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836B1 - 접철식 폴대 - Google Patents

접철식 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836B1
KR101514836B1 KR1020130150181A KR20130150181A KR101514836B1 KR 101514836 B1 KR101514836 B1 KR 101514836B1 KR 1020130150181 A KR1020130150181 A KR 1020130150181A KR 20130150181 A KR20130150181 A KR 20130150181A KR 101514836 B1 KR101514836 B1 KR 101514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pring member
fixing
button
connect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반도레포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반도레포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반도레포츠
Priority to KR1020130150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48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접철식 폴대가 제공된다. 접철식 폴대는, 중공형 제1 하우징과, 제1 하우징에 개방된 제1 고정홈을 포함하는 제1 연결프레임; 제1 하우징에 삽입되는 제2 하우징, 제2 하우징 내부에 개재되는 제1 스프링부재, 제1 스프링부재에 연결되어 제2 하우징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1 고정버튼과, 제2 하우징 외주부에 개방된 제2 고정홈을 포함하는 제2 연결프레임; 및 제2 하우징에 삽입되는 제3 하우징, 제3 하우징 내부에 개재되는 제2 스프링부재와, 제2 스프링부재에 연결되어 제3 하우징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2 고정버튼을 포함하는 제3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제2 연결프레임 인출시에 제1 고정버튼이 제1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3 연결프레임 인출시 제2 고정버튼이 제2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제3 연결프레임 인입시 제3 하우징의 단부가 제2 하우징 내측에서 제1 스프링부재의 타단부에 접하여 고정된다.

Description

접철식 폴대{Collapsible Pole}
본 발명은 접철식으로 수축 또는 신장되는 폴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팩트하게 접철되고, 수축 및 신장시 고정이 용이하며, 구조적 안정성이 높아 충격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접철식 폴대에 관한 것이다.
근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여가 시간이 증가하면서 각종 레저활동과 관련된 전문적인 레저용품을 제공하는 레저용품 시장이 커지고 있다. 등산이나 여행, 낚시와 같이 야외활동이 동반된 대중화된 레저활동에는 텐트나 타프 등과 같은 캠핑장비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캠핑장비는 여러 제조회사에서 다양한 종류가 제공되고 있다.
한편, 텐트나 타프 등의 캠핑장비는 그 형상이나 재질이 다를 수 있으나 모두 지지폴대와 폴대에 의해 지지되는 텐트체를 포함한다. 지지폴대는 캠핑장비의 휴대성을 감안하여 접철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인원을 수용 가능한 대형 타프 등에 적용되는 지지폴대 등은 지지력 확보를 위해 구조적인 안정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26776호에 이러한 지지폴대를 포함하는 텐트구조의 일 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던 지지폴대는 다수의 프레임이 서로 연결 형성된 폴대 구조의 특성상 지지폴대가 컴팩트하게 접철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또한, 접철구조가 취약하여 수축 또는 신장시에 용이하게 고정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으며, 대형 타프 등을 용이하게 지지할 만큼의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기 어려운 등의 문제가 있었던 바,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26776호, (2012. 11.21), 도면 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팩트하게 접철되고, 수축 및 신장시 고정이 용이하며, 구조적 안정성이 높아 충격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접철식 폴대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접철식 폴대는, 복수의 연결프레임이 서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수축 또는 신장되는 접철식 폴대에 있어서, 중공형의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외주부에 개방 형성된 제1 고정홈을 포함하는 제1 연결프레임; 상기 제1 하우징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탄성적으로 개재되는 제1 스프링부재, 상기 제2 하우징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하우징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1 고정버튼과, 상기 제1 고정버튼과 이격되고 상기 제2 하우징 외주부에 개방 형성된 제2 고정홈을 포함하는 제2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제3 하우징, 상기 제3 하우징 내부에 탄성적으로 개재되는 제2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3 하우징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스프링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3 하우징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2 고정버튼을 포함하는 제3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연결프레임 인출시에 상기 제1 고정버튼이 상기 제1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3 연결프레임 인출시 상기 제2 고정버튼이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3 연결프레임 인입시 상기 제3 하우징의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타단부에 접하여 고정된다.
