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1105B1 - 자동적으로 후퇴 가능한 중심 샤프트를 갖는 반자동 우산 - Google Patents

자동적으로 후퇴 가능한 중심 샤프트를 갖는 반자동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1105B1
KR101251105B1 KR1020110037326A KR20110037326A KR101251105B1 KR 101251105 B1 KR101251105 B1 KR 101251105B1 KR 1020110037326 A KR1020110037326 A KR 1020110037326A KR 20110037326 A KR20110037326 A KR 20110037326A KR 101251105 B1 KR101251105 B1 KR 101251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er
upper tube
disposed
shaf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7954A (ko
Inventor
시아-후이 첸
Original Assignee
시아-후이 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후이 첸 filed Critical 시아-후이 첸
Publication of KR20120007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1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1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4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 A45B25/143Devices for opening and for closing umbrellas automat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04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telescopic 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45B19/1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with collapsible rib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반자동 우산은 신축성 중심 샤프트(20), 손잡이(10), 및 샤프트(20)를 따라서 미끄러질 수 있는 러너(40)를 구비한다. 샤프트(20)가 연장되면 제 1 견인 코드(66)가 인장 상태에 놓이며, 이는 제 1 견인 코드(66)가 해제되면 작동 부재(64)의 상방 가압 운동에 의해 스프링-가압식 러너-유지 부재(62)가 샤프트(10)로부터 결합해제되게 만든다. 제 2 견인 코드(71)에 결합된 인장 스프링 보디(75)는 가압력을 얻도록 신장될 수 있다. 신장된 인장 스프링 보디(75)는 우산을 펼치기 위한 러너(40)의 상방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가압력이 해제되면, 러너(40)의 하방 이동은 우산의 절첩 및 스프링-가압식 샤프트-유지 부재(242)의 결합해제를 초래하며, 따라서 샤프트(20)의 절첩 및 우산 폐쇄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자동적으로 후퇴 가능한 중심 샤프트를 갖는 반자동 우산{SEMI-AUTOMATIC UMBRELLA WITH AN AUTOMATICALLY RETRACTABLE CENTRAL SHAFT}
본 발명은 반자동 우산, 특히 자동적으로 후퇴 가능한 중심 샤프트를 갖는 반자동 우산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대만 실용신안 M571657호에 개시된 자동-절첩식 우산은 손잡이(1), 손잡이(1)에 장착되는 중심 샤프트(2), 중심 샤프트(2)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상부 허브(3), 상부 허브(3)와 손잡이(1) 사이에 배치되는 러너(runner)(4), 상부 허브(3)와 러너(4)를 연결하는 우산살(rib-and-stretcher) 조립체(5), 및 폐쇄 제어 유닛(6)을 구비한다. 손잡이(1)는 푸시 버튼(101)을 갖는다. 중심 샤프트(2)는 상호 신축적으로(telescopically) 끼워지는 다수의 튜브(201), 및 중심 샤프트(2)가 연장될 때 두 개의 인접한 튜브(201)를 유지하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스프링-로딩된 링(202)을 구비한다. 러너(4)는, 러너(4)를 중심 샤프트(2) 상에 위치시키도록 배치되는 래치(301)를 갖는다. 폐쇄 제어 유닛(6)은 상부 허브(3)와 손잡이(1) 사이에 배치되는 메인 스프링(601), 상기 손잡이(1)에 배치되고 메인 스프링(601)에 연결되는 피유지 블록(602), 상기 피유지 블록(602)과 상기 손잡이(1)의 바닥 벽을 상호연결하는 제 1 스프링(603), 상기 피유지 블록(602)에 연결되는 일 단부를 갖는 코드(604), 상기 코드(604)의 타 단부에 연결되는 작동 부재(605), 및 상기 작동 부재(605)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제 2 스프링(608)을 구비한다. 상기 작동 부재(605)는 대직경부(606)와 소직경부(607)를 갖는다.
사용 시에, 러너(4)는 수동 힘에 의해 상부 허브(3)를 향해 이동되어 중심 샤프트(2)를 연장시키고 중심 샤프트(2)를 스프링-로딩된 링(202)에 의해 연장 위치에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피유지 블록(602)은 푸시 버튼(101)의 유지부에 의해 유지된다. 작동 부재(605)의 소직경부(607)는 러너(4)를 중심 샤프트(2)에 로크시키기 위해 래치(301)와 결합된다.
