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62177A - 우산 - Google Patents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62177A
KR20100062177A KR1020080120641A KR20080120641A KR20100062177A KR 20100062177 A KR20100062177 A KR 20100062177A KR 1020080120641 A KR1020080120641 A KR 1020080120641A KR 20080120641 A KR20080120641 A KR 20080120641A KR 20100062177 A KR20100062177 A KR 20100062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operating member
handle
hole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0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부일 이
Original Assignee
부일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일 이 filed Critical 부일 이
Priority to KR1020080120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62177A/ko
Publication of KR20100062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2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5/143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4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telescopic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025/146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with a crank connected to a ro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B
    • A45B2200/10Umbrellas; Sunshades
    • A45B2200/1081Umbrella handles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산을 펼친 상태에서 접을 때 우산대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부재와 연결되도록 손잡이 쪽에 마련한 끈을 당겨서 쉽게 접을 수 있게 한 우산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손잡이(2)가 하단에 마련된 우산대(3)의 상단에 우산살 어셈블리(4)의 메인살(4a)이 회동되도록 조립되는 고정부재(5)와, 우산살 어셈블리(4)의 메인살(4a)과 조립되는 제1,2보조살(4b,4c)이 회동되도록 우산대(3)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한 제1작동부재(6) 및 제2작동부재(7)와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8)을 포함하며 끈을 당겨서 접을 수 있게 한 우산(1) 또는 신장되게 끼움한 상부재(31)의 하단과 하부재(32)의 상단에 각각 걸림구멍(31a)과 작동구멍(32a)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구멍(31a)으로 하부재(32)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는 판스프링(20)과 일체 형성된 걸림돌기(21)가 작동구멍(32a)을 통하여 삽입되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재(32)의 하단에 손잡이(2)가 마련된 우산대(3)를 구성하고, 상부재(31)의 상단에 우산살 어셈블리(4)의 메인살(4a)이 회동되도록 조립되는 고정부재(5)와, 우산살 어셈블리(4)의 메인살(4a)과 조립되는 제1,2보조살(4b,4c)이 회동되도록 상부재(31)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한 제1작동부재(6) 및 제2작동부재(7)와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8)을 포함하며 끈을 당겨서 접을 수 있게 한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2)에 마련된 당김끈(12)을 당기는 방법으로 우산이 쉽게 접을 수 있게 있게 한 것으로서,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우산(1)을 펴고 접기가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우산, 우산대, 우산살 어셈블리, 작동부재, 판스프링, 권취드럼, 당김끈, 스토퍼수단, 연결끈

Description

우산{An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산을 펼친 상태에서 접을 때 우산대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부재와 연결되도록 손잡이 쪽에 마련한 두께를 가진 끈을 권취드럼을 이용하여 당겨서 쉽게 접을 수 있게 한 우산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비가 내릴 때 신체를 보호할 목적으로 우산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우산은 사용자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우산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있는 손잡이에 마련된 버튼을 누르는 수고로움만으로 우산살대가 펼쳐질 수 있게 한 구성으로 발전해 왔다.
그러나 상기한 자동 우산은 사용한 후 우산을 접을 때 우산대의 상단에 위치한 이동부재를 손으로 잡고 우산대 아래로 내려야 하는 바, 이러한 작동과정에서 우산살대의 바깥쪽에 결합되어 있는 방수포에 묻어 있는 빗물에 의해 사용자의 인체나 의복이 젖게 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발명자는 우산대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부재와 연결되도록 손잡이 쪽에 마련한 끈을 당겨서 우산을 접을 수 있도록 한 자동우산 등을 개발하여 실용신안 등록(20-0433181호)한 바 있다.
