부에 상하 형성된 축소걸림턱(18)(18’)사이에 중앙에 상하 관통하는 끼움구멍(28a)이 형성되고 일측으로 절개부(28b)가 형성된 가이드부재(28)를 내장설치하고, 절개부(28b)에는 작동관(7)에 형성된 회동구멍(29) 및 상부관(4)의 아래쪽으로 작동관(27)의 승강폭에 부합하도록 상하 형성된 2개의 회동구멍(30)(31)을 통해서 스프링(32b)에 의해 회동하고, 끼움구멍(28a) 쪽으로 상하 마주보며 경사면이 구비된 걸림돌기(32a)가 형성된 회동구(32)의 상단을 가이드부재(28)에 핀(33)으로 결합하고,
    상단부에 확대걸림턱(27c)과 중하단부에 축소걸림턱(27d)이 형성되어 상기 확대걸림턱(27c)의 위쪽 부분은 상부관(4)의 내부에서 축소걸림턱(27d)의 위쪽 부분은 작동관(7)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보조작동관(27)을 조립하여 상기 보조작동관(27)의 축소걸림턱(27d)의 아래쪽에 상기 끼움구멍(28a)에 끼워져 회동구(32)의 상측 걸림돌기(32a)에 걸림되는 걸림홈(27b)이 하단부에 형성된 결합 봉(27a)을 형성하여 작동관(7)과 보조작동관(27)을 연결하며,
    상기 확대걸림턱(6) 위쪽에는 상기 회동구(32)의 하측 걸림돌기(32a)에 걸림될 수 있도록 일자형 회전부재(34)를 핀(35)으로 결합하며,
    상기 일자형 회전부재(34)의 아래쪽에는 걸림돌부(37)가 일체 형성되고 회동구(32)와 간섭되게 않으면서 일자형 회전부재(34)의 일측을 지지하는 지지턱(36a)을 절곡 형성한 판스프링(36)을 내장 설치하되,
    상기 걸림돌부(37)는 우산(1)을 편 상태에서는 작동관(7)의 하측 축소걸림턱(19)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걸림구멍(7g)에 삽입되게 하고,
    상기 판스프링(36)의 상단에는 중심이 판스프링(36)에 핀으로 조립되며 걸림돌부(37) 쪽은 낮으면서 하부관(3)의 내면과 접하고, 반대쪽은 높으면서 단부를 손잡이(2)에 회동식으로 설치되며 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는 버튼(21)에 의해 회동하는 ㄴ형 버튼(12)과 와이어(13)로 연결하여 판스프링(36)에 형성된 걸림돌부(37)를 하부관(3)의 확대걸림턱(6)의 바로 위쪽에 형성된 구멍(3b)을 통하여 하부관(3) 내측으로 강제 내입시킬 수 있게 회동레버(38)를 설치하되,
    상기 우산대(5) 상부관(4)의 상단부에는 제1항 구성의 우산살 어셈블리(11)를 설치하되,
    상기 우산살어셈블리(100)는 상부관(4)의 상단에 메인살(110)의 내측부재(111)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메인살고정부재(140)가 고정 설치되며, 그 하측의 상부관(4)의 외부에는 제1보조살(120)의 지지부재(122)가 회동가능하게 결합하는 제1보조살고정부재(150)를 고정 설치하고, 상기 메인살고정부재(140)와 제1보조 살고정부재(150)의 사이에 상부관(4)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제2보조살(13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를 설치하여 제2보조살고정부재(160)가 제1보조살고정부재(150) 쪽으로 하강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고 메인살고정부재(140) 쪽으로 상승하면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접혀지게 하며,
    상기 상부관(4)에는 제2보조살고정부재(160)의 승강 폭 만큼 길게 마주보는 작동장공(4b)을 형성하고, 제2보조살고정부재(160)는 작동장공(4b)을 통해서 핀(17)으로 보조작동관(27)의 상단에 조립하여 상부관(4)을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게 하며,
    상기 상부관(4)에 고정되어 있는 제1보조살고정부재(120)의 내측에는 스프링받침(23)을 형성하고, 작동관(7)의 상측 축소걸림턱(18)과 스프링받침(23) 사이에는 제1압축스프링(43)을 개재하여 상기 손잡이(2)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구(40)에 형성된 돌기(41)가 상기 버튼(21)을 누를 때 상부관(4)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돌기(42)에서 이탈하면 제1압축스프링(43)이 팽창되면서 우산살 어셈블리(100)가 펴지게 하며, 상기 작동관(7)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결합봉(27a)에 