우산을 폐쇄할 필요가 있을 때는, 푸시 버튼(101)을 눌러서 유지 블록(602)을 유지부로부터 결합해제시킬 수 있다. 제 2 스프링(608)에 의해, 작동 부재(605)가 하방으로 이동함으로써 대직경부(606)가 래치(301)를 중심 샤프트(2)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우산살 조립체(5)가 접혀질 수 있다. 메인 스프링(601)에 의해, 러너(4)가 손잡이(1)를 향해 이동되고 이어서 스프링-로딩된 링(202)을 순차적으로 후퇴시켜 중심 샤프트(2)를 접는다.
그러나, 우산을 개방할 때는, 메인 스프링(601)의 존재로 인해, 우산살 조립체(5)가 완전히 펴지는 위치에 러너(4)가 도달할 때까지 러너(4)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비교적 큰 수동 힘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힘들이지 않고 개방될 수 있으며 자동적으로 폐쇄 절첩될 수 있는 반자동 우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반자동 우산은 축을 따라서 상호 신축적으로 끼워지는 적어도 상부 튜브와 중간 튜브를 갖는 중심 샤프트, 상기 중심 샤프트의 상단부에 배치되는 방향 역전 부재, 상기 중간 튜브 상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튜브를 연장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튜브와 결합될 수 있는 스프링-가압식(spring-biased) 샤프트-유지 부재, 상기 중심 샤프트 주위에 배치되고 우산을 펼치는 상부 위치와 우산을 접는 하부 위치 사이에서 중심 샤프트를 따라서 미끄러질 수 있는 러너, 상기 러너 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튜브와 결합되도록 가압되는 스프링-가압식 러너-유지 부재, 상기 상부 튜브를 후퇴 위치로 가압하기 위해 배치되는 폐쇄 가압 부재, 및 상기 중심 샤프트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제 1 및 제 2 피고정(anchored)부를 갖는 손잡이를 포함한다.
상기 반자동 우산은 인장 유지 부재와 제 1 및 제 2 견인 유닛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인장 유지 부재는 상기 제 1 피고정부를 고정하기 위해 배치되는 제 1 고정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고정부를 제 1 피고정부로부터 결합해제시켜 그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견인 유닛은, 상부 튜브에 장착되는 작동 부재, 상부 튜브가 후퇴 위치에서 연장 위치로 변위될 때 제 1 견인 코드가 인장 상태에 놓이는 근접 위치로 상기 작동 부재가 변위되도록 작동 부재와 인장 유지 부재에 연결되는 제 1 견인 코드, 및 인장 유지 부재가 해제되면 작동 부재의 먼 위치로의 상방 가압 이동이 스프링-가압식 러너-유지 부재를 상부 튜브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밀어붙여 러너가 상부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되도록 상기 작동 부재와 중간 튜브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보조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 2 견인 유닛은, 제 2 피고정부를 해제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장착되는 피유지 부재, 상기 피유지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상부 튜브가 연장 위치로 이동되면 신장되어 가압력을 갖는 인장 스프링, 인장 유지 부재가 해제되면 상기 가압력에 의해 러너가 하부 위치에서 상부 위치로 강제 이동되도록 방향 역전 부재를 통해서 러너와 인장 스프링 보디에 연결되는 제 2 견인 코드, 상기 제 2 견인 코드에 연결되고 상기 가압력을 상쇄하도록 러너와 함께 이동되는 트리거 부재로서, 트리거 부재가 스프링-가압식 샤프트-유지 부재로부터 축방향 상방으로 배치된 대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트리거 부재, 및 제 2 가압력을 갖도록 배치되는 제 2 보조 가압 부재로서, 상기 피유지 부재가 제 2 피고정부로부터 해제되면 상기 트리거 부재가 제 2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대기 위치로부터 멀리 하방으로 돌진하여 스프링-가압식 샤프트-유지 부재를 상부 튜브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밀어붙여서, 상부 튜브가 폐쇄 가압 부재에 의해 연장 위치에서 후퇴 위치로 변위될 수 있게 하는 제 2 보조 가압 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힘들이지 않고 개방될 수 있으며 자동적으로 폐쇄 절첩될 수 있는 반자동 우산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기 상세한 설명에서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절첩식 우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우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 1 견인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 2 견인 유닛과 러너의 사시도.
도 5는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Ⅵ-Ⅵ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7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확대 단면도.
도 8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연장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9는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 8의 상태에서의 확대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X-X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11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개방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12는 도 10의 XII-XII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13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절첩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14는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도 13의 상태에서의 확대 단면도.