상기한 선 등록 고안은 우산을 쉽게 접고 펼 수 있는 편리성이 있다. 그러나 우산대를 접거나 우산대를 따라서 승강하는 이동부재를 하향 이동시킨 상태 등에서 고정하는 스토퍼 및 고정편이 우산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들이 쉽게 파손되어 기능성을 상실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또한 우산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려운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우산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우산을 펼친 상태에서 접을 때 우산대에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더부재와 연결되도록 손잡이 쪽에 마련한 두께를 가진 끈을 권취드럼을 이용하여 당겨서 쉽게 접을 수 있게 한 우산을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우산살 어셈블리 구성을 개량하여 적은 힘으로 쉽게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서,
첫째 손잡이가 하단에 마련된 우산대의 상단에 우산살 어셈블리의 메인살이 회동되도록 조립되는 고정부재와, 우산살 어셈블리의 메인살과 조립되는 제1,2보조살이 회동되도록 우산대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한 제1작동부재 및 제2작동부재와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끈을 당겨서 접을 수 있게 한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이 설치되도록 상기 제2작동부재에 형성한 내입공간 및 그 하측에 형성한 걸림구멍과; 손잡이 상측의 우산대 상에 설치되며,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구멍에 내입되도록 가압버튼이 조립되고 우산대에 내장되는 판스프링과 일체 형성되고 작동공으로 출몰하는 걸림돌기와; 철사로 구성되며 제2작동 부재의 하단 내부에 형성된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우산이 펴진 상태에서 제2작동부재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작동부재의 하단에 고정한 당김쇠와;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축 설치되며 양측으로 권취홈이 형성된 권취드럼과; 상기 당김쇠의 하단과 권취홈을 연결하는 연결끈과; 상기 손잡이의 하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이 권취홈에 고정된 당김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둘째 신장되게 끼움한 상부재의 하단과 하부재의 상단에 각각 걸림구멍과 작동구멍을 형성하고, 상기의 걸림구멍으로 하부재 상부 내측에 위치하는 판스프링과 일체 형성된 걸림돌기가 작동구멍을 통하여 삽입되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재의 하단에 손잡이가 마련된 우산대를 구성하고, 상부재의 상단에 우산살 어셈블리의 메인살이 회동되도록 조립되는 고정부재와, 우산살 어셈블리의 메인살과 조립되는 제1,2보조살이 회동되도록 상부재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한 제1작동부재 및 제2작동부재와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을 포함하며 끈을 당겨서 접을 수 있게 한 우산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부재에 형성된 상기 압축스프링이 설치되는 내입공간의 하단에 형성된 설치구멍에 조립되어 판스프링에 탄성 지지되며 내측으로 우산대가 삽입되는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의 안쪽으로 하향경사진 안내면을 가진 걸림돌기가 형성된 고정링으로 구성된 스토퍼수단과; 상기 고정링에 형성된 걸림돌기에 걸림되는 제1작동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구멍과; 상기 제2작동부재의 하측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 및 상기 제2작동부재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홈과; 손잡이 상측에 위치하는 우산대의 하부재에 설치되며, 우산을 접은 상태에서 상부재의 하단에 형성된 작동공을 통해서 상기 걸림턱에 내입되도록 가압버튼이 조립되고 하부재에 내장되는 판스프링과 일체 형성되고 작동공으로 출몰하는 걸림돌기와; 상기 제1작동부재에 상하 관통하는 구멍의 상단에 걸리는 걸림부가 구비되도록 철사로 구성되며 상기 구멍과 제2작동부재의 하단 내부에 형성된 홈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서 우산이 접어진 상태에서 손잡이의 소정위치에 하단이 닿아 정지하도록 한 당김쇠와; 상기 손잡이의 내측에 축 설치되며 양측으로 권취홈이 형성된 권취드럼과; 상기 당김쇠의 하단과 권취홈을 연결하는 연결끈과; 상기 손잡이 하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이 권취홈에 고정된 당김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셋째 상기 우산살 어셈블리는 메인살이 결합되는 고정부재의 결합부 직경은 제1보조살이 결합되는 제1작동부재의 결합부 직경보다 작으며, 제1보조살이 결합되는 제1작동부재의 결합부 직경은 제2보조살이 결합되는 제2작동부재의 결합부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2보조살과 메인살의 결합은 메인살과 제1보조살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점에 제2보조살의 단부를 핀으로 함께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우산에 적용할 경우 구성이 간단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하고, 우산을 펴고 접기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권취드럼 결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우산(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가 하단에 마련된 우산대(3)의 상단에 우산살 어셈블리(4)의 메인살(4a)이 회동되도록 조립되는 고정부재(5)를 결합한다.
상기 우산대(3)에는 우산살 어셈블리(4)의 메인살(4a)과 조립되는 제1,2보조살(4b,4c)이 회동되도록 조립된 제1작동부재(6) 및 제2작동부재(7)를 우산대(3)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결합한다.