끼워진 상태로 가이드부재(28)와 보조작동관(7)의 중하단부의 축소걸림턱(27d) 사이에 제2압축스프링(44)을 개재하여 상기 손잡이(2)의 버튼(21)을 눌러서 판스프링(36)의 걸림돌부(37)가 하부관(3)의 내부로 내입될 때 하부관(3)이 작동관(7)의 내부로 슬라이드 내입하면서 상기 하부관(3)상단부의 일자형 회전부재(34)가 회동구(32)의 하측 걸림돌기(32a)의 경사면을 밀어 상측 걸림돌기(32a)가 결합봉(27a)의 걸림홈(27b)에 서 이탈하여 작동관(7)과 보조작동관(27)의 결합이 해제될 때 팽창하면서 우산살 어셈블리(100)를 접을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우산.
KR1020090125585A 2009-12-16 2009-12-16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KR101106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585A KR101106270B1 (ko) 2009-12-16 2009-12-16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JP2012544382A JP5730898B2 (ja) 2009-12-16 2010-12-15 傘骨アセンブリー及び折り畳み式傘
CN201080057947.6A CN102711547B (zh) 2009-12-16 2010-12-15 伞骨组件及折叠式雨伞
PCT/KR2010/008979 WO2011074875A2 (ko) 2009-12-16 2010-12-15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US13/517,030 US8931497B2 (en) 2009-12-16 2010-12-15 Umbrella rib assembly and foldable umbrell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5585A KR101106270B1 (ko) 2009-12-16 2009-12-16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8569A true KR20110068569A (ko) 2011-06-22
KR101106270B1 KR101106270B1 (ko) 2012-01-18

Family

ID=44167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5585A KR101106270B1 (ko) 2009-12-16 2009-12-16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31497B2 (ko)
JP (1) JP5730898B2 (ko)
KR (1) KR101106270B1 (ko)
CN (1) CN102711547B (ko)
WO (1) WO201107487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308B1 (ko) * 2011-08-26 2014-01-10 부일 이 우산
WO2020040538A1 (ko) * 2018-08-24 2020-02-27 이부일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전자동우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7433B2 (en) * 2010-09-16 2014-11-18 Carl L Luttrull Decoy spreader
US9486044B1 (en) * 2015-11-16 2016-11-08 Jenny Fan Reverse folding umbrella
KR101723835B1 (ko) * 2016-08-05 2017-04-06 김규태 반자동형 우산
CN106889718A (zh) * 2017-04-07 2017-06-27 福建优安纳伞业科技有限公司 一种高组装效率的折叠伞骨及其制造工艺
CN107853833A (zh) * 2017-12-18 2018-03-30 浙江勤达旅游用品有限公司 一种折叠遮阳伞
CN110217281B (zh) * 2019-05-07 2021-07-09 罗德兴 一种用于化工的生产原料运输车
US11939787B2 (en) * 2020-07-27 2024-03-26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Rapidly deployable structur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0159A (en) * 1897-04-06 Umbrella
US1249007A (en) * 1915-12-20 1917-12-04 Alexander Block Folding umbrella.