도 15는 중심 샤프트가 연장 위치에서 후퇴 위치로 변위했을 때의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
도 16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반자동 우산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축(L)을 따라서 상호 대향하는 상단부 및 하단부(24, 25)를 갖는 중심 샤프트(20), 상기 중심 샤프트(20)의 상단부(24)에 고정되는 상부 허브(30), 상기 중심 샤프트(20) 주위에 배치되며 우산을 각각 펼치고 접기 위해 상부 위치와 하부 위치 사이에서 중심 샤프트를 따라서 미끄러질 수 있는 러너(40), 상기 중심 샤프트(20)의 하단부(25)에 고정되는 손잡이(10), 폐쇄 가압 부재(76), 인장 유지 부재(61), 제 1 견인 유닛(60), 제 2 견인 유닛(70)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중심 샤프트(20)는 축(L)을 따라서 상호 신축적으로 끼워지는 상부 튜브(23), 중간 튜브(22), 및 하부 튜브(21)를 구비한다. 상부 및 중간 튜브(23, 22)의 각각은 후크형 슬릿(231, 221)을 갖는 하부 세그먼트를 갖는다. 중간 및 하부 튜브(22, 21)의 각각은 상부 세그먼트 및 상부 세그먼트에 배치되는 시트 마운트(seat mount)(262, 261)를 갖는다. 각각의 시트 마운트(262, 261)에는 두 개의 스프링-가압식 샤프트-유지 부재(242, 241)의 각각이 장착되며, 이들 샤프트-유지 부재의 각각은 상부 및 중간 튜브(23, 22)가 하단부(25)로부터 멀어지는 연장 위치로 변위될 때 각각의 후크형 슬릿(231, 221) 내로 스냅되도록 스프링(26)에 의해 중간 및 하부 튜브(22, 21) 각각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되는 샤프트-유지 단부(243, 244)를 갖는다. 상부 튜브(23)의 하부 세그먼트는 또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232)을 갖는다.
방향 역전 부재(31)는 풀리 형태이며, 상부 허브(30) 상에 배치된다.
러너(40)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슬롯(43)을 갖는다. 관통 슬롯(43)에는 스프링-가압식 러너-유지 부재(62)가 배치되며, 이 러너-유지부재(62)는 그 유지 단부(621)가 관통 구멍(232)을 통해서 상부 튜브(23) 내로 연장될 수 있도록 스프링(63)에 의해 가압된다(도 10에 도시됨). 러너(40)는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루트(41)를 형성하는 안내 트랙 부재(44)를 갖는다.
손잡이(10)는, 수용 공간을 규정하고 상기 수용 공간(111)에 제 1 피고정부(112)와 함께 형성되는 내부 튜브형 보디(11)(도 5에 도시됨), 상기 내부 튜브형 보디(11)를 둘러싸고 버튼 구멍(121)을 갖는 외부 튜브형 보디(12), 상기 버튼 구멍(121) 안에 배치되고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두 개의 버튼부(141, 142)를 갖는 푸시 버튼(14), 및 상기 푸시 버튼(14)을 은폐하기 위해 상기 외부 튜브형 보디(12) 상에 슬리브식으로 제공되고 외부 튜브형 보디에 대해 이동 가능한 셸(13)을 구비한다. 내부 튜브형 보디(11)에는 스프링-가압식 유지 레버(15)가 피봇 장착되며, 이 유지 레버는 스프링(16)에 의해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가압되는 제 2 피고정부(151) 및 상기 버튼부(142)에 의해 작동되는 피작동부(152)를 갖는다.
폐쇄 가압 부재(76)는 상부 및 중간 튜브(23, 22)를 하단부(25)에 가까운 후퇴 위치로 가압하기 위해 손잡이(10)와 상부 허브(30) 사이에 배치된다.
인장 유지 부재(61)는, 축(L)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수용 공간(111) 내에 배치되고, 제 1 피고정부(112) 상에 고정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고정부(614)를 갖는 외부 주위 벽(611), 상기 외부 주위 벽(611) 내에 배치되는 내측 부분(612), 및 상기 제 1 고정부(614)가 제 1 피고정부(112)로부터 해제될 때 상기 외부 주위 벽(611)을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기 위해 상기 외부 주위 벽(611)과 상기 내부 튜브형 보디(11) 사이에 배치되는 상방 가압 부재(613)를 구비한다.
