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5713B1 - 우산 보관 장치 - Google Patents

우산 보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5713B1
KR102135713B1 KR1020190025422A KR20190025422A KR102135713B1 KR 102135713 B1 KR102135713 B1 KR 102135713B1 KR 1020190025422 A KR1020190025422 A KR 1020190025422A KR 20190025422 A KR20190025422 A KR 20190025422A KR 102135713 B1 KR102135713 B1 KR 102135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fixing hole
housing
storage device
umbrel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5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수린
정주윤
서지윤
박건
Original Assignee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차의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5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57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5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5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는 내측에 내부 통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내부 통로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홀더; 및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홀더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홀더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하부 고정홀 및 상부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하부 고정홀 및 상기 상부 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우산 보관 장치{UMBRELLA HOLDING DEVICE}
본 발명은 우산 보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은 우천 시 비를 피하거나 태양광을 피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우산대와 우산대의 상부에 구비되는 우산살 및 우산살의 상부에 씌워지는 방수천으로 구성된다.
한편, 사용자가 우산을 사용한 후 대중 교통 또는 실내에 입장하는 경우, 우산의 방수천에 빗물 등이 남아있어 우산을 보관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종래에는 이러한 우산 보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우산을 꽂아서 보관하는 우산 꽂이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판되고 있는 우산은 일반적으로 우산대와 우산살이 접철 가능하게 제공되는 단우산과 단우산보다 상대적으로 긴 길이로 구비되고, 우산대와 우산살이 접철되지 않는 장우산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기존의 우산 꽂이는 단일한 깊이로 제공되었다. 따라서, 단일한 우산 꽂이를 사용하여 단우산 및 장우산 모두를 보관하기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단우산 및 장우산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우산 보관 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내부의 깊이를 조절하여 단우산 및 장우산 모두를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우산 보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는 내측에 내부 통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내부 통로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홀더; 및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홀더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홀더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하부 고정홀 및 상부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하부 고정홀 및 상기 상부 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에서 상기 홀더는 우산이 삽입되는 경우 우산을 받치고, 상기 내부 통로의 길이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하부 고정홀 및 상부 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착탈되는 후크; 및 상기 바디와 상기 후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에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에서 상기 후크는, 일측이 상기 바디에 힌지 결합되는 로드부; 및 상기 로드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고정홀 및 상기 상부 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저면은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부 고정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 고정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결속 해제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에서 상기 결속 해제 버튼은, 상기 하부 고정홀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돌출된 단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부 고정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를 상기 하우징 내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에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후크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홀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돌출 구비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측 단부에는 상기 홀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에서 상기 홀더의 상면에는 흡습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에서 상기 홀더의 외주면에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는 단우산 및 장우산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에 구비되는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의 장우산 보관 모드에서 단우산 보관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의 단우산 보관 모드에서 장우산 보관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1)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1)에 구비되는 홀더(200)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1)는 하우징(100), 홀더(200) 및 제1 탄성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우산 보관 장치(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내측에는 홀더(200)가 이동하기 위한 내부 통로(p)가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일 예로서, 상측 단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하우징(100)은 내측에 홀더(200)가 이동할 수 있는 내부 통로를 포함하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은 삼각기둥, 사각기둥 등 다각기둥 형상으로도 구비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내부 통로(p)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길이 방향이란 하우징(100)의 상측 단부에서 하측 단부를 향하는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내부 통로(p)를 따라 홀더(200)가 이동할 수 있으며, 홀더(200)가 결속되는 위치에 따라 우산 보관 장치(1)는 단우산 보관 모드(M1) 또는 장우산 보관 모드(M2)로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단우산 보관 모드(M1)는 하우징(100)의 상측 단부에서 홀더(200) 상면까지의 길이가 제1 길이(L1, 도 5 참조)에 해당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고, 장우산 보관 모드(M2)는 하우징(100)의 상측 단부에서 홀더(200) 상면까지의 길이가 제2 길이(L2, 도 5 참조)에 해당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단우산 보관 모드(M1) 및 장우산 보관 모드(M2)의 상세 구성에 대해선 후술한다.