상기 제1 스프링부재는 타단부 말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 내측으로 굴절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버튼 및 상기 제2 고정버튼은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2 스프링부재는 각각의 타단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 내부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재되어, 상기 제1 고정버튼 및 상기 제2 고정버튼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버튼 및 상기 제2 고정버튼은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하우징을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 및 상기 제2 스프링부재는 각각의 타단부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 각각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재되어, 상기 제1 고정버튼 및 상기 제2 고정버튼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버튼은 말단에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고정버튼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누름면, 및 상기 누름면과 연결된 테두리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걸림턱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고정버튼이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해 압박될 때 상기 걸림턱부가 상기 제2 하우징과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의 외주부는 굴절되어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크기가 다른 적어도 2종류의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횡단면이 아치 형상인 제1 돌출부, 및 횡단면이 상기 제1 돌출부의 횡단면보다 큰 아치 형상인 제2 돌출부가 서로 교대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각각은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돌출부의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2 고정홈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각각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모서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3 하우징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지지체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대는, 상기 제3 하우징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제4 하우징, 상기 제4 하우징 내부에 탄성적으로 개재되는 제3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4 하우징을 관통하고 상기 제3 스프링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4 하우징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3 고정버튼을 포함하는 제4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2 고정버튼과 이격되고 상기 제3 하우징 외주부에 개방 형성되는 제3 고정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4 연결프레임 인출시 상기 제3 고정버튼이 상기 제3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4 연결프레임 인입시 상기 제4 하우징의 단부가 상기 제3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제2 스프링부재의 타단부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스프링부재는 타단부 말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3 하우징 내측으로 굴절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버튼 및 상기 제3 고정버튼은 상기 제3 하우징 및 상기 제4 하우징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2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3 스프링부재는 각각의 타단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3 하우징 및 상기 제4 하우징 내부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재되어, 상기 제2 고정버튼 및 상기 제3 고정버튼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버튼 및 상기 제3 고정버튼은 상기 제3 하우징 및 상기 제4 하우징을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2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3 스프링부재는 각각의 타단부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3 하우징 및 상기 제4 하우징 내부에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개재되어, 상기 제2 고정버튼 및 상기 제3 고정버튼을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버튼은 말단에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2 고정버튼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누름면, 및 상기 누름면과 연결된 테두리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걸림턱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2 고정버튼이 상기 제3 하우징을 향해 압박될 때 상기 걸림턱부가 상기 제3 하우징과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4 하우징의 외주부는 굴절되어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크기가 다른 적어도 2종류의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횡단면이 아치 형상인 제1 돌출부, 및 횡단면이 상기 제1 돌출부의 횡단면보다 큰 아치 형상인 제2 돌출부가 서로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각각은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돌출부의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고정홈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모서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4 하우징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지지체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텐트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접철식 폴대는, 내부 스프링부재의 유기적인 구조배치 등을 통해 폴대가 컴팩트하게 접철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축 및 신장시 용이하게 고정되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폴대 각 단의 구조적 안정성이 높아 지지력을 높이고 충격에 의한 변형 등을 최소화 하는 유용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폴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폴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폴대 내부에 개재된 제1 스프링부재 및 이와 연결된 제1 고정버튼을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접철시 제1 스프링부재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폴대를 제4 연결프레임으로부터 제1 연결프레임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폴대 전체의 수축 및 신장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폴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폴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폴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폴대(1)는 복수의 연결프레임이 서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수축되거나 신장된다. 이 때, 인입 및 인출된다는 것은 하나의 연결프레임 내측으로 다른 하나의 연결프레임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진입하거나 반대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빼내어 지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제2 연결프레임(200)은 제1 연결프레임(100)에 삽입되어 제1 연결프레임(100)으로 인입되거나 제1 연결프레임(100)으로부터 빼내어져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접철식 폴대(1)는 적어도 3개의 연결프레임 즉, 제1 연결프레임(100), 제2 연결프레임(200), 및 제3 연결프레임(300)을 포함하며, 필요에 따라서 또 다른 연결프레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4 연결프레임(400)을 포함하는 4단 접철 구조의 접철식 폴대(1)를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한다.