상기 우산살 어셈블리(4)는 메인살(4a)이 결합되는 고정부재(5)의 결합부(a) 직경은 제1보조살(4b)이 결합되는 제1작동부재(6)의 결합부(b) 직경보다 작으며, 제1보조살(4b)이 결합되는 제1작동부재(6)의 결합부(b) 직경은 제2보조살(4c)이 결합되는 제2작동부재(7)의 결합부(c) 직경보다 작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작동부재(6)와 제2작동부재(7)의 결합부(b,c)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2보조살(4b,4c)과 메인살(4a)의 결합은 메인살(4a)과 제1보조살(4b)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점에 제2보조살(4c)의 단부를 함께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우산(1)을 약한 강도의 압축스프링(8)으로 펼 수 있고, 또한 적은 힘으로도 쉽게 접을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제1작동부재(6)와 제2작동부재(7) 사이에는 압축스프링(8)이 개재되어 있으며, 상측에 위치하는 제1작동부재(6)는 우산(1)을 접은 상태일 때 압축스프링(8)과 함께 제2작동부재(7)에 형성된 내입공간(7a)에 내입된다.
상기 제2작동부재(7)의 하단에는 걸림구멍(7b)을 형성하여 우산(1)을 접기 위해 제1,2작동부재(6,7)를 하향 이동한 상태일 때, 손잡이(2) 상측의 우산대(3) 상에 위치하며 가압버튼(9)과 일체 구성되며 우산대(3)에 내장되는 판스프링(10)의 탄성력이 제공되고 우산대(3)에 형성된 작동공(3a)으로 출몰하는 걸림돌기(11)에 걸림되어 우산(1)이 접힌 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작동부재(6)를 손잡이(2)에 마련되는 당김끈(12)을 당겨서 하강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의 구성은 제1작동부재(6)의 하단에 철사 등으로 구성되는 당김쇠(13)를 고정하고 제2작동부재(7)의 하단에 형성된 홈(7c)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서 당김쇠(13)의 하단이 우산(1)이 펴진 상태에서 제2작동부재(7)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리고 손잡이(2)의 내측에는 권취드럼(14)을 축 설치하되, 권취드럼(14)에는 양측으로 권취홈(14a,14b)을 형성하고, 일측 권취홈(14a)에는 상기 당김쇠(13)의 하단과 연결끈(15)으로 연결하고, 타측 권취홈(14b)에는 손잡이(2) 하측으로 노출되는 당김끈(12)의 타단을 고정하여 서로 반대로 감기고 풀리게 구성한다.
상기 당김끈(12)과 연결끈(15)은 엉킴을 방지하고, 당김끈(12)의 행정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소정 폭과 두께를 갖는 것을 선택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우산(1)의 사용에 따른 작용을 하기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2와 같이 접어진 상태에서 우산(1)을 펴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2) 상측의 우산대(3)상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버튼(9)을 누르면 가압버튼(9)과 일체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1)가 제2작동부재(7)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7b)에서 이탈된다.
상기와 같이 걸림돌기(11)가 걸림구멍(7b)에서 이탈되면 제1,2작동부재(6,7)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8)이 팽창되면서 제1작동부재(6)가 제2작동부재(7)에 형성된 내입공간(7a)에서 빠져나오면서 동반상승하여 제1,2작동부재(6,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2보조살(4b,4c)과 고정부재(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메인살(4a)의 상호 연동작용에 의하여 우산(1)이 펴져 도 1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우산(1)이 펴지는 상태일 때 제1작동부재(6)에 고정되어 있는 당김쇠(13)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끈(15)은 권취드럼(14)의 일측 권취홈(14a)에서 풀려지고, 손잡이(2) 하측으로 노출된 당김끈(12)은 권취드럼(14)의 타측 권취홈(14b)에 감겨지게 된다.