하우징(100)의 내측에는 홀더(200)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110)이 돌출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 레일(110)은 반경 방향 양측에서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 레일(110)은 홀더(200)의 승강 이동을 안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우징(100) 내측에서 홀더(200)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 레일(110)에 의해 홀더(200)는 회전하지 않고 직선 승강 운동을 할 수 있다. 더하여, 가이드 레일(110)의 상측 단부에는 홀더(20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걸림턱(111)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11)은 홀더(200)가 하우징(100)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에는 하부 고정홀(120) 및 상부 고정홀(130)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고정홀(120) 및 상부 고정홀(130)은 하우징(100)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홀더(200)의 후크(210)는 하부 고정홀(120) 및 상부 고정홀(130)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결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우산 보관 장치(1)가 단우산 보관 모드(M1, 도 5참조)인 경우 홀더(200)는 상부 고정홀(130)에 결속되어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고, 우산 보관 장치(1)가 장우산 보관 모드(M2, 도 6 참조)인 경우 홀더(200)는 하부 고정홀(120)에 결속되어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고정홀(120) 및 상부 고정홀(130)은 길이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의 외주면에는 결속 해제 버튼(140)이 구비될 수 있다. 결속 해제 버튼(140)은 하부 고정홀(120)에 삽입된 홀더(200)를 가압함으로써, 홀더(200)를 하부 고정홀(120)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결속 해제 버튼(140)은 하부 고정홀(120)에 홀더(200)의 삽입부(222)가 삽입된 장우산 보관 모드(M2)에서 단우산 보관 모드(M1)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삽입부(222)를 가압하여 하우징(100)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홀더(200)가 승강 운동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결속 해제 버튼(140)은 하부 고정홀(120)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고, 내측에 하부 고정홀(120)이 배치되도록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케이스(141), 케이스(141)의 돌출된 단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142) 및 케이스(141) 내측에 구비되어 가압부(142)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3 탄성 부재(14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142)는 버튼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가압부(142)를 가압하는 경우, 가압부(142)가 내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하부 고정홀(120)에 삽입된 삽입부(222)를 하우징(100) 내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200)의 삽입부(222)는 하부 고정홀(120)로부터 이탈될 수 있고, 홀더(200)는 승강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제3 탄성부재(143)는 가압부(142)에 반경 방향외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가압부(142)에 가하는 압력을 해제하는 경우 가압부(142)는 본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바닥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배수홀(10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홀(100a)을 통해 하우징(100) 내부에 유입된 물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홀더(200)는 하우징(100)의 내측의 내부 통로(p)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홀더(200)가 하우징(100) 내측에 고정되는 위치에따라 우산 보관 장치(1)의 사용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홀더(200)가 상부 고정홀(130)에 고정되는 경우, 우산 보관 장치(1)는 단우산 보관 모드(M1)로 결정될 수 있고, 홀더(200)가 하부 고정홀(120)에 고정되는 경우, 우산 보관 장치(1)는 장우산 보관 모드(M2)로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홀더(200)는 일 예로서, 우산이 삽입되는 경우 우산을 받치는 바디(210), 바디(210)에 구비되고 하부 고정홀(120) 및 상부 고정홀(130) 중 어느 하나에 착탈되는 후크(220) 및 제2 탄성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210)는 하우징(100)의 내부 통로(p)의 길이 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100)이 원기둥 형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바디(210)는 원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바디(210)의 외주면에는 가이드 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211)은 바디(210)의 반경방향 양측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 깊이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211)에는 하우징(100)의 가이드 레일(110)이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홀더(200)가 이동하는 경우 홀더(200)는 가이드 레일(1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바디(210)의 외주면에는 후크(220)가 입입될 수 있는 인입홈(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인입홈(212)은 후크(220)가 하우징(100)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후크(220)는 하부 고정홀(120) 및 상부 고정홀(130) 중 어느 하나에 착탈됨으로써 홀더(200)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홀더(200)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만들 수 있다. 