제1 연결프레임(100)은 중공형의 제1 하우징(110)과, 제1 하우징(110) 외주부에 개방 형성된 제1 고정홈(120)을 포함하고, 제2 연결프레임(200)은 제1 하우징(110)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제2 하우징(210), 제2 하우징(210) 내부에 탄성적으로 개재되는 제1 스프링부재(230), 제2 하우징(210)을 관통하고 제1 스프링부재(23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제2 하우징(210)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1 고정버튼(240)과, 제1 고정버튼(240)과 이격되고 제2 하우징(210) 외주부에 개방 형성된 제2 고정홈(220)을 포함하며, 제3 연결프레임(300)은 제2 하우징(210)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제3 하우징(310), 제3 하우징(310) 내부에 탄성적으로 개재되는 제2 스프링부재(330)와, 제3 하우징(310)을 관통하고 제2 스프링부재(33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제3 하우징(310)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2 고정버튼(340)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제2 연결프레임(200) 인출시에 제1 고정버튼(240)이 제1 고정홈(12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3 연결프레임(300) 인출시에는 제2 고정버튼(340)이 제2 고정홈(22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반대로 제3 연결프레임(300) 인입시에는 제3 하우징(310)의 단부가 제2 하우징(210) 내측에서 제1 스프링부재(230)의 타단부와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4 연결프레임(400)이 형성되는 경우, 제4 연결프레임은 제3 하우징(310)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제4 하우징(410), 제4 하우징(410) 내부에 탄성적으로 개재되는 제3 스프링부재(420)와, 제4 하우징(410)을 관통하고 제3 스프링부재(42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제4 하우징(410)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3 고정버튼(430)을 포함하고, 전술한 제3 연결프레임(300)은 제2 고정버튼(340)과 이격되고 제3 하우징(310) 외주부에 개방 형성되는 제3 고정홈(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연결프레임(400) 인출시에 제3 고정버튼(430)이 제3 고정홈(32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반대로 제4 연결프레임(400) 인입시에는 제4 하우징(410)의 단부가 제3 하우징(310) 내측에서 제2 스프링부재(330)의 타단부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접철식 폴대(1)는 각각의 연결프레임이 중공형의 하우징을 포함하고, 이러한 하우징들 상호간에 고정홈과 고정버튼을 유기적으로 형성하여 인출시 서로간의 결속력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고정버튼을 가압하고 하우징 내부에 개재되는 스프링부재를 적절한 형태로 배치 구성함으로써, 연결프레임 인입시에도 인입되는 하우징의 단부가 이러한 스프링부재에 접하여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접철식 폴대(1)가 수축되거나, 신장되는 경우 모두 매우 용이하게 연결프레임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접철식 폴대(1)는 하우징 내부에 스프링부재가 개재되더라도 인입되는 하우징의 단부와 스프링부재가 접하여 고정되는 구조적 특징을 이용하여 더욱 컴팩트하게 접철될 수 있고, 하우징의 외주부가 굴절되어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입체적인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폴대 전체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 등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특징을 갖는 접철식 폴대(1)의 각 구성부와 특징에 대해 각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연결프레임(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의 제1 하우징(110)과, 제1 하우징(110)의 외주부에 개방 형성된 제1 고정홈(12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110)은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바 또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가 비어 제2 하우징(210)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제1 고정홈(120)은 제1 하우징(110) 외주부를 관통하여 개방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2개 이상이 복수개로 형성되어 제1 하우징(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210), 및 제3 하우징(310)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210), 및 제3 하우징(310)의 외주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굴절되어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크기가 다른 적어도 2종류의 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돌출부는 횡단면이 아치 형상인 제1 돌출부(110a, 210a, 310a)와 횡단면이 제1 돌출부(110a, 210a, 310a)보다 큰 아치 형상인 제2 돌출부(110b, 210b, 310b)가 서로 교대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4 연결프레임(400)을 포함하는 경우, 제4 하우징(410)의 외주부 역시 제1 돌출부(410a) 및 제2 돌출부(410b)가 교대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프레임(100)은 이러한 제1 하우징(110)의 끝단부에 지면을 지지하는 모서리부(130)를 포함한다. 즉, 제1 연결프레임(100)은 접철식 폴대(1)가 신장된 채 수직으로 적용되어 여타 지지체를 지지하는 경우, 지면과 인접한 최하방에서 모서리부(130)를 통해 지지점을 형성하고 폴대 전체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제2 연결프레임(200)은 중공형의 제2 하우징(210), 제2 하우징(210) 내부에 탄성적으로 개재되는 제1 스프링부재(230), 제2 하우징(210)을 관통하고 제1 스프링부재(230)에 연결되어 제2 하우징(210)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1 고정버튼(240), 및 제1 고정버튼(240)과 이격되고 제2 하우징(210) 외주부에 개방 형성되는 제2 고정홈(220)을 포함한다.
제2 하우징(210)은 제1 하우징(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역시 내부가 비어 제3 하우징(310)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10)은 제1 하우징(110)에 삽입 가능하도록 최대직경(횡단면 상에서 서로 마주보는 외주부 사이의 거리 중 제일 긴 거리를 말하는 것일 수 있다)이 제1 하우징(110)의 최대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프링부재(230)는 제2 하우징(210) 내부에 개재되고 제1 고정버튼(240)과 연결되어 제1 고정버튼(240)에 탄성력을 전달한다. 이 때 제1 스프링부재(230)의 단부 중 제1 고정버튼(240)과 연결된 단부를 일단부라 하고, 제1 고정버튼(240) 반대편에서 제2 하우징(210)과 접하는 단부를 타단부라 할 때, 제1 스프링부재(230)는 이러한 타단부의 말단 중 적어도 일부가 제2 하우징(2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 하우징(210) 내측으로 굴절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굴절된 부분을 통해, 제3 연결프레임(300) 인입시에 제3 하우징(310)의 단부가 제1 스프링부재(230)의 타단부에 좀더 용이하게 접속되고,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1 고정버튼(240)은 제2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제2 하우징(210)의 외주부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4a 및 도 4b 참조). 즉, 제1 고정버튼(240)은 제2 하우징(210) 내부에 개재된 제1 스프링부재(230)에 의해 제2 하우징(210) 외측으로 가압되되, 외력을 받아 제2 하우징(210)을 향해 압박되면 제2 하우징(210)의 내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제1 고정버튼(240)은 이와 같이 제2 하우징(210) 내, 외측으로 탄성적으로 이동하여 제1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1 고정홈(120)에 삽입되거나, 반대로 제1 고정홈(120)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도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제2 고정홈(2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10) 외주부에 제2 하우징(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고정버튼(240)과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제2 고정홈(220)에는 제3 연결프레임(300) 인출시 제3 연결프레임(300)의 제2 고정버튼(34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제1 고정버튼(240) 및 제2 고정버튼(340)은 제2 하우징(210) 및 제3 하우징(310)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 스프링부재(230)와 제2 스프링부재(330)는 각각의 타단부 즉, 제1 고정버튼(240) 또는 제2 고정버튼(34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단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제2 하우징(210) 및 제3 하우징(310) 내부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재되어 제1 고정버튼(240)과 제2 고정버튼(340)을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버튼(240) 및 제2 고정버튼(340)이 제2 하우징(210) 및 제3 하우징(310)을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하고, 제1 스프링부재(230) 및 제2 스프링부재(330) 역시 각각의 타단부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제2 하우징(210) 및 제3 하우징(310) 각각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개재되어 제1 고정버튼(240)과 제2 고정버튼을 서로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제2 고정홈(220)은 제2 고정버튼(340)과 대응하는 지점(도 6 참조)의 제2 하우징(210)에 개방되어 이러한 제2 고정버튼을 용이하게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 연결프레임에 형성된 고정버튼의 위치를 서로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각 하우징 내부에 개재되는 스프링부재들의 구조 배치가 서로 유기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즉, 고정버튼의 위치와 이를 가압하는 스프링부재의 방향을 의도적으로 바꾸어 접철시에도 각 스프링부재 간의 접촉, 교차 등으로 인한 방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도 후술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상의 제1 스프링부재(230), 제2 스프링부재(330), 및 제3 스프링부재(4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개재된 방향이 다를 뿐 그 구조나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버튼(240), 제2 고정버튼(340), 및 제3 고정버튼(430) 역시 그 관통된 방향이 다를 뿐 구조나 형상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한 것이 되도록, 이하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제2 스프링부재(330) 및 제3 스프링부재(420)의 구조 형상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제1 스프링부재(230)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하고, 제2 고정버튼(340) 및 제3 고정버튼(430)의 구조 형상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는 제1 고정버튼(240)에 대한 설명으로 대신한다.