그리고 도 1과 같이 우산(1)을 펴고 사용하다가 우산(1)을 접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2) 하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당김끈(12)을 당기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당김끈(12)을 당기면 연결끈(15)이 권취홈(14a)에 감겨지게 되는데, 이때 연결끈(15)과 연결되어 있는 당김쇠(13)가 제1작동부재(6)를 당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당김쇠(13)에 의하여 당겨지는 제1작동부재(6)는 압축스프링(8)을 압축하면서 제2작동부재(7)의 내입공간(7a)으로 내입되면서 동반 하강하여 제1,2작동부재(6,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2보조살(4b,4c)과 고정부재(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메인살(4a)의 상호 연동작용에 의하여 우산(1)이 접어지게 되고, 제2작동부재(7)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7b)으로 판스프링(10)과 일체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1)가 내입되어 우산(1)이 완전하게 접어져 도 2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권취홈(14b)에 감겨있는 당김끈(12)을 당기면 권취드럼(14)이 회전하여 연결끈(15)이 권취홈(14a)에 감겨지게 되는데 이때 연결끈(15)과 당김끈(12)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권취드럼(14)이 회전함에 따라 감긴 연결끈(15)의 직경은 점점 커지고 반대로 풀린 당김끈(12)의 직경은 점점 작아져서 같은 회전수에 대한 풀린 당김끈(12)의 길이가 감긴 연결끈(15)의 길이보다 상당히 짧아진다. 따라서 제1작동부재(6)의 이동거리보다 풀린 당김끈(12)의 길이가 1/3정도 짧아진다. 제2작동부재(7)를 잡아당겨 우산을 접는 종래의 우산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2작동부재(7)를 권취드럼(14)을 이용하여 당김끈(12)으로 당기면 이론상으로 3배의 힘이 들어 우산을 접을 때 상당히 불편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작동부재(6)를 잡아당기고 또 상기한 대로 우산을 펴는데 사용하는 압축스프링(8)의 강도가 상당히 약하여 적은 힘으로 편하게 우산을 접을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접어진 우산(1)에서 당김끈(12)의 끝부분을 손잡이에 부착 하여 접어진 당김끈(12)을 우산걸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 우산살 어셈블리가 접혀진 상태에서 우산대가 신축되기 전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 우산살 어셈블리가 접혀진 상태에서 우산대가 신축된 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우산살 어셈블리가 펴진 상태에서 우산대가 신축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중요부분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 제 2실시예는 접이식 우산(1')을 상기와 같이 당김끈(12)을 당겨서 접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 제2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접이식 우산(1')은 상부재(31)에 하부재(32)를 인출되게 끼움하고, 상부재(31)의 하단과 하부재(32)의 상단에 각각 걸림구멍(31a)과 작동구멍(32a)을 형성하며, 상기의 걸림구멍(31a)으로 하부재(32)의 상부 내측에 위치하는 판스프링(20)과 일체 형성된 걸림돌기(21)가 작동구멍(32a)를 통하여 삽입되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재(32)의 하단에 손잡이(2)가 마련된 우산대(3)를 구성하고, 상부재(31)의 상단에는 우산살 어셈블리(4)의 메인살(4a)이 회동되도록 조립되는 고정부재(5)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재(31)에는 우산살 어셈블리(4)의 제1,2보조살(4b,4c)이 회동되도록 조립된 제1작동부재(6) 및 제2작동부재(7)를 우산대(3)의 상부재(31)를 따라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결합한다.
상기 우산살 어셈블리(4)는 메인살(4a)이 결합되는 고정부재(5)의 결합부(a) 직경은 제1보조살(4b)이 결합되는 제1작동부재(6)의 결합부(b) 직경보다 작으며, 제1보조살(4b)이 결합되는 제1작동부재(6)의 결합부(b) 직경은 제2보조살(4c)이 결합되는 제2작동부재(7)의 결합부(c) 직경보다 작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작동부재(6)와 제2작동부재(7)의 결합부(b,c)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2보조살(4b,4c)과 메인살(4a)의 결합은 메인살(4a)과 제1보조살(4b)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점에 제2보조살(4c)의 단부를 함께 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하여 우산(1)을 약한 강도의 압축스프링(8)으로 펼 수 있고, 또한 적은 힘으로도 쉽게 접을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제1작동부재(6)와 제2작동부재(7) 사이에는 압축스프링(8)이 개재되어 있으며, 상측에 위치하는 제1작동부재(6)는 우산(1)을 접은 상태일 때 압축스프링(8)과 함께 제2작동부재(7)에 형성된 내입공간(7a)에 내입되며, 제1작동부재(6)는 하강시 제2작동부재(7)의 하단에 설치된 스토퍼수단(40)에 의해 걸림되게 구성된다.
