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2851U - 길이조절이 용이한 폴대 - Google Patents

길이조절이 용이한 폴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2851U
KR20130002851U KR2020110009755U KR20110009755U KR20130002851U KR 20130002851 U KR20130002851 U KR 20130002851U KR 2020110009755 U KR2020110009755 U KR 2020110009755U KR 20110009755 U KR20110009755 U KR 20110009755U KR 20130002851 U KR20130002851 U KR 2013000285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e
height
height adjustment
tent
eas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97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석
Original Assignee
김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석 filed Critical 김광석
Priority to KR20201100097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2851U/ko
Publication of KR201300028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85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천막의 높이와 형태를 유지하는 길이조절이 되는 폴대에 관한 것으로서, 높이조절을 위하여 다단으로 이루어진 폴대의 작동이 간단하게 하면서도 폴대가 임의대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막을 설치할 경우 천막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일정한 높이로 설치하기 위하여 폴대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폴대가 하단의 폴대의 내측으로 상단의 폴대가 내입되어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높이조절수단이 정확한 간격을 맞추어야만 가능하고 잘못할 경우 하단의 폴대와 상단의 폴대가 분리가 되어 설치작업이 용이치 못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폴대를 상측은 직경이 좁고 하측은 직경이 넓은 경사진 형태로 형성하여 높이조절 시 폴대가 임의적으로 분리가 되지 않도록 하면서 상단폴대의 하측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된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높이조절장치가 하단폴대의 선단에 걸려져 간단하게 높이조절이 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길이조절이 용이한 폴대{A pole}
본 고안은 천막을 펼쳐서 높이와 형태를 유지하도록 천막을 지지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폴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단으로 이루어진 폴대의 높이조절을 위한 조작이 용이하면서도 임의대로 분리되지 않도록 하여 혼자서도 천막설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막을 설치할 경우 길이조절이 되는 폴대를 이용하여 천막의 중앙부와 가장자리 모서리에 폴대를 설치하여 천막이 펼쳐진 형태로 형체를 유지하여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폴대(100)의 구조는 관형태로 된 프레임의 직경이 서로 다른 폴대가 중첩되게 내입되어 높이조절이 되는 것이며, 하단의 폴대(100a)에는 다수의 조절홈(110)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단의 폴대(100b)에는 관통홈(120)이 형성되어 하단 폴대(100a)의 조절홈(110)을 상단폴대(100b)의 관통홈(120)에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핀(200)을 끼워 높이조절을 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폴대의 단점이 고정핀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어 분실에 따른 단점이 있으며, 폴대가 상단과 하단이 동일한 직경으로 내입된 상태에서 높이조절을 위하여 상단폴대의 관통홈과 하단 폴대의 조절홈을 정확하게 일치시킨 후 일치된 관통홈과 조절홈으로 고정핀을 관통되게 끼워 넣는 조작이 어려웠으며 따라서 혼자서는 설치가 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이러한 문제로 인해 상단 폴대의 하단에 스프링에 의해 탄성작동되는 고정핀이 장착된 상태에서
따라서 다단으로 연결된 폴대(100)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내측에 와이어로 서로 연결하여 다단으로 된 폴대끼리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하여 분실 방지 및 설치를 용이토록 하고 있지만 높이조절을 위하여 하단 폴대(100a)의 조절홈(110)에 상단 폴대(100b)의 높이조절장치 또는 고정핀으로 된 높이조절장치(200)를 정확하게 일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높이조절을 위한 고정하는 작업이 용이치 못하였다.
그리고 어두운 야간에 경우 높이조절을 위한 구멍을 맞추기가 더욱 쉽지 않아 설치가 어려웠다.