제3 연결프레임(300)은 중공형의 제3 하우징(310), 제3 하우징(310) 내부에 탄성적으로 개재되는 제2 스프링부재(330), 및 제3 하우징(310)을 관통하고 제2 스프링부재(330)에 연결되어 제3 하우징(310)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2 고정버튼(340)을 포함하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4 연결프레임(400)이 형성되는 경우, 제2 고정버튼(340)과 이격되고 제3 하우징(310) 외주부에 개방 형성되는 제3 고정홈(3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310) 역시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2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가 비어 제4 하우징(410)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제3 하우징(310)은 제2 하우징(210)에 삽입 가능하도록 최대직경이 제2 하우징(210)의 최대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스프링부재(330)는 전술한 제1 스프링부재(2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부재(230)와는 다른 방향으로 개재될 수 있다. 제2 스프링부재(330)는 타단부 말단의 적어도 일부가 제3 하우징(3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3 하우징(310) 내측으로 굴절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고정버튼(340) 역시 전술한 제1 고정버튼(2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버튼(240)과는 다른 방향으로 제3 하우징(310)을 관통할 수 있다. 제3 고정홈(320)은 제4 연결프레임(400)의 제3 고정버튼(430)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하여 개방됨으로써 제3 고정버튼(430)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도 6 참조). 제2 고정홈(220) 및 제3 고정홈(320)은 전술한 제1 고정홈(120)과 마찬가지로 각각 제2 하우징(210) 및 제3 하우징(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제4 연결프레임(400)은 중공형의 제4 하우징(410), 제4 하우징(410) 내부에 탄성적으로 개재되는 제3 스프링부재(420), 및 제3 하우징(310)을 관통하고 제3 스프링부재(420)에 연결되어 제4 하우징(410)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3 고정버튼(430)을 포함한다. 제4 하우징(410) 역시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부가 비어 있어 예를 들어 제5, 제6의 연결프레임(미도시)이 순차적으로 추가 형성되는 경우, 이를 테면, 제5 하우징(미도시) 등을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제4 하우징(410)은 제3 하우징(310)에 삽입 가능하도록 최대직경이 제3 하우징(310)의 최대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스프링부재(420)는 전술한 제1 스프링부재(230), 및 제2 스프링부재(3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프링부재(330)와는 다른 방향으로 개재될 수 있다. 또한, 제3 고정버튼(430) 역시 전술한 제1 고정버튼(240), 및 제2 고정버튼(34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버튼(340)과는 다른 방향으로 제4 하우징(410)을 관통할 수 있다. 즉, 제2 고정버튼(340) 및 제3 고정버튼(430)은 제3 하우징(310) 및 제4 하우징(410)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관통하고, 제2 스프링부재(330)와 제3 스프링부재(420)는 각각의 타단부 즉, 제2 고정버튼(340) 또는 제3 고정버튼(43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단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제3 하우징(310) 및 제4 하우징(410) 내부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재되어 제2 고정버튼(340) 및 제3 고정버튼(430)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한편, 제4 연결프레임(400)은 제4 하우징(410)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지지체(미도시)에 삽입되는 돌기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접철식 폴대(1)가 신장된 채 수직으로 적용되어 여타 지지체를 지지하는 경우, 지면을 지지하는 제1 연결프레임(100)의 반대편 최상단에 제4 연결프레임(400)이 위치하게 되므로, 제4 연결프레임(400)의 돌기부(440)를 지지체에 삽입하여 전술한 모서리부(130) 및 돌기부(440)를 서로 다른 지지점으로 하는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통해, 예를 들어 텐트와 같은 지지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돌기부(440)는 텐트 등에 마련된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도 5의 441 참조)와, 삽입돌기(441)를 지지하고 제4 연결프레임(400)에 연결되는 지지판(도 5의 442 참조)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텐트는 타프(Tarp/Tarpaulin)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직물 등으로 이루어진 텐트체 및 텐트체를 지지하는 지지폴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모두 일컫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돌기부(440)가 