상기 스토퍼수단(40)은 판스프링(41)에 탄성지지 되도록 제2작동부재(7)에 형성된 설치구멍(42)에 조립되며 내측으로 우산대(3)가 삽입되는 구멍(44)이 형성된 고정링(43)에 판스프링(41)쪽에 위치하도록 구멍(44)상에는 하향경사진 안내면(46)이 형성된 걸림돌기(45)를 형성하여 제1작동부재(6)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6a)에 내입되게 한 구성하며, 제2작동부재(7)의 하단외부에 홈(7e)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링(43)을 홈(7e)으로 노출시키고, 이 노출된 고정링(43)은 손잡이(2)에 형성된 가압버튼(9)으로 눌러 걸림돌기(45)가 걸림구멍(6a)에서 이탈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작동부재(7)의 하단 내측에는 걸림턱(7d)을 형성하여, 우산(1)을 접기 위해 제1,2작동부재(6,7)를 하향 이동하고 우산대(3)의 상하부재(31,32)를 접은 상태일 때 걸림턱(7d)에는 손잡이(2) 상측의 하부재(32) 상에는 가압버튼(9)과 일체 구성되며 하부재(32)에 내장되는 판스프링(10)의 탄성력이 제공되고 하부재(32)에 형성된 작동공(32b)으로 출몰하는 걸림돌기(11)가 상부재(31)의 하단에 형성된 작동공(31b)을 통해서 걸림되어 우산(1')이 접힌 상태로 고정되게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작동부재(6)를 손잡이(2)에 마련되는 당김끈(12)을 당겨서 하강되게 구성한 것이다.
이의 구성은 제1작동부재(6)에 상하 관통되는 구멍(6b)을 형성하고, 구멍(6b)에는 상단에 걸림부(13a)가 구비되도록 철사 등으로 구성되는 당김쇠(13)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우고, 또 제2작동부재(7)의 하단에 형성된 홈(7c)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서 당김쇠(13)의 하단이 우산(1)이 접어진 상태에서 손잡이(2) 내부의 소정 위치에 닿아 정지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손잡이(3)의 내측에는 권취드럼(14)을 축 설치하되, 권취드럼(14)에는 양측으로 권취홈(14a,14b)을 형성하고, 일측 권취홈(14a)에는 상기 당김쇠(13)의 하단과 연결끈(15)으로 연결하고, 타측 권취홈(14b)에는 손잡이(2) 하측으로 노출되는 당김끈(12)의 타단을 고정하여 서로 반대로 감기거나 풀리게 구성한다.
상기 당김끈(12)과 연결끈(15)은 엉킴을 방지하고, 당김끈(12)의 행정거리를 줄일 수 있도록 소정 폭과 두께를 갖는 것을 선택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사용에 따른 작용을 하기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6과 같이 접어진 상태에서 우산(1')을 펴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2)에 설치되어 있는 가압버튼(9)을 누르면 판스프링(10)과 일체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1)가 제2작동부재(7)의 하단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턱(7d)에서 상부재(31)의 하단에 형성된 작동공(31b)을 통하여 이탈되고 동시에 가압버튼(9)의 상단부가 제2작동부재(7)의 하단 외부에 형성되어 있는 홈(7e)에 노출되어 있는 스토퍼수단(40)의 고정링(43)을 밀어 제1작동부재(6)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6a)에서 걸림돌기(45)를 이탈시킨다.
상기와 같이 걸림돌기(11)에서 제2작동부재(7)의 걸림턱(7d)이 이탈되고 동시에 고정링(43)의 걸림돌기(45)가 제1작동부재(6)의 걸림구멍(6a)에서 이탈되면 제1,2작동부재(6,7) 사이에 위치하는 압축스프링(8)이 팽창되면서 제1작동부재(6)가 제2작동부재(7)에 형성된 내입공간(7a)에서 빠져나오면서 동반 상승하여 제1,2작동부재(6,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2보조살(4b,4c)과 고정부재(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메인살(4a)의 상호 연동작용에 의하여 우산살 어셈블리(4)만 펴진 도 7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에서 제1,2작동부재(6,7)가 상승하여도 제1작동부재(6)에 형성된 구멍(6b)과 제2작동부재(7)에 형성된 홈(7c)에서 당김쇠(13)가 슬라이딩하므로 우산살 어셈블리(4)가 펴지는 과정에서 연결끈(15)은 잡아 당겨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우산살 어셈블리(4)가 펴진 상태에서 손잡이(2)를 잡은 손을 아래로 추려 당기면 우산포에 제공된 공기 저항력과 상부재(31)의 관성에 의해 우산대(3)의 하부재(32)가 상부재(31)에서 빠져나와 하부재(32)의 상단에 형성된 작동구멍(32a)을 통하여 상부재(31)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구멍(31a)에 하부재(32) 상부 내측에 위치하는 판스프링(20)과 일체 형성된 걸림돌기(21)가 삽입되면서 우산대(3)가 신장되어 고정된 도 4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우산(1')이 펴지는 상태일 때, 제1작동부재(6)의 상하 관통하는 구멍(6b)의 상단에 걸림부(13a)가 걸려 있는 당김쇠(13)가 제1작동부재(6)와 같이 상승하여 당김쇠(13)의 하단과 연결되어 있는 연결끈(15)은 권취드럼(14)의 일측 권취홈(14a)에서 풀어지면서 권취드럼(14)을 회전시켜 손잡이(2)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당김끈(12)을 권취드럼(14)의 타측 권취홈(14b)에 감기게 한다.
