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3835B1 - 반자동형 우산 - Google Patents

반자동형 우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3835B1
KR101723835B1 KR1020160100336A KR20160100336A KR101723835B1 KR 101723835 B1 KR101723835 B1 KR 101723835B1 KR 1020160100336 A KR1020160100336 A KR 1020160100336A KR 20160100336 A KR20160100336 A KR 20160100336A KR 101723835 B1 KR101723835 B1 KR 1017238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block
fixed
stand
mov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태
김대성
Original Assignee
김규태
김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태, 김대성 filed Critical 김규태
Priority to KR102016010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38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38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38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19/00Special folding or telescoping of umbrella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02Umbrella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16Automatic openers, e.g. frames with spring mechanism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 형상의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와, 상기 우산대를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모아지는 우산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우산대에는 상부고정블록과 하부고정블록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고정블록 사이를 이동블록이 이동되면서 우산살을 펼치거나 접음으로써 우산을 펴거나 접는 반자동형 우산이다.

Description

반자동형 우산{Semi automatic umbrella}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 형상의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와, 상기 우산대를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모아지는 우산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우산대에는 상부고정블록과 하부고정블록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고정블록 사이를 이동블록이 이동되면서 우산살을 펼치거나 접음으로써 우산을 펴거나 접는 반자동형 우산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이나 양산은 비가 올 때 비를 가리거나 햇빛을 가릴 목적으로 사용하는 도구이며, 사용자의 힘에 의해 우산을 펼치거나 접어서 사용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우산의 경우 우산살과 고정된 이동블록의 일측에 홈이 형성되고 우산대에는 상기 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스프링 방식에 의해 고정되어 있어 우산을 접을 때에는 상기 홈에 돌기를 끼워 고정하게 되는데, 이동블록의 경우 통상 합성수지를 이용한 사출물로 만들어지고 이로써 사용중 파손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우산이 펼쳐질 때 우산살에 탄성을 주기 위해 우산대의 상부에 스프링을 설치하는 것들이 있는데, 우산을 펼칠 때 스프링을 압축해주면서 펼쳐야하므로 힘이 들게 되고,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다양한 형태로 자동우산이 제안되었다.
자동우산과 관련된 종래기술로서는 특허 제10-1077742호에 제안되어 있는 자동우산이 있다.
상기 특허에는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한 우산살과, 신축가능하며 상기 우산대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결합한 슬라이딩수단과, 일단은 상기 우산살의 일측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수단의 일단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한 지지살과, 일단은 상기 지지살의 일측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수단의 타단에 회동할 수 있게 결합한 보조지지살과, 상기 우산살이 상기 우산대의 일단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수단을 신축시키기 위한 작동수단을 포함한 자동우산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복수의 자석을 구비하며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하여 신축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슬라이딩수단의 상기 자석의 자력이 인력 또는 척력이 작용하도록 상기 자석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우산이 있는데, 자석의 자력에 의해 우산을 펼치고 접도록 작동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자석의 회동을 위해 작동수단을 우산대의 내부에 별도로 설치하여야하므로 그 구성이 복잡해지고 이로써 제조비용이 급격히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막대 형상의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와, 상기 우산대를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모아지는 우산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우산을 제공하되, 상기 우산대에는 상부고정블록과 하부고정블록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고정블록 사이를 이동블록이 이동되면서 우산살을 펼치거나 접음으로써 우산을 펴거나 접는 방식을 간편히 하고 고장을 줄여 수명을 늘린 반자동형 우산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하부고정블록 및 이동블록에 각각 영구자석을 설치하여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우산을 펼치거나 고정할 수 있어 우산의 작동을 편리하게 한 반자동형 우산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형 우산은 막대 형상의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와, 상기 우산대를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모아지는 우산천을 포함하여 구성된 우산에 있어서, 상기 우산은 손잡이와 밀착되어 우산대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블록과, 상기 하부고정블록과 일정거리 떨어져 우산대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고정블록과, 상기 상부고정블록과 하부고정블록 사이를 왕복 이동하며 일측에는 우산살이 고정되는 이동블록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형 우산은 막대 형상의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와, 상기 우산대를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모아지는 우산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우산을 제공하되, 상기 우산대에는 상부고정블록과 하부고정블록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고정블록 사이를 이동블록이 이동되면서 우산살을 펼치거나 접음으로써 우산을 펴거나 접는 방식을 간편히 하고 고장을 줄여 수명을 늘린 효과가 있으며, 상,하부고정블록 및 이동블록에 각각 영구자석을 설치하여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우산을 펼치거나 고정할 수 있어 우산의 작동을 편리하게 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분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분 확대구성도
도 5와 6은 본 발명의 타실시 예시도
