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8193B1 -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 Google Patents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8193B1
KR102518193B1 KR1020210142170A KR20210142170A KR102518193B1 KR 102518193 B1 KR102518193 B1 KR 102518193B1 KR 1020210142170 A KR1020210142170 A KR 1020210142170A KR 20210142170 A KR20210142170 A KR 20210142170A KR 102518193 B1 KR102518193 B1 KR 102518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pole
protrusion
adjusting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명현
이민경
Original Assignee
(주)먹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먹통 filed Critical (주)먹통
Priority to KR1020210142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8193B1/ko
Priority to JP2023546168A priority patent/JP2024505243A/ja
Priority to PCT/KR2022/015594 priority patent/WO2023068667A1/ko
Priority to CA3208909A priority patent/CA3208909A1/en
Priority to US18/261,857 priority patent/US20240084618A1/en
Priority to CN202280011522.4A priority patent/CN116829797A/zh
Priority to AU2022373000A priority patent/AU202237300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8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8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6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telescoping and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폴대의 내부에 길이조절폴대가 상하로 연장 및 단축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길이조절폴대의 내부에 길이조절부재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길이조절폴대를 원하는 위치에 연장 및 단축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Pole with adjustable length}
본 발명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에 관한 것으로서, 메인폴대의 내부에 길이조절폴대가 상하로 연장 및 단축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길이조절폴대의 내부에 길이조절부재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길이조절폴대를 원하는 위치에 연장 및 단축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여가 시간이 증가하면서 각종 레저활동과 관련된 전문적인 레저용품을 제공하는 레저용품 시장이 커지고 있다. 등산이나 여행, 낚시와 같이 야외활동이 동반된 대중화된 레저활동에는 텐트나 타프 등과 같은 캠핑장비가 필수적이며, 이러한 캠핑장비는 여러 제조회사에서 다양한 종류가 제공되고 있다.
한편, 텐트나 타프 등의 캠핑장비는 그 형상이나 재질이 다를 수 있으나 모두 지지폴대와 폴대에 의해 지지되는 텐트체를 포함한다. 지지폴대는 캠핑장비의 휴대성 또는 보관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절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인원을 수용 가능한 대형 타프 또는 천막 등에 적용되는 지지폴대 등은 지지력 확보를 위해 구조적인 안정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상기한 절첩식 폴대는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2020-0002457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절첩식 폴대는 제1파이프를 기점으로 하여 제2~5파이프가 각각 슬라이드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순차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2~5파이프의 후단부측에 형성된 관통공에 내측으로부터 걸림돌기가 위치하며, 상기 걸림돌기를 외측으로 밀어주기 위한 탄성부 및 제1~4파이프의 선단부측에 걸림돌기가 끼워져 걸릴 수 있도록 하는 다수개의 걸이공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절첩식 폴대는 걸이공에 걸림돌기가 삽입 고정되어 파이프의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파이프의 길이조절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걸림돌기를 가압하여 걸이공과 걸림돌기의 고정을 해제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파이프의 길이조절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걸이공에 걸림돌기가 정확히 삽입 고정되지 않아서 파이프의 고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20-2020-0002457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메인폴대의 내부에 길이조절폴대가 상하로 연장 및 단축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길이조절폴대의 내부에 길이조절부재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간단한 조작으로 길이조절폴대를 원하는 위치에 연장 및 단축할 수 있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는,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측면부에 전후로 관통되는 걸림홀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세워지는 메인폴대와,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메인폴대의 내부에 상하로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조절폴대와, 상기 메인폴대의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폴대의 내부를 따라 상기 길이조절폴대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홀을 통해 상기 메인폴대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 고정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길이조절폴대의 상,하 이동시, 상기 걸림홀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양단에 각각 소정각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플렉시블한 판재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길이조절폴대의 내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돌기에 고정되어 상기 걸림돌기를 일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지지편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일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의 누름동작을 안내하는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의 하부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의 내부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누름부의 상단에는, 상기 누름부의 상부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의 상측 내부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의 직선구간(H)은 2mm ~ 5mm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돌기의 폭(W)은 7mm ~ 7.5mm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지지편의 설치각도는 30°~ 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돌기의 길이(L)은 13mm~20mm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 폴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메인폴대의 내부에 길이조절폴대가 상하로 연장 및 단축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길이조절폴대의 내부에 길이조절부재가 설치되어 간단한 조작으로 길이조절폴대의 연장 및 단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폴대의연장 및 단축 동작이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조작성 및 사용편리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걸림돌기에 누름부가 형성됨에 따라 길이조절폴대의 당김 동작으로 걸림돌기의 걸림 고정이 손쉽게 해제 될 수 있으므로, 폴대의 연장 동작시 조작편리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걸림돌기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걸림홀의 내부 상단에 걸림 고정됨에 따라 강풍에 의해 발생되는 당김력에 길이조절폴대가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걸림돌기의 고정부가 