따라서 천막의 설치 시 폴대의 높이조절을 위하여 2인 이상이 함께 설치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천막의 설치에 어려움이 존재하였으며 야간의 경우에는 더욱 설치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고안은 혼자서도 폴대의 높이조절의 조작과 다단으로 된 폴대가 임의대로 빠지지 않도록 하여 길이조절을 간단하게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를 해결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하단폴대와 중간폴대와 상단폴대를 상측은 직경이 좁고 하단은 직경이 넓은 경사변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하단폴대의 내측으로 중간폴대가 내입되어지고 중간폴대의 내측으로 상단폴대가 내입되도록 하고 중간폴대와 상단폴대에 설치된 높이조절장치를 형성함으로써 하단폴대에서 중간폴대와 상단폴대가 높이조절 될 때 분리가 되지 않으면서 중간폴대와 상단폴대의 높이조절장치가 중간폴대와 하단폴대의 상측 선단에 걸려지게 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폴대의 높이조절을 위하여 높이조절장치와 경사변을 갖는 폴대를 사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높이조절을 위한 조작이 간단하여 혼자서도 쉽게 천막을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폴대의 구조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폴대가 높이조절되어진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높이조절된 폴대의 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폴대의 경사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폴대가 경사면에 의해 걸림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7은 종래의 폴대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여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길이조절이 용이한 폴대는 일정 길이의 관형태로 되어 상단은 좁고 하단은 넓은 하단폴대(10a)와 중간폴대(10b)와 상단폴대(10c)로 이루어지고 하단폴대(10a)의 내측에 중간폴대(10b)와 상단폴대(10c)가 순차적으로 내입되어져 하측에 이탈을 방지하는 마개(20)가 결합되고 중간폴대(10b)와 상단폴대(10c)의 하측에는 높이조절을 위한 높이조절장치(12)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단폴대(10c)의 상측에 천막(30)을 고정하는 돌출봉(21)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폴대(10)는 하단폴대(10a)에 중간폴대(10b)와 상단폴대(10c)가 내입되어 2단, 3단으로 높이가 조절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사용에 따라서 여러 다단으로 높이조절이 되는 것이며, 이러한 것이 본 고안의 목적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이때 상기 하단폴대(10a)와 중간폴대(10b)와 상단폴대(10c)는 각각 상부가 좁고 하단이 넓은 형태로 경사각을 갖는 일정한 길이의 관체로 형성하고 중간폴대(10b)는 하단폴대(10a)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제작되어지고 상단폴대(10c)는 중간폴대(10b)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제작되어지는 것이다.
즉, 하단폴대(10a)의 상측 직경을 중간폴대(10b)의 하측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고 중간폴대(10b)의 상측직경을 상단폴대(10a)의 하측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함으로써 하단폴대(10a)의 내측으로 중간폴대(10b)와 상단폴대(10c)가 내입된 상태에서 높이조절을 위하여 하단폴대(10a)의 상측으로 중간폴대(10b)가 돌출될 때 하단폴대(10a)의 상측 직경보다 중간폴대(10b)의 하측직경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빠지지 않게 되는 것이며, 상단폴대(10c)도 동일한 구조로 되어 동일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단폴대(10a)의 하측에는 마개(20)가 결합되어 하단폴대(10a)의 내측에 내입되어진 중간폴대(10b)와 상단폴대(10c)의 빠짐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그리고 중간폴대(10b)의 하측에는 높이조절장치(12)를 장착하여 하단폴대(10a)에 내입된 높이조절을 위하여 높이조절장치(12)가 형성된 부분까지 돌출시키게 되면 높이조절장치(12)가 하단폴대(10a)의 내측에서 눌려진 상태로 있다가 돌출되어 상측 선단(11)에 받쳐져 걸려지게 되는 것이고, 중간폴대(10b)의 내측으로 내입되는 상단폴대(10c)도 중간폴대(10b)와 동일하게 높이조절장치(12)가 형성되어 동일하게 작동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장치(12)는 하나 또는 일정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다단으로 형성되어 사용에 따라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높이조절을 위하여 중간폴대(10b)의 높이조절장치(12)가 하단폴대(10a)의 선단(11)에 걸려지게 되면서 하단폴대(10a)에 별도의 걸림홈을 형성하지 않아도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른 별도의 가공작업도 필요치 않게 되어 제조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중간폴대(10b)와 상단폴대(10c)의 형성된 높이조절장치(12)는 판스프링(12b)에 돌기체(12a)를 형성하여 중간폴대(10b)와 상단폴대(10c)에 내입된 상태에서 돌기체(12a)만 폴대(10b,10c)의 외측으로 관통공을 통해 돌출되어 탄성작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상단폴대(10c)의 상측에는 관통공(13)을 형성함으로써 끈을 이용하여 복수개의 천막을 연결하여 설치하거나 후라이를 설치하거나 물건을 거는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관통공(13)이 본 고안의 목적을 제안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천막용 폴대는 일정한 길이의 관체로 된 경사변을 갖는 하단폴대(10a)의 내측으로 동일한 형태의 중간폴대(10b)와 상단폴대(10c)를 내입시켜 높이조절을 위하여 작동시 하단폴대(10a)와 중간폴대(10b)와 상단폴대(10c)가 분리가 되지 않으면서 중간폴대(10b)와 상단폴대(10c)의 하측에 형성된 높이조절장치(12)를 이용하여 중간폴대(10b)와 하단폴대(10c)의 상측 선단(11)에 걸려지게 함으로써 용이하게 천막 설치작업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폴대 11: 선단
12: 높이조절장치 12a: 돌기체
12b: 판스프링 13: 관통공
20: 마개 21: 돌출봉
30: 천막