본 발명은 우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 형상의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와, 상기 우산대를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모아지는 우산천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우산대에는 상부고정블록과 하부고정블록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고정블록 사이를 이동블록이 이동되면서 우산살을 펼치거나 접음으로써 우산을 펴거나 접는 반자동형 우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분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작동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분 확대구성도로써,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형 우산은 막대 형상의 우산대(1)와, 상기 우산대(1)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2)와, 상기 우산대(1)를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모아지는 우산천(4)을 포함하여 구성된 우산에 있어서, 상기 우산은 손잡이(2)와 밀착되어 우산대(1)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블록(20)과, 상기 하부고정블록(20)과 일정거리 떨어져 우산대(1)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고정블록(10)과, 상기 상부고정블록(10)과 하부고정블록(20) 사이를 왕복 이동하며 일측에는 우산살(3)이 고정되는 이동블록(30)으로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
먼저, 우산대(1)는 긴 막대 형상으로 우산의 내구성을 위해 금속재질이나 나무 또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지며, 상기 우산대(1)의 끝단에는 사용자가 우산을 잡는 부분인 손잡이(2)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우산천(4)은 우산살(3)에 의해 우산대(1)를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모아지게 되며, 이러한 우산천(4)은 비가 새지 않도록 방수천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고정블록(20)은 손잡이(1) 쪽으로 우산대(1)에 고정되는 블록이며, 상기 상부고정블록(10)은 하부고정블록(20)과 일정거리 떨어져 우산대(1)에 고정되는 블록이며, 상기 상,하부고정블록(10, 20) 사이에는 우산대(1)를 따라 이동되는 이동블록(30)이 설치되는데, 상기 이동블록(30)에는 우산살(3)이 고정되어 있어 이동블록(30)의 이동에 따라 우산살(3)이 펼쳐지거나 접어짐으로써 결국 우산이 펼쳐지거나 접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상,하부고정블록(10, 20)과 이동블록(30)에는 영구자석(11, 21, 31)이 고정 결합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즉, 상,하부고정블록(10, 20)과 이동블록(30)에는 각각 영구자석(11, 21, 31)이 고정 결합되어 있어, 자석의 자력(자기력)에 의해 이동블록(30)이 상,하부고정블록(10, 20)과 밀착되거나 멀어지도록 힘을 받을 수 있는데, 상,하부고정블록(10, 20)과 이동블록(30) 사이에 자석의 인력이 작용할 경우 서로 밀착되게 되고, 척력이 작용할 경우 서로 밀어내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하부고정블록(10, 20)과 이동블록(30)에 설치되어 있는 영구자석(11, 21, 31)은 N극과 S극이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데, 이로써 이동블록(30)의 회전위치에 따라 상,하부고정블록(10, 20)과 이동블록(3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거나 척력이 작용할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영구자석(11, 21, 31)의 표면에는 '+'와 '-'로 표시되어 있으나, 이는 'N'극과 'S'극을 간편하게 표시하기 위해 사용한 도면부호이다.
상기 이동블록(30)은 우산대(1)를 따라 이동되면서 우산대(1)를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여, 상,하부고정블록(10, 20)과 밀착시킨 상태가 척력이 작용하는 상태라면 이동블록(30)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90° 회전시켜 인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이동블록(30)의 위치를 상,하부고정블록(10, 20)에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동블록(30)에는 우산살고정블록(32)이 설치되어 이동블록(30)의 회전과 관계없이 우산살(3)에 의해 그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우산살고정블록(32)은 이동블록(30)이 우산대(1)를 따라 우산대의 축방향으로 이동될 경우에는 같이 이동되지만, 이동블록(30)이 우산대(1)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더라도 우산살(3)에 의해 그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블록(30)에 의해 우산을 펼친 상태를 유지하거나 접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사용자는 우산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5와 6은 본 발명의 타실시 예시도로써, 상기 우산대(1)에는 홈(5)이 형성되고 이동블록(30)에는 상기 홈(5)에 끼워지는 돌기(33)가 형성되어, 상기 우산대(1)의 홈(5)에 돌기(33)가 끼워진 상태로 이동블록(30)이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우산대(1)에는 이동블록(30)의 회전과 상하이동을 안내해주기 위해 홈(5)을 형성하고, 상기 홈(5)에는 이동블록(30)과 일체로 형성된 돌기(33)가 끼워져 설치됨으로써 이동블록(30)의 이동에 대한 경로를 안내할 수 있어 이동블록(30)의 이동경로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우산대(1)의 홈(5)은 우산대(1)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직홈(5b)과, 우산대(1)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평홈(5a)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수직홈(5b)과 수평홈(5a)은 도 5에 나타나듯이 서로 연통되어 있다.
즉, 수직홈(5b)은 우산대(1)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이동블록(30)의 상하이동을 안내해주는 홈이고, 수평홈(5a)은 우산대(1)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하여 이동블록(30)의 회전을 안내해주는 홈으로써, 수평홈(5a)은 우산대(1)의 하부와 함께 상부에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평홈(5a)은 이동블록(30)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임의로 돌아가 하부고정블록(20)과 이동블록(30) 사이에 척력이 작용할 경우 사용자가 의도치않은 상태에서 우산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연하면, 도 5의 상태에서 이동블록(30)과 하부고정블록(20) 사이에 인력이 작용하고 있는 상태로 가정하고 도 6의 상태로 이동블록(30)을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블록(30)과 하부고정블록(20) 사이에는 척력이 작용할 것이나, 수평홈(5a)의 끝부분에 이동블록(30)의 돌기(33)가 끼워져 있음으로써 이동블록(30)이 임의로 회전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으며, 반대로 도 5의 상태가 이동블록(30)과 하부고정블록(20)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는 상태로 가정하고 도 6의 상태로 이동블록(30)을 회전시키면 상기 이동블록(30)과 하부고정블록(20)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과 홈(5a)에 끼워져 있는 돌기(33)로 인해 이동블록(30)이 완전히 고정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의한 반자동형 우산은 막대 형상의 우산대와, 상기 우산대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와, 상기 우산대를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모아지는 우산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우산을 제공하되, 상기 우산대에는 상부고정블록과 하부고정블록을 고정 설치하고, 상기 상,하부고정블록 사이를 이동블록이 이동되면서 우산살을 펼치거나 접음으로써 우산을 펴거나 접는 방식을 간편히 하고 고장을 줄여 수명을 늘린 효과가 있으며, 상,하부고정블록 및 이동블록에 각각 영구자석을 설치하여 영구자석의 자력에 의해 우산을 펼치거나 고정할 수 있어 우산의 작동을 편리하게 한 현저한 효과가 있다.
1. 우산대 2. 손잡이 3. 우산살
4. 우산천 5. 홈 5a. 수평홈
5b. 수직홈
10; 상부고정블록 11. 영구자석
20; 하부고정블록 21. 영구자석
30; 이동블록 31. 영구자석 32. 우산살고정블록
33. 돌기