걸림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걸림 고정됨에 따라 걸림돌기의 걸림 고정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폴대의 내부에 길이조절폴대가 접힘동작상태에서 내부에 길이조절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폴대의 외부로 길이조절폴대가 펼침동작된 상태에서 길이조절부재가 걸림홀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확대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폴대의 외부로 길이조절폴대가 펼침동작된 상태에서 길이조절부재가 걸림홀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확대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길이조절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길이조절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길이조절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11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림돌기가 걸림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길이조절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가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폴대의 내부에 길이조절폴대가 접힘동작상태에서 내부에 길이조절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폴대의 외부로 길이조절폴대가 펼침동작된 상태에서 길이조절부재가 걸림홀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눈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메인폴대의 외부로 길이조절폴대가 펼침동작된 상태에서 길이조절부재가 걸림홀에 걸림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길이조절부재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길이조절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길이조절부재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는,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측면부에 전후로 관통되는 걸림홀(12)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세워지는 메인폴대(10)와,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메인폴대(10)의 내부에 상하로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조절폴대(20)와, 상기 메인폴대(10)의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폴대(10)의 내부를 따라 상기 길이조절폴대(20)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홀(12)을 통해 상기 메인폴대(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 고정되는 길이조절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부재(30)는,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상,하 이동시, 상기 걸림홀(1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32)와, 상기 걸림돌기(32)의 양단에 각각 소정각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플렉시블한 판재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내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돌기(32)에 고정되어 상기 걸림돌기(32)를 일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지지편(40)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32)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일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걸림돌기(32)의 누름동작을 안내하는 누름부(34)와, 상기 누름부(34)의 하부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12)의 내부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부(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메인폴대(10)는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메인폴대(10)는 원통 관체 또는 각형 관체 등 다양한 관체가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각형 관체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메인폴대(10)는 바닥면에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세워진 상태로 사용되며, 내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술할 길이조절폴대(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폴대(10)의 측면에는 걸림홀(1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홀(12)은 상기 메인폴대(10)의 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관통 형성된다.
상기 걸림홀(12)은 도 7과 같이,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걸림홀(12)의 내부에는 후술할 길이조절부재(30)의 걸림돌기(32)가 관통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메인폴대(10)의 하부에는 받침대(14)가 설치된다. 상기 받침대(14)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14)의 하부면은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하부로 갈수록 점차 뾰족하게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의 일부분은 상기 메인폴대(10)의 하단부에 삽입 결합되고, 나머지 부분은 상기 메인폴대(10)의 하부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받침대(14)는 상기 메인폴대(10)의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메인폴대(10)의 하단부가 바닥면에 닿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메인폴대(10)의 내부에는 길이조절폴대(20)가 설치된다. 상기 길이조절폴대(20)는 상기 메인폴대(10)와 마찬가지로 금속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폴대(20)는 원통 관체 또는 각형 관체 등 다양한 관체가 적용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각형 관체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길이조절폴대(20)는 외경은 상기 메인폴대(1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길이조절폴대(20)는 상기 메인폴대(10)의 내부에 상하로 습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길이조절폴대(20)는 상기 메인폴대(10)의 상측 개방부를 통해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폴대 전체의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측면에는 제1걸림홀(2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의한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가 2단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길이조절폴대(20)에 제1걸림홀(22)이 형성될 필요가 없으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가 3단 이상으로 적용되는 경우에는 제1걸림홀(22)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는 3단 폴대가 적용된 구조가 적용됨에 따라 제1걸림홀(22)에 대해 도시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걸림홀(22)은 상기 메인폴대(10)에 형성되는 걸림홀(12)과 마찬가지로 도 6 및 도 7과 같이, 장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1걸림홀(22)의 내부에는 후술할 제1길이조절부재(30)의 걸림돌기(32)가 관통 삽입되어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길이조절부재(3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내부에는 길이조절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길이조절부재(30)는 크게 걸림돌기(32)와 탄성지지편(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걸림돌기(32)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 상부면에 하향 경사면을 가지는 누름부(34)와, 상기 누름부(34)의 하부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12)의 내부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부(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부(34)는 상부면에 하향 경사면을 가지는 육면체 형상의 블럭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홀(12)에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부분이다.