도 2,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견인 유닛(60)은 제 1 견인 코드(66), 작동 부재(64), 및 제 1 보조 가압 부재(65)를 구비한다. 제 1 견인 코드(66)는 내측 부분(612)에 결합되는 제 1 말단부(661), 및 상기 상부 튜브(23) 내에 배치되도록 중심 샤프트(20)를 통해서 도입되는 제 1 선단부(662)를 갖는다. 상기 작동 부재(64)는 상부 튜브(23) 내에 장착되며, 상부 튜브(23)가 후퇴 위치에서 연장 위치로 변위될 때 작동 부재(64)가 제 1 견인 코드(66)가 인장 상태에 놓이는 근접 위치로 변위되도록 제 1 선단부(662)에 결합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작동 부재(64)는 유지 단부(621)와 마주하는 캠 면(642)을 갖는다. 도 7에 도시하듯이, 제 1 보조 가압 부재(65)는 작동 부재(64)와, 시트 마운트(262)의 상향 접촉면(263) 사이에 배치된다.
도 2, 도 4,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 2 견인 유닛(70)은 피유지 부재(74), 인장 스프링 보디(75), 제 2 견인 코드(71), 트리거 부재(72), 및 제 2 보조 가압 부재(73)를 구비한다. 피유지 부재(74)는 유지 레버(15)의 제 2 피고정부(151)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손잡이(10)에 장착된다. 인장 스프링 보디(75)는 피유지 부재(74)에 결합되는 제 2 말단부(751)를 가지며, 링크 단부(752)에서 종료되도록 중심 샤프트(20) 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신된다. 제 2 견인 코드(71)는 안내 트랙 부재(44)에 설치되는 제 2 선단부(711)를 가지며, 링크 단부(752)와 결합되는 피링크 단부(712)에서 종료되도록 상방 연장되어 방향 역전 부재(31)에 권선된다. 트리거 부재(72)는 제 2 선단부(711)에 결합되며, 안내 루트(41)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제 2 보조 가압 부재(73)는 안내 트랙 부재(44)의 상부 벽과 트리거 부재(72) 사이에 배치된다.
도 5 내지 도 7은 폐쇄 및 절첩 상태에 있는 우산을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중심 샤프트(20)는 후퇴 위치에 있고, 러너(40)는 하부 위치에 있으며, 셸(13)은 푸시 버튼(14)을 은폐시키도록 배치된다. 또한, 인장 스프링 보디(75)와 폐쇄 가압 부재(76)는 후퇴 위치에 있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우산을 개방할 필요가 있을 때, 사용자는 상부 및 중간 튜브(23, 22)가 연장 위치로 변위되고 셸(13)이 이동하여 푸시 버튼(14)을 노출시키도록 손잡이(10)와 상부 허브(30)를 쥐고 밀어젖힐 수 있다. 인장 스프링 보디(75)와 폐쇄 가압 부재(76)는 신장 위치에 있다. 샤프트-유지 단부(243, 244)와 후크형 슬릿(231, 221) 사이의 결합에 의해, 중심 샤프트(20)는 연장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제 1 견인 코드(66)는 제 1 보조 가압 부재(65)가 작동 부재(64)에 의해 압축되어 제 1 가압력을 갖도록 인장 상태에 있다. 유지 단부(621)는 러너(40)를 중심 샤프트(20) 쪽으로 유지시키기 위해 관통 구멍(232)을 통해서 상부 튜브(23) 내로 연장된다. 제 2 견인 코드(71)가 인장 스프링 보디(75)의 신장의 결과로서 발생되는 가압력과 트리거 부재(72) 사이의 반작용에 의해 인장되는 동안, 트리거 부재(72)는 트리거 부재(72)가 스프링-가압식 샤프트-유지 부재(242)로부터 축방향 상방으로 배치되는 대기 위치로 상방으로 이동된다. 반면에, 제 2 보조 가압 부재(73)는 제 2 가압력을 갖도록 트리거 부재(72)에 의해 압축된다.
이어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버튼부(141)는 제 1 고정부(614)를 제 1 피고정부(112)로부터 해제시키도록 눌린다. 인장 유지 부재(61)는 상방 가압 부재(613)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된다. 도 3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견인 코드(66)와 제 1 보조 가압 부재(65)의 제 1 가압력의 연결에 의해, 작동 부재(64)는 먼 위치로 상방으로 이동된다. 캠 면(642)의 제공에 의해, 작동 부재(64)의 상방 이동은 유지 단부(621)를 관통 구멍(232)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후퇴하도록 밀어붙여 러너(40)를 중심 샤프트(20)로부터 해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장된 인장 스프링 보디(75)의 링크 단부(752)의 가압력에 의해, 러너(40)는 하부 위치에서 상부 위치로 강제 이동되어 우산을 펼치게 된다.