Claims (5)

  1. 막대 형상의 우산대(1)와, 상기 우산대(1)에 고정되어 있는 손잡이(2)와, 상기 우산대(1)를 중심으로 펼쳐지거나 모아지는 우산천(4)을 포함하여 구성된 우산에 있어서,
    상기 우산은 손잡이(2)와 밀착되어 우산대(1)에 고정되는 하부고정블록(20)과, 상기 하부고정블록(20)과 일정거리 떨어져 우산대(1)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고정블록(10)과, 상기 상부고정블록(10)과 하부고정블록(20) 사이를 왕복 이동하며 일측에는 우산살(3)이 고정되는 이동블록(30)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하부고정블록(10, 20)과 이동블록(30)에는 영구자석(11, 21, 31)이 고정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우산대(1)에는 홈(5)이 형성되고 이동블록(30)에는 상기 홈(5)에 끼워지는 돌기(33)가 형성되어, 상기 우산대(1)의 홈(5)에 돌기(33)가 끼워진 상태로 이동블록(30)이 이동되고,
    상기 우산대(1)의 홈(5)은 우산대(1)의 축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직홈(5b)과, 우산대(1)의 반경방향을 따라 형성된 수평홈(5a)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수직홈(5b)과 수평홈(5a)은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홈(5a)은 이동블록(30)이 사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임의로 돌아가 하부고정블록(20)과 이동블록(30) 사이에 척력이 작용할 경우 사용자가 의도치않은 상태에서 우산이 펼쳐지는 것을 방지한 것이 특징인 반자동형 우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11, 21, 31)은 N극과 S극이 일정한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반자동형 우산.
  4. 삭제
  5. 삭제
KR1020160100336A 2016-08-05 2016-08-05 반자동형 우산 KR1017238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336A KR101723835B1 (ko) 2016-08-05 2016-08-05 반자동형 우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336A KR101723835B1 (ko) 2016-08-05 2016-08-05 반자동형 우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3835B1 true KR101723835B1 (ko) 2017-04-06