즉, 상기 메인폴대(10)에서 상기 길이조절폴대(20)가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상기 걸림홀(12)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누름부(34)의 하향 경사면이 상기 걸림홀(12)의 내측테두리부와 접촉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32)의 누름동작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누름부(34)의 하향 경사면 구조에 의해 상기 길이조절폴대(20)가 사용자에 의해 상측방향으로 당겨지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홀(12)의 상측에 위치하는 내측테두리부와 접촉되고, 상기 걸림돌기(32)가 경사면을 따라 누름동작됨으로써, 사용자는 별도로 상기 걸림돌기(32)를 눌러줄 필요 없이 당김동작만으로도 손쉽게 상기 걸림돌기(32)의 누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누름부(34)의 하부에는 고정부(36)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6)는 상기 걸림홀(1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6)는 상기 걸림돌기(32)가 상기 걸림홀(12)에 걸림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걸림홀(12)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고정부(36)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32)가 상기 걸림홀(12)에 걸림 고정됨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폴대(20)에 일정 이상의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돌기(32)의 고정이 쉽게 해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가압력으로 상기 길이조절폴대(20)를 눌러주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돌기(32)가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내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걸림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즉,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길이 연장을 위해 상기 길이조절폴대(2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누름부(34)의 하향 경사면을 따라 상기 걸림돌기(32)가 누름 동작됨으로써,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상승동작이 간단한 조작으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반대로,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길이 단축을 위해 하부 방향으로 상기 길이조절폴대(20)를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가압력으로 상기 길이조절폴대(20)를 눌러줌으로써, 상기 고정부(36)와 걸림홀(12)의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부(36)가 상기 걸림홀(12)에 하측 내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일정 이하의 가압력이 상기 길이조절폴대(20)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걸림 고정이 해제되지 않으며, 일정 이상의 가압력이 상기 길이조절폴대(20)에 작용하는 경우에만 걸림 고정이 해제됨으로써, 일정 이하의 가압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36)와 걸림홀(12)의 걸림고정이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돌기(32)의 상,하측에는 각각 탄성지지편(40)이 설치된다. 상기 탄성지지편(40)은 플렉시블한 판재로 이루어져, 상기 걸림돌기(32)의 상,하측 양단에 각각 소정 각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된다. 상기 탄성지지편(40)의 일단은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내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돌기(32)에 고정되어, 상기 걸림돌기(32)를 일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편(40)의 끝단에는 지지단(42)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42)은 도 9와 같이 상기 탄성지지편(40)의 끝단에 상기 탄성지지편(40)과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지지단(42)은 상기 탄성지지편(40)의 끝단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내부면과 면접촉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상기 탄성지지편(40)의 탄성 변형시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내부면과 상기 탄성지지편(40)의 마찰을 최소화할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길이조절부재(30)의 세부적인 스펙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누름부(34)의 경우에는 경사각도가 40°~ 50°범위 이내로 형성됨이 바람직한다.
이는 성인을 기준으로 당기는 힘이 평균적으로 8kgf를 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인의 당기는 힘을 기준으로 6kgf~8kgf의 당기는 힘이 상기 누름부(34)에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걸림돌기(32)가 누름 동작될 수 있도록 상기 누름부(34)의 경사각도가 40°~ 50°범위 이내로 적용되어야 한다.
상기 걸림돌기(32)의 길이(L)와 폭(W)은 13mm ~ 20mm, 7mm ~ 7.5mm 범위 이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부(34)의 경사각도와 와 고정부(36)의 직선구간을 각각 40°~ 50°와 2mm ~ 5mm 범위 이내로 형성됨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돌기의 길이(L)와 폭(W)은 13mm ~ 20mm와 7mm ~ 7.5mm 범위 이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돌기(32)의 길이(L)와 폭(W)은 성인의 당기는 힘(6kgf~8kgf)과 누르는 힘(8kgf~10kgf)을 기준으로 상기 걸림돌기(32)의 길이(L)과 폭(W)이 13mm ~ 20mm와 7mm ~ 7.5mm 범위 이내로 형성되어야 하며, 이로 인해 상기 걸림돌기(32)의 동작이 적정 설계범위 내에서 걸림 고정 및 걸림 고정의 해제 동작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지지편(40)의 경우에는 설치각도가 30°~ 60°범위 이내로 형성됨이 바람직한다.