그리고 도 4와 같이 우산(1')을 펴고 사용하다가 우산(1')을 접고자 할 시에는 손잡이(2) 하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당김끈(12)을 잡아당기면 된다.
즉, 상기와 같이 당김끈(12)을 당기면 권취드럼(14)이 회전하여 연결끈(15)이 권취드럼(14)에 감겨지게 되는데, 이때 연결끈(15)과 연결되어 있는 당김쇠(13)가 제1작동부재(6)를 당기게 된다.
상기와 같이 당김쇠(13)에 의하여 당겨지는 제1작동부재(6)는 압축스프링(8)을 압축하면서 제2작동부재(7)의 내입공간(7a)으로 내입되면서 동반 하강하여 제1,2작동부재(6,7)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2보조살(4b,4c)과 고정부재(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메인살(4a)의 상호 연동작용에 의하여 우 산(1')이 접어지게 되고, 제1작동부재(6)의 하단의 걸림구멍(6a)에 제2작동부재(7)의 하단에 설치된 스토퍼수단(40)의 걸림돌기(45)가 내입되어 제1,2작동부재(6,7)가 고정되어 우산살 어셈블리(4)가 접힌 채로 펴지지 않고, 동시에 우산대(3)의 상부재(31)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구멍(31a)에서 하부재(32)에 내장된 판스프링(20)에 일체 형성된 걸림돌기(21)가 제2작동부재(7)의 하단과 접촉하여 밀려서 이탈되는 순간의 도 5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당김쇠(13)의 하단이 손잡이(2)의 소정위치에 닿을 때 까지 짧은 거리로 계속 당기면 당김쇠(13)의 하단이 손잡이(2)에 닿아 정지하고 우산살 어셈블리(4)가 접혀있는 상부재(31)는 관성과 자중에 의하여 당김쇠(13)와 하부재(32)를 따라서 슬라이드 하강한다.
상기와 같이 상부재(31)에 형성된 걸림구멍(31a)에서 판스프링(20)의 걸림돌기(21)가 이탈하면 상부재(31)는 하부재(32)를 따라서 슬라이딩 하강하게 되고, 상부재(31)의 작동공(31b)을 통하여 제2작동부재(7)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턱(7d)으로 하부재(32)의 하단에 가압버튼(9)과 결합된 판스프링(10)과 일체 형성되어 있는 걸림돌기(11)가 내입되면 상부재(31)는 하부재(32)에 고정되어 도 6과 같이 우산(1')이 완전히 접히게 된다.
상기에서 권취홈(14b)에 감겨있는 당김끈(12)을 당기면 권취드럼(14)이 회전하여 연결끈(15)이 권취홈(14a)에 감겨지게 되는데 이때 연결끈(15)과 당김끈(12)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므로 권취드럼(14)이 회전함에 따라 감긴 연결끈(15)의 직경은 점점 커지고 반대로 풀린 당김끈(12)의 직경은 점점 작아져서 같은 회전수에 대한 풀린 당김끈(12)의 길이가 감긴 연결끈(15)의 길이보다 상당히 짧아진 다.
따라서 제1작동부재(6)의 이동거리보다 풀린 당김끈(12)의 길이가 1/2정도 짧아진다.
제2작동부재(7)를 잡아당겨 우산을 접는 종래의 우산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2작동부재를 권취드럼(14)을 이용하여 당김끈(12)으로 당기면 이론상으로 2배의 힘이 들고 또 우산대도 접어야 하므로 우산을 접을 때 상당히 불편하지만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작동부재(6)를 잡아당겨 우산살 어셈블리(4)를 접고, 우산대(3)는 상부재(31)의 관성과 자중에 의하여 접어지고 또 상기한 대로 우산을 펴는데 사용하는 압축스프링(8)의 강도가 상당히 약하여 적은 힘으로 편하게 우산을 접을 수 있다.