우산을 폐쇄할 필요가 있을 때는, 버튼부(142)를 눌러서 피유지 부재(74)를 제 2 피고정부(151)로부터 해제하여 가압력을 해제시킨다. 피유지 부재(74)는 상방으로 이동되고, 제 2 견인 코드(71)는 이완 상태에 놓이게 되어 우산을 접는다. 반면에, 러너(40)는 하방으로 이동되고, 이후 트리거 부재(72)는 제 2 보조 가압 부재(73)의 제 2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대기 위치로부터 멀리 하방으로 돌진하여 샤프트-유지 부재(242)의 샤프트-유지 단부(243)를 상부 튜브(23)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밀어붙인다. 따라서, 상부 튜브(23)는, 중간 튜브(22) 위를 미끄러지고 샤프트-유지 부재(241)를 계속 하부 튜브(21)의 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폐쇄 가압 부재(76)에 의해 손잡이(10)를 향해서 후퇴 위치로 이동된다. 그 결과, 중간 튜브(22)와 상부 튜브(23)는 하부 튜브(21) 위를 미끄러짐으로써 순차적으로 이동된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부 및 중간 튜브(23, 22)의 하방 이동은 제 1 고정부(614)가 제 1 피고정부(112)에 유지될 수 있도록 인장 유지 부재(61)를 내부 튜브형 보디(11) 내로 가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셸(13)은 푸시 버튼(14)을 은폐하도록 수동으로 이동된다.
도시하듯이, 인장 스프링 보디(75)와 제 1 보조 가압 부재(65)에 의해, 러너(40)는 우산이 푸시 버튼(14)의 조작에 의해 펼쳐질 수 있도록 자동으로 상부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 2 보조 가압 부재(73)에 의해 보조되는 인장 스프링 보디(75) 및 트리거 부재(72)에 의해, 샤프트-유지 부재(242)는 우산의 폐쇄 도중에 푸시 버튼(14)이 조작되면 상부 및 중간 튜브(23, 22)가 하부 튜브(21) 위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부 튜브(23)로부터 쉽게 성공적으로 결합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우산의 개폐 조작이 편리하고 힘들지 않다.
본 발명을 가장 실용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로 간주되는 것과 연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광범위한 해석 및 균등한 구성의 범위에 포함되는 각종 구성을 망라하도록 의도되는 것을 알아야 한다.
10: 손잡이 11: 내부 튜브형 보디
12: 외부 튜브형 보디 13: 셸
14: 푸시 버튼 20: 중심 샤프트
21: 하부 튜브 22: 중간 튜브
23: 상부 튜브 24: 상단부
25: 하단부 31: 방향 역전 부재
40: 러너 41: 안내 루트
44: 안내 트랙 부재 61: 인장 유지 부재
62: 스프링-가압식 러너-유지 부재
64: 작동 부재 65: 제 1 보조 가압 부재
66: 제 1 견인 코드 71: 제 2 견인 코드
72: 트리거 부재 73: 제 2 보조 가압 부재
74: 피유지 부재 75: 인장 스프링 보디
76: 폐쇄 가압 부재 112: 제 1 피고정부
141, 142: 버튼부 151: 제 2 피고정부
221, 231: 후크형 슬릿 232: 관통 구멍
241, 242: 스프링-가압식 샤프트-유지 부재
243, 244: 샤프트-유지 단부 261, 262: 시트 마운트
263: 상향 접촉면 611: 외부 주위 벽
612: 내측 부분 613: 상방 가압 부재
614: 제 1 고정부 621: 유지 단부
642: 캠 면 661: 제 1 말단부
662: 제 1 선단부 711: 제 2 선단부
751: 제 2 말단부 752: 링크 단부
L: 축

Claims (7)

  1. 반자동 우산에 있어서,
    축을 따라서 상호 신축적으로 끼워지는 적어도 상부 튜브와 중간 튜브를 갖는 중심 샤프트로서, 축을 따라서 상호 대향하는 상단부와 하단부를 갖는 중심 샤프트;
    상기 중심 샤프트의 상기 상단부에 배치되는 방향 역전 부재;
    상기 중간 튜브 상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튜브가 상기 하단부로부터 멀어지는 연장 위치에 상기 상부 튜브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튜브와 결합될 수 있는 스프링-가압식 샤프트-유지 부재;
    상기 중심 샤프트 주위에 배치되며, 우산을 펼치는 상부 위치와 우산을 접는 하부 위치 사이에서 중심 샤프트를 따라서 미끄러질 수 있는 러너;
    상기 러너 내에 배치되고 상기 상부 튜브와 결합되도록 가압되는 스프링-가압식 러너-유지 부재;
    상기 상부 튜브가 상기 하단부에 가까워지는 후퇴 위치로 상기 상부 튜브를 가압하도록 배치되는 폐쇄 가압 부재;
    상기 중심 샤프트의 상기 하단부에 고정되고 제 1 및 제 2 피고정부를 갖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 내에 장착되고, 상기 제 1 피고정부를 고정하도록 배치되는 제 1 고정부를 갖는 인장 유지 부재로서, 상기 인장 유지 부재를 해제하기 위해 상기 제 1 고정부를 상기 제 1 피고정부로부터 결합해제시켜 상기 손잡이에 대한 그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인장 유지 부재;
    상기 인장 유지 부재에 결합되는 제 1 말단부 및 상기 상부 튜브 내에 배치되도록 상기 중심 샤프트를 통해서 도입되는 제 1 선단부를 갖는 제 1 견인 코드;