앞선 설명에서 성인의 당기는 힘과 누르는 힘이 각각 6kgf~8kgf, 8kgf~10kgf 가압력이 상기 탄성지지편(40)에 가해질 수 있으며, 당기는 힘과 누르는 힘을 고려하여 상기 걸림돌기(32)의 동작을 위해 상기 탄성지지편(40)이 탄성 변형 될 수 있도록 상기 탄성지지편의 설치각도는 30°~ 60°범위 이내로 적용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누름부(34)의 경사각도와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32)의 길이(L)와 폭(W) 및 탄성지지편(40)의 설치각도를 설계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길이조절폴대(20)의 연장 및 단축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걸림돌기의 고정력을 유지하기 위한 적절한 탄성력 및 걸림력을 상기 걸림돌기(32)에 부가줄 수 있다.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내부에는 제1길이조절폴대(24)가 추가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길이조절폴대(24)는 본 발명에 의한 길이 조절가능한 폴대가 3단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길이조절폴대(24)는 상기 길이조절폴대(20)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내부에 상기 제1길이조절폴대(24)가 습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길이조절폴대(24)의 외경이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길이조절폴대(24)는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내부에 상하로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내부를 따라 상부 방향으로 연장 또는 단축될 수 있다.
상기 제1길이조절폴대(24)의 내부에는 상기 길이조절폴대(20)와 마찬가지로 길이조절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길이조절부재(30)는 상기 길이조절폴대(2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1길이조절폴대(24)의 상단에는 고정핀부재(50)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핀부재(50)는 고정핀(54)과 고정몸체(52)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몸체(52)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블럭 형태로 이루어져,일부분이 상기 제1길이조절폴대(24)의 내부에 압입 고정되고, 나머지부분이 상측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고정몸체(52)는 상기 제1길이조절폴대(24)의 상측 개방부에 설치되어, 상기 제1길이조절폴대(24)의 상측 개방부를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고정몸체(52)의 상단 중앙에는 고정핀(54)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핀(54)은 상기 고정몸체(52)와 일체로 형성되며,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54)은 상기 고정몸체(52)의 상부면 중앙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상기 고정핀(54)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로프체결홈(미도시)이 형성되어, 텐트 또는 천막에 직접 고정되거나, 텐트 또는 천막과 연결된 로프 또는 끈이 감겨져 고정되는 부분이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걸림돌기가 걸림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길이조절부재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길이조절부재의 걸림돌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누름부(34)의 상부에는 걸림부(38)가 더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38)는 상기 걸림홀(12)에 상측 내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8)는 상기 걸림돌기(32)가 상기 걸림홀(12)에 걸림 고정되는 경우에 상기 걸림홀(12)에 상측테두리부에 걸림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8)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32)가 상기 걸림홀(12)의 상측테두리부에 걸림 고정됨에 따라 상기 길이조절폴대(20)에 일정 이상의 당김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돌기(32)의 고정이 쉽게 해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가압력으로 상기 길이조절폴대(20)를 당기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돌기(32)의 걸림 고정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연장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38)가 상기 걸림홀(12)에 상측 내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됨에 따라 일정 이하의 당김력이 상기 길이조절폴대(20)에 작용하는 경우에는 걸림 고정이 해제되지 않으며, 일정 이상의 당김력이 상기 길이조절폴대(20)에 작용하는 경우에만 걸림 고정이 해제됨으로써, 일정 이하의 당김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걸림부(38)와 걸림홀(12)의 걸림고정이 쉽게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34)에 상부에 상기 걸림부(38)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걸림돌기(32)와 상기 걸림홀(12)의 걸림 고정이 쉽게 해제되지 않으며, 특히 강풍에 의해 상기 길이조절폴대(20)에 당김력이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길이조절폴대가 연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38)의 직선구간(H)은 2mm ~ 5mm 범위 이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성인을 기준으로 당기는 힘이 평균적으로 8kgf를 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성인의 당기는 힘을 기준으로 6kgf~8kgf의 당기는 힘이 상기 걸림부(38)에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걸림돌기(32)의 걸림 고정이 해제될 수 있도록 상기 걸림부(38)의 직선구간(H)를 2mm ~ 5mm 범위 이내로 적용되어야 한다.