또한 도 6과 같이 완전히 접혀진 우산(1')에서 당김끈(12)의 끝부분을 손잡이에 부착하여 접어진 당김끈(12)은 우산걸이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단순한 설계변경이나 관용수단의 치환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로 우산이 접혀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권취드럼 결합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 우산이 펴진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 우산살 어셈블리가 접혀진 상태에서 우산대가 신축되기 전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로 우산살 어셈블리가 접혀진 상태에서 우산대가 신축된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우산살 어셈블리가 펴진 상태에서 우산대가 신축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 제2실시예의 중요부분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1':우산 2:손잡이
3:우산대 31:상부재
32:하부재 4:우산살 어셈블리
5:고정부재 6:제1작동부재
7:제2작동부재 8:압축스프링
9:가압버튼 10:판스프링
11:걸림돌기 12:당김끈
13:당김쇠 14:권취드럼
15:연결끈 40:스토퍼수단

Claims (3)

  1. 손잡이(2)가 하단에 마련된 우산대(3)의 상단에 우산살 어셈블리(4)의 메인살(4a)이 회동되도록 조립되는 고정부재(5)와, 우산살 어셈블리(4)의 메인살(4a)과 조립되는 제1,2보조살(4b,4c)이 회동되도록 우산대(3)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한 제1작동부재(6) 및 제2작동부재(7)와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8)을 포함하며 끈을 당겨서 접을 수 있게 한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압축스프링(8)이 설치되도록 상기 제2작동부재(7)에 형성한 내입공간(7a) 및 그 하측에 형성한 걸림구멍(7b)과;
    손잡이(2) 상측의 우산대(3) 상에 설치되며,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상기 걸림구멍(7b)에 내입되도록 가압버튼(9)이 조립되고 우산대(3)에 내장되는 판스프링(10)과 일체 형성되고 작동공(3a)으로 출몰하는 걸림돌기(11)와;
    철사로 구성되며 제2작동부재(7)의 하단 내부에 형성된 홈(7c)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지고, 우산(1)이 펴진 상태에서 제2작동부재(7)의 하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1작동부재(6)의 하단에 고정한 당김쇠(13)와;
    상기 손잡이(2)의 내측에 축 설치되며 양측으로 권취홈(14a,14b)이 형성된 권취드럼(14)과;
    상기 당김쇠(13)의 하단과 권취홈(14a)을 연결하는 연결끈(15)과;
    상기 손잡이(2)의 하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이 권취홈(14b)에 고정된 당김끈(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2. 신장되게 끼움한 상부재(31)의 하단과 하부재(32)의 상단에 각각 걸림구멍(31a)과 작동구멍(32a)을 형성하고, 상기의 걸림구멍(31a)으로 하부재(32)상부 내측에 위치하는 판스프링(20)과 일체 형성된 걸림돌기(21)가 작동구멍(32a)을 통하여 삽입되어 신장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부재(32)의 하단에 손잡이(2)가 마련된 우산대(3)를 구성하고, 상부재(31)의 상단에 우산살 어셈블리(4)의 메인살(4a)이 회동되도록 조립되는 고정부재(5)와, 우산살 어셈블리(4)의 메인살(4a)과 조립되는 제1,2보조살(4b,4c)이 회동되도록 상부재(31)를 따라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한 제1작동부재(6) 및 제2작동부재(7)와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압축스프링(8)을 포함하며 끈을 당겨서 접을 수 있게 한 우산(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제2작동부재(7)에 형성된 상기 압축스프링(8)이 설치되는 내입공간(7a)의 하단에 형성된 설치구멍(42)에 조립되어 판스프링(41)에 탄성 지지되며 내측으로 우산대(3)가 삽입되는 구멍(44)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44)의 안쪽으로 하향경사진 안내면(46)을 가진 걸림돌기(45)가 형성된 고정링(43)으로 구성된 스토퍼수단(40)과;
    상기 고정링(43)에 형성된 걸림돌기(45)에 걸림되는 제1작동부재(6)의 하단에 형성된 걸림구멍(6a)과;
    상기 제2작동부재(7)의 하측 내측에 형성된 걸림턱(7d) 및 상기 제2작동부재(7)의 하단 외측에 형성된 홈(7e)과;
    손잡이(2) 상측에 위치하는 우산대(3)의 하부재(32)에 설치되며, 우산(1)을 접은 상태에서 상부재(31)의 하단에 형성된 작동공(31b)을 통해서 상기 걸림턱(7d)에 내입되도록 가압버튼(9)이 조립되고 하부재(32)에 내장되는 판스프링(10)과 일체 형성되고 작동공(32b)으로 출몰하는 걸림돌기(11)와;