    상기 상부 튜브 내에 장착되는 작동 부재로서, 상기 상부 튜브가 후퇴 위치에서 연장 위치로 변위될 때, 상기 제 1 견인 코드가 인장 상태에 놓이는 근접 위치로 상기 작동 부재가 변위되도록 상기 제 1 선단부에 결합되는 작동 부재;
    상기 인장 유지 부재가 해제되면 상기 작동 부재의 먼 위치로의 상방 가압 이동이 상기 스프링-가압식 러너-유지 부재를 상기 상부 튜브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밀어붙여 상기 러너가 상부 위치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되도록 상기 작동 부재와 상기 중간 튜브 사이에 배치되는 제 1 보조 가압 부재;
    상기 제 2 피고정부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상기 손잡이 내에 장착되는 피유지 부재;
    상기 피유지 부재에 결합되는 제 2 말단부를 가지며, 링크 단부에서 종료되도록 상기 중심 샤프트 내에서 축방향으로 연신되는 인장 스프링 보디로서, 상기 상부 튜브가 연장 위치로 이동되면 신장되어 상기 링크 단부에 가압력을 제공하고, 상기 가압력은 상기 피유지 부재가 상기 제 2 피고정부로부터 해제됨으로써 해제될 수 있는 인장 스프링 보디;
    상기 러너 내에 위치되는 제 2 선단부를 가지며, 상기 인장 유지 부재가 해제되면 상기 러너를 하부 위치에서 상부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 가압력이 상기 제 2 선단부를 견인할 수 있도록, 상기 방향 역전 부재 상에 권선되도록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링크 단부와 결합되는 피링크 단부에서 종료되는 제 2 견인 코드;
    상기 제 2 선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가압력을 상쇄하도록 상기 러너와 함께 이동되는 트리거 부재로서, 상기 상부 튜브의 후퇴 위치에서 연장 위치로의 수동 변위의 결과로 상기 트리거 부재가 스프링-가압식 샤프트-유지 부재로부터 축방향 상방으로 배치된 대기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트리거 부재; 및
    제 2 가압력을 갖도록 배치되는 제 2 보조 가압 부재로서, 상기 러너와 상기 트리거 부재가 하부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가압력이 해제된 직후에 상기 트리거 부재가 제 2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대기 위치로부터 멀리 하방으로 돌진하여 상기 스프링-가압식 샤프트-유지 부재를 상부 튜브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밀어붙여서, 상부 튜브가 상기 폐쇄 가압 부재에 의해 연장 위치에서 후퇴 위치로 변위될 수 있게 하는 제 2 보조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우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튜브는 후크형 슬릿을 갖는 하부 세그먼트를 가지며, 상기 중간 튜브는 상부 세그먼트 및 상기 상부 세그먼트 내에 배치되는 시트 마운트를 갖고, 상기 스프링-가압식 샤프트-유지 부재는 상기 시트 마운트 상에 장착되며, 상기 상부 튜브가 연장 위치로 변위될 때 상기 후크형 슬릿 내로 스냅되도록 상기 중간 튜브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되는 샤프트-유지 단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우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마운트는 위로 향하는 접촉면을 가지며, 상기 제 1 보조 가압 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와 상기 접촉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우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가압식 러너-유지 부재는 유지 단부를 가지며, 상기 상부 튜브의 상기 하부 세그먼트는 상기 유지 단부가 상기 상부 튜브 내로 연장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관통 구멍을 가지며, 상기 작동 부재는 상기 작동 부재가 근접 위치에서 먼 위치로 변위될 때 상기 유지 단부가 상기 관통 구멍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강제 후퇴하도록 구성되는 캠 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우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러너는 상기 트리거 부재를 대기 위치로 이동하도록 안내하기 위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루트를 형성하는 안내 트랙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우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수용 공간을 규정하고, 상기 수용 공간 내에 상기 제 1 피고정부가 형성되는 내부 튜브형 보디,
    상기 내부 튜브형 보디를 둘러싸고 버튼 구멍을 갖는 외부 튜브형 보디,