Claims (4)

  1. 다단으로 내입되어 높이조절장치에 의해 높이가 조절되는 천막설치용 폴대에 있어서,
    상기 폴대(10)는 하측의 직경은 넓고 상측의 직경은 좁은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높이조절시 다단으로 내입되어진 폴대(10)가 경사면에 의해 상측으로는 더이상 빠지지 않게 되고 폴대(10)의 하측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높이조일이절장치(12)가 높이조절된 후 하측의 폴대(10) 선단(11)에 걸림되면서 길이가 조절되어 작동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폴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대(10)는 하단폴대(10a)의 내측에 하측에 높이조절장치(12)가 형성된 중간폴대(10b)와 내입되고 상기 중간폴대의 내측에 하측에 높이조절장치(12)가 형성되고 상측에 천막의 고정을 위한 돌출봉(21)이 형성된 상단폴대(10c)가 내입되어 하단폴대(10a)의 하측에 마개(20)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길이조절이 용이한 폴대.
  3. 제 1항 내지 제 2항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장치(12)는 판스프링(12b)와 돌기체(12a)로 구성되어 다수의 폴대(10)가 내입된 상태에서는 눌려진 상태로 있다가 폴대(10)가 높이조절을 위하여 노출될 때 돌기체(12a)만 폴대(10)의 외측으로 판스프링(12b)의 탄성에 의해 돌출되어 또 다른 폴대(10)의 선단(11)에 걸림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폴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폴대(10c)의 상측에는 관통공(13)을 형성하여 끈을 이용하여 복수의 천막을 설치하거나 후라이를 설치하거나 물건을 매다는 용도로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조절이 용이한 폴대.
KR2020110009755U 2011-11-04 2011-11-04 길이조절이 용이한 폴대 KR2013000285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755U KR20130002851U (ko) 2011-11-04 2011-11-04 길이조절이 용이한 폴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9755U KR20130002851U (ko) 2011-11-04 2011-11-04 길이조절이 용이한 폴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851U true KR20130002851U (ko) 2013-05-14

Family

ID=52426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9755U KR20130002851U (ko) 2011-11-04 2011-11-04 길이조절이 용이한 폴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285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680B1 (ko) * 2018-11-12 2020-03-13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철근위 보행용 덧신
WO2023068667A1 (ko) * 2021-10-22 2023-04-27 (주)먹통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680B1 (ko) * 2018-11-12 2020-03-13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철근위 보행용 덧신
WO2023068667A1 (ko) * 2021-10-22 2023-04-27 (주)먹통 길이 조절이 가능한 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251558A1 (en) Support structure for increasing fixing force of a curtain
US20170261154A1 (en) Wall mount for screens with automatic locking mechanism
KR101362275B1 (ko) 포스트 행거식 캣타워
KR101450470B1 (ko) 벽지에 고정하는 소품용 행거
KR10169770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장
US20160376838A1 (en) Cordless blind assembly
KR200412730Y1 (ko) 건축용 비계의 수평지지대
US9885208B1 (en) Window covering auxiliary device
KR20130002851U (ko) 길이조절이 용이한 폴대
KR200492518Y1 (ko) 스프링 데크펙
US9540868B2 (en) Magnetically attractive shade
KR101181029B1 (ko) 조립식 의류 행거 시스템을 이루는 탄성 기둥 고정캡 및 이를 포함하는 커튼봉 고정용 횡바 구조체
EP2390447B1 (en) Bracket with front coupling for carriages of sliding wings or doors
AU2014400543B2 (en) Device for stopping, releasing and restoring the position of roller-type window nets
KR102574030B1 (ko) 액자 받침대
KR101263171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난간
US20170280909A1 (en) Curtain rod assembly
KR200472251Y1 (ko) 폭 조절이 용이한 천장 부착형 빨래건조대
KR200465305Y1 (ko) 스탠드형 옷걸이
KR200307490Y1 (ko) 벽면 부착형 행거의 높이 조절장치
US11255104B2 (en) Tent support
KR101266906B1 (ko) 펜스용 체결구
KR100535824B1 (ko) 텐트용 폴대
KR200472444Y1 (ko) 수직이동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 폴대
KR20120002044U (ko) 커텐걸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