    상기 제1작동부재(6)에 상하 관통하는 구멍(6b)의 상단에 걸리는 걸림부(13a)가 구비되도록 철사로 구성되며, 상기 구멍(6b)과 제2작동부재(7)의 하단 내부에 형성된 홈(7c)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끼워서 우산(1)이 접어진 상태에서 손잡이(2)의 소정위치에 하단이 닿아 정지하도록 한 당김쇠(13)와;
    상기 손잡이(2)의 내측에 축 설치되며 양측으로 권취홈(14a,14b)이 형성된 권취드럼(14)과;
    상기 당김쇠(13)의 하단과 권취홈(14a)을 연결하는 연결끈(15)과;
    상기 손잡이(2) 하측으로 노출되고 타단이 권취홈(14b)에 고정된 당김끈(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산살 어셈블리(4)에서, 메인살(4a)이 결합되는 고정부재(5)의 결합부(a) 직경은 제1보조살(4b)이 결합되는 제1작동부재(6)의 결합부(b) 직경보다 작으며, 제1보조살(4b)이 결합되는 제1작동부재(6)의 결합부(b) 직경은 제2보조살(4c)이 결합되는 제2작동부재(7)의 결합부(c) 직경보다 작게 형성하며,
    상기 결합부(b,c)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제1,2보조살(4b,4c)과 메 인살(4a)의 결합은 메인살(4a)과 제1보조살(4b)의 단부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지점에 제2보조살(4c)의 단부를 핀으로 함께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
KR1020080120641A 2008-12-01 2008-12-01 우산 KR20100062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641A KR20100062177A (ko) 2008-12-01 2008-12-01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641A KR20100062177A (ko) 2008-12-01 2008-12-01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2177A true KR20100062177A (ko) 2010-06-10

Family

ID=42362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0641A KR20100062177A (ko) 2008-12-01 2008-12-01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6217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756B1 (ko) * 2012-08-23 2014-02-25 부일 이 우산
WO2015053512A1 (ko) * 2013-10-07 2015-04-16 황준재 접이식 자동 우산
CN109892768A (zh) * 2019-04-19 2019-06-18 华创纵横科技有限公司 一种罗马伞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6756B1 (ko) * 2012-08-23 2014-02-25 부일 이 우산
WO2015053512A1 (ko) * 2013-10-07 2015-04-16 황준재 접이식 자동 우산
CN109892768A (zh) * 2019-04-19 2019-06-18 华创纵横科技有限公司 一种罗马伞
CN109892768B (zh) * 2019-04-19 2024-02-02 华创纵横科技有限公司 一种罗马伞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60283A1 (en) Umbrella rib assembly and foldable umbrella
JP2011005224A (ja) 逆閉じ用傘
KR101106270B1 (ko)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접이식 우산
US8522805B2 (en) Structure of self-opening/closing umbrella
KR20100062177A (ko) 우산
KR200433181Y1 (ko) 자동 우산
KR101251105B1 (ko) 자동적으로 후퇴 가능한 중심 샤프트를 갖는 반자동 우산
TW201207225A (en) Semi-automatic sunshade curtain apparatus
KR200432921Y1 (ko) 자동 접이식 우산
KR102012244B1 (ko) 우산살 어셈블리 및 전자동우산
TWM556093U (zh) 遠離身體全自動收合之手開折傘
KR20090132764A (ko) 펼침 및 접힘 가능한 자동우산
KR200437932Y1 (ko) 자동우산
KR101460511B1 (ko) 우산 장치
KR20120040606A (ko) 우산
US20040221884A1 (en) Auto-collapsible umbrella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CN108244787B (zh) 远离身体全自动收合之手开折伞
KR101366756B1 (ko) 우산
KR200432922Y1 (ko) 자동우산
KR101349308B1 (ko) 우산
KR20080098870A (ko) 자동 우산
WO2013063858A1 (zh) 方便折叠的自动开收伞
KR102490129B1 (ko) 대걸레
KR200455100Y1 (ko) 도어용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