    상기 버튼 구멍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고정부를 상기 제 1 피고정부로부터 그리고 상기 제 2 피고정부를 상기 피유지 부재로부터 각각 해제하기 위해 수동으로 조작 가능한 두 개의 버튼부를 갖는 푸시 버튼, 및
    상기 푸시 버튼을 은폐하기 위해 상기 외부 튜브형 보디 상에 슬리브식으로 제공되고 상기 외부 튜브형 보디에 대해 이동 가능한 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우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유지 부재는,
    축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 내에 배치되는 외부 주위 벽으로서, 상기 외부 주위 벽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제 1 피고정부 상에 고정되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주위 벽,
    상기 외부 주위 벽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견인 코드의 상기 제 1 말단부와 연결되는 내측 부분, 및
    상기 제 1 고정부가 제 1 피고정부로부터 해제될 때 상기 외부 주위 벽을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가압하기 위해 상기 외부 주위 벽과 상기 내부 튜브형 보디 사이에 배치되는 상방 가압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우산.
KR1020110037326A 2010-07-15 2011-04-21 자동적으로 후퇴 가능한 중심 샤프트를 갖는 반자동 우산 KR1012511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10226651.4 2010-07-15
CN2010102266514A CN102326929B (zh) 2010-07-15 2010-07-15 中棒自动收合伞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954A KR20120007954A (ko) 2012-01-25
KR101251105B1 true KR101251105B1 (ko) 2013-04-04

Family

ID=4468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326A KR101251105B1 (ko) 2010-07-15 2011-04-21 자동적으로 후퇴 가능한 중심 샤프트를 갖는 반자동 우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76606B2 (ko)
EP (1) EP2407046A1 (ko)
JP (1) JP5230763B2 (ko)
KR (1) KR101251105B1 (ko)
CN (1) CN102326929B (ko)
RU (1) RU2466668C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26929B (zh) * 2010-07-15 2013-07-03 陈秀惠 中棒自动收合伞
US9468273B1 (en) 2013-07-26 2016-10-18 Henry J. Hasselbach Retractable umbrella
US9282793B2 (en) * 2014-08-04 2016-03-15 Xiamen Mingho Brothers Mfg Co., Ltd. Control mechanism of full-automatic multi-folded umbrella
CN108887817B (zh) * 2018-09-04 2023-11-21 绍兴市尚佳伞业有限公司 一种多功能伞柄
CN110074528B (zh) * 2018-12-30 2024-04-12 福建舒雨伞业有限公司 一种两折中棒的三折电动伞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936U (ko) * 1996-08-08 1998-05-25 오세용 자동개폐식 우산
KR20100071425A (ko) * 2008-12-19 2010-06-29 후앙 루-짜이 자동으로 접을 수 있는 다단 우산 접이 구조
EP2407046A1 (en) * 2010-07-15 2012-01-18 Hsia-Hui Chen Semi-automatic umbrella with an automatically retractable central shaft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43836U (zh) * 1988-08-12 1989-09-06 戴胜通 单钮控制式全自动伞
CN1078126A (zh) * 1992-05-05 1993-11-10 戴胜通 自动开闭伞
CN2216764Y (zh) * 1992-09-11 1996-01-10 吴沃文 轻便型自动收合伞
US5390686A (en) * 1993-11-08 1995-02-21 Lin; Chung-Kuang Multiple-fold automatic umbrella
US5533541A (en) * 1995-05-16 1996-07-09 Cheng; Jonathan Automatic umbrella with multiple operation modes
JP3019319U (ja) * 1995-06-12 1995-12-12 周 龍 交 自動開閉傘
CN2258710Y (zh) * 1996-02-08 1997-08-06 周龙交 动能动程变比式多节中棒定位型自动张收伞
US5617889A (en) * 1996-05-28 1997-04-08 Wu; Woh-Wen Multiple-fold automatic umbrella with reinforced ribs and simplified mechanism
CN2264508Y (zh) * 1996-08-05 1997-10-15 柯金松 自动开收伞