US1447815A (en) * 1921-12-10 1923-03-06 Pedersen Gjorup Pocket umbrella
US1555568A (en) * 1924-07-17 1925-09-29 Gustafson Ernest Bernard Folding umbrella
NL6705714A (ko) * 1966-08-12 1968-02-13
JPS4932391B1 (ko) * 1970-12-28 1974-08-29
US3853135A (en) * 1972-04-22 1974-12-10 Telesco Brophey Ltd Umbrella frame
DE2615731C3 (de) * 1976-04-10 1979-05-10 Kortenbach & Rauh Kg, 5650 Solingen Verkürzbarer Schirm
DE2615732C2 (de) * 1976-04-10 1986-10-02 Kortenbach & Rauh Kg, 5650 Solingen Verkürzbarer Schirm
DE2626478C3 (de) * 1976-06-12 1981-09-03 Kortenbach & Rauh Kg, 5650 Solingen Verkürzbarer Schirm
JPS5347950U (ko) * 1976-09-20 1978-04-22
JPS59137116U (ja) * 1983-03-05 1984-09-13 旭工業株式会社 伸縮洋傘における係止片操作装置
US4685482A (en) * 1985-03-06 1987-08-11 Yung Kwong Y Closable, collapsible umbrella for one-hand operation
JPS62200926U (ko) * 1986-06-10 1987-12-21
DE4020679C2 (de) * 1990-06-29 1994-04-28 Kortenbach Verwaltung Taschenschirm mit einem Teleskopstock und einem zusammenklappbaren Dachgestänge
JPH05115316A (ja) * 1991-09-20 1993-05-14 Tai Shotsu 完全自動折畳み傘
JP2542323B2 (ja) * 1993-04-09 1996-10-09 博文 天野
GB2319958A (en) * 1996-12-03 1998-06-10 Yoan Tang Umbrella selectively foldable to collect rainwater
JP4402263B2 (ja) * 1999-06-21 2010-01-2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クロマトグラフィー定量測定装置
KR200172828Y1 (ko) 1999-09-18 2000-03-15 양문칠 우산
JP2003135117A (ja) 2001-10-30 2003-05-13 Usui Internatl Ind Co Ltd 雨 傘
KR100457661B1 (ko) * 2002-10-31 2004-11-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냉난방 겸용 공조장치
CN200997970Y (zh) * 2007-01-08 2008-01-02 黄自力 自动伞伞骨架
KR200437933Y1 (ko) 2007-01-17 2008-01-08 부일 이 자동 우산
KR101069825B1 (ko) * 2009-09-08 2011-10-04 부일 이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9308B1 (ko) * 2011-08-26 2014-01-10 부일 이 우산
WO2020040538A1 (ko) * 2018-08-24 2020-02-27 이부일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전자동우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266928A1 (en) 2012-10-25
US8931497B2 (en) 2015-01-13
KR101106270B1 (ko) 2012-01-18
CN102711547B (zh) 2014-10-29
JP5730898B2 (ja) 2015-06-10
JP2013514126A (ja) 2013-04-25
CN102711547A (zh) 2012-10-03
WO2011074875A3 (ko) 2011-11-17
WO2011074875A2 (ko) 2011-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6270B1 (ko)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KR101069825B1 (ko) 우산살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WO2006136066A1 (fr) Dispositif de fixation supérieure destiné à une charpente de tente semi-circulaire pliable
JP5507560B2 (ja)
KR101325570B1 (ko) 완전 자동 우산
KR101383598B1 (ko) 수동 펼침 및 자동 접힘식 다단 접이 우산
KR200437933Y1 (ko) 자동 우산
KR200433181Y1 (ko) 자동 우산
JP2012020108A (ja) 折畳傘
KR200437932Y1 (ko) 자동우산
KR101131203B1 (ko) 양산
KR20090132764A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KR101349308B1 (ko) 우산
KR101255473B1 (ko) 접힘 시 펼침을 방지하는 안전형 자동우산
KR200432922Y1 (ko) 자동우산
JPS6264307A (ja)
JP3205300U (ja) 折り畳みテント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KR20100062177A (ko) 우산
CN208740187U (zh) 二折自动开收反向伞
KR20080098870A (ko) 자동 우산
KR20120040606A (ko) 우산
KR200275642Y1 (ko) 케이스가 구비되는 우산
GB2423096A (en) A connector of instant set-up foldable tent frames
KR20180012490A (ko)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