Family

ID=5858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336A KR101723835B1 (ko) 2016-08-05 2016-08-05 반자동형 우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383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7216A (zh) * 2020-01-18 2020-04-28 梅花(晋江)伞业有限公司 一种磁吸式直骨伞及开闭伞方法
KR102242808B1 (ko) * 2019-10-25 2021-04-21 박지윤 실리콘을 이용한 거꾸로 접히는 우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536U (ko) * 1989-08-25 1991-04-15
JP3038536U (ja) * 1996-12-06 1997-06-20 勇 唐 集水機能を有する雨傘
JP2009045360A (ja) * 2007-08-22 2009-03-05 Shu's Selection Co Ltd 傘における下ロクロ固定構造
JP2009100815A (ja) * 2007-10-19 2009-05-14 Shu's Selection Co Ltd 傘における下ロクロ固定構造
KR20100083336A (ko) * 2009-01-13 2010-07-22 신상열 자동우산
JP2013514126A (ja) * 2009-12-16 2013-04-25 イ,ブイル 傘骨アセンブリー及び折り畳み式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536U (ko) * 1989-08-25 1991-04-15
JP3038536U (ja) * 1996-12-06 1997-06-20 勇 唐 集水機能を有する雨傘
JP2009045360A (ja) * 2007-08-22 2009-03-05 Shu's Selection Co Ltd 傘における下ロクロ固定構造
JP2009100815A (ja) * 2007-10-19 2009-05-14 Shu's Selection Co Ltd 傘における下ロクロ固定構造
KR20100083336A (ko) * 2009-01-13 2010-07-22 신상열 자동우산
JP2013514126A (ja) * 2009-12-16 2013-04-25 イ,ブイル 傘骨アセンブリー及び折り畳み式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2808B1 (ko) * 2019-10-25 2021-04-21 박지윤 실리콘을 이용한 거꾸로 접히는 우산
CN111067216A (zh) * 2020-01-18 2020-04-28 梅花(晋江)伞业有限公司 一种磁吸式直骨伞及开闭伞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3835B1 (ko) 반자동형 우산
US7631682B2 (en) Retractable window covering having a length expanding stiffening rod
KR101235960B1 (ko) 우산용 러너 고정 디바이스
GB2408450A (en) Umbrella top notch or crown
CN105433540B (zh)
US9282793B2 (en) Control mechanism of full-automatic multi-folded umbrella
RU2006110028A (ru) Контроллер джойстика для сотового телефона
KR101514836B1 (ko) 접철식 폴대
KR200448498Y1 (ko) 우산
KR200441121Y1 (ko) 커버 겸용 손잡이와 이를 구비한 우산
EP3575104A1 (en) Correction tape capable of self-locking after pushing out guide
KR102135713B1 (ko) 우산 보관 장치
KR101195096B1 (ko) 슬라이드 방식의 접이식 우산
CN209732806U (zh) 一种遮阳伞
KR101485799B1 (ko) 우산 손잡이
US10212997B1 (en) Collapsible umbrella with automatic closing structure
KR101185785B1 (ko) 전동 우산
CN109419116B (zh)
KR101077742B1 (ko) 자동우산
CN217246737U (zh) 伸缩机构及玩具棒
KR200478635Y1 (ko) 우산천 정렬수단을 구비한 우산
KR20180001731U (ko) 반대로 펴는 우산의 우산 접기 구조
KR20100029614A (ko) 자동우산
JP6144395B1 (ja) 簡易収納雨除け
KR200181131Y1 (ko) 자동 보관 우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