제4 연결프레임(400)에 형성되었으나 이로써 한정될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철식 폴대(1)의 연결프레임이 제1 연결프레임(100), 제2 연결프레임(200), 및 제3 연결프레임(300) 만인 경우, 돌기부(440)는 제3 하우징(310)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역시 전술한 지지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돌기부(440)는 접철식 폴대(1)가 본 실시예보다 많은 수의 연결프레임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이를 테면, 제6 연결프레임(미도시), 제7 연결프레임(미도시) 등의 하우징 끝단부에 형성되어 역시 전술한 지지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것이다. 접철식 폴대(1)가 적용되는 지지체의 형상과 크기 등에 대응하여 연결프레임의 개수가 증감되고, 연결프레임의 개수에 따라 돌기부(440)가 형성된 연결프레임이 달라질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제1 스프링부재 및 제1 고정버튼 구조 및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폴대 내부에 개재된 제1 스프링부재 및 이와 연결된 제1 고정버튼을 함께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접철시 제1 스프링부재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스프링부재(230)는 일단부에 제1 고정버튼(240)이 연결되고 타단부는 제1 고정버튼(240)의 반대편으로 연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부재(230)는 타단부의 말단 중 적어도 일부가 제2 하우징(210)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제2 하우징(210) 내측으로 굴절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스프링부재(230)의 타단부에 형성된 굴절부(2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을 이룰 수 있으며, 곡면으로 이루어진 굴절부(231)가 제2 하우징(210)에 접하고 타단부의 말단은 제2 하우징(210) 내측으로 굴절되어 이격될 수 있다(도 4a 참조). 따라서, 이격된 타단부의 말단을 통해 제3 하우징(310)의 단부가 제2 하우징(210)과 굴절부(231)사이로 손쉽게 진입할 수 있다(도 4c 참조).
제1 스프링부재(230)는 제1 고정버튼(240)과 연결된 일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부(231)가 형성된 한 쌍의 단부가 그 반대편으로 대칭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스프링부재(230)의 타단부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버튼(240)의 반대편으로 쌍으로 연장된 단부를 함께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제1 고정버튼(240)은 말단에 형성된 누름면(241), 및 누름면(241)과 연결된 테두리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걸림턱부(242)를 포함한다. 누름면(241)은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고정버튼(240)의 내측으로 만입되어 평면이 아닌 형상, 예를 들어,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평면으로 형성된 누름면(241)과 이러한 누름면(241) 끝단에 연결된 테두리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걸림턱부(242)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이용하여 제1 고정버튼(240)이 제2 하우징(210)을 향해 압박될 때에도 걸림턱부(242)는 제2 하우징(2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제1 고정버튼(240)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10) 내부에 개재되는 제1 스프링부재(230)에 의해 가압되어 제1 하우징(110)의 제1 고정홈(120)에 삽입되며, 이와 같은 경우 누름면(241)과 연결된 걸림턱부(242)는 돌출된 제1 고정버튼(240)의 말단에 위치하여 제1 하우징(110) 또는 제2 하우징(210)과 접촉되지 않는다. 이는 제2 연결프레임(도 1의 200 참조)이 제1 연결프레임(도 1의 100 참조)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일 수 있다.
반면, 제1 고정버튼(240)이 압박되어 제1 하우징(110) 내측으로 이동된 경우, 제1 고정버튼(240) 말단의 걸림턱부(242)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10)에 걸려 제2 하우징(210)과 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는 제2 하우징(210)이 제1 하우징(110)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한 상태 즉, 제2 연결프레임(도 1의 200 참조)이 제1 연결프레임(도 1의 100 참조)으로 인입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는 누름면(241)에 적절한 외력을 가하여 제1 고정버튼(240)을 압박하고 제2 하우징(210)을 제1 하우징(110)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도 걸림턱부(242)를 이용하여 제1 고정버튼(240)이 제2 하우징(210)으로부터 완전히 분리 또는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고정버튼(240)이 압박되면, 제1 스프링부재(230)는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제2 하우징(210) 내부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될 수 있다.