또한, 강풍에 의해 상기 길이조절폴대(20)가 당겨지는 경우 일반적으로 약 6kgf이하의 당김력이 상기 길이조절폴대(20)에 작용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걸림부(38)의 직선구간(H)을 2mm ~ 5mm 범위 이내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의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사용자가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를 연장하기 위해서는 메인폴대(10)에 삽입된 길이조절폴대(20) 또는 제1길이조절폴대(24)를 끝단을 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부 방향으로 당겨준다.
사용자의 길이조절폴대(20)의 연장 동작에 의해 상기 메인폴대(10)로 부터 상기 길이조절폴대(20)가 상승 동작되고, 사용자는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을 상부로 이동시킨 후 상기 메인폴대(10)에 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홀(12)에 걸림돌기(32)를 삽입하여 상기 길이조절폴대(20)를 연장시킬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인접한 위치의 걸림홀(12)에 상기 걸림돌기(32)를 걸림 고정하지 않고 한 칸 위의 걸림홀(12)에 상기 걸림돌기(32)를 고정시키기 원하는 경우에는 일정 속도 이상으로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을 당겨주어 걸림 고정을 원하지 않는 상기 걸림홀(12)에 상기 걸림돌기(32)가 걸림 고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길이조절폴대(20)가 연장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돌기(32)의 누름부(34)에 의해 상기 걸림돌기(32)의 이탈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연장 동작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걸림돌기의 고정부(36)가 상기 걸림홀(12)의 하단테두리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견고하게 걸림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홀(12)에 상기 걸림돌기(32)가 걸림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을 단축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을 연장방향(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걸림돌기(32)를 상기 메인폴대(10)의 내부에 탄성 변형되도록 누름 동작시킨 후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을 빠른 속도로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단축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메인폴대 12. 걸림홀
20. 길이조절폴대 22. 제1걸림홀
24. 제1길이조절폴대 30. 길이조절부재
32. 걸림돌기 34. 누름부
36. 걸림부 40. 탄성지지편
42. 지지단 50. 고정핀부재

Claims (6)

  1.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측면부에 전후로 관통되는 걸림홀(12)이 형성되고, 바닥면에 세워지는 메인폴대(10)와;
    내부가 중공된 관체로 이루어져,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메인폴대(10)의 내부에 상하로 습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길이조절폴대(20)와;
    상기 메인폴대(10)의 내부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메인폴대(10)의 내부를 따라 상기 길이조절폴대(20)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에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홀(12)을 통해 상기 메인폴대(1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걸림 고정되는 길이조절부재(30)를 포함하며;
    상기 길이조절부재(30)는,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상,하 이동시, 상기 걸림홀(12)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32)와;
    상기 걸림돌기(32)의 양단에 각각 소정각도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며, 플렉시블한 판재로 이루어져, 일단은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내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돌기(32)에 고정되어 상기 걸림돌기(32)를 일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한 쌍의 탄성지지편(40)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32)는,
    상단부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12)의 상측 내부에 걸림 고정되는 걸림부(38)와;
    하단부에 직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걸림홀(12)의 하측 내부에 걸림 고정되는 고정부(36)와;
    상기 걸림부(38)와 상기 고정부(36) 사이에 일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32)의 누름동작을 안내하는 누름부(34)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36)의 직선구간이 상기 걸림부(38)의 직선구간(H)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탄성지지편(40)의 끝단에는,
    상기 탄성지지편(40)과 반대방향으로 라운드지게 절곡 형성되며, 상기 길이조절폴대(20)의 내부면과 면접촉되는 지지단(42)이 더 구비되고;