이러한 후크(220)는 일측이 바디(21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로드(221) 및 로드(221)의 타측에 구비되고 하부 고정홀(120) 및 상부 고정홀(130)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삽입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222)의 저면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부(222)의 저면을 상향 경사지게 구비함으로써, 삽입부(222)가 상부 고정홀(130)에 삽입되어 있는 경우 우산으로 홀더(200)를 가압하면 삽입부(222)의 기구적 형상에 의해 삽입부(222)는 하우징(100)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상부 고정홀(1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2 탄성 부재(230)는 바디(210)와 후크(220) 사이에 구비되어 후크(220)에 외측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탄성 부재(230)는 인입홈(212)에 배치되어 양측 단부가 각각 바디(210) 및 후크(22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홀더(200)는 우산을 받치는 역할을 하는 부재로서, 홀더(200)의 상면에는 우산에서 배출되는 물기를 흡수하기 위한 별도의 흡습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홀더(200)의 외주면에는 홀더(200)의 용이한 승강이동을 보조하기 위해 별도의 베어링(미도시)이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탄성 부재(300)는 일단이 하우징(100)의 바닥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홀더(200)의 저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홀더(200)에 길이 방향 상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홀더(200)가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탄성 부재(300)는 하우징(100)과 홀더(200) 사이에 구비되어 홀더(200)에 탄성력을 인가할 수 있는 다양한 탄성 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일 예로서 제1 탄성 부재(300)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1)의 동작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의 장우산 보관 모드에서 단우산 보관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결속 해제 버튼(140)을 가압하면, 홀더(200)의 삽입부(222)가 하부 고정홀(120)에서 이탈될 수 있다. 삽입부(222)가 하부 고정홀(120)에서 이탈됨으로써 홀더(200)는 이동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되며, 연속 동작으로 홀더(200) 하부에 구비된 제1 탄성 부재(300)에 의해 홀더(200)는 상승하게 된다. 이어서 홀더(200)의 삽입부(222)가 상부 고정홀(130)에 위치하면 제2 탄성 부재(230)에 의해 후크(220)가 회전하여 삽입부(222)는 상부 고정홀(1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1)는 하우징(100) 내부 깊이가 제2 길이(L2)인 장우산 모드(M2)에서 내부 깊이가 제1 길이(L1)인 단우산 모드(M1)로 변경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의 단우산 보관 모드에서 장우산 보관 모드로 전환되는 과정을 도시한 동작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우산(u)으로 홀더(200)를 가압하게 되면, 삽입부(222)는 상부 고정홀(130)에서 이탈될 수 있다. 삽입부(222)의 저면은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홀더(200)를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삽입부(222)는 상부 고정홀(130)로부터 이탈되어 하우징(100)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홀더(200)는 이동 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홀더(200)를 가압하면 홀더(200)는 하강하게되며, 홀더(200)의 삽입부(222)가 하부 고정홀(120)에 위치하면, 제2 탄성 부재(230)에 의해 후크(220)가 회전하여 삽입부(222)는 하부 고정홀(1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 장치(1)는 하우징(100) 내부 깊이가 제1 길이(L1)인 단우산 모드(M1)에서 내부 깊이가 제2 길이(L2)인 장우산 모드(M2)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우산 보관 장치 100: 하우징
110: 가이드 레일 120: 하부 고정홀
130: 상부 고정홀 140: 결속 해제 버튼
200: 홀더 210: 바디
220: 후크 230: 제2 탄성부재
300: 제1 탄성부재

Claims (10)

  1. 내측에 내부 통로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내부 통로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홀더; 및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홀더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홀더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을 관통하여 형성된 하부 고정홀 및 상부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홀더는 상기 하부 고정홀 및 상기 상부 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결속되어 고정될 수 있고,
    상기 홀더는
    우산이 삽입되는 경우 우산을 받치고, 상기 내부 통로의 길이방향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바디;
    상기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회전함에 따라 상기 하부 고정홀 및 상부 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착탈되는 후크; 및