이 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하우징(310)이 다시 제2 하우징(210) 내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삽입될 수 있다. 이는 제3 연결프레임(도 1의 300 참조)이 다시 제2 연결프레임(도 1의 200 참조)으로 인입된 상태로서 접철식 폴대(도 1의 1 참조) 전체가 수축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제3 하우징(310)의 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굴절부(231)를 통해서 제1 스프링부재(230)와 제2 하우징(210) 사이로 매우 용이하게 삽입되며, 아울러 걸림턱부(242)에 의해 제2 하우징(210)과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제1 고정버튼(240)에 접하여 적절한 지점에서 삽입이 저지될 수 있다. 즉, 제3 하우징(310)의 단부는 제2 하우징(210) 내측의 제1 스프링부재(230)와 제1 고정버튼(240)의 쌍에 의해 적절하게 고정되고, 너무 깊이 삽입되지 않도록 그 삽입 정도까지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3 하우징(310) 내측에 위치한 제2 스프링부재(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부재(230)와 반대방향으로 개재됨으로써 서로간의 교차, 접촉 등으로 인한 방해 없이 폴대 전체가 용이하게 접철될 수 있다. 제2 스프링부재(3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제1 스프링부재(230)와 동일한 것으로서 일단부에 제2 고정버튼(340)이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굴절부(331)가 형성될 수 있으며, 다만, 그 개재된 방향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부재(230)와는 반전되어 접철시 제2 스프링부재(330)의 굴절부(331)가 제1 고정버튼(240)과 인접하고 제1 스프링부재(230)의 굴절부(231)와 제2 고정버튼(340)이 서로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 고정버튼(340) 역시 실질적으로 제1 고정버튼(240)과 동일한 것으로서 누름부(341) 및 누름부(341)와 연결된 걸림턱부(342)를 포함할 수 있으며, 걸림턱부(342)에 의해 제3 하우징(310)과의 접촉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각 연결프레임을 구성하는 하우징의 구조적 특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폴대를 제4 연결프레임으로부터 제1 연결프레임을 향해 길이방향으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210), 및 제3 하우징(310)의 외주부는 굴절되어 각각 제1 돌출부(110a, 210a, 310a) 및 제2 돌출부(110b, 210b, 310b)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4 연결프레임(도 1의 400 참조)이 형성된 경우 제4 하우징(410) 역시 굴절되어 제1 돌출부(410a) 및 제2 돌출부(410b)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돌출부(110a, 210a, 310a, 410a)와 제2 돌출부(110b, 210b, 310b, 410b)는 횡단면이 각각 아치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하우징의 지지력을 크게 상승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크기가 큰 아치형상인 제2 돌출부(110b, 210b, 310b, 410b) 사이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아치형상인 제1 돌출부(110a, 210a, 310a, 410a)가 교호로 배치되어 모서리 부분에 해당하는 제1 돌출부(110a, 210a, 310a, 410a)를 제2 돌출부(110b, 210b, 310b, 410b)가 보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110a, 210a, 310a, 410a) 및 제2 돌출부(110b, 210b, 310b, 410b)는 지지점이 바깥쪽을 향하는 아치 형상의 구조로 각 하우징의 외주부를 향해 가해지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해소하며, 크기가 작은 제1 돌출부(110a, 210a, 310a, 410a)가 제2 돌출부(110b, 210b, 310b, 410b)의 사이에 위치하여 각 하우징 외주부의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1 돌출부(110a, 210a, 310a, 410a) 및 제2 돌출부(110b, 210b, 310b, 410b)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하우징의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제1 돌출부(110a, 210a, 310a, 410a) 상호간이 순차적으로 접촉되고, 제2 돌출부(110b, 210b, 310b, 410b) 상호간이 서로 순차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돌출부가 서로 맞물려 서로 다른 하우징 사이의 결속력이 강화된다. 제1 돌출부(110a, 210a, 310a, 410a) 및 제2 돌출부(110b, 210b, 310b, 410b)는 각각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110a, 210a, 310a, 410a)의 쌍이 각 하우징의 외주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제2 돌출부(110b, 210b, 310b, 410b)의 쌍이 각 하우징의 외주부에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서로 마주보는 제1 돌출부(110a, 210a, 310a, 410a)의 쌍 사이 또는 제2 돌출부(110b, 210b, 310b, 410b)의 쌍 사이에 스프링부재가 개재되어 좀 더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제2 돌출부(110b, 210b, 310b, 410b)의 쌍 사이에 각 스프링부재가 개재되고, 이에 따라 각 스프링부재에 연결된 제1 고정버튼(240), 제2 고정버튼(340), 및 제3 고정버튼(430)이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하우징의 제2 돌출부(110b, 210b, 310b, 410b)로부터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접철식 폴대의 작동과정에 대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폴대 전체의 수축 및 신장과정을 도시한 작동도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결프레임(200)이 제1 연결프레임(100)으로부터 인출되고, 제3 연결프레임(300)은 제2 연결프레임(200)으로부터 인출되며, 제4 연결프레임(400)은 다시 제3 연결프레임(300)으로부터 인출되어 접철식 폴대(1) 전체가 신장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제1 스프링부재(230)에 연결된 제1 고정버튼(240)은 제1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1 고정홈(120)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제2 스프링부재(330)에 연결된 제2 고정버튼(340)은 제2 하우징(210)에 형성된 제2 고정홈(22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제3 스프링부재(420)에 연결된 제3 고정버튼(430)은 제3 하우징(310)에 형성된 제3 고정홈(32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복수 개로 형성된 제1 고정홈(120) 중 어느 하나에 제1 고정버튼(240)이 삽입되어 제2 연결프레임(200)의 인출된 길이가 조절되고, 복수 개로 형성된 제2 고정홈(220) 중 어느 하나에 제2 고정버튼(340)이 삽입되어 제3 연결프레임(300)의 인출된 길이가 조절되며, 및 복수 개로 형성된 제3 고정홈(320) 중의 어느 하나에 제3 고정버튼(430)이 삽입되어 제4 연결프레임(400)의 인출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로부터 접철식 폴대(1) 전체의 길이를 사용이 용이한 최적 길이로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스프링부재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부에는 각각의 고정버튼이 연결되고, 타단부에는 굴절부(231, 331, 421)가 형성될 수 있다. 각 굴절부(231, 331, 421) 들은 제2 하우징(210), 제3 하우징(310), 및 제4 하우징(410)에 각각 접하여 지지되며, 이와 같은 상태로 스프링부재들이 각각의 고정버튼에 탄성력을 가하여, 각 고정버튼이 대응하는 고정홈에 삽입된 채 접철식 폴대(1)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신장된 접철식 폴대(1)는 이와 같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텐트 등의 지지체를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위치하도록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이 끝나면 접철식 폴대(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210)을 제1 하우징(110)에 삽입하고, 제3 하우징(310)은 제2 하우징(210)에 삽입하며, 다시 제4 하우징(410)을 제3 하우징(310)에 삽입하여 각 연결프레임(도 6의 100, 200, 300, 400 참조)이 순차적으로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폴대 전체가 컴팩트하게 접철된다. 이 때, 제1 스프링부재(230)와 제2 스프링부재(330)가 제2 하우징(210) 및 제3 하우징(310) 내부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재되고, 제2 스프링부재(330)와 제3 스프링부재(420)가 제3 하우징(310) 및 제4 하우징(410) 내부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재됨으로써, 각 스프링부재 간의 접촉이나 교차가 일어나지 않고 접철식 폴대(1)가 종래에 비해 짧아진 길이로 매우 원활하게 접철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와 같이 접철된 경우 제3 하우징(310)의 단부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프링부재(230)의 타단부 즉, 굴절부(231)가 형성된 단부에 접하여 고정되며, 또한, 제4 하우징(410)의 단부 역시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2 스프링부재(330)의 굴절부(331)가 형성된 단부에 접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따라서, 접철식 폴대(1)는 신장된 경우뿐만 아니라, 수축되어 완전히 접철된 경우에도 접철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하우징(310)의 단부가 제1 고정버튼(240)에 접하고, 역시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4 하우징(410)의 단부가 제2 고정버튼(340)에 접하여 접철시 각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에 무리하게 삽입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적 특징을 이용함으로써 접철식 폴대(1)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고, 또한 편리하게 보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접철식 폴대 100: 제1 연결프레임
110: 제1 하우징
110a, 210a, 310a, 410a: 제1 돌출부
110b, 210b, 310b, 410b: 제2 돌출부
120: 제1 고정홈 130: 모서리부
200: 제2 연결프레임 210: 제2 하우징
220: 제2 고정홈 230: 제1 스프링부재
231, 331, 421: 굴절부 240: 제1 고정버튼
241, 341: 누름면 242, 342: 걸림턱부
300: 제3 연결프레임 310: 제3 하우징
320: 제3 고정홈 330: 제2 스프링부재
340: 제2 고정버튼 400: 제4 연결프레임
410: 제4 하우징 420: 제3 스프링부재
430: 제3 고정버튼 440: 돌기부
441: 삽입돌기 442: 지지판

Claims (16)

  1. 복수의 연결프레임이 서로 인입 및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수축 또는 신장되는 접철식 폴대에 있어서,
    중공형의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외주부에 개방 형성된 제1 고정홈을 포함하는 제1 연결프레임;
    상기 제1 하우징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내부에 탄성적으로 개재되는 제1 스프링부재, 상기 제2 하우징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하우징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1 고정버튼과, 상기 제1 고정버튼과 이격되고 상기 제2 하우징 외주부에 개방 형성된 제2 고정홈을 포함하는 제2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2 하우징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제3 하우징, 상기 제3 하우징 내부에 탄성적으로 개재되는 제2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3 하우징을 관통하고 상기 제2 스프링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3 하우징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2 고정버튼을 포함하는 제3 연결프레임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연결프레임 인출시에 상기 제1 고정버튼이 상기 제1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3 연결프레임 인출시 상기 제2 고정버튼이 상기 제2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3 연결프레임 인입시 상기 제3 하우징의 단부가 상기 제2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제1 스프링부재의 타단부에 접하여 고정되고,
    상기 제1 고정버튼 및 상기 제2 고정버튼은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2스프링부재는 각각의 타단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 내부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재되어, 상기 제1 고정버튼 및 상기 제2 고정버튼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제1 스프링부재는 타단부 말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2 하우징 내측으로 굴절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스프링부재는 타단부 말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3 하우징 내측으로 굴절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고정버튼은 말단에 평면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제1 고정버튼 내측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누름면, 및 상기 누름면과 연결된 테두리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걸림턱부를 포함하여, 상기 제1 고정버튼이 상기 제2 하우징을 향해 압박될 때 상기 걸림턱부가 상기 제2 하우징과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의 외주부는 굴절되어 각각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크기가 다른 적어도 2종류의 돌출부를 형성하되,
    상기 돌출부는 횡단면이 아치 형상이 제1 돌출부, 및 횡단면이 상기 제1 돌출부의 횡당면보다 큰 아치 형상인 제2 돌출부가 서로 교대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 각각은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돌출부의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고정홈, 및 상기 제2 고정홈은 복수 개로 형성되어 각각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접철식 폴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모서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3 하우징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지지체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접철식 폴대.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에 삽입되는 중공형의 제4 하우징, 상기 제4 하우징 내부에 탄성적으로 개재되는 제3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4 하우징을 관통하고 상기 제3 스프링부재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4 하우징 외측으로 가압되는 제3 고정버튼을 포함하는 제4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2 고정버튼과 이격되고 상기 제3 하우징 외주부에 개방 형성되는 제3 고정홈을 더 포함하여,
    상기 제4 연결프레임 인출시 상기 제3 고정버튼이 상기 제3 고정홈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4 연결프레임 인입시 상기 제4 하우징의 단부가 상기 제3 하우징 내측에서 상기 제2 스프링부재의 타단부에 접하여 고정되는 접철식 폴대.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프링부재는 타단부 말단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3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3 하우징 내측으로 굴절되는 부분을 포함하는 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접철식 폴대.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버튼 및 상기 제3 고정버튼은 상기 제3 하우징 및 상기 제4 하우징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제2 스프링부재와 상기 제3 스프링부재는 각각의 타단부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3 하우징 및 상기 제4 하우징 내부에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개재되어, 상기 제2 고정버튼 및 상기 제3 고정버튼을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가압하는 접철식 폴대.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고정홈은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기 제3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는 접철식 폴대.
  15.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 하우징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지면을 지지하는 모서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4 하우징의 끝단부에 결합되어 지지체에 삽입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접철식 폴대.
  16. 제 10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텐트인 접철식 폴대.
KR1020130150181A 2013-12-04 2013-12-04 접철식 폴대 KR101514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181A KR101514836B1 (ko) 2013-12-04 2013-12-04 접철식 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181A KR101514836B1 (ko) 2013-12-04 2013-12-04 접철식 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4836B1 true KR101514836B1 (ko) 2015-04-24

Family

ID=5305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181A KR101514836B1 (ko) 2013-12-04 2013-12-04 접철식 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48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457U (ko) * 2019-04-29 2020-11-09 제이엔에스 주식회사 캠핑용품 설치용 폴대
KR102416367B1 (ko) * 2021-01-27 2022-07-06 ㈜에르젠아웃도어 테이블로 사용 가능한 왜건
KR102518193B1 (ko) * 2021-10-22 2023-04-05 (주)먹통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WO2023163443A1 (ko) * 2022-02-23 2023-08-31 (주)먹통 접이식 길이조절기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577U (ja) * 1993-02-24 1994-09-16 株式会社エキスパートオブジャパン テント用ポール
KR20000066911A (ko) * 1999-04-17 2000-11-15 이윤복 텐트용 폴대의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577U (ja) * 1993-02-24 1994-09-16 株式会社エキスパートオブジャパン テント用ポール
KR20000066911A (ko) * 1999-04-17 2000-11-15 이윤복 텐트용 폴대의 보강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457U (ko) * 2019-04-29 2020-11-09 제이엔에스 주식회사 캠핑용품 설치용 폴대
KR200494071Y1 (ko) * 2019-04-29 2021-07-27 제이엔에스 주식회사 캠핑용품 설치용 폴대
KR102416367B1 (ko) * 2021-01-27 2022-07-06 ㈜에르젠아웃도어 테이블로 사용 가능한 왜건
KR102518193B1 (ko) * 2021-10-22 2023-04-05 (주)먹통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WO2023068667A1 (ko) * 2021-10-22 2023-04-27 (주)먹통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WO2023163443A1 (ko) * 2022-02-23 2023-08-31 (주)먹통 접이식 길이조절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836B1 (ko) 접철식 폴대
US6152157A (en) One-touch assembling collapsible tent frame
US8893737B2 (en) Tent skeleton and tent
US9382723B2 (en) Mechanism for folding and unfolding a tent or awning
WO2017028659A1 (zh) 一种中心锁及帐篷
US20060289048A1 (en) Top localization mechanism of bell folding tent frame
US8469045B2 (en) Collapsible tent frame
US7210491B2 (en) Umbrella structure
AU2015101341A4 (en) Umbrella
US9504299B2 (en) Telescopic umbrella structure
JP3205186U (ja) テントのホルダ構造
KR102031034B1 (ko) 접이식 폴대
US11576496B2 (en) Tensioning mechanism for a cot and a cot thereof
KR200465544Y1 (ko) 레저용 다단식 스틱
KR200484217Y1 (ko) 다단 접이식 폴대
CN205640134U (zh) 伸缩杆及可伸缩的自拍装置
KR200451929Y1 (ko) 텐트 혹은 파라솔의 상단지지부 구조
CN212317626U (zh) 遮阳棚支架及遮阳棚
US11160384B2 (en) Folding bedstead and folding bed
CN111513493A (zh) 一种组合式桌凳
US8628064B2 (en) Multi-section pulling rod structure
US7225821B2 (en) Umbrella structure
CN202831778U (zh) 帐篷杆件连接结构
KR200347258Y1 (ko) 텐트 또는 천막의 프레임 구조
KR20160000285U (ko) 절첩식 텐트의 상부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