    상기 누름부(34)의 높이는 상기 길이조절폴대(20)가 상기 메인폴대(10)로부터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점차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길이조절폴대(20)가 상기 메인폴대(10)에 대해 상대 이동되면 상기 걸림돌기(32)가 상기 누름부(34)의 경사면에 의해 누름동작되면서 상기 걸림홀(12)의 내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38)의 직선구간(H)은 2mm ~ 5mm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편(40)의 설치각도는 30°~ 6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32)의 길이(L)은 13mm~20mm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32)의 폭(W)은 7mm ~ 7.5mm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KR1020210142170A 2021-10-22 2021-10-22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KR102518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170A KR102518193B1 (ko) 2021-10-22 2021-10-22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JP2023546168A JP2024505243A (ja) 2021-10-22 2022-10-14 長さ調整可能なポール
PCT/KR2022/015594 WO2023068667A1 (ko) 2021-10-22 2022-10-14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CA3208909A CA3208909A1 (en) 2021-10-22 2022-10-14 Length-adjustable pole
US18/261,857 US20240084618A1 (en) 2021-10-22 2022-10-14 Length-adjustable pole
CN202280011522.4A CN116829797A (zh) 2021-10-22 2022-10-14 长度可调杆
AU2022373000A AU2022373000A1 (en) 2021-10-22 2022-10-14 Length-adjustable po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2170A KR102518193B1 (ko) 2021-10-22 2021-10-22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8193B1 true KR102518193B1 (ko) 2023-04-05

Family

ID=85884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2170A KR102518193B1 (ko) 2021-10-22 2021-10-22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40084618A1 (ko)
JP (1) JP2024505243A (ko)
KR (1) KR102518193B1 (ko)
CN (1) CN116829797A (ko)
AU (1) AU2022373000A1 (ko)
CA (1) CA3208909A1 (ko)
WO (1) WO202306866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9166A (ja) * 2002-09-18 2005-12-22 クォン,ヒョク−チョン 着脱性が優れた移動式キャンプの結合部材
KR20110129323A (ko) * 2010-05-25 2011-12-01 휴먼전자 주식회사 운반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텐트
KR101514836B1 (ko) * 2013-12-04 2015-04-24 주식회사 반도레포츠 접철식 폴대
KR20200002457U (ko) 2019-04-29 2020-11-09 제이엔에스 주식회사 캠핑용품 설치용 폴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851U (ko) * 2011-11-04 2013-05-14 김광석 길이조절이 용이한 폴대
KR20170047835A (ko) * 2015-10-26 2017-05-08 장동학 길이 조절이 편리한 폴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39166A (ja) * 2002-09-18 2005-12-22 クォン,ヒョク−チョン 着脱性が優れた移動式キャンプの結合部材
KR20110129323A (ko) * 2010-05-25 2011-12-01 휴먼전자 주식회사 운반과 보관이 용이한 접이식 텐트
KR101514836B1 (ko) * 2013-12-04 2015-04-24 주식회사 반도레포츠 접철식 폴대
KR20200002457U (ko) 2019-04-29 2020-11-09 제이엔에스 주식회사 캠핑용품 설치용 폴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68667A1 (ko) 2023-04-27
CN116829797A (zh) 2023-09-29
US20240084618A1 (en) 2024-03-14
JP2024505243A (ja) 2024-02-05
AU2022373000A1 (en) 2023-08-17
CA3208909A1 (en) 2023-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78037B2 (en) Foldable sunshade with a tiltable canopy
US6152157A (en) One-touch assembling collapsible tent frame
US8776816B2 (en) Portable adjustable shade structure
US20030192580A1 (en) Canopy support frame for a sunshade
JP4628368B2 (ja)
US10631605B2 (en) Umbrella hub
US7210491B2 (en) Umbrella structure
US6951327B1 (en) Detent-releasing device
KR20110006590U (ko) 신축 사다리
US8381749B1 (en) Adjustable hunting blind
US6202974B1 (en) Portable easel with adjustable board support
US4046348A (en) Adjustable height stool
KR102518193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US11795760B2 (en) Ladder tripod assembly and system
US6725870B1 (en) Simple hanging parasol
US6766814B2 (en) Collapsible umbrella
US10368617B2 (en) Umbrella assembly set up devices
US9896862B1 (en) Tent and canopy apparatus
KR20230126422A (ko) 접이식 길이조절기구
KR100587832B1 (ko) 원터치 절첩식 텐트
US11666125B2 (en) Parasol
CA2471479C (en) Collapsible umbrella
CN219845358U (zh) 一种多折伞具的中棒展收结构
KR100395628B1 (ko) 외발 사다리
KR20030068225A (ko) 학생용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