    상기 바디와 상기 후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에 외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우산 보관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는,
    일측이 상기 바디에 힌지 결합되는 로드; 및
    상기 로드의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고정홀 및 상기 상부 고정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의 저면은 외측 방향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우산 보관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주면에는 상기 하부 고정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 고정홀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는 결속 해제 버튼이 구비되는,
    우산 보관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해제 버튼은,
    상기 하부 고정홀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돌출된 단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상기 하부 고정홀에 삽입된 상기 삽입부를 상기 하우징 내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부; 및
    상기 케이스 내측에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3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우산 보관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외주면에는 상기 후크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홈이 형성된,
    우산 보관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는 상기 홀더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레일이 돌출 구비되고,
    상기 홀더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이 삽입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우산 보관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의 상측 단부에는 상기 홀더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우산 보관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상면에는 흡습재가 구비되는,
    우산 보관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외주면에는 베어링이 구비되는,
    우산 보관 장치.
KR1020190025422A 2019-03-05 2019-03-05 우산 보관 장치 KR102135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422A KR102135713B1 (ko) 2019-03-05 2019-03-05 우산 보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5422A KR102135713B1 (ko) 2019-03-05 2019-03-05 우산 보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5713B1 true KR102135713B1 (ko) 2020-07-20

Family

ID=7183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5422A KR102135713B1 (ko) 2019-03-05 2019-03-05 우산 보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57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68187A (zh) * 2021-11-03 2022-01-25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直柄雨伞存放结构
CN113968187B (zh) * 2021-11-03 2024-05-1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直柄雨伞存放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170A (ko) * 2008-02-04 2009-08-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산 건조장치
KR101428652B1 (ko) * 2013-08-27 2014-08-13 유승재 휴대용 우산 보관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85170A (ko) * 2008-02-04 2009-08-07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우산 건조장치
KR101428652B1 (ko) * 2013-08-27 2014-08-13 유승재 휴대용 우산 보관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968187A (zh) * 2021-11-03 2022-01-25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直柄雨伞存放结构
CN113968187B (zh) * 2021-11-03 2024-05-10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直柄雨伞存放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587Y1 (ko) 접이식 자동 우산
KR102135713B1 (ko) 우산 보관 장치
US11490710B2 (en) Lipstick container
KR20130102767A (ko) 화장용 브러시기구
CN207975394U (zh) 一种多功能三脚架
US1999263A (en) Lip stick and cosmetic container
CN210184844U (zh) 一种折叠美容镜
KR20100003429A (ko) 스탠드부가 구비된 우산
KR101541844B1 (ko) 자동으로 우산집에 밀봉되는 우산
KR200471805Y1 (ko) 투명덮개 자동 열림구조를 갖는 콤팩트 화장품 용기
KR101723835B1 (ko) 반자동형 우산
CN110254097A (zh) 一种毛笔放置台
KR101190041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1874696B1 (ko) 채혈샘플 믹서기
KR200441121Y1 (ko) 커버 겸용 손잡이와 이를 구비한 우산
JPS6239815Y2 (ko)
KR20220160785A (ko) 자동 립스틱 용기
CN208769241U (zh) 一种便携式折叠床
CN207242488U (zh) 花盆放置箱
CN219361779U (zh) 一种比色皿存储盒
CN218910911U (zh) 一种折叠脏衣篮
KR101185785B1 (ko) 전동 우산
KR101229082B1 (ko) 거꾸로 접히는 우산
CN213367867U (zh) 一种人工智能手机摄像辅助装置
CN212966726U (zh) 一种大学物理实验用组合光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