US6016822A (en) * 1998-04-28 2000-01-25 Fu Tai Umbrella Works, Ltd. Automatic umbrella with quadruple folds or the like
US6112755A (en) * 1998-12-15 2000-09-05 Fu Tai Umbrella Works, Ltd. Automatic penta-fold umbrella
US6176246B1 (en) * 1999-03-31 2001-01-23 Fu Tai Umbrella Works, Ltd. Multiple-fold automatic umbrella with simplified structure and shortened length
US6338353B1 (en) * 2000-04-18 2002-01-15 Ming Ho Umbrella Industry Co., Ltd. Self-opening and foldable umbrella
US6360759B1 (en) * 2000-06-02 2002-03-26 Fu Tai Umbrella Works Ltd. Multiple-fold automatic umbrella with penta-fold rope
CN2442558Y (zh) * 2000-09-21 2001-08-15 吴接枝 四折伞的滑动装置
US6484452B2 (en) * 2001-03-23 2002-11-26 Yu-Chou Chen Self-opening/closing umbrella
US6626197B2 (en) * 2001-04-18 2003-09-30 Fu Tai Umbrella Works, Ltd. Multiple-fold automatic umbrella with smoothly wound multiple-rope
JP3085362U (ja) * 2001-10-15 2002-04-26 世▲きん▼ 郭 自動開閉傘の簡易化制御構造
RU2199254C2 (ru) * 2001-12-29 2003-02-27 Алдошин Андрей Анатольевич Складной зонт
JP2003325216A (ja) * 2002-05-10 2003-11-18 Seitai Yosan Yugenkoshi 自動折り畳み式の傘
CN2827075Y (zh) * 2005-08-03 2006-10-18 黄禄财 多折伞的自动开、收装置
US7389784B2 (en) * 2005-12-14 2008-06-24 Shih-Shin Kuo Automatic collapsible umbrell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0936U (ko) * 1996-08-08 1998-05-25 오세용 자동개폐식 우산
KR20100071425A (ko) * 2008-12-19 2010-06-29 후앙 루-짜이 자동으로 접을 수 있는 다단 우산 접이 구조
EP2407046A1 (en) * 2010-07-15 2012-01-18 Hsia-Hui Chen Semi-automatic umbrella with an automatically retractable central sh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76606B2 (en) 2012-10-02
EP2407046A1 (en) 2012-01-18
JP2012020108A (ja) 2012-02-02
CN102326929B (zh) 2013-07-03
RU2466668C1 (ru) 2012-11-20
CN102326929A (zh) 2012-01-25
JP5230763B2 (ja) 2013-07-10
US20120012140A1 (en) 2012-01-19
KR20120007954A (ko) 2012-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1105B1 (ko) 자동적으로 후퇴 가능한 중심 샤프트를 갖는 반자동 우산
KR20100052389A (ko) 안전 작동 손잡이 장치
JP2011005224A (ja) 逆閉じ用傘
KR101940937B1 (ko) 수도꼭지용 스프레이 헤드를 위한 자동 인입 메커니즘
KR890004826B1 (ko) 신축가능한 우산대를 가진 단축식 우산
US7588041B2 (en) Control device for umbrella
JP2012143532A (ja) 傘用ランナー固定装置
KR200437933Y1 (ko) 자동 우산
KR200433181Y1 (ko) 자동 우산
CA2680424A1 (en) Automatically-collapsible multi-folded umbrella
CN110881760A (zh) 伞杆装置及其伞杆传动组件以及电动伞
US20040221884A1 (en) Auto-collapsible umbrella
US20110048479A1 (en) Control structure for automatically opened and closed umbrella
CN108244787B (zh) 远离身体全自动收合之手开折伞
KR200437932Y1 (ko) 자동우산
JP5302349B2 (ja) 折畳傘のハンドル装置
TWM556093U (zh) 遠離身體全自動收合之手開折傘
KR200254313Y1 (ko) 자동우산
US8215324B1 (en) Control structure for automatically folding and unfolding umbrella
US10212997B1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automatic closing structure
EP2572602B1 (en) Shaft structure of automatic umbrella
KR200432922Y1 (ko) 자동우산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CN211632050U (zh) 自动伞蜂巢和自动伞
KR20080